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985B1 - 빔 분할 다중 접속 기반에서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빔 분할 다중 접속 기반에서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985B1
KR101748985B1 KR1020160020581A KR20160020581A KR101748985B1 KR 101748985 B1 KR101748985 B1 KR 101748985B1 KR 1020160020581 A KR1020160020581 A KR 1020160020581A KR 20160020581 A KR20160020581 A KR 20160020581A KR 101748985 B1 KR101748985 B1 KR 101748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user terminal
interference
cooperativ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호
정병창
박대희
한준상
김윤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US15/526,62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36201B2/en
Priority to PCT/KR2016/001723 priority patent/WO2017146275A1/ko
Priority to KR1020160020581A priority patent/KR101748985B1/ko
Priority to CN201680004012.9A priority patent/CN10730651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9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sectors, i.e. sector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빔 분할 다중 접속 기반에서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특성 및 편파 특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통해 서비스 대상 지역을 복수의 빔 섹터들로 분할하는 빔 분할 다중 접속 환경에서의 협력 전송 방법은 상기 서비스 대상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협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협력 요청에 포함된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동작, 협력 사일런스(coordinate silence) 동작, 및 협력 빔포밍(coordinate beamforming) 동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빔 분할 다중 접속 기반에서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BASED ON 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AN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빔 분할 다중 접속 기반에서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MIM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캐리어 주파수의 반 파장 이상의 간격으로 배치하여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 또는 다중화 이득(multiplexing gain)을 얻는다. 반 파장 이상의 간격을 두는 이유는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안테나가 반 파장 이내의 간격에 배치되게 되면 안테나간의 패턴 유사도 등의 이유로 채널 특성이 유사하게 되어 다이버시티 이득 또는 다중화 이득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MIMO 기술에서는 안테나 개수가 2 x 2, 4 x 4, 8 x 8 등 그 수가 많지 않으나, 차세대 통신 기술로 꼽히는 massive MIMO 기술에서는 안테나 개수를 32개, 64개, 128개 등 그 수가 현격히 증가하였다. 이때, 복수의 안테나 사용으로 인해,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이 문제가 되었다. 이를 위해, 패턴/편파 특성을 활용한 안테나들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안테나의 방사 패턴 특성이 안테나 구조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패턴/편파 특성을 활용한 안테나의 경우 기존 안테나보다 단위 공간 집적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패턴/편파 특성을 활용한 안테나의 고유의 특성으로 인해 채널 이득이 격리되는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기존의 CoMP(Coordinate Multi-Point transmission) 시스템에서 macro-diversity, coordinate silence, coordinate beamforming 등의 기지국 협력 방안이 제시되었고, 이 기지국 협력 방안은 빔이 도입되지 않는 환경을 고려하거나, 빔을 고려하더라도 패턴/편파 특성을 활용한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하지 않는다.
패턴/편파 특성을 활용한 안테나들을 사용한 빔 분할 다중 접속(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환경에서의 기지국 협력 방안이 필요하다.
실시예들은 빔 분할 다중 접속 환경에서 셀 경계에 위치하는 단말에 협력 전송을 통해 간섭을 완화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특성 및 편파 특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통해 서비스 대상 지역을 복수의 빔 섹터들로 분할하는 빔 분할 다중 접속 환경에서의 협력 전송 방법은 상기 서비스 대상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협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협력 요청에 포함된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동작, 협력 사일런스(coordinate silence) 동작, 및 협력 빔포밍(coordinate beamforming) 동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섭 레벨은 서빙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간섭 레벨이 제1 레벨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간섭 레벨이 제2 레벨이고 백홀 용량이 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간섭 레벨이 제2 레벨이고 기지국 가용 용량이 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수행하기로 한 경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위한 매크로 다이버시티 협력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협력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 정보,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이 수행될 자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수행하기로 한 경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위한 협력 사일런스 협력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협력 사일런스 협력 요청은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이 수행될 자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빔 섹터에 대응하는 안테나 어레이를 통한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을 수행하기로 한 경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을 위한 협력 빔포밍 협력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협력 빔포밍 협력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채널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 정보,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이 수행될 자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이 서로 협력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MIMO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빔 분할 다중 접속 환경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서빙 기지국은 패턴 특성 및 편파 특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들과,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통해 서비스 대상 지역을 복수의 빔 섹터들로 분할하고, 상기 서비스 대상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의 협력 요청에 포함된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동작, 협력 사일런스(coordinate silence) 동작, 및 협력 빔포밍(coordinate beamforming) 동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섭 레벨은 서빙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간섭 레벨이 제1 레벨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동작을 수행하기로 결정하고, 상기 간섭 레벨이 제2 레벨이고 백홀 용량이 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을 수행하기로 결정하고, 상기 간섭 레벨이 제2 레벨이고 기지국 가용 용량이 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수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수행하기로 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위한 매크로 다이버시티 협력 요청하고,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협력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 정보,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이 수행될 자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수행하기로 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위한 협력 사일런스 협력 요청하고, 상기 협력 사일런스 협력 요청은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이 수행될 자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빔 섹터에 대응하는 안테나 어레이를 통한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을 수행하기로 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을 위한 협력 빔포밍 협력 요청하고, 상기 협력 빔포밍 협력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채널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 정보,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이 수행될 자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이 서로 협력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MIMO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채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 전송 방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협력 전송 방안의 일 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 전송 방안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협력 전송 방안의 다른 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 전송 방안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협력 전송 방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10)은 서빙 기지국(S-BS)과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BS1~BSn)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10)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3GPP2 및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서빙 기지국(S-BS)과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BS1~BSn)은 이동국(mobile station), 고정국(fixed station), 노드-B(Node-B), e노드-B(e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으로 불릴 수 있다.
서빙 기지국(S-BS)과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BS1~BSn)은 패턴 특성 및 편파 특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갖는 안테나들(또는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이용하여 서비스 대상 지역에 복수의 빔 섹터들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빙 기지국(S-BS)과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BS1~BSn)은 서비스 대상 지역을 복수의 빔 섹터들로 분할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대상 지역은 각 기지국(S-BS, BS1~BSn)이 서비스 가능한(또는 통신 가능한) 지역 및/또는 사용자 단말(UE)이 위치한 지역일 수 있다.
서빙 기지국(S-BS)과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BS1~BSn)은 MIMO 안테나 시스템 기반의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의 서비스 대상 지역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의 셀 경계가 아닌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의 셀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은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BS1~BS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셀 경계에도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간섭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MT)), 무선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AT),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SS)),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장치,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WTRU)), 이동 노드, 또는 모바일 등으로 불릴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은 휴대용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랩탑(laptop)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MI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e-북(e-book),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또는 스마트 밴드(smart band)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과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BS1~BSn) 각각으로부터 생성된 각 빔 섹터를 통해 전송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은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주변 간섭에 대한 간섭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주변 간섭은 서빙 기지국(S-BS)과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BS1~BSn)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모든 간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UE)은 채널 정보에 대한 채널 정보 행렬의 채널 이득, 랭크 값, 조건수(condition number) 등을 이용하여 간섭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은 간섭 레벨에 따라 서빙 기지국(S-BS)에게 협력 전송에 대해 협력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력 요청은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BS1~BSn) 중에서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 정보,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및 간섭 레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은 간섭이 큰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S-BS)은 빔 분할 다중 접속 환경에서 셀 경계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UE)에게 협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S-BS)은 사용자 단말(UE)의 협력 요청에 포함된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UE)에게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동작, 협력 사일런스(coordinate silence) 동작, 및 협력 빔포밍(coordinate beamforming) 동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빙 기지국(S-BS)은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BS1~BSn) 중에서 사용자 단말(UE)에게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에 어느 하나에 대한 협력을 요청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은 어느 하나에 대한 협력 요청에 따라 서빙 기지국(S-BS)에 협력하여 사용자 단말(UE)에 대한 간섭을 완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서빙 기지국(S-BS)의 서비스 대상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UE)의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각 협력 전송 방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빙 기지국(S-BS)의 서비스 대상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UE)에게 (가장 큰) 간섭을 야기하는 주변 기지국이 BS1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 전송 방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협력 전송 방안의 일 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과 주변 기지국(BS1)으로부터 생성된 각 빔 섹터를 통해 전송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S310).
사용자 단말(UE)은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서빙 기지국(S-BS)에 대한 기지국 협력 요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UE)은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간섭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과 주변 기지국(BS1)으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의 세기가 모두 약하다고 판단하여 간섭 레벨을 제1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에게 협력 전송에 대해 협력 요청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협력 요청은 주변 기지국(BS1) 정보, 주변 기지국(BS1)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주변 기지국(BS1)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및 간섭 레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S-BS)은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협력 전송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340).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S-BS)은 제1 레벨인 간섭 레벨에 따라 사용자 단말(UE)에게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수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S-BS)은 주변 기지국(BS1)에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위한 매크로 다이버시티 협력 요청을 할 수 있다(S350). 예를 들어, 매크로 다이버시티 협력 요청은 사용자 단말(UE)에 대한 정보, 사용자 단말(UE)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 정보,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수행할 자원 정보, 주변 기지국(BS1)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주변 기지국(BS1)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기지국(BS1)은 협력 요청에 따라 서빙 기지국(S-BS)에 협력하여 사용자 단말(UE)에 대해 협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36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기지국(S-BS)과 주변 기지국(BS1)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UE)에게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기지국(S-BS)과 주변 기지국(BS1)의 안테나 어레이는 서비스 기지국(S-BS)의 서비스 대상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UE)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 요구 정도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과 주변 기지국(BS1)의 협력 전송인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통해 간섭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이버시티 이득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 전송 방안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협력 전송 방안의 다른 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과 주변 기지국(BS1)으로부터 생성된 각 빔 섹터를 통해 전송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S510).
사용자 단말(UE)은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서빙 기지국(S-BS)에 대한 기지국 협력 요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UE)은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간섭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과 주변 기지국(BS1)으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의 세기가 모두 강하다고 판단하여 간섭 레벨을 제2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에게 협력 전송에 대해 협력 요청할 수 있다(S530). 예를 들어, 협력 요청은 주변 기지국(BS1) 정보, 주변 기지국(BS1)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주변 기지국(BS1)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및 간섭 레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S-BS)은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협력 전송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540). 예를 들어, 간섭 레벨이 제2 레벨이고 기지국 가용 용량이 큰 경우, 서빙 기지국(S-BS)은 사용자 단말(UE)에게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수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S-BS)은 주변 기지국(BS1)에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위한 협력 사일런스 협력 요청을 할 수 있다(S550). 예를 들어, 협력 사일런스 협력 요청은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수행할 자원 정보, 주변 기지국(BS1)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주변 기지국(BS1)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기지국(BS1)은 협력 요청에 따라 서빙 기지국(S-BS)에 협력하여 사용자 단말(UE)에 대해 협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56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기지국(BS1)은 사용자 단말(UE)에 간섭을 야기하는 빔 섹터에 대응하는 안테나 어레이를 통한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는 가장 큰 간섭을 야기하는 빔 섹터에 대응하는 안테나 어레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지국(BS1)은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위해 미리 만들어진 빔 섹터들을 변경할 수 있다(S560). 즉, 주변 기지국(BS1)은 사용자 단말(UE)에 간섭을 야기하는 빔 섹터를 덜 만들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UE)이 받는 간섭량은 주변 기지국(BS1)의 간섭을 야기하는 빔 섹터에 대응하는 안테나 어레이를 통한 서비스 중단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 전송 방안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협력 전송 방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과 주변 기지국(BS1)으로부터 생성된 각 빔 섹터를 통해 전송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S710).
사용자 단말(UE)은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서빙 기지국(S-BS)에 대한 기지국 협력 요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72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UE)은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간섭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과 주변 기지국(BS1)으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의 세기가 모두 강하다고 판단하여 간섭 레벨을 제2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에게 협력 전송에 대해 협력 요청할 수 있다(S730). 예를 들어, 협력 요청은 주변 기지국(BS1) 정보, 주변 기지국(BS1)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주변 기지국(BS1)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및 간섭 레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S-BS)은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협력 전송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740). 예를 들어, 간섭 레벨이 제2 레벨이고 백홀 용량이 큰 경우, 서빙 기지국(S-BS)은 사용자 단말(UE)에게 협력 빔포밍 동작을 수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에게 협력 빔포밍 동작을 수행하기로 결정한 경우, 서빙 기지국(S-BS)은 사용자 단말(UE)에게 채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750). 예를 들어, 채널 정보는 간섭을 야기하는 주변 기지국(BS1)에 대한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S760), 서빙 기지국(S-BS)은 주변 기지국(BS1)에 협력 빔포밍 동작을 위한 협력 사일런스 협력 요청을 할 수 있다(S770). 예를 들어, 협력 빔포밍 협력 요청은 사용자 단말(UE)에 대한 정보, 사용자 단말(UE)의 채널 정보, 사용자 단말(UE)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 정보, 협력 빔포밍 동작을 수행할 자원 정보, 주변 기지국(BS1)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주변 기지국(BS1)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기지국(BS1)은 협력 요청에 따라 서빙 기지국(S-BS)에 협력하여 사용자 단말(UE)에 대해 협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78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기지국(S-BS)과 주변 기지국(BS1)은 서로 협력하여 사용자 단말(UE)에게 MIMO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주변 기지국(BS1)은 원래 서비스하던 다른 사용자 단말(UE-D)과 협력 요청된 사용자 단말(UE)에 대해 조인트 MIMO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은 서빙 기지국(S-BS)과 주변 기지국(BS1)의 협력 전송인 협력 빔포밍 동작을 통해 간섭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협력에 따라 MIMO 동작에 참여하는 안테나의 개수가 2배로 늘어나서 이득이 증가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800)은 MIMO 안테나(810) 및 컨트롤러(830)를 포함할 수 있다.
MIMO 안테나(810)는 패턴 특성 및 편파 특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갖는 안테나들(또는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830)는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통해 기지국(8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을 복수의 빔 섹터들로 분할하고, 기지국(8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의 협력 요청에 포함된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동작, 협력 사일런스(coordinate silence) 동작, 및 협력 빔포밍(coordinate beamforming) 동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기지국(800)은 도 1에 도시된 서빙 기지국(S-BS) 및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BS1~BSn)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기지국(800)에는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패턴 특성 및 편파 특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통해 서비스 대상 지역을 복수의 빔 섹터들로 분할하는 빔 분할 다중 접속 환경에서의 협력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대상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협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협력 요청에 포함된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동작, 협력 사일런스(coordinate silence) 동작, 및 협력 빔포밍(coordinate beamforming) 동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간섭 레벨이 제1 레벨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간섭 레벨이 제2 레벨이고 백홀 용량이 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간섭 레벨이 제2 레벨이고 기지국 가용 용량이 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수행하는 협력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레벨은 서빙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협력 전송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수행하기로 한 경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위한 매크로 다이버시티 협력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협력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 정보,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이 수행될 자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협력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수행하는 협력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수행하기로 한 경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위한 협력 사일런스 협력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협력 사일런스 협력 요청은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이 수행될 자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협력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빔 섹터에 대응하는 안테나 어레이를 통한 서비스를 중단하는 협력 전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을 수행하기로 한 경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을 위한 협력 빔포밍 협력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협력 빔포밍 협력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채널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 정보,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이 수행될 자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협력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이 서로 협력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MIMO 전송을 수행하는 협력 전송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협력 전송 방법.
  11. 빔 분할 다중 접속 환경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서빙 기지국에 있어서,
    패턴 특성 및 편파 특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들;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통해 서비스 대상 지역을 복수의 빔 섹터들로 분할하고, 상기 서비스 대상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의 협력 요청에 포함된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동작, 협력 사일런스(coordinate silence) 동작, 및 협력 빔포밍(coordinate beamforming) 동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간섭 레벨이 제1 레벨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동작을 수행하기로 결정하고,
    상기 간섭 레벨이 제2 레벨이고 백홀 용량이 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을 수행하기로 결정하고,
    상기 간섭 레벨이 제2 레벨이고 기지국 가용 용량이 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서빙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레벨은 서빙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서빙 기지국.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수행하기로 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위한 매크로 다이버시티 협력 요청하고,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협력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 정보,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이 수행될 자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을 수행하는 서빙 기지국.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수행하기로 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을 위한 협력 사일런스 협력 요청하고,
    상기 협력 사일런스 협력 요청은 상기 협력 사일런스 동작이 수행될 자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빔 섹터에 대응하는 안테나 어레이를 통한 서비스를 중단하는 서빙 기지국.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을 수행하기로 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간섭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협력 빔포밍 동작을 위한 협력 빔포밍 협력 요청하고,
    상기 협력 빔포밍 협력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채널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 정보, 상기 매크로 다이버시티 동작이 수행될 자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빔 섹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의 간섭이 큰 안테나 어레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이 서로 협력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MIMO 전송을 수행하는 서빙 기지국.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서빙 기지국.
KR1020160020581A 2016-02-22 2016-02-22 빔 분할 다중 접속 기반에서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748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26,623 US10536201B2 (en) 2016-02-22 2016-02-22 Coordinated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PCT/KR2016/001723 WO2017146275A1 (ko) 2016-02-22 2016-02-22 빔 분할 다중 접속 기반에서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0160020581A KR101748985B1 (ko) 2016-02-22 2016-02-22 빔 분할 다중 접속 기반에서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N201680004012.9A CN107306518B (zh) 2016-02-22 2016-02-22 基于分束多路访问的协同传输方法及执行其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581A KR101748985B1 (ko) 2016-02-22 2016-02-22 빔 분할 다중 접속 기반에서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985B1 true KR101748985B1 (ko) 2017-06-20

Family

ID=5928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581A KR101748985B1 (ko) 2016-02-22 2016-02-22 빔 분할 다중 접속 기반에서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36201B2 (ko)
KR (1) KR101748985B1 (ko)
CN (1) CN107306518B (ko)
WO (1) WO2017146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5977A1 (en) * 2017-03-17 2018-09-20 Jrd Communication Inc. Methods and nodes for beam adjustment
US11522588B1 (en) * 2021-04-28 2022-12-06 Meta Platform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beamforming in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6146A1 (en) * 2002-12-13 2004-06-17 Sadowsky John S. Cellular system with link diversity feedback
US20050180312A1 (en) * 2004-02-18 2005-08-18 Walton J. R. Transmit diversity and spatial spreading for an OFDM-based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8923785B2 (en) * 2004-05-0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Continuous beamforming for a MIMO-OFDM system
US8280444B1 (en) 2008-02-26 2012-10-02 Adaptix, Inc. Reducing multi-cell interference using cooperative random beam forming
JP5149725B2 (ja) * 2008-07-22 201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2317669A4 (en) * 2008-08-18 2013-11-06 Alcatel Lucent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A GROUPING OF TRANSMISSIONS WITH 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WITH MULTI-SECTOR COORDINATION
US8867380B2 (en) * 2009-02-02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algorithms for cooperative beamforming
US8705510B2 (en) 2009-04-22 2014-04-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and data using a precoding codebook for multicell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48028B2 (en) * 2009-10-13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of timing information to support downlink data transmission
KR20120034902A (ko) 2010-10-04 201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 셀에서의 간섭 제어를 위한 매크로 기지국, 매크로 단말, 소형 기지국 및 소형 단말의 통신 방법
US20130208587A1 (en) * 2012-01-26 2013-08-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ynamic parameter adjustment for lte coexistence
KR101370056B1 (ko) * 2012-06-29 2014-03-0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매크로셀 및 펨토셀 간의 간섭 완화/제거 장치 및 방법
US10194346B2 (en) * 2012-11-26 2019-01-29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xploiting inter-cell multiplexing gain in wireless cellular systems via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06518A (zh) 2017-10-31
US20180062721A1 (en) 2018-03-01
CN107306518B (zh) 2021-06-25
US10536201B2 (en) 2020-01-14
WO2017146275A1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91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beamforming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8681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US8229506B2 (en) Enhanced connection acquisition using an array antenna
US20210203391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KR101879030B1 (ko) 안테나 그룹핑을 이용한 채널 정보 피드백 및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2018004036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구성에 기반한 빔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2038302B1 (ko) 비직교 다중 접속을 위한 빔포밍 장치 및 방법
KR102272844B1 (ko) 타이밍 어드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23124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through energy efficiency optimization and base station
CN112703682A (zh) 用于使用机器学习来设计波束网格的装置和方法
US20220302970A1 (en) Thermal Management with Antenna Modules
CN113994600A (zh) 分层码本的设计和适配
CN116686232A (zh) 无线通信中的波束管理
WO201820206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andom access transmission
KR101748985B1 (ko) 빔 분할 다중 접속 기반에서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669857B1 (ko) 대규모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및 피드백 방법
US20190140714A1 (en) Aperture constraint for new radio uplink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KR20170071385A (ko) Rf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oam 멀티 모드 전송 방법
KR102073655B1 (ko) 빔 너비를 최적화하고 대상 기지국을 선정하는 통신 방법 및 상기 통신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및 기지국
US20170280432A1 (en) Scheduled transmission in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s
US2019032696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network control point and central processing node
US101493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aware resource-sharing scheme for multiple D2D group communications underlaying cellular networks
KR101813781B1 (ko) 파일럿 빔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WO2021053370A1 (en) Pmi distance (pmid) assisted mu-mimo transmission
KR101818838B1 (ko) 지향성 안테나 기반의 다중 빔 통신 환경에서 주파수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