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045B1 - 벤드형 헨즈프리 헤어드라이기 및 일반 가정 헤어드라이기 용 헨즈프리 커넥터 - Google Patents

벤드형 헨즈프리 헤어드라이기 및 일반 가정 헤어드라이기 용 헨즈프리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045B1
KR101372045B1 KR1020130046402A KR20130046402A KR101372045B1 KR 101372045 B1 KR101372045 B1 KR 101372045B1 KR 1020130046402 A KR1020130046402 A KR 1020130046402A KR 20130046402 A KR20130046402 A KR 20130046402A KR 101372045 B1 KR101372045 B1 KR 101372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
dry
hair
ai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근
Original Assignee
박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근 filed Critical 박태근
Priority to KR1020130046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2Helmets with hot air supply or ventilating means, e.g. electrically heated air current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특허는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건조풍의 생성 및 그 성질의 조절이 가능한 장비가 포함되어 있는 본체를 손에 쥐고 사용하는 기존의 헤어드라이기 방식을 변경하여 건조풍을 생성하고 그 성질을 조절하는 장치와 이를 분사하는 부분을 분리시키고 분사되는 부분의 형상을 두상에 맞게 변형하고 건조하고자 하는 부분에 따른 건조풍 토출부의 형상이 변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모발의 볼륨감을 더할 수 있고, 건조풍의 침투가 용이하도록 토출풍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벤드 형태의 헨즈프리 헤어드라이기 장치와 모발 건조의 단계별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기존 헤어드라이기를 건조풍 생성기 본체로 활용하여 헨즈프리 드라이기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벤드형 헨즈프리 헤어드라이기 및 일반 가정 헤어드라이기 용 헨즈프리 커넥터 {Hands free hair bend dryer and hands free apparatus for conventional hair dryer}
본 출원은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기존 헤어드라이기 토출풍 방향 조정 동작이 필요 없는 벤드형 헨즈프리 헤어드라이기와 일반 가정용 헤어드라이기에 부착하여 헨즈프리 드라이기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 및 이들 각각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한 모발 건조 방식은 보통 기기를 한 손에 쥐고 다른 한 손으로 모발을 빗어 모발과 건조바람의 접촉면이 커질 수 있도록 유도하며 건조한다. 상대적으로 건조해야 하는 모발의 양이 많은 여성의 경우 모발 건조를 위해 오랜 시간을 소요하며, 한 손으로 계속하여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기에 무거워 손을 교대로 하여 건조하는 것이 보통이다.
헤어드라이기는 그 목적에 의해 젖은 손으로 사용하기 쉬우며, 습한 욕실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 헤어드라이기의 경우 가정 교류 전류를 전원으로 사용하며 전류는 보통 본체의 손잡이 부분을 통과하므로 사용중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두상 및 모발 분포는 둥근 구형(球形)과 같지만 기존 헤어드라이기의 토출부 형상은 이와 상이하여 다량의 토출풍이 모발과 접촉하지 못하고 실손되어 건조 효율이 떨어짐으로써 헤어드라이기의 사용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전력 손실이 커진다.
한편, 위와 같은 불편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선행기술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한국공개특허 1020030035380 머리건조기는 모발을 틀에 삽입하여 건조하는 방식이다. 위 특허는 머리에 고정된 큰 틀의 무게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머리길이가 다른 사용자는 불필요한 건조풍 토출 구간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 모양을 구현하는 미용행위(이하 스타일링)가 불가하며, 비대한 용적을 차지함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의 사용이 힘들며 보관이 번거로운 문제를 가진다.
한국등록특허 1020090029094 견착식 헤어드라이기는 사용자의 어깨에 모터 팬 및 히팅코일과 이들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전자 장비가 포함된 헤어드라이기를 지지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위 특허는 긴 모발을 가진 사용자에게만 유용할 수 있으며 전기장치가 신체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됨으로써 감전 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발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건조풍이 토출되어 모발 건조모양이 바르지 못하게되는 문제를 가질수 있다.
미국등록특허 06964116 Ambulatory hairdryer 는 헤어드라이기를 헬멧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위 특허는 모터 팬 및 히팅코일과 이들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전자 장비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부가 포함된 헬멧의 무게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긴 머리를 가진 사용자는 이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링이 불가하며, 전기 구동되는 헬멧부를 젖은 머리에 직접 착용하여 사용하기에 감전 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05651190 Hands-free hair dryer 및 7096597 Backpack hair blower with heater 는 모발에 비닐 덮개를 씌워 더운 공기를 불어넣어 모발에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식이다. 위 특허는 덮혀진 비닐 덮개로 인해 스타일링이 불가하며, 증발된 수증기가 배출되지 못하고 포화증기 상태가 된 덮개 내부에서 재응결되어 건조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긴머리 사용자는 이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등록특허 06266893 Inverted bonnet hair dryer 는 모발 건조대를 이용한 방식이다. 일반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큰 용적을 차지하며 사용자의 스타일링이 어렵고 모발 건조행위 외 다른 일을 할 수 없는 모습으로 이용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유럽등록특허 01342427 A hair styler는 빗과 연동되어 한손 모발 건조가 가능하도록 제안된 방식이다. 기존 헤어드라이기와 마찬가지로 모발 건조를 위한 시간 할애를 필요로 한다.
PCT 1995019535 Hands free hair dryer 및 일본공개특허17323621 Dryer holder는 신체기관이 아닌 다른 지지대를 이용하여 건조풍이 고정되어 토출되는 방식이다. 위 특허는 일반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설치 및 운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 헤어드라이기 본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토출구를 두상으로 향하게 한 후 기존 헤어드라이기와 마찬가지로 모발 건조를 위한 시간 할애를 필요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10-0894548 한국공개특허 1020030035380 미국등록특허 06964116 미국등록특허 05651190 미국등록특허 7096597 미국등록특허 06266893 유럽등록특허 01342427 일본공개특허 17323621 PCT공개번호 1995019535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헤어드라이기와 비교하여 큰 공간을 차지 하지 않으며,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현저히 낮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건조행위와 함께 스타일링이 가능하며, 모발의 다양한 길이 조건에 모두 이용 가능하고, 건조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건조풍 토출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건조풍이 모발과 원활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건조 효율을 상승시키는데 있다. 또한, 핸즈프리로써 모발 건조 행위와 동시에 다른 기타 행위가 가능토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과제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풍을 생성하고 생성된 건조풍의 온도 및 풍량을 조절하는 본체부(310); 상기 본체부 (310)로부터 만들어진 건조풍을 벤드부 (330)로 이동시키는 에어튜브부 (320); 및 벤드부 (330)로 이송되어온 건조풍을 건조하고자 하는 모발 부위별로 분사하는 장치가 구성되는 일련의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 (310)는, 2 가지 이상의 성질로 각각 생성된 건조풍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된 내부 하우징을 가지고 내부 하우징을 감싸는 방음재 및 단열재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가압하는 모터, 임팰러 (g)와 가압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코일 (c)및 건조풍의 온도 및 풍량을 조절하는 판넬부 (3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튜브부 (320)는, 2가지 이상의 성질로 각각 생성된 건조풍이 서로 혼합되지 않고 본체부 (310)에서 벤드부 (330)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멀티코어 에어튜브부 (321)와 싱글코어 에어튜브부 (323)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드부 (330)는, 초승달 형상의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311),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와 힌지 핀 체결로써 제 1,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간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제 1 힌지부 (334); 탄성력을 갖는 초승달 형상의 탄성체 벤드 (340)부분 중 제 2 힌지 (342)의 정상적인 회전을 위하여 회전축이 직선형을 유지하는 탄성체 벤드의 제 2 힌지 연결부 (341),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 와 탄성체 벤드 (340)를 체결하며 힌지, 벤드간 각도 변경 시 제 2 힌지 (342)와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간 회전반경에 방해가 없도록 절곡부를 가진 제 2 힌지 (342); 제 1,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 내부 건조풍이 지나가는 에어덕트 (411) 와 풍향조절부 (424)를 이동하여 회전축대 (422)를 축으로 발생하는 모멘트로 풍향조절판을 (421)기울여 제 1,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로부터 분사되는 바람의 횡축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장치 (420); 판스프링, 변속기어 및 진자가 구성된 태엽부 (337)에 제 1 힌지부 (334)의 힌지핀이 체결되어 판스프링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를 이용하여 제 1 힌지부 (334)의 힌지핀을 축으로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켜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 (331)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 (332)간 각도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는, 건조풍 벡터 (431)의 유속을 이용하여 주변의 공기를 유도풍 (432)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에어덕트 (411)가 존재하는 부분에 한하여 건조풍 토출 벤드 외부하우징 (412)은 면(S)로 잘랐을 경우 물방울 형상의 단부를 가진 것이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는, 제 1 힌지부 (334)의 힌지 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의 각도가 0 °에서 180°로 변경이 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조향장치 (420)조작에 의해 토출풍의 괘적이 원뿔형 나선 건조풍 벡터(433)의 모습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는, 에어덕트 (411)를 통해 토출되는 건조풍의 전도열로 인하여 벤드 외부 하우징 (412)이 과열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 (413)가 에어덕트 (411)와 건조풍 토출 벤드 외부 하우징 (412)사이에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 벤드 (340)가 두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힌지부 (334)의 힌지핀을 축으로 힌지각 조절 태엽부 (337)에 의해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사이의 각도가 0°에서 90 내지 180° 범위까지 변경되어 두피에서 가까운 모발을 건조하는 단계와; 제 1 힌지부 (334)의 힌지핀을 축으로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가 180° 각도로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체 벤드 (340)가 사용자의 목 또는 다른 신체부위에 고정되어 제 2 힌지 (342)를 통해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와 탄성체 벤드 (340)사이의 각도를 조정하며 제 1,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사이의 원호 내부방향으로 모발을 위치시켜 두피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모발의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건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벤드부를 가진 헤어드라이기가 적용됨으로써, 이용자는 건조와 동시에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용자는 모발을 건조함과 동시에 외출에 필요한 미용 관리를 하거나, 착의, 운전 등 기타 다른 행위를 가능하게 하여 모발 건조만을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실제 사용에 있어 신체 접촉이 주로 발생할 수 있는 벤드부 및 에어튜브부는 전기적 구성품이 없어 감전에 대한 위험성이 없다.
사용자의 두상에 맞춘 초승달 형상의 건조풍 토출벤드로 건조풍과 모발의 마찰면적을 늘려 증발 시간을 단축시켜 건조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용자가 의도대로 토출풍의 방향을 조절하여 스타일링을 유도할 수 있으며 나선풍을 유도하여 모발내부로 건조풍 침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기존 드라이기 사용 중 드라이기 본체를 흔들어 건조풍이 일정 장소에 간헐적으로 분사되어 과열로 인한 화상을 입거나 모발 손상이 되는 것을 막는 행위의 효과와 같이 토출풍의 간헐적 차단을 통해 모발의 손상 및 화상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드라이기와 호환되어 추가 에너지 없이 동일한 핸즈프리 드라이기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 헤어드라이기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구성도;
도 4는 도 3a의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은 도 3b의 에어튜브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단면도;
도 6a, 도 6b, 도 6c 은 도 3의 건조풍 토출 벤드부의 변형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d는 탄성체 벤드 사시도;
도 6e는 탄성체 벤드 및 힌지가 도시된 사시도;
도 6f는 건조풍 토출 벤드 및 탄성체 벤드 힌지가 도시된 사시도;
도 6g는 도 6c의 건조풍 토출 벤드와 도 6d의 탄성체 벤드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
도 6h는 도 6g의 탄성체 벤드 힌지 각도가 조절된 사시도;
도 6i는 도 6a의 건조풍 토출 벤드와 도 6d의 탄성체 벤드가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6j는 도 6i의 정면도;
도 6k는 도 6i의 벤드부 세부 단면도;
도 6l은 도 6b의 건조풍 토출 벤드와 도 6d의 탄성체 벤드가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6m은 도 6g의 벤드부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n은 도 6h의 벤드부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는 건조풍 토출 벤드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7a의 단부를 중심으로 토출 기류 및 유도기류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조향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9a는 본체부에 구성되는 간헐 차단기와 본체 내부 에어튜브를 도시한 도면;
도 9b는 간헐 차단기의 구성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a는 6c의 건조풍 토출 벤드 형태일 때 조향장치를 거친 건조풍의 나선형 괘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의 정면도;
도 11a는 히팅코일2개와 임팰러2개가 적용된 에어튜브 및 조절 회로 단선도;
도 11b는 임팰러 1개와 벨브 및 히팅코일2개가 적용된 에어튜브 및 조절 회로 단선도;
도 11c는 임팰러 1개와 히팅코일 1개가 적용된 에어튜브 및 조절 회로 단선도;
도 12a, 도 12b는 기존 헤어드라이기와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c는 기존 헤어드라이기와 커넥턱가 결합된 사시도;
도 12d는 커넥터를 단면s2 로 분리하여 토출풍의 성질을 구분한 사시도;
도 1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 내 외부의 유체흐름도를 표현한 커넥터 단면도;
도 13a은 제 1,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와 제 1 힌지부 사이의 분해도 ;
도 13b는 제 1,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와 제 1 힌지부 사이의 부분 확대도 ;
도 13c는 제 1,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와 제 1 힌지부 사이의 정면도 ;
도 13d는 제 1,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와 제 1 힌지부 사이의 측면도 ;
도 13e는 힌지각 조절태엽부와 제 1 힌지부 핀의 부분 확대도 ;
도 13f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힌지각 조절 태엽부와 제 1 힌지부 핀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도면 ; 및
도 14는 본 발명으로 제작된 제품으로 시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힌지부(334)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힌지각 조절 태엽부(337)와 함께 적용되어 시간에 따른 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엽부는 변속기, 조속기 및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 1건조풍 토출벤드(331)와 제 2건조풍 토출벤드(332)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 전력을 주(主)구동력으로 사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hands free의 특성을 활용하여 본체의 형태를 변경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하여 battery 형태로 구동력을 얻거나, 시거잭등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에서 본 발명품을 사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헤어드라이기는 전기 모터와 연결된 팬을 구동하여 주위 공기를 흡입하여 코일등으로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고 기기외부로 불어내어 젖은 모발을 건조시키는 대중적 전자제품이다.
도 1은 기존의 헤어드라이기(103) 사용시 머리를 건조시키는 행위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한손으로 건조기기를 쥐고 (101) 다른 손으로 머리를 털거나 (102) 빗어 말린다. 이는 기존 헤어드라이기 사용자는 모발을 말리는 행위 외 손을 이용한 다른 행위를 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용자는 모발을 건조하는 동안 양손을 이용한 일체 행위(201)를 할 수 있다. 이로써 모발 건조 중 물건을 집거나 화장, 탈의, 착의 등 기존 헤어드라이기 사용중 불가했던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반 가정전류를 이용하거나 베터리로 부터 나온 전력을 이용하여 더운/차가운 바람을 본체(310)로부터 생성하며 사용자의 편리에 맞게 토출풍의 성질을 조절한다.
본체로부터 생성된 건조풍은 에어튜브(320)를 통해 벤드부(330)로 이송되며 이 과정중 서로다른 성질로 생성된 건조풍이 혼합되지 않도록 본체 내부 하우징 및 에어튜브(320) 부터 토출 벤드(330)까지 건조풍의 이동 공간은 분리 독립되어 운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부는 제1 벤드(331) 및 제 2벤드(332)에서 각각 토출될 건조풍의 풍량, 온도 및 간헐 차단 시스템(500)의 동작을 조종할 수 있는 정면부 계기판(311)이 구성된다. 외부공기 흡기부(312)와 본체 내부 임팰러(g)에 의해 상해를 입거나 이물질 유입으로 기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망(313)이 설치된다. 이용시간 외 벤드 및 에어튜브의 보관 정리를 위한 권취부(314)가 적용되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걸이쇄가 부착될 수 있다. 에어튜브에 걸린 장력 및 기타 외력으로 본체부가 이동되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받침부(315)는 마찰저항계수가 큰 고무재질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제시되는 본체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으며 외부 전력을 통해 건조 바람을 생성하고 그 건조풍을 제어하는 본체의 역할 외 기기 조종 방식은 기계식, 전자식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체에서 생성된 건조풍은 멀티 코어(321)로 구성된 에어튜브를 통해 벤드부(330)로 이송된다. 이로써 본체부와 벤드부를 이어주는 라인의 갯수를 단일로 하여 에어튜브가 엉키는 현상을 줄이고 본체부에서 생성된 건조풍 각각의 성질이 혼합되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튜브부는 에어튜브 코어(325)를 통과하는 건조풍의 온도에 의해 에어튜브 표피부가 과열되어 발생할 수 있는 화상사고 방지를 위하여 단열재(324)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본체 내부 에어튜브와 외부 에어튜브(320) 사이에 설치되는 간헐 차단 시스템(500)은 모발에 건조풍이 연속적으로 토출되지 않도록 유도하여 모발 손상 및 화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고온 건조풍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본체 판넬부(311)에서 간헐 차단시스템을 동작할 수 있다. 간헐 차단 모터(501)가 구동되어 모터기어 (502)를 통해 개패기어(503)가 감속되며 회전한다. 이로써 모터의 회전주기에 따라 건조풍 통로는 개패되며 에어튜브(320) 및 벤드부로 비 연속적인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와 연결된 에어튜브부는 피로 하중이 집중되는 본체 연결부(322)에 부분파단이 발생하여 건조풍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에어튜브 주름구간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간헐 차단 기어(503)의 개방부(504) 크기 및 모양은 변경 가능하며, 건조풍의 흐름을 막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헐 차단 시스템 주위의 본체 내부 하우징은 단열재 외에도 방음재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벤드부(330)에 근접한 에어튜브는 싱글코어 에어튜브(323)로 분리되어 제1 벤드부(331)와 제2 벤드부(332)의 플러그(335)로 각각 연결된다.
벤드부(330)는 제1 벤드(331) 와 제2 벤드 (332) 및 탄성체 벤드(340)로 크게 나뉘어 지며 제 1 힌지부(334)에 의해 제1 벤드 및 제2 벤드가 서로 연결되며 제 2 힌지부(342)에 의해 탄성체 벤드와 제1 벤드부와 연결됨으로써 벤드부(330)는 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체 벤드에 의해 건조풍 토출 벤드부는 신체부위에 고정되며 힌지 연결로 형태 및 위치가 유지, 변경되며 모발을 건조할 수 있다.
힌지각 조절태엽부(337)로 인해 제 1벤드부(331)와 제 2 벤드부(332)가 연결된 힌지 각도가 시간에 따라 도 6a의 벤드간 각도에서 도 6b의 벤드간 각도로 변경되고 이어서 도 6c의 벤드 형태로 움직이며 건조 부위가 전기적 구동력 없이 자동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힌지각을 조절하여 모발을 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힌지부 주변 각 벤드부에 돌출되어 나온 스토퍼(338)가 설치되어 제1 힌지부 (334)의 힌지핀을 축으로 제 1벤드부(331)와 제 2 벤드부(332) 간 각도가 0°에서 180°를 초과하여 변경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반 남성의 짧은 모발길이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6i와 같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도 6l과 같이 건조부위를 변경하게 된다.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상 제1 벤드부와 제 2벤드부가 각각 건조해야 하는 모발의 양이 상이하며 제1벤드부는 보통 모발이 없는 사용자의 안면으로 향하기 때문에 각각의 벤드부에서 건조하고자 하는 모발 상태의 균형을 맞춰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미 건조가 조기 진행된 모발 부위에 놓인 벤드부는 그 풍량을 줄이거나 온도를 낮춰 대기 시킬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건조가 진행되지 않은 모발 부위에 분사되는 건조풍은 그 풍량을 높이고 온도를 상승시켜 운용 가능하다.
면(S3)으로 자른 단면부인 도 6k에서와 같이 건조풍 토출부는 두상을 향하도록 하향조절 된다.
일반 여성의 긴 모발길이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6m 및 6n과 같으며 제 2 힌지(342)를 이용하여 탄성체 벤드(340)와 제1벤드부(331)의 각도를 변경하며 벤드부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 벤드의 제2 힌지 연결부(341)는 탄성체의 변형에도 직관부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저(抵)변형률의 비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벤드부의 제 2 힌지 연결부(336)는 제 2 힌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반경으로 절삭되어 직선형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탄성체 벤드는 도 6g 및 6h의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뒷 모발 부위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긴 모발을 건조시키는 경우의 건조풍 토출 벤드부의 모습은 보통 도 6c 형태와 같으며 제1 벤드부 및 제 2 벤드부 사이에 모발이 들어가 건조된다. 이때, 탄성체는 사용자의 목부분에 고정되며 질식이나 이용에 거부감이 없도록 탄성체의 형상에 따라 이용자의 앞쪽 목 부위는 개방되어(343) 사용될 수 있다.
제1 건조풍 토출 벤드부(331)를 면(S)로 잘랐을 경우 내부의 모습은 도 7b와 같다. 건조풍 토출 벤드 외부하우징 (412)의 단면은 물방울 모양의 유선형상을 가진다. 이는 에어튜브(320)로부터 받은 건조풍은 에어덕트부(411)를 통해 토출부(333)로 가압되어 분사된 바람이(431) 음압을 생성시키고 공기간 마찰력을 이용하여 주위의 공기를 유도하여(432) 모발 건조를 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인해 인위로 출력된 바람의 양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모발과 마찰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이용자의 모발 건조 시간이 줄어듬과 동시에 전력 소모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에어덕트를 지나는 건조풍의 온도로 인해 벤드의 외부 하우징(412)이 과열되어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화상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 (413)가 에어덕트와 외부 하우징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풍향 조절 단추(424)를 건조풍 토출 벤드의 외부 하우징 천공부 (425)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풍향 조절 단추와 연결된 방향타 조절선(423)이 그 길이방향으로 위치변경 됨으로써 회전축대(422)를 중심으로 모멘텀이 발생한 풍향 조절판(421)은 그 각도가 변경되어 풍향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풍향 조절판의 각도 (434)에 따라 토출된 건조풍은 도 10a와 같은 흐름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자연계에서 발생하는 나선형 풍향을 유도하여 세척후 남은 물기로 인해 덩어리진 모발의 건조율이 떨어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모발 가닥 사이로의 건조풍 침투율을 높이며 단순 건조 뿐만이 아닌 사용자의 모발 스타일링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나선형 풍향은 도 10b와 같은 회전류이며 이는 자연계의 해바라기 씨앗의 배열각 / 일반 액체 배수시 발생하는 회전와류의 나선구조와 동일한 풍향이 유도되도록 조향장치(420)가 구성될 수 있다.
흡기부터 토출까지의 프로세스중 발명품의 제어 및 건조풍의 이동과 각 단계별 주요 구성품은 도.11a / 도.11b / 도.11c에서 도식한 단선도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상기 단선도에서 실선부는 건조풍이 통과되는 내부 하우징 혹은 에어튜브이며, 점선은 시그널 라인 내지 전력 공급 라인을 의미한다. 각 도면은 적용 가능한 사양에 따른 단선도를 도식한다.
도 11a와 같이 임팰러와 히팅코일의 수량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위 경우 제 1 벤드부와 제 2벤드부의 건조풍이 독립적으로 풍량 및 온도 조절되어 분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b와 같이 임팰러를 공동으로 운영할 경우 각 건조풍 토출 벤드의 개별적 풍량 조절은 불가하며 솔레노이드 벨브(v)등을 적용하여 벤드별 토출풍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c와 같이 공동의 임팰러 및 히팅코일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각 벤드부의 건조풍은 그 풍량과 온도가 단일 성질로 동시에 조절되어 분사될 수 있으며 건조풍 토출의 벤드별 차단은 불가한 사양이다.
사용자는 콘트롤 판넬부(a)에서 임팰러(g) 및 히팅코일(c)을 가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외부 공기는 안전망(b)과 흡기부(312)를 거쳐 본체 내부 하우징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히팅 코일(c)의 작동 여부에 따라 가열, 비가열된 상태로 풍량 간헐차단기(d)를 거쳐 에어튜브부로 이동한다.
판넬부를 통한 전력은 릴레이(h)를 거쳐 히팅코일로 공급될 수 있으며 내부 에어튜브 혹은 하우징 부의 온도가 설계온도를 넘는 경우 과열 시그널을 온도 스위치 (i)로부터 받아 히팅 코일로의 전력라인을 개로하여 추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 헤어드라이기(103)를 본체부로 활용하여 헨즈프리 드라이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60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ejector의 효과를 이용하여 드라이기(103)로부터 토출되어 나온 건조풍을 driving flow로 적용한다. 이에 따라, 토출부 주위에 발생하는 음압을 활용하여 외부공기가 커넥터 내부로 흡기되도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디퓨져부를 통해 기존 헤어드라이기로부터 나온 건조풍(604)과 유도풍(605)이 분리 포집되어 각각의 에어튜브로 이동한다.
기존 헤어드라이기에서 고온 건조풍이 출력될 경우 커넥터를 통해 저온풍이 유도되고 인너 디스차지 커넥터에 의해 고온풍과 분리되어 에어튜브부로 이동하게 된다. 분리되어 나온 고온풍(604)의 경우 제 2 벤드부로 연결되어 비교적 피부에 직접적인 건조바람이 닫지 않는 후두부로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유도된 저온풍(605)은 주로 제 1 벤드부로 토출되어 나오도록 한다. 기존 드라이기에서 추출된 두가지의 상이한 건조풍을 상기 제시된 토출 벤드부로 각각 이송할 수 있도록 멀티 코어를 가지는 에어튜브가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출원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3 : 기존 헤어드라이기 310 : 본체부
320 : 에어튜브부 330 : 벤드부
311 : 건조풍 조절판넬부 312 : 흡기부
313 : 안전망 314 : 에어튜브 및 벤드 권취부
315 : 받침부 321 : 멀티코어 에어튜브부
322 : 에어튜브 본체 연결부 323 : 싱글코어 에어튜브부
324 : 튜브 단열재 325 : 에어튜브 코어
331 : 제1 건조풍 토출 벤드 332 : 제2 건조풍 토출 벤드
333 : 건조풍 토출구 334 : 건조풍 토출 벤드 힌지(제 1 힌지부)
335 : 에어튜브 플러그부 336 : 제1 건조풍 토출 벤드부의 제 2힌지 연결부
337 : 힌지각 조절태엽부 338 : 스토퍼
340 : 탄성체 벤드 341 : 탄성체 벤드의 제 2 힌지 연결부
342 : 탄성체 벤드 힌지(제 2 힌지) 343 : 탄성체 벤드 개방부
411 : 에어 덕트 412 : 건조풍 토출 벤드 외부 하우징
413 : 단열재 420 : 조향장치
421 : 풍향조절판 422 : 회전 축대
423 : 방향타 조절선 424 : 풍향 조절부
431 : 건조풍 벡터 432 : 유도풍 벡터
433 : 나선 건조풍 벡터 434 : 풍향조절판 각도
500 : 간헐 차단 시스템 501 : 간헐차단기 모터
502 : 모터 기어부 503 : 개패 기어부
504 : 개방부
(a) : 311 (b) : 313
(c) : 히팅코일 (d) : 500
(e) : 320 (f) : 330
(g) : 모터&임팰러 (h) : 히팅코일 전력 차단 릴레이
(i) : 온도 스위치 (v) : 솔레노이드 벨브
601 : 커넥터 602 : 인너 디스차지 커넥터
604 : 고온풍 벡터 605 : 유도 저온풍 벡터

Claims (10)

  1. 건조풍을 생성하고 생성된 건조풍의 온도 및 풍량을 조절하는 본체부(310);
    상기 본체부 (310)로부터 만들어진 건조풍을 벤드부 (330)로 이동시키는 에어튜브부 (320); 및
    벤드부 (330)로 이송되어온 건조풍을 건조하고자 하는 모발 부위별로 분사하는 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310)는, 2 가지 이상의 성질로 각각 생성된 건조풍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된 내부 하우징을 가지고 내부 하우징을 감싸는 방음재 및 단열재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가압하는 모터, 임팰러 (g)와 가압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코일 (c)및 건조풍의 온도 및 풍량을 조절하는 판넬부 (3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부 (320)는, 2가지 이상의 성질로 각각 생성된 건조풍이 서로 혼합되지 않고 본체부 (310)에서 벤드부 (330)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멀티코어 에어튜브부 (321)와 싱글코어 에어튜브부 (32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드부 (330)는, 초승달 형상의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311),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와 힌지 핀 체결로써 제 1,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간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제 1 힌지부 (334); 탄성력을 갖는 초승달 형상의 탄성체 벤드 (340)부분 중 제 2 힌지 (342)의 정상적인 회전을 위하여 회전축이 직선형을 유지하는 탄성체 벤드의 제 2 힌지 연결부 (341),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 와 탄성체 벤드 (340)를 체결하며 힌지, 벤드간 각도 변경 시 제 2 힌지 (342)와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간 회전반경에 방해가 없도록 절곡부를 가진 제 2 힌지 (342); 제 1,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 내부 건조풍이 지나가는 에어덕트 (411)와 풍향조절부 (424)를 이동하여 회전축대 (422)를 축으로 발생하는 모멘트로 풍향조절판을 (421)기울여 제 1,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로부터 분사되는 바람의 횡축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장치 (420); 판스프링, 변속기어 및 진자가 구성된 태엽부 (337)에 제 1 힌지부 (334)의 힌지핀이 체결되어 판스프링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를 이용하여 제 1 힌지부 (334)의 힌지핀을 축으로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켜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 (331)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 (332)간 각도가 변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는, 건조풍 벡터 (431)의 유속을 이용하여 주변의 공기를 유도풍 (432)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에어덕트 (411)가 존재하는 부분에 한하여 건조풍 토출 벤드 외부하우징 (412)은 면(S)로 잘랐을 경우 물방울 형상의 단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는, 제 1 힌지부 (334)의 힌지 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의 각도가 0 °에서 180°로 변경이 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조향장치 (420)조작에 의해 토출풍의 괘적이 원뿔형 나선 건조풍 벡터(433)의 모습으로 생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는, 에어덕트 (411)를 통해 토출되는 건조풍의 전도열로 인하여 벤드 외부 하우징 (412)이 과열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 (413)가 에어덕트 (411)와 건조풍 토출 벤드 외부 하우징 (412)사이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8. 탄성체 벤드 (340)가 두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힌지부 (334)의 힌지핀을 축으로 힌지각 조절 태엽부 (337)에 의해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2)사이의 각도가 0°에서 90 내지 180° 범위까지 변경되어 두피에서 가까운 모발을 건조하는 단계와; 제 1 힌지부 (334)의 힌지핀을 축으로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와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가 180° 각도로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체 벤드 (340)가 사용자의 목 또는 다른 신체부위에 고정되어 제 2 힌지 (342)를 통해 제 1 건조풍 토출 벤드부 (331)와 탄성체 벤드 (340)사이의 각도를 조정하며 제 1, 제 2 건조풍 토출 벤드부 사이의 원호 내부방향으로 모발을 위치시켜 두피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모발의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건조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46402A 2013-04-26 2013-04-26 벤드형 헨즈프리 헤어드라이기 및 일반 가정 헤어드라이기 용 헨즈프리 커넥터 KR101372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402A KR101372045B1 (ko) 2013-04-26 2013-04-26 벤드형 헨즈프리 헤어드라이기 및 일반 가정 헤어드라이기 용 헨즈프리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402A KR101372045B1 (ko) 2013-04-26 2013-04-26 벤드형 헨즈프리 헤어드라이기 및 일반 가정 헤어드라이기 용 헨즈프리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045B1 true KR101372045B1 (ko) 2014-03-10

Family

ID=5064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402A KR101372045B1 (ko) 2013-04-26 2013-04-26 벤드형 헨즈프리 헤어드라이기 및 일반 가정 헤어드라이기 용 헨즈프리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04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2382A (zh) * 2016-06-23 2016-08-17 刘东浩 一种智能可穿戴自动吹风机及其使用方法
US9808067B2 (en) 2013-07-24 2017-11-07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KR101795769B1 (ko) 2016-07-04 2017-11-08 오상훈 모발 건조대
KR101843296B1 (ko) * 2016-12-20 2018-03-29 임상용 머리 고정용 헤어 드라이기
US10143285B2 (en) 2015-07-10 2018-12-04 Dyson Technology Limited Nozzle
US10194728B2 (en) 2015-01-21 2019-02-05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US10213001B2 (en) 2015-01-21 2019-02-26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KR102636064B1 (ko) * 2023-10-06 2024-02-14 블랙패럿 주식회사 자동 헤어 건조를 위한 헤어 드라이기
KR20240082082A (ko) 2022-12-01 2024-06-10 최명지 헤어 드라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3480A (en) * 1994-04-19 1995-01-24 Clyburn; Belinda Hair waving device and method
US6052915A (en) * 1998-11-05 2000-04-25 Turner; Cheryl G. Hands-free portable hairdryer
US20020088472A1 (en) * 2001-01-09 2002-07-11 Shigetsugu Ozaki Hair heating device having a concentric reverse reduction gearing
KR20070064709A (ko) * 2005-12-19 2007-06-22 (주)성신이엔씨 모발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3480A (en) * 1994-04-19 1995-01-24 Clyburn; Belinda Hair waving device and method
US6052915A (en) * 1998-11-05 2000-04-25 Turner; Cheryl G. Hands-free portable hairdryer
US20020088472A1 (en) * 2001-01-09 2002-07-11 Shigetsugu Ozaki Hair heating device having a concentric reverse reduction gearing
KR20070064709A (ko) * 2005-12-19 2007-06-22 (주)성신이엔씨 모발건조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8067B2 (en) 2013-07-24 2017-11-07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US10194728B2 (en) 2015-01-21 2019-02-05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US10213001B2 (en) 2015-01-21 2019-02-26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US10143285B2 (en) 2015-07-10 2018-12-04 Dyson Technology Limited Nozzle
CN105852382A (zh) * 2016-06-23 2016-08-17 刘东浩 一种智能可穿戴自动吹风机及其使用方法
CN105852382B (zh) * 2016-06-23 2024-03-15 刘东浩 一种智能可穿戴自动吹风机及其使用方法
KR101795769B1 (ko) 2016-07-04 2017-11-08 오상훈 모발 건조대
KR101843296B1 (ko) * 2016-12-20 2018-03-29 임상용 머리 고정용 헤어 드라이기
KR20240082082A (ko) 2022-12-01 2024-06-10 최명지 헤어 드라이기
KR102636064B1 (ko) * 2023-10-06 2024-02-14 블랙패럿 주식회사 자동 헤어 건조를 위한 헤어 드라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045B1 (ko) 벤드형 헨즈프리 헤어드라이기 및 일반 가정 헤어드라이기 용 헨즈프리 커넥터
US11076671B2 (en) Vacuum assisted systems and methods for grooming hair
GB26186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nd styling hair
CN103251199B (zh) 一种具有吹干、梳理和保健功能的智能梳子
US7228065B2 (en) Gem stone metal dryer
EP3078294B1 (en) Dryer
US10820677B2 (en) Cordless hair dryer with ionizing solution
JP2015516262A (ja) 熱風と同時に吐き出される自然風の風量を調節することができるヘアドライヤー
EP2613663B1 (en) A combined device for treating the hair
CN104640474A (zh) 聚集器
US20080216339A1 (en) Wireless Blow Dryer
KR20110002484U (ko) 헤어드라이어 열축적 디퓨저 구조
AU2010316649A1 (en) Hair styling attachment
JP7486710B2 (ja) 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KR101418363B1 (ko) 헬멧형 헤어드라이기
CN201630470U (zh) 具有定发、烘发和卷发功能的整发器
US20070220774A1 (en) Hair dryer
KR20080036822A (ko) 고데기형 헤어 드라이기
WO2014064520A1 (en) Hair styling device
KR100894548B1 (ko)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CN209489639U (zh) 一种带有空心梳齿的迷你手握式吹风机
WO2021021056A1 (en) Novelty in relation to a hair-dryer
JP2015029656A (ja) バンド計ハンズフリーヘアードライ機及び一般家庭エアードライ機用ハンズフリーコネクター。
KR101290154B1 (ko) 전원선 권취수단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기
KR101381692B1 (ko) 헤어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