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019B1 -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019B1
KR101749019B1 KR1020160009800A KR20160009800A KR101749019B1 KR 101749019 B1 KR101749019 B1 KR 101749019B1 KR 1020160009800 A KR1020160009800 A KR 1020160009800A KR 20160009800 A KR20160009800 A KR 20160009800A KR 101749019 B1 KR101749019 B1 KR 101749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peak
input
poin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섭
임용훈
양창복
강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to KR1020160009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에서 화면상에 표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피크 점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서치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을 주파수 축으로 n개의 구간으로 구분한 상태에서 입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a) 단계; 임의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입력이 터치 입력인지 아니면 드래그 입력인지를 판단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터치 입력인 경우에는 해당 터치 점의 좌표값을 확인한 후에 임의 구간의 내부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c) 단계; 상기 (c)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점이 임의 구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피크 점의 개수를 판단하는 (d)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피크 점이 1개인 경우에는 상기 피크 점이 선택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 주파수와 신호 레벨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e)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method for searching peak points for portable spectrum analyzer}
본 발명은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에서 화면상에 표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피크 점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서치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스펙트럼 분석기는 기기가 지원하는 전체 주파수 범위 내에서 입력 신호의 크기 대 주파수를 측정하는 장비로서, 주된 용도는 기지 및 미지 신호의 스펙트럼 파워 레벨을 측정하는 것이다. 스펙트럼 분석기의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그 세로축은 파워 레벨(진폭)을 나타내는바, 이러한 스펙트럼 분석기는 전기 신호의 스펙트럼을 분석함으로써 시간 영역에서 쉽게 검출할 수 없는 신호의 지배적 주파수(dominant frequency), 파워 레벨, 왜곡, 고조파, 대역폭 및 다른 스펙트럴 성분을 손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이 발달함에 따라 무선망 최적화를 위해 기지국이나 빌딩 등을 현장을 이동하면서 전파 환경을 측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해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는 그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통상적으로 LCD 패널을 많이 채택하고 있고, 더욱이 한정된 사이즈로 인해 장착할 수 있는, 물리적인 키 버튼의 수가 제한되기 때문에 터치 패널을 채택하여 일부의 기능 키 버튼을 터치 패널 화면상에 구현되는 소프트웨어적인 키 버튼으로 구현하고 있다. 종래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는 또한 분석한 스펙트럼 화면상에서 피크 점을 갖는 주파수와 그때의 파워 레벨을 서치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피크 서치 기능을 갖는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에 따르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스펙트럼 화면상에서 가장 큰 파워 레벨을 갖는 하나의 주파수만을 찾아서 그 주파수와 파워 레벨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을 뿐이어서 한 스펙트럼 화면 상에 복수의 피크 점이 분포되어 있는 경우에 원하는 피크 점에 대한 서치(주파수와 파워 레벨의 확인)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10-2009-0024541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하이퍼링크 선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선행기술 2: 10-2010-0028465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문자 또는 메뉴 입력 방법) 선행기술 3: 10-2013-0031394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터치스크린 출력화면 조정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에서 화면상에 표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피크 점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서치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을 주파수 축으로 n개의 구간으로 구분한 상태에서 입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a) 단계; 임의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입력이 터치 입력인지 아니면 드래그 입력인지를 판단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터치 입력인 경우에는 해당 터치 점의 좌표값을 확인한 후에 임의 구간의 내부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c) 단계; 상기 (c)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점이 임의 구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피크 점의 개수를 판단하는 (d)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피크 점이 1개인 경우에는 상기 피크 점이 선택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 주파수와 신호 레벨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e)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d)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피크 점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피크 점이 서로 다른 구간에 위치하도록 전체 주파수 영역을 축소하여 그 주파수 스펙트럼을 재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정렬 후에 피크 점 선택이 완료되면 그 주파수와 신호 레벨을 표시한 후에 그 주파수 스펙트럼의 출력 범위를 원래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판단 결과, 드래그 입력인 경우에는 그 드래그 영역의 좌표값을 확인한 후에 드래그 시작점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피크 점의 주파수와 신호 레벨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특성상 화면 사이즈가 작은 반면에 이를 손가락을 사용하여 터치해야 하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화면상에 표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피크 점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서치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스펙트럼 분석기의 예시 화면.
도 3은 도 2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을 임의 구간의 주파수 영역으로 축소하여 표시한 예시 화면.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먼저 단계 S10에서는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을 가로, 즉 주파수 축으로 n개의 구간, 예를 들어 10개의 구간으로 등분, 즉 10개의 구획선으로 구분한 상태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주파수 영역은 기기가 지원 가능한 영역 내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이나 디폴트로 정해진 영역, 예를 들어 1㎒~10㎓ 사이의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스펙트럼 분석기의 예시 화면이다. 도 2의 화면에서는 전체 주파수 영역이 1㎓인바, 이에 따라 각 구간은 100㎒가 되고, 세로축인 신호 레벨 축은 10dBm 간격으로 총 7개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도 2의 예시 화면에서는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총 4개의 피크 점이 여러 구간에 걸쳐서 분포되어 있고, 더욱이 300~400㎒ 구간에는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2개의 피크 점이 대략 40㎒ 정도의 간격을 두고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에서는 피크 서치 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이러한 피크 서치 기능은 신호 분석기에 구비된 물리적인 키 버튼(미도시) 또는 터치 스크린 화면상에 구현된 소프트웨어적인 키 버튼을 조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단계 S20에서의 판단 결과, 피크 서치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선택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에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30으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입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30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시 단계 S40으로 진행하여 해당 입력이 터치 입력인지 아니면 드래그 입력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40에서의 판단 결과, 터치 입력인 경우에는 단계 S50으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된 터치 스크린 화면상에서 해당 터치 점의 좌표값, 즉 좌측 하단을 기준으로 한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단계 S60에서는 이렇게 확인된 좌표값을 갖는 터치 점이 임의 구간 내부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60에서의 판단 결과, 터치 점이 임의 구간 내부가 아니라 두 구간을 구획하는 경계선에 위치(소정 한계치를 기준,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에는 구획선으로부터 5㎒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를 무시(단계 S110)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반면에 터치 점이 임의 구간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단계 S70으로 진행하여 해당 구간 내부의 피크 점이 1개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70에서의 판단 결과, 해당 구간 내부의 피크 점이 1개인 경우에는 단계 S80으로 진행하여 해당 피크 점의 주파수 및 신호 레벨을 확인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즉, 해당 주파수 구간에 1개의 피크 점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비록 터치 점의 세로 좌표 값(신호 레벨)이 피크 점의 세로 좌표 값(신호 레벨)과 차이 난다 하더라도 해당 피크 점이 선택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 주파수와 파워 레벨을 확인하여 표시한다.
반면에 단계 S70에서의 판단 결과, 해당 구간의 피크 점이 1개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S120으로 진행하여 2개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20에서의 판단 결과, 0개, 즉 해당 구간 내부에 피크 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터치 입력을 무시(단계 S110)한 채로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반면에 2개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130으로 진행하여 해당 피크 점이 서로 다른 구간에 분포되도록 전체 주파수 영역을 축소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두 피크 점 사이의 주파수 간격이 10㎒ 이상(100㎒ 미만)인 경우에는 전체 주파수 영역을 100㎒, 즉 한 구간의 주파수 간격을 10㎒로 구분하여 주파수 스펙트럼을 재정렬한다.
도 3은 도 2에서 300~400㎒ 구간을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 하고 한 구간을 10㎒로 구분하여 표시한 예시 화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130에서의 주파수 스펙트럼 재정렬 결과, 두 피크 점이 서로 다른 구간으로 이격된 채로 분포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피크 점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이 상태에서 단계 S140에서는 임의 구간의 터치 입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데,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S150으로 진행하여 해당 구간의 피크 점의 주파수 및 신호 레벨을 확인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다시 단계 S160에서는 원래의 전체 주파수 영역, 즉 1㎓의 주파수 구간에 대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단계 S40에서 임의 구간에 대한 입력이 터치 입력이 아니라 드래그 입력인 경우에는 단계 S90으로 진행하여 드래그된 영역, 즉 드래그 시작점부터 종료점까지의 가로 좌표 영역에 피크 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40에서의 판단 결과, 드래그된 영역에 피크 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S100으로 진행하여 그 드래그 시작점에서 가장 근접한 피크 점을 선택하여 그 주파수와 신호 레벨을 확인한 후에 화면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 2의 화면에서 300~400㎒ 구간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드래그한 경우에는 그 좌측에 있는 피크 점이 선택되는 반면에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드래그한 경우에는 그 우측에 있는 피크 점이 선택된 것으로 간주하여 그 주파수 및 신호 레벨을 확인하여 표시한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구간 내부에 2개 이상의 피크 점이 있는 경우에 비록 그 둘 사이의 신호 레벨의 차이가 크더라도 무조건 전체 주파수 영역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그 둘 사이의 신호 레벨의 차이가 크고 터치 점의 세로 좌표 값이 어느 한 피크 점의 근처(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 예를 들어 10dBm 이내)에 있어서 당해 피크 점을 선택한 것이 명확한 경우에는 해당 피크 점이 선택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 주파수와 신호 레벨을 확인하여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을 가로축인 주파수 축으로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한 상태에서 입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a) 단계;
    임의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입력이 터치 입력인지 아니면 드래그 입력인지를 판단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터치 입력인 경우에는 해당 터치 점의 좌표값을 확인한 후에 임의 구간의 내부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c) 단계;
    상기 (c)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점이 임의 구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피크 점의 갯수를 판단하는 (d) 단계;
    상기 (d)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피크 점이 1개인 경우에는 상기 피크 점이 선택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 주파수와 신호 레벨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반면에 상기 피크 점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피크 점이 서로 다른 구간에 위치하도록 전체 주파수 영역을 축소하여 그 주파수 스펙트럼을 재정렬하는 (e)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판단 결과, 드래그 입력인 경우에는 그 드래그 영역의 좌표값을 확인한 후에 드래그 시작점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피크 점의 주파수와 신호 레벨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정렬 후에 피크 점 선택이 완료되면 그 주파수와 신호 레벨을 표시한 후에 그 주파수 스펙트럼의 출력 범위를 원래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
  4. 삭제
KR1020160009800A 2016-01-27 2016-01-27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 KR101749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800A KR101749019B1 (ko) 2016-01-27 2016-01-27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800A KR101749019B1 (ko) 2016-01-27 2016-01-27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019B1 true KR101749019B1 (ko) 2017-06-20

Family

ID=5928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800A KR101749019B1 (ko) 2016-01-27 2016-01-27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0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2277A (ja) * 2008-07-28 2010-02-12 Shimadzu Corp 機器分析データ処理装置
JP2014032093A (ja) * 2012-08-03 2014-02-20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分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2277A (ja) * 2008-07-28 2010-02-12 Shimadzu Corp 機器分析データ処理装置
JP2014032093A (ja) * 2012-08-03 2014-02-20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分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6558B2 (en) Application associ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7466077B (zh) 一种网络切换方法及移动终端
KR10183096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90282352A1 (en) Configurable icon sizing and placement for wireless and other devices
US9538393B2 (en) Mobile terminal test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test method
KR20070107462A (ko)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표시 방법
CN107426765B (zh) 一种测量报告生成方法及移动终端
US978526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touch interface for spectral analysis
US11397522B2 (en) Page browsing
KR20140040401A (ko) 한 손 제어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장치
EP2113777B1 (en) Signal analyzer and method for displaying frequency domain data
US10712940B2 (en)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device for manag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devices in multiple rooms
US11656761B2 (en) Touch hotspot adjustment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touchscreen terminal device
KR101749019B1 (ko)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의 피크 서치 제어 방법
CN106227378B (zh) 一种触摸操作处理方法和触摸屏设备
CN112181251A (zh) 屏幕操作方法、装置、示波器及存储介质
KR20010050069A (ko) 신호 값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777995A (zh) 显示装置以及数值显示方法
KR2012008212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및 장치
US201101341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ey layout arrangement in portable terminal
JP2018128814A (ja) 画面分割表示装置、それを備えた測定装置、及び画面分割表示方法
US10444983B2 (en) Signal analyzing instrument with touch gesture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CN102043578B (zh) 触控系统的控制方法及触控系统
KR100876727B1 (ko) 화면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073366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