KR101750435B1 - Steel pipe pole - Google Patents

Steel pipe p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435B1
KR101750435B1 KR1020160112602A KR20160112602A KR101750435B1 KR 101750435 B1 KR101750435 B1 KR 101750435B1 KR 1020160112602 A KR1020160112602 A KR 1020160112602A KR 20160112602 A KR20160112602 A KR 20160112602A KR 101750435 B1 KR101750435 B1 KR 10175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eel pipe
ground
present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6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강석
Original Assignee
이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석 filed Critical 이강석
Priority to KR102016011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4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4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주에 관한 것으로, 기둥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단부가 뿔 형상으로 마련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날개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타 구조물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뿔 형상의 삽입부와 이와 인접한 위치에 상광하협한 테이퍼 진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날개부를 포함하여 지반 내 인입하기 위한 별도의 굴착공정 없이도 지반 내 강관주의 압입이 가능하고, 몸체의 둘레를 따라 같은 높이 상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날개부에 의해 지반 내 압입된 몸체가 지지 고정되므로 굴착공정을 통해 마련한 터에 몸체와 지지구조물의 결합을 수행하고 되메우기를 통해지지 고정하던 종래기술에 비해 굴착공정 및 지지구조물의 결합공정이 배제될 수 있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공정에 투입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main body, comprising: a columnar body; An insertion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having an end formed in a horn shape; A plurality of support vane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And a coupling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coupled with the oth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ss-fit the steel pipe in the ground without a separate excavation process for pulling into the ground, including a horn-shaped insertion part and a support vane formed in a tapered shape, The body is pressed and fixed by a plurality of support vane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same height, so that the body and the support structur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xcavation process, and the support structure is supported and fixed by back- The excavation process and the joining process of the support structure can be excluded compared to the technique,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and the manpower to be supplied to the process can be reduced.

Description

강관주 {STEEL PIPE POLE}STEEL PIPE POLE

본 발명은 강관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강관주는 전선의 연결 혹은 조명등의 설치 등을 위해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을 말한다.Steel pipe is a column that is installed on the ground for connection of wires or lighting fixtures.

이때, 강관주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풍압이나 지반조건에 의해 쓰러지지 않도록 하부에 지지구조물을 추가하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t this time, the steel pipe is vertically raised from the ground, and a support structure is generally added to the lower portion so as not to collapse due to wind pressure or ground conditions.

일반적인 강관주 시공방법은 굴착공정을 통해 강관주가 인입될 수 있는 터를 파고, 강관주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구조물을 결합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In general, the steel pipe main construction method involves digging a pipe into which a steel pipe stock can be inserted through an excavation process, and joining a support structure for fixing the steel pipe pipe.

이후, 되메우기를 통해 지지구조물과 결합된 강관주의 하부를 충전재로 메움으로써 강관주를 시공하게 된다.Then, the steel pipe is filled by filling the lower part of the steel pipe joined with the support structure with the filler through the backflow.

이때, 강관주를 지반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이용한 추가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dditional fixation using concrete can be performed to firmly fix the steel pipe to the ground.

그러나, 콘크리트를 이용한 고정은 콘크리트가 굳기 위해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토양의 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crete is fixed, the concrete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o harden, and soil contamination is cau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다각도로 모색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7682호(출원일 : 2001. 12. 21, 등록일 : 2002. 03. 27, 이하 '종래기술' 이라 칭함)에서는 전주의 하측부에 흙이 채워진 별도의 지지구조물을 설치하여 지면으로부터 전주를 지지하는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 As a part of this technique, a method for solving such a problem has been searched in various ways. As a technique of thi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7682 filed on December 21, 2001, filed on March 23, 2002, , A technique of supporting a pole from the ground by providing a separate supporting structure filled with soil on the lower side of the pole is proposed.

하지만, 종래기술은 강관주가 지지될 터를 굴착하는 과정에서 강관주에 결합될 지지구조물의 크기까지 고려한 범위까지의 굴착공정이 이루어져야하고, 굴착기, 확장기기, 운반기기 등의 많은 기기 또한 이용되어야 하므로 많은 인력의 소모와 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excavation process must be performed up to the extent of considering the size of the support structure to be coupled to the steel pipe in the process of excavating the steel pipe supported by the steel pipe, and many devices such as excavator, Which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a long tim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공공정을 단순화하여 시공인력의 소모와 시공시간의 소요를 절감하는 강관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l pipe which simplifies a construction process and reduces the consumption of a construction worker and a construction tim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는 기둥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단부가 뿔 형상으로 마련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날개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타 구조물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An insertion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having an end formed in a horn shape; A plurality of support vane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coupled to the other structure.

이때, 상기 지지날개부는 상기 몸체의 둘레 면에 수직이면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vanes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또한, 상기 지지날개부는 상시 삽입부와 인접한 상기 지지날개부 일단의 돌출 높이가 상기 지지날개부 타단의 돌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vane portion may have a protruding height of one end of the support vane portion adjacent to the insertion portion at all times lower than a protruding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vane portion.

그리고, 상기 지지날개부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상기 지지날개부의 단면적이 상기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테이퍼 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vanes may be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vane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n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뿔 형상의 삽입부와 이와 인접한 위치에 상광하협한 테이퍼 진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날개부를 포함하여 지반 내 인입하기 위한 별도의 굴착공정 없이도 지반 내 몸체의 압입이 가능하고, 몸체의 둘레를 따라 같은 높이 상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날개부에 의해 지반 내 압입된 몸체가 지지 고정되므로 굴착공정을 통해 마련한 터에 몸체와 지지구조물의 결합을 수행하고 되메우기를 통해지지 고정하던 종래기술에 비해 굴착공정 및 지지구조물의 결합공정이 배제될 수 있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공정에 투입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ss-fit the body in the ground without a separate excavation process for entering into the ground, including a horn-shaped insertion part and a supporting wing part formed in a tapered shape, And a plurality of support vane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the same heigh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to support and press the body in the ground, so that the body and the support structur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xcavation process, The excavation process and the joining process of the support structure can be exclud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in which the support structure is supported and fixed through the support structure. Thus,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and the manpower applied to the process can be reduce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eel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el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ain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technical part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를 도시한 것이다.1 to 3 show a steel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강관주(100)는 몸체(110), 삽입부(120), 지지날개부(130), 결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eel pip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n inserting portion 120, a supporting vane portion 130, and a coupling portion 140.

몸체(110)는 기둥형상으로 마련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ody 110 is provided in a columnar shape,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10 has a cylindrical shape, but may have various shapes.

삽입부(120)는 몸체(110)의 일단에 형성되며 단부가 뿔 형상으로 마련된다.The insertion portion 1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110 and has an end formed in a horn shape.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뿔 형상으로 마련되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At this tim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in a conical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삽입부(120)의 단부가 이루는 빗변의 경사는 강관주(100)가 위치하는 지반 상태에 따라 다양한 경사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ope of the hypotenuse formed by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20 may be provided at various slopes depending on the ground condition in which the steel pipe 100 is located.

지지날개부(130)는 삽입부(12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 형성된다.The support wings 130 ar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sertion portion 12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110.

이때, 지지날개부(130)는 몸체(110)의 둘레 면을 따라 등 간격 배치되며, 동일한 높이 상에 위치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 vanes 130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and are located on the same height.

또한, 지지날개부(130)는 몸체(110)의 둘레 면에 수직이면서, 몸체(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The supporting wings 130 are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and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20.

그리고, 강관주(100)가 지반에 삽입되는 깊이를 초과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된다.Then, the steel pipe 100 is formed in an area not exceeding the depth at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ground.

또한, 삽입부(120)와 인접한 지지날개부(130)부 일단의 돌출 폭보다 지지날개부(130) 타단의 돌출 폭이 넓게 형성된다.Further, the protruding width of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vane 130 is wider than the protruding width of one end of the support vane 130 adjacent to the insertion portion 120.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지지날개부(130)의 단면적이 지지날개부(130)의 타단에서 일단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테이퍼(TAPER) 진 형상으로 마련된다.3,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vane 130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may b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vane 130 de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vane 130 Respectively.

즉, 지지날개부(130) 타단의 단면적(A2)가 지지날개부(130) 일단의 단면적(A1)보다 크게 마련된다.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A2 of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vane 130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A1 of the one end of the support vane 130. [

이때, 지지날개부(130)의 형상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타단에 비해 일단이 협소한 다양한 형상 즉, 상광하협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support vane 130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3,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at is, one end narrower than the other end, that is,

여기서, 지지날개부(130)는 지반 내에 삽입된 강관주(100)의 몸체(110)를 지지 고정하고, 후술할 결합부(140)에 결합되는 타 구조물의 수평 하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The support vane 130 supports and supports the body 110 of the steel pipe 100 inserted in the ground and rotates due to the horizontal load of the other structure coupled to the engagement portion 140 .

또한, 강관주(100)가 지반 내에 삽입될 때, 몸체(110)의 둘레면을 따라 동일 높이 상에 등 간격 배치된 지지날개부(130)는 최초 강관주(100)가 삽입되는 각도를 그대로 유지한 채 지반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steel pipe 10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the support vanes 130, which are equidistantly arranged on the same heigh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110,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und.

이때, 지지날개부(130)가 이루는 면적에 따라 지반에 인접하는 면적이 클수록 지지력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지지력은 지지날개부(130)가 이루는 크기 및 면적에 따라 좌우될 수 있으며, 지반 상태에 맞는 지지날개부(130)의 형태를 고려하여야 한다. In this case, the supporting force may be increased as the area adjacent to the ground increases according to the area formed by the supporting wings 130,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may be dependent on the size and area of the supporting wings 130, The shape of the corresponding supporting wing 130 should be considered.

또한, 경우에 따라 지지날개부(130)의 빗변은 곡선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ypotenuse of the support vane 130 may be curved.

결합부(140)는 몸체(110)의 타단에 형성되며, 조립식으로 마련될 경우 삽입부(120)를 포함하는 하부구조물(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100))이 아닌 하부구조물과 동일한 반경으로 마련된 타 구조물이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110)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14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When the lower part includes the insertion part 120 (that is, the steel pip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radiu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body 110 so that other structures provided with the same radius as the lower structure can be coupled.

이때, 경우에 따라 강관주(100)가 조립식이 아닌 일체형으로 마련된 경우 결합부(140)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steel pipe 100 is provided as a unit rather than a prefabricated type, the coupling part 140 may not be included.

또한, 결합되는 타 구조물의 반경이 하부구조물과 다른 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강관주(100)와 타 구조물은 별도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lso, the radius of the other structure to be coupled may have a radius different from that of the lower structure, and the steel pip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may be connected by separate connecting means.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100)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다.FIG. 4 illustrat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eel pip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4 (a)에 도시된바와 같이 강관주(100)의 위치를 선정하고, 해당 위치에 강관주(100) 삽입부(120)의 중심점을 위치시키며, 해당위치 근처에 백호우(B)를 준비한다.First, as shown in FIG. 4 (a), the position of the steel pipe 100 is selected, the center point of the steel pipe insert 100 is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

이때, 강관주(100)는 백호우(B)와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강관주(100)는 백호우(B)가 아닌 크레인과 같은 다른 기기에 지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el pip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backhoe B through a connection member such as a wire, and the steel pipe 10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device such as a crane other than the backhoe B .

다음으로, 도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호우(B)로 강관주(100)의 결합부(14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삽입부(120)와 지지날개부(130)를 지반 내로 압입한다.Next, as shown in FIG. 4 (b), the fitting portion 140 of the steel pipe 100 is pressed downward to the backhoe B so as to press the insertion portion 120 and the support vane portion 130 into the ground do.

이때, 지지날개부(130)가 상광하협한 테이퍼 진 형상으로 마련되어 뿔형상으로 형성된 삽입부와 더불어 압입에 용이하며, 복수개로 마련되어 강관주(100) 압입시 발생하는 압력을 분산시켜 균등하게 지반 내 토양을 하방과 측방향으로 밀어내며 압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vane part 130 is provided in a tapered shape with a lowered light intensity and is easily press-fit together with the insertion part formed in a horn shape, and a plurality of the support vane parts 130 are provided to disperse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steel pipe main body 100 is press- The soil can be pressed downward and sideways.

또한, 동일한 형상의 복수개의 지지날개부(130)로 인해 균일한 지지력으로 지탱되어 강관주(100)가 일 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반 내 강관주(1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강관주(100)의 흔들림 또는 뒤틀림을 방지하고 수직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support vanes 130 having the same shape are supported with a uniform supporting force to prevent the steel pipe 100 from being tilted to one sid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teel pipe 100 in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prevent shaking or warping of the main body 100 and to maintain the vertical state.

그리고, 몸체(110)의 둘레 면을 따라 동일한 높이 상에 등 간격 배치된 지지날개부(130)가 균등하게 분배된 힘으로 지반 내 토양을 밀어내며 강관주(100)를 삽입되도록 하므로, 최초 압입 시 수직을 맞춘 채로 압입되는 강관주(100)는 최초 각도 즉, 수직을 유지한 채 삽입될 수 있다.The support vanes 130, which are equally spaced on the same heigh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110, push the soil in the ground with an evenly distributed force and insert the steel pipe 100, The steel pipe 100 which is press-f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inserted while maintaining the initial angle, i.e., vertical.

또한, 도4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강관주(100)의 압입 시 지반을 이루는 토양이 삽입부(120)와 지지날개부(130)에 인접한 위치로 밀집되게 되므로 해당 위치의 토양의 밀도가 증가하게 되고, 지지날개부(130) 사이사이 지반 내 토양이 위치하여 삽입부(120)와 지지날개부(130)가 형성된 강관주(100)의 하부를 꽉 잡아주며 밀집된 토양에 의해 강관주(100)의 고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4 (b), when the steel pipe 100 is press-fitted, the soil constituting the ground is closely pack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serting portion 120 and the supporting vane portion 130, The soil in the ground is located between the support vanes 130 and the bottom of the steel tube 100 having the insertion portion 120 and the support vane 130 is tightly held, The fixing of the main body 100 can be performed.

그리고, 강관주(100)가 시공되는 지반의 상태 및 강관주(100)의 규격에 따라 필요한 지지력은 달라지므로, 이에 합당한 깊이에 압입되도록 하여야 한다.Since the required supporting force varie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ground on which the steel pipe 100 is installed and the standard of the steel pipe 100, the steel pipe 100 should be press-fitted to a proper depth.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강관주(100)의 결합부(140)를 가압하는 기기로 백호우(B)를 이용하였지만 일정 높이에서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백호우(B)와 유사한 기기 종류가 이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backhoe B is used as a device for pressing the engaging portion 140 of the steel pipe 1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similar to the backhoe B, Can be used.

이후, 강관주(100)의 수직과 수평을 확인함으로써, 올바르게 압입되었는지 확인한다.Thereafter, by confirm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of the steel pipe 100,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steel pipe is correctly press-fitted.

이때, 압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빈틈을 메꾸기 위해 토사나 충전재를 이용하여 빈틈을 메우고 지반을 견고히 다지는 되메우기 공정이 추가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fill gaps that may occur during the press-fitting process, a backfilling process may be further performed by filling the gaps with the soil or filler and solidifying the ground.

그리고, 지지날개부(130)는 지지날개부(130)의 선단부 단면적보다 후단부 단면적이 넓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었기 때문에 지반 내로 강관주(100) 압입 시 적은 힘으로 삽입이 가능하지만, 반대로 강관주(100)를 빼기 위해서는 큰 힘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Since the support vane portion 130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having a larger rear end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tip end 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vane portion 130, the support vane portion 130 can be inserted with a small force when the steel tube 100 is pressed into the ground. There is no choice but to put a lot of force in order to subtract the state (100).

즉, 풍압과 같은 자연환경에 의해 강관주(100)가 지반을 이탈하기 쉽지 않으며,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teel pipe 100 is not easily detached from the ground due to natural environment such as wind pressure, and firm fixing can be achiev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100) 시공방법은 강관주(100)를 압입하여 시공하므로 굴착공정, 지지구조물 결합공정 등의 공정이 제외될 수 있어 일반적인 강관주(100) 시공방법에 비해 시공공정이 간편화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의 단축 등으로 인한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Here,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teel pip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clude processes such as excavation process, supporting structure joining process, etc., because the steel pipe 100 is press- The construction process can be simplified compared with the method, and the construction cost due to the shortening of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reduced.

결국, 본 발명은, 뿔 형상의 삽입부와 이와 인접한 위치에 상광하협한 테이퍼 진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날개부를 포함하여 지반 내 인입하기 위한 별도의 굴착공정 없이도 지반 내 몸체의 압입이 가능하고, 몸체의 둘레를 따라 같은 높이 상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날개부에 의해 지반 내 압입된 몸체가 지지 고정되므로 굴착공정을 통해 마련한 터에 몸체와 지지구조물의 결합을 수행하고 되메우기를 통해지지 고정하던 종래기술에 비해 굴착공정 및 지지구조물의 결합공정이 배제될 수 있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공정에 투입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강관주를 제공한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n-shaped insertion portion and a supporting blade portion formed in a tapered shape that is close to the top of the horn-shaped insertion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ss-fit the body in the ground without a separate excavation process for entering the ground. Since the body press-fitted into the ground is supported and fixed by a plurality of support vane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same height along the circumference, the body and the support structur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xcavation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pipe which can be excluded from the excavation process and the joining process of the support structure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and the manpower required for the process.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강관주
110 : 몸체
120 : 삽입부
130 : 지지날개부
140 : 결합부
B : 백호우
100: Steel pipes
110: Body
120:
130:
140:
B: Backhoe

Claims (4)

기둥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단부가 뿔 형상으로 마련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높이 상에 등간격으로 소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날개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타 구조물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날개부는 상기 몸체의 둘레 면에 수직이면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와 상기 지지날개부를 지반 내로 압입하는 경우, 상기 지지날개부는 지반 내 토양을 하방과 측방향으로 균등하게 밀어내며, 지반에 용이하게 압입되도록 상기 지지날개부 일단의 돌출 폭보다 상기 지지날개부 타단의 돌출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주.
A columnar body;
An insertion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having an end formed in a horn shape;
A plurality of support vane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serting portion and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on the same heigh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And
And a coupling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coupled with the other structure,
The supporting w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Whe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support vane portion are press-fitted into the ground by pressing the coupling portion downward, the support vane portion pushes the soil in the ground evenly downward an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projecting width of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vane portion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projecting width of the support vane portion
Steel pip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날개부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상기 지지날개부의 단면적이 상기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테이퍼 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support vanes are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vane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n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teel pipes.



KR1020160112602A 2016-09-01 2016-09-01 Steel pipe pole KR1017504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602A KR101750435B1 (en) 2016-09-01 2016-09-01 Steel pipe p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602A KR101750435B1 (en) 2016-09-01 2016-09-01 Steel pipe p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435B1 true KR101750435B1 (en) 2017-07-03

Family

ID=5935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602A KR101750435B1 (en) 2016-09-01 2016-09-01 Steel pipe p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43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772B1 (en) * 2011-03-07 2013-11-15 (주)케이에스텍 Steel pipe for supporting a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772B1 (en) * 2011-03-07 2013-11-15 (주)케이에스텍 Steel pipe for supporting a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527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wisted steel wire
CN105464106B (en) Stake connector
KR101888737B1 (en) Prefabricated shoring structure
JP2007270547A (en)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steel pipe pole
KR101648704B1 (en) Underground wall structure
KR101750435B1 (en) Steel pipe pole
KR101855458B1 (en) Composite pile
KR101635529B1 (en) Composite pile construction method
KR101341176B1 (en) Offshore pile-type suppo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48339B1 (en) The pressing device of underground strucyure for non-excavation method and its construccting methods thereof
KR102089857B1 (en) Guide device for sheet pile
KR20150107035A (en) Deck using plate file foundation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KR101460180B1 (en) Nail connectors for soil nailing method
JP3780847B2 (en) Tie rod method
KR200492647Y1 (en) Joint of steel materials for nailing method
KR101730877B1 (en) Establishing method for attached wall in slope using the module for fixing in slope
KR20140001529U (en) Prefabricated Precast Culvert Block
JP6161370B2 (en) Backing prevention device
JP4256761B2 (en) Ground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804342B1 (en) Pc pile structure and pc pil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852509B1 (en) Reinforcing apparatus for soil nailing
KR101631676B1 (en) Prefabricated support Equipment
KR101567358B1 (en) Reinforced method using steel piles with ribs for foundation of building
JP2020029703A (en) Pile body and construction method of pile
KR102101585B1 (en) Installation base board for preventingfrom sinking the g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