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384B1 -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 - Google Patents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384B1
KR101747384B1 KR1020170056506A KR20170056506A KR101747384B1 KR 101747384 B1 KR101747384 B1 KR 101747384B1 KR 1020170056506 A KR1020170056506 A KR 1020170056506A KR 20170056506 A KR20170056506 A KR 20170056506A KR 101747384 B1 KR101747384 B1 KR 101747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fastening
hole
impla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섭
Original Assignee
김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섭 filed Critical 김동섭
Priority to KR102017005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14Preventing re-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임플란트 시술시 치조골에 인공치근의 식립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식립용 드릴을 한 환자에게 사용한 후 재사용을 위해 오토클레이브(또는 고압증기멸균기)를 통해서 고압 증기에 의한 소독 및 멸균작업을 하게 되는 것을 이용하여 소독작업중에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생크부의 구조가 변형되도록 구성하여 재사용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시술의 위생안전성 및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Prevent reuse of drill for implant placeme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시 인공치근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을 드릴링하여 구멍을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식립용 드릴에 대해 한번 사용 후 재사용이 불가하도록 하여 임플란트 시술의 위생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를 시술시 치조골에 상측에 인공치아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인공치근을 매식하게 되며, 인공치근의 매식을 위해 치조골을 드릴링하여 구멍을 형성하는데 식립용 드릴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식립용 드릴에 대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1628648호에 의하면, 생크부와 절삭부의 구성과 재질을 이중 구조로 구성하여 메인 구성부의 재료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착탈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결합 상태에서는 뛰어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고, 내구성과 절삭력이 우수하고 마찰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술 과정에서 절삭날부의 마찰열에 의한 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착탈식 의료용 절삭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속 회전 기구에 결합되어 인체의 뼈 조직에 구멍 가공하기 위한 의료용 절삭 기구로서, 일측에 연결부를 갖고 형성되는 생크부(shank portion); 상기 생크부의 연결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성되어 형성되는 절삭날부; 상기 생크부의 연결부와 상기 절삭날부의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 및 상기 생크부의 연결부와 상기 절삭날부의 결합부 간의 결합 시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력 유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생크부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삭날부는 지르코니아(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착탈식 의료용 절삭기구에 대한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4-0132474호에 의하면, 만능드릴 날부(a)에 미세한 돌기가 있어 드릴링 작업시 상하 절삭뿐만 아니라 좌우 절삭까지 가능하며 임플란트 직경에 맞게 뼈 속의 구멍을 넓힐수 있다. 또한 주수구(b)가 있어 드릴링시 발생하는 열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그 효과로 뼈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골융합에 중요한 골세포 괴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치과 임플란트 만능드릴에 대한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 시, 치조골에 구멍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식립용 드릴은 위생안전을 위해 원칙상 재사용을 하면 안되는데도 불구하고 치과에서는 시술재료원가 절감을 위해 오트클레이브를 이용하여 소독한 후 재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한 환자에게 사용된 식립용 드릴을 다른환자에게 재사용하게 될 경우 오트클레이브를 이용하여 소독을 한다 하더라도 DNA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간염될 우려가 있고, 소독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더욱이 위생안전에 큰 문제점이 발생될 소지가 많았다.
KR (B1) 10-1628648 (2016. 06. 08) KR (A) 10-2014-0132474 (2014. 11. 18)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임플란트 시술시 치조골에 인공치근의 식립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식립용 드릴을 한 환자에게 사용한 후 오토클레이브에 소독하는 과정에서 온도변화에 의한 변형 및 부식 촉진이 일어나는 구조를 구성하여 식립용 드릴의 재사용이 불가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의 위생안전성 및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키도록 하는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생크부와 하부 절삭부로 구성된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에 있어서, 상기 생크부는 상단에 걸림구가 돌출되고, 외주면 일부가 절개된 조립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조립부에 체결되어 온도간섭에 의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가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부재는 열팽창계수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금속박판으로 구성되어 한번 사용한 후 재사용을 위해 오토클레이브에 의한 멸균소독시 고열에 의한 가변부재가 팽창 변형되도록 하여 재사용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본체의 조립부는 외주면 일부가 절개된 절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으로 길이방향에 따른 체결구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구의 하단에 직교방향에 따른 걸림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변부재의 일면은 조립부의 절개면에 접하도록 하는 평탄면이 형성되고, 타면은 본체에 조립시 원형을 형성하도록 하는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으로 조립부의 체결구 및 걸림편이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체결홈 및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구와 걸림편이 교차되는 지점에 끼움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 및 걸림홈이 교차되는 지점으로 끼움구가 삽입되기 위한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에 의하면, 임플란트 시술시 치조근의 드릴링을 위해 사용되는 식립용 드릴의 생크부의 일부분을 온도에 의해 변형 및 부식이 촉진될 수 있도록 열팽창계수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가변부재를 조립 구성함으로써, 한 환자에게 사용한 후 재사용을 위해 멸균소독시 일정 온도에서 가변부재의 구조가 팽창 변형됨에 따라 재사용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임플란트 시술의 위생안정성 및 시술신뢰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의 분리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의 분리사시도
도 2a는 도 1a의 결합사시도
도 2b는 도 1b의 결합사시도
도 3a는 도 2a의 구성중 생크부의 확대단면도
도 3b는 도 2b의 구성중 생크부의 확대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실시예에 따른 하기 도면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좁게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하다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기술용어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은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치조골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식립용 드릴을 한 환자에게 사용한 후 재사용이 불가하도록 하여 위생안전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식립용 드릴의 생크부의 일부분을 온도에 의한 변형 및 부식을 촉진시키는 구조를 구성한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a는 도 1a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은 한 환자에게 사용한 후 재사용을 위해 오토클레이브(또는 고압증기멸균기)를 통해서 고압 증기에 의한 소독 및 멸균작업을 하게 되는 것을 이용하여 소독작업중에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생크부의 구조가 변형되도록 구성하여 재사용이 불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1a,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측 생크부(1)와 하부 절삭부(2)로 구성된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3)에 있어서,
상기 생크부(1)는 상단에 걸림구(11)가 돌출되고, 외주면 일부가 절개된 조립부(12)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조립부(12)에 체결되어 온도간섭에 의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가변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조립부(12)는 외주면 일부가 절개된 절개면(13)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13)으로 길이방향에 따른 체결구(14)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구(14)의 하단에 직교방향에 따른 걸림편(15)이 돌출되며, 상기 체결구(14)와 걸림편(15)이 교차되는 지점에 끼움구(1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변부재(20)의 일면은 조립부(12)의 절개면(13)에 접하도록 하는 평탄면(21)이 형성되고, 타면은 본체에 조립시 원형을 형성하도록 하는 호형(22)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21)으로 조립부(12)의 체결구(14) 및 걸림편(15)이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체결홈(23) 및 걸림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3) 및 걸림홈(24)이 교차되는 지점으로 끼움구(16)가 삽입되기 위한 끼움홈(2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14)와 걸림편(15) 및 체결홈(23)과 걸림홈(24)의 구조는 ㅗ 또는 T 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변부재(20)는 열팽창계수가 높은 구리 또는 알류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박판으로 구성함으로써, 고열에 의한 온도간섭의 발생시 형상변형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변부재(20)를 본체(10)에 일부 조립품으로 구성되도록 한 생크부(1)를 구성하게 되면, 식립용 드릴(3)을 한번 사용한 후 재사용을 위해 오토클레이브를 통해 고압 멸균작용시 고온의 온도간섭로 인해 가변부재(20)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핸드피스(H)에 생크부(1)의 결합이 불가능한 구조가 됨에 따라 식립용 드릴(3)의 재사용이 불가하게 된다.
즉, 오트클레이브에 의한 식립용 드릴(3)을 소독 작용시 오토클레이브의 최고 온도가 보통 130도 이상에 달함에 따라 온도변화는 약 105도이게 된다.
이에 금속박판으로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을 구성하게 되면,
구리의 경우 열팽창 계수는 16.5×10^-6으로 10mm의 구리판을 사용하면 온도변화에 의해 약 0.017325mm 증가하게 되고,
알루미늄의 경우 열팽창 계수는 23.03×10^-6으로 10mm의 알루미늄판을 사용하면 온도변화에 의해 약 0.0241815mm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b, 도 2b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체(10) 자체에 ㅗ 또는 T 형의 절개면(13)을 형성하고, 금속박판으로 된 가변부재(20)를 절개면(13)으로 삽입하여 체결하도록 구성하여 조립부(12)의 구조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3)의 작용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H)에 체결하여 사용되는 식립용 드릴(3)의 생크부(1)를 본체(10)와 본체(10)에 조립되는 가변부재(20)로 분리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에 가변부재(20)를 조립해야만 핸드피스(H)에 결합이 가능함과 동시에 정상적인 드릴링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와 가변부재(20)는 ㅗ 또는 T 형으로 이루어진 본체(10)의 체결구(14)와 걸림편(15)이 가변부재(20)의 체결홈(23)과 걸림홈(24)으로 끼움됨과 아울러 교차부위에 형성된 끼움구(16)와 끼움홈(25)의 체결구조로 견고한 조립한 상태로 핸드피스에 체결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3)의 주요한 작용은 한 환자에게 이미 사용된 후 재사용을 위해 종래와 같이 오토클레이브를 통해 고압 멸균 소독을 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팽창계수가 높은 소재의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가변부재(20)가 형상변형이 일어나게 되어 핸드피스에 결합이 불가하도록 하여 재사용을 방지하게 된다.
즉, 오토클레이브의 고압 멸균 소독시 고열에서 가변부재(20)가 일정온도에서 불규칙적인 형상으로 팽창되면서 변형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됨에 따라 핸드피스(H)에 결합이 불가능하게 되며, 설령 결합이 가능하더라도 핸드피스(H)와 생크부(1) 사이에 팽창 변형된 가변부재에 의해 유격을 발생시키게 되어 안전한 드릴링이 불가능하게 된다. 만약 유격이 발생된 상태로 사용시에는 잇몸을 비롯한 치조골에 큰 부상을 일으키는 등의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전혀 불가할 수 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생크부(1)를 구성하는 본체(10)와 가변부재(20)가 이종금속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종금속 간에 접촉 부식이 유도함으로써, 오토클레이브 내부의 고온다습한 환경에 한번 노출되게 되면 부식의 속도가 급격히 촉진됨에 따라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교체 사용을 자동 권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3)은 가변부재(20)에 의한 소독 자체가 불가하도록 하여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의 위생안전성 및 환자에게 신뢰성을 높힐 수 있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생크부 2:절삭부 3:식립용 드릴
10:본체 11:걸림구 12:조립부
13:절개면 14:체결구 15:걸림편
16:끼움구
20:가변부재 21:평탄면 22:호형
23:체결홈 24:걸림홈 25:끼움홈
H:핸드피스

Claims (3)

  1. 생크부(1)와 하부 절삭부(2)로 구성된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3)에 있어서,
    상기 생크부(1)는 상단에 걸림구(11)가 돌출되고, 외주면 일부가 절개된 조립부(12)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조립부(12)에 체결되어 온도간섭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가변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부재(20)는 열팽창계수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금속박판으로 구성되어 한번 사용한 후 재사용을 위해 오토클레이브에 의한 멸균소독시 고열에 의한 가변부재(20)가 팽창 변형되도록 하여 재사용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10)의 조립부(12)는 외주면 일부가 절개된 절개면(13)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13)으로 길이방향에 따른 체결구(14)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구(14)의 하단에 직교방향에 따라 걸림편(15)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변부재(20)의 일면은 조립부(12)의 절개면(13)에 접하도록 하는 평탄면(21)이 형성되고, 타면은 본체(10)에 조립시 원형을 형성하도록 하는 호형(22)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21)으로 조립부(12)의 체결구(14) 및 걸림편(15)이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체결홈(23) 및 걸림홈(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14)와 걸림편(15)이 교차되는 지점에 끼움구(1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3) 및 걸림홈(24)이 교차되는 지점으로 끼움구(16)가 삽입되기 위한 끼움홈(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
KR1020170056506A 2017-05-02 2017-05-02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 KR101747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506A KR101747384B1 (ko) 2017-05-02 2017-05-02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506A KR101747384B1 (ko) 2017-05-02 2017-05-02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384B1 true KR101747384B1 (ko) 2017-06-14

Family

ID=5921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506A KR101747384B1 (ko) 2017-05-02 2017-05-02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3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287B1 (ko) 2007-08-07 2009-04-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
KR101092313B1 (ko) 2009-10-12 2011-12-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192808B1 (ko) 2012-03-30 2012-10-26 황적희 이종 구조를 갖는 치과용 절삭기구
JP5468002B2 (ja) 2007-08-30 2014-04-09 アセニック・デンタ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使い捨て式歯科ハンドピ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287B1 (ko) 2007-08-07 2009-04-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
JP5468002B2 (ja) 2007-08-30 2014-04-09 アセニック・デンタ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使い捨て式歯科ハンドピース
KR101092313B1 (ko) 2009-10-12 2011-12-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192808B1 (ko) 2012-03-30 2012-10-26 황적희 이종 구조를 갖는 치과용 절삭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0297B2 (en) Drill bit assembly for bone tissue including depth limiting feature
ES2881468T3 (es) Posicionamiento e instalación de dispositivos de taladrado quirúrgicos y dispositivos y sistemas relacionados
ES2548761T3 (es) Guía de fresa dental con un tope
EP2572671A1 (en) Stopper ring for a bone drill
DE59912349D1 (de) Medizinisches oder dentalmedizinisches Instrument zur spanabhebenden Bearbeitung von Körpergewebe und Werkzeug für ein solches Instrument
CA2405093A1 (en) Implant
JP2009028191A (ja) 切削具用ストッパー
JP5491180B2 (ja) 医療デバイス
JP5951805B2 (ja) 医療分野のためのラチェット、ラチェットを製造する方法、及びトルク伝達システム
KR101628648B1 (ko) 착탈식 의료용 절삭기구
US10383639B2 (en) Detachable medical cutting tool
KR10171161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747384B1 (ko) 재사용이 방지된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
JP6917090B2 (ja) 医療用デバイス
US11653936B2 (en) Surgical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 fusing bones
EP2907473B1 (en) 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BR112014028001B1 (pt) Suporte para um instrumento médico, especialmente instrumento cirúrgico
KR200424976Y1 (ko) 치과 임프란트 시술용 드릴 확장기구
US20200000549A1 (en) Dental surgical stent
KR101471298B1 (ko) 임플란트 스케일러팁
KR20160073749A (ko) 지대주에 형성된 수직절개부에 곡면절개부를 형성한 치과용 임플란트
EP2605721A2 (en) Anchoring element and method
US20200297463A1 (en) Implantable abutments, abutment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KR101628647B1 (ko) 의료용 절삭기구
DE69601931D1 (de) Zahnärztliches feil/ausräumungs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