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792B1 -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 - Google Patents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792B1
KR101747792B1 KR1020160005193A KR20160005193A KR101747792B1 KR 101747792 B1 KR101747792 B1 KR 101747792B1 KR 1020160005193 A KR1020160005193 A KR 1020160005193A KR 20160005193 A KR20160005193 A KR 20160005193A KR 101747792 B1 KR101747792 B1 KR 101747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housing
support portion
integrated housing
cylindr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생열
Original Assignee
(주)우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광테크 filed Critical (주)우광테크
Priority to KR1020160005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792B1/ko
Priority to PCT/KR2016/000623 priority patent/WO201712285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H01F2038/305Constructions with toroidal magnetic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에 있어서, 특히 고압 배전선로로부터 전원을 유도받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변류기 몸체를 수납토록 제 1 통합 하우징 및 제 2 통합 하우징을 구비하되, 제 2 통합 하우징과 제 1 통합 하우징은 원터치에 의해서 한번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제 1 통합 하우징에 변류기의 2차 교류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 기판을 설치하여 별도로 신호처리를 위한 공간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제 1 통합 하우징과 제 2 통합 하우징 사이에 용이하게 변류기 몸체를 삽입후 체결토록 하여 조립성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에 관한 것으로,
변류기 몸체(10)와, 제 1 통합 하우징(20)과, 제 2 통합 하우징(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변류기 몸체(10)는, 강판코어(11a)를 외측면에 감아 지지하고 동시에 관통홀(11b)을 통해 배전선로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통형 지지부(11)와, 상기 원통형 지지부의 하부 끝단에 위치하는 제 1 디스크형 지지부(12)와, 상기 원통형 지지부의 상부 끝단에 위치하는 제 2 디스크형 지지부(13)와, 상기 제 2 디스크형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랙기어(14)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15)와, 상기 랙기어의 일측을 감싸 보호하되 전류 측정용 코일이 감긴 제 1 변류기 하우징(16)과, 상기 랙기어의 타측을 보호하는 제 2 변류기 하우징(1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통합 하우징(20)은, 상기 변류기 몸체(10)의 제 1 변류기 하우징(16)을 감싸도록 구성된 제 1 반원통형 지지부(21)와, 상기 제 1 반원통 지지부에 연장 설치하되 직육면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직류 변환 전류 처리용 기판(22a)이 삽입 설치되는 기판 지지부(22)와, 상기 기판 지지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 지지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통합 하우징(30)은, 상기 변류기 몸체(10)의 제 2 변류기 하우징(17)을 감싸도록 구성된 제 2 반원통 지지부(31)와, 상기 제 2 반원통 지지부(31)의 상부면과 하부면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제 1 통합 하우징에 원터치로 삽입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날개면(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A Current Transformer for Supply of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 배전선로로부터 전원을 유도받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변류기 몸체를 수납토록 제 1 통합 하우징 및 제 2 통합 하우징을 구비하되, 제 2 통합 하우징과 제 1 통합 하우징은 원터치에 의해서 한번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제 1 통합 하우징에 변류기의 2차 교류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 기판을 설치하여 별도로 신호처리를 위한 공간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제 1 통합 하우징과 제 2 통합 하우징 사이에 용이하게 변류기 몸체를 삽입후 체결토록 하여 조립성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기용 변류기는 고압 전기가 흐르는 고압선로 상의 개폐기 또는 고압 관리를 위한 감시, 관리시스템의 전원 확보를 위한 개소에 설치되어 선로, 차단기 또는 변압기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일예로서 수용가의 배전반 내에는 배전선로의 이상이 발생하거나 부득이한 배전선로의 정비를 위해서 일부 구간만을 차단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는 기본적으로 종단 접속재를 통해 연결된 제어용 변류기를 사용하여 배전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배전선로에 흐르는 전류 값에 비례하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배전선로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본체 및 제어부로 나뉘고, 다시 본체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접점부와, 고정접점부와 같은 수로 베이스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동접점부 및 고정접점부에 고정되는 제어용 변류기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진다. 평상시에는 고정접점부에 가동접점부가 접속되어 전류가 흐르지만, 배선선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배선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변하고 이에 따라 제어용 변류기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도 변한다. 배선선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제어부에서 가동접점부를 이동시켜 고정접점부와 가동접점부를 이격시킴으로써, 배선선로를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변류기는 현재 두 가지 타입으로 제품이 출시되어 있으며, 이는 일반변류기와 분할형 변류기로 구분된다. 이중 일반변류기는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선로에 초기에 건설할 경우에는 차단기의 외함에 또는 변압기의 내부, 배전반의 부스바 또는 케이블 등에 변류기를 설치 시에 먼저 변류기를 조립한 후 상기 변류기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기기를 조립하게 된다.
즉, 일반변류기는 분리되는 구성없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먼저 변류기를 설치한 이후에 케이블 등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관통하게 되므로 변류기의 해체 및 증설이 없다는 전제하에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변류기는 운전 중에 사용자의 조작 부주의에 의해 변류기가 사고발생하거나, 변류기의 추가증설이 발생하는 경우는 선로를 차단하고, 선로에 조립되어 있는 케이블 등을 해체 후 변류기를 교체해야 되는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변류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분할형 변류기이다. 상기 분할형 변류기는 일반변류기의 일체형구성과는 달리 분리되는 구성을 갖춰 건설된 설비 등에 변류기를 증설 및 교체시 자체의 분리된 구성을 통하여 선로의 차단 및 해체 없이 바로 케이블에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분할형 변류기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82270호에 제안된 바와 같다. 여기서 종래의 분할형 변류기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분리되고, 이미 가설된 케이블에 설치 시에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분리하여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케이블을 안착시키고, 다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결합시킴으로써 일반 변류기의 교체 시 발생되는 선로의 차단이나 케이블의 해체 등의 작업 없이 변류기의 추가 및 교체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할형 변류기는 상부몸체 코어 위에는 코일을 권선하지 않고 하부몸체 코어 위에만 코일을 권선한 상태에서 케이블에 통전되는 고전류를 상용전류로 변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분할형 변류기의 경우 코어가 분할되어 있어 전류의 손실률이 높이지고, 장기간 사용 시 절단면이 산화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며, 그로 인하여 고전류 인가시 큰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판형태의 강판코어가 권선되는 보빈의 상부 또는 하부에 기어 치(齒)가 형성되는 베벨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베벨기어와 치결합되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이용하여 각 기어가 치결합된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의 구동력에 의해 강판코어를 보빈에 권선할 수 있는 계기용 변류기를 제공하는 기술을 등록특허 제 10-1456204호를 통해 제안한 바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 전기가 흐르는 고압선로 상의 개폐기 또는 고압 관리를 위한 감시, 관리시스템의 전원 확보를 위한 개소에 설치되는 계기용 변류기에 있어서, 판상의 강판코어(20)가 권선되는 보빈(10); 상기 강판코어(20)를 권취하는 권취수단(30) 및 상기 보빈(10)을 감싸며,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하우징(40)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귄취수단(30)은, 상기 보빈(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는 베벨기어(31); 상기 베벨기어(31)와 치결합되되, 상기 하우징(40)의 외부에서 상기 보빈(10)을 회전시켜 강판코어(20)를 상기 보빈(10)에 권선시키는 피니언기어(32)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하우징(40)은, 그 상부 또는 하부면에 상기 베벨기어(31) 및 피니언기어(32)가 서로 치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공(41)을 더 포함하는 것과; 상기 하우징(40)은, 단면의 형상이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하우징(42, 43)으로 분리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42, 43)은 힌지(44)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 하우징(42)의 단부에는 결합돌기(4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43)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45)가 결속되는 결합공(46)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종래 특허는 그 상부 또는 하부면에 상기 베벨기어(31) 및 피니언기어(32)가 서로 치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공(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40)은, 단면의 형상이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하우징(42, 43)으로 분리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42, 43)은 힌지(44)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 하우징(42)의 단부에는 결합돌기(4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43)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45)가 결속되는 결합공(46)이 형성되기 때문에 하우징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하우징에 힌지와 결합돌기, 그리고 결합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성이 나빠지며, 아울러 베벨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움직이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결합공을 더 부가해야 하므로 공간 활용이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종래 특허에서는 2차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도선을 직접 강판에 결합시키는 기술이었으나, 도선을 직접 강판에 결합하는 것이 어려운 작업이었으며 유지보수 또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변류기의 2차측으로 유도된 전류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회로 복합체를 별도의 공간에 구성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고압 배전선로로부터 전원을 유도받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변류기 몸체를 수납토록 제 1 통합 하우징 및 제 2 통합 하우징을 구비하되, 제 2 통합 하우징과 제 1 통합 하우징은 원터치에 의해서 한번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제 1 통합 하우징에 변류기의 2차 교류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 기판을 설치하여 별도로 신호처리를 위한 공간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제 1 통합 하우징과 제 2 통합 하우징 사이에 용이하게 변류기 몸체를 삽입후 체결토록 하여 조립성을 극대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변류기 몸체(10)와, 제 1 통합 하우징(20)과, 제 2 통합 하우징(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변류기 몸체(10)는, 강판코어(11a)를 외측면에 감아 지지하고 동시에 관통홀(11b)을 통해 배전선로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통형 지지부(11)와, 상기 원통형 지지부의 하부 끝단에 위치하는 제 1 디스크형 지지부(12)와, 상기 원통형 지지부의 상부 끝단에 위치하는 제 2 디스크형 지지부(13)와, 상기 제 2 디스크형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랙기어(14)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15)와, 상기 랙기어의 일측을 감싸 보호하되 전류 측정용 코일이 감긴 제 1 변류기 하우징(16)과, 상기 랙기어의 타측을 보호하는 제 2 변류기 하우징(1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통합 하우징(20)은, 상기 변류기 몸체(10)의 제 1 변류기 하우징(16)을 감싸도록 구성된 제 1 반원통형 지지부(21)와, 상기 제 1 반원통 지지부에 연장 설치하되 직육면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직류 변환 전류 처리용 기판(22a)이 삽입 설치되는 기판 지지부(22)와, 상기 기판 지지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 지지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통합 하우징(30)은, 상기 변류기 몸체(10)의 제 2 변류기 하우징(17)을 감싸도록 구성된 제 2 반원통 지지부(31)와, 상기 제 2 반원통 지지부(31)의 상부면과 하부면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제 1 통합 하우징에 원터치로 삽입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날개면(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랙기어(14)는 제 2 디스크형 지지부(13)의 상부에 결합하되 수평방향으로 기어면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2 통합 하우징(30)의 날개면(32)에는 피니언 기어의 몸체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홈(32a)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고압 배전선로로부터 전원을 유도받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변류기 몸체를 수납토록 제 1 통합 하우징 및 제 2 통합 하우징을 구비하되, 제 2 통합 하우징과 제 1 통합 하우징은 원터치에 의해서 한번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제 1 통합 하우징에 변류기의 2차 교류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 기판을 설치하여 별도로 신호처리를 위한 공간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제 1 통합 하우징과 제 2 통합 하우징 사이에 용이하게 변류기 몸체를 삽입후 체결토록 하여 조립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변류기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류기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류기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류기의 사시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변류기의 강판코어 확대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변류기의 상부 확대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변류기의 다른각도 사시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변류기를 다른 장치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류기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류기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류기의 사시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변류기의 강판코어 확대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변류기의 상부 확대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변류기의 다른각도 사시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변류기를 다른 장치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본 발명의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는 고압 배전선로에 연결하여 고압 배전선로를 1차측으로 하고 강판 코어를 통해 2차측 전원을 생성한후 상기 2차측 교류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각종 검사장비의 전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본 발명의 종래기술에서 계기용 변류기를 설명하였는바, 선로의 2차측으로 전원을 유도하여 적용하는데 거의 유사한 기술사상이며, 종래의 계기용 변류기는 단순히 고압 배전선로의 전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고, 본원발명의 변류기는 고압 배전선로의 전류를 이용하여 교류 전원을 유도한 다음 이를 다시 직류전원으로 유도하여 각종 검사장비의 전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변류기 몸체(10)와, 제 1 통합 하우징(20)과, 제 2 통합 하우징(30)으로 구성한다.
상기 변류기 몸체(10)는 강판코어(11a)를 외측면에 감아 지지하고 동시에 관통홀을 통해 도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원통형 지지부(11)와, 상기 원통형 지지부의 하부 끝단에 위치하는 제 1 디스크형 지지부(12)와, 상기 원통형 지지부의 상부 끝단에 위치하는 제 2 디스크형 지지부(13)와, 상기 제 2 디스크형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하되 수평방향으로 기어면이 배치되는 랙기어(14)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15)와, 상기 랙기어의 일측을 감싸 보호하되 전류 측정용 코일이 감긴 제 1 변류기 하우징(16)과, 상기 랙기어의 타측을 보호하는 제 2 변류기 하우징(1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통합 하우징(20)은 상기 변류기 몸체(10)의 제 1 변류기 하우징(16)을 감싸도록 구성된 제 1 반원통형 지지부(21)와, 상기 제 1 반원통 지지부에 연장 설치하되 직육면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직류 변환 전류 처리용 기판(22a)이 삽입 설치되는 기판 지지부(22)와, 상기 기판 지지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 지지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통합 하우징(30)은 상기 변류기 몸체(10)의 제 2 변류기 하우징(17)을 감싸도록 구성된 제 2 반원통 지지부(31)와, 상기 제 2 반원통 지지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제 1 통합 하우징에 원터치로 삽입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날개면(3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통합 하우징의 날개면에는 피니언 기어의 몸체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홈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 2 통합 하우징을 폐쇄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변류기 몸체(10)와, 제 1 통합 하우징(20)과, 제 2 통합 하우징(30)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구성요소들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변류기 몸체(10)는 기본적으로 원통형 지지부(11)와, 제 1 디스크형 지지부(12)와, 제 2 디스크형 지지부(13)와, 랙기어(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바, 원통형 지지부(11)에 강판코어(11a)를 감고, 이때 랙기어(14)의 측면에 피니언 기어(15)를 치합시켜 강판코어(11a)를 감도록 하였다. 참고로 원통형 지지부에 강판코어를 감는 기술개념은 종래기술에 언급한 바와 같으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그리고, 원통형 지지부(11)의 하부에는 제 1 디스크형 지지부(12)를 설치하고 원통형 지지부(11)의 상부에는 제 2 디스크형 지지부(13)를 설치하는바, 제 1 디스크형 지지부(12)와 제 2 디스크형 지지부(13)는 강판코어(11a)를 원통형 지지부(11)에 감을때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변류기 몸체(10)에는 제 1 변류기 하우징(16)과 제 2 변류기 하우징(17)을 설치하는바, 특히 제 1 변류기 하우징(16)에는 2차측 유도코일(16a)이 감겨져 있으며, 상기 2차측 유도코일(16a)을 통해 2차측 교류전류를 추출하고 직류 변환 전류 처리용 기판(22a)에서 이를 직류전류로 변환하여 각종 장치의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랙기어(14)의 상부에 제 1 변류기 하우징(16)과 제 2 변류기 하우징(17)을 설치시 서로 접면되지 않게 일정한 공간부를 확보한 상태에서 조립한다.
즉, 피니언 기어(15)로 랙기어(14)를 회전시킬때 제 1 변류기 하우징(16)과 제 2 변류기 하우징(17)에 걸리적 거리지 않토록 하며, 이에 따라 랙기어(14)가 정상적으로 회전하면서 강판코어(11a)를 원하는 길이만큼 감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통합 하우징(20)은 제 1 반원통형 지지부(21)와 기판 지지부(22) 및 상부 지지부(23)로 조립하여 구성하는바, 제 1 반원통형 지지부(21)를 구성시에 제 1 변류기 하우징(16)을 감싸 보호하도록 라운드진 형태로 구성하며 실제 조립시에 변류기 몸체(10)의 제 1 변류기 하우징(16)이 제 1 반원통 지지부(21)에 접면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반원통 지지부(21)에 연결하여 기판 지지부(22)가 일체형으로 설치되는바, 기판 지지부(22)의 내측에 기판(22a)을 설치하고 제 1 변류기 하우징(16)에 설치되는 2차측 유도코일(16a)을 연결하여 고압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교류 전류로 유도시킨다. 그리고, 상기 기판 지지부(22)의 상부에 상부 지지부(23)를 설치하여 기판 지지부(22)의 상부를 폐쇄시킨다.
상기 제 2 통합 하우징(30)은 제 2 반원통형 지지부(31)와 날개면(32)으로 이루어지는바, 제 2 반원통형 지지부(31)는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져 제 2 변류기 하우징(17)이 용이하게 안착되도록하며, 이에 따라 제 2 변류기 하우징(17) 및 제 2 반원통형 지지부(31)가 완전히 폐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반원통형 지지부(31)에는 날개면(32)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날개면(32)을 원터치로 제 1 통합 하우징(20)에 결합시켜 변류기 몸체(10)를 완전하게 보호하면서 모든 결합이 용이하게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변류기 몸체(10)를 구비하되 중앙에 도선이 관통되는 관통홀(11b)을 갖는 원통형 지지부(11)를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관통홀(11b)에 배전선로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배전선로가 결합되는 변류기 몸체(10)를 제 1 통합 하우징(20)의 제 1 반원통 지지부(21)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제 2 통합 하우징(30)을 준비후 변류기 몸체(10)를 통과시키면서 제 1 통합 하우징(20)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제 2 통합 하우징(30)의 날개면(32)이 변류기 몸체(10)의 제 1 디스크형 지지부(12)의 하부면과 제 2 디스크면(13)의 상부면을 슬라이딩 결합하면서 제 1 통합 하우징(20)의 상부면과 저면에 끼움 결합되어 원터치에 의해서 제 1 통합 하우징(20)과 변류기 몸체(10)가 제 2 통합 하우징(30)에 결합되는 것이 완료된다.
한편, 강판코어(11a)를 변류기 몸체(10)의 원통형 지지부(11)의 외주면에 감도록하는바, 이때 피니언 기어(15)를 랙기어(14)에 치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며, 그러면 랙기어(14)가 회전되면서 강판코어(11a)가 원통형 지지부(11)의 외주면에 감기면서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강판코어(11a)의 조립이 완료되면 배전선로에 의해서 발생된 자기력이 상기 강판코어(11a)에 전달되고, 강판코어(11a)의 일단에 설치되는 2차측 유도코일에 자기력이 유도되어 교류전류가 유도되며, 상기 2차측 유도코일과 연결된 기판에서 상기 전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각종 장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10 변류기 몸체
11: 원통형 지지부
11a: 강판코어
11b: 관통홀
12: 제 1 디스크형 지지부
13: 제 2 디스크형 지지부
14: 랙기어
15: 피니언 기어
16: 제 1 변류기 하우징
17: 제 2 변류기 하우징
20: 제 1 통합 하우징
21: 제 1 반원통형 지지부
22: 기판 지지부
22a: 직류 변환 전류 처리용 기판
23: 상부 지지부
30: 제 2 통합 하우징
31: 제 2 반원통 지지부
32: 날개면

Claims (3)

  1. 변류기 몸체(10)와, 제 1 통합 하우징(20)과, 제 2 통합 하우징(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변류기 몸체(10)는,
    강판코어(11a)를 외측면에 감아 지지하고 동시에 관통홀(11b)을 통해 배전선로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통형 지지부(11)와, 상기 원통형 지지부의 하부 끝단에 위치하는 제 1 디스크형 지지부(12)와, 상기 원통형 지지부의 상부 끝단에 위치하는 제 2 디스크형 지지부(13)와, 상기 제 2 디스크형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랙기어(14)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15)와, 상기 랙기어의 일측을 감싸 보호하되 전류 측정용 코일이 감긴 제 1 변류기 하우징(16)과, 상기 랙기어의 타측을 보호하는 제 2 변류기 하우징(1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통합 하우징(20)은,
    상기 변류기 몸체(10)의 제 1 변류기 하우징(16)을 감싸도록 구성된 제 1 반원통형 지지부(21)와, 상기 제 1 반원통 지지부에 연장 설치하되 직육면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직류 변환 전류 처리용 기판(22a)이 삽입 설치되는 기판 지지부(22)와, 상기 기판 지지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 지지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통합 하우징(30)은,
    상기 변류기 몸체(10)의 제 2 변류기 하우징(17)을 감싸도록 구성된 제 2 반원통 지지부(31)와, 상기 제 2 반원통 지지부(31)의 상부면과 하부면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제 1 통합 하우징(20)에 원터치로 삽입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날개면(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14)는 제 2 디스크형 지지부(13)의 상부에 결합하되 수평방향으로 기어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합 하우징(30)의 날개면(32)에는 피니언 기어의 몸체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홈(32a)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
KR1020160005193A 2016-01-15 2016-01-15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 KR101747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193A KR101747792B1 (ko) 2016-01-15 2016-01-15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
PCT/KR2016/000623 WO2017122853A1 (ko) 2016-01-15 2016-01-21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193A KR101747792B1 (ko) 2016-01-15 2016-01-15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792B1 true KR101747792B1 (ko) 2017-06-15

Family

ID=5921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193A KR101747792B1 (ko) 2016-01-15 2016-01-15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7792B1 (ko)
WO (1) WO201712285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091A (ko) * 2018-12-27 2020-07-07 한국전력공사 지중 개폐기
US20220093356A1 (en) * 2018-12-20 2022-03-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Fuse having an integrated measuring function, and fuse body
KR102515142B1 (ko) * 2022-07-20 2023-03-29 (주)우광테크 고압선로 개폐기용 상용전원 인출장치
US11923163B2 (en) 2019-01-16 2024-03-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Fuse element and fu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270Y1 (ko) 2002-03-26 2002-07-19 심용섭 분할변류기
KR200371971Y1 (ko) 2004-10-21 2005-01-06 (주)시티이텍 분할형 변류기
KR101323607B1 (ko) 2013-05-10 2013-11-01 (주)테라에너지시스템 변류기
KR101456204B1 (ko) 2013-06-05 2014-10-31 (주)우광테크 계기용 변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0657B2 (ja) * 1993-06-25 2004-02-23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イッチ用電流トランス
JP2010232389A (ja) * 2009-03-26 2010-10-14 Panasonic Electric Works Tatsuno Co Ltd 分割型変流器
JP2012212837A (ja) * 2011-03-30 2012-11-01 Kohshin Electric Corp 分割形変流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270Y1 (ko) 2002-03-26 2002-07-19 심용섭 분할변류기
KR200371971Y1 (ko) 2004-10-21 2005-01-06 (주)시티이텍 분할형 변류기
KR101323607B1 (ko) 2013-05-10 2013-11-01 (주)테라에너지시스템 변류기
KR101456204B1 (ko) 2013-06-05 2014-10-31 (주)우광테크 계기용 변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93356A1 (en) * 2018-12-20 2022-03-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Fuse having an integrated measuring function, and fuse body
KR20200081091A (ko) * 2018-12-27 2020-07-07 한국전력공사 지중 개폐기
KR102152821B1 (ko) * 2018-12-27 2020-09-07 한국전력공사 지중 개폐기
US11923163B2 (en) 2019-01-16 2024-03-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Fuse element and fuse
KR102515142B1 (ko) * 2022-07-20 2023-03-29 (주)우광테크 고압선로 개폐기용 상용전원 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2853A1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792B1 (ko) 고압 배전선로에서 유도된 전원을 이용한 전원 공급용 변류기
US9824809B2 (en) Modular transformer system
CN103760441B (zh) 一种配电箱多功能调试台
US20110237118A1 (en) Adapter for electrical meter
KR20120020658A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105637B1 (ko) 스마트 그리드 분전반
WO2013192374A2 (en) Disassociated split sensor coil for power distribution line monitoring
KR101456204B1 (ko) 계기용 변류기
CN210926697U (zh) 一种便于更换外壳的开关柜
US20150009001A1 (en) Power transformer with electronic components
Bantras et al. Estimation and classification of power losses due to reduced power quality
CN103604971B (zh) 一种利于安装检修的电压互感器
CN203587749U (zh) 便携式智能开关板
CN202564798U (zh) 智能型消弧消谐开关柜
KR101608751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JP2011180104A (ja) クランプ型計器用据置端子
KR101678998B1 (ko) 계기용 변류기
KR200439071Y1 (ko)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체
CN203587751U (zh) 便携式智能开关板
KR200476192Y1 (ko) 계기용 변류기
CN207116200U (zh) 一种组合互感器
CN220438524U (zh) 监测和计量装置
CN203673726U (zh) 一种内部结构全方位可观测的35kV电流互感器实训装置
CN204088019U (zh) 固体绝缘开关柜专用电流互感器
CN219067496U (zh) 一种可防电线磨损型智能化开关柜的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