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519B1 - 누수 탐지 장치 - Google Patents

누수 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519B1
KR101749519B1 KR1020150096654A KR20150096654A KR101749519B1 KR 101749519 B1 KR101749519 B1 KR 101749519B1 KR 1020150096654 A KR1020150096654 A KR 1020150096654A KR 20150096654 A KR20150096654 A KR 20150096654A KR 101749519 B1 KR101749519 B1 KR 10174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wave
detecting device
signal
wave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149A (ko
Inventor
김호
Original Assignee
(주)본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본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본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5009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5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M3/2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 G01M3/24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using pigs or probes travelling in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0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using pigs or m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센서를 기반으로 누수를 탐지하되 누수의 발생 여부 및 그 위치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누수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는, 관로 내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관로의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음파를 검지하는 제1 음향센서가 탑재된 제1 음파검지장치와;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의 이동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의 후방 영역에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로부터 이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관로의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음파를 검지하는 제2 음향센서가 탑재된 제1 음파검지장치; 및 상기 관로의 누수 관련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에 의해 수집되는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파검지장치에 의해 수집되는 제2 음향신호의 상호 비교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수 탐지 장치{LEAKAGE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누수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누수 지점을 탐지하기 위한 누수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수는 일반적으로 구조적으로뿐만 아니라 부식으로 인한 구멍이나 잘못된 접속으로 인한 물의 손실을 의미하며 상수도관에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이물질이 침입하여 수돗물이 오염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따라서, 지하에 매설된 관로 예를 들면, 상수도 관로에 형성된 누수를 신속하게 탐지하는 것은 물론 누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종래의 누수탐지는 작업자가 직접 누수탐지장치를 들고 누수발생이 예상되는 영역으로 이동한 후 지상에서 청음식으로 누수를 탐지하는 것으로,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가 지표면에 전달될 때 지표면에서 이 소리를 탐지 및 증폭한 후,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리시버로 직접 듣거나 미터기로 분석하여 누수위치를 파악하였다. 그런데 상수도 관로는 규정상 지상에서 1.2M 이상의 깊이에 매설하도록 되어 있어 소량씩 누수되는 경우에는 탐지가 극히 곤란하고 누수 지점을 정확히 탐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교통이 빈번한 도로 밑에 설치된 상수도 관로의 누수를 탐지하는 경우에는, 차량 통행에 따른 교통 소음이 지하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함께 누수탐지장치로 전달되기 때문에 탐지가 어려웠다. 아울러, 상기 관로가 입체적으로 매설되어 있거나 주변에 전선이 매설된 배관이 혼재하는 경우, 누수 위치를 탐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크게 수도관의 누수시에 발생되는 수압강하를 검출하는 압력센서를 통해 수도관의 누수를 감지하거나, 또는 수도관의 누수시에 발생되는 음파를 검출하는 음향센서를 통해 수도관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장치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수압 내지 음파를 이용하여 누수를 감지하는 종래 누수감지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45430호에는 측정대상지역의 전체 노후 수도관로를 주관 및 분기관로별, 담당 구역별로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단위의 시작지점과 종단지점의 노후 수도관로에 블록밸브를 매개로 설치되는 압력측정센서와 상기 압력측정센서의 감지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현장데이터 수집/전송장치가 상기 노후 수도관로에 용접설치되고 상측의 개방부위가 무선안테나가 내설된 커버로 덮여지는 방수보호함 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누수감지장치와, 차량에 탑재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누수감지장치에 근접시켜 압력데이터를 무선수집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데이터수집기와, 관리용 컴퓨터와 누수표시현황판 및 데이터 기록/보관부로 이루어져 상기 압력데이터를 수집한 상기 휴대용데이터수집기를 연결하여 누수개소의 표시 및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된 원격관리센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 수도관로의 누수감시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수도관의 누수시에 발생되는 음파를 검출하는 음향센서를 통해 수도관의 누수를 감지하는 종래의 수도관용 누수감지장치의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 1062361호에는 상수도 관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물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센서와, 상기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4414호에는 아파트 등의 건축물 내부에서의 누수나 상수도와 같이 내부 압력이 있어 누수되는 경우 누수에 의한 음향이 발생하여 이를 감지하여 누수의 음원을 찾을 수 있게 하는 음향 누수 센서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안에 누수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을 전달받기 위한 음향 수신 디스크와, 상기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주는 압전소자가 장착된 피에조 부저와, 상기 피에조 부저를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고 피에조 부저에 수신된 신호가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흡음 스폰지와, 검사물의 표면에서 수신되는 신호가 하우징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 고무와, 내부 연결선과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탐지용 음향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도관용 누수감지장치는 누수감지장치가 누수지점에 가까워질 경우 누수음에 해당하는 주파수 소음이 증가하지 않거나, 누수지점에 가까워져도 전체적인 주파수 소음이 증가하는 경우 발생하여 누수 발생 및 그 위치를 정밀하게 검지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결국, 단지 수압센서 내지 음향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만으로 누수음에 대한 주파수 분석 내지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누수음을 찾아내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관로를 따라 블럭별로 센서를 설치할 경우 누수의 신속한 탐지가 가능할 수 있으나, 탐지장치의 길이가 과도하게 증대되어 시공 비용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특허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45430호 (2002.06.19) 선행특허 2. 한국등록특허 제10-1062361호 (2011.08.30) 선행특허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4414호 (2013.05.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향센서를 기반으로 누수를 탐지하도록 구성하더라도 누수의 발생 여부 및 그 위치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누수 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는, 관로 내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관로의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음파를 검지하는 제1 음향센서가 탑재된 제1 음파검지장치와;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의 이동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의 후방 영역에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로부터 이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관로의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음파를 검지하는 제2 음향센서가 탑재된 제1 음파검지장치; 및 상기 관로의 누수 관련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에 의해 수집되는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파검지장치에 의해 수집되는 제2 음향신호의 상호 비교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에 의하면, 단순히 음향센서에 의한 누수음 감지 여부에 따라 누수를 탐지하는 것이 아닌 두 개의 음향신호를 비교하는 판독을 통해 누수를 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누수음이 미약하더라도 누수 여부 및 그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 가능하고, 누수 탐지 장치의 이동 위치에 따른 누수 지점의 상대적 위치를 실시간 추적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관로에 투입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개략도.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누수 지점(L1) 통과 전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의 (b)는 도 3의 (a) 상태에서 수집되는 제1 음향신호와 제2 음향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누수 지점(L1) 통과 후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4의 (b)는 도 3의 (b) 상태에서 수집되는 제1 음향신호와 제2 음향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누수 지점(L1) 통과 전, 통과 중, 통과 후 시점에 따른 위상차 값을 그래프 형태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관로에 투입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는 관로(1) 내부에 투입되어 관로(1)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음파검지장치(10), 제2 음파검지장치(20), 간격 유지 부재(40)를 포함하고, 이러한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의해 수집되는 음향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 판독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가 투입되는 '관로(1)' 란 도관 내지 송유관 등과 같이 내부에 물, 기름 등의 유체가 단면을 채우고 흐르는 배관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음파검지장치(10)는 제1 하우징(11), 제1 음향센서(12), 제1 회로부(13), 제1 데이터 저장부(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하우징(11)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방수 성능을 구비하는 함체로서, 제1 하우징(11)의 내부 또는 외면 상에는 제1 음향 센서가 탑재되고, 내부에는 제1 회로부(13)와 제1 데이터 저장부(14)가 탑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은 제1 음파검지장치(10)가 관로(1)를 따라 부유할 때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곡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제1 하우징(11)의 전단부는 제1 음파검지장치(10)의 이동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 형태로 구성하고 몸체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럭비공 형상과 같이 타원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11)은 제1 음파검지장치(10)가 관로 내의 유체에 가라앉지 않고 항시 부유 가능하도록 유체의 비중보다 작은 비중을 갖는 저밀도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음향센서(12)는 제1 하우징(11)의 내부 또는 외면 상에 설치되어 관로의 누수에 따라 발생하는 음파 즉, 누수음을 수집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러한 제1 음향센서(12)는 제1 음파검지장치(10)가 위치하는 지점의 일정 반경 이내에 발생하는 음파를 검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음향센서(12)는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하이드로폰(hydrophone)을 포함하며, 상기 경우 마이크로폰 또는 하이드로폰은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음파를 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누수에 따른 음향신호를 수집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탑재된 제1 음향센서(12)에 의해 획득되는 음향신호를 '제1 음향신호(S1)'라 칭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누수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는 주변의 일시적 소음(예컨대, 공사, 차량 등)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와는 달리 일정한 크기로 발생되며, 또한 누수가 멈추지 않는 이상 계속 발생되게 되는바, 그 음파는 지속적으로 감지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음향센서(12)에 의해 감지되는 여러 음파 중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또한 동일한 크기로 발생되는 음파가 있다면 이는 누수로 인한 음파인 것이고, 이러한 음파를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누수 관련 정보 즉, 누수 발생 여부 및 그 위치를 탐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회로부(13)는 제1 음파검지장치(10)의 제1 음향센서(12)를 통해 수집되는 아날로그 제1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제1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변환 유닛은 예컨대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데이터 저장부(14)는 회로부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제1 음향신호를 기록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외장형 메모리 또는 내장형 메모리 중 어느 형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2 음파검지장치(20)는 제2 하우징(21), 제2 음향센서(22), 제2 회로부(23), 제2 데이터 저장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특히 제1 음파검지장치(10)의 후방에 제1 음파검지장치(1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이격을 두고 배치되는 배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2 음파검지장치(20)는 항시 제1 음파검지장치(1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함께 관로 내부를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제1 음파검지장치(10)의 전방 및 후방'에 대하여 정의하면, 제1 음파검지장치(10)의 이동 방향(이하, '제1 방향(K1)'이라 함)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 방향 측을 향하는 방향이 전방에 해당하고, 상기 전방의 반대 방향 즉, 상기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 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제2 하우징(21)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방수 성능을 구비하는 함체로서, 제2 하우징(21)의 내부 또는 외면 상에는 제2 음향 센서가 탑재되고, 내부에는 회로부와 데이터 저장부가 탑재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11)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곡면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저밀도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음향센서(22)는 제2 하우징(21)의 내부 또는 외면 상에 설치되어 관로의 누수에 따라 발생하는 음파 즉, 누수음을 수집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음파검지장치(10)가 위치하는 지점의 일정 반경 이내에 발생하는 음파를 검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음향센서(22)는 제1 음향센서(12)와 동일하게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하이드로폰(hydrophone)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경우 마이크로폰 또는 하이드로폰은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음파를 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누수에 따른 음향신호를 수집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탑재된 제2 음향센서(22)에 의해 획득되는 음향신호를 '제2 음향신호(S2)'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회로부(23)는 제2 음파검지장치(20)의 제2 음향센서(22)를 통해 수집되는 아날로그 제2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제2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변환 유닛은 예컨대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데이터 저장부(24)는 제2 회로부(23)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제2 음향신호를 기록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외장형 메모리 또는 내장형 메모리 중 어느 형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는 회로부와 데이터 저장부가 제1 음파검지장치(10),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각각 물리적으로 구분되게 구비(즉, 제1 회로부(13)와 제2 회로부(23) / 제1 데이터 저장부(14)와 제2 데이터 저장부(24))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제1 회로부(13)와 제2 회로부(23) 저장부는 하나의 회로부(이하, '통합 회로부')로 구성하고, 제1 데이터 저장부(14)와 제2 데이터 저장부(24) 역시 하나로 메모리 형태(이하, '통합 저장부')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경우, 통합 회로부는 제1 음파검지장치(10) 또는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탑재되어 제1 회로부(13)와 제2 회로부(23)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통합 저장부 역시 제1 음파검지장치(10) 또는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탑재되어 제1 데이터 저장부(14)와 제2 데이터 저장부(24)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저장부(14), 제2 데이터 저장부(24) 또는 통합 저장부는 누수 탐지 장치에 탑재되지 않고, 누수 탐지 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 구비되는 원격 서버에 탑재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경우, 제1 음향센서(12)와 제2 음향센서(22)에 의해 각각 수집되는 제1 음파신호와 제2 음파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 판독부(30)로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음향 분석이 행해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원격 서버에 탑재된 데이터 저장부로 전송되어 상기 원격 서버 데이터 저장부에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에 관한 데이터가 기록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를 경우, 본 발명의 제1 음파검지장치(10) 또는 제2 음파검지장치(20)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 탑재되게 된다.
도 1 실시예의 경우,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한 제1 통신모듈(15)이 탑재되고, 제2 음파검지장치(20)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한 제2 통신모듈(25)이 탑재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제1 음파검지장치(10) 또는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하나의 통신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하나의 통신모듈에 의해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를 원격의 신호 판독부(3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음향센서(12)와 제2 음향센서(22)에 의해 수집되는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는 누수 탐지 장치에 탑재되거나 또는 원격지에 설치되는 프리앰프를 통해 그 주파수를 증폭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격 유지 부재(40)는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를 상호 연결하여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가 관로 내에서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 사이에 이격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간격 유지 부재(40)는 그 일단부는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연결 고정되고, 그 타단부는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연결 고정되며,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의 이동 방향으로 장축을 갖도록 배치되는 봉형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 음파검지장치(20)는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대해 항시 후방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관로를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되고, 특히 관로 이동시 유체 흐름 내지 유속의 변화 또는 관로 폭의 변화 등 다양한 환경에서 관로 바닥으로 가라앉거나,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의 배열 위치가 바뀌지 않고 지속적으로 정상 상태를 유지하며 관로를 따라 이동하며 누수 관련 정보 탐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신호 판독부(30)는 관로의 누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의해 수집되는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의해 수집되는 제2 음향신호(S2)의 상호 비교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판독부(30)는 원격지에 배치되는 컴퓨터 내지 원격 서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제1 음파검지장치(10) 또는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탑재되어 제1 및 제2 음향신호(S1,S2)에 대한 비교 처리를 수행하여 데이터 저장부에 그 판독 결과를 저장하거나 실시간으로 원격서버에 판독 결과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신호 판독부(30)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비교 처리는 ①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 간의 위상차 반전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 ②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 간의 음압차 반전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 및 ③제1 음향신호(S1)의 음압과 제2 음향신호(S2)의 음압 간의 대소를 비교하는 처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신호 판독부(30)의 비교 처리를 통해 해당 관로의 누수 관련 정보(즉, 누수 발생 여부 및 그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되는데, 여기서 최종적으로 누수 관련 정보를 검출하는 주체는 신호 판독부(3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신호 판독부(30)를 대체하여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그 주체가 신호 판독부(30)일 경우, 신호 판독부(30)는 상기 비교 처리를 통해 위상차 반전 정보, 음압차 정보 또는 음압 정보를 산출한 후, 이에 근거하여 누수 여부 및 그 위치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그 주체가 작업자일 경우, 신호 판독부(30)는 상기 비교 처리를 통해 후술할 위상차 반전 정보, 음압차 정보 또는 음압 정보를 산출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제공받은 작업자가 해당 정보를 분석하여 누수 여부 및 그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탐지 장치는 제1 음파검지장치(10) 또는 제2 음파검지장치(20)의 관로 내 이동거리 내지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우, 제1 음파검지장치(10) 또는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의한 제1 음향신호(S1) 또는 제2 음향신호(S2)의 검지와 동시에 그 검지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음파검지장치(10) 또는 제2 음파검지장치(20)의 이동거리(또는 위치 정보)를 함께 획득하여, 관로를 이동하며 수집되는 음향신호에 이동거리(또는 위치 정보)가 상호 매칭되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또는 원격 서버 내지 신호 판독부(30)에 실시간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검출 수단은 누수 탐지 장치의 이동거리를 획득하기 위한 옵티컬 오도미터(optical odomet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보완 또는 대체하여 누수 탐지 장치에 연결된 와이어의 풀린 거리를 측정하는 와이어 오도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신호 판독부(30)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비교 처리 작업 및 이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에 근거한 누수 관련 정보 검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누수 관련 정보를 최종 검출하는 주체는 신호 판독부(30)로 구성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신호 판독부(30)에 의해 수행되는 비교 처리가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 간의 위상차 반전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인 경우이다.
상기 경우, 신호 판독부(30)는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 간의 위상차를 분석하여 위상차 반전이 일어나는 시점에 대응하는 관로 위치에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누수 지점(L1) 통과 전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상태에서 수집되는 제1 음향신호와 제2 음향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누수 지점(L1) 통과 후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의 (b)는 도 3 (b)의 상태에서 수집되는 제1 음향신호와 제2 음향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누수 지점(L1)이 제1 방향(K1)을 기준으로 제1 음파검지장치(10)의 전방 영역에 위치할 경우, 누수에 따른 음파는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 간에 부여된 이격 거리로 인해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먼저 도달한 후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누수음이 최초 도달한 시점과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누수음이 최초 도달한 시점 간에는 시간지연이 발생하고, 결국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의해 수집되는 음파의 위상이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의해 수집되는 음파의 위상보다 앞선 상태를 나타내게 되어,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 간에는 도 3(b)와 같은 위상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후,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가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관로(1)를 따라 이동하다 누수 지점(L1)을 통과하게 되면, 도 3(b)과 같은 누수 지점(L1) 통과 전의 위상차와 반대되는 위상차 즉, 위상차 반전이 발생하게 된다.
즉, 누수 탐지 장치가 도 4(a)와 같이 누수 지점(L1)을 통과한 경우에는, 누수 지점(L1) 통과 전의 경우와 반대로, 누수에 따른 음파가 제2 음파검지장치(20)와 제1 음파검지장치(10) 간의 이격 거리로 인해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먼저 도달한 후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누수음이 최초 도달한 시점과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누수음이 최초 도달한 시점 간에는 시간지연이 발생하고, 결국 도 4(b)와 같이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의해 수집되는 음파의 위상이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의해 수집되는 음파의 위상보다 앞선 상태를 나타내게 되어, 제2 음향신호(S2)와 제1 음향신호(S1) 간에는 도 3의 경우 대비 반대 위상차 즉, 위상차 반전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누수 탐지 장치가 관로(1)를 따라 이동하다 누수 지점(L1) 상에 위치하게 될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 간의 중심부 상에 누수 지점(L1)이 위치할 경우에는, 누수에 따른 음파가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동시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의해 수집되는 음파의 위상이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의해 수집되는 음파의 위상과 일치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누수 탐지 장치가 누수 지점(L1)을 통과하기 전, 통과하는 중, 통과한 후의 시점에 따라 상이한 위상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획득되는 위상차 정보로부터 위상차가 반전되는 시점을 추출함으로써 누수 발생 지점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누수 탐지 장치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위상차 변화 특성에 의해, 누수 탐지 장치의 누수 지점(L1) 통과 전, 통과 중, 통과 후 시점에 따른 위상차 값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5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누수 지점(L1) 통과 전, 통과 중, 통과 후 시점에 따른 위상차 값을 그래프 형태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 그래프의 'X축'은 누수 탐지 장치의 이동에 따른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축으로서, 중심(C)은 누수 탐지 장치의 누수 지점(L1) 상의 위치이고, 중심(C)의 좌측 영역은 누수 탐지 장치의 누수 지점(L1) 통과 전 위치를 의미하고, 후측 영역은 누수 탐지 장치의 누수 지점(L1) 통과 후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Y축'은 누수 탐지 장치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 간의 위상차값으로서,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은 위상차값이 양수(+)를 나타내고, 하측 영역은 위상차값이 양수(-)를 나타내며, 중심(C)은 위상차값이 영(0)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누수 지점(L1)이 제1 방향(K1)을 기준으로 제1 음파검지장치(10)의 전방 영역에 위치하면, 도 5의 그래프와 같이 제1 음향신호(S1)와 상기 제2 음향신호(S2) 간의 위상차가 양수(+) 값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신호 판독부(30)는 관로(1)의 누수 지점(L1)이 제1 방향(K1)을 기준으로 제1 음파검지장치(10)의 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누수 지점(L1)이 제1 방향(K1)을 기준으로 제1 음파검지장치(10)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면, 도 5의 그래프와 같이 제1 음향신호(S1)와 상기 제2 음향신호(S2) 간의 위상차가 음수(-) 값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신호 판독부(30)는 관로(1)의 누수 지점(L1)이 제1 방향(K1)을 기준으로 제2 음파검지장치(20)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신호 판독부(30)는 전술한 판독 과정 의해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의 위상차값이 양수값 구간에서 음수값 구간으로 반전되는 위상차 반전을 검출함으로써, 해당 위상차 반전이 발생한 시점에 대응하는 관로 위치에 누수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에 의하면, 수집된 제1 및 제2 음향신호의 위상차의 양수값 구간, 음수값 구간, 영값 시점을 산출함으로써 위상차 반전을 검출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누수 탐지 장치의 이동 위치에 따른 누수 지점의 상대적 위치(즉, 누수 탐지 장치의 전방, 후방 등)를 추적 가능하고, 누수 지점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신호 판독부(30)에 의해 수행되는 비교 처리가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 간의 음압차 반전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인 경우이다.
상기 경우, 신호 판독부(30)는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 간의 음압차를 분석하여 위상차 반전이 일어나는 시점에 대응하는 관로 위치에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3(a)와 같이 누수 지점(L1)이 제1 방향(K1)을 기준으로 제1 음파검지장치(10)의 전방 영역에 위치할 경우,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 간에 부여된 이격 거리로 인해, 제1 음파검지장치(10)가 항시 제2 음파검지장치(20)보다 음원(즉, 누수음)으로부터 더 가까운 위치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음원(누수음)으로부터 더 가까운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의해 감지되는 음압이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의해 감지되는 음압보다 더 크게 되고, 결국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 간의 음압차가 양수(+) 값을 나타내게 된다.
이후,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가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관로(1)를 따라 이동하다 누수 지점(L1)을 통과하게 되면, 음압차 반전이 발생하게 된다.
즉, 누수 탐지 장치가 도 4(a)와 같이 누수 지점(L1)을 통과한 경우에는, 누수 지점(L1) 통과 전의 경우와 반대로, 제2 음파검지장치(20)가 항시 제1 음파검지장치(10)보다 음원(즉, 누수음)으로부터 더 가까운 위치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음원(누수음)으로부터 더 가까운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의해 감지되는 음압이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의해 감지되는 음압보다 더 작게 되고, 결국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 간의 음압차가 음수(+) 값을 나타내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누수 탐지 장치가 누수 지점(L1)을 통과하기 전후 시점에 따라 상이한 음압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획득되는 음압차 정보로부터 음압차가 반전되는 시점을 추출함으로써 누수 발생 지점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 2에 따를 경우, 신호 판독부(30)는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 간의 음압차가 양수 값일 경우, 관로(1)의 누수 지점(L1)이 제1 방향(K1)을 기준으로 제1 음파검지장치(10)의 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 간의 음압차가 음수 값일 경우, 관로(1)의 누수 지점(L1)이 제1 방향(K1)을 기준으로 제2 음파검지장치(20)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제1 음향센서(12)와 제2 음향센서(22)의 음압 측정에 있어서 그 미세 성능상의 차이로 인해, 제1 음향센서(12)와 제2 음향센서(22)가 음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더라도 상이한 음압이 측정되는 경우라면, 음압차에 의해 표현되는 파형(이하, '음압차 파형')을 그 차이만큼 보상해줌으로써 전술한 누수 지점(L1)을 경계로 음압차 반전(즉, 양수값에서 음수값 전환)이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음향센서의 보상'은 예컨대, 음원으로부터 동일 거리에 있음을 전제로 제2 음향센서(22)의 검지능이 제1 음향센서(12)보다 '0.9 dB' 만큼 낮을 경우, 그 차이 즉, '0.9 dB'만큼 음압차 파형을 레벨 시프트해주는 보상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3>
신호 판독부(30)에 의해 수행되는 비교 처리가 제1 음향신호(S1)의 음압과 제2 음향신호(S2)의 음압 간의 대소를 비교하는 처리인 경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3(a)와 같이 누수 지점(L1)이 제1 방향(K1)을 기준으로 제1 음파검지장치(10)의 전방 영역에 위치할 경우,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 간에 부여된 이격 거리로 인해, 제1 음파검지장치(10)가 항시 제2 음파검지장치(20)보다 음원(즉, 누수음)으로부터 더 가까운 위치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음원(누수음)으로부터 더 가까운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의해 감지되는 음압이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의해 감지되는 음압보다 더 크게 측정된다.
이후, 제1 음파검지장치(10)와 제2 음파검지장치(20)가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관로(1)를 따라 이동하다 누수 지점(L1)을 통과하게 되면, 음압 크기의 반전이 발생하게 된다.
즉, 누수 탐지 장치가 도 4(a)와 같이 누수 지점(L1)을 통과한 경우에는, 누수 지점(L1) 통과 전의 경우와 반대로, 제2 음파검지장치(20)가 항시 제1 음파검지장치(10)보다 음원(즉, 누수음)으로부터 더 가까운 위치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음원(누수음)으로부터 더 가까운 제2 음파검지장치(20)에 의해 감지되는 음압이 제1 음파검지장치(10)에 의해 감지되는 음압보다 더 크게 측정되는 반전이 발생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누수 탐지 장치가 누수 지점(L1)을 통과하기 전후 시점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되는 제1 음향신호(S1)와 제2 음향신호(S2) 간의 음압 대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 3에 따를 경우, 신호 판독부(30)는 제1 음향신호(S1)의 음압이 제2 음향신호(S2)의 음압보다 클 경우, 관로(1)의 누수 지점(L1)이 제1 방향(K1)을 기준으로 제1 음파검지장치(10)의 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음향신호(S1)의 음압이 제2 음향신호(S2)의 음압보다 작을 경우, 관로(1)의 누수 지점(L1)이 제1 방향(K1)을 기준으로 제2 음파검지장치(20)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실시예 3의 경우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제1 음향센서(12)와 제2 음향센서(22)의 음압 측정에 있어서 그 미세 성능상의 차이로 인해, 제1 음향센서(12)와 제2 음향센서(22)가 음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더라도 상이한 음압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경우,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음압차 파형을 그 차이만큼 보상해줌으로써 음압 크기의 반전 시점을 통해 누수 관련 정보를 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제1 음파검지장치 12: 제1 음향센서
20: 제2 음파검지장치 22: 제2 음향센서
30: 신호 판독부 40: 간격 유지 부재
S1: 제1 음향신호 S2: 제2 음향신호
K1: 제1 방향 L1: 누수 지점

Claims (14)

  1. 관로 내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관로의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음파를 검지하는 제1 음향센서가 탑재된 제1 음파검지장치;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의 이동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의 후방 영역에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로부터 이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관로의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음파를 검지하는 제2 음향센서가 탑재된 제2 음파검지장치; 및 상기 관로의 누수 관련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에 의해 수집되는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파검지장치에 의해 수집되는 제2 음향신호의 상호 비교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판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판독부의 상기 비교 처리는,
    상기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향신호 간의 위상차 반전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향신호 간의 상기 위상차 반전이 발생한 시점에 대응하는 관로 위치에 상기 관로의 누수 지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탐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는 상기 제1 음향센서가 탑재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음파검지장치는 상기 제2 음향센서가 탑재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2 음파검지장치가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로부터 상기 후방 영역으로 이격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간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탐지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반전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는 상기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향신호 간의 위상차의 양수값 구간 및 음수값 구간을 산출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탐지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향신호 간의 위상차가 양수값일 경우, 상기 관로의 누수 지점이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음파검지장치의 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향신호 간의 위상차가 음수 값일 경우, 상기 관로의 누수 지점이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음파검지장치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탐지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향신호 간의 위상차가 영(0)의 값일 경우, 상기 관로의 누수 지점이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와 상기 제2 음파검지장치 간의 중심부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탐지 장치.
  8. 삭제
  9. 관로 내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관로의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음파를 검지하는 제1 음향센서가 탑재된 제1 음파검지장치;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의 이동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의 후방 영역에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로부터 이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관로의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음파를 검지하는 제2 음향센서가 탑재된 제2 음파검지장치; 및 상기 관로의 누수 관련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에 의해 수집되는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파검지장치에 의해 수집되는 제2 음향신호의 상호 비교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판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판독부의 상기 비교 처리는,
    상기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향신호 간의 음압차 반전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향신호 간의 상기 음압차 반전이 발생한 시점에 대응하는 관로 위치에 상기 관로의 누수 지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탐지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차 반전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는 상기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향신호 간의 음압차의 양수값 구간 및 음수값 구간을 산출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탐지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향신호 간의 음압차가 양수값일 경우, 상기 관로의 누수 지점이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음파검지장치의 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음향신호와 상기 제2 음향신호 간의 음압차가 음수값일 경우, 상기 관로의 누수 지점이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음파검지장치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탐지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독부의 상기 비교 처리는, 상기 제1 음향신호의 음압과 상기 제2 음향신호의 음압 간의 대소를 비교하는 처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탐지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1 음향신호의 음압이 상기 제2 음향신호의 음압보다 클 경우, 상기 관로의 누수 지점이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음파검지장치의 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음향신호의 음압이 상기 제2 음향신호의 음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관로의 누수 지점이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음파검지장치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탐지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파검지장치 또는 상기 제2 음파검지장치의 관로 내 이동거리 내지 위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탐지 장치.
KR1020150096654A 2015-07-07 2015-07-07 누수 탐지 장치 KR10174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654A KR101749519B1 (ko) 2015-07-07 2015-07-07 누수 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654A KR101749519B1 (ko) 2015-07-07 2015-07-07 누수 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149A KR20170006149A (ko) 2017-01-17
KR101749519B1 true KR101749519B1 (ko) 2017-06-21

Family

ID=5799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654A KR101749519B1 (ko) 2015-07-07 2015-07-07 누수 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503A (ko) * 2019-01-11 2020-08-04 오토시맨틱스 주식회사 입출력 음향 데이터 기반의 딥러닝을 활용한 하수관 상태 판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574B1 (ko) * 2017-04-28 2019-09-10 장선용 누수 탐지 시스템
KR102116614B1 (ko) * 2018-09-13 2020-05-28 김동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리크센서
CN110410592B (zh) * 2019-07-23 2022-08-05 安徽泫氏铸造有限责任公司 一种球墨管件
CN113324645A (zh) * 2021-04-14 2021-08-31 华翔翔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慧楼宇供水管理方法及系统
CN114383785A (zh) * 2021-12-31 2022-04-22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相关仪及管道漏水点检测方法
KR102575485B1 (ko) * 2022-12-15 2023-09-06 전해복 관로 세척용 멀티 피그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9272A1 (en) * 2012-02-02 2013-08-08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In-pipe mobile cross-correlation-based system for leak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39B1 (ko) 2000-12-11 2003-11-20 주식회사 셈즈 노후수도관로의 누수감시시스템
KR101062361B1 (ko) 2011-04-22 2011-09-05 주식회사 유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시스템
KR20130044414A (ko) 2011-10-24 2013-05-03 조명기 누수 탐지용 음향 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9272A1 (en) * 2012-02-02 2013-08-08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In-pipe mobile cross-correlation-based system for leak dete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503A (ko) * 2019-01-11 2020-08-04 오토시맨틱스 주식회사 입출력 음향 데이터 기반의 딥러닝을 활용한 하수관 상태 판별 방법
KR102221713B1 (ko) 2019-01-11 2021-03-02 오토시맨틱스 주식회사 입출력 음향 데이터 기반의 딥러닝을 활용한 하수관 상태 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149A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519B1 (ko) 누수 탐지 장치
US20120285221A1 (en) Acoustic probe for leak detection in water pipelines
CN201373243Y (zh) 油气管道泄漏智能巡检机
AU20053056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pig in a pipeline
US11754461B2 (en) Water leak detector device and leak detection procedure
EP2159574B1 (en) Device for pipeline inspection and method of its use
US9804102B2 (en) Device for testing ducts
JP5583994B2 (ja) 漏洩検知装置及び漏洩検知方法
KR101694700B1 (ko) 상수관망 진동측정장치를 이용한 상수관망 진단시스템
CA2634739A1 (en) Monitoring of leakage in wastewater force mains and other pipes carrying fluid under pressure
KR20160101081A (ko) 향상된 초음파 탐지
CN102132170A (zh) 定位管道内物体的装置和方法
KR20120077109A (ko) 누수탐지장치
KR101965690B1 (ko)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44690B1 (ko) 이상 원인 판정 기능이 구비된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45257B1 (ko) 관로 내 부단수 진단 모듈 위치 탐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모듈 위치 탐사 시스템
JP2017090258A (ja) 漏液音検知センサおよびそのセンサを用いた漏液検知システム
WO2009001022A1 (en) Profiling pig for detecting and quantifying internal corrosion in pipes
JP2012002513A (ja) 管路検査装置
KR20200009314A (ko) 상하수도 누수량 측정을 통한 싱크홀 예측 시스템
RU243955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еративной диагностики магистраль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759200B1 (ko)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
GB2338307A (en) Sensing corrosivity in a pipeline
RU2694466C1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и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й диагностики техсостояния сталь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JP6919884B2 (ja) 漏洩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