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736B1 - 유기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736B1
KR101747736B1 KR1020150138056A KR20150138056A KR101747736B1 KR 101747736 B1 KR101747736 B1 KR 101747736B1 KR 1020150138056 A KR1020150138056 A KR 1020150138056A KR 20150138056 A KR20150138056 A KR 20150138056A KR 101747736 B1 KR101747736 B1 KR 101747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attern portion
polarizing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545A (ko
Inventor
황성한
강유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736B1/ko
Publication of KR20170038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93
    • H01L27/3232
    • H01L27/326
    • H01L51/5281
    • H01L2227/32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비 및 화질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시야각에 따라 영상의 색상 및 휘도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유기발광표시장치는 각 화소영역의 발광영역과 수직 중첩하는 유기발광소자,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위치하되, 상기 화소영역의 비발광영역과 수직 중첩하는 제 1 편광패턴부를 포함하는 제 1 편광판 및 상기 제 1 편광판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편광패턴부와 상이한 투과축을 갖는 제 2 편광패턴부를 포함하는 제 2 편광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원은 평판표시장치 중 하나인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에 대해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화 등의 성능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들은 대향 합착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개재된 고유의 발광물질 또는 편광물질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일 예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각 유기발광소자는 상호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전극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고 유기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제 1 및 제 2 전극을 통해 주입된 정공과 전자에 의해 루미네선스(Electro Luminescence)를 발생시킨다. 즉, 유기발광소자는 자체적으로 광을 방출하는 자발광소자이다.
이와 같이, 자발광소자인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함에 따라,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별도의 광원이 불필요하다. 이에,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보다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한 장점, 시야각이 넓은 장점, 및 1000배 이상 빠른 반응속도를 나타내어 잔상이 적은 장점이 있다.
한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복수의 유기발광소자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배선들과 소자들을 포함한다.
그런데, 외부로부터 표시면으로 입사된 외부광이 신호배선들과 소자들의 금속패턴에 반사되고, 반사된 외부광이 다시 표시면으로 방출됨에 따라, 금속패턴이 시인성을 띠는 문제점이 있다. 그로 인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콘트라스트비가 낮아지고 화질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금속패턴에 반사된 외부광이 표시면으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위상지연판과 편광판을 포함한다.
이 경우, 유기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은 위상지연판에 의해 원편광된 상태로 편광판을 투과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된다.
그에 반해, 표시면으로 입사된 외부광은 편광판에 의해 제 1 투과축으로 편광되고 위상지연판에 의해 위상 지연된 상태에서 금속패턴에 반사되고, 반사된 외부광은 위상지연판에 의해 다시 위상 지연됨으로써, 제 1 투과축과 상이한 제 2 투과축으로 편광되므로, 편광판을 투과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편광판과 위상지연판을 구비함으로써 반사된 외부광이 표시면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유기발광소자의 광이 위상지연판과 편광판을 투과한 다음 표시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야 하므로, 위상지연판과 편광판에 의해 유기발광소자의 광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유기발광소자의 광이 위상지연판에 의해 위상 지연된 상태에서 표시면으로 방출되므로, 시야각에 따라 영상의 색상 및 휘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은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비 및 화질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시야각에 따라 영상의 색상 및 휘도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은 표시영역 내에 위치하고, 발광영역 및 비발광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각 화소영역의 상기 발광영역과 수직 중첩하는 유기발광소자;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위치하고, 각 화소영역의 비발광영역과 수직 중첩하는 제 1 편광패턴부를 포함하는 제 1 편광판; 및 상기 제 1 편광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편광패턴부와 상이한 투과축을 갖는 제 2 편광패턴부를 포함하는 제 2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 1 편광판은 각 화소영역의 발광영역과 수직 중첩하는 제 1 투과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편광판의 제 2 편광패턴부는 제 1 편광판의 제 1 편광패턴부 및 제 1 투과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 2 편광판의 제 2 편광패턴부는 제 1 편광패턴부에 연속하고, 제 2 편광판은 각 화소영역의 발광영역과 수직 중첩하는 제2 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제 1 및 제 2 편광패턴부 각각의 투과축은 상호 직교한다.
본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영역 각각의 발광영역 외곽인 비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편광패턴부 및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투과부를 포함한 제 1 편광판, 및 제 1 편광판 상에 배치되고, 제 1 편광패턴부와 상이한 투과축을 갖는 제 2 편광패턴부를 포함한 제 2 편광판을 포함한다.
이에, 표시면으로 입사된 외부광은 제 2 편광패턴부에 의해 편광된 다음, 제 2 편광패턴부와 상이한 투과축을 갖는 제 1 편광패턴부에 의해 차단된다. 즉, 외부광은 제 1 및 제 2 편광판에 의해 신호배선들과 소자들의 금속패턴까지 입사되지 못하므로, 금속패턴에 반사된 외부광이 표시면으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비의 저하 및 화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금속패턴에 반사된 외부광이 표시면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위상 지연판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비의 저하 및 화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더불어, 발광영역에서 유기발광소자의 광은 위상 지연판을 통과하지 않고, 단지 제 1 편광판의 제 1 투과부 및 제 2 편광판을 통과하여 표시면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에, 유기발광소자의 광이 위상 지연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면으로 방출될 수 있으므로, 시야각에 따라 영상의 색상 및 휘도가 달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소영역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 1 편광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 1 및 제 2 편광판 각각의 광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유기발광소자의 광 및 외부광 각각의 광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화소영역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 1 편광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 1 및 제 2 편광판 각각의 광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유기발광소자의 광 및 외부광 각각의 광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복수의 화소영역 각각의 발광영역(EA)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120), 복수의 유기발광소자(OLED, 120)를 밀폐하는 보호막(130), 복수의 유기발광소자(OLED, 120) 및 보호막(130)을 덮는 커버기판(140), 복수의 유기발광소자(OLED, 120)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영역 각각의 발광영역(EA)의 외곽인 비발광영역(NEA)에 대응하는 제 1 편광패턴부(151)를 포함한 제 1 편광판(150), 및 제 1 편광판(150) 상에 배치되고 제 1 편광패턴부(151)와 상이한 투과축을 갖는 제 2 편광패턴부를 포함하는 제 2 편광판(16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AA)에 복수의 화소영역(PA)을 정의하고, 복수의 화소영역(PA)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기발광소자(OLED)를 개별적으로 구동한다.
이를 위해,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은 복수의 화소영역(PA)에 연결되고, 상호 교차하는 다수의 신호배선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의 신호배선들은 게이트라인(GL), 데이터라인(DL), 고전위 전원라인(VDD) 및 저전위 전원라인(VSS)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화소영역(PA)은 신호라인들에 연결되고 유기발광소자(OLED)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화소구동회로(PDC)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소영역(PA)의 화소구동회로(PDC)는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는 제 1 박막트랜지스터(T1), 제 1 박막트랜지스터(T1)와 유기발광소자(OLED)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박막트랜지스터(T2), 제 1 박막트랜지스터(T1)과 제 2 박막트랜지스터(T2) 사이에 연결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제 1 박막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는 제 1 전극 및 제 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박막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라인(GL)의 게이트신호에 기초하여 턴온하고, 턴온한 제 1 박막트랜지스터(T1)를 통해 데이터라인(DL)의 데이터신호가 제 1 노드(N1)에 공급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 사이에 연결된다. 제 1 노드(N1)는 제 1 박막트랜지스터(T1)와 제 2 박막트랜지스터(T2) 사이이고, 제 2 노드(N2)는 제 2 박막트랜지스터(T2)와 유기발광소자(OLED) 사이이다.
이러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턴온한 제 1 박막트랜지스터(T1)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라인(DL)의 데이터신호로 충전된다. 그리고,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전된 전압은 제 2 박막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되어, 제 2 박막트랜지스터(T2)를 턴온시킨다.
제 2 박막트랜지스터(T2)는 제 1 노드(N1)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 고전위 전원라인(VDD)에 연결되는 제 1 전극 및 유기발광소자(OLED)에 연결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박막트랜지스터(T2)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전된 전압에 기초하여 턴온한다. 이때, 턴온한 제 2 박막트랜지스터(T2)를 통해 고전위 전원라인(VDD)과 저전위 전원라인(VSS) 사이의 유기발광소자(OLED)에 구동전류가 공급된다.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소영역(PA)의 화소구동회로(도 3의 PDC)에 구비되는 제 2 박막트랜지스터(T2)는 베이스(101) 상의 반도체층(111), 반도체층(111)을 덮는 게이트절연막(102) 상의 게이트전극(112), 게이트전극(112)을 덮는 제 1 층간절연막(103) 상의 제 1 전극(113)과 제 2 전극(114)을 포함한다.
반도체층(111)은 게이트전극(112)과 중첩되고 게이트전극(112)의 전압레벨에 따라 채널이 발생되는 채널영역(111a), 채널영역(111a)의 양측에 배치되는 소스영역(111b) 및 드레인영역(111c)을 포함한다.
게이트절연막(102)은 베이스(101)의 전면 상에 배치되고, 반도체층(111)을 덮는다.
게이트전극(112)은 게이트절연막(102) 상에 배치되고, 반도체층(111)의 채널영역(111a)에 중첩한다.
제 1 층간절연막(103)은 게이트절연막(102)의 전면 상에 배치되고, 게이트전극(112)을 덮는다.
제 1 전극(113)은 제 1 층간절연막(103) 상에 배치되고, 게이트절연막(102) 및 제 1 층간절연막(103)을 관통하는 홀을 통해 반도체층(111)의 소스영역(111b)에 연결된다.
제 2 전극(114)은 제 1 층간절연막(103) 상에 배치되고, 게이트절연막(102) 및 제 1 층간절연막(103)을 관통하는 홀을 통해 반도체층(111)의 드레인영역(111c)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 2 박막트랜지스터(T2)는 제 1 층간절연막(103)의 전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층간절연막(104)에 의해 덮인다. 그리고, 제 2 층간절연막(104)은 평평한 상면을 갖는 평탄화막(105)으로 덮인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평탄화막(105) 상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기발광소자(OLED, 120)는 평탄화막(105) 상의 제 1 전극(121), 제 1 전극(121) 상의 유기층(122) 및 유기층(122) 상의 제 2 전극(123)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제 1 전극(121)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121)은 평탄화막(105) 상에 배치되고, 발광영역(EA)에 대응한다. 그리고, 제 2 층간절연막 및 평탄화막(104, 105)을 관통하는 콘택홀(115)을 통해 제 2 박막트랜지스터(T2)의 제 2 전극(114)에 연결된다.
뱅크(124)는 평탄화막(105) 상에 배치되고, 제 1 전극(121)의 가장자리를 덮는다.
유기층(122)은 제 1 전극(121) 및 뱅크(124) 상에 배치되고, 유기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포함한다.
제 2 전극(123)은 유기층(122)을 사이에 두고 제 1 전극(121)과 대향한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발광영역(EA)에 대응하고, 제 1 및 제 2 전극(121, 123)이 유기층(122)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부분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OLED, 120)는 보호막(130) 및 보호막(130) 상의 커버기판(140)으로 덮인다.
그리고, 커버기판(140) 상에, 제 1 및 제 2 편광판(150, 160)이 배치된다.
제 1 편광판(150)은 복수의 화소영역(PA) 각각의 발광영역(EA) 외곽인 비발광영역(NEA)에 대응하는 제 1 편광패턴부(151), 및 복수의 화소영역(PA) 각각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는 제 1 투과부(152)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소영역(PA) 각각의 발광영역(EA)이 매트릭스 배열되는 경우, 발광영역(EA)에 대응하는 제 1 투과부(152) 또한 매트릭스 배열된다. 그리고, 제 1 편광패턴부(151)는 제 1 투과부(152) 외곽에 배치된다.
제 2 편광판(도 1 및 도 4의 160)은 제 1 편광판(150) 상에 배치되고, 제 1 편광판(150)의 제 1 편광패턴부(151)와 상이한 투과축을 갖는 제 2 편광패턴부(16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편광패턴부(161)는 제 1 편광판(150)의 전면에 대응한다.
이때, 제 1 편광패턴부(151)의 투과축은 제 2 편광패턴부(161)의 투과축에 직교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 1 편광패턴부(151)의 투과축은 90°이고, 제 2 편광패턴부(161)의 투과축은 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유기발광소자(OLED, 120)의 광이 방출되는 표시면에 제 1 및 제 2 편광판(150, 160)이 배치된다.
제 1 편광판(150)은 복수의 유기발광소자(OLED, 120)의 광이 방출되지 않는 영역, 즉 비발광영역(NEA)에 대응하고, 소정의 투과축을 갖는 제 1 편광패턴부(151), 및 복수의 유기발광소자(OLED, 120)의 광이 방출되는 발광영역(EA)에 대응하는 제 1 투과부(152)를 포함한다.
제 2 편광판(160)은 제 1 편광판(150)의 전면에 대응하고 제 1 편광패턴부(151)의 투과축에 직교하는 투과축을 갖는 제 2 편광패턴부(161)를 포함한다.
이로써,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영역(EA)에서, 유기발광소자(OLED)의 광(L1)은 제 1 투과부(152)를 그대로 투과하고, 제 2 편광패턴부(161)에 의해 편광된 상태의 광(L2)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비발광영역(NEA)에서, 표시면("유기발광소자의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면"을 지칭함)으로 입사된 외부광(L3)은 제 2 편광패턴부(161)에 의해 편광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 2 편광패턴부(161)에 의해 편광된 외부광(L4)은 제 2 편광패턴부(161)와 직교하는 투과축을 갖는 제 1 편광패턴부(151)를 투과하지 못한다. 즉, 외부광(L3)은 제 2 편광패턴부(161)에 의해 편광되고(L4), 이는 제 1 편광패턴부(151)를 투과하지 못하므로, 외부광(L3)이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측으로 입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제 1 및 제 2 편광판(150, 160)에 의해,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의 신호배선들(도 3의 GL, DL, VDD, VSS) 및 소자들(T1, T2, Cst)에 구비된 금속패턴들에 외부광(L3)이 입사 및 반사되지 않으므로, 외부광에 의한 컨트라스트비의 저하 및 화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광이 표시면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상지연판이 없으므로, 발광영역(EA)에서 유기발광소자(OLED, 120)의 광이 위상 지연되지 않은 상태로 방출된다.
이로써,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 비 저하 및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영상의 휘도 및 색상이 시야각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편광패턴부(161)는 제 1 편광판(150)의 전면에 대응한다. 이에, 발광영역(EA)에서 유기발광소자(OLED)의 광이 제 2 편광패턴부(161)를 통과한 다음, 외부로 방출된다. 그러므로, 유기발광소자(OLED)의 광이 제 2 편광패턴부(161)에 의해 손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8은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제 2 편광판(160')이 비발광영역(NEA)에 대응하는 제 2 편광패턴부(161), 및 발광영역(EA)에 대응하는 제 2 투과부(162)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편광패턴부(161)는 제 1 편광패턴부(151)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화소영역(PA) 각각의 발광영역(EA)의 외곽인 비발광영역(NEA)에 대응한다. 즉, 제 2 편광패턴부(161)는 제 1 편광패턴부(151) 상에 배치되어 제 1 편광패턴부(151)에 연속한다.
그리고, 제 2 투과부(162)는 제 1 투과부(151)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화소영역(PA) 각각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한다. 즉, 제 2 투과부(162)는 제 1 투과부(152) 상에 배치되어 제 2 투과부(152)에 연속한다.
이로써,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영역(EA)에서 유기발광소자(OLED)의 광은 제 1 및 제 2 투과부(152, 162)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즉, 유기발광소자(OLED)의 광은 제 1 및 제 2 편광패턴부(151, 161) 중 어느 하나도 투과하지 않으므로, 유기발광소자(OLED)의 광이 제 1 및 제 2 편광판(150, 160)에 의해 손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유기발광소자(120, OLED)는 커버기판(14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편광판(150, 160)(150, 160')은 커버기판(140)의 다른 일면 상에 배치된다. 이와 달리, 제 1 및 제 2 편광판(150, 160)(150, 160')은 복수의 유기발광소자(120, OLED)와 마찬가지로 커버기판(14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은 본원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제 1 및 제 2 편광판(150, 160)이 커버기판(140)과 복수의 유기발광소자(120, OLED)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편광판(150)은 복수의 유기발광소자(120, OLED)를 덮고 평평한 상면을 갖는 보호막(130) 상에 배치되고, 제 2 편광판(160)은 제 1 편광판(150)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커버기판(140)은 제 2 편광판(160)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유기발광소자(120), 보호막(130), 제 1 및 제 2 편광판(150, 160)을 덮는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및 제 2 편광판(150, 16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스크래치 등과 같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100', 100": 유기발광표시장치
PA: 화소영역 EA: 발광영역
NEA: 발광영역의 외곽인 비발광영역
110: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20: 유기발광소자(OLED) 130: 보호막
140: 커버기판 150: 제 1 편광판
151: 제 1 편광패턴부 152: 제 1 투과부
160, 160': 제 2 편광판 161: 제 2 편광패턴부
162: 제 2 투과부

Claims (8)

  1. 발광영역 및 비발광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상기 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소자;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영역과 수직 중첩하는 제 1 투과부 및 상기 비발광영역과 수직 중첩하는 제 1 편광패턴부를 포함하는 제 1 편광판;
    상기 제 1 편광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편광패턴부와 상이한 투과축을 갖는 제 2 편광패턴부를 포함하는 제 2 편광판; 및
    상기 제 2 편광판 상에 위치하는 커버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편광판은 상기 제 1 편광판 및 상기 커버 기판과 접촉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덮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편광판의 상기 제 1 투과부 및 상기 제 1 편광패턴부는 상기 보호막과 접촉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편광패턴부는 상기 제 1 편광판의 상기 제 1 편광패턴부 및 상기 제 1 투과부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패턴부의 투과축은 상기 제 2 편광패턴부의 투과축에 직교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6. 삭제
  7.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상에 위치하고, 서로 이격된 유기발광소자들;
    상기 유기발광소자들 상에 위치하는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유기발광소자들과 수직 중첩하는 제 1 투과부들 및 상기 제 1 투과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편광패턴부들을 포함하는 제 1 편광판; 및
    상기 제 1 편광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편광패턴부와 상이한 투과축을 갖는 제 2 편광패턴부를 포함하는 제 2 편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편광판은 상기 커버 기판 및 상기 제 2 편광판과 접촉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편광판은 상기 제 1 투과부들과 중첩하는 제 2 투과부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편광패턴부는 상기 제 1 편광패턴부들과 수직 중첩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0150138056A 2015-09-30 2015-09-30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1747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056A KR101747736B1 (ko) 2015-09-30 2015-09-30 유기발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056A KR101747736B1 (ko) 2015-09-30 2015-09-30 유기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545A KR20170038545A (ko) 2017-04-07
KR101747736B1 true KR101747736B1 (ko) 2017-06-16

Family

ID=5858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056A KR101747736B1 (ko) 2015-09-30 2015-09-30 유기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1551B (zh) * 2017-05-16 2019-11-19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07195668B (zh) * 2017-07-17 2018-06-15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411041B2 (en) 2017-07-17 2019-09-10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5374A (ja) 2012-04-19 2013-10-31 Nitto Denko Corp 有機elパネル
JP5426040B2 (ja) 2013-02-26 2014-0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JP2015022803A (ja) 2013-07-16 2015-02-02 凸版印刷株式会社 3d表示用有機elディスプレ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5374A (ja) 2012-04-19 2013-10-31 Nitto Denko Corp 有機elパネル
JP5426040B2 (ja) 2013-02-26 2014-0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JP2015022803A (ja) 2013-07-16 2015-02-02 凸版印刷株式会社 3d表示用有機el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545A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80670B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951512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34953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283042B2 (en) Display apparatus with heat sink layers
US932497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5000672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135624A (ko) 낮은 반사율을 갖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70159044A1 (en) Display device
US906483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 panel having opening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150055377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922051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구비한 투명 표시장치
KR101747736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396253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11653545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10816819B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having a barrier panel
KR10211150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78688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60035685A (ko) 휘도 시야각 및 색 시야각을 개선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10687048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having a barrier panel
KR20190040767A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전계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70071019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KR2017003072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JP5201827B2 (ja) 発光装置
CN116546857A (zh) 显示装置
JP2007180024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