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976B1 - 시뮬레이션 시스템, 시뮬레이션 장치 및 상품 설명 보조 방법 - Google Patents

시뮬레이션 시스템, 시뮬레이션 장치 및 상품 설명 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976B1
KR101748976B1 KR1020157023939A KR20157023939A KR101748976B1 KR 101748976 B1 KR101748976 B1 KR 101748976B1 KR 1020157023939 A KR1020157023939 A KR 1020157023939A KR 20157023939 A KR20157023939 A KR 20157023939A KR 101748976 B1 KR101748976 B1 KR 101748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pectacle lens
lens
simul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995A (ko
Inventor
화 치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4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8Special mathematical design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06T3/18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점에서 이용되는 단말장치(1)와,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시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가, 서버 장치(3)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3)는,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킨 시뮬레이션 화상을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별로 출력 가능한 상태로 하는 화상 생성부(35)와, 상기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에 관한 해설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36)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는,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을 상기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화면부(22)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1)는, 상기 표시 화면부(22)가 표시하는 부분 시야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해설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12a)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시뮬레이션 시스템, 시뮬레이션 장치 및 상품 설명 보조 방법{SIMULATION SYSTEM, SIMULATION DEVICE, AND PRODUCT DESCRIPTION ASSISTANCE METHOD}
본 발명은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를 통해 보이는 모습을 당해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의사적(疑似的)으로 체험시키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시뮬레이션 장치 및 상품 설명 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안경점에 있어서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안경 렌즈를 사용한 상태를 의사 체험시키는 시뮬레이션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면,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는, 렌즈 발주에 앞서 시뮬레이션 화상을 시인(視認)함으로써, 안경 렌즈를 통한 경우의 보이는 모습(이미지(像)의 왜곡이나 흐릿함(blur) 등)을 체감할 수 있다. 또, 안경점 측에 있어서도, 시뮬레이션에 의한 이미지 형성을 이용하므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소망하는 렌즈 처방 등의 샘플 렌즈를 준비할 필요가 없이, 샘플 렌즈에는 없는 종류의 렌즈를 사용했을 경우의 보이는 모습을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체감시킬 수도 있다.
특히, 근래에는, 안경 렌즈로서 개별 설계의 자유 곡면을 가진 누진 굴절력 렌즈가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누진 굴절력 렌즈에 대해서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의 생활 상황이나 안경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적절한 렌즈 설계 기준이 선택되고, 그 선택된 렌즈 설계 기준에 따라 광학 설계가 이루어진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그 때문에, 개개의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 대해서 최적으로 커스터마이즈된 안경 렌즈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샘플 렌즈를 준비해 두는 것이 곤란하여,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을 시키는 것이 매우 유용하게 된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2010/044383호 특허 문헌 2: 국제 공개 제2009/133887호
그런데, 개별 설계의 자유 곡면을 가진 누진 굴절력 렌즈에 대해서는, 적용되는 렌즈 설계 기준에 따라서 렌즈 설계상의 특징이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적용되는 렌즈 설계 기준에 따라서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이 다른 것을 의미한다. 즉, 적용되는 렌즈 설계 기준에 따라서는,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안경 렌즈를 통해 보이는 모습도 달라져 버리게 된다. 또한, 안경 렌즈를 통해 보이는 모습은, 원방시(遠方視) 영역, 근방시(近方視) 영역, 중간시(中間視) 영역 등과 같은 각 영역 사이에서도 다르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렌즈 사용 상태를 의사 체험하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 대해서,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의 차이를 통지하여 충분히 파악시킨 다음, 그 의사 체험의 결과에 대한 적부(適否)를 판단시키는 것이, 그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만족감을 주기 위해서 매우 중요해진다.
그렇지만, 종래의 시뮬레이션 장치는, 안경 렌즈를 통해 보이는 모습을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의사 체험시킬 수 있어도, 반드시 안경 렌즈마다의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의 차이를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충분히 파악시킬 수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안경 렌즈마다의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은, 예를 들면 개별 설계의 자유 곡면을 가진 누진 굴절력 렌즈의 경우, 그 설계 타입은 조합에 의해 수백 종류에도 이른다. 그 때문에, 수백 종류에도 이르는 설계 타입의 각각에 의한 특징의 차이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점원이 아니면,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선정한 안경 렌즈가 어떠한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당해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 대해서 정확하게 통지하여 파악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즉,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선정한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설명하는데도, 안경점의 점원에 대해서 렌즈 설계의 이해도나 그 설명 능력 등에 대한 높은 스킬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점원의 스킬에 따라서는,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충분히 파악시키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불만으로 느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종래의 시뮬레이션 장치에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시뮬레이션 화상을 시인시킴에 있어서, 그 시뮬레이션 화상을 HMD(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다만, HMD를 이용하여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을 시키는 경우, 안경 렌즈의 전시야를 명료하게 재현할 수 있는 HMD는 적고, 전시야(全視野)를 명료하게 재현 가능한 것은 안경점에 도입하려면 고가이고 크기나 중량면 등에서도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부담이 되는 것이 되어 버린다. 또, 소형 경량으로 염가인 HMD도 존재하지만, 그러한 HMD에서는 시야가 한정되어 버리고, 해상도(解像度)도 시뮬레이션을 행하기에 충분한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시뮬레이션 장치에서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뿐만 아니라, 안경점 측도 불만으로 느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을 시키는 경우에,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나 안경점 측 등의 상술한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시뮬레이션 장치 및 상품 설명 보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다.
이 목적 달성을 위해서, 본원 발명자는, 우선,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에 대해 검토했다.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은, 예를 들면 개별 설계의 자유 곡면을 가진 누진 굴절력 렌즈이면, 안경 렌즈의 설계 타입마다 다르고, 또한 원방시 영역, 근방시 영역, 중간시 영역 등과 같은 각 영역 사이에서도 다르다. 그 때문에, 조합에 의해 수백 종류에도 이르는 특징의 차이를 모두 파악하는 것은, 누구에 있어서도 매우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이것을 바탕으로, 본원 발명자는, 추가로 예의 검토를 거듭했다. 그리고 본원 발명자는, 렌즈 설계 타입마다 및 각 영역 사이에서 다른 렌즈 시각 특성에 대해서, 그 특징에 관한 해설 정보를 설계 타입별 및 각 영역별로 미리 준비해 두고,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 대한 시뮬레이션 화상의 표시에 맞춰서 그 표시 내용에 대응하는 해설 정보의 출력을 행하면,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의 파악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착상에 이르렀다. 또한, 시뮬레이션 화상의 표시를,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에 대해서 일괄하여 행하는 것이 아니라, 당해 전시야 영역을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으로 나누고, 그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행하도록 하면, 해당하는 해설 정보의 출력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화상 표시측의 시야의 크기나 해상도 등에 의존하지 않고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을 명료하게 시인시킬 수 있다고 하는 착상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본원 발명자에 의한 새로운 착상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안경점에서 이용되는 단말장치와, 상기 안경점에 방문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시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컴퓨터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서버 장치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의 렌즈 설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당해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원화상(元畵像)에 대해서, 당해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키는 화상 처리를 행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부와, 상기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에 관한 해설 정보를, 당해 부분 시야 영역과 대응지어, 상기 렌즈 설계 데이터에 적용되는 렌즈 설계 기준의 종류별로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을 상기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시인시키는 표시 화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표시 화면부가 표시하는 부분 시야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해설 정보를 상기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득하여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화상 생성부는, 상기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의 등고선(等高線)의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으로의 중첩 처리를 행하는 것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표시 화면부는 상기 등고선이 중첩된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화상 생성부는, 상기 안경 렌즈를 유지하는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화상의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으로의 반영 처리를 행하는 것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표시 화면부는, 상기 테두리 화상이 반영된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제1, 제2 또는 제3 양태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의 머리 부분에 장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표시 화면부는,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의 좌우 눈의 각각에 대해서 개별로 화상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제1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안경점의 점원이 사용하는 휴대형 정보 단말이고,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해설 정보를 상기 점원에 대해서 표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제1 내지 제5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해설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는, 제1 내지 제6 양태 중 어느 한 양태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시키는 부분 시야 영역의 선택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양태는,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에 적용해야 할 렌즈 설계 기준의 종류를 특정하고, 그 특정한 종류의 렌즈 설계 기준을 적용하면서 당해 안경 렌즈의 렌즈 설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양태는, 안경점에서 이용되는 단말장치와, 상기 안경점에 방문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시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구성된 시뮬레이션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원화상에 대해서 당해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키는 화상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시뮬레이션 화상을, 상기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시인시키는 표시 화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표시 화면부가 표시하는 부분 시야 영역에 반영된 상기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에 관한 해설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10 양태는, 제9 양태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은, 통신 회선망에 접속하여, 당해 통신 회선망상의 서버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적어도 상기 부분 시야 영역별의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 및 상기 해설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 양태는, 제9 양태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부분 시야 영역별의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 및 상기 해설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 양태는, 안경점에서 이용되는 단말장치와, 상기 안경점에 방문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시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면서, 상기 안경점에서의 상품 설명 시에 당해 상품 설명을 보조하는 상품 설명 보조 방법으로서,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원화상에 대해서 당해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키는 화상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시뮬레이션 화상을, 상기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시하여,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시인시키는 화상 표시 스텝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시하는 부분 시야 영역에 반영된 상기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에 관한 해설 정보를, 당해 부분 시야 영역과 당해 해설 정보가 대응지어진 상태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 스텝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시하는 부분 시야 영역의 선택을 전환함과 아울러,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출력하는 해설 정보의 전환을 행하는 선택 전환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설명 보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을 시키는 경우에, 그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 대해서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충분히 파악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더하여 안경 렌즈의 전시야를 명료하게 시인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시스템 전체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의 특징적인 절차의 상세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태블릿 단말에서의 표시 출력 내용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에서 취급하는 화상으로, 시뮬레이션 화상 생성의 기본이 되는 원화상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에서 취급하는 화상으로, 원화상에 화상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시뮬레이션 화상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에서 취급하는 화상으로,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의 등고선을 나타내는 화상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에서 취급하는 화상으로, 명료 지수의 등고선 화상이 중첩된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의 특징적인 절차의 상세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에서 취급하는 화상으로, 원화상에 화상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시뮬레이션 화상에 프레임 테두리 화상을 반영시킨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에서 취급하는 화상으로,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의 등고선을 나타내는 화상에 프레임 테두리 화상을 반영시킨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에서 취급하는 화상으로, 명료 지수의 등고선 화상이 중첩된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에 프레임 테두리 화상을 반영시킨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순서로 항목 분류를 하여 설명을 행한다.
A. 제1 실시 형태
1. 시뮬레이션 시스템 전체의 개략 구성
2.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기능 구성
3. 안경점에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의 절차
4. 본 실시 형태의 효과
B. 제2 실시 형태
C. 변형예 등
[A. 제1 실시 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1. 시뮬레이션 시스템 전체의 개략 구성>
우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시스템 전체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시스템 전체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안경점 S를 방문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 대해서, 당해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를 통해 보이는 모습을 의사적으로 체험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를 위하여,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안경점 S에서 이용되는 단말장치(1)와, 안경점 S에 방문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시인하는 표시 화면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2)와, 컴퓨터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서버 장치(3)가, 인터넷 등의 통신 회선망(4)을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단말장치(1), 디스플레이 장치(2) 및 서버 장치(3)가 각각 한 개씩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하나의 서버 장치(3)에 대해서 복수의 단말장치(1) 및 디스플레이 장치(2)(즉 복수의 안경점 S)가 접속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단말장치(1)로서는, 예를 들면, 안경점 S의 점원 P2가 사용하는 휴대형 정보 단말(이하 「태블릿 단말」이라고 함. )이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장치(1)가 태블릿 단말인 경우를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또, 디스플레이 장치(2)로서는, 예를 들면,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의 머리 부분에 장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이하 「HMD」라고 함. )가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가 HMD인 경우를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또한, 안경점 S에서는, 태블릿 단말(1)과 HMD(2)가 이용되는데, 이들에 의해서 후술하는 시뮬레이션 장치가 구성되게 된다.
<2.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기능 구성>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크게 나누면, 서버 장치(3)와 시뮬레이션 장치(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버 장치(3)와 시뮬레이션 장치(5)의 사이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통신 회선망(4)을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서버 장치)
서버 장치(3)는 안경 렌즈를 통해 보이는 모습을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의사 체험시키기 위해서,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킨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 생성한 시뮬레이션 화상의 시뮬레이션 장치(5)로의 송신, 그 외 필요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버 장치(3)는 통신 인터페이스(이하, 인터페이스를 「I/F」라고 간단히 함. )부(31), 취득 정보 인식부(32),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 원화상 기억부(34), 화상 생성부(35), 해설 정보 기억부(36) 및 제어부(37)로서의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신 I/F부(31)는 통신 회선망(4)을 통해서, 안경점 S측의 시뮬레이션 장치(5)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취득 정보 인식부(32)는 통신 I/F부(31)를 통해서 안경점 S 측으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안경점 S 측으로부터의 정보에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파라미터 정보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의 처방 정보, 당해 안경 렌즈를 유지하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 정보,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상정하는 생활 환경 정보 등에 유래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이다.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는 취득 정보 인식부(32)에서 인식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에 적용해야 할 렌즈 설계 기준의 종류를 특정하고, 그 특정한 종류의 렌즈 설계 기준을 적용하면서 당해 안경 렌즈의 렌즈 설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적용하는 렌즈 설계 기준의 종류에는 다양한 것이 존재하고, 그 때문에 렌즈 설계 데이터의 설계 타입은 조합에 의해 수백 종류에도 이르게 된다. 또한, 렌즈 설계 기준 및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에(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2009/133887호 참조),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원화상 기억부(34)는, 화상 생성부(35)에서의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에 필요한 원화상 데이터(34a)를 기억 유지해 두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원화상 기억부(34)가 기억 유지하는 원화상 데이터(34a)로서는, 시뮬레이션 화상의 원화상에 상당하는 삼차원 CG(컴퓨터 그래픽스) 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들 수 있다. 또한, 원화상은, 반드시 CG 화상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촬상 카메라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이어도 상관없다.
또, 원화상 기억부(34)는,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원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원화상 데이터(34a)로서 기억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다만, 적어도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해서 원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 유지하고 있으면, 원화상 기억부(34)는 추가로 다른 화상 데이터를 기억 유지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이란, 안경 렌즈를 통해 보았을 경우의 전시야에 상당하는 영역을 말한다. 「전시야」란, 안경 렌즈를 통해 시인 가능한 시야각의 범위를 말하며, 예를 들면 수평 방향 약 90°, 수직 방향 약 70°의 범위를 말한다.
전시야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이란, 전시야 영역을 미리 설정된 구분 양태에 따라 구분했을 경우의 각각의 영역을 말한다. 각 부분 시야 영역으로의 구분은,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의 차이를 고려하여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안경 렌즈가 누진 굴절력 렌즈이면, 전시야 영역을 9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원방시 영역의 우측 부분, 중앙 부분, 좌측 부분, 근방시 영역의 우측 부분, 중앙 부분, 좌측 부분, 중간시 영역의 우측 부분, 중앙 부분, 좌측 부분의 각각이 다른 영역에 속하도록 한 것을 들 수 있다. 다만, 이들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은, 각각이 전시야 영역의 일부분에 상당하는 것이면 좋고, 각 부분 시야 영역이 서로 중복하는 화상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해서, 각각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 유지해 둠으로써, 원화상 기억부(34)는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에 대해서 일괄하여 화상 출력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당해 전시야 영역을 복수의 소시야로 구분한 각 부분 시야 영역별로 화상 출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화상 생성부(35)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킨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을 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화상 생성부(35)는 화상 처리부(35a) 및 화상 중첩부(35b)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 처리부(35a)는,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가 생성한 렌즈 설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원화상 기억부(34)에 기억 유지된 원화상 데이터(34a)에 대해서, 그 렌즈 설계 데이터에 의해서 특정되는 시각 특성(흐릿함·왜곡 등)을 반영시키는 화상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 화상 처리에 의해서, 각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원화상에 대해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킨 시뮬레이션 화상이 생성되게 된다. 또한, 화상 처리에 의한 시뮬레이션 화상 생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에(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2010/044383호 참조),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화상 중첩부(35b)는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가 생성한 렌즈 설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를 구함과 아울러, 그 명료 지수의 등고선을 나타내는 화상을 생성하고, 그 등고선의 화상을 화상 처리부(35a)에서의 화상 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시뮬레이션 화상에 중첩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명료 지수」는, 안경 렌즈(특히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의 하나를 말한다. 다만, 명료 지수의 상세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에(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3919097호 참조),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해설 정보 기억부(36)는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해설하기 위한 해설 정보(36a)를 기억 유지해 두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해설 정보 기억부(36)에서는, 렌즈 시각 특성이 안경 렌즈의 설계 타입마다 다르기 때문에, 렌즈 설계 데이터에 적용되는 렌즈 설계 기준의 종류별로 해설 정보(36a)의 기억 유지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화상 처리부(35a)가 화상 처리 대상으로 하는 각 부분 시야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도 렌즈 시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각 부분 시야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의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에 관한 해설 정보(36a)를, 당해 부분 시야 영역과 대응지어 기억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해설 정보(36a)의 상세나 구체예 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37)는 서버 장치(3) 전체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각부 31~36은, 제어부(37)에 의해서 동작이 제어되게 된다.
이들 각부 31~37로서의 기능은, 컴퓨터로서의 서버 장치(3)가 가지는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하면서, 그 서버 장치(3)가 소정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되는 것이다. 그 경우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서버 장치(3)에 인스톨되어 이용되게 되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 장치(3)가 액세스 가능하면 통신 회선망(4) 상의 다른 장치에 존재해도 좋다.
(시뮬레이션 장치)
한편, 시뮬레이션 장치(5)는 안경 렌즈를 통해 보이는 모습을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의사 체험시키기 위해서, 안경점 S 측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HMD(2)와 태블릿 단말(1)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HMD)
HMD(2)는 안경점 S를 방문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의 머리 부분에 장착된 상태로 시뮬레이션 화상의 표시 출력을 행함으로써, 그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안경 렌즈를 통해 보이는 모습을 의사 체험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HMD(2)는 통신 I/F부(21) 및 표시 화면부(22)로서의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신 I/F부(21)는 도시하지 않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회선을 통해서 태블릿 단말(1)과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다만, 통신 I/F부(21)는 통신 회선망(4)을 통해서 서버 장치(3)와의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겸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표시 화면부(22)는, 서버 장치(3)가 생성한 시뮬레이션 화상을 표시하여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시인시키기 위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다만, 표시 화면부(22)는, 시뮬레이션 화상의 표시를, 화상 생성부(35)의 화상 처리부(35a)가 화상 처리 대상으로 한 각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행함과 아울러, 화상 생성부(35)의 화상 중첩부(35b)에 의해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의 등고선 화상이 중첩된 상태에서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표시 화면부(22)는, HMD(2)에 있어서의 기능이기 때문에, 각 부분 시야 영역별의 화상 표시를,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의 좌우 눈의 각각에 대해서 개별로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표시 화면부(22)는 각 부분 시야 영역별의 화상 표시를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표시 가능한 화상 사이즈가 반드시 전시야 영역에 대응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표시 화면의 대각방향 약 50° 정도의 시야각에 대응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태블릿 단말)
태블릿 단말(1)은 안경점 S의 점원 P2가 휴대하여 조작하는 것으로, 안경 렌즈를 통해 보이는 모습을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의사 체험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태블릿 단말(1)은 통신 I/F부(11) 및 터치 패널부(12)로서의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신 I/F부(11)는 통신 회선망(4)을 통해서 서버 장치(3)와의 통신을 행함과 아울러, 도시하지 않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회선을 통해서 HMD(2)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터치 패널부(12)는 정보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보 출력부(12a), 조작부(12b) 및 정보 입력부(12c)로서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정보 출력부(12a)는 터치 패널부(12)의 정보 출력 기능을 이용하면서 점원 P2에 대해서 각종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정보 출력부(12a)가 표시 출력하는 각종 정보에는, 서버 장치(3)의 해설 정보 기억부(36)가 기억 유지하는 해설 정보(36a)가 포함된다. 즉, 정보 출력부(12a)는 해설 정보 기억부(36) 내의 해설 정보(36a)를 당해 해설 정보 기억부(36)로부터 취득하여, 점원 P2에 대해서 표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만, 정보 출력부(12a)는, HMD(2)의 표시 화면부(22)가 표시하는 부분 시야 영역에 대응하는 해설 정보(36a)에 대해서, 그 표시 출력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부(12b)는 터치 패널부(12)의 정보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HMD(2)의 표시 화면부(22)에 표시시키는 부분 시야 영역의 선택 조작을 행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정보 입력부(12c)는 터치 패널부(12)의 정보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3. 안경점에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의 절차>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을 시키기 위해서 행하는 시뮬레이션 처리의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뮬레이션 처리의 개요)
여기에서는, 우선, 안경점 S에서 행해지는 시뮬레이션 처리의 개요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안경점 S에서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의 처방 등을 결정하면, 그 처방 정보 등을 포함하는 파라미터 정보를, 점원 P2가 태블릿 단말(1)의 정보 입력부(12c)에서 입력하고(스텝 101, 이하 스텝을 「S」라고 간단히 함. ), 그 태블릿 단말(1)의 통신 I/F부(11)로부터 통신 회선망(4)을 통해서 서버 장치(3)로 송신한다.
파라미터 정보가 송신되어 오면, 서버 장치(3)에서는, 그 파라미터 정보를 통신 I/F부(31)로 수신하여 취득 정보 인식부(32)로 인식함과 아울러, 그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가 적용해야 할 렌즈 설계 기준의 종류를 특정하고, 그 특정한 종류의 렌즈 설계 기준을 적용하면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 예정인 안경 렌즈(즉 결정한 처방 등에 따른 안경 렌즈)의 렌즈 설계 데이터를 생성한다(S102).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가 렌즈 설계 데이터를 생성하면, 서버 장치(3)에서는, 그 렌즈 설계 데이터에 의해서 특정되는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킨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을, 화상 생성부(35)가 행한다(S103). 그리고 생성한 시뮬레이션 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통신 I/F부(31)로부터 통신 회선망(4)을 통해서 안경점 S 측으로 송신한다.
안경점 S 측에서는, 서버 장치(3)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태블릿 단말(1)의 통신 I/F부(11)로 수신함과 아울러, 그 태블릿 단말(1)에 의한 관리를 거치면서, 태블릿 단말(1)의 통신 I/F부(11)로부터 HMD(2)로 송신하여, 그 HMD(2)의 통신 I/F부(21)에 수신시킨다. 이것에 의해, HMD(2)는 태블릿 단말(1)에 의한 관리 하에, 표시 화면부(22)가 서버 장치(3)에서 생성된 시뮬레이션 화상을 표시하여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시인시켜, 그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을 시킨다(S104).
시뮬레이션 화상을 시인한 결과, 그 시뮬레이션 화상의 보이는 모습에 위화감을 느끼는 일 없어,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의 결과가 OK라고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판단하면(S105), 안경점 S에서는, 그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를 위해서, 결정한 처방 등에 의한 렌즈 발주를 행한다(S106).
한편,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의 결과가 NG라고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판단했을 경우에는(S105), 안경 렌즈의 처방 등을 변경한 다음, 의사 체험 결과가 OK가 될 때까지, 다시 상술한 일련의 절차를 반복한다(S101~S105).
이상과 같은 절차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렌즈 사용 상태를 의사 체험시키기 위한 시뮬레이션 처리를 행한다.
(시뮬레이션 처리의 상세)
이어서, 상술한 절차의 시뮬레이션 처리 중,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에서부터 표시 출력까지의 절차에 대해서, 추가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의 특징적인 절차의 상세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에 있어서(도 3의 S103 참조), 서버 장치(3)에서는,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가 생성한 렌즈 설계 데이터와, 그 데이터 생성 시에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가 적용한 렌즈 설계 기준의 종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화상 생성부(35)가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로부터 취득한다(S201). 추가로는,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에 필요한 원화상 데이터(34a)를, 화상 생성부(35)가 원화상 기억부(34)로부터 취득한다(S202).
이들 각종 데이터나 정보 등의 취득 후, 화상 생성부(35)에서는, 화상 처리부(35a)가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을 행한다. 즉, 화상 처리부(35a)는, 취득한 렌즈 설계 데이터에 따른 흐릿함·왜곡 등을 더하는 화상 처리를, 같이 취득한 원화상 데이터(34a)에 대해서 행하여,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킨 시뮬레이션 화상을 생성한다(S203). 이것에 의해, 서버 장치(3)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에 대해서 일괄이 아니라, 당해 전시야 영역을 복수의 소시야로 구분한 각 부분 시야 영역별(즉 소시야별)로, 시뮬레이션 화상의 출력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 이때, 화상 생성부(35)에서는, 화상 중첩부(35b)가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의 등고선 화상을 생성하고, 그 등고선 화상을 시뮬레이션 화상에 중첩시킨다(S204). 이것에 의해, 서버 장치(3)에서는, 각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에, 당해 부분 시야 영역에 있어서의 명료 지수의 등고선 화상을 중첩시킨 상태에서, 그 출력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추가로, 서버 장치(3)에서는, 화상 생성부(35)가 각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을 행하면, 각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해설 정보(36a)를, 제어부(37)가 해설 정보 기억부(36)로부터 판독한다(S205).
그리고 제어부(37)는,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태블릿 단말(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화상 생성부(35)가 생성한 각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에서 등고선 화상이 중첩된 것에 대한 화상 데이터와, 해설 정보 기억부(36)로부터 판독한 해설 정보(36a)를, 통신 I/F부(31)로부터 통신 회선망(4)을 통해서 태블릿 단말(1)로 송신한다.
한편, 태블릿 단말(1)에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부(12)를 조작하는 점원 P2에 의한 소정 조작이 있으면, 우선, 서버 장치(3)에 대해서 전시야 영역의 원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따라서, 서버 장치(3)로부터는, 전시야 영역의 원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어 온다. 이때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은, 당해 전시야 영역을 구성하는 모든 부분 시야 영역의 원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각각 별개로 송신해도 좋고, 혹은 각 부분 시야 영역 사이에서 중복 화상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당해 중복 화상 부분을 겹치도록 합성한 후에 송신해도 좋다. 또, 각 부분 시야 영역의 원화상과는 별도로, 전시야 영역의 원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준비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전시야 영역의 원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서버 장치(3)로부터 전시야 영역의 원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면, 태블릿 단말(1)은 그 화상 데이터를 통신 I/F부(11)로 수신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부(12)의 정보 출력부(12a)가, 그 표시 화면상의 소정 부분을 이용하여, 보내져 온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의 표시 출력을 행한다(S206). 이때의 화상 표시 출력은, 각 부분 시야 영역의 원화상을 그대로 늘어놓아 표시하는 것이어도 좋고, 혹은 각 부분 시야 영역 사이에서 중복 화상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당해 중복 화상 부분을 겹치도록 합성하여 표시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에 대한 표시 출력 결과를 봄으로써, 점원 P2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시인시켜야 할 시뮬레이션 화상의 원화상에 관한 전체 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때의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의 표시 출력 양태(표시 출력되는 화면상의 소정 부분의 위치 등을 포함함)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예를 들면 도 5 참조).
여기서, 태블릿 단말(1)은, 점원 P2가 터치 패널부(12)의 조작부(12b)에서 행하는 조작에 의해서,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 중 어느 부분 시야 영역이 선택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7).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정보 출력부(12a)가 표시 출력하고 있는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 상에 있어서, 그 전시야 영역을 구성하는 어느 부분 시야 영역이 점원 P2에 의해서 터치 조작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영역 지정 조작의 유무를 판단한다.
터치 패널부(12)의 조작부(12b)에서의 영역 지정 조작이 있으면, 태블릿 단말(1)에서는, 선택 지정된 부분 시야 영역(즉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와, 그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해설 정보(36a)를, 서버 장치(3)에 대해서 송신 요구하고, 이것에 따라서 송신되어 오면 통신 I/F부(11)로 수신한다. 그리고 태블릿 단말(1)에서는, 터치 패널부(12)의 정보 출력부(12a)가,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과는 별도로, 선택 지정된 부분 시야 영역(즉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에서 등고선 화상이 중첩된 것(이하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이라고 함. )을, 그 표시 화면상의 소정 부분을 이용하여, 원화상의 표시보다도 확대하여 표시 출력한다(S208). 추가로, 태블릿 단말(1)에서는, 터치 패널부(12)의 정보 출력부(12a)가,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 및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과는 별도로, 선택 지정된 부분 시야 영역(즉 소시야분)에 관한 해설 정보(36a)를, 그 표시 화면상의 소정 부분을 이용하여 표시 출력한다(S209). 또한, 이때의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 및 해설 정보(36a)의 표시 출력 양태(표시 출력되는 화면상의 소정 부분의 위치 등을 포함함)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예를 들면 도 5 참조).
또, 터치 패널부(12)의 조작부(12b)에서의 영역 지정 조작이 있으면, 태블릿 단말(1)은 상술한 터치 패널부(12)에서의 표시 출력 등과는 별도로,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통신 I/F부(11)로부터 HMD(2)로 송신한다.
HMD(2)에서는, 태블릿 단말(1)로부터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면, 이것을 통신 I/F부(21)로 수신한다. 그리고 HMD(2)의 표시 화면부(22)는 보내져 온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의 표시 출력을 행한다(S210). 이 화상 표시 출력은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의 좌우 눈의 각각에 대해서 개별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 대해서, 이른바 3D 표시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표시 출력 결과를 시인함으로써,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은,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을 하게 된다.
이때의 표시 화면부(22)에 의한 화상 표시 출력은, 전시야 영역분에 대한 것이 아니라,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안경 렌즈를 통한 전시야 영역이 예를 들면 수평 방향 약 90°, 수직 방향 약 70°인 것에 비하여, 표시 화면부(22)가 대각방향 약 50° 정도의 시야각에 대응한 것이어도, 그 표시 화면부(22)는 시뮬레이션 화상의 축소 등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그 화상 표시 출력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경점 S 측에서는, HMD(2)가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을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시인시켜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을 시킴과 아울러, 태블릿 단말(1)에서는 HMD(2)가 표시 출력하고 있는 소시야분(부분 시야 영역)에 대응하는 해설 정보(36a)가 점원 P2에 대해서 표시 출력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점원 P2는 그 소시야분(부분 시야 영역)의 렌즈 시각 특성을 완벽하게 기억하고 있지 않아도, 해설 정보(36a)의 표시 출력 결과를 참조하면, 그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점원 P2가 해설 정보(36a)의 표시 출력 결과를 소리 내어 읽어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 대해서 통지하면, 그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도 충분히 파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태블릿 단말(1)에 있어서의 해설 정보(36a)의 표시 출력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선정한 안경 렌즈가 어떠한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점원 P2의 기억에 기초한 애매한 정보가 아니라, 해설 정보(36a)에 기초한 정확한 정보로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적절하고 충분히 파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후, 태블릿 단말(1)은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 중 다른 부분 시야 영역이 선택 지정되었는지 여부, 즉 선택 지정된 부분 시야 영역의 전환 조작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1).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정보 출력부(12a)가 표시 출력하고 있는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 상에 있어서, HMD(2)에서 표시 출력 중인 소시야분(부분 시야 영역)과는 다른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해, 점원 P2에 의한 터치 패널부(12)의 조작부(12b)에서의 터치 조작이 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영역 전환 조작의 유무를 판단한다.
터치 패널부(12)의 조작부(12b)에서의 영역 전환 조작이 있으면, 태블릿 단말(1)에서는, 그 전환 조작에 의해서 새롭게 선택 지정된 부분 시야 영역(즉 소시야분)에 대해서, 다시 태블릿 단말(1) 및 HMD(2)에 있어서의 상술한 일련의 절차를 반복한다(S208~S211).
그리고 터치 패널부(12)의 조작부(12b)에서의 영역 지정 조작 또는 영역 전환 조작이 없으면, 서버 장치(3), 태블릿 단말(1) 및 HMD(2)는, 상술한 일련의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 및 표시 출력의 처리를 종료하고,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의 결과를 판단시킨다(도 3의 S104 참조).
(안경점에서의 상품 설명 보조 방법)
이상과 같은 절차의 시뮬레이션 처리를 행함으로써, 안경점 S에서는, 점원 P2에 의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로의 안경 렌즈에 대한 설명을,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보조하게 된다. 즉, 안경점 S에서는, HMD(2)를 이용하면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 대해서 각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시뮬레이션 화상을 시인시키는 화상 표시 스텝과, 태블릿 단말(1)을 이용하면서 HMD(2)에서 표시 출력하고 있는 부분 시야 영역에 대응하는 해설 정보(36a)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스텝과, HMD(2)에서 표시하는 부분 시야 영역의 선택을 전환함과 아울러 이것에 대응하여 태블릿 단말(1)에서 출력하는 해설 정보(36a)의 전환을 행하는 선택 전환 스텝을 차례로 거침으로써,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안경점 S의 점원 P2에 의한 설명을 보조하는 것이다.
(태블릿 단말에서의 표시 출력 내용의 구체예)
여기서, 상술한 절차의 시뮬레이션 처리에 있어서 태블릿 단말(1)의 터치 패널부(12)가 표시 출력을 행하는 내용에 대해서, 구체예를 들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태블릿 단말에서의 표시 출력 내용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터치 패널부(12)의 표시 화면상에는, 예를 들면 화면 상방(上方)이면서 좌방(左方)인 일부 영역에,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13a)이 표시 출력된다. 이 원화상(13a)은 9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각 부분 시야 영역을 그 구분 전의 상태를 재현하도록 3행×3열로 늘어놓은 양태로 표시 출력되어 있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터치 패널부(12)의 표시 화면상에는, 예를 들면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13a)의 표시 영역의 하방(下方)측(즉 화면 하방이면서 또한 좌방)의 일부 영역에, 그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13a)에서 선택 지정된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해서,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13b)으로서 확대된 상태로 표시 출력된다. 여기서 표시 출력되는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13b)은, 점원 P2에 의해서 선택 지정된 것이므로, HMD(2)의 표시 화면부(22)에 있어서 표시 출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점원 P2는, 표시 출력되고 있는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13b)을 참조함으로써, HMD(2)의 표시 화면부(22)가 어느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표시 출력을 행하고 있는지를 적절하면서 또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13b)에는 명료 지수의 등고선 화상이 중첩되어 있으므로, 이것에 의해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에 대해서도 용이하고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추가로, 터치 패널부(12)의 표시 화면상에는, 예를 들면 화면 우측의 일부 영역에,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13a)에서 선택 지정된 부분 시야 영역에 대응하는 해설 정보에 대한 문자 화상(13c)이 표시 출력된다. 여기서 표시 출력되는 해설 정보에 대한 문자 화상(13c)은,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13b)으로서 표시 출력되고 있는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해서, 그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해설하는 문자를 나타내는 화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부분은 ××의 특징을 가진다. 」나 「△△부분은 □□의 적용 범위가 넓다. 」등의 문자가 해설 정보에 대한 문자 화상(13c)으로서 표시 출력된다. 따라서 점원 P2는, 표시 출력되고 있는 해설 정보에 대한 문자 화상(13c)을 참조함으로써, HMD(2)의 표시 화면부(22)가 표시 출력하고 있는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해서, 어떠한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들 표시 출력 내용 중,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13b) 및 이것에 대응하는 해설 정보에 대한 문자 화상(13c)은,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13a)를 이용한 터치 조작에 따라서 바뀐다. 예를 들면,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13a)에 있어서의 하나의 부분 시야 영역이 터치 조작되면, 이것에 대응하는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13b) 및 해설 정보에 대한 문자 화상(13c)을 표시 출력하지만, 그 후에 다른 하나의 부분 시야 영역이 터치 조작되면, 이것에 대응하는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13b) 및 해설 정보에 대한 문자 화상(13c)으로 표시 출력 내용이 전환된다. 즉,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13b) 및 해설 정보에 대한 문자 화상(13c)은, 각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표시 출력되는 것이다.
또, 이러한 표시 출력 내용은, 안경 렌즈의 설계 타입별에 따라서도 다르다. 즉,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가 적용한 렌즈 설계 기준의 종류가 다르면, 그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가 생성한 렌즈 설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행하는 화상 처리부(35a)에서의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 결과도 다른 것이 된다. 그 때문에, 터치 패널부(12)의 표시 화면상에는, 안경 렌즈의 설계 타입별로, 다른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13a), 및 이것에 대응하는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13b) 및 해설 정보에 대한 문자 화상(13c)이 표시 출력되게 된다. 이것은, 터치 패널부(12)의 표시 화면이, 안경 렌즈의 설계 타입별로 표시 전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예로 든 표시 화면상의 출력 레이아웃은, 단순한 1 구체예에 지나지 않는다. 즉, 터치 패널부(12)의 표시 화면상에 있어서의 출력 레이아웃은, 미리 적당히 설정되어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MD에서의 표시 출력 내용의 구체예)
이어서, 상술한 절차의 시뮬레이션 처리에 있어서 HMD(2)의 표시 화면부(22)가 표시 출력을 행하는 내용에 대해서, 구체예를 들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시뮬레이션 화상 생성의 기본이 되는 원화상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 예의 원화상은,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을 9개의 부분 시야 영역(소시야)으로 구분한 것이다. 이 구분에 의해, 안경 렌즈가 누진 굴절력 렌즈인 경우의 원방시 영역의 우측 부분, 중앙 부분, 좌측 부분, 근방시 영역의 우측 부분, 중앙 부분, 좌측 부분, 중간시 영역의 우측 부분, 중앙 부분, 좌측 부분은, 각각이 다른 부분 시야 영역에 속하게 된다. 이들 각 부분 시야 영역은, 인접하는 부분 시야 영역끼리에서 중복하는 화상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근방시 영역의 중앙 부분에 대한 원화상은, 문자가 기재된 종이를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들어 올려 읽는 것을 상정한 것이다.
도 7은 원화상에 화상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시뮬레이션 화상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 예의 시뮬레이션 화상은, 도 6에 도시한 부분 시야 영역별의 원화상의 각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것이다. 화상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오른쪽 눈에 대해서, 구면 도수 S 2.00, 난시 도수 C -1.00, 난시축 Ax 180, 가입도(加入度) Add 2.50, 누진 대역 길이 14mm, 동공간 거리 PD=32+32mm의 누진 굴절력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키고 있다.
도 8은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의 등고선을 나타내는 화상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 예의 등고선 화상은, 도 6에 도시한 부분 시야 영역별의 원화상의 구분에 대응한 것으로,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별로 표시 명도를 상위(相違)시킨 화상이다. 동일 표시 명도의 영역 부분과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표시 명도의 영역 부분의 경계 부분이 명료 지수의 등고선에 상당한다. 또한, 안경 렌즈는,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오른쪽 눈에 대해서, 구면 도수 S 2.00, 난시 도수 C -1.00, 난시축 Ax 180, 가입도 Add 2.50, 누진 대역 길이 14mm, 동공간 거리 PD=32+32mm의 누진 굴절력 렌즈를 상정하고 있다.
도 9는 명료 지수의 등고선 화상이 중첩된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 예의 화상은, 도 7의 시뮬레이션 화상에 도 8의 등고선 화상을 중첩시킨 것이다. 또, 명료 지수의 값에 의해서 화상의 휘도를 조정하고 있다. HMD(2)의 표시 화면부(22)에서는, 이러한 등고선 화상이 중첩된 시뮬레이션 화상이, 각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표시 출력되게 된다.
<4. 본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렌즈 사용 상태를 의사 체험시킴에 있어서, HMD(2)의 표시 화면부(22)가 표시 출력하는 소시야분(부분 시야 영역)에 대응하는 해설 정보(36a)를, 태블릿 단말(1)의 정보 출력부(12a)가 점원 P2에 대해서 표시 출력한다. 즉,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에 관한 해설 정보(36a)를 설계 타입별 및 각 부분 시야 영역별로 미리 준비해 두고,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 대한 시뮬레이션 화상의 표시에 맞춰서 그 표시 내용에 대응하는 해설 정보(36a)의 출력을 행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점원 P2는, 그 소시야분(부분 시야 영역)의 렌즈 시각 특성을 완벽하게 기억하고 있지 않아도, 해설 정보(36a)의 표시 출력 결과를 참조하면, 그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점원 P2가 해설 정보(36a)의 표시 출력 결과를 소리 내어 읽어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 대해서 통지하면, 그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도 충분히 파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개별 설계의 자유 곡면을 가진 누진 굴절력 렌즈와 같이, 안경 렌즈마다의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이 설계 타입 등에 의해서 수백 종류에도 이르는 경우라도, 점원 P2의 스킬 등에 의존하지 않고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의 차이를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충분히 파악시킨 다음, 그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의사 체험의 결과에 대한 적부를 판단시킬 수 있으므로, 그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 만족감을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렌즈 사용 상태를 의사 체험시킴에 있어서, HMD(2)의 표시 화면부(22)가 시뮬레이션 화상을 소시야분(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시인시킨다. 즉, 시뮬레이션 화상의 표시를,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에 대해서 일괄하여 행하는 것이 아니라, 당해 전시야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행하므로, 안경 렌즈를 통한 전시야 영역이 예를 들면 수평 방향 약 90°, 수직 방향 약 70°인 것에 비하여, 표시 화면부(22)가 대각방향 약 50° 정도의 시야각에 대응한 것이어도, 시뮬레이션 화상의 축소 등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그 화상 표시 출력을 행할 수 있다. 추가로는, 시뮬레이션 화상의 표시를 소시야분(부분 시야 영역)마다 행하는 경우에도, 그 선택 영역의 전환을 행함으로써, 안경 렌즈의 전시야분을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명료하게 시인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표시 화면부(22)에서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을 일괄하여 재현 가능할 필요는 없고, 소형 경량으로 염가의 HMD(2)를 이용하여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을 시킬 수 있고, 이에 더하여 그 경우에도 표시 영역 전환에 의해서 전시야 영역분을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명료하게 시인시킬 수도 있으므로, 시뮬레이션 장치(5)를 도입할 때에 안경점 S 측이 느껴 버릴 불만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원 P2에 의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로의 안경 렌즈에 대한 상품 설명을,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보조한다. 즉, 태블릿 단말(1)에 있어서의 해설 정보(36a)의 표시 출력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선정한 안경 렌즈가 어떠한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점원 P2의 기억에 기초한 애매한 정보가 아니라, 해설 정보(36a)에 기초한 정확한 정보로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적절하고 충분히 파악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점원 P2에는 높은 스킬 등을 요구하지 않고,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 대해서는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을 충분히 파악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렌즈 사용 상태를 의사 체험시킴에 있어서, 그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나 안경점 S 측 등이 느낄 불만을 해소하여, 각각에 대하여 만족감을 줄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뮬레이션 화상의 표시 출력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의 등고선이 중첩된 것을 표시 출력한다. 그 때문에, 등고선 화상의 중첩이 없는 경우에 비하면,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의 파악이 용이하다. 이것은, 특히, HMD(2)의 표시 화면부(22)에 있어서의 해상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유효하다. 왜냐하면, 표시 화면부(22)의 해상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시뮬레이션 화상에 반영시킨 흐릿함·왜곡 등을 반드시 완전하게 재현할 수 없을 우려도 있지만, 등고선 화상이 중첩되어 있으면, 그 완전하게 재현할 수 없는 부분을 등고선에 의해서 보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시 화면부(22)가 저해상도의 것이어도 좋다면, 소형 경량으로 염가의 HMD(2)를 이용하여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을 시킬 수도 있게 된다. 추가로는, 등고선 화상이 중첩되어 있으면, 그 중첩된 등고선 화상의 차이에 따라서, 각 안경 렌즈간에 있어서의 렌즈 시각 특성의 미묘한 차이를 표면화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 대한 시뮬레이션 화상의 표시를, 그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의 머리 부분에 장착되는 HMD(2)를 이용하여 행함과 아울러, 그 HMD(2)의 표시 화면부(22)가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의 좌우 눈의 각각에 대해서 개별로 행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좌우 눈에서 다른 처방 등의 안경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고 하는, 안경 렌즈 특유의 특성에도 적합하게 대응하면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렌즈 사용 상태를 의사 체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뮬레이션 화상의 표시에 있어서, 이른바 3D 표시에도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 대해서 현장감이 넘치는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어,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의 의사 체험의 결과에 대한 가부 판단을 용이화시킬 수도 있게 된다. 또, 안경점 S 측에서는, 대대적인 구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소형 경량인 HMD(2)를 이용하여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렌즈 사용 상태를 의사 체험시킬 수 있으므로, 점포 스페이스의 유효 활용 등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것이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해설 정보(36a)의 표시 출력 등을, 점원 P2가 사용하는 태블릿 단말(1)로 행한다. 즉, 태블릿 단말(1)에는, 해설 정보(36a)의 표시 출력 등을 행하는 정보 출력부(12a)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휴대성이 뛰어난 태블릿 단말(1)을 손에 들고서, 점원 P2가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 대한 안경 렌즈의 상품 설명을 행할 수 있으므로, 그 점원 P2에 있어서는 매우 사용하기 편리한 것이 된다. 또, 해설 정보(36a)의 표시 출력 등에 대해서는, 태블릿 단말(1)이 일반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정보 출력 기능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태블릿 단말(1)로서 범용품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시뮬레이션 장치(5)의 코스트 저감에도 공헌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HMD(2)에 표시시키는 소시야분(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선택 조작(영역 지정 조작 및 영역 전환 조작의 양쪽을 포함함.)을, 점원 P2가 태블릿 단말(1)로 행한다. 즉, 태블릿 단말(1)에는, 점원 P2가 선택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12b)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어느 소시야분(부분 시야 영역)에 대해서 HMD(2)가 표시 출력을 행하고 있는지를, 태블릿 단말(1)을 사용하는 점원 P2가 적절하면서 또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그 점원 P2에 있어서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 대한 안경 렌즈의 상품 설명을 행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경점 S 측에서 사용되는 태블릿 단말(1)이 통신 회선망(4)을 통해서 서버 장치(3)와의 통신을 행하여, 그 서버 장치(3)로부터 시뮬레이션 화상 및 해설 정보(36a)를 취득한다. 즉, 태블릿 단말(1)에는 시뮬레이션 화상 및 해설 정보(36a)를 취득하기 위한 통신 I/F부(11)가 마련되어 있고, 서버 장치(3)에는 시뮬레이션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부(35) 및 미리 해설 정보(36a)를 기억 유지해 두는 해설 정보 기억부(36)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시뮬레이션 시스템 내에 있어서, 처리 부하가 큰 시뮬레이션 화상 생성과, 많은 기억용량을 필요로 하는 해설 정보(36a)의 기억 유지를, 처리 능력이 높은 서버 장치(3) 측에서 집중적으로 행하게 되므로, 시스템 내의 각 자원의 효율적인 운용이 실현 가능해진다. 또, 안경점 S 측에서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장치(5)를 구성하는 태블릿 단말(1) 및 HMD(2)는, 시뮬레이션 화상 생성 등을 행할 정도의 높은 처리 능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의 코스트 저감에도 공헌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특히 서버 장치(3)에 대해서 복수의 태블릿 단말(1) 및 HMD(2)(즉 복수의 안경점 S)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태블릿 단말(1)이 안경 렌즈의 파라미터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12c)를 구비하고 있고, 서버 장치(3)가 그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해야 할 렌즈 설계 기준의 종류를 특정하면서 안경 렌즈의 렌즈 설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서버 장치(3) 측에 있어서, 렌즈 설계 데이터의 생성으로부터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까지를 일련의 처리로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서버 장치(3) 측에서는, 처리 실행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안경점 S 측에서 보더라도, 파라미터 정보의 입력 등을 행하면, 서버 장치(3)로부터 시뮬레이션 화상 등이 보내져 오게 되므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 및 안경점 S의 점원 P2의 각각에 있어서 편리성이 높은 것이 된다.
[B.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출력하는 시뮬레이션 화상의 내용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는 상위하다.
(시뮬레이션 처리의 개요)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의 처방 정보나 당해 안경 렌즈를 유지하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파라미터 정보가 태블릿 단말(1)의 정보 입력부(12c)에서 입력되면(S301), 그 파라미터 정보가 통신 회선망(4)을 통해서 서버 장치(3)로 송신된다. 서버 장치(3)에서는, 파라미터 정보가 송신되어 오면, 통신 I/F부(31)로 수신하여 취득 정보 인식부(32)에서 인식한다. 그리고 취득 정보 인식부(32)는 파라미터 정보에 포함되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그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형상을 특정하는 프레임 형상 데이터를 취득한다(S302). 또,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는 취득 정보 인식부(32)에서의 처방 정보 등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 예정인 안경 렌즈(즉 결정한 처방 등에 따른 안경 렌즈)의 렌즈 설계 데이터를 생성한다(S303).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가 렌즈 설계 데이터를 생성하면, 서버 장치(3)에서는, 그 렌즈 설계 데이터에 의해서 특정되는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킨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을, 화상 생성부(35)가 행한다(S304). 추가로, 화상 생성부(35)는, 취득 정보 인식부(32)가 취득한 프레임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테두리 화상을 생성하고, 이것을 시뮬레이션 화상에 반영시킨다(S305). 구체적으로는, 시뮬레이션 화상 상에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테두리 화상을 서로 겹침으로써, 당해 시뮬레이션 화상으로의 반영을 행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는 프레임 테두리 화상을 반영시킨 시뮬레이션 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통신 I/F부(31)로부터 통신 회선망(4)을 통해서 안경점 S 측으로 송신한다.
그 이후의 처리(S306~S308)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도 3 참조).
(시뮬레이션 처리의 상세)
이어서, 상술한 절차의 시뮬레이션 처리 중,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에서부터 표시 출력까지의 절차에 대해서, 추가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처리의 특징적인 절차의 상세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에 있어서(도 10의 S304, S305 참조), 서버 장치(3)의 화상 생성부(35)는,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가 생성한 렌즈 설계 데이터와, 그 데이터 생성시에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가 적용한 렌즈 설계 기준의 종류에 대한 식별 정보를,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로부터 취득한다(S401). 또, 화상 생성부(35)는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에 필요한 원화상 데이터(34a)를, 원화상 기억부(34)로부터 취득한다(S402). 추가로, 화상 생성부(35)는 안경 렌즈를 유지하는 안경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형상 데이터를, 취득 정보 인식부(32)로부터 취득한다(S403).
이들 각종 데이터나 정보 등의 취득 후, 화상 생성부(35)에서는, 화상 처리부(35a)가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을 행한다. 즉, 화상 처리부(35a)는 취득한 렌즈 설계 데이터에 따른 흐릿함·왜곡 등을 더하는 화상 처리를, 같이 취득한 원화상 데이터(34a)에 대해서 행하여,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킨 시뮬레이션 화상을 생성한다(S404). 이것에 의해, 서버 장치(3)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에 대해서 일괄이 아니라, 당해 전시야 영역을 복수의 소시야로 구분한 각 부분 시야 영역별(즉 소시야별)로, 시뮬레이션 화상의 출력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 이때, 화상 생성부(35)에서는, 화상 중첩부(35b)가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의 등고선 화상을 생성하고, 그 등고선 화상을 시뮬레이션 화상에 중첩시킨다(S405). 이것에 의해, 서버 장치(3)로부터는, 각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에, 당해 부분 시야 영역에 있어서의 명료 지수의 등고선 화상을 중첩시킨 상태로, 그 출력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추가로, 이때, 화상 생성부(35)에서는, 취득 정보 인식부(32)가 취득한 프레임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테두리 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프레임 테두리 화상의 시뮬레이션 화상으로의 반영 처리를 행한다(S406). 반영 처리는, 예를 들면 이하에 언급하는 것처럼 하여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우선, 화상 생성부(35)는 프레임 형상 데이터를 기초로,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테두리의 형상을 특정한다. 추가로, 화상 생성부(35)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이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에 대해서 규정된 각막(角膜) 정점(頂点)간 거리(사용 거리)를 이용하여,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테두리가 시뮬레이션 화상 상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게 되는지를 특정한다. 그리고 화상 생성부(35)는 이들 특정 결과를 이용하면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로부터 보일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테두리 화상을 생성함과 아울러, 그 프레임 테두리 화상을 각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 상에 서로 겹침으로써, 당해 시뮬레이션 화상으로의 반영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 장치(3)에서는, 각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에, 당해 부분 시야 영역에 있어서 보일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테두리 화상을 반영시킨 상태(즉 서로 겹쳐진 상태)로, 그 출력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 후, 서버 장치(3)는, 각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해설 정보(36a)를, 제어부(37)가 해설 정보 기억부(36)로부터 판독한다(S407). 그리고 제어부(37)는 필요에 따라서(예를 들면 태블릿 단말(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화상 생성부(35)가 생성한 각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에서 등고선 화상이 중첩되어 프레임 테두리 화상이 반영된 것에 대한 화상 데이터와, 해설 정보 기억부(36)로부터 판독한 해설 정보(36a)를, 통신 I/F부(31)로부터 통신 회선망(4)을 통해서 태블릿 단말(1)로 송신한다.
그 이후의 처리(S408~S413)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도 4 참조).
(HMD에서의 표시 출력 내용의 구체예)
이어서, 상술한 절차의 시뮬레이션 처리에 있어서 HMD(2)의 표시 화면부(22)가 표시 출력을 행하는 내용에 대해서, 구체예를 들어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구체예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화상 생성의 기본이 되는 원화상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도 6 참조).
도 12는 원화상에 화상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시뮬레이션 화상에 프레임 테두리 화상을 반영시킨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 예의 시뮬레이션 화상은, 도 6에 도시한 부분 시야 영역별의 원화상의 각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것이다. 화상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오른쪽 눈에 대해서, 구면 도수 S 2.00, 난시 도수 C -1.00, 난시축 Ax 180, 가입도 Add 2.50, 누진 대역 길이 14mm, 동공간 거리 PD=32+32mm의 누진 굴절력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키고 있다.
추가로, 도면 예의 시뮬레이션 화상은, 각 부분 시야 영역별로,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에 상당하는 프레임 테두리 화상(50)이 반영되어 있다. 즉, 시뮬레이션 화상에는, 프레임 테두리 화상(50)이 서로 겹쳐져 있다. 이러한 표시 출력 내용에 의하면, 이것을 본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은, 안경 프레임을 사용한 상태(즉 프레임 테두리가 시야에 들어가는 상태)에서의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프레임 테두리의 내측에 있어서의 시각 특성)을, 용이하면서 또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의 등고선을 나타내는 화상에 프레임 테두리 화상을 반영시킨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 예의 등고선 화상은, 도 6에 도시한 부분 시야 영역별의 원화상의 구분에 대응한 것으로,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별로 표시 명도를 상위시킨 화상이다. 동일 표시 명도의 영역 부분과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표시 명도의 영역 부분의 경계 부분이 명료 지수의 등고선에 상당한다. 또한, 안경 렌즈는, 도 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오른쪽 눈에 대해서, 구면 도수 S 2.00, 난시 도수 C -1.00, 난시축 Ax 180, 가입도 Add 2.50, 누진 대역 길이 14mm, 동공간 거리 PD=32+32mm의 누진 굴절력 렌즈를 상정하고 있다.
추가로, 도면 예의 등고선 화상에는, 각 부분 시야 영역별로,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에 상당하는 프레임 테두리 화상(50)이 반영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원화상에 화상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시뮬레이션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등고선 화상에 프레임 테두리 화상(50)을 반영시킨 화상을 작성하는 것도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화상에 의한 표시 출력 내용에 의하면, 이것을 본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은,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위치에 대한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의 분포를 용이하면서 또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명료 지수의 등고선 화상이 중첩된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에 프레임 테두리 화상을 반영시킨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 예의 화상은, 도 12의 시뮬레이션 화상에 도 13의 등고선 화상을 중첩시킨 것으로, 추가로는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에 상당하는 프레임 테두리 화상(50)을 반영시킨 것이다. 또, 도면 예의 화상은, 명료 지수의 값에 의해서 화상의 휘도를 조정하고 있다. HMD(2)의 표시 화면부(22)에는, 이러한 등고선 화상이 중첩되어 프레임 테두리 화상(50)이 반영된 시뮬레이션 화상이, 각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표시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표시 출력 내용에 의하면, 이것을 본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은, 안경 프레임을 사용한 상태에서의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용이하면서 또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위치에 대한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의 분포를 용이하면서 또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에 얻어진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 장치(3)의 화상 생성부(35)가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테두리 화상(50)의 시뮬레이션 화상으로의 반영 처리를 행하고, 그 프레임 테두리 화상(50)이 반영된 시뮬레이션 화상을 HMD(2)의 표시 화면부(22)가 표시한다. 따라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 있어서는, 안경 프레임을 사용한 상태를 재현하면서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어, 프레임 테두리 화상(50)을 반영시키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을 한층 더 적절히 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성이 높은 것이 된다. 이것은, 특히 시뮬레이션 화상을 소시야분(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경우에 매우 유효하다. 왜냐하면, 전시야 영역의 둘레(周緣)측에 위치하는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해서는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부분이 시야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지만, 그러한 부분 시야 영역의 시뮬레이션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프레임 테두리 화상(50)을 반영시킴으로써, 그 상태를 적절히 재현하여 렌즈 사용 상태에 대한 의사 체험의 적절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C. 변형예 등]
이상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의 개시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각 실시 형태에서는, 시뮬레이션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HMD(2)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시뮬레이션 화상을 시인시킬 수 있는 것이면, HMD(2) 이외의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면 거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화상을 표시해도 상관없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해설 정보(36a)의 출력 등을 행하는 단말장치가 태블릿 단말(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점원 P2에 대해서 정보 입출력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 태블릿 단말(1) 이외의 단말장치(예를 들면, 노트형 또는 데스크탑형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해설 정보(36a)의 출력 등을 행해도 상관없다.
추가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태블릿 단말(1)에 있어서 문자 정보인 해설 정보(36a)를 점원 P2에 대해서 표시 출력하고, 그 점원 P2가 해설 정보(36a)의 표시 출력 결과를 소리 내어 읽음으로써,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로의 통지를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해설 정보(36a)의 출력은, 점원 P2 또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파악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면, 어떠한 양태로 행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해설 정보(36a)를 출력하는 단말장치가 음성 출력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면, 그 해설 정보(36a)를 음성 출력하는 것에 의해서, 점원 P2 또는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파악하도록 하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HMD(2)에 표시시키는 소시야분(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선택 조작을 점원 P2가 태블릿 단말(1)에서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HMD(2)에서의 표시 내용의 선택 전환에 대해서는, 반드시 태블릿 단말(1)에서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태블릿 단말(1)에서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아도,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르면서 소정 시간마다 각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표시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태블릿 단말(1)이 서버 장치(3)로부터 시뮬레이션 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수취하고, 이것을 HMD(2)에 보냄으로써 HMD(2)에서의 표시 출력을 행하게 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HMD(2)가 서버 장치(3)와 직접적으로 화상 데이터의 교환을 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즉, 시뮬레이션 장치(5)를 구성하는 태블릿 단말(1) 또는 HMD(2) 중 적어도 한쪽이, 통신 회선망(4)상의 서버 장치(3)와의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회선망(4)상에 존재하는 서버 장치(3)에 시뮬레이션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부(35) 및 미리 해설 정보(36a)를 기억 유지해 두는 해설 정보 기억부(36)가 마련되어 있고, 그 서버 장치(3)로부터 통신 회선망(4)을 통해서 안경점 S 측에 시뮬레이션 화상 및 해설 정보(36a)가 보내져 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시뮬레이션 화상 및 해설 정보(36a)는, 안경점 S 측에서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장치(5)가 미리 유지하고 있어도 좋다. 즉, 시뮬레이션 장치(5)를 구성하는 태블릿 단말(1) 또는 HMD(2) 중 적어도 한쪽이,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 및 해설 정보(36a)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정보 기억부로부터 필요에 따라서 시뮬레이션 화상 및 해설 정보(36a)를 취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 장치(3)가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33)를 구비하고 있고, 렌즈 설계 데이터의 생성으로부터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까지를 일련의 처리로서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렌즈 설계 데이터의 생성과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을 전혀 다른 장치에서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 및 표시 출력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을 9개의 부분 시야 영역(소시야)으로 구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소시야로의 구분의 수나 양태 등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미리 결정된 것이면 좋다.
추가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원화상 기억부(34)가 기억 유지하는 원화상 데이터(34a)의 단계에서, 부분 시야 영역(소시야)으로의 구분이 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늦어도 화상 처리부(35a)에 의한 시뮬레이션 화상 생성의 단계까지 부분 시야 영역(소시야)으로의 구분이 되어 있으면 좋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시야 영역의 원화상에 대해서 원화상 기억부(34)가 원화상 데이터(34a)를 기억 유지하고 있는 경우이면, 그 전시야 영역으로부터 부분 시야 영역의 원화상을 추출하면서, 그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시뮬레이션 화상을 생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태블릿 단말(1)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부(12)의 표시 화면상에,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13a), 확대된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13b), 및 해설 정보에 대한 문자 화상(13c)의 각각을 늘어놓아 표시 출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그 표시 화면상의 출력 레이아웃이 특히 한정되지 않는 것일 뿐이 아니라, 개개의 표시 내용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실시 형태에서는,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13b)에 대해서,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의 등고선이 중첩된 것을 표시 출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등고선 화상의 중첩은 필수가 아니고, 등고선 화상의 중첩이 없는 상태의 시뮬레이션 화상을 표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HMD(2)의 표시 화면부(22)에 있어서의 표시 출력 내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HMD(2)의 표시 화면부(22)에 있어서, 등고선 화상의 중첩이 없는 상태의 시뮬레이션 화상을 표시 출력함으로써,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1에게 렌즈 사용 상태를 의사 체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처리부(35a)가 원화상 데이터(34a)에 대해서 렌즈 시각 특성(흐릿함·왜곡)을 반영시키는 화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시뮬레이션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그 시뮬레이션 화상의 생성에 있어서는, 추가로 다른 화상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다른 화상 처리로서는, 편광(偏光)이나 조광(調光) 등의 효과를 주는 화상 처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화상 처리를 부수적으로 행하도록 하면, 원화상 데이터(34a)가 CG 화상에 대한 것이어도, 자연화(自然畵)에 가까운 시뮬레이션 화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1 … 태블릿 단말(단말장치), 2 … HMD(디스플레이 장치),
11 … 통신 I/F부, 12 … 터치 패널부,
12a … 정보 출력부, 12b … 조작부,
12c … 정보 입력부, 13a … 전시야 영역분의 원화상,
13b … 소시야분의 시뮬레이션 화상, 13c … 해설 정보에 대한 화상,
21 … 통신 I/F부, 22 … 표시 화면부,
3 … 서버 장치, 4 … 통신 회선망,
5 … 시뮬레이션 장치, 31 … 통신 I/F부,
32 … 취득 정보 인식부, 33 … 렌즈 설계 데이터 생성부,
34 … 원화상 기억부, 34a … 원화상 데이터,
35 … 화상 생성부, 35a … 화상 처리부,
35b … 화상 중첩부, 36 … 해설 정보 기억부,
36a … 해설 정보, 37 … 제어부,
P1 …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 P2 … 점원,
S … 안경점.

Claims (12)

  1. 안경점에서 이용되는 단말장치와, 상기 안경점에 방문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시인(視認)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컴퓨터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서버 장치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의 렌즈 설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당해 안경 렌즈의 전시야(全視野)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원화상(元畵像)에 대해서, 당해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키는 화상 처리를 행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별의 시뮬레이션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부와,
    상기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에 관한 해설 정보를, 당해 부분 시야 영역과 대응지어, 상기 렌즈 설계 데이터에 적용되는 렌즈 설계 기준의 종류별로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을 상기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시인시키는 표시 화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표시 화면부가 표시하는 부분 시야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해설 정보를 상기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득하여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화상 생성부는, 상기 안경 렌즈의 명료 지수의 등고선의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으로의 중첩 처리를 행하는 것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표시 화면부는, 상기 등고선이 중첩된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화상 생성부는, 상기 안경 렌즈를 유지하는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 화상의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으로의 반영 처리를 행하는 것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표시 화면부는, 상기 테두리 화상이 반영된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의 머리 부분에 장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표시 화면부는,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의 좌우 눈의 각각에 대해서 개별로 화상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안경점의 점원이 사용하는 휴대형 정보 단말이고,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해설 정보를 상기 점원에 대해서 표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해설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시키는 부분 시야 영역의 선택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사용을 예정하는 안경 렌즈에 적용해야 할 렌즈 설계 기준의 종류를 특정하고, 그 특정한 종류의 렌즈 설계 기준을 적용하면서 당해 안경 렌즈의 렌즈 설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9. 안경점에서 이용되는 단말장치와, 상기 안경점에 방문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시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구성된 시뮬레이션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원화상에 대해서 당해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키는 화상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시뮬레이션 화상을, 상기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시인시키는 표시 화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표시 화면부가 표시하는 부분 시야 영역에 반영된 상기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에 관한 해설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은, 통신 회선망에 접속하여, 당해 통신 회선망상의 서버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적어도 상기 부분 시야 영역별의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 및 상기 해설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부분 시야 영역별의 상기 시뮬레이션 화상 및 상기 해설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12. 안경점에서 이용되는 단말장치와, 상기 안경점에 방문한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가 시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면서, 상기 안경점에서의 상품 설명 시에 당해 상품 설명을 보조하는 상품 설명 보조 방법으로서,
    안경 렌즈의 전시야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에 대한 원화상에 대해서 당해 안경 렌즈의 렌즈 시각 특성을 반영시키는 화상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시뮬레이션 화상을, 상기 복수의 부분 시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시하여, 상기 안경 렌즈 사용 예정자에게 시인시키는 화상 표시 스텝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시하는 부분 시야 영역에 반영된 상기 렌즈 시각 특성의 특징에 관한 해설 정보를, 당해 부분 시야 영역과 당해 해설 정보가 대응지어진 상태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 스텝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시하는 부분 시야 영역의 선택을 전환함과 아울러,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출력하는 해설 정보의 전환을 행하는 선택 전환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설명 보조 방법.
KR1020157023939A 2013-02-06 2013-11-13 시뮬레이션 시스템, 시뮬레이션 장치 및 상품 설명 보조 방법 KR101748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1112 2013-02-06
JPJP-P-2013-021112 2013-02-06
PCT/JP2013/080632 WO2014122834A1 (ja) 2013-02-06 2013-11-13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商品説明補助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995A KR20150114995A (ko) 2015-10-13
KR101748976B1 true KR101748976B1 (ko) 2017-06-19

Family

ID=5129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939A KR101748976B1 (ko) 2013-02-06 2013-11-13 시뮬레이션 시스템, 시뮬레이션 장치 및 상품 설명 보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32297B2 (ko)
EP (1) EP2958035A4 (ko)
JP (1) JP6088549B2 (ko)
KR (1) KR101748976B1 (ko)
CN (1) CN105009124B (ko)
WO (1) WO2014122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6665A1 (de) * 2014-09-22 2016-03-24 Carl Zeis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Augenrefraktion
EP3276327B1 (en) 2016-07-29 2019-10-02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virtual testing of at least one lens having a predetermined optical feature and associated device
WO2019009034A1 (ja) 2017-07-03 2019-01-10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眼鏡レンズ、眼鏡レンズ発注装置、眼鏡レンズ受注装置および眼鏡レンズ受発注システム
US11212488B2 (en) * 2017-10-26 2021-12-28 Suncorporation Conference system
US10783700B2 (en) 2018-05-20 2020-09-22 Neurolens, Inc. Progressive lens simulator with an axial power-distance simulator
US11559197B2 (en) 2019-03-06 2023-01-24 Neurolens, Inc. Method of operating a progressive lens simulator with an axial power-distance simulator
US11175518B2 (en) 2018-05-20 2021-11-16 Neurolens, Inc. Head-mounted progressive lens simulator
US11241151B2 (en) 2019-03-07 2022-02-08 Neurolens, Inc. Central supervision station system for Progressive Lens Simulators
US11288416B2 (en) 2019-03-07 2022-03-29 Neurolens, Inc. Deep learning method for a progressive lens simulator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US11259699B2 (en) 2019-03-07 2022-03-01 Neurolens, Inc. Integrated progressive lens simulator
US11202563B2 (en) 2019-03-07 2021-12-21 Neurolens, Inc. Guided lens design exploration system for a progressive lens simulator
US11259697B2 (en) 2019-03-07 2022-03-01 Neurolens, Inc. Guided lens design exploration method for a progressive lens simulator
JP6997129B2 (ja) * 2019-03-28 2022-01-1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
CN111093027B (zh) * 2019-12-31 2021-04-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EP4106984A4 (en) 2020-02-21 2024-03-20 Ditto Tech Inc EYEWEAR FRAME CONNECTION INCLUDING LIVE CONNECTION
JP7272985B2 (ja) * 2020-03-23 2023-05-12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仮想画像生成装置及び仮想画像生成方法
CN116569097A (zh) * 2020-12-21 2023-08-08 株式会社尼康依视路 图像生成装置、头戴式显示装置、图像生成方法及程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7076A (ja) * 2001-09-06 2003-06-27 Hoya Corp 眼鏡レンズの両眼視性能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90248377A1 (en) 2008-03-26 2009-10-01 Seiko Epson Corporation Simulation Apparatus, Simul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Simulation Program
US20100114540A1 (en) 2008-11-06 2010-05-06 Seiko Epson Corporation Visual Simulator for Spectacle Lens, Visual Simulation Method for Spectacle Lens, and Computer Readable Visual Simulation Program for Spectacle Lens
JP2012506272A (ja) * 2008-10-22 2012-03-15 ゼンゾモトリック インストルメンツ ゲゼルシャフト フュア イノベイティブ ゼンゾリク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コンピューター支援眼部手術用の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6342T2 (de) * 2001-09-06 2006-07-27 Hoya Corp. Verfahren zur Beurteilung der binokularen Eigenschaften von Brillengläsern, Vorrichtung zur Anzeige dieser Eigenschaften und zugehöriger Apparat
US7914148B2 (en) * 2005-11-15 2011-03-29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imited Ophthalmic lens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JP4931669B2 (ja) * 2007-03-29 2012-05-16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眼鏡レンズ受発注システム
JP5073521B2 (ja) 2007-09-28 2012-11-14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EP2273306B1 (en) 2008-04-28 2017-12-27 Hoya Corporation Method of selecting lens design standard
JP5341462B2 (ja) * 2008-10-14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収差補正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20120026183A1 (en) 2008-10-17 2012-02-02 Hoya Corporation Visual field image display device for eyeglasses and method for displaying visual field image for eyeglasses
US20110213664A1 (en) * 2010-02-28 2011-09-01 Osterhout Group, Inc. Local advertising content on an interactive head-mounted eyepiece
US20130278631A1 (en) * 2010-02-28 2013-10-24 Osterhout Group, Inc. 3d positioning of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JP5632245B2 (ja) * 2010-09-27 2014-11-26 Hoya株式会社 眼鏡の視野画像表示装置
CA2820241C (en) * 2012-06-13 2020-01-14 Robert G. Hilk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human visual performance in a head worn video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7076A (ja) * 2001-09-06 2003-06-27 Hoya Corp 眼鏡レンズの両眼視性能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90248377A1 (en) 2008-03-26 2009-10-01 Seiko Epson Corporation Simulation Apparatus, Simul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Simulation Program
JP2012506272A (ja) * 2008-10-22 2012-03-15 ゼンゾモトリック インストルメンツ ゲゼルシャフト フュア イノベイティブ ゼンゾリク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コンピューター支援眼部手術用の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20100114540A1 (en) 2008-11-06 2010-05-06 Seiko Epson Corporation Visual Simulator for Spectacle Lens, Visual Simulation Method for Spectacle Lens, and Computer Readable Visual Simulation Program for Spectacle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09124A (zh) 2015-10-28
JPWO2014122834A1 (ja) 2017-01-26
CN105009124B (zh) 2018-01-19
US20150371415A1 (en) 2015-12-24
US10032297B2 (en) 2018-07-24
JP6088549B2 (ja) 2017-03-01
WO2014122834A1 (ja) 2014-08-14
KR20150114995A (ko) 2015-10-13
EP2958035A4 (en) 2016-10-19
EP2958035A1 (en)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976B1 (ko) 시뮬레이션 시스템, 시뮬레이션 장치 및 상품 설명 보조 방법
AU2006315066B2 (en) Ophthalmic lens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JP6023801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US10067349B2 (en) Method of adapting a virtual reality helmet
EP2749207B1 (en) Eyeglasses-wearing simulation method, program, device, eyeglass lens-ordering system and eyeglass lens manufacturing method
JP6276691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5098739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70153712A1 (en) Input system and input method
IL287380B1 (en)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CN104036169B (zh) 生物认证方法及生物认证装置
KR20150026455A (ko)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디스플레이를 설계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1128220A (ja)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Potemin et al. An application of the virtual prototyping approach to design of VR, AR, and MR devices free from the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
JP2012513604A (ja) 光学レンズの光学効果をシミュレーション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7252892B2 (ja) 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EP3208737B1 (en) Method for providing a set of data relative to a wearer of an ophthalmic equip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hthalmic equipment based on the set of data
WO2017051915A1 (ja) 視覚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Zhdanov et al. Possibility of vergence disagreement reducing on the base of approximate restoration of the depth map
CN106680995A (zh) 显示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