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092B1 - 용지 타입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 - Google Patents

용지 타입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092B1
KR101748092B1 KR1020160149340A KR20160149340A KR101748092B1 KR 101748092 B1 KR101748092 B1 KR 101748092B1 KR 1020160149340 A KR1020160149340 A KR 1020160149340A KR 20160149340 A KR20160149340 A KR 20160149340A KR 101748092 B1 KR101748092 B1 KR 101748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inter
print
printing
f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관
송경섭
강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to KR102016014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25Handling copy materials differing in width
    • B41J11/003Paper-size detection, i.e. automatic detection of the length and/or width of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Detecting type of paper, e.g. by automatic reading of a code that is printed on a paper package or on a paper roll or by sensing the grade of translucency of th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용지 타입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프린터의 인쇄 방법은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호스트로부터 제1 폰트 - 상기 제1 폰트는 제1 용지폭을 갖는 제1 용지에서의 인쇄에 이용됨 - 로 구성된 인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용지의 용지폭과 상기 제1 용지폭이 상이한 경우,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와 상기 제1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가 동일하도록, 상기 인쇄 데이터의 폰트를 상기 제1 폰트에서 제2 폰트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폰트로 변경된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에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지 타입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PRINTER FOR MODIFYING PRINT DATA ACCORDING TO PAPER TYPE}
아래의 실시예들은 용지 타입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의점, 슈퍼마켓, 식당, 백화점등에서는 거래내역, 판매액계산, 세금계산, 영수증(혹은 영수지) 발행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금전 등록기(Electronic Cash Resister; ECR), 포스 터미널(POS terminal), 신용카드 단말기와 같은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금전 등록기, 포스 터미널, 신용카드 단말기 등에서 영수증을 발생하기 위한 영수내역을 인쇄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기 내부에 장착되는 소형 프린터(혹은 영수증 프린터)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소형 프린터는 그 인쇄방식에 따라 순환하는 리본에 충격을 가해 용지에 거래내역을 인쇄할 수 있는 도트(dot) 프린터와, 열을 이용하여 용지에 거래내역을 인자하는 써멀(thermal) 프린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편의점, 슈퍼마켓, 식당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금전 등록기는 키보드 또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품의 거래내역(혹은 금액)을 입력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품의 거래내역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출력된 거래내역은 금전 등록기의 프린터에 의해서 두루마리 용지(통상, 금전 등록기용 용지는 두루마리 형태로 장착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하 "용지"라 한다.)에 인쇄된 후, 영수 측 용지가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금전 등록기의 프린터 내부에는 감사 등을 위해 거래된 내역이 별도의 감사 측 용지에 인쇄되어 롤 형태로 감겨 금전 등록기의 본체 내부에 보관되거나, 칩 형태의 회계 메모리에 저장되어 금전 등록기의 본체 내부에 보관되게 된다. 이와 같은 프린터는 상품명이나 가격 등이 인쇄된 영수증을 발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프린터 본체와, 본체 내에 구비된 용지 수용부와, 용지에 상품명이나 가격 등을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인쇄가 용이하도록 용지를 프린트 헤드로 안내하는 가이드와, 인쇄가 완료되면 용지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프린터는 다양한 폭을 갖는 용지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지 수용부에는 폭이 2인치인 용지 또는 폭이 3인치인 용지가 수용되고, 프린터 헤드는 폭이 2인치인 용지 또는 폭이 3인치인 용지에 인쇄를 수행한다. 이 경우, 종래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수용되는 용지의 폭을 프린터에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호스트를 통하여 프린터에 수용되는 용지의 폭을 설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프린터에 폭이 2인치인 용지가 수용됨에도 불구하고, 호스트로부터 폭인 3인치인 용지를 위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에는, 인쇄되는 인쇄 데이터의 일부가 폭이 2인치인 용지를 벗어나,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에 정상적으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을 기초로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 방법은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호스트로부터 제1 폰트 - 상기 제1 폰트는 제1 용지폭을 갖는 제1 용지에서의 인쇄에 이용됨 - 로 구성된 인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용지의 용지폭과 상기 제1 용지폭이 상이한 경우,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와 상기 제1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가 동일하도록, 상기 인쇄 데이터의 폰트를 상기 제1 폰트에서 제2 폰트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폰트로 변경된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에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용지를 수용하는 용지 수용부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가 상기 용지 수용부에 수용되는 가이드와 접촉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용지 수용부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는, 수동적으로(manually) 용지의 타입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쇄 데이터의 폰트를 상기 제1 폰트에서 제2 폰트로 변경하는 단계는, 복수의 폰트 중 상기 프린터에 수용되는 용지에 대한 인쇄폭 - 상기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가 인쇄를 수행하는 영역과 대응됨 - 및 도트 농도를 기초로 상기 제2 폰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쇄 데이터의 폰트를 상기 제1 폰트에서 제2 폰트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와 상기 제1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2 폰트를 선택하되, 상기 복수의 폰트 중 상기 인쇄폭 및 상기 도트 농도를 기초로 상기 제2 폰트로 선택될 수 있는 폰트가 2개 이상인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폰트 중 상기 변경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용지에 인쇄하는 경우에 상기 용지에서 빈공간이 가장 적게 인쇄될 수 있는 폰트를 상기 제2 폰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린터는, 상기 프린터의 용지 수용부에 수용된 용지상에서의 인쇄폭 - 상기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가 인쇄를 수행하는 영역과 대응됨 - 이 넓어지도록, 상기 용지 수용부의 중심과 상기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로부터 획득된 인쇄 데이터가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용지의 용지폭과 상기 제1 용지폭이 상이한 경우, 상기 이미지가 유실되는 부분 없이 상기 이미지 전체가 상기 수용된 용지에 인쇄되도록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로부터 획득된 인쇄 데이터가 이미지 추출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추출 명령어에 인쇄가 수행될 이미지가 저장된 이미지 주소 및 상기 이미지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식별된 용지의 용지폭과 상기 제1 용지폭이 상이한 경우, 상기 이미지가 유실되는 부분 없이 상기 이미지 전체가 상기 수용된 용지에 인쇄되도록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용지폭을 갖은 복수의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터는 상기 복수의 용지 중 어느 하나의 용지를 수용하는 용지 수용부; 상기 용지 수용부에 수용된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트 헤드; 및 상기 프린트 헤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용지 중 용지폭이 가장 넓은 제1 용지를 제외한 나머지 용지에서의 인쇄폭 - 상기 인쇄폭은 상기 프린트 헤드가 인쇄를 수행하는 영역과 대응됨 - 이 증가되도록, 상기 용지 수용부의 중심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 수용부에 상기 나머지 용지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용지상의 인쇄를 위해 이용되는 제1 폰트가 아닌 다른 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나머지 용지상에 인쇄를 수행하되, 상기 나머지 용지에서의 인쇄폭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제1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와 상기 나머지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가 동일하게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 수용부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가 상기 용지 수용부에 수용되는 가이드와 접촉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용지 수용부에 상기 제1 용지가 아닌 상기 나머지 용지가 수용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 헤드의 중심선은 상기 용지 수용부의 중심선으로부터 적어도 0.8mm 이상 측면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 방법은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호스트로부터 제1 인쇄 설정 - 상기 제1 인쇄 설정은 제1 용지에서의 인쇄에 이용됨 - 에 기초한 인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용지의 타입과 상기 제1 인쇄 설정이 대응되지 않을 경우, 상기 식별된 용지의 타입과 대응되는 제2 인쇄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쇄 데이터의 제1 인쇄 설정을 상기 제2 인쇄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인쇄 설정으로 변경된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에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을 식별하고, 식별된 용지의 타입에 따라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적절하게 수정함으로써,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서 설정된 용지의 타입과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에 정상적으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및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수용부와 프린트 헤드의 배치에 따른 인쇄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터(100)는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영수증 프린터, 라벨 프린터, 모바일 프린터, 써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리본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열거된 프린터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열거된 프린터 외에도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장치는 모두 프린터(100)에 포함될 수 있다.
프린터(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출력부(140), 프린터부(150) 및 제어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전자기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프린터(100)와 외부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무선랜(WLAN),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쓰(Bluetooth), 직비(ZigBee), 와이기그(WiGig),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엔에프시(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더블유비(UWB, Ultra Wideband) 및 와이에이치디(WiHD)와 같은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와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물론,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무선 통신 모듈만이 아니라 유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를 통해, 프린터(100)는, 유에스비(USB) 방식, 시리얼 방식 및 패러럴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프린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20)는, 제어부(16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프린터부(16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명령에 기초하여, 프린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딥 스위치(dip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부(130)는 용지의 타입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제어부(160)에서 용지의 타입이 인식되도록 제어부(160)에 입력받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시각 또는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오디오 출력부(141) 및 비디오 출력부(14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41)는 프린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141)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디오 출력부(142)는 프린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100)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비디오 출력부(14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비디오 출력부(14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출력부(14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비디오 출력부(142)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린터부(150)는 프린트 헤드(151) 및 용지 타입 인식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트 헤드(151)는 제어부(160)의 데이터의 신호를 용지에 기록하는 장치로, 제어에 따라 인쇄를 수행하는 장치로, 써멀 방식 헤드, 잉크젯 방식 헤드, 도트 방식 헤드, 레이저 방식 헤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지 타입 인식기(152)는 프린터(100)에 수용되는 용지의 타입의 인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용지의 타입은 용지의 두께(thickness), 용지의 폭(width), 용지의 무게(weight), 용지의 질감(texture), 용지의 밀도(dens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지는 텍스트 인쇄, 그림인쇄 및/또는 사진인화에 이용되는 용지, 영수증 용지, 티켓 용지, 광택지, 무광택지, 라벨 용지, 라벨용 라이너리스 용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지 타입 인식기(152)는 스위치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지 타입 인식기(152)가 스위치일 경우, 용지 타입 인식기(152)는 용지 타입 인식기(152)가 용지 또는 용지를 프린트 헤드로 안내하는 가이드에 의해 눌려지는지 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160)에서 용지의 폭이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용지 타입 인식기(152)는 반사형 센서 또는 갭 센서 등 각종 센서의 형태일 수 있고, 이 경우, 용지 타입 인식기(152)는 프린터(100)에 수용되는 용지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160)에서 용지의 타입이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용지 타입 인식기(152)는 스캐너일 수 있고, 이 경우, 용지 타입 인식기(152)는 용지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자(예를 들어, 바코드)를 스캔하고, 제어부(160)에서 용지의 타입이 인식되도록 제어부(160)에 스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지 타입 인식기(152)는 RFID 리더기(또는, NFC 리더기)일 수 있고, 이 경우, 용지 타입 인식기(152)는 용지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RFID 태그(또는, NFC 태그)를 리드(read)하고, 제어부(160)에서 용지의 타입이 인식되도록 제어부(160)에 리딩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프린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프린터(10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한 코드들에 따라서 프린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응용프로그램으로써, 상기 프린터(100)에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어플리케이션은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된 운영체제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에 따라, 제어부(160)를 통해, 필요한 기능들을 프린터(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호스트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인쇄 데이터에 따라 프린트 헤드(151)로 용지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60)는 용지 타입 인식기(152)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프린터(100)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을 인식하고, 용지의 타입에 따라 적절하게 인쇄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100)에 2인치의 용지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어부(160)가 호스트로부터 3인치의 인쇄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3인치용 인쇄 데이터에 따라 2인치 용지에 인쇄를 수행한다면 2인치 용지에 인쇄가 수행되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인쇄되지 못하는 부분 없이 인쇄 데이터 전체가 원활하게 2인치 용지에 인쇄되도록, 제어부(160)는 프린터(100)에 2인치 용지가 수용되었다는 것을 인식함에 따라,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3인치용 인쇄 데이터를 2인치용 인쇄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프린트 헤드(151)를 제어하여, 변환된 2인치용 인쇄 데이터를 2인치 용지에 인쇄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린터(100)는 소정의 내부공간(S1)을 제공하는 본체부(210), 용지에 소정의 정보를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미도시), 인쇄가 완료된 용지의 일부를 커팅하는 커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100)는 상기 내부공간(S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부(210)에 위치 이동, 즉,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220) 및 상기 내부공간(S1)에 위치한 롤지(R)로부터 권출되는 용지(R0)를 이송시키는 이송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부(21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1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본체부(210)의 형상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100)의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린터(100)는 용지를 수용하는 용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지 수용부는 다양한 타입의 용지를 수용할 수 있다. 용지 수용부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프린트 헤드는 상기 내부공간(S1)에 위치한 롤지(R)로부터 권출된 용지(R0)에 소정의 정보를 인쇄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예를 들어, 프린터(100)가 써멀 프린트인 경우, 프린트 헤드는 써멀헤드일 수 있다. 써멀헤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송부(240)는 커버부(220)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210)를 기준으로 한 상기 커버부(230)의 회전과 연동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100)가 써멀 프린터인 경우, 일종의 회전 가능한 롤러(예를 들어, 플래튼 롤러)일 수 있다.
상기 이송부(240)는 상기 커버부(230)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S1)의 폐쇄되는 경우, 프린트 헤드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용지가 프린트 헤드(미도시)에 맞물리게(engage)함으로써 상기 프린트 헤드에 의한 소정의 정보 인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및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호스트(300)는 프린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300)는 프린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 예를 들어, 프린터(100)가 포스 프린터인 경우, 호스트(300)는 포스 단말기일 수 있다. 호스트(300)와 프린터(10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호스트(300)와 프린터(10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쓰(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기타의 다른 공지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호스트(300)는, 어플리케이션(310) 및 프린터 드라이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310)은 인쇄할 문서를 작성하거나 대상 문서를 인쇄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일 수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320)는, 어플리케이션(310)으로부터 인쇄 요청 및 인쇄할 대상 문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린터(100)로 상기 대상 문서를 적절히 인쇄하기 위한 인쇄 명령 및 인쇄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320)는, 인쇄하는 데에 필요한 각종 설정값들을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310)으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값들이 적절히 반영되어 대상 문서가 인쇄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 데이터에 포함시켜 프린터(10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린터(100)는, 호스트(300)에 설치되어 있는 프린터 드라이버(320)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320)로부터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파라미터 및/또는 인쇄 대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절한 인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 명령의 경우, 인쇄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인쇄 명령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인쇄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이미지인지, 문자열인지, 코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인쇄 명령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별이 필요한 경우에,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명령은 이미지 인쇄 명령으로, 문자열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명령은 문자열 인쇄 명령으로, 코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명령은 코드 인쇄 명령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특별한 구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쇄 명령으로 통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문자열 및 코드가 하나의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경우, 프린터 드라이버(320)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 명령과 함께 프린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용지 수용부(410)는 다양한 타입의 용지를 수용할 수 있고, 용지 가이드(420)는 용지 폭에 따라 용지(R)가 정렬되도록 용지를 가이드한다. 또한, 용지 수용부(410)는 제1 스위치(411) 및 제2 스위치(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411) 및 제2 스위치(412)는 용지 가이드(420)에 의해 컨택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치(411) 및 제2 스위치(412)는 도 1의 용지 타입 인식기(152)의 일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와 같이, 80mm(3인치)의 용지폭을 갖는 용지(R)가 용지 수용부(410)에 수용된 경우, 용지 가이드(420)는 용지(R)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치(411)를 수용하는 홈에 수용되고, 제1 스위치(411)는 용지 가이드(420)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제1 스위치(411)가 눌려짐에 따라, 제1 스위치(411)는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프린터(100)(즉, 도 1의 제어부(160))는 제1 신호에 따라 용지 수용부(410)에 80mm(3인치)의 용지폭을 갖는 용지가 수용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b)와 같이, 58mm(2인치)의 용지폭을 갖는 용지(R1)가 용지 수용부(410)에 수용된 경우, 용지 가이드(420)는 용지(R1)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2 스위치(412)를 수용하는 홈에 수용되고, 제2 스위치(412)는 용지 가이드(420)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제2 스위치(412)가 눌려짐에 따라, 제2 스위치(412)는 제2 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프린터(100)(즉, 도 1의 제어부(160))는 제2 신호에 따라 용지 수용부(410)에 58mm(2인치)의 용지폭을 갖는 용지가 수용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83mm(3인치)의 용지폭을 갖는 용지가 용지 수용부(410)에 수용된 경우, 용지 가이드(420)는 제1 스위치(411)를 수용하는 홈 또는 제2 스위치(412)를 수용하는 홈에 수용되지 않고, 용지 수용부(410)에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위치(411) 및 제2 스위치(412)는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프린터(100)(즉, 도 1의 제어부(160))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용지 수용부(410)에 83mm(3인치)의 용지폭을 갖는 용지가 수용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용지 가이드(420)가 1 스위치(411)를 수용하는 홈 또는 제2 스위치(412)를 수용하는 홈에 수용되지 않을 경우, 제1 스위치 및/또는 제2 스위치(412)는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와 다른 제3 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프린터(100)(즉, 도 1의 제어부(160)는 제3 신호에 따라 용지 수용부(410)에 83mm(3인치)의 용지폭을 갖는 용지가 수용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린터는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510).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는 용지 수용부를 포함하고, 용지 수용부에는 다양한 타입의 용지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지 수용부에는 다양한 두께, 폭, 무게, 질감 또는 밀도를 갖는 용지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린터는 용지 인식 타입 인식기를 포함하고, 용지 타입 인식기를 이용하여 용지 수용부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지 타입 인식기는 스위치의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스위치는 용지 수용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는 상기 스위치가 용지 수용부에 수용되는 가이드 또는 용지와 접촉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용지 수용부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위치가 가이드 또는 용지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는 제1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스위치가 가이드 또는 용지와 접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스위치는 제2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위치에 제1 신호가 발생된 경우, 프린터는 제1 타입의 용지(ex. 2인치 용지)가 용지 수용부에 수용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상기 스위치에 제2 신호가 발생된 경우, 프린터는 제2 타입의 용지(ex. 3인치 용지)가 용지 수용부에 수용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프린터는 수동적으로 용지의 타입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는 도 1에 도시된 비디오 출력부(140)를 통하여 용지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용지의 타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표시되는 용지의 타입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용지의 타입을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받은 용지의 타입을 용지 수용부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용지의 타입의 식별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제1 인쇄 설정에 기초한 인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520). 여기서, 인쇄 설정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인쇄 파라미터는 인쇄 시작 수평 위치값, 인쇄 시작 수직 위치값(예를 들어, 용지의 제1 단으로부터 인쇄가 시작되는 제1 행까지의 여백(top margin)), 인쇄 농도 레벨, 도트 농도 레벨, 프린트 헤드의 온도 레벨, 인쇄 속도 레벨, 폰트 크기, 이미지(예를 들어, NV 이미지)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제1 인쇄 설정은 이러한 인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인쇄 설정은 호스트에서 결정되어, 인쇄 데이터에 반영될 수 있다.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쇄 데이터로부터 제1 인쇄 설정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식별된 용지의 타입과 제1 인쇄 설정이 대응되지 않을 경우, 식별된 용지의 타입과 대응되는 제2 인쇄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530).
일 실시예에서, 프린터는 용지의 타입과 대응되는 인쇄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지의 두께가 제1 두께일 경우, 이에 대응되는 인쇄 파라미터의 설정값으로는 제1 도트 농도 레벨, 제1 프린트 헤드의 온도 레벨, 제1 인쇄 속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고, 용지의 두께가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일 경우, 이에 대응되는 인쇄 파라미터의 설정값으로는 제1 도트 농도 레벨, 제1 프린트 헤드의 온도 레벨, 제1 인쇄 속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용지의 폭이 제1 폭일 경우, 이에 대응되는 인쇄 파라미터의 설정값으로는 제1 인쇄 시작 수평 위치값, 제1 인쇄 시작 수직 위치값, 제1 폰트 크기, 제1 이미지 크기 중 하나일 수 있고, 용지의 폭이 제1 폭보다 넓은 제2 폭일 경우, 이에 대응되는 인쇄 파라미터의 설정값으로는 제2 인쇄 시작 수평 위치값, 제2 인쇄 시작 수직 위치값, 제2 폰트 크기, 제2 이미지 크기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용지의 타입과 대응되는 인쇄 설정에 대한 정보는 프린터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지의 타입과 대응되는 인쇄 설정에 대한 정보는 룩업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프린터는 용지의 타입과 대응되는 인쇄 설정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프린터는 단계 510에서 식별된 용지의 타입과 단계 520에서 획득된 제1 인쇄 설정이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식별된 용지의 타입과 제1 인쇄 설정이 대응되지 않을 경우, 프린터는 상기 용지의 타입과 대응되는 인쇄 설정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식별된 용지의 타입과 대응되는 인쇄 설정, 즉, 제2 인쇄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된 용지의 두께가 상기 제1 두께이고, 상기 제1 인쇄 설정이 상기 제1 도트 농도 레벨 및 상기 제2 인쇄 속도 레벨인 경우, 프린터는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두께와 대응되는 인쇄 속도 레벨이 제1 도트 농도 레벨 및 제1 인쇄 속도 레벨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식별된 용지의 타입과 상기 제1 인쇄 설정이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터는 제1 두께의 용지와 대응되는 제2 인쇄 설정으로 제1 도트 농도 레벨 및 제1 인쇄 속도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인쇄 데이터의 제1 인쇄 설정을 제2 인쇄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540).
또한, 프린터는 제2 인쇄 설정으로 변경된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550). 즉,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를 수행하지 않고,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제2 인쇄 설정을 기초로 수정하여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가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에 대응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인쇄가 되지 않을 경우(예를 들어, 인쇄 품질 저하, 인쇄 데이터의 유실), 호스트로부터 별도의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도, 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에 맞게 적절하게 수정하여,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에 정상적으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린터는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610). 단계 610에 대해서는 전술한 단계 510에서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제1 폰트로 구성된 인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620). 여기서, 제1 폰트는 제1 용지폭을 갖는 제1 용지에서의 인쇄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폰트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는 폰트는 12 x 24 폰트, 9 x 17 폰트, 9 x 24 폰트 등 다양한 사이즈의 포함할 수 있고, 호스트는 이러한 다양한 폰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폰트를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쇄 데이터가 호스트에서 12 x 24 폰트를 기초로 생성되었음을 가정한다. 물론, 호스트에서 생성되는 인쇄 데이터의 폰트는 12 x 24 폰트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사이즈의 폰트가 상기 인쇄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쇄 데이터가 제1 폰트로 구성된다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데이터가 제1 폰트로 구성된다는 것은, 인쇄 데이터가 제1 폰트만으로 생성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인쇄 데이터가 복수의 폰트로 생성되고, 상기 복수의 폰트중에 제1 폰트가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에는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데이터에는 소정의 사이즈를 갖는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쇄 데이터에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프린터에 기 저장된 이미지(또는, 프린터가 억세스 가능한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를 특정 위치에 출력하라는 이미지 출력 명령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출력 명령어에는 이미지(예를 들어, NV 이미지)가 저장된 이미지 주소 및 이미지 사이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쇄 데이터로부터 이미지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식별된 용지의 용지폭과 인쇄 데이터에서 설정된 제1 용지폭이 상이한 경우,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데이터의 인쇄폭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폭은 용지의 전체 폭에서 실제로 프린트 헤드에서 인쇄될 수 있는 용지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폭은 프린트 헤드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가 3인치 용지에서 인쇄되도록 생성되었으나 프린터에 2인치 용지가 수용된 때, 상기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가 수행될 경우에는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지 못하고 유실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3인치 용지에서의 인쇄폭과 2인치 용지에서의 인쇄폭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인쇄폭을 3인치용 인쇄폭(ex. 72mm)에서 2인치용 인쇄폭(ex. 54mm)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가 2인치 용지에서 인쇄되도록 생성되었으나 프린터에 3인치 용지가 수용된 때, 상기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가 수행될 경우에는 용지에서 인쇄되지 않는 여백 부분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인쇄폭을 2인치용 인쇄폭에서 3인치용 인쇄폭으로 수정하여 인쇄가 되지않는 여백 부분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여백을 줄이기 위해서는 폰트 크기와 같은 인쇄 파라미터도 수정이 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단계 (630)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프린터는 식별된 용지의 용지폭과 제1 용지폭이 상이한 경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와 제1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가 동일하도록, 인쇄 데이터의 폰트를 제1 폰트에서 제2 폰트로 변경할 수 있다(630). 여기서, 라인당 문자수는 하나의 라인, 즉 한 행에서 인쇄 가능한 문자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인당 문자수는 인쇄폭, 도트 농도 및 폰트 크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인당 문자수는 인쇄폭과 도트 농도의 곱에서 폰트 크기를 나눈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도트 농도는 기준 길이에서 인쇄가능한 도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트 농도는 인치당 도트 수(dots per inch: dpi)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도트 농도는 180 dpi(=7 dots/mm) 또는 203 dpi(=8 dots/mm)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인쇄폭은 용지의 폭에 따라 가변되고, 이에 따라, 라인당 문자수 역시 용지의 폭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트 헤드의 길이는 용지의 폭보다 작을 수 있고, 프린트 헤드에서 실제로 인쇄가 가능한 부분의 길이는 프린트 헤드의 전체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폭은 용지의 폭보다 작게 되고, 용지의 폭이 작아짐에 따라 인쇄폭은 같거나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트 헤드가 길이에 따라, 인쇄 폭이 72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용지의 폭이 83mm(약 3 인치)일 때와 용지의 폭이 80mm(약 3 인치)일 경우, 인쇄폭은 72mm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용지의 폭이 72mm 보다 작은 58mm(약 2인치)일 경우, 인쇄폭은 72mm보다 작은 54mm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식별된 용지의 용지폭과 인쇄 데이터에서 설정된 제1 용지폭이 상이한 경우,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인쇄폭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용지의 용지폭이 58mm이고, 인쇄 데이터에서 설정된 제1 용지폭에 대한 인쇄폭이 72mm인 경우, 상기 식별된 용지의 용지폭이 상기 인쇄폭보다 작음에 따라 인쇄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인쇄폭을 72mm에서 54mm로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인쇄폭이 변경됨에 따라서, 라인당 문자수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지가 3인치일 때, 인쇄폭이 72mm이고 도트 농도가 203 dpi(= 8 dots/mm)이며, 폰트의 폭이 12mm인 경우(예를 들어, 12 x 24 사이즈의 폰트), 라인당 문자수는 48일 수 있다. 그러나, 3인치 용지가 2인치 용지로 변경되어 인쇄폭이 54mm로 축소됨에도 불구하고, 도트 농도 및 폰트의 폭이 변경되지 않을 경우, 라인당 문자수는 36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48개의 문자를 인쇄하기 위해서는, 3인치 용지에서는 1줄이 필요한 반면, 2인치 용지에서는 2줄이 필요하게 된다. 즉, 2인치 용지에서는 개행을 하여야지만 48개의 문자를 인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행되어 인쇄될 경우, 인쇄 출력물을 읽는 사용자의 가독성이 낮아질 수 있고, 인쇄에 소요되는 용지의 길이가 증가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 자체적으로 용지 수용부에 수용된 용지에 적합하도록 수정하고, 수정된 인쇄 데이터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폰트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가 3인치 용으로 생성될 경우, 상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폰트는 제1 폰트(ex. 12 x 24 폰트)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에 2인치의 용지가 수용될 경우, 프린터는 상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인쇄폭을 2인치 용으로 축소할 수 있고, 인쇄폭이 2인치 용으로 축소된 상태에서, 인쇄 데이터의 폰트를 유지할 경우에는 인쇄 데이터의 일부를 개행하여 인쇄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개행하지 않고, 상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라인당 문자수와 동일하게 상기 인쇄폭이 수정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해서, 프린터는 상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폰트를 상기 제1 폰트보다 작은 제2 폰트(ex. 9 x 17 폰트)로 수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린터는 인쇄 가능한 복수의 사이즈의 폰트 중 프린터에 수용되는 용지에 대한 인쇄폭 및 도트 농도를 기초로 제2 폰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인쇄폭이 54mm으로 축소되고, 도트 농도가 203 dpi인 경우, 프린터는 폭을 9mm인 폰트(ex. 9 x 17 폰트)를 제2 폰트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쇄폭이 48mm으로 축소되고, 도트 농도가 203 dpi인 경우, 프린터는 폭을 8mm인 폰트(ex. 8 x 16 폰트)를 제2 폰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인쇄폭이 54mm으로 축소되고, 도트 농도가 180 dpi인 경우, 프린터는 폭을 7mm인 폰트(ex. 7 x 15 폰트)를 제2 폰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와 제1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가 동일하도록 제2 폰트를 선택하되, 프린터에 저장된 복수의 폰트 중 인쇄폭 및 도트 농도를 기초로 제1 폰트로 선택될 수 있는 폰트가 2개 이상인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폰트 중 프린터에서 수정되는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에 인쇄하는 경우에,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에서 빈공간, 즉 여백이 가장 적게 인쇄될 수 있는 폰트를 제2 폰트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인쇄되는 용지에서 빈공간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인쇄폭이 72mm이고, 도트 농도가 203 dpi이며, 제1 폰트의 폭이 12mm인 경우의 라인당 문자수는 48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인쇄폭이 54mm으로 축소될 경우, 라인당 문자수를 48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폰트의 폭이 9mm 이하여야 한다. 이 때, 제2 폰트로 선택가능한 폰트로 9 x 17 폰트 및 8 x 16 폰트가 프린터에 저장된 경우, 프린터는 인쇄되는 용지에서 빈공간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9 x 17 폰트를 제2 폰트로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린터는 인쇄되는 용지에서 빈공간이 많게 인쇄될 수 있는 8 x 16 폰트를 제2 폰트로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폰트를 확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가 2인치 용으로 생성될 경우, 상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폰트는 제1 폰트(ex. 9 x 17 폰트)일 수 있다. 이 때, 프린터에 3인치의 용지가 수용될 경우, 프린터는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인쇄폭을 3인치 용으로 확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인쇄폭이 확대된 인쇄 데이터의 폰트가 제1 폰트로 유지될 경우 인쇄된 용지에 여백이 많이 생김에 따라, 사용자의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프린터는 확대된 인쇄 데이터의 폰트를 제1 폰트보다 큰 제2 폰트로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폰트를 확대하는 경우에도, 프린터는 인쇄 가능한 복수의 사이즈의 폰트 중 프린터에 수용되는 용지에 대한 인쇄폭 및 도트 농도를 기초로 제2 폰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용지의 폭과 대응되는 폰트에 대한 정보가 룩업 테이블의 형태로 프린터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설정된 용지폭과 프린터의 수용된 용지의 용지폭이 상이한 경우, 프린터는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프린터의 수용된 용지의 용지폭과 대응되는 폰트를 확인하고,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데이터의 폰트를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확인한 폰트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크기의 이미지가 포함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로부터 획득한 인쇄 데이터에서 설정된 용지폭과 단계 610에서 식별된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용지폭이 상이한 경우, 프린터는 이미지가 유실되는 부분 없이 이미지 전체가 상기 수용된 용지에 인쇄되도록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지의 폭과 대응되는 이미지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룩업 테이블의 형태로 프린터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이 경우, 프린터는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프린터의 수용된 용지의 용지폭과 대응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확인하고,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의 크기를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확인된 이미지의 크기로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폰트가 제1 폰트에서 제2 폰트로 변경될 경우, 프린터는 제1 폰트와 제2 폰트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다.
또는, 프린터는 이미지를 포함하지는 않으나, 프린터에 기 저장된 이미지(또는, 프린터가 억세스 가능한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를 특정 위치에 출력하라는 이미지 출력 명령어를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출력 명령어에는 이미지(예를 들어, NV 이미지)가 저장된 이미지 주소 및 이미지 사이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호스트로부터 획득한 인쇄 데이터에서 설정된 용지폭과 단계 610에서 식별된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용지폭이 상이한 경우, 프린터는 이미지가 유실되는 부분 없이 이미지 전체가 상기 수용된 용지에 인쇄되도록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추출 명령어로부터 이미지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호스트로부터 획득한 인쇄 데이터에서 설정된 용지폭과 단계 610에서 식별된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용지폭이 상이한 경우, 프린터는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프린터의 수용된 용지의 용지폭과 대응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확인하고, 이미지 추출 명령어에 설정된 이미지의 크기를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확인된 이미지의 크기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상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폰트가 제1 폰트에서 제2 폰트로 변경될 경우, 프린터는 제1 폰트와 제2 폰트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이미지 추출 명령어에 설정된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프린터는 제2 폰트로 변경된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640). 즉,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를 수행하지 않고,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폰트를, 상기 인쇄 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제1 폰트에서 제2 폰트로 수정하여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가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폭에 대응되지 않아 인쇄 데이터가 유실되는 경우, 호스트로부터 별도의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도, 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폭에 맞게 적절하게 수정하여,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에 정상적으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수용부와 프린트 헤드의 배치에 따른 인쇄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는 용지 수용부(710)의 중심선과 프린트 헤드(720)의 중심선이 일치할 경우의 프린터의 내부를 나타낸다. 또한, 식별부호 711은 용지 수용부(710)의 너비를 나타내고, 식별부호 721은 프린트 헤드(720)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프린트 헤드의 길이(721) 중 식별부호 722는 인쇄가 수행되지 않는 영역을 나타내고, 식별부호 723은 인쇄가 수행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도 7의 (a)에서는, 용지 수용부(710)의 중심선 C1과 프린트 헤드(720)의 중심선 C2가 일치한다. 즉, 용지 수용부(710)와 프린트 헤드(720)는 동일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지폭이 80mm인 용지가 용지 수용부(710)에 수용될 때, 프린트 헤드(720)은 용지의 제1 단에서 4mm되는 지점부터 용지의 제2 단에서 4mm되는 지점까지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용지폭이 80mm인 용지가 용지 수용부(710)에 수용될 경우, 용지폭이 80mm인 용지의 인쇄폭은 72mm가 될 수 있다.
도 7의 (a)와 같이 용지 수용부(710)와 프린트 헤드(720)가 배치된 상태에서, 도트 농도가 203 dpi(=8 dots/mm)이고, 폰트의 폭이 12mm인 경우, 라인당 문자수는 48자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트 헤드(720)가 상기 80mm 용지에 인쇄를 수행할 경우, 인쇄 결과는 도 8의 (a)와 같이 나타난다.
반면, 용지폭이 상기 인쇄폭인 72mm보다 작은 58mm인 용지는 상기 용지의 제1 단이 용지 수용부(710)의 좌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트 헤드(720)는 용지의 제1 단에서 4mm되는 지점부터 용지의 제2 단까지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용지폭이 58mm인 용지가 용지 수용부(710)에 수용될 경우, 용지폭이 58mm인 용지의 인쇄폭은 54mm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80mm 용지에 인쇄할 때의 라인당 문자수와 58mm 용지에 인쇄할 때의 라인당 문자수가 동일하도록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폰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터는 도 8의 (b)와 같이, 용지의 제1 단에서 4mm되는 지점부터 라인당 문자수가 48자가 되도록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이미지 전체가 58mm 용지에 인쇄되도록,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도 8의 (b)와 같이, 용지의 제1 단에서 4mm되는 지점부터 상기 크기가 조절된 이미지의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b)는 용지 수용부(730)의 중심선과 프린트 헤드(740)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의 프린터의 내부를 나타낸다. 또한, 식별부호 731은 용지 수용부(730)의 너비를 나타내고, 식별부호 741은 프린트 헤드(740)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프린트 헤드의 길이(741) 중 식별부호 742는 인쇄가 수행되지 않는 영역을 나타내고, 식별부호 743은 인쇄가 수행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도 7의 (b)에서는, 용지 수용부(710)의 중심선 Z1과 프린트 헤드(720)의 중심선 Z2가 일치하지 않고, 프린트 헤드(740)의 중심선 Z1이 용지 수용부(730)의 중심선 Z2로부터 적어도 0.8mm이상 측면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용지 수용부(730)에 수용될 수 있는 용지 중 용지폭이 가장 넓은 용지를 제외한 나머지 용지에서의 인쇄폭이 증가되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프린트 헤드(740)에서 인쇄가능한 최대 인쇄폭보다 작은 용지폭을 갖는 용지가 용지 수용부(730)에 수용될 경우, 용지 수용부(730)의 중심선 Z1과 프린트 헤드(740)의 중심선 Z2가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최대 인쇄폭보다 작은 용지폭을 갖는 용지에서의 인쇄폭이 증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린트 헤드(740)의 중심선 Z2이 용지 수용부(730)의 중심선 Z1으로부터 좌측으로 약 1mm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프린트 헤드(740)의 길이에 따라, 최대 인쇄폭이 72mm로 설정되고, 용지 수용부(730)에 80mm 용지가 수용된 경우, 프린트 헤드(740)의 중심선이 용지 수용부(730)의 중심선보다 약 1mm 좌측으로 배치됨에 따라, 프린트 헤드(740)는 용지의 제1 단에서 3mm되는 지점부터 용지의 제2 단에서 5mm되는 지점까지, 즉, 최대 인쇄폭인 72mm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b)와 같이 용지 수용부(730)의 중심과 프린트 헤드(740)의 중심이 불일치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도트 농도가 203 dpi(=8 dots/mm)이고, 폰트의 폭이 12mm인 경우, 라인당 문자수는 48자가 될 수 있고, 프린트 헤드(740)가 상기 80mm 용지에 인쇄를 수행할 경우, 인쇄 결과는 도 9의 (a)와 같이 나타난다. 이 경우, 도 8의 (a)에서와는 달리, 용지의 좌측과 우측이 비대칭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반면, 용지폭이 상기 최대 인쇄폭인 72mm보다 작은 58mm인 용지는 상기 용지의 제1 단이 용지 수용부(730)의 좌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트 헤드(740)는 용지의 제1 단에서 3mm되는 지점부터 용지의 제2 단까지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용지폭이 58mm인 용지가 용지 수용부(730)에 수용될 경우, 용지폭이 58mm인 용지의 인쇄폭은 55mm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린트 헤드(740)의 중심선이 용지 수용부(730)의 중심선이 불일치한 경우, 프린트 헤드(740)의 중심선이 용지 수용부(730)의 중심선이 일치한 경우보다 최대 인쇄폭보다 작은 용지폭을 갖는 용지에서의 인쇄폭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80mm 용지에 인쇄할 때의 라인당 문자수와 58mm 용지에 인쇄할 때의 라인당 문자수가 동일하도록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폰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터는 도 9의 (b)와 같이, 용지의 제1 단에서 3mm되는 지점부터 라인당 문자수가 48자가 되도록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프린트 헤드(720)의 중심선이 용지 수용부(710)의 중심선이 일치한 경우의 인쇄 결과를 나타내는 도 8의 (b)와 프린트 헤드(740)의 중심선이 용지 수용부(730)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는 도 9의 (b)를 비교할 때, 도 8의 (b)와 도 9의 (b)에서의 인쇄 내용 및 라인당 문자수는 동일하다. 그러나, 도 8의 (b)의 인쇄 결과에서는 용지의 좌측의 4mm 지점부터 인쇄가 시작되어 용지의 우측에는 여백이 없으나, 도 9의 (b)의 인쇄 결과에서는 용지의 좌측의 3mm 지점부터 인쇄가 시작되어 용지의 우측에 1mm이 여백이 생긴다. 이러한 여백은 프린트 헤드(740)의 중심선이 용지 수용부(730)의 중심선이 불일치함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상기 여백에 따라, 도 8의 (b)의 인쇄 결과보다 도 9의 (b)의 인쇄 결과에서 사용자의 가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740)의 중심선이 용지 수용부(730)의 중심선이 일치하여 상기 여백이 생기지 않을 경우, 용지의 끝단까지 인쇄가 수행됨에 따라, 용지의 끝단에서 인쇄가 되지 않고 유실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가 유실됨에 따라 용지 수용부(730)에 수용된 용지에서의 라인당 문자수가 감소될 수 있다. 반면, 프린트 헤드(740)의 중심선이 용지 수용부(730)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용지의 끝단까지 인쇄가 수행되지 않아 상기 여백이 발생하고, 상기 여백에 따라, 유실되는 부분 없이, 용지에 인쇄가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용지 수용부(730)에 수용된 용지에서의 라인당 문자수가 감소되지 않고, 80mm 용지에서의 라인당 문자수와 동일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프린터의 인쇄 방법에 있어서,
    호스트로부터 제1 폰트 - 상기 제1 폰트는 제1 용지폭을 갖는 제1 용지에서의 인쇄에 이용됨 - 로 구성된 인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용지폭과 상기 제1 용지폭이 상이한 경우,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와 상기 제1 용지상에서 인쇄되는 라인당 문자수가 동일하도록, 상기 인쇄 데이터의 폰트를 상기 제1 폰트에서 제2 폰트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폰트로 변경된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에 인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프린터는,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상에서의 인쇄폭 - 상기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가 인쇄를 수행하는 영역과 대응됨 - 이 넓어지도록, 상기 용지가 수용되는 상기 프린터의 용지 수용부의 중심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인쇄 방법.
  11. 프린터의 인쇄 방법에 있어서,
    호스트로부터 제1 인쇄 설정 - 상기 제1 인쇄 설정은 제1 용지에서의 인쇄에 이용됨 - 에 기초한 인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과 상기 제1 인쇄 설정이 대응되지 않을 경우,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의 타입과 대응되는 제2 인쇄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쇄 데이터의 제1 인쇄 설정을 상기 제2 인쇄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인쇄 설정으로 변경된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에 인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프린터는,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용지상에서의 인쇄폭 - 상기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가 인쇄를 수행하는 영역과 대응됨 - 이 넓어지도록, 상기 용지가 수용되는 상기 프린터의 용지 수용부의 중심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인쇄 방법.
  12. 제10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3. 서로 다른 용지폭을 갖은 복수의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용지 중 어느 하나의 용지를 수용하는 용지 수용부;
    상기 용지 수용부에 수용된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트 헤드; 및
    상기 프린트 헤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용지 수용부의 중심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4. 삭제
KR1020160149340A 2016-11-10 2016-11-10 용지 타입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 KR10174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340A KR101748092B1 (ko) 2016-11-10 2016-11-10 용지 타입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340A KR101748092B1 (ko) 2016-11-10 2016-11-10 용지 타입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014A Division KR101748081B1 (ko) 2016-05-04 2016-05-04 용지 타입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092B1 true KR101748092B1 (ko) 2017-06-16

Family

ID=5927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340A KR101748092B1 (ko) 2016-11-10 2016-11-10 용지 타입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0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268B1 (ko) * 2005-07-27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보더리스 기능 설정을 위한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설정방법 그리고 보더리스 기능 설정 시스템
JP2009104116A (ja) * 2007-10-23 2009-05-1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紙種識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268B1 (ko) * 2005-07-27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보더리스 기능 설정을 위한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설정방법 그리고 보더리스 기능 설정 시스템
JP2009104116A (ja) * 2007-10-23 2009-05-1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紙種識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50910A1 (en) Verification of a printed image on media
US8867087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control method for printing a watermark on a receipt along with print data sent from a host apparatus
JP4438387B2 (ja) 磁気インク文字読取装置
US913553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US20120274961A1 (en) Recording device, record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US20120127501A1 (en) Print Data Processing Method, Print Data Processing Device, And Print Data Processing System
JP6765858B2 (ja) 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
US20180121770A1 (en) Printer and control method of a printer
EP3789905A1 (en) Wireless tag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20130314726A1 (en) Media Processing Device and POS System
US9224275B2 (en) Media processing method using multiple processing units for performing multiple processes
KR101748081B1 (ko) 용지 타입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
KR101748092B1 (ko) 용지 타입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
US9591078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and POS system
KR20170126102A (ko) 용지 타입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린터
CN108228113B (zh) 信息处理装置、记录介质、打印装置及打印系统
US10048901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of a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2200866A (ja) プリンタ、印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47122B2 (ja) 磁気インク文字読取装置及びその読取処理方法
US10510059B2 (en) Printer device
US20180239564A1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US10437533B2 (en) Print system, printer driver, and program
US7118297B2 (en) Print option setting method and system for image forming devices
JP2009276973A (ja) 印刷装置、posシステム、印刷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82865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