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094B1 - 강한 송풍력으로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강한 송풍력으로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094B1
KR101748094B1 KR1020160151910A KR20160151910A KR101748094B1 KR 101748094 B1 KR101748094 B1 KR 101748094B1 KR 1020160151910 A KR1020160151910 A KR 1020160151910A KR 20160151910 A KR20160151910 A KR 20160151910A KR 101748094 B1 KR101748094 B1 KR 10174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air
air distribution
nozzle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흥식
Original Assignee
장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흥식 filed Critical 장흥식
Priority to KR1020160151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094B1/ko
Priority to PCT/KR2017/012913 priority patent/WO20180931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 머리를 빠른 시간내에 말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머리두피부분의 수분을 제거하는 비접촉식 공기분사노즐(2)과 머리카락을 밀착시켜서 효과적으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압착식 건조방법(3)을 채용하고 있으며, 공기 유입구(1)을 중심축으로 회전시키므로 빠른 시간내에 기능을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한 송풍력으로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Hair dryer with blowing water with strong wind power}
본 발명은 머리카락을 건조 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 접촉식 공기 송풍방식 및 송풍력을 이용한 머리카락 압착 및 수분 배출 방식에 대한 헤어드라이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헤어드라이어(hair drier)의 경우 모터(21)로 팬(fan)을 회전시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히터(20)의 열을 머리카락으로 옮겨주므로 수분을 증발시키는 효과가 머리카락 건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방식이다. 이런 방법은 증발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머리 감기는 주로 바쁜 아침 시간에 이루어지며, 기존의 증발시키는 효과가 머리카락 건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방식의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할 경우 장시간이 소요되며 특히 긴 머리를 가진 여성들은 머리감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불편함을 감수하며, 생활하고 있다.
첫째, 본 발명을 머리카락 속에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지 않고 강한 송풍력을 통해 불어냄으로 빠르게 건조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풍력 등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압착기구를 통하여 머리카락을 밀착시킨 상태로 불어냄으로 효과적으로 수분을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 중공부가 구비된 회전구는 2개의 에어 공급용 슬롯(Slot) 구멍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감싸고 있는 회전체의 한쪽 부분은 일정한 너비를 가진 원호모양을 갖는 에어 토출용 노즐부와 상대편에 있는 복수의 원뿔모양의 머리카락 유도 빗살과 공기 압력으로 작동되어 머리카락을 압착하고 공기로 수분을 불어내는 기구를 통하여 빠른 시간내에 머리를 건조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원호 모양의 공기 토출 노즐은 장변의 양쪽 내측면에 대칭되는 챔퍼(champer)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머리모양과 유사한 곡선의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머리카락 압착용 기구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회전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공기배출량이 변하지 않토록 구성된다.
그리고 머리카락 압착용 기구는 스프링 힘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여닫이 문 식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머리카락 압착용 기구는 한쪽 끝부분에 머리카락 압착부 측면으로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공기누출 방지턱 구조를 가지며, 머리카락이 자연스럽게 진입되도록 하는 경사각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원호 형상을 갖고, 내부로 경사각도가 있는 비접촉식 노즐부의 경우 주로 머리 두피와 근접한 곳의 수분을 불어내는데 사용되고, 아울러 짧은 머리를 가진 사람도 사용할 수 있고, 기타 수건을 사용하지 않고 신체부분에 붙어있는 수분을 불어내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보다 강풍으로 불어내면, 사용자의 만족도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머리카락 건조시간을 최소 1/10 ~ 1/5 정도로 단축할 수 있다.
셋째 풍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머리카락을 압착용 기구를 이용하면 머리카락의 수량에 구애받지 않고 일정하게 압착하며, 공기로 불어주므로 높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넷째 공기 분배통의 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를 돌려주므로 2가지 기능 중 1가지를 선택하여 공기를 분배하여 사용하므로 노즐을 교환하는 불편함을 줄여주고,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사용되는 헤어드라이어 예시
도 2은 본 발명중 노즐등 중요부위에 대한 분해도면
도 3는 공기 이송통로 및 유입공기분배 설명을 위한 분해도면
도 4은 공기 이송에 의한 머리카락 압착방법 설명을 위한 단면도
도 5는 공기 이송에 의한 머리카락 압착방법 중 각 부품 설명을 위한 단면도
도 6는 공기의 흐름에 의한 압착방법 설명을 위한 단면도
도 7은 공기의 흐름에 의한 압착 완료 설명을 위한 단면도
도 8은 비접촉식 공기 분사방식을 통한 수분제거 노즐 설명을 위한 단면도
도 9는 비접촉식 공기 분사방식을 통한 수분제거 노즐 설명을 위한 단면 확대도면
도 10은 비접촉식 공기 분사방식을 통한 수분제거 노즐의 사용방법 및 노즐 형상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1은 사용 송풍기 및 배관설명을 위한 도면
도 12은 압착 날개의 하단부로의 공기 누설을 막기 위한 방지턱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3는 압착날개의 공기누설을 막기 위한 방지턱 설명을 위한 조립도
도 14는 압착날개의 공기누설을 막기 위한 방지턱 설명을 위한 분해도
도 15는 여닫이식 공기의 힘을 이용한 압착기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6는 여닫이식 스프링을 이용한 압착기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한 송풍력으로 수분을 불어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의 어셈블리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분해도면이다. 분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공기 배분통(100), 좌측커버(200), 우측커버(300)로 구성되어 진다.
여기서 공기 배분통(100)에는 회전구속 핀(101), 원뿔대 형상위에 형성된 비접촉식 분사노즐 측 공기 배분구멍(102), 압착식 분사노즐 측 공기 배분구멍(103), 공기유입구(104)가 포함된다.
또한 좌측커버(200)에는 공기 배분통 고정부(201), 비접촉식 분사노즐(202), 압착기구 구속부(203)가 포함되며, 압착기구 구속부(203)에는 아래쪽 힌지블럭<hinge Block>(210)과 상측 힌지블럭<hinge Block>(212) 사이에 좌측 전면부 압착 회전날개(211)와 좌측 후면부 압착 회전날개(213)가 부착된다. 또한 아래쪽 힌지블럭 <hinge Block>(210)과 상측 힌지블럭<hinge Block>(212)은 좌측커버(200)에 고정된다.
우측커버(300)에는 상측 힌지블럭<hinge Block>(310) 아래쪽 힌지블럭<hinge Block>(312)이 고정되며, 그사이에 우측 전면 압착 회전날개<311> 우측 후면부 압착 회전날개(313)가 부착된다.
우측커버(300)에는 회전구속 핀(101)의 회전각도를 결정하는 공기 배분통 회전구속 장공<slot>(301)이 있다.
도3은 공기 배분통(100)의 작동방식을 설명한 것이다. 공기 배분통(100)은 공 기배분통 빠짐 방지턱(106)과 공기 분배통 빠짐 방지 홀(206)에 의해 좌측커버(200)에 끼워지며, 공기 배분통 회전각도(105) 만큼 회전하며, 비접촉식 공기분사노즐 측 공기배분구멍(102)과 압착식 분사노즐 공기배분구멍(103)으로 공기를 배분한다.
도 4는 머리카락 압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A-A 단면의 "B" 부분의 확대도면을 도 5에서 제공하고 있다.
도 5는 "B" 부분의 확대 도면이며, 좌측커버(200)와 우측커버(300)측에 고정된 힌지블럭<Hinge block>(212)(312)과 고정된 회전날개(211)(213)(311)(313)를 보여준다.
도 6은 공기의 이송에 의한 회전날개의 운동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회전날개들이 공기 공급방향(500)으로 공기의 미는힘이 작용하면, 힌지<Hinge>(502)를 중심으로 날개회전방향(501)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며, 압착전 머리카락(503)쪽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도 7은 압착 후의 머리카락 모양을 설명한 것으로 힌지<Hinge>를 중심으로 날개회전방향(501) 쪽으로 회전날개가 회전하면 압착 후 머리카락 모양(603)을 압착시키는 작용을 하며 압착 후의 공기공급방향(600)의 화살표 쪽으로 수분을 불어내는 작용을 한다.
도 8은 비접촉식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9는 View "C"의 확대된 도면이다. 공기 배분통(100)의 비접촉식 분사노즐 공기 배분구멍(102)을 통하여 공급된 공기는 비접촉 노즐각도(204)와 비접촉 노즐폭(205) 사이를 통과하며, 빠른 속도를 가지며 두피와 머리카락 사이의 수분을 불어낸다. 도 10에서 그 사용예를 볼 수 있다.
도 11은 모터 일체형 송풍기와 공기 공급 방법을 설명한다. 유니버셜모터(400)와 일체된 송풍기가 작동되면 흡입구(410)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 배출구(420) 쪽으로 유출된 공기는 밀폐된 모터커버에 의해 공기 공급호스(44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2와 도 13은 회전날개에 부착된 공기누출 방지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압착 회전날개(211,213,311,313)의 구조상 아래쪽으로 오픈(Open)된 상태를 가지게 되고 노즐쪽으로 이동해야 할 공기가 누출되는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부회전날개 공기 누출 방지턱(314)과 상부회전날개 공기누출 방지턱(214)를 설치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회전날개 머리카락 유도각도(315)를 가지고 있으므로 머리카락이 걸림 현상 없이 자연스럽게 노즐 쪽으로 유입되는 역할을 한다. 도 14 에서 그 분해도를 보여준다.
도 15에서는 공기압력을 이용한 여닫이 식 노즐의 설명을 위한 것이다. 공기이송방향(330)에서 공기압력이 여닫이식 압착기 노즐(331)을 밀어주므로 중간에 있는 머리카락을 압착하는 방식이다.
도 16은 스프링으로 압착하는 방식을 설명한 것이다. 스프링(320)이 여닫이식 압착기를 밀어주므로 중간에 있는 머리카락을 압착하는 방식이다.
1. 공기 유입구.
2. 비 접촉식 공기분사노즐.
3. 압착식 공기분사노즐.
20. 기존에 사용중인 헤어드라이어 히터.
21. 송풍 모터(Motor)와 팬(Fan)
100. 공기 배분통.
101. 회전구속 핀.
102. 비접촉식 분사노즐 측 공기 배분구멍.
103. 압착식 분사노즐 측 공기 배분구멍.
104. 공기 유입구.
105. 공기 배분통 회전각도.
106. 공기 배분통 빠짐방지 턱
200. 좌측커버(Cover).
201. 공기 배분통 하우징<Housing>
202. 좌측 비접촉식 분사노즐.
203. 좌측 압착기구 구속구멍.
204. 비접촉 노즐 내부 챔퍼(Chamfer)각도.
205. 비접촉 노즐 폭
206. 공기 배분통 빠짐 방지 홀
210. 아래쪽 힌지블럭<hinge Block>.
211. 좌측 전면부 압착 회전날개.
212, 위쪽 힌지블럭<hinge Block>.
213. 좌측 후면부 압착 회전날개.
214. 상부회전날개 공기누출 방지턱.
300. 우측커버.
301. 공기 배분통 회전구속 잔공(Slot)
302. 우측 비접촉식 분사노즐.
303. 우측 압착기구 구속구멍
310. 상측 힌지블럭<hinge Block>.
311. 우측 전면부 압착 회전날개.
312. 아래쪽 힌지블럭<hinge Block>.
313. 우측 후면부 압착 회전날개.
314. 하부회전날개 공기누출 방지턱.
315. 머리카락 유도부 챔퍼(Chamfer) 각도
320. 스프링(Spring)
321. 스프링<Spring>의 힘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여닫이식 압착기 노즐
330. 공기 이송방향
331. 공기압력을 이용한 여닫이식 압착기 노즐
400. 유니버셜모터<Universal Motor>.
401, 송풍기
410. 공기 흡입구.
420. 공기 배출구.
430. 모터 커버.
440. 공기 공급호스.
450. 빗살
460. 히터
500. 공기 공급방향
501. 날개 회전방향
502. 흰지 샤프트<Hinge Shaft>
503. 압착전 머리카락모양.
600. 날개 회전 후 공기공급방향
603. 압착 후 머리카락모양

Claims (6)

  1. 좌측커버(200)와 우측커버(300) 사이에 위치하며, 비접촉식 분사노즐(202)에 공기를 공급하는 비접촉식 분사노즐 측 공기 배분구멍(102);
    비접촉식 분사노즐 측 공기 배분구멍(102)과 공기 배분통 회전각도(105) 만큼 회전되어 배치되며, 회전 구속핀(101)에 의해 회전량이 제어되는 압착식 분사노즐 측 공기 배분구멍((103);
    비접촉식 분사노즐 측 공기 배분구멍(102)과 압착식 분사노즐 측 공기 배분구멍(103)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회전 구속핀(101);
    공기 배분통 빠짐 방지턱(106) 에 의해 전후 이동이 구속되고, 한쪽 부분이 원뿔대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공기 유입구(104)로부터 중공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분통(100);
    을 포함하는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 유닛
  2. 좌측 커버(200)와 우측커버(300)의 결합시 비접촉 노즐폭(205) 만큼의 간극이 있으며, 비접촉 노즐 내부 챔퍼 각도(204) 만큼 임의의 챔퍼<Chamfer> 형상을 가지며, 두상의 모양과 유사한 원호모양을 갖는 비접촉식 분사노즐(202);
    다수의 원뿔모양을 빗살을 가져 머리카락을 압착식 분사노즐(3) 쪽으로 유도하여주는 빗살(450);
    을 포함하고 중공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 유닛(Unit)
  3. 힌지블럭(Hinge block)들(210)(212)(310)(312)에 구속되며,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며, 한쪽 면에 공기 누출 방치턱들(214)(314)을 가지고 있고, 대칭으로 4개를 1조로 구성되어 작동되는 압착 회전 날개(211)(213)(311)(313);
    를 채용한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의 헤어드라이어 유닛(Unit).
  4. 청구항 3에서 압착회전 날개(211)(213)(311)(313)는 힌지(Hinge) 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이 아닌 공기 압력을 이용한 여닫이식 압착기노즐(331); 및
    압착기의 작동 방법에 있어 스프링<Spring>의 힘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여닫이식 압착노즐(321)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의 헤어드라이기 유닛(Unit)
  5. 헤어드라이어 공기유입구(104)에 공기압력을 전달해 주도록 해주는 유니버셜 모터 <Universal Motor>(400)와 송풍기(401), 흡입구(410), 모터커버(430)와 공기 배출구(420),히터(460)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의 헤어드라이기 유닛(Unit)
  6. 삭제
KR1020160151910A 2016-11-15 2016-11-15 강한 송풍력으로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 KR101748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910A KR101748094B1 (ko) 2016-11-15 2016-11-15 강한 송풍력으로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
PCT/KR2017/012913 WO2018093128A1 (ko) 2016-11-15 2017-11-15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의 헤어드라이어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910A KR101748094B1 (ko) 2016-11-15 2016-11-15 강한 송풍력으로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094B1 true KR101748094B1 (ko) 2017-06-15

Family

ID=5921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910A KR101748094B1 (ko) 2016-11-15 2016-11-15 강한 송풍력으로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8094B1 (ko)
WO (1) WO20180931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3128A1 (ko) * 2016-11-15 2018-05-24 장흥식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의 헤어드라이어 유닛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381Y1 (ko) 2001-10-31 2002-04-03 김상영 머리 건조기
KR200445901Y1 (ko) 2009-06-09 2009-09-10 이지민 다기능 머리빗
KR200455793Y1 (ko) 2008-09-10 2011-09-27 오태준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KR101187772B1 (ko) 2005-03-25 2012-10-05 주식회사 부강샘스 공기청정기 겸용 모발건조기
JP5537595B2 (ja) 2011-04-15 2014-07-02 キス ネイル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ヘアドライヤー用回転式空気流方向づけ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094B1 (ko) * 2016-11-15 2017-06-15 장흥식 강한 송풍력으로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381Y1 (ko) 2001-10-31 2002-04-03 김상영 머리 건조기
KR101187772B1 (ko) 2005-03-25 2012-10-05 주식회사 부강샘스 공기청정기 겸용 모발건조기
KR200455793Y1 (ko) 2008-09-10 2011-09-27 오태준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KR200445901Y1 (ko) 2009-06-09 2009-09-10 이지민 다기능 머리빗
JP5537595B2 (ja) 2011-04-15 2014-07-02 キス ネイル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ヘアドライヤー用回転式空気流方向づけ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3128A1 (ko) * 2016-11-15 2018-05-24 장흥식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의 헤어드라이어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3128A1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5043B2 (ja) 毛髪のグルーミング用真空アシスト・システム及び方法
US9439493B2 (en) Hair dryer and smoother
KR101809163B1 (ko) 펫 그루밍용 에어 브러쉬
AU20163220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hair
EP1346660B1 (en) Hair drier having minus ion producer
US5241974A (en) Hair appliance for directing warm air to hair
US20040163274A1 (en) Attachment for hair dryers
KR101748094B1 (ko) 강한 송풍력으로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
US20220408895A1 (en) Haircare unit
KR101372045B1 (ko) 벤드형 헨즈프리 헤어드라이기 및 일반 가정 헤어드라이기 용 헨즈프리 커넥터
KR20190084801A (ko) 헤어 드라이기용 노즐
KR20100086409A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장치
KR101577940B1 (ko) 풍향 전환이 가능한 헤어 드라이어용 노즐
US6615506B2 (en) Pneumatic hair conditioner system
KR101446798B1 (ko) 송풍캡의 좌우 회전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KR20100000430U (ko) 헤어드라이어 노즐
KR200454536Y1 (ko) 열풍건조 기능을 갖는 마스카라 용기
KR101523524B1 (ko) 원심팬이 내장된 헤어드라이기
KR101386881B1 (ko) 업소용 헤어드라이기
FI100019B (fi) Hiusten käsittelemiseksi, erityisesti hiusten kuivaamiseksi ja/tai kam pauksen muotoilemiseksi tarkoitettu laite
US5983517A (en) Hair drying and styling appliance
KR101924788B1 (ko) 헤어드라이어 장착형 헤어스타일링 장치
KR101934050B1 (ko) 헤어웨이브 형성용 미용기기
KR20070054907A (ko) 영양물 공급 기능을 갖는 헤어드라이어
KR20170097393A (ko) 헤어 드라이기용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