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822B1 - 잔압 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를 적용한 유압제어 시스템 및 자동변속기 - Google Patents

잔압 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를 적용한 유압제어 시스템 및 자동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822B1
KR101749822B1 KR1020150155119A KR20150155119A KR101749822B1 KR 101749822 B1 KR101749822 B1 KR 101749822B1 KR 1020150155119 A KR1020150155119 A KR 1020150155119A KR 20150155119 A KR20150155119 A KR 20150155119A KR 101749822 B1 KR101749822 B1 KR 101749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land
sleeve
residu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959A (ko
Inventor
송수영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8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5Pressure control for supplying lubricant; Circuits or val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잔압 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는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랜드를 갖춘 스풀 밸브(3)에서 잔압 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내부의 잔존압이 배출되는 드레인 유로를 개폐하는 슬리브(5)가 스토퍼(7)로 위치 구속됨으로써 잔압 유지를 위해 적용되던 별도 부품인 잔압 밸브가 삭제되고, 특히 압력제어밸브(Pressure Control Valve)(1-1)를 밸브바디(50)의 유로와 연계된 유압제어 시스템(1)으로 구성하고, 유압제어 시스템(1)을 자동변속기에 적용함으로써 단가 축소, 부품수 축소, 조립공수 축소 등이 구현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잔압 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를 적용한 유압제어 시스템 및 자동변속기{Residual Pressure Remaining type Pressure Control Valve and Hydraulic Control Suytem and Auto Transmission therof}
본 발명은 압력제어밸브(Pressure Control Valve, 이하 PCV)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잔압 밸브 없이 잔압 유지가 구현되는 잔압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를 적용한 유압제어 시스템 및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에 적용된 PCV는 스풀 밸브 랜드부 단차를 만들어 단차측에 유입된 제어압에 의한 힘과 적용된 스프링 힘 및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이하 VFS밸브)의 Sol(솔레노이드)밸브 제어압등의 힘의 평형식에 따라 Sol 제어압 수준에 따른 압력을 제어하는 스풀 밸브이다
도 8은 일반적인 PCV(1-1)가 적용된 유압제어 시스템(1)의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제어 시스템(1)은 PCV(1A), 스프링 어셈블리(10), 어저스트 스크류(20), VFS밸브(100-1)로 구성된다. 상기 PCV(1A)는 자동변속기의 각 작동요소인 클러치(Clutch)와 브레이크(Brake)를 제어하는 제어압을 공급하는 제어측 유로로 구성된 밸브바디(50-1)(하드웨어)에 삽입되어 VFS밸브(100-1)의 반대쪽으로 VFS밸브(100-1)와 멀어져 있고, 이어 어저스트 스크류(20)와 연계된 스프링 어셈블리(10)의 초기 스프링 장착력 F_spring이 유입됨으로써 VFS밸브(100-1)쪽으로 밀리며, 계속해서 제어압 Psol에 의하여 PCV(1A)가 VFS밸브(100-1)쪽으로 밀리다가 라인압(또는 공급압)유로 LP가 열리는 위치까지 다다른 순간 작동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압 Psol을 형성한다. 이후, 제어압 Psol이 증가함에 따라 힘평형 방정식에 의하여 작동요소 제어압도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PCV(1A)는 잔압유로 Pc와 드레인유로 Ex에 대한 지속적인 움직임을 제어압 Psol에 비례하여 증가 또는 축소한다. 그러므로, PCV(1A)의 제어압은 라인압(또는 공급압)유로 LP가 열리는 순간 올라가고 반면 드레인유로 Ex 유로가 열리는 순간 낮아지는 동작을 반복한다.
여기서, 상기 힘 평형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F_spring + Pc * ( Ab-Ac ) = Psol * Aa … Aa = Ab (Spool 밸브 단면적 동일)
Pc = Aa / ( Ab-Ac) * Psol - F_spring / ( Ab - Ac ) … Pcontrol 압 = P_psw
Aa,Ab,Ac는 스풀 밸브(PCV)의 단면적, LP는 시스템압 및 라인압, Psol은 Sol 제어압, Psol'는 피드백 Sol 제어압, Ex는 배출유로(drain), Pc는 제어할 작동요소 제어압, PSW는 PC의 압력 스위칭 압이다.
또한, 상기 PCV(1A)는 제어압에 잔압을 유지하려고 할 경우 드레인유로 Ex를 막아줄 수 있는 자체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음으로써 작동요소에 비 제어 시 잔압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잔압 밸브(200)와 함께 구성된다. 상기 잔압 밸브(200)는 잔압 밸브의 미 적용시 항시 대기압 수준인 드레인 유로 Ex에 동압이 증가할 경우 제어압 동특성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현상을 방지한다.
국내특허공개공보 10-2000-0051860(2000년08월16일)
하지만, 상기 PCV(1A)가 잔압 밸브(200)와 함께 구성됨으로써 비용증가 및 잔압 밸브(200)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특히 유압제어시스템인 밸브바디의 Size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유로를 만드는 채널링(유로설계) 작업 시 설계자유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작동요소인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작동 반응성을 높이기 위한 잔압 유지가 PCV의 스풀 밸브와 슬리브 및 스토퍼로 구현됨으로써 별도 부품이던 잔압 밸브가 삭제되고, 특히 기존 부품인 PCV를 이용함으로써 잔압 밸브 적용에 따른 제반 문제들이 모두 해소되는 잔압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를 적용한 유압제어 시스템 및 자동변속기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잔압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는 바디 랜드, 상기 바디 랜드의 한쪽에서 연장된 포켓 랜드, 상기 바디 랜드의 다른쪽에서 연장된 스풀 랜드, 상기 스풀 랜드에서 이어져 연장된 엔드 랜드로 이루어진 스풀 밸브; 상기 스풀 랜드와 상기 엔드 랜드에 결합되고, 외력을 받아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리브; 상기 엔드 랜드에 끝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의 결합 위치를 구속하는 스토퍼;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림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풀 랜드와 상기 엔드 랜드는 단차외경으로 이어지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단차외경에 일치하는 단차내경을 형성한다. 상기 단차외경과 상기 단차내경은 틈(Clearance)을 형성하고, 상기 틈은 온도에 의한 열팽창율이 고려된다. 상기 단차내경에는 상기 슬리브의 원주방향으로 리크 드레인 홀이 뚫려진다.
바림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외력은 잔압 스프링의 스프링력으로 가해지고, 상기 잔압 스프링은 상기 스토퍼쪽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압제어 시스템은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랜드를 갖춘 스풀 밸브, 상기 랜드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스풀 밸브에 결합되어 내부의 잔존압이 배출되는 드레인 유로를 개폐하는 슬리브, 상기 스풀 밸브에 고정되어 상기 슬리브의 결합 위치를 구속하는 스토퍼, 상기 슬리브에 스프링력을 가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잔압 스프링이 스풀 밸브 어셈블리로 구성된 압력제어밸브(Pressure Control Valve);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력을 가하는 스프링 어셈블리;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반대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어압을 가하는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림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압력제어밸브는 내부의 잔압을 0.1~0.4 bar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는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랜드를 갖춘 스풀 밸브에서 잔압 스프링의 스프링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내부의 잔존압이 배출되는 드레인 유로를 개폐하는 슬리브가 스토퍼로 위치 구속된 압력제어밸브(Pressure Control Valve),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력을 가하는 스프링 어셈블리,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반대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어압을 가하는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Variable Force Solenoid Valve)로 구성된 유압제어 시스템; 상기 유압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가 변속을 위한 작동요소인 클러치와 브레이크로 이어진 밸브바디;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PCV는 스풀 밸브와 슬리브 및 스토퍼와 함께 구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PCV가 스풀 밸브 어셈블리(Spool Valve Assembly)로 구성되어 유압제어 시스템 내 별도의 잔압 밸브를 적용할 필요가 없다. 둘째, 잔압 밸브를 삭제함으로써 유압제어 시스템 단가 축소, 부품수 축소, 조립공수 축소 등을 구현한다. 셋째, 유압제어시스템의 Layout을 줄일 수 있으므로 중량을 줄이고,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넷째, 별도의 잔압밸브를 위한 유로를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자동변속기 개발 시 채널링(유로설계)이 쉬워진다. 다섯째, 별도의 잔압밸브 및 별도의 추가유로 등의 삭제를 통하여 유압제어 시스템의 단품간 상호간섭 효과를 축소할 수 있으므로 유압특성의 단순화 및 유압 불안정에 대한 영향성 검토가 유리하다. 여섯째, 밸브바디 Size를 줄임으로써 자동변속기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압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의 상세 구성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에 적용된 잔압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를 적용한 유압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 시스템이 작동요소인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비 제어 시 동작 상태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 시스템의 작동요소인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제어시 동작 상태이며, 도 5는 도 4의 Ka부에 대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 시스템의 작동요소인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제어 완료 시 동작 상태이며, 도 7은 도 6의 Kb부에 대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8은 종래에 따른 압력제어밸브(Pressure Control Valve)의 제어에 의한 유압제어 시스템의 동작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잔압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제어밸브(Pressure Control Valve, 이하 PCV)(1-1)는 스플밸브(3), 슬리브(5), 스토퍼(7)로 구분된 스풀 밸브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풀 밸브(3)는 바디 랜드(3-1), 바디 랜드(3-1)의 한쪽에서 연장된 포켓 랜드(3-2), 바디 랜드(3-1)의 다른쪽에서 연장되어 슬리브(5)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스풀 랜드(3-3), 스풀 랜드(3-3)에서 이어져 끝부위에 스토퍼(7)가 고정된 엔드 랜드(3-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스풀 랜드(3-3)와 상기 엔드 랜드(3-4)는 단차외경으로 이어지며, 상기 단차는 슬리브(5)의 슬라이딩 이동시 거동을 구속하고, 필요시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리브(5)는 스풀 랜드(3-3)와 엔드 랜드(3-4)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스풀 랜드(3-3)와 상기 엔드 랜드(3-4)의 단차외경에 일치하는 단차내경이 이중 동심원으로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거동 방향은 PCV(1-1)에 작용하는 제어압이 잔압(일례로, 0.1~0.4bar)보다 높을 때와 잔압보다 낮을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슬리브(5)의 내경과 스풀 랜드(3-3)의 외경이 형성하는 틈(Clearance)은 최소화하되, 온도에 의한 열팽창율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5)에는 내경 단차부위로 리크 드레인 홀(5-1)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크 드레인 홀(5-1)은 슬리브(5)와 스풀 밸브(3)사이에 형성되는 누유(leak)압에 의한 영향성을 줄여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7)는 엔드 랜드(3-4)에 끝부위에 고정됨으로써 슬리브(5)가 특정위치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막아주는 기능과 슬리브(5)의 조립 시 스풀 밸브(3)에 삽입된 슬리브(5)를 막음으로써 스풀 밸브 어셈블리를 구성하도록 한다.
한편,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잔압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를 이용한 유압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자동변속기의 부분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변속기는 밸브바디(5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바디(50)에는 유압제어 시스템(1)이 설치되어 유로와 연계되며, 상기 유압제어 시스템(1)은 PCV(1-1), 스프링 어셈블리(10), 어저스트 스크류(20), 잔압 스프링(30),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이하 VFS)(1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PCV(1-1)는 스풀 밸브(3), 슬리브(5), 스토퍼(7)로 구성됨으로써 도 1을 통해 기술된 스풀 밸브 어셈블리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잔압 스프링(30)은 상기 스풀 밸브 어셈블리와 연계됨으로써 드레인유로(56)를 막아 잔압유로(55)의 잔압 Pc가 유지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PCV(1-1)는 밸브바디(50)의 유로에 삽입되어 스프링 어셈블리(10)의 스프링력에 의해 밀려있다 VFS(100)의 제어압 Psol에 따라 라인압 LP의 제어압을 조절하고, 잔압유로(55)의 잔압 Pc가 유지되도록 드레인유로(56)를 막아준다. 이를 위해, 상기 잔압 스프링(30)은 PCV(1-1)의 힘평형으로 드레인 유로(56)를 차단하여 잔압유로(55)의 잔압 Pc가 유지되도록 슬리브(5)와 VFS(100)사이에 탄발 지지되어 슬리브(5)에 스프링력을 가하여 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 상기 어저스트 스크류(20), 상기 VFS(100), 상기 밸브바디(50)는 일반적인 유압제어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는 스프링력을 스풀 밸브(3)에 가해 PCV(1-1)가 조절하는 제어압의 기울기를 결정한다. 상기 어저스트 스크류(20)는 스크류를 돌려 스프링 어셈블리(10)의 초기 스프링 하중을 조절함으로써 PCV(1-1)가 조절하는 제어압의 초기 압력을 보정한다. 일례로, 상기 VFS(100)는 제어압 Psol의 압력을 제어하는 전장품인 솔레노이드(Solenoid)밸브이다. 일례로, 상기 밸브바디(50)는 공급압 LP와 연계된 라인압유로(51), 제어압 Psol과 연계된 제어압유로(52), 제어압 Psol의 피드백 제어압 Psol'과 연계된 피드백 제어압유로(53), 잔압 Pc과 연계된 잔압유로(54), 스위칭압 PSW과 연계된 스위칭압유로(55), 드레인압 Ex와 연계된 드레인유로(drain)(56)로 유로가 구분되고, 상기 유로는 PCV(1-1)와 VFS(100)의 움직임에 연계되어 작동요소인 클러치와 브레이크로 제어압을 공급한다.
한편, 도 3은 작동요소인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비 제어 시 유압제어 시스템(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VFS(100)의 제어압유로(52)의 제어압 Psol은 Psol=0(zero)이 되고, 제어압 Psol은 피드백 제어압유로(53)로 들어와 피드백 제어압 Psol'으로 PCV(1-1)에 작용한다. 그러면, PCV(1-1)는 스프링 어셈블리(10)의 스프링력 F_spring과 이에 반하는 잔압 스프링(30)의 스프링력과 피드백 제어압 Psol'이 서로 힘 균형을 이루도록 조정된다. 이어 스프링력간에 힘 균형이 이루어지면, 스풀 밸브(3)의 바디 랜드(3-1)는 라인압유로(51)를 막아 공급압 LP를 차단하고, 스풀 밸브(3)의 포켓 랜드(3-2)는 스위칭압유로(55)를 막아 스위칭압 PSW을 차단하며, 슬리브(5)는 드레인유로(56)를 막아 드레인압 Ex의 배출을 차단한다. 그러면, 스풀 밸브(3)의 바디 랜드(3-1)와 슬리브(5)의 사이에 잔압유로(54)가 위치됨으로써 잔압유로(54)는 잔압 Pc를 0.1~0.4bar 정도로 유지한다.
특히, 상기 슬리브(5)는 제어측 유로의 유압 누출(leak)로 유압이 설정된 잔압 이하로 떨어질 때 힘 균형 유지를 위하여 잔압 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약간 이동되고, 슬리브(5)의 이동은 스풀 밸브(3)의 이동을 가져옴으로써 라인압유로(51)로 유입된 공급압 LP은 저하된 잔압Pc의 압력을 다시 설정 압력으로 높여준다.
그러므로,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유압제어 시스템(1)은 PCV(1-1)의 작용을 통해 설정된 잔압Pc인 0.1~0.4bar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작동요소인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제어시 유압제어 시스템(1) 및 PCV(1-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밸브(3)가 정상적으로 제어되는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제어측 유로의 압력에 의하여 슬리브(5)는 VFS(100)쪽으로 최대한 밀려나고, 그 결과 드레인유로(56)가 슬리브(5)로 차단된다. 이러한 PCV(1-1)의 작동은 공급압 LP, 제어압 Psol, 피드백 제어압 Psol', 잔압 Pc, 스위칭압 PSW, 스프링 어셈블리(10)의 스프링력 F_spring, 잔압 스프링(30)의 스프링력이 서로 힘 균형으로 구현되고, 상기 힘 균형은 일반적인 PCV 및 유압제어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작용과 동일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풀 랜드(3-3)의 밀림 이동은 슬리브(5)를 밀어 드레인유로(56)를 차단시키도록 이동시켜 주며, 스풀 랜드(3-3)와 함께 이동되는 엔드 랜드(3-4)의 밀림 이동은 스토퍼(7)를 밀어 줌으로써 피드백 제어압 유로(53)와 연통된 공간을 A로 형성시켜준다. 또한 바디 랜드(3-1)는 공급압 LP을 차단하여 준다.
한편, 도 6은 작동요소인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제어 완료 후 유압제어 시스템(1) 및 PCV(1-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완료 후 제어측 유로에 특정압이 인가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제어측 유압으로 인하여 슬리브(5)가 드레인유로(56)쪽으로 움직인 상태에서 고정되어 드레인유로(56)가 차단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PCV(1-1)의 작동은 공급압 LP, 제어압 Psol, 피드백 제어압 Psol', 잔압 Pc, 스프링 어셈블리(10)의 스프링력 F_spring, 잔압 스프링(30)의 스프링력이 서로 힘 균형으로 구현되고, 상기 힘 균형은 일반적인 PCV 및 유압제어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작용과 동일하다. 도 7을 참조하면, 피드백 제어압 유로(53)와 연통된 공간이 피드백 제어압 유로(53)의 유압으로 A(도 5 참조)에서 가 B로 확장되면서 스토퍼(7)를 가압하고, 스토퍼(7)의 가압력은 엔드 랜드(3-4)를 밀어 냄으로써 엔드 랜드(3-4)에 이어진 스풀 랜드(3-3)가 함께 밀려난다. 이때 엔드 랜드(3-4) 는 도 1의 슬리브 거동방향의 예와 같이 슬리브(5)를 밀어내지 않고 움직임으로써 드레인유로(56)는 슬리브(5)가 차단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바디 랜드(3-1)도 스풀 랜드(3-3)에 이어져 스풀 랜드(3-3)의 밀림으로 이동됨으로써 공급압 LP의 차단이 해제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잔압 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는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랜드를 갖춘 스풀 밸브(3)에서 잔압 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내부의 잔존압이 배출되는 드레인 유로를 개폐하는 슬리브(5)가 스토퍼(7)로 위치 구속됨으로써 잔압 유지를 위해 적용되던 별도 부품인 잔압 밸브가 삭제되고, 특히 압력제어밸브(Pressure Control Valve)(1-1)를 밸브바디(50)의 유로와 연계된 유압제어 시스템(1)으로 구성하고, 유압제어 시스템(1)을 자동변속기에 적용함으로써 단가 축소, 부품수 축소, 조립공수 축소 등을 구현할 수 있다.
1 : 유압제어 시스템
1A,1-1 : 압력제어밸브(Pressure Control Valve)
3 : 스플밸브 3-1 : 바디 랜드
3-2 : 포켓 랜드 3-3 : 스플 랜드
3-4 : 엔드 랜드 5 : 슬리브
5-1 : 리크 드레인 홀 7 : 스토퍼
10 : 스프링 어셈블리 20 : 어저스트 스크류
30 : 잔압 스프링 50 : 밸브바디
51 : 라인압유로 52 : 제어압유로
53 : 피드백 제어압유로 54 : 잔압유로
55 : 스위칭압유로 56 : 드레인유로(drain)
100,100-1 :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200 : 잔압 밸브

Claims (10)

  1. 바디 랜드, 상기 바디 랜드의 한쪽에서 연장된 포켓 랜드, 상기 바디 랜드의 다른쪽에서 연장된 스플 랜드, 상기 스플 랜드에서 이어져 연장된 엔드 랜드로 이루어진 스플밸브;
    상기 스플 랜드와 상기 엔드 랜드에 결합되고, 외력을 받아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리브;
    상기 엔드 랜드에 끝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의 결합 위치를 구속하는 스토퍼;
    상기 슬리브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밸브바디의 드레인유로를 막아 잔압유로의 잔압을 유지시켜 주도록 상기 외력을 상기 슬리브에 가하고, 상기 스토퍼쪽으로 위치되는 잔압 스프링;이 포함되고,
    상기 스플 랜드와 상기 엔드 랜드는 단차외경으로 이어지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단차외경에 일치하는 단차내경을 형성하며, 상기 단차내경에는 상기 슬리브의 원주방향으로 리크 드레인 홀이 뚫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차외경과 상기 단차내경은 틈(Clearance)을 형성하고, 상기 틈은 온도에 의한 열팽창율이 고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1 또는 청구항 3에 의한 압력제어밸브(Pressure Control Valve);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력을 가하는 스프링 어셈블리;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반대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어압을 가하는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로가 형성된 밸브바디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력의 세기가 어저스트 스크류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밸브는 내부의 잔압을 0.1~0.4 bar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6에 의한 유압제어 시스템;
    상기 유압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가 변속을 위한 작동요소인 클러치와 브레이크로 이어진 밸브바디;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KR1020150155119A 2015-11-05 2015-11-05 잔압 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를 적용한 유압제어 시스템 및 자동변속기 KR101749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19A KR101749822B1 (ko) 2015-11-05 2015-11-05 잔압 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를 적용한 유압제어 시스템 및 자동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19A KR101749822B1 (ko) 2015-11-05 2015-11-05 잔압 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를 적용한 유압제어 시스템 및 자동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59A KR20170052959A (ko) 2017-05-15
KR101749822B1 true KR101749822B1 (ko) 2017-06-21

Family

ID=58739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119A KR101749822B1 (ko) 2015-11-05 2015-11-05 잔압 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를 적용한 유압제어 시스템 및 자동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8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940A (ja) 2003-03-04 2004-09-30 Robert Bosch Gmbh 圧力調整ユニット
US20100301248A1 (en) 2008-06-27 2010-12-02 Aisin Aw Co., Ltd. Solenoid val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940A (ja) 2003-03-04 2004-09-30 Robert Bosch Gmbh 圧力調整ユニット
US20100301248A1 (en) 2008-06-27 2010-12-02 Aisin Aw Co., Ltd. Solenoid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59A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3792B2 (ja) 油圧調整弁
US20080182709A1 (en) Valve configuration for a lubrication circuit of a latched pump applied clutch transmission
US8528600B2 (en) Hydraulic valve
US20170009866A1 (en) Transmission Device with a Hydraulic System
CN107975507B (zh) 电磁调压阀
WO2014147739A1 (ja) 流量制御弁
US8490640B2 (en) Latching pressure regulator
KR101749822B1 (ko) 잔압 유지타입 압력제어밸브를 적용한 유압제어 시스템 및 자동변속기
US10132419B2 (en) Valve device with a valve housing having multiple recesses
US10060526B2 (en) Transmission valve bodies and methods and kits for modifying transmission valve bodies
US20070157979A1 (en) Fluid-control system
CN103122995A (zh) 用于操纵变速器的至少一个换挡元件的液压系统的阀装置
WO2020054837A1 (ja) リニアソレノイドバルブ
US8555833B2 (en) Valve clearance compens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alve clearance compensat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412392B1 (en) Hydraulic valve for a hydraulic consumer of a vehicle
EP2821683B1 (en) Pressure regulating valve
US9835260B2 (en) Spool valve
US5129500A (en) Control valve for timed clutch engagement
JP6281637B2 (ja) スプールバルブ及び潤滑切換え装置
KR102167502B1 (ko) 스로틀 기능을 구비한 체크밸브
KR102417344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장치
CN107850233A (zh) 电磁阀
CN109555745B (zh) 压力控制阀
US5117712A (en) Shift control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JP6154874B2 (ja) 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