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385A - Rf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oam 멀티 모드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Rf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oam 멀티 모드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385A
KR20170071385A KR1020160009591A KR20160009591A KR20170071385A KR 20170071385 A KR20170071385 A KR 20170071385A KR 1020160009591 A KR1020160009591 A KR 1020160009591A KR 20160009591 A KR20160009591 A KR 20160009591A KR 20170071385 A KR20170071385 A KR 20170071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ntenna
receiving
oam
transmiss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7856B1 (ko
Inventor
강준혁
정승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70071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90Non-optical transmission systems, e.g. 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non-photonic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2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prism
    • H01Q15/08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prism formed of solid dielectric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2Line-of-sight transmission over an extended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RF(Radio Frequency)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OAM(Orbital Angular Momentum) 멀티 모드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OAM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는,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소자를 통해 N개의 OAM 멀티 모드를 생성하는 송신 UCA(Uniform Circular Array); 및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의 퍼짐을 억제하기 위한 송신 RF 렌즈 안테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F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OAM 멀티 모드 전송 방법{METHOD FOR OAM MULTI-MODE TRANSMISSION BY RF LENS ANTENNA}
아래 실시예들은 OAM(Orbital Angular Momentum) 멀티 모드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통신시스템은 전자기학의 관점에서 linear momentum을 이용한 방식으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IMO(Multi-Input and Multi-Output) 기술과 같이 주파수, 시간, 코드 차원 및 공간 차원(spatial domain)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통신시스템의 경우 사용자의 수와 요구하는 전송 용량이 증가할수록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효율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차원(domain) 의 통신 자원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광 통신에서 시작된 OAM(Orbital Angular Momentum )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angular momentum은 회전하는 물질에 대해 시공간에서 보존되는 물리량으로, 광 통신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OAM의 경우 양자화된 정수 형태로 표현되며, 이는 전자기파가 나선형으로 전파하는 형태로 각각을 모드라고 지칭한다. 각 모드들은 서로 직교하기 때문에 독립적인 데이터 스트림 전송에 이용 가능하다. 광 통신에서는 모드의 수에 따라 전송 용량을 수배에서 수십 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으며, 이를 RF(Radio Frequency) 대역에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RF 대역에서 전자기파의 OAM을 이용한 멀티 모드 전송 기술의 경우, 기존의 MIMO 기술과 달리 LoS(Line-of-Sight) 채널 환경에서 독립적인 채널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spectral efficiency와 전송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멀티 모드 생성 기술은 향후 근거리 5G 소형 셀 및 대용량 전송이 필요한 LoS 채널 환경의 무선 backhaul 등에 적용 가능하다. 하지만 기존의 RF 대역의 OAM 멀티 모드 전송 기술의 경우 일반적인 무선 통신환경에서는 거리에 따른 신호의 감쇄가 크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전송 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존재하며 본 발명은 RF 렌즈 안테나를 통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RF 대역에서의 OAM 전송 기술은 모드 수에 따라 전송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거리에 따른 신호의 감쇄가 크기 때문에, 실제 통신이 가능한 전송 거리가 짧아진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한 것으로 거리에 따른 신호의 감쇄를 해결하고자, RF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OAM 멀티 모드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광 통신에서 OAM 멀티 모드를 생성 및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광 통신의 경우 도 1과 같이 HP(Holographic Plate)의 원리를 이용한 SLM (Spatial Light Modulator)를 통하여 OAM 모드를 생성하며, 레이저 빔 혹은 빛을 통해 이상적인 채널에 가까운 광섬유를 따라 전송되기 때문에 거리에 따른 빔의 퍼짐 (dispersion)이 RF 대역에 비해 매우 적다.
도 2는 RF 대역에서 OAM 멀티 모드를 생성하기 위한 UCA 구조와 모드 별 방사되는 빔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RF 대역의 OAM 멀티 모드 전송의 경우 도 2와 같이 N개의 소자로 이루어진 UCA(Uniform Circular Array)와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를 통해 수행되는데, 무선 통신 채널의 경우 광 통신과 같이 이상적인 AWGN 채널이 아니며, 광 통신 보다 반송 주파수가 작기 때문에 directivity가 감소하고 전파가 전방위로 퍼지게 된다. 모드는 송신부로부터 원뿔 형태로 방사되며, 모드가 커질 수록 퍼지는 정도가 커지게 된다. 하지만 수신부의 안테나 반경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모드일수록 수신 받은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게 된다. 도 3은 도 2의 RF대역에서의 OAM 멀티 모드 특성에 의한 거리에 따른 감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드가 높을 수록 거리에 따른 감쇄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는,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소자를 통해 N개의 OAM 멀티 모드를 생성하는 송신 UCA(Uniform Circular Array); 및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의 퍼짐을 억제하기 위한 송신 RF(Radio Frequency) 렌즈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수신 장치의 수신 RF 렌즈 안테나를 통해 수신될 수 있고,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는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의 반경 내로 모아줄 수 있다.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원뿔 형태로 방사되며, 높은 모드일수록 퍼지는 정도가 커질 수 있다.
상기 전송 장치는 전송하고자 하는 NX1의 스트림 벡터를 NXN의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행렬을 통해 NX1의 전송 신호로 변환하는 송신 처리부; 및 상기 NX1의 전송 신호를 상기 N개의 안테나 소자에 할당하는 디바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는 상기 송신 UCA의 형태에 대응하는 복수의 원형 영역들로 분할 가능할 수 있다.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전송 채널은 상기 송신 UCA와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 사이의 제1 채널,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와 수신 RF 렌즈 안테나 사이의 제2 채널 및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와 수신 UCA 사이의 제3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상기 제2 채널, 상기 제3 채널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거리에만 의존하는 성질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전송 채널은 순환 행렬로 표현 가능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하는 송신 방법은, 송신 UCA(Uniform Circular Array)에 포함된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N개의 OAM 멀티 모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송신 RF(Radio Frequency) 렌즈 안테나를 통해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에 의해 퍼짐이 억제된다.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수신 장치의 수신 RF 렌즈 안테나를 통해 수신될 수 있고,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는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의 반경 내로 모아줄 수 있다.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와 수신 RF 렌즈 안테나 사이의 전송 채널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거리에만 의존하는 성질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전송 채널은 순환 행렬로 표현 가능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하는 수신 장치는, N개의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수신 UCA(Uniform Circular Array)에 맞게 모아주는 수신 RF(Radio Frequency) 렌즈 안테나; 및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소자를 통해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 UCA를 포함한다.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원뿔 형태로 방사되며, 높은 모드일수록 퍼지는 정도가 커질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N개의 안테나 소자로부터 NX1의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어셈블러; 및 상기 NX1의 수신 신호를 NXN의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행렬을 통해 NX1의 NX1의 스트림 벡터로 변환하는 수신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는 상기 수신 UCA의 형태에 대응하는 복수의 원형 영역들로 분할 가능할 수 있다.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전송 채널은 송신 UCA와 송신 RF 렌즈 안테나 사이의 제1 채널,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와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 사이의 제2 채널 및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와 상기 수신 UCA 사이의 제3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상기 제2 채널, 상기 제3 채널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거리에만 의존하는 성질을 갖고, 상기 전송 채널은 순환 행렬로 표현 가능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하는 수신 방법은 수신 RF(Radio Frequency) 렌즈 안테나를 통해 N개의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수신 UCA(Uniform Circular Array)에 맞게 모으는 단계; 및 수신 UCA에 포함된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송신 RF 렌즈 안테나와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 사이의 전송 채널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거리에만 의존하는 성질을 갖고, 상기 전송 채널은 순환 행렬로 표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RF 대역에서 전방위로 퍼지는 전파의 특성과 높은 모드로 갈수록 퍼지는 정도가 커지는 OAM 멀티 모드의 특성에 의해 거리에 따른 신호의 감쇄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OAM 모드는 원뿔 형태로 방사되며, 높은 모드일 수록 더 큰 반지름을 가지고 퍼지게 된다. 따라서, 수신기에서 한정된 안테나 반경을 갖고 있는 경우 높은 모드의 수신 전력이 감소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RF 렌즈 안테나를 적용하여 전방위로 퍼지는 높은 모드의 전파를 수신기의 안테나 반경으로 모아주고, 이를 통해 높은 모드의 수신 전력을 증가시켜 OAM 멀티 모드의 전송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mmWave대역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요구하는 무선 백홀 등에 적용가능하며, 특히 LoS 환경에서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광 통신에서 OAM 멀티 모드를 생성 및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RF 대역에서 OAM 멀티 모드를 생성하기 위한 UCA 구조와 모드 별 방사되는 빔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RF대역에서의 OAM 멀티 모드 특성에 의한 거리에 따른 감쇄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RF 렌즈 안테나와 UCA로 구성된 OAM 멀티 모드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RF 렌즈 안테나를 분할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RF 렌즈 안테나에서 UCA에 대응하는 원형의 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OAM 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OAM을 이용하는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OAM을 이용하는 수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OAM 멀티 모드를 생성하기 위해 N개의 안테나 소자로 이루어진 UCA와 OAM 멀티 모드 전송에 따른 빔의 퍼짐 현상을 모아주기 위한 RF 렌즈 안테나를 포함한다. RF 렌즈 안테나는 전방위로 퍼지는 전파를 모아주는 역할을 하며, 송신 장치는 DFT 행렬과 UCA를 통해 안테나 소자 수와 동일하게 N개의 OAM 멀티 모드를 생성한다. 수신 장치는 IDFT(Inverse DFT (IDFT)를 통해 원래의 신호를 복원한다.
본 발명에서는 RF 렌즈 안테나를 통해서도 동일한 OAM 멀티 모드 전송이 가능함을 수식적으로 보임으로써, 전송 거리 증대를 위해 RF 렌즈 안테나를 사용한 OAM 멀티 모드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RF 렌즈 안테나와 UCA로 구성된 OAM 멀티 모드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송신부(410)는 N개의 안테나 소자로 이루어진 송신 UCA와 퍼지는 전파를 수신 UCA 반경 안으로 모아주기 위한 RF 렌즈 안테나를 포함하고, 수신부(420)는 송신부와 같이 N개의 안테나 소자로 이루어진 수신 UCA와 수신 RF 렌즈 안테나를 포함한다. OAM 멀티 모드는 안테나 소자의 수와 동일하게 N개가 생성될 수 있다. 아래는 RF 렌즈 안테나를 통해서도 RF 렌즈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동일하게 UCA에서 DFT, IDFT 행렬을 통해서 OAM 멀티 모드를 생성 및 복원이 가능함을 보인다.
해당 시스템에서, 송신 UCA로부터 수신 UCA까지의 MIMO 채널은, 송신 RF 렌즈 안테나와 수신 RF 렌즈 안테나를 고려하여 송신 UCA부터 송신 RF 렌즈 안테나까지의 채널
Figure pat00001
와, 송신 RF 렌즈 안테나부터 수신 RF 렌즈 안테나까지의 채널
Figure pat00002
와, 수신 RF 렌즈 안테나부터 수신 UCA까지의 채널
Figure pat00003
로 구분될 수 있고, 이들을 통해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RF 렌즈 안테나의 영역을 UCA의 형태를 고려하여 매우 작은 두께를 갖는 원형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전체 면적 L에 대하여 전체 K개의 원형은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는 각각 송신 RF 렌즈 안테나의
Figure pat00008
번째, 수신 RF 렌즈 안테나의
Figure pat00009
번째 원형 링 부분을 의미하며, 계산의 편의성을 위해 송신과 수신 렌즈 안테나의 면적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로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원형 링 부분은 도 6과 같이 송신 UCA의 각 부분과 매칭되는 부분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RF 렌즈 안테나 상에서 송, 수신 UCA에 할당되는 새로운 UCA 부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MIMO 채널
Figure pat00013
는 수학식 2와 가상의 UCA로 간주하는 각각의 원형 링을 고려하여 수학식 3과 같이 각 송, 수신 UCA와 송, 수신 RF 렌즈 안테나의 원형 링들의 채널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14
여기서
Figure pat00015
는 송신 UCA에서 송신 RF 렌즈 안테나의
Figure pat00016
번째 원형 링 부분
Figure pat00017
까지의 채널을 의미하며,
Figure pat00018
는 송신 RF 렌즈 안테나의
Figure pat00019
번째 원형 링 부분
Figure pat00020
부터 수신 RF 렌즈 안테나의
Figure pat00021
번째 원형 링 부분
Figure pat00022
까지의 채널을 의미하며,
Figure pat00023
는 수신 RF 렌즈 안테나의
Figure pat00024
번째 원형 링 부분
Figure pat00025
부터 수신 UCA까지의 채널을 의미한다.
이제 각각의 채널
Figure pat00026
을 구하기 위해 송신 UCA 상의 n번째 안테나 소자로부터 수신 UCA의 m번재 안테나 소자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27
에 따른 자유공간상의 채널값은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28
여기서
Figure pat00029
은 다음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pat00030
여기서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는 UCA 간의 거리와, 송신 UCA 상의 n번째 안테나 소자 및 수신 UCA의 m번재 안테나 소자 각각의 반경을 의미하며,
Figure pat00033
이다. 렌즈 안테나 없이 UCA와 DFT를 통해 OAM 멀티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UCA로 생성 되는 채널 H의 성분은 거리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채널 행렬은 circulant한 성질을 갖는다. 또한, circulant 행렬은 DFT행렬
Figure pat00034
에 의해 eigenvalue decomposition이 가능하여 수학식 6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35
아래에서는 RF 렌즈 안테나를 적용하여도 수학식 6과 동일하게 DFT 행렬을 통해 eigenvalue decomposition으로 분해 가능하며, 이를 통해 OAM 멀티 모드를 생성, 복원이 가능함을 보일 것이다.
각각의 채널
Figure pat00036
의 성분들은 수학식 4와 수학식 5에 따라 거리와 안테나 소자에만 의존하며 거리에 대한 행렬로 바꾸어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37
는 모두 거리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도 6에 따라
Figure pat00038
으로 쓸 수 있으며, 각각의 거리
Figure pat00039
는 수학식 5에 근거하여 수학식 7과 같다.
Figure pat00040
여기서
Figure pat00041
은 송신 UCA와 송신 RF 렌즈 안테나의
Figure pat00042
번째 원형 링의 UCA까지의 거리, 송신 UCA의 반경, 송신 RF 안테나의
Figure pat00043
번째 원형 링의 반경을 의미한다. 또한
Figure pat00044
은 송신 RF 렌즈 안테나의
Figure pat00045
번째 원형 링의 UCA와 수신 RF 렌즈 안테나의
Figure pat00046
번째 원형 링의 UCA까지의 거리, 송신 RF 안테나의
Figure pat00047
번째 원형 링의 반경, 수신 RF 렌즈 안테나의
Figure pat00048
번째 원형 링의 반경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Figure pat00049
은 수신 RF 렌즈 안테나의
Figure pat00050
번째 원형 링의 UCA에서 수신 UCA까지의 거리, 수신 RF 안테나의
Figure pat00051
번째 원형 링의 반경, 수신 UCA의 반경을 의미한다.
수학식 7에 따라서
Figure pat00052
은 다음 수학식 8과 같이 쓸 수 있으며, 채널 성분이 거리에만 의존하며 UCA의 구조적인 성질에 의해 각 채널 행렬마다
Figure pat00053
,
Figure pat00054
,
Figure pat00055
값이 같은 대각 성분마다 같은 circulant 행렬이 된다.
Figure pat00056
각각의 채널 행렬들은 circulant 행렬이며, circulant 행렬의 경우 DFT, IDFT 행렬을 통해 eigenvalue decomposition이 가능하다. NXN DFT 행렬을
Figure pat00057
라 할 때 각각의 채널 행렬은 다음 수학식 9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Figure pat00058
여기서,
Figure pat00059
는 각 채널 행렬
Figure pat00060
를 eigenvalue decomposition하여 얻게 되는 eigenvalue들의 값으로 이루어진 complex diagonal 행렬이다.
전체 MIMO 채널
Figure pat00061
는 수학식 3에 위의 수학식 8, 수학식 9의 결과들을 대입하여 다음과 같이 수학식 10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62
여기서 diagonal matrix의 곱들은 각각의 diagonal 성분들을 곱한 diagonal 행렬로 표현되기 때문에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라 하면
Figure pat00065
은 수학식 11과 같으며, 수학식 10는 수학식 12과 같이 같다.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7
수학식 12에서
Figure pat00068
Figure pat00069
는 전체 MIMO 채널
Figure pat00070
의 DFT 행렬을 통한 eigenvalue decomposition을 통한 diagonal matrix로 수학식 13와 같다.
Figure pat00071
따라서, 수학식 11을 통해 UCA에 RF 렌즈 안테나를 적용하고 DFT 행렬을 통해 OAM 멀티 모드를 생성 복원하는 것은 기존의 OAM 멀티 모드 생성 및 복원과 과 동일하게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송신 신호를 x라 하고 잡음을 n이라 할 때 수신 신호 y는 다음 수학식 14와 같이 표현되며, DFT 행렬에 의한 eigenvalue decomposition을 고려하면 수학식 15와 같이 신호 
Figure pat00072
Figure pat00073
를 복원 할 수 있다.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여기서 s는 원래 보내고자 하는 메시지 신호이며,
Figure pat00076
는 도7과 같이 송신기에서 s에 DFT를 곱하여 UCA를 통해서 OAM 멀티 모드로 생성 되어 전송된다. 수신부에서는 반대로 IDFT를 수행하여 원신호 s를 복원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OAM 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은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는, 송신 처리부, 디바이더, 송신 UCA 및 송신 RF 렌즈 안테나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 장치는, 수신 처리부, 어셈블러, 수신 UCA 및 수신 RF 렌즈 안테나를 포함한다. 통신 채널은 LoS 채널일 수 있다.
송신 UCA는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고, 안테나 소자를 통해 N개의 OAM 멀티 모드를 생성한다. 송신 RF 렌즈 안테나는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의 퍼짐을 억제한다. 송신 처리부는 전송하고자 하는 NX1의 스트림 벡터를 NXN의 DFT 행렬을 통해 NX1의 전송 신호로 변환한다. 디바이더는 NX1의 전송 신호를 송신 UCA의 N개의 안테나 소자에 할당한다.
수신 RF 렌즈 안테나는 N개의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수신 UCA에 맞게 모아준다. 수신 UCA는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고, 안테나 소자를 통해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수신한다. 어셈블러는 N개의 안테나 소자로부터 NX1의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 처리부는 NX1의 수신 신호를 NXN의 IDFT 행렬을 통해 NX1의 NX1의 스트림 벡터로 변환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OAM을 이용하는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810)에서, 전송 장치는 송신 UCA에 포함된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N개의 OAM 멀티 모드를 생성한다. 단계(820)에서, 전송 장치는 송신 RF 렌즈 안테나를 통해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전송한다. 그 밖에, 전송 장치는 앞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OAM을 이용하는 수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910)에서, 수신 장치는 수신 RF 렌즈 안테나를 통해 N개의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수신 UCA에 맞게 모은다. 단계(920)에서, 수신 장치는 수신 UCA에 포함된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수신한다. 그 밖에, 수신 장치는 앞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소자를 통해 N개의 OAM 멀티 모드를 생성하는 송신 UCA(Uniform Circular Array); 및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의 퍼짐을 억제하기 위한 송신 RF(Radio Frequency) 렌즈 안테나
    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수신 장치의 수신 RF 렌즈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는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의 반경 내로 모아주는,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원뿔 형태로 방사되며, 높은 모드일수록 퍼지는 정도가 커지는,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송하고자 하는 NX1의 스트림 벡터를 NXN의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행렬을 통해 NX1의 전송 신호로 변환하는 송신 처리부; 및
    상기 NX1의 전송 신호를 상기 N개의 안테나 소자에 할당하는 디바이더
    를 더 포함하는,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는 상기 송신 UCA의 형태에 대응하는 복수의 원형 영역들로 분할 가능한,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전송 채널은 상기 송신 UCA와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 사이의 제1 채널,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와 수신 RF 렌즈 안테나 사이의 제2 채널 및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와 수신 UCA 사이의 제3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 상기 제2 채널, 상기 제3 채널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거리에만 의존하는 성질을 갖고, 상기 전송 채널은 순환 행렬로 표현 가능한, 송신 장치.
  7.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UCA(Uniform Circular Array)에 포함된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N개의 OAM 멀티 모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송신 RF(Radio Frequency) 렌즈 안테나를 통해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에 의해 퍼짐이 억제되는,
    송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수신 장치의 수신 RF 렌즈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는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의 반경 내로 모아주는, 송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와 수신 RF 렌즈 안테나 사이의 전송 채널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거리에만 의존하는 성질을 갖고, 상기 전송 채널은 순환 행렬로 표현 가능한, 송신 방법.
  10.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N개의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수신 UCA(Uniform Circular Array)에 맞게 모아주는 수신 RF(Radio Frequency) 렌즈 안테나; 및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소자를 통해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 UCA
    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원뿔 형태로 방사되며, 높은 모드일수록 퍼지는 정도가 커지는, 수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안테나 소자로부터 NX1의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어셈블러; 및
    상기 NX1의 수신 신호를 NXN의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행렬을 통해 NX1의 NX1의 스트림 벡터로 변환하는 수신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수신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는 상기 수신 UCA의 형태에 대응하는 복수의 원형 영역들로 분할 가능한, 수신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는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전송 채널은 송신 UCA와 송신 RF 렌즈 안테나 사이의 제1 채널, 상기 송신 RF 렌즈 안테나와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 사이의 제2 채널 및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와 상기 수신 UCA 사이의 제3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 상기 제2 채널, 상기 제3 채널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거리에만 의존하는 성질을 갖고, 상기 전송 채널은 순환 행렬로 표현 가능한, 수신 장치.
  15.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하는 수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 RF(Radio Frequency) 렌즈 안테나를 통해 N개의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수신 UCA(Uniform Circular Array)에 맞게 모으는 단계; 및
    수신 UCA에 포함된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상기 OAM 멀티 모드에 따른 전파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송신 RF 렌즈 안테나와 상기 수신 RF 렌즈 안테나 사이의 전송 채널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거리에만 의존하는 성질을 갖고, 상기 전송 채널은 순환 행렬로 표현 가능한, 수신 방법.
KR1020160009591A 2015-12-15 2016-01-26 Rf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oam 멀티 모드 전송 방법 KR101857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051 2015-12-15
KR20150179051 2015-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385A true KR20170071385A (ko) 2017-06-23
KR101857856B1 KR101857856B1 (ko) 2018-05-15

Family

ID=5928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591A KR101857856B1 (ko) 2015-12-15 2016-01-26 Rf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oam 멀티 모드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8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542A1 (ko) * 2017-06-30 2019-01-03 한국과학기술원 렌즈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및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10727572B2 (en) 2017-12-05 2020-07-28 Hyundai Motor Company Antenna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2660723B1 (ko) * 2022-12-16 2024-04-24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Rf 렌즈를 활용한 oam 전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6801B (zh) * 2019-06-28 2023-07-14 Lg电子株式会社 在光学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其发送终端和接收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7020C (zh) * 2003-07-18 2008-11-26 凯米映像公司 多波长成像光谱仪的方法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542A1 (ko) * 2017-06-30 2019-01-03 한국과학기술원 렌즈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및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10727572B2 (en) 2017-12-05 2020-07-28 Hyundai Motor Company Antenna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2660723B1 (ko) * 2022-12-16 2024-04-24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Rf 렌즈를 활용한 oam 전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856B1 (ko)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856B1 (ko) Rf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oam 멀티 모드 전송 방법
KR102330915B1 (ko) 지능형 반사 표면의 소자 할당을 이용한 통합 빔포밍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50656B1 (ko) 매시브 안테나 기반의 패턴/편파 빔 분할 다중 접속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20160219567A1 (en) Joint pattern beam sectorization method and apparatuses performing the same
KR102038302B1 (ko) 비직교 다중 접속을 위한 빔포밍 장치 및 방법
KR102478167B1 (ko) 주파수 할당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송 장치
KR20230167030A (ko) 재구성가능한 지능형 표면 (ris) 을 위한 주파수 의존 제어 및 임펄스 응답 필터링
US20180351656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high throughput acoustic transmission
Zhang et al. Array resource allocation for radar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network
KR101669857B1 (ko) 대규모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및 피드백 방법
US10425140B2 (en) Beamform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KR20160000222A (ko) 다운링크 mu-mimo을 위한 반복적 간섭 정렬 방법 및 장치
KR102376810B1 (ko) 인공 잡음을 활용한 보안 성능 향상 방법 및 장치
KR101681814B1 (ko) 멀티모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US10536201B2 (en) Coordinated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Nuti et al. Spectral efficiency vs complexity in downlink algorithms for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s
Soleimani et al. mm-Wave channel estimation with accelerated gradient descent algorithms
Chen et al. mCore+: A Real-Time Design Achieving∼ 500 μs Scheduling for 5G MU-MIMO Systems
Agrahari et al. Joint secondary user transceiver optimization and user/antenna selection for MIMO–OFDM cognitive radio networks with CSI uncertainty
KR20220009713A (ko) Ofdma 기반 무선 전력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에너지 효율적인 자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
KR101833168B1 (ko) 서로 다른 방사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및 이의 통신 방법
KR20090020954A (ko) 다중 사용자 빔포밍 벡터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
Singh et al. Low Complexity Hybrid Beamforming Technique for Massive MIMO System
Kamble et al. A novel user clustering based beamspace MIMO-NOMA
KR102456042B1 (ko) 광대역 하향링크 시스템의 사용자 간섭 제어를 위한 ofdm 기반 하이브리드 빔포밍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