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205B1 - 인체용 보호패드 - Google Patents

인체용 보호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205B1
KR101750205B1 KR1020160060453A KR20160060453A KR101750205B1 KR 101750205 B1 KR101750205 B1 KR 101750205B1 KR 1020160060453 A KR1020160060453 A KR 1020160060453A KR 20160060453 A KR20160060453 A KR 20160060453A KR 101750205 B1 KR101750205 B1 KR 10175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uman body
lower bodies
protection pad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
Original Assignee
장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 filed Critical 장일
Priority to KR1020160060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6Shoulder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 또는 어깨를 보호하는 인체용 보호패드에 있어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일측이 서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절첩되는 상,하부 몸체(110, 120)와,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가 맞닿는 면에 벨크로(1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를 펼친 상태에서, 고정용 벨트(200)를 상,하부 몸체(110, 120) 중 어느 하나의 벨크로 위에 올려놓은 후,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를 절첩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용 벨트(200)와 상,하부 몸체(110, 120)가 서로 체결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 인체용 보호패드를 통하여, 사용자의 허리 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고, 착용했을 때 특정부위를 압박하지 않아 사용감이 좋으며, 필요한 길이에 따라 원하는 길이의 고정용 벨트를 사이에 넣고 부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인체용 보호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체용 보호패드{human protection pads}
본 발명은 인체용 보호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허리 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고, 착용했을 때 특정부위를 압박하지 않아 사용감이 좋으며, 필요한 길이에 따라 원하는 길이의 고정용 벨트를 사이에 넣고 부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인체용 보호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용 보호패드는 벨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착용부위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었으나, 조절할 수 있는 길이에 한계가 있어 다른 부위에 착용하기 어렵다.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6606호 요통완화벨트에 의하면, 수납주머니를 형성하여 에어쿠션부재가 수납되고, 상기 수납주머니의 일측에는 상기 에어쿠션부재에 충전된 공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양측끝단에는 체결수단이 형성되는 벨트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부재는 공기가 충전되는 공기주머니와; 가압 및 이완을 통해 상기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충전시키는 공기펌프와;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구성되어 상기 벨트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밸브와;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구성되어 상기 공기펌프의 가압 및 이완에 따라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통완화벨트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70973호 척추보조기에 의하면, 일측에 매직테이프가 형성되어 허리를 감싸서 서로 고정하는 좌,우측 허리밴드와, 상기 좌,우측 허리밴드 사이에 허리를 2차적으로 조여서 고정하며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당김줄과 고정구를 갖는 연결밴드를 포함하는 허리밴드부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접하며, 어깨끈 및 상기 허리밴드부를 외면에서 결합하는 등판부로 형성된 척추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부의 고정구는, 연결밴드로부터 인출되는 당김줄의 양단을 그 내부에서 권선 처리하고, 마련된 다이얼의 조정에 따라 상기 당김줄의 조임과 풀림이 가능한 원터치 다이얼 방식의 프리락(freelock)장치의 형식으로서 상기 좌,우측 허리밴드 중 일 허리밴드의 외측면에 박음질하여 부착되며; 상기 등판은, 길이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상판 및 하판으로 구분되어 착용자의 등에 밀착되며, 상기 상,하판 각각에는 어깨끈 양단이 결합하는 결합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내피를 가지는 섬유소재의 커버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척추 교정시 착용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신체 변형에 대응하여 등판의 길이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허리밴드부의 당김줄 고정을 간단한 다이얼의 조작으로 개량하여 그 착용이 편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조기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착용하기 위한 벨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길이가 한정적이며, 사용자 신체의 특정부위를 압박하게 되어 사용감이 좋지 않고,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치료기간이 끝나면 다른 용도로는 사용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 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고, 착용했을 때 특정부위를 압박하지 않아 사용감이 좋으며, 필요한 길이에 따라 원하는 길이의 고정용 벨트를 사이에 넣고 부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인체용 보호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허리 또는 어깨를 보호하는 인체용 보호패드에 있어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일측이 서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절첩되는 상,하부 몸체(110, 120)와,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가 맞닿는 면에 벨크로(1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를 펼친 상태에서, 고정용 벨트(200)를 상,하부 몸체(110, 120) 중 어느 하나의 벨크로 위에 올려놓은 후,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를 절첩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용 벨트(200)와 상,하부 몸체(110, 120)가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 인체용 보호패드를 통하여, 사용자의 허리 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고, 착용했을 때 특정부위를 압박하지 않아 사용감이 좋으며, 필요한 길이에 따라 원하는 길이의 고정용 벨트를 사이에 넣고 부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인체용 보호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인체용 보호패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인체용 보호패드의 상측 부재에 삽입된 에어시트에 공기주입한 실시예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인체용 보호패드의 에어시트에 공기주입하여 목받침이 형성된 실시예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인체용 보호패드의 어깨삽입홈이 형성된 실시예 후면도
본 발명은 허리 또는 어깨를 보호하는 인체용 보호패드에 있어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일측이 서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절첩되는 상,하부 몸체(110, 120)와,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가 맞닿는 면에 벨크로(1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를 펼친 상태에서, 고정용 벨트(200)를 상,하부 몸체(110, 120) 중 어느 하나의 벨크로 위에 올려놓은 후,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를 절첩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용 벨트(200)와 상,하부 몸체(110, 120)가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에어시트가 삽입되거나, 또는 상,하부 몸체(110, 120) 모두에 에어시트가 삽입되고, 상기 에어시트에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는 의자의 등받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고정용 벨트(200)를 의자에 체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기댈 시 등받이쿠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인체용 보호패드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인체용 보호패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인체용 보호패드의 상측 몸체에 삽입된 에어시트에 공기주입한 실시예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인체용 보호패드의 에어시트에 공기주입하여 목받침이 형성된 실시예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인체용 보호패드의 어깨삽입홈이 형성된 실시예 후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은 허리 또는 어깨를 보호하는 인체용 보호패드이다.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일측이 서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절첩되는 상,하부 몸체(110, 120)와,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가 맞닿는 면에 벨크로(1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가 서로 맞닿는 면 사이에는 허리 또는 어깨에 두르는 고정용 벨트(200)를 삽입한 후,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를 서로 부착하여 고정용 벨트(200)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고정용 벨트(200)는 사람의 허리, 어깨 등에 착용할 수 있도록 양단에 서로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 사이에서 돌출된 고정용 벨트(200)를 허리 또는 어깨에 두른 후 양단의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어깨 또는 허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허리에 착용 시 척추를 보호하는 허리보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어깨에 착용 시 어깨를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에어시트가 삽입되거나, 또는 상,하부 몸체(110, 120) 모두에 에어시트가 삽입되고, 상기 에어시트에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 중 어느 하나에 에어시트가 삽입되는 경우, 공기가 주입된 에어시트가 삽입된 몸체 측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상부 몸체(110)와 하부몸체(120) 모두에 삽입되는 경우, 상부 몸체(110) 또는 하부 몸체(120)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 삽입된 에어시트에만 공기를 주입시키고, 공기가 주입된 에어시트가 삽입된 몸체 측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후방의 에어시트 중 하나의 에어시트가 닳거나 구멍이 형성되어 기능을 상실할 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돌린 후, 다른 하나의 에어시트에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상부몸체(110)와 하부 몸체(120)에 각각 삽입된 에어시트에 모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부피가 너무 크게 확장되어 사용 중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는 고정용 벨트(200)를 통해 허리 또는 어깨에 착용할 시 내부에 삽입된 에어시트에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가 신체를 푹신하게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를 허리(복부)에 착용 시 에어시트에 주입된 공기의 압력이 사용자의 척추를 펴게 됨으로써, 척추교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는 의자에도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는 의자의 등받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고정용 벨트(200)를 의자에 체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기댈 시 등받이쿠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는 의자의 등받이 전면에 하부 몸체(120)를 덧대어지게 한 후, 상,하부 몸체(110, 120) 사이에 결합된 고정용 벨트(200)를 의자에 두른 후 고정용 벨트(200)의 양단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기댈 시 등받이쿠션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상부 몸체(110)와 하부몸체(120) 모두에 에어시트가 삽입되는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허리 또는 의자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고정용 벨트(200)와 상,하부 몸체(110, 120)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몸체(110)는 고정용 벨트(200)의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전방 몸체라고 표현하며, 상기 하부 몸체(120)가 고정용 벨트(200)의 후방에 위치함으로써 후방 몸체라고 표현한다.
상기 전방 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에어시트를 전방의 에어시트라고 하며, 상기 전방의 에어시트에 돌출된 공기주입구를 전방의 공기주입구(111)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에어시트를 후방의 에어시트라고 하며, 상기 후방의 에어시트에 돌출된 공기주입구를 후방의 공기주입구(121)라고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허리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후방의 에어시트는 공기를 모두 주입하게 되면,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전,후면이 모두 평평하게 형성되며, 공기를 일부만 주입할 시 맞닿은 대상의 형상에 맞추어 굴곡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일부만 공기를 주입할 경우 굴곡이 형성되기 쉽도록 전,후방의 에어시트 내부에 공기가 모두 들어있을 때의 부피의 기준을 100으로 할 때, 적절하게는 40~90을 주입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후방의 에어시트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시 각각 다르게 공기를 주입시키는 것이다.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사용자가 허리에 착용할 시, 상기 후방의 공기주입구(121)를 통해 전방의 에어시트에 공기를 모두 주입하여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후면은 평평하게 하며, 상기 전방의 공기주입구(111)를 통해 전방의 에어시트에 공기를 일부만 주입하여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전면이 사용자 허리에 대응되도록 굴곡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방의 공기주입구(111)를 통해 전방의 에어시트에 넣는 공기량에 따라 변화되는 압력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척추)가 눌러지게 되어 사용자의 허리(척추)를 교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어깨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어깨에 고정용 벨트(200)로 결합할 시, 두 개의 공기주입구(111, 121) 중에서 후방의 공기주입구(121)에만 공기를 주입하면 후면이 어깨(쇄골)가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어깨삽입홈(12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어깨삽입홈(122)이 형성된 후면을 어깨에 닿도록 올린 후,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에 결합된 고정용 벨트(200)로 반대쪽 겨드랑이에 둘러 양단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가 어깨에 고정되어 어깨보호대로 사용된다.
상기 본 발명의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의자의 등받이에 가로로 결합하는 일실시예로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의자의 등받이에 체결벨트(200)로 결합될 시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가로로 길게 배치한다.
상기 전,후방의 에어시트는 각각 공기를 모두 주입할 시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전,후면이 모두 평평하게 형성되며, 공기를 일부만 주입할 시 맞닿은 대상의 형상에 맞추어 굴곡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일부만 공기를 주입할 경우 굴곡이 형성되기 쉽도록 전,후방의 에어시트 내부에 공기가 모두 들어있을 때의 부피의 기준을 100으로 할 때, 적절하게는 40~90을 주입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후방의 에어시트는 의자의 등받이에 결합할 시 각각 다르게 공기를 주입시키는 것이다.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만곡면이 형성된 의자의 등받이 전면에 결합할 시, 상기 전방의 공기주입구(111)를 통해 전방의 에어시트에 공기를 모두 주입하여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전면은 평평하게 하며, 상기 후방의 공기주입구(121)를 통해 후방의 에어시트에 공기를 일부만 주입하여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후면이 의자의 등받이의 만곡면에 대응되도록 굴곡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후면의 굴곡과 의자의 등받이의 만곡면이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의자에 움직이지 않도록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의자의 등받이에 세로로 결합하는 실시예로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의자의 등받이에 체결벨트(200)로 결합될 시 세로로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회전시켜 상하로 길게 배치한다.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에 형성된 전,후방의 에어시트는 각각 공기를 모두 주입할 시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전,후면이 모두 평평하게 형성되며, 공기를 일부만 주입할 시 맞닿은 대상의 형상에 맞추어 굴곡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일부만 공기를 주입할 경우 굴곡이 형성되기 쉽도록 전,후방의 에어시트 내부에 공기가 모두 들어있을 때의 부피의 기준을 100으로 할 때, 적절하게는 40~90을 주입한다.
그러므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만곡면이 형성된 의자의 등받이 전면에 결합할 시, 상기 전방의 공기주입구(111)를 통해 전방의 에어시트에 공기를 모두 주입하여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전면은 평평하게 하며, 상기 후방의 공기주입구(121)를 통해 후방의 에어시트에 공기를 일부만 주입하여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후면이 의자의 등받이의 만곡면에 대응되도록 굴곡이 형성된다.
즉, 세로로 회전시켜 상하로 길게 배치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후면의 굴곡과 의자의 등받이의 만곡면이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의자에 움직이지 않도록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의자의 등받이에 세로로 결합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의자의 등받이에 체결벨트(200)로 결합될 시 세로로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회전시켜 상하로 길게 배치한다.
이때,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에서 후방의 에어시트는 공기를 주입할 시 의자의 등받이 형상에 대응되도록 미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의 에어시트는 공기를 주입할 시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전면이 평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전,후방의 공기주입구(111, 121)를 통해 전,후방의 에어시트에 공기를 주입할 시, 상기 전방의 에어시트에 의해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전면은 평평해지고, 상기 후방의 에어시트에 의해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후면은 의자의 등받이의 만곡면에 대응되도록 굴곡이 형성되어 있어 의자의 등받이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움직이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를 의자의 등받이에 세로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에는 목을 지지하기 위하여 목받침용 에어시트(30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목받침용 에어시트(300)는 하단에 연결막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막대(400)의 하단은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이에,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에 고정되어 있는 목받침용 에어시트를 연결막대(400)와 함께 힌지를 중심축을 하여 상하로 회동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목받침용 에어시트를 상부로 회동시키게 되면 의자에 착석하여 있는 사람의 뒷목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막대(400)는 인체용 보호패드(100)의 관통홀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연결막대의 회동으로 인하여 상부로 이동된 목받침용 에어시트(300)에는 후면에 공기주입구(310)가 형성되어 후면의 공기주입구(310)에 공기를 주입하면 부풀게 되어 목받침용 쿠션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인체용 보호패드를 통하여, 사용자의 허리 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고, 착용했을 때 특정부위를 압박하지 않아 사용감이 좋으며, 필요한 길이에 따라 원하는 길이의 고정용 벨트를 사이에 넣고 부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인체용 보호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100 : 인체용 보호패드
110 : 상부 몸체 111 : 전방의 공기주입구
120 : 하부 몸체 121 : 후방의 공기주입구
122 : 어깨삽입홈
130 : 벨크로
200 : 고정용 벨트
300 : 목받침용 에어시트
310 : 공기주입구
400 : 연결막대

Claims (3)

  1. 허리 또는 어깨를 보호하는 인체용 보호패드에 있어서,
    상기 인체용 보호패드(100)는 일측이 서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절첩되는 상,하부 몸체(110, 120)와,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가 맞닿는 면에 벨크로(1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를 펼친 상태에서, 고정용 벨트(200)를 상,하부 몸체(110, 120) 중 어느 하나의 벨크로 위에 올려놓은 후,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를 절첩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용 벨트(200)와 상,하부 몸체(110, 120)가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보호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에어시트가 삽입되거나, 또는 상,하부 몸체(110, 120) 모두에 에어시트가 삽입되고, 상기 에어시트에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보호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몸체(110, 120)는 의자의 등받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고정용 벨트(200)를 의자에 체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기댈 시 등받이쿠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보호패드
KR1020160060453A 2016-05-17 2016-05-17 인체용 보호패드 KR101750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453A KR101750205B1 (ko) 2016-05-17 2016-05-17 인체용 보호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453A KR101750205B1 (ko) 2016-05-17 2016-05-17 인체용 보호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205B1 true KR101750205B1 (ko) 2017-06-22

Family

ID=5928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453A KR101750205B1 (ko) 2016-05-17 2016-05-17 인체용 보호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2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031Y1 (ko) 2003-05-21 2003-09-02 이상태 에어쿠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031Y1 (ko) 2003-05-21 2003-09-02 이상태 에어쿠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8669B2 (ja) 患者用インタフェース及びヘッドギア
US10828186B2 (en) Orthopedic device for treatment of the back
US5628721A (en) Back support assembly having an inflatable air cushion
AU2011313825B2 (en) Unobtrusive nasal mask
AU2006259451B2 (en) Gas delivery mask with flexible bellows
US5205814A (en) Lumbar support device
AU2005332069B2 (en) Cheek-mounted patient interface
US20090156972A1 (en) Back brace
US20090192423A1 (en) Therapeutic massaging device
US3307535A (en) Orthopedic appliance
CN209017912U (zh) 一种护腰带
EP2606763A2 (en) Backpack having a tube-type shoulder belt
KR20100068410A (ko) 조절가능한 등 지지 장치
KR101750205B1 (ko) 인체용 보호패드
US20170318991A1 (en) Inflatable Portable Lumbar Pillow
JP3113617U (ja) 腰痛緩和矯正器具
KR20120079593A (ko) 허리 보조기
US20160022468A1 (en) Arm immobiliza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KR101879490B1 (ko) 척추 보호대
CN214549774U (zh) 一种可调整角度的外展固定枕
CN219354325U (zh) 一种患者治疗约束带
CN214908781U (zh) 一种充气式护腰装置
US20170071351A1 (en) Back support devices with force distributing knee pads
CN217218244U (zh) 一种内穿护腰
KR20220028333A (ko) 허리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