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212B1 -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 - Google Patents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212B1
KR101750212B1 KR1020160140375A KR20160140375A KR101750212B1 KR 101750212 B1 KR101750212 B1 KR 101750212B1 KR 1020160140375 A KR1020160140375 A KR 1020160140375A KR 20160140375 A KR20160140375 A KR 20160140375A KR 101750212 B1 KR101750212 B1 KR 10175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fixing bolts
substrate
closed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배
조철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담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담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담스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5/00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s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 B64D35/02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s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ower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3/00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 B64F3/02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with mean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ircraft during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1M10/465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with solar battery as charging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64C2201/06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 Y02T50/5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 Y02T5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에 있어서,
덮개 구동부의 정역 구동모터의 정역 회전에 따라 개폐되는 좌,우 덮개를 구동축에 고정 장착시키는 고정 볼트의 길이를 좌,우 구동축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하여,
좌,우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좌,우 고정 볼트끼리의 상호 간섭으로 인하여 고정 볼트를 외부에서 임의로 풀 수 없게 함으로써,
좌,우 덮개가 임의로 개방되어 수취함에 보관된 배송품이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드론에 탑재시켜 배송한 물품을 수취인이 보다 안전하게 보관 및 수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Good Receiver System by Drone}
본 발명은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론에 탑재시켜 배송한 물품을 수취 지점에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무인으로 수취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고,
수취함에 보관된 배송품을 수신자가 간편히 수령할 수 있도록 한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비행체인 드론과 관련된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드론을 이용한 물류 배송 개념이 제기되어 여러 다양한 형태의 드론 배송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드론을 이용한 물류 배송은 대부분이 개념적인 것으로서,
드론을 이용하여 물품을 목적하는 지점에 투하시키는 정도에 그쳐 구체적으로 일상 생할에서 실용화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에 있었다.
뿐만 아니라, 드론은 여러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는 반면에, 많은 위험 요소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드론 사용에는 여러 제한이 수반되고 있는데,
몇가지 예를 들어 보면,
사람이 많은 곳이나, 군사지역에서는 드론을 비행시키는 것 자체가 금지되어 있고,
비행이 가능한 지역이라 하더라도,
드론의 비행 상태를 드론 조종자가 육안으로 직접 식별할 수 있어야 하고,
드론을 지상 150m 이내에서만 비행시켜야 하며,
드론에 물품 탑재시, 총 중량을 25kg 이내로 제한하는 등의 여러 규정이 마련되어 엄격히 시행되고 있다.
문헌 1.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104863 (2015.09.16 공개) 문헌 2. 국내등록특허 제10-1527210 (2015.06.09 공고) 문헌 3. 국내등록특허 제10-1646208 (2016.08.23 공고) 문헌 4. 국내공개특허 제10-2016-0121174 (2016.10.19 공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드론 배송에 수반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 배송자가 드론에 탑재시켜 배송시킨 물품을 목적하는 배송 지점에서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무인으로 자동 수취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수취함에 보관된 배송품을 수신인이 간편히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무인 수취함에 배송 보관된 물품이 분실 또는 도난되는 일 없이, 수신인에게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삭제
삭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에 있어서,
덮개 구동부의 정역 구동모터의 정역 회전에 따라 개폐되는 좌,우 덮개를 구동축에 고정 장착시키는 고정 볼트의 길이를 좌,우 구동축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하여,
좌,우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좌,우 고정 볼트끼리의 상호 간섭으로 인하여 고정 볼트를 외부에서 임의로 풀 수 없게 함으로써,
좌,우 덮개가 임의로 개방되어 수취함에 보관된 배송품이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드론에 탑재시켜 배송한 물품을 수취인이 보다 안전하게 보관 및 수령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는,
좌,우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좌,우 고정 볼트끼리의 상호 간섭으로 인하여 고정 볼트를 외부에서 임의로 풀 수 없게 함으로써,
좌,우 덮개가 임의로 개방되어 수취함에 보관된 배송품이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드론에 탑재시켜 배송한 물품을 수취인이 보다 안전하게 보관 및 수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전체적인 외형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덮개를 열고 기판을 분리한 상태에서 덮개 구동부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동 수취함 덮개가 닫힌 상태의 정면도,
도 4 는 동 열린 상태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전체적인 외형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덮개를 열고 기판을 분리한 상태에서 덮개 구동부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동 수취함 덮개가 닫힌 상태의 정면도,
도 4 는 동 열린 상태의 정면도로서,
삭제
본 발명의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는,
가능한 사람이 자주 왕래하지 않는 구역에 대략 성인 키보다 조금 높게 수직 프레임(1)이 설치되어, 상단부에 수취함(2)이 설치되는 기판(3)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3)의 저면에는 덮개 구동부(4)가 설치되고, 이 덮개 구동부(4)는 좌우 대칭으로 축받이(5)(5')가 설치되어 구동축(7)(7')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7)(7')에는 연동기어(9)(9')가 맞물려 장착되어 있으며, 이 연동기어(9)의 일측에는 구동기어(11)와 정역 구동모터(13)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7)(7')의 전후 양단부에는 덮개(15)(15')가 서로 대향되게 고정볼트(17)(17')로 장착되어 있고,
이 고정 볼트(17)(17')는 그 길이가 양 구동축(7)(7')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어, 좌,우 덮개(15)(15')가 폐쇄된 상태에서, 좌,우 고정 볼트(17)(17') 끼리의 상호 간섭으로 인하여 고정 볼트(17)(17')를 외부에서 임의로 풀 수 없게 하여, 좌,우 덮개(15)(15')가 임의로 개방되어 수취함(2)에 보관된 배송품(29)이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역 구동모터(13)에는 리미트 스위치가 부착되어,
리미트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정역 구동모터(13)가 반대로 구동하여 구동기어(11)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연동기어(9)(9')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축(7)(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좌,우 덮개(15)(15')를 개방시키게 되며,
좌,우 덮개(15)(15')가 완전 개방되면, 리미트 스위치가 오프되면서 정역 구동모터(13)가 정지되어 좌,우 덮개(15)(15')의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다시 좌,우 덮개(15)(15')를 폐쇄시킬 경우에는 상기 개방시의 역순으로 정역 구동모터(13)가 작동하여 좌,우 덮개(15)(15')를 폐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1)의 중간부에는 솔라셀(21)과 배터리(23)가 장착되어, 상기 덮개 구동부(4)의 정역 구동모터(13)에 전기를 공급하고 있고,
상기 기판(3)의 상측 표면 중심부에는 무선충전 전자기 발생판이 구비되어,
드론(27)에 부착된 무선충전 전자기 유도박스(25)와 접속하여, 배터리(23)의 전기를 드론(27)에 충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무선충전 전자기 발생판은 내부에 내장된 전자기 유도코일에 태양광 솔라 모듈부로 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개폐 콘트롤 박스를 통하여 공급받아 무선충전 전자기 발생판의 상부 표면에서 전자기가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9 는 배송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는 모든 물품의 배송이 가능하지만, 드론에 의한 물품 배송시의 여러 가지 제한으로 인하여,
섬과 같은 지역에 물품을 배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데,
지금까지는 섬 지역에 물품을 배송할 때, 집배원이 배를 타고가 섬에서 내려 섬안의 목적하는 배송지까지 도보나 적합한 운송 수단을 타고 이동하여 목적지에서 배송품을 수취인에게 전달하고 다시 배를 타고 돌아오는 방식으로 물품을 배송했기 때문에, 물품을 배송하는데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에 의하면,
집배원이 선상에서 공지의 카메라와 센서, 통신시스템 등이 탑재된 드론(27)에 배송지 정보를 입력한 뒤, 배송품(29)을 드론(27)에 탑재시켜 이륙시키면,
드론(27)에 입력된 배송 정보에 따라 드론(27)이 비행하여, 배송지 상공에 도착하여 배송지 영상이 드론(27)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하여 집배원에게 전송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송된 영상을 리모트 송신기 자체 또는 리모트 송신기에 연결된 휴대폰 화면을 통하여 집배원이 판독한 후,
리모트 송신기를 조정하여 드론(27)에 수취함 개폐 신호를 발송하면,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정역 구동모터(13)가 가동하여, 구동기어(11)와 연동기어(9)(9') 및 구동축(7)(7')을 차례로 가동시켜 좌우 덮개(15)(15')를 동시에 좌우 양측으로 90도 회전시켜 수취함(2)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렇게 수취함(2)의 좌,우 덮개(15)(15')가 열리면, 드론(27)을 기판(3) 상에 착륙시켜, 드론(27)에 탑재된 배송품(29)을 기판(3) 위에 안착시키게 되고,
배송품(29) 안착후, 드론(27)은 이륙하고, 정역 구동모터(13)가 다시 가동하여 좌,우 덮개(15)(15')를 닫아 배송품(29)을 수취함(2) 내부에 안전하게 보관하게 된다.
보관된 배송품(29)은 수취인이 수취함(2)에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좌,우 덮개(15)(15')를 열고 수거하게 된다.
한편, 배송 관리인이 있는 배송지나 집배원이 있는 선상에 수취함(2)이 설치된 경우,
기판(3) 상에 드론(27)을 안착시켜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론(27) 안착시, 드론(27)에 장착된 무선충전 전자기 유도박스(25)가 기판(3)의 상측 표면 중심부에 설치된 무선충전 전자기 발생판과 접속되어, 솔라셀(21)과 배터리(23)의 전기를 드론(27)에 수시로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에 의하면,
좌,우 덮개(15)(15')가 폐쇄된 상태에서, 좌,우 고정 볼트(17)(17')끼리의 상호 간섭으로 인하여 고정 볼트(17)(17')를 외부에서 임의로 풀 수 없게 함으로써,
좌,우 덮개(15)(15')가 임의로 개방되어 수취함(2)에 보관된 배송품(29)이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드론(27)에 탑재시켜 배송한 물품을 수취인이 보다 안전하게 보관 및 수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삭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도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여러 변형예가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 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1 : 수직 프레임
2 : 수취함
3 : 기판
4 : 덮개 구동부
5, 5' : 축받이
7, 7' : 구동축
9, 9' : 연동기어
11 : 구동기어
13 : 정역 구동모터
15, 15' : 덮개
17, 17' : 고정볼트
21 : 솔라셀
23 : 배터리
25 : 무선충전 전자기 유도박스
27 : 드론
29 : 배송품

Claims (5)

  1. 지상 또는 선상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1)과;
    상기 수직 프레임(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배송품을 수취 보관하는 수취함(2)과;
    상기 수취함(2)의 바닥에 설치된 기판(3)과;
    상기 기판(3)의 상부에 설치되어, 기판(3)의 저면에 장착된 덮개 구동부(4)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좌,우 덮개(15)(15')와;
    상기 수직 프레임(1)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 구동부(4)에 전원을 공급하는 솔라셀(21)이 부착된 배터리(23)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구동부(4)는 기판(3)의 저면에 축받이(5)(5')가 좌우 대칭으로 장착되어, 구동축(7)(7')과, 구동축(7)(7')의 전후 양단부에 덮개(15)(15')가 서로 대향되게 고정 볼트(17)(17')로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7)(7')에 연동기어(9)(9')가 맞물리게 장착되어, 정역 구동모터(13)의 구동기어(11)와 맞물려 정역 구동모터(13)에 의한 구동축(7)(7')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좌,우 덮개(15)(15')가 개폐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 볼트(17)(17')는 그 길이가 좌,우 양 구동축(7)(7')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어, 좌,우 덮개(15)(15')가 폐쇄된 상태에서 좌,우 고정 볼트(17)(17')끼리의 상호 간섭으로 인하여 고정 볼트(17)(17')를 외부에서 임의로 풀 수 없게 하여, 좌,우 덮개(15)(15')가 임의로 개방되어 수취함(2)에 보관된 배송품(29)이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40375A 2015-12-21 2016-10-26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 KR101750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82640 2015-12-21
KR1020150182640 2015-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212B1 true KR101750212B1 (ko) 2017-06-22

Family

ID=5928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375A KR101750212B1 (ko) 2015-12-21 2016-10-26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2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254B1 (ko) * 2015-06-12 2015-10-30 배종외 드론 무선충전 시스템
KR101646208B1 (ko) 2016-01-08 2016-08-23 황순범 드론용 플렛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254B1 (ko) * 2015-06-12 2015-10-30 배종외 드론 무선충전 시스템
KR101646208B1 (ko) 2016-01-08 2016-08-23 황순범 드론용 플렛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자료(http://bostinno.streetwise.co/2014/08/25/drone-delivery-mit-algorithm-lets-drones-monitor-their-own-health/)(2014.08.25.)
인터넷자료(http://www.trendhunter.com/trends/drone-dock)(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9040B2 (en) Storage box locking system
RU275670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грузов
US118541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delivery or pick up during a delivery or pick up phase of drone operation
US10457421B2 (en) Drone docking station and delivery system
JP6672279B2 (ja) 無人航空機用の可搬地上局
US8434577B1 (en) Electronic traveling suitcase
US9990684B2 (en) Mailport for automated parcel carriers
US20190232504A1 (en) Modular transport robot and transport robot system
KR20190010718A (ko) 전동 차량용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WO2017196190A1 (en) A secure last mile delivery solution for items/parcels by drone, robot and courier
US11396383B2 (en) Unmanned package storage system for drone package delivery and system thereof
EP3378020A1 (en) Secured container system for unattended deliveries
US20200393854A1 (en) Parcel deploying apparatus and vehicle delivery
KR20180123279A (ko)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을 위한 무인 물품 보관함
MX2007003643A (es) Plataforma movil de transporte de contenedor de carga aerea de temperatura controlada.
US20190220032A1 (en) Autonomous delivery system with autonomous delivery vehicles and dedicated delivery receiving stations
US20170007058A1 (en) Delivery Methods and Receptacle Apparatus Delivery Receptacle Enclosure
US201802998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ransportation system
US11806879B2 (en) Shipping system and control system for secure package delivery
KR101750212B1 (ko)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
KR20180005645A (ko) 현관문용 간이형 무인 택배 수납대
WO202119474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ed deliveries
JP2021193015A (ja) 飛行体及びこれを用いた荷物の輸送方法
WO2019160543A1 (en) Smart multifunction electrically powered suitcase
US20200237131A1 (en) Mail key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