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035B1 -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035B1
KR101748035B1 KR1020150134642A KR20150134642A KR101748035B1 KR 101748035 B1 KR101748035 B1 KR 101748035B1 KR 1020150134642 A KR1020150134642 A KR 1020150134642A KR 20150134642 A KR20150134642 A KR 20150134642A KR 101748035 B1 KR101748035 B1 KR 101748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ecation
space
outlet
cage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4743A (ko
Inventor
최이상
Original Assignee
최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이상 filed Critical 최이상
Priority to KR1020150134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03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 고양이의 배변활동을 감지하고 배변 후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변활동 시 고양이에게 묻은 배변모래의 외부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는, 내부에 배변모래가 채워진 배변공간부를 제공하는 배변케이지; 배변공간부 내의 배변모래에 의해 덮어진 배변을 자동으로 수거하는 배변수거수단; 및 배변케이지의 상부를 덮으면서 배변활동을 마친 고양이가 배변모래를 떨고 배변케이지의 외부로 나가게 하는 출구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EXCRETION COLLECTING DEVICE FOR PETS}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 고양이의 배변활동을 감지하고 배변 후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변활동 시 고양이에게 묻은 배변모래의 외부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이 각박해짐에 따라 애완동물과의 교감을 느끼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어린 아이가 있는 가정의 경우, 교육적인 목적 또는 정서적인 면의 충족을 위하여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애완동물의 경우, 주로 집안에서 기르게 되므로 용변의 뒤처리와 같은 점을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독신이나 맞벌이 부부들의 경우, 직장 생활 및 사회적 활동으로 인해 애완동물과 떨어져 있는 시간이 많아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시간 맞춰 치우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에게 많은 시간을 들여 배변 훈련을 시킴으로써 지정 장소에서만 배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더라도 간혹 배설물을 치워주지 않는 경우, 지정된 곳이 아닌 다른 곳에서 배설을 하는 경우가 있어 주인으로 하여금 청소에 대한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배변기는 쟁반 형태의 모양으로서 단순히 애완동물을 교육시켜 지정 위치에 배변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일 뿐, 여전히 애완동물의 배변(배설물)을 사람의 손으로 직접 치워야 하기 때문에 질병 감염에 노출될 위험성이 그대로 존재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배변을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3-0103214 호(공개일자: 2013년 09월 23일, 명칭: 애완동물용 화장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27717 호(등록일자: 2013년 11월 04일, 명칭: 고양이 화장실)', 및 '일본 공개특허 제 2008-061581 호(공개일자: 2008년 03월 21일, 명칭: 고양이용 화장실)가 있다.
전술한 공개특허들 및 등록특허에는 고양이의 배설물의 수거 배출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면서 배설물과 배변모래가 분리처리 되게 하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공개특허들 및 등록특허에 개시된 장치는 고양이의 배변활동 시 고양이에게 묻은 배변모래가 고양이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장치 주변이 지저분해 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배변모래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전술한 공개특허들 및 등록특허에 개시된 장치는 하나의 기능, 즉 고양이의 배변활동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 이외에는 별도의 추가적인 기능들이 없어 좁은 주택 등의 실내에서는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고양이 배변을 배변모래와 분리시켜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양이가 배변모래를 털어내고 외부로 나갈 수 있게 함으로써, 고양이의 배변활동에 따른 배변모래의 외부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 배변모래의 낭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양이의 배변활동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고양이가 놀 수 있는 놀이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에 있어서,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는, 내부에 배변모래가 채워진 배변공간부를 제공하는 배변케이지; 배변공간부 내의 배변모래에 의해 덮어진 배변을 자동으로 수거하는 배변수거수단; 및 배변케이지의 상부를 덮으면서 배변활동을 마친 고양이가 배변모래를 떨고 배변케이지의 외부로 나가게 하는 출구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변케이지는, 배변공간부가 하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는 내피부; 및 내측이 내피부의 외측과 이격되게 내피부를 감싸는 외피부;를 포함하고, 배변공간부는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는 일측면 및 타측면과,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좌측면 및 우측면과, 바닥면을 가지며, 바닥면과 이어지는 일측면 및 타측면은 만곡되게 연결되되, 배변공간부의 일측면에는 입구가 형성되고, 배변공간부의 타측면에는 배변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입구는 배변공간부의 일측면 및 배변공간부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외피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입구를 형성하는 배변공간부의 일측면과 외피부 사이는 마감 처리되며, 마감 처리된 입구에는 입구 도어가 장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배변 배출구는 배변공간부의 타측면 상부 측에서 타측면의 수평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관통되어 형성되며, 배변 배출구의 외부 측 하부에는 배변 수거함이 배치되되, 배변 수거함은 배변공간부의 타측면과 마주하는 외피부에 형성된 수거함 출입구를 통해 출입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배변 배출구에는 배출 도어가 장착되되, 배출 도어는 배변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는 길이 및 높이를 가지는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면서 배변공간부의 타측면 외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출 도어의 하부 측에는 배출 도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배변 배출구를 관통해 배변공간부 측으로 연장되는 도어노브가 일체로 형성되며, 배변공간부의 타측면 외측에는 배출 도어의 양단을 지지하면서 배출 도어를 상하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변수거수단은, 배변공간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형성된 이동장공부를 따라 배변공간부의 내부를 이동하는 이동 지지대와, 이동 지지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배변모래에 의해 덮어진 배변을 배변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다수의 배변 수거핀을 가지는 배변 스크린부재; 및 배변 수거 시 이동장공부를 따라 배변 스크린부재를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동력전달부와, 제 1 및 제 2 동력전달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가지는 작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지지대는 배변공간부의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지면서 일단 및 타단이 배변공간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마주하게 형성된 이동장공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다수의 배변 수거핀은 이동 지지대의 하부에 수직하게 장착되되, 배변 수거 시 배변모래는 수거되지 않게 하면서 배변모래에 덮어진 고양이 배변만을 수거할 수 있도록 이동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장착되고, 다수의 배변 수거핀 중 배변공간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인접한 배변 수거핀의 하부에는 배변공간부의 타측면 측으로 연장되는 개폐 암이 일체로 형성되며, 개폐 암은 배변 배출 시 배출 도어의 도어노브의 하부와 접촉해 배변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배출 도어를 들어 올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장공부는 배변공간부의 바닥면과 배변공간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이 이루는 선을 따라 배변공간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될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동력전달부는 배변공간부의 좌측면과 배변공간부의 좌측면과 마주하는 외피부 사이에 배치되되, 배변공간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스프로킷과, 한 쌍의 상기 제 1 스프로킷에 걸어지는 제 1 체인을 포함하고, 제 2 동력전달부는 배변공간부의 우측면과 배변공간부의 우측면과 마주하는 외피부 사이에 배치되되, 배변공간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스프로킷과, 한 쌍의 제 2 스프로킷에 걸어지는 제 2 체인을 포함하며, 구동모터는 한 쌍의 제 1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 또는 한 쌍의 제 2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되, 이동 지지대 일단은 배변공간부의 좌측면에 형성된 이동장공부를 관통해 제 1 체인의 하부와 연결되고, 이동 지지대 타단은 배변공간부의 우측면에 형성된 이동장공부를 관통해 제 2 체인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유닛은, 배변공간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인접한 이동장공부의 일단 및 타단에 배치되어 배변 스크리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 및 배변공간부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또는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배변공간부에 진입해 배변활동을 하는 고양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구커버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 빈 관체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배변공간부의 상부에 간섭되지 않게 배변케이지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고, 출구커버의 내측에는 배변을 마친 고양이가 배변케이지의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뛰어 오르는 하나 이상의 발판이 마련되되, 발판은 메쉬망으로 이루어지며, 출구커버의 폐쇄된 상부에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출구커버의 폐쇄된 상부에는 출구에 간섭되지 않게 캣타워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는 배면모래에 덮어진 고양이 배변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배변모래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는 고양이에 묻은 배변모래를 털어낼 수 있게 하는 출구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배변모래가 고양이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주변을 청결하고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는 출구커버에 캣타워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좁은 주택 등의 실내에서는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변케이지 및 배변케이지 내부에 배치되는 배변수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를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100)는 내부에 배변모래(S)가 채워진 배변공간부(116)를 제공하는 배변케이지(110)와, 배변공간부(116) 내의 배변모래(S)에 의해 덮어진 배변을 자동으로 수거하는 배변수거수단(140), 및 배변케이스(110)의 상부를 덮으면서 배변활동을 마친 고양이가 배변모래(S)를 떨고 배변케이지(110)의 외부로 나가게 하는 출구커버(170)를 포함한다.
먼저, 배면케이지(110)는 배변공간부(116)를 제공하는 내피부(112)와, 내피부(112)를 감싸는 외피부(114)를 포함한다. 외피부(114)는 외피부(114)의 내측은 내피부(112)의 외측과 이격되게 내피부(112)를 감싼다.
내피부(112)에 제공되는 배변공간부(116)는 하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침강되게 형성된 배변공간부(116)는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는 일측면(118a) 및 타측면(118b)과,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좌측면(118c) 및 우측면(118d)과, 그리고 바닥면(118e)을 가진다. 이때 바닥면(118e)과 이어지는 일측면(118a) 및 타측면(118b)은 소정의 반경으로 만곡되게 연결된다. 즉 배변공간부(116)의 바닥면(118e)과 이어지는 일측면(118a) 및 타측면(118b)은 배변공간부(116)를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
Figure 112015502837982-pat00001
"자 단면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배변공간부(116)는 최소한 한 마리의 성인 고양이(成猫)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 및 폭을 가지며, 배변공간부(116)의 바닥면(118e) 상에는 통상의 배면모래(S)가 대략 5~10㎝의 높이로 채워진다.
그리고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 및 타측면(118b) 상에는 각각 입구(120) 및 배변 배출구(124)가 형성된다.
입구(120)는 배변활동을 할 고양이를 배변공간부(116)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구(120)는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 및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과 마주하는 외피부(114)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입구(120)를 형성하는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과 외피부(114) 사이는 입구(120)를 통행하는 고양이의 발이 빠지지 않도록 마감 처리되며, 이렇게 마감 처리된 입구(120) 상에는 입구 도어(122)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 입구 도어(122)의 형태 및 구성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입구 도어(122)는 고양이가 스스로 입구 도어(122)를 밀고 배변공간부(116)로 진입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 및 구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배변 배출구(124)는 고양이의 배변이 배변공간부(116)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배변 배출구(124)는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 상부 측에서 타측면(118b)의 수평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때 배변 배출구(124)를 통해 배변공간부(116) 외부로 배출된 배변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 배출구(124)의 외부 측 하부에 배치된 서랍형상의 배변 수거함(126)에 수거된다. 배변 수거함(1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과 마주하는 외피부(114)를 통해 외피부(114)와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 사이에 배치되는데,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과 마주하는 외피부(114)에는 배변 수거함(126)이 출입할 수 있는 수거함 출입구(128)가 형성된다.
그리고 배변 배출구(124)에는 배변 배출 시 후술하는 배변수거수단(140)에 의해 개방되고, 배변 배출 완료 시 배변 수거함(126)에 수거된 배변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자중에 의해 배변 배출구(124)를 폐쇄하는 배출 도어(130)가 장착된다.
배출 도어(130)는 배설물 배출구(124)를 폐쇄할 수 있는 길이 및 높이를 가지는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면서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 외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이때 배출 도어(130)의 하부 측에는 배출 도어(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배변 배출구(124)를 관통해 배변공간부(116) 측으로 연장되는 도어노브(132)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 외측에는 배출 도어(130)의 양단을 지지하면서 배출 도어(130)를 상하로 안내하는 가이드(134)가 형성된다. 즉 배출 도어(130)는 가이드(134)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고 도어노브(132)가 배변 배출구(124)에 걸쳐지기 때문에 배변 배출구(124)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134)의 형태 및 구성을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가이드(134)는 배출 도어(130)의 양단을 지지하고 배출 도어(130)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 및 구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변케이지(110)에는 배변공간부(116)에 채워진 배변모래(S) 내에 묻힌 배변을 자동으로 배변 수거함(126) 측으로 수거하는 배변수거수단(140)이 배치된다.
배변수거수단(140)은 배변모래(S)에 덮어진 배변을 수거하는 배변 스크린부재(142), 및 배변 스크린부재(142)를 작동시키는 작동유닛(150)을 포함한다.
배변 스크린부재(142)는 배변공간부(116) 내부를 이동하는 이동 지지대(144) 및 이동 지지대(144)에 일체로 형성되어 배변모래(S)에 의해 덮어진 배변을 배변 배출구(124)를 통해 배출시키는 다수의 배변 수거핀(146)을 포함한다.
이동 지지대(144)는 배변공간부(116)의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진다. 이동 지지대(144)는 일단 및 타단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공간부(116)의 좌측면(118c) 및 우측면(118d) 상에 마주하게 형성된 이동장공부(136a, 136b)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동장공부(136a, 13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공간부(116)의 바닥면(118e)과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 및 타측면(118b)이 이루는 선(線)을 따라 배변공간부(116)의 좌측면(118c) 및 우측면(118d) 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이동장공부(136a, 136b)는 배변공간부(116)의 바닥면(118e)과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 및 타측면(118b)이 이루는 선(線)이 배변공간부(116)의 좌측면(118c) 및 우측면(118d) 상에 축소 투영된 형상을 가진다. 다시 말해 이동장공부(136a, 136b)는 대략 "
Figure 112015502837982-pat00002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배변 수거핀(146)은 이동 지지대(144)의 하부에 수직하게 장착된다. 즉, 다수의 배변 수거핀(14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지지대(144)에 통상의 빗살 형태로 장착되는데, 이렇게 장착되는 배변 수거핀(146)은 배변 수거 시 배변모래(S)는 수거되지 않게 하면서 배변모래(S)에 덮어진 고양이의 배변만을 수거하는데, 이를 위해서 다수의 배변 수거핀(146)은 이동 지지대(144)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장착된다.
이때, 다수의 배변 수거핀(146) 중 배변공간부(116)의 좌측면(118c) 및 우측면(118d)에 인접한 배변 수거핀(146)의 하부에는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6b) 측으로 연장되는 개폐 암(148)이 일체로 형성된다. 개폐 암(148)은 배변 배출 시 배출 도어(130)의 도어노브(132)의 하부와 접촉해 배변 배출구(124)가 개방되도록 배출 도어(130)를 들어 올린다.
작동유닛(150)은 배변 수거 시 이동장공부(136a, 136b)를 따라 배변 스크린부재(142)를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동력전달부(152a, 152b)와, 제 1 및 제 2 동력전달부(152a, 152b)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58)를 포함한다.
제 1 동력전달부(15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공간부(116)의 좌측면(118c)과 배변공간부(116)의 좌측면(118c)과 마주하는 외피부(114)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동력전달부(15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공간부(116)의 우측면(118d)과 배변공간부(116)의 우측면(118d)과 마주하는 외피부(114)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동력전달부(152a)는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 및 타측면(118b)에 인접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스프로킷(154a)과, 한 쌍의 제 1 스프로킷(154a)에 걸어지는 제 1 체인(156a)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동력전달부(152b)는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 및 타측면(118b)에 인접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스프로킷(154b)과, 한 쌍의 제 2 스프로킷(154b)에 걸어지는 제 2 체인(156b)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체인(156a, 156b)의 하부 부분인 이완 측은 각각 이동장공부(136a, 136b)와 마주하는데, 배변 스크린부재(142)의 이동 지지대(144) 일단은 배변공간부(116)의 좌측면(118c)에 형성된 이동장공부(136a)를 관통해 제 1 체인(156a)의 하부와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이동 지지대(144) 타단은 배변공간부(116)의 우측면(118d)에 형성된 이동장공부(136b)를 관통해 제 2 체인(156b)의 하부와 연결된다.
이때, 이동 지지대(144)는 다수의 배변 수거핀(146)이 배변공간부(116)의 바닥면(118e)과 수직을 이루도록 제 1 및 제 2 체인(156a, 156b)에 연결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이동 지지대(144)는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 측으로 회전되지 않으면서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 측으로 회전되게 제 1 및 제 2 체인(156a, 156b)에 연결된다. 이는 배변 배출 시 이동 지지대(144) 및 배변 수거핀(146)이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 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강력한 힘으로 배변을 배변 배출구(124) 측으로 안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지지대(144) 및 배변 수거핀(146)을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 측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배변 스크린부재(142)를 복귀시키기 위함이다. 즉, 이동 지지대(144)와 제 1 및 제 2 체인(156a, 156b)는 통상의 일방향 베어링(도시되지 않음), 또는 통상의 래칫 휠(ratchet wheel) 및 폴(pawl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 1 스프로킷(154a) 중 어느 하나, 또는 한 쌍의 제 2 스프로킷(154b) 중 어느 하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구동모터(158)와 연결되며, 구동모터(158)는 입구(120)에 간섭되지 않게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과 일측면(118a)과 마주하는 외피부(11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구동모터(158)와 제 1 스프로킷(154a) 또는 제 2 스프로킷(154b)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작동유닛(150)은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 및 타측면(118b)에 인접한 이동장공부(136a, 136b)의 일단 및 타단에 배치되어 배변 스크리부재(142)의 이동을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160a, 160b)와,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 또는 타측면(118b), 또는 좌측면(118c), 또는 우측면(118d)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배변공간부(116)에 진입해 배변활동을 하는 고양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62)를 더 포함한다.
한편, 출구커버(17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는 폐쇄된 관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출구커버(170)의 하부는 배변공간부(116)의 상부에 간섭되지 않게 배변케이스(11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출구커버(170)와 배변케이스(110)의 끼움 결합관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출구커버(170)가 배변케이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면 어떠한 형태 및 구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출구커버(170)의 폐쇄된 상부에는 출구(176)가 형성되는데, 배변 배출구(124)의 폐쇄된 상부에 인접한 출구커버(170)의 내측에는 배변을 마친 고양이가 배변케이지(110)의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뛰어 오르는 제 1 발판(172)이 마련되고, 마찬가지로 입구(120)의 상부에 인접한 출구커버(170)의 내측에는 배변을 마친 고양이가 뛰어 오르는 제 2 발판(174)이 제 1 발판(172) 보다 높게 마련되는데, 이때 제 1 및 제 2 발판(172, 174)에는 통상의 메쉬망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 1 및 제 2 발판(172, 174)으로 고양이가 뛰어 오르면 고양이에 묻은 배변모래(S)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발판(172, 174)을 통해 배변공간부(116) 떨어져 수용된다.
이때, 출구커버(170)의 폐쇄된 상부에는 출구(176)에 간섭되지 않게 통상의 캣타워(18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출구커버(170)의 상부에 캣타워(180)의 결합관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출구커버(170)의 상부에 캣타워(18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면 어떠한 형태 및 구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출구커버(170)에 제 1 및 제 2 발판(172, 174)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출구커버(170)에는 제 1 발판(172)만이 형성되거나, 또는 제 1 및 제 2 발판(172, 174) 이외에 또 다른 발판이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배변활동을 위해 고양기가 입구도어(122)를 밀고 입구(120)를 통해 배변공간부(116) 내부로 진입하여 배변활동을 하면 감지센서(162)가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배변공간부(116)에 움직임이 없으면, 즉 배변활동을 마친 고양이가 출구커버(170)의 출구(176)를 통해 외부로 나가면 감지센서(162)를 이를 감지해 작동유닛(150)의 구동모터(158)를 작동시킨다. 즉, 감지센서(162)는 배변공간부(116) 내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소정의 시간동안 배변공간부(116) 내에 움직임이 없으면 감지센서(162)는 구동모터(158)를 작동시킨다.
구동모터(158)가 구동되면, 제 1 및 제 2 동력전달부(152a, 152b)도 작동되고, 작동되는 제 1 및 제 2 동력전달부(152a, 152b)의해 배변 스크린부재(142)는 이동장공부(136a, 136b)의 일측, 즉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에 인접한 이동장공부(136a, 136b)의 일측에서 이동장공부(136a, 136b)의 타측, 즉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에 인접한 이동장공부(136a, 136b) 타측으로 안내된다(도 4 참조). 이때, 배변 스크린부재(142)의 배변 수거핀(146)은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을 따라 하강하면서 바닥면(118e) 측으로 안내되고, 바닥면(118e) 측으로 안내된 배변 수거핀(146)은 바닥면(118e)을 거쳐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 측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배변모래(S)에 덮어진 고양이 배변은 배변 수거핀(146)들에 의해 걸쳐진 상태로 배변 수거핀(146)을 따라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 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배변모래(S)들은 배변 수거핀(146)들 사이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고양이 배변을 파지한 상태로 계속하여 이동장공부(136a, 136b)를 따라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 상부측으로 상승하는 배변 수거핀(146)의 개폐 암(148)은 배출 도어(130)의 도어노브(132)와 접촉해 배변 배출구(124)가 개방되도록 배출 도어(130)를 밀어 올리는데, 이때 배변 수거핀(146)에 파지되어 안내되던 고양이 배변은 배변 배출구(124)를 통해 배변 수거함(126) 측으로 수거된다(도 5 참조).
한편, 고양이 배변이 배변 배출구(124)를 통해 배변 수거함(126) 측으로 수거된 후, 배변 스크린부재(142)의 이동 지지대(144)가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에 인접한 이동장공부(136a, 136b) 타측에 배치된 리미트 스위치(160a)에 접촉되면 리미트 스위치(160a)는 구동모터(158)를 역회전시켜 배변 스크린부재(142)를 복귀시킨다. 이때 배변 스크린부재(142)가 배변공간부(116)의 타측면(118b)을 따라 하강하면 배출 도어(13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배변 배출구(124)를 배출하고, 복귀하는 배변 스크린부재(142)의 이동 지지대(144)가 배변공간부(116)의 일측면(118a)에 인접한 이동장공부(136a, 136b) 일측에 배치된 리미트 스위치(160b)에 접촉되면 리미트 스위치(160b)는 구동모터(158)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100)는 배면모래(S)에 덮어진 고양이 배변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배변모래(S)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100)는 고양이에 묻은 배변모래(S)를 털어낼 수 있게 하는 출구커버(170)를 형성함으로써, 배변모래(S)가 고양이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주변을 청결하고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100)는 출구커버(170)에 캣타워(176)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좁은 주택 등의 실내에서는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 110 : 배변케이지
112 : 내피부 114 : 외피부
116 : 배변공간부 120 : 입구
124 : 배변 배출구 126 : 배변 수거함
130 : 배출 도어 136a, 136b : 이동장공부
140 : 배변수거수단 142 : 배변 스크린부재
144 : 이동 지지대 146 : 배변 수거핀
148 : 개폐 암 152a : 제 1 동력전달부
152b : 제 2 동력전달부 170 : 출구커버
172 : 제 1 발판 174 : 제 2 발판
176 : 출구 180 : 캣타워

Claims (5)

  1.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는,
    내부에 배변모래가 채워진 배변공간부를 제공하는 배변케이지;
    상기 배변공간부 내의 상기 배변모래에 의해 덮어진 배변을 자동으로 수거하는 배변수거수단; 및
    상기 배변케이지의 상부를 덮으면서 배변활동을 마친 고양이가 상기 배변모래를 떨고 상기 배변케이지의 외부로 나가게 하는 출구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변케이지는,
    상기 배변공간부가 하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는 내피부; 및
    내측이 상기 내피부의 외측과 이격되게 상기 내피부를 감싸는 외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변공간부는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는 일측면 및 타측면과,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좌측면 및 우측면과, 바닥면을 가지며, 상기 바닥면과 이어지는 상기 일측면 및 상기 타측면은 만곡되게 연결되되,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일측면에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타측면에는 배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는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일측면 및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일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외피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외피부 사이는 마감 처리되며, 마감 처리된 상기 입구에는 입구 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배변 배출구는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타측면 상부 측에서 상기 타측면의 수평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변 배출구의 외부 측 하부에는 배변 수거함이 배치되되, 상기 배변 수거함은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타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외피부에 형성된 수거함 출입구를 통해 출입되며,
    상기 배변 배출구에는 배출 도어가 장착되되,
    상기 배출 도어는 상기 배변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는 길이 및 높이를 가지는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면서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타측면 외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 도어의 하부 측에는 상기 배출 도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상기 배변 배출구를 관통해 상기 배변공간부 측으로 연장되는 도어노브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타측면 외측에는 상기 배출 도어의 양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배출 도어를 상하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변수거수단은,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에 형성된 이동장공부를 따라 상기 배변공간부의 내부를 이동하는 이동 지지대와, 상기 이동 지지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변모래에 의해 덮어진 배변을 상기 배변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다수의 배변 수거핀을 가지는 배변 스크린부재; 및
    배변 수거 시 상기 이동장공부를 따라 상기 배변 스크린부재를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동력전달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동력전달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가지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대는 상기 배변공간부의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지면서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에 마주하게 형성된 상기 이동장공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다수의 상기 배변 수거핀은 상기 이동 지지대의 하부에 수직하게 장착되되, 배변 수거 시 상기 배변모래는 수거되지 않게 하면서 상기 배변모래에 덮어진 고양이 배변만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장착되고,
    다수의 상기 배변 수거핀 중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에 인접한 상기 배변 수거핀의 하부에는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타측면 측으로 연장되는 개폐 암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 암은 배변 배출 시 상기 배출 도어의 상기 도어노브의 하부와 접촉해 상기 배변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배출 도어를 들어 올리며,
    상기 이동장공부는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바닥면과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일측면 및 상기 타측면이 이루는 선을 따라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동력전달부는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좌측면과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좌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외피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일측면 및 상기 타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스프로킷과, 한 쌍의 상기 제 1 스프로킷에 걸어지는 제 1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동력전달부는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우측면과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우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외피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일측면 및 상기 타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스프로킷과, 한 쌍의 상기 제 2 스프로킷에 걸어지는 제 2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한 쌍의 상기 제 1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 또는 한 쌍의 상기 제 2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되,
    상기 이동 지지대 일단은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좌측면에 형성된 상기 이동장공부를 관통해 상기 제 1 체인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 지지대 타단은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우측면에 형성된 상기 이동장공부를 관통해 상기 제 2 체인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배변공간부의 일측면 및 상기 타측면에 인접한 상기 이동장공부의 일단 및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배변 스크린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기 일측면, 또는 상기 타측면, 또는 상기 좌측면, 또는 상기 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배변공간부에 진입해 배변활동을 하는 고양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구커버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는 폐쇄된 관체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상기 배변공간부의 상부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배변케이지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출구커버의 내측에는 배변을 마친 고양이가 상기 배변케이지의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뛰어 오르는 하나 이상의 발판이 마련되되, 상기 발판은 메쉬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구커버의 폐쇄된 상부에는 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출구커버의 폐쇄된 상부에는 상기 출구에 간섭되지 않게 캣타워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애완동물용 배변 자동수거장치.
KR1020150134642A 2015-09-21 2015-09-21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 KR101748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642A KR101748035B1 (ko) 2015-09-21 2015-09-21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642A KR101748035B1 (ko) 2015-09-21 2015-09-21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743A KR20170034743A (ko) 2017-03-29
KR101748035B1 true KR101748035B1 (ko) 2017-06-27

Family

ID=5849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642A KR101748035B1 (ko) 2015-09-21 2015-09-21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0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378A1 (ko) * 2017-10-18 2019-04-25 주식회사 골골송작곡가 애완동물 배변장치
KR20190098895A (ko) 2018-02-15 2019-08-23 김선희 고양이용 자동화 배변기
KR20210004511A (ko) 2019-07-05 2021-01-13 주식회사 디엠에스 애완묘용 변구분 장치 및 그 방법
KR200493055Y1 (ko) 2019-11-20 2021-01-25 주식회사 태원에스아이 반려동물의 배설물 냄새제거용 공기청정기
KR20210022959A (ko) 2019-08-21 2021-03-04 함금자 개 배변 수거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378B1 (ko) * 2017-09-25 2019-05-07 김장운 배설물 처리장치
JP7092403B2 (ja) * 2017-10-18 2022-06-28 パーソ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ペットの排便装置を用いてペットの糞便を処理する方法
KR101968478B1 (ko) * 2019-02-08 2019-04-12 박철훈 고양이용 화장실 구조물
KR101992710B1 (ko) * 2019-02-22 2019-09-27 최재웅 고양이 배설물 분리장치
KR200496925Y1 (ko) * 2021-02-16 2023-06-05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료공급 및 배변처리 기능이 구비된 캣타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428A (ja) * 2000-06-28 2002-03-19 Kazuko Yamamoto ペット用トイ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428A (ja) * 2000-06-28 2002-03-19 Kazuko Yamamoto ペット用トイ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378A1 (ko) * 2017-10-18 2019-04-25 주식회사 골골송작곡가 애완동물 배변장치
KR20190098895A (ko) 2018-02-15 2019-08-23 김선희 고양이용 자동화 배변기
KR20210004511A (ko) 2019-07-05 2021-01-13 주식회사 디엠에스 애완묘용 변구분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22959A (ko) 2019-08-21 2021-03-04 함금자 개 배변 수거통
KR200493055Y1 (ko) 2019-11-20 2021-01-25 주식회사 태원에스아이 반려동물의 배설물 냄새제거용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743A (ko)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035B1 (ko)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
KR101903674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US5226388A (en) Automated cat litter disposal system
KR101751878B1 (ko) 반려동물 자동 배변 밀폐 처리장치
KR100979600B1 (ko) 실험동물의 건강상태 체크가 용이한 실험동물 사육용케이지
KR101268177B1 (ko)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KR101578491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101903677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968478B1 (ko) 고양이용 화장실 구조물
TWI756408B (zh) 動物用廁所
US4571759A (en) Bed apparatus with a urinal
KR101617338B1 (ko)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102112815B1 (ko) 양변기 탈착형 반려 동물 배변 자동처리장치
KR20170016662A (ko) 애완견 용변 자동 처리기
CN212436840U (zh) 宠物排泄设备及猫厕所
KR102103122B1 (ko)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CN112249840A (zh) 一种电梯轿厢
KR101393150B1 (ko) 애완견용 자동 세정방식 배변장치
KR101828911B1 (ko)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JP2011120488A (ja) 自動すくい上げ猫用トイレ
KR102468558B1 (ko)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CN102524090A (zh) 一种智能化母猪马桶
KR100583375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JP5138084B1 (ja) 愛玩動物用トイレ
JP3636551B2 (ja) 洗浄機構付高床式小動物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