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202B1 -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 Google Patents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202B1
KR101750202B1 KR1020160039808A KR20160039808A KR101750202B1 KR 101750202 B1 KR101750202 B1 KR 101750202B1 KR 1020160039808 A KR1020160039808 A KR 1020160039808A KR 20160039808 A KR20160039808 A KR 20160039808A KR 101750202 B1 KR101750202 B1 KR 101750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frequency band
pipe ring
speak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엠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엠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엠링크
Priority to KR102016003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는, 상기 파이프 링 내에 일정한 이격 구간을 두고 서로 다른 극성이 되도록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막대자석;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상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 링의 원형 단면의 임의의 두 지점들에서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되는 제1진동판; 및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하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진동판과 평행하도록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되는 제2진동판을 포함하고, 파이프 링 구조의 운전대를 이용하여, 투웨이로 소리 전달이 가능하면서 광대역 사운드를 효율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SPEAKER WITH A RING STRUCTURE OF PIPE USING BAR MAGENT}
본 발명은 기존 원통형 영구자석이 아닌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쌍의 막대자석사이에 위치하는 1개의 평면보이스코일(무빙코일)을 링 구조로 설계하여 파이프링 타입의 구조를 갖는 스피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스피커는 도 1과 같은 콘형(Cone type) 스피커이다. 즉,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형 스피커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콘형 스피커는 도 1과 같이 주로 원형구조이며, 자석은 원통형 영구자석을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는 원형 자체가 진동판이므로 자동차 운전대와 같이 가운데가 빈 파이프 링과 같이 디자인이 다양한 구조로 스피커를 만들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들어 점점 얇아지고 소형화 되는 IT 기기 등과 더불어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디자인이 곧 경쟁력인 다양한 시장이 스피커의 구조적 한계 때문에 스피커가 들어가는 제품의 디자인은 다양하고 혁신적인 디자인 창출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구조로 스피커를 디자인할 수 없는 종래의 스피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 링 구조체 내에서 투웨이로 소리 전달이 가능하면서 광대역 사운드를 효율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동일한 초박형 두께를 유지하면서도 증가된 스피커 출력 및 광대역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는, 상기 파이프 링 내에 일정한 이격 구간을 두고 서로 다른 극성이 되도록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막대자석;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상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 링의 원형 단면의 임의의 두 지점들에서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되는 제1진동판; 및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하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진동판과 평행하도록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되는 제2진동판을 포함하고, 파이프 링 구조의 운전대를 이용하여, 투웨이로 소리 전달이 가능하면서 광대역 사운드를 효율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격 구간의 일 지점에 평면 형태로 상기 파이프 링 내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의 일면에 배치되는 코일을 구비하는 보이스 코일판; 및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상층부 및 하층부에 부착된 상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 플레이트는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과 스피커 프레임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은 각각 제1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를 왜곡 없이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보다 높도록 상기 제1진동판의 크기는 상기 제2진동판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은 각각 제1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를 왜곡 없이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보다 낮도록 상기 제1진동판은 상기 제2진동판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이스 코일판은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과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 링은 자동차의 운전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을 이용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자동차 운전대는, 상기 파이프 링 내에 일정한 이격 구간을 두고 서로 다른 극성이 되도록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막대자석;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상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 링의 원형 단면의 임의의 두 지점들에서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되는 제1진동판; 및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하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진동판과 평행하도록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되는 제2진동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격 구간의 일 지점에 평면 형태로 상기 파이프 링 내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의 일면에 배치되는 코일을 구비하는 보이스 코일판; 및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상층부 및 하층부에 부착된 상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 플레이트는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과 스피커 프레임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은 각각 제1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를 왜곡 없이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보다 높도록 상기 제1진동판의 크기는 상기 제2진동판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은 각각 제1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를 왜곡 없이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보다 낮도록 상기 제1진동판은 상기 제2진동판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이스 코일판은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과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은 각각 상기 보이스 코일판의 상단 및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진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 링 구조의 운전대를 이용하여, 투웨이로 소리 전달이 가능하면서 광대역 사운드를 효율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동일한 초박형 두께를 유지하면서도 증가된 스피커 출력 및 광대역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형 스피커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링의 내부 구조에 해당하는 일 방향에서의 단면을 상부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링의 내부 구조에 해당하는 다른 방향에서의 단면을 전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일 방향 및 다른 방향에서의 파이프 링의 단면들을 함께 표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은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및 막대자석을 이용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자동차 운전대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는 실질적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스피커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스피커인 투웨이 스피커(Two-way speaker)를 포함한다. 즉, 소리가 전달되는 방향은 스피커의 인클로져(enclosure)의 설계 방식에 따라, 상호 반대 방향으로 또는 동일한 방향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인클로져는 자동차의 운전대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및 막대자석을 이용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자동차 운전대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한 쌍의 막대 영구 자석과 평면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진동판에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운전대에 관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을 구비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포함하는 자동차 운전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링의 내부 구조에 해당하는 일 방향에서의 단면을 상부에서 본 단면도이다. 한편,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링의 내부 구조에 해당하는 다른 방향에서의 단면을 전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일 방향 및 다른 방향에서의 파이프 링의 단면들을 함께 표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 운전대(10)는 파이프 링 구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 링 구조는 도면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동차 운전대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스피커(100)는 막대자석(110, 110'), 상하 플레이트(120, 120', 130, 130'), 진동판(140, 140'), 보이스 코일판(150)을 포함한다.
즉, 두 개 이상의 진동판(140, 140')과 보이스 코일판(150)을 파이프 링 형태의 상기 자동차 운전대(10) 내부에서 직접 연결함으로써 초박형 초경량으로 진동판을 가지게 되어 차량 운전대를 이용하는 스피커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피커(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막대자석(110, 110')은 상기 파이프 링 내에 일정한 이격 구간을 두고 서로 다른 극성이 되도록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막대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상하 플레이트(120, 120', 130, 130')는 상기 막대자석(110, 110')의 상층부 및 하층부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 플레이트(120, 120', 130, 130')는 상기 막대자석(110, 110')으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선(magnetic flux)의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자력선의 평활화를 위하여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하 플레이트(120, 120', 130, 130')는 상기 막대자석(110, 110')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자력선이 상기 코일(151, 152)에 더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판(140)은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110, 110')의 상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 링의 원형 단면의 임의의 두 지점들에서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된다.
상기 제2진동판(140')은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110, 110')의 하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진동판과 평행하도록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진동판(140')의 크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진동판(14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단방향 스피커만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진동판(140') 없이 상기 제1진동판(140) 만으로 스피커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이스 코일판(150)은 상기 이격 구간의 일 지점에 평면 형태로 상기 파이프 링 내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의 일면에 배치되는 코일(151, 15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100)는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110, 110')의 상층부 및 하층부에 부착된 상하 플레이트(120, 120', 130, 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 플레이트(120, 120', 130, 130')는 상기 제1진동판(140) 및 상기 제2진동판(140')과 스피커 프레임(160, 16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진동판(140)은 상기 보이스 코일판(150)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판(150)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진동한다. 상기 제2진동판(140')은 상기 보이스 코일판(150)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판(150)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진동 에너지를 수신하여 진동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 운전대(20)는 파이프 링 구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 링 구조는 도면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동차 운전대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스피커(200)는 막대자석(110, 110'), 상하 플레이트(120, 120', 130, 130'), 진동판(240, 240'), 보이스 코일판(150)을 포함한다.
즉, 두 개 이상의 진동판(240, 240')과 보이스 코일판(150)을 파이프 링 형태의 상기 자동차 운전대(10) 내부에서 직접 연결함으로써 초박형 초경량으로 진동판을 가지게 되어 차량 운전대를 이용하는 스피커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막대자석(110, 110'), 상하 플레이트(120, 120', 130, 130') 및 보이스 코일판(150)은 도 2 내지 도 4에서의 막대자석(110, 110'), 상하 플레이트(120, 120', 130, 130') 및 보이스 코일판(15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상기 제1진동판(240)은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110, 110')의 상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 링의 원형 단면의 임의의 두 지점들에서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된다.
상기 제2진동판(240')은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110, 110')의 하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진동판과 평행하도록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진동판(140')의 크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진동판(140)의 크기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200)는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110, 110')의 상층부 및 하층부에 부착된 상하 플레이트(120, 120', 130, 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 플레이트(120, 120', 130, 130')는 상기 제1진동판(240) 및 상기 제2진동판(240')과 도 1에서의 스피커 프레임(160, 16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진동판(240)은 상기 보이스 코일판(150)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판(150)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진동한다. 상기 제2진동판(240')은 상기 보이스 코일판(150)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판(150)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진동 에너지를 수신하여 진동한다.
이때, 상기 제1진동판(240)의 크기와 상기 제2진동판(240')의 크기는 상이하고, 상기 제1진동판(240) 및 상기 제2진동판(240')은 각각 제1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를 왜곡 없이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보다 높도록 상기 제1진동판(240)의 크기는 상기 제2진동판(140')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보다 낮도록 상기 제1진동판(240)은 상기 제2진동판(240')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제1진동판(240)은 상기 제2진동판(240')보다 큰 경우이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상기 제1진동판(240) 및 상기 제2진동판(240')에 의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는 대칭 으로 반원 형태의 스피커가 접합된 형상을 갖는 제1파이프 스피커(300)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파이프 구조의 스피커는 링 형태, 즉 단면이 원 형태일 뿐만 아니라 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파이프 사각형 구조의 스피커는 대칭으로 접합된 형상인 제2파이프 스피커(400) 또는 단순 접합된 형상인 제3파이프 스피커(500)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이프 스피커(300) 내지 제3파이프 스피커(5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자석(110, 110'), 상하 플레이트(120, 120', 130, 130') 및 보이스 코일판(150)과 제1진동판(140, 240) 및 제2진동판(140', 24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파이프 링 구조의 운전대를 이용하여, 투웨이로 소리 전달이 가능하면서 광대역 사운드를 효율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일한 초박형 두께를 유지하면서도 증가된 스피커 출력 및 광대역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음성 신호의 재생과 관련된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진동판들 중 어느 진동판을 이용하여 재생할 지와 관련된 제어 신호는 제어부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또는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controller)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100, 200: 스피커 110, 110': 막대자석
120, 120', 130, 130': 상하 플레이트
140, 240: 제1진동판 140', 240': 제2진동판
150: 제1보이스 코일판
160, 160': 스피커 프레임
300: 제1파이프 스피커 400: 제2파이프 스피커
500: 제3파이프 스피커

Claims (10)

  1.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링 내에 일정한 이격 구간을 두고 서로 다른 극성이 되도록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막대자석;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상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 링의 원형 단면의 임의의 두 지점들에서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되는 제1진동판; 및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하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진동판과 평행하도록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되는 제2진동판을 포함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구간의 일 지점에 평면 형태로 상기 파이프 링 내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의 일면에 배치되는 코일을 구비하는 보이스 코일판; 및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상층부 및 하층부에 부착된 상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 플레이트는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과 스피커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은 각각 제1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를 진동에 의해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보다 높도록 상기 제1진동판의 크기는 상기 제2진동판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은 각각 제1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를 진동에 의해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보다 낮도록 상기 제1진동판은 상기 제2진동판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판은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과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 링은 자동차의 운전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6. 막대자석을 이용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자동차 운전대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링 내에 일정한 이격 구간을 두고 서로 다른 극성이 되도록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막대자석;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상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 링의 원형 단면의 임의의 두 지점들에서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되는 제1진동판; 및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하층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진동판과 평행하도록 상기 파이프 링과 고정되는 제2진동판을 포함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자동차 운전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구간의 일 지점에 평면 형태로 상기 파이프 링 내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의 일면에 배치되는 코일을 구비하는 보이스 코일판; 및
    상기 한 쌍의 막대자석의 상층부 및 하층부에 부착된 상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 플레이트는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과 스피커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자동차 운전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은 각각 제1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를 진동에 의해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보다 높도록 상기 제1진동판의 크기는 상기 제2진동판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자동차 운전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은 각각 제1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주파수 대역 이상의 사운드를 진동에 의해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보다 낮도록 상기 제1진동판은 상기 제2진동판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자동차 운전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판은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과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진동판 및 상기 제2진동판은 각각 상기 보이스 코일판의 상단 및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진동하는, 파이프 링 구조의 자동차 운전대.
KR1020160039808A 2016-03-31 2016-03-31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KR10175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808A KR101750202B1 (ko) 2016-03-31 2016-03-31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808A KR101750202B1 (ko) 2016-03-31 2016-03-31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202B1 true KR101750202B1 (ko) 2017-06-29

Family

ID=5927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808A KR101750202B1 (ko) 2016-03-31 2016-03-31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2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3406B2 (ja) 1991-08-07 2001-07-30 昭和電工株式会社 塗装性の良好な変性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648751Y (zh) 2003-09-03 2004-10-13 李阿玉 一磁体二单元同轴扬声器
JP2005197950A (ja) 2004-01-06 2005-07-21 Sony Corp 磁気回路およびスピーカ
JP2006101203A (ja) 2004-09-29 2006-04-13 Alpine Electronics Inc スピー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3406B2 (ja) 1991-08-07 2001-07-30 昭和電工株式会社 塗装性の良好な変性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648751Y (zh) 2003-09-03 2004-10-13 李阿玉 一磁体二单元同轴扬声器
JP2005197950A (ja) 2004-01-06 2005-07-21 Sony Corp 磁気回路およびスピーカ
JP2006101203A (ja) 2004-09-29 2006-04-13 Alpine Electronics Inc スピー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9673B2 (en) Thin speaker with curved or angled structure
US8649550B2 (en) Multi-magnet system and speaker using same
US9288600B2 (en) Sound generator
JP2008312056A (ja) 電気音響変換器
CN101883308A (zh) 多功能微型喇叭
JP6751883B2 (ja) スピーカ装置、車両およびav機器
JP2014090239A (ja) スピーカ装置
KR20090040952A (ko) 전자음향변환기
JP5112159B2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KR20160108518A (ko) 다중 진동막 스피커
KR101848735B1 (ko) 막대자석을 이용한 멀티 음역 재생이 가능한 스피커
US10979815B2 (en) Speaker
KR101750202B1 (ko) 막대자석을 이용한 파이프 링 구조의 스피커
JP2009094914A (ja) スピーカ
JP2008092030A (ja) スピーカ
JP2009094912A (ja) スピーカ
JP2004312599A (ja) スピーカ
KR100769885B1 (ko) 전자음향변환기
KR20160109755A (ko) 스피커 장치
JP2009094915A (ja) スピーカ
JP2014003470A (ja) スピーカ装置
JP2009094911A (ja) スピーカ
JP2009171492A (ja) スピーカ
WO2021128087A1 (zh) 扬声器单体
KR200145349Y1 (ko) 헤드폰의 일체형 바이브레이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