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148B1 -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148B1
KR101747148B1 KR1020150011181A KR20150011181A KR101747148B1 KR 101747148 B1 KR101747148 B1 KR 101747148B1 KR 1020150011181 A KR1020150011181 A KR 1020150011181A KR 20150011181 A KR20150011181 A KR 20150011181A KR 101747148 B1 KR101747148 B1 KR 101747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d
timer
heating
timing switch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481A (ko
Inventor
박광희
Original Assignee
박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희 filed Critical 박광희
Priority to KR102015001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1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06Ovens heated by radiators
    • A21B1/22Ovens heated by radiators by electric radi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사각의 본체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빵틀과; 상기 빵틀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가 빵을 베이킹하는 시간을 알려주는 타이머와; 빵틀이 펼쳐졌을 때 타이머를 리셋시키고 겹쳐졌을 때 타이머를 스타트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는, 각각의 빵틀 하부에, 빵틀의 무게에 의해 온오프되어 타이머의 작동을 개별 제어하는 타이밍스위치를 적용하여 빵틀의 가열시간을 초단위로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생산되는 빵의 베이킹 정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타이밍스위치가 빵틀의 무게에 의해 물리적으로 눌리는 구조를 가지므로, 빵틀을 개방하거나 겹칠 때 타이밍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조작되어 스위치를 따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이 없어 그만큼 사용이 편리하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그 사실을 음향이나 램프를 통해 시각적으로 알려주므로, 사용자는 음향이나 램프를 보고 해당 빵틀을 개방하거나 뒤집어, 빵을 꺼낼 수 있어 초보자도 쉽게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Electric type bread baking device}
본 발명은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붕어빵이나 국화빵은 겨울철 길거리 노점에서 판매되는 오래된 간식거리로서, 붕어나 국화의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빵틀에 밀가루반죽과 팥소 등을 넣고 가열하여 만들어진다. 근래에는 팥소 이외에 고구마나 슈크림 또는 햄이나 베이컨을 넣은 것들도 볼 수 있다.
한편, 우리가 흔히 접하는, 말하자면, 붕어빵기계는, 주로 가스가열 방식이다. 즉 빵틀의 하부에 가스불을 위치시켜 가스의 연소열로 빵틀을 가열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가스불 방식은 불꽃의 세기로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므로, 빵틀을 가열하는 시간을 정확하게 지키지 않으면 재료가 타거나 익지 않을 수 있어 숙련된 경험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불편을 해소해 보고자 전기가열 방식의 붕어빵구이기(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351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붕어빵구이기는 빵틀의 내부에 전기 히터를 내장하여 히터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재료를 굽는 구조를 가지며, 온도센서를 통해 원하는 가열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붕어빵 구이기는 전기 히터로 빵틀을 가열하는 방식으로서 가열온도를 쉽게 설정할 수 있기는 하지만 가열시간 까지는 조절할 수 없었다. 이를테면 빵틀의 내부에 재료를 넣고 전기스위치를 넣으면 원하는 온도로 빵틀을 가열할 수 는 있지만, 가열시간을 필요에 맞추어 제어할 수 는 없는 것이다. 이는, 빵틀로 들어가는 총열량의 제어가 여전히 부정확 하다는 의미이다.
가열시간이 맞지 않으면, 온도가 적당하더라도 재료가 설익거나 타게 된다. 적당한 온도라 하더라도, 어디까지나 빵을 구울 수 있는 온도이므로 계속 놔두면 재료가 당연히 타버린다.
예컨대 180℃의 온도로 세팅한 경우, 빵틀이 180℃를 유지는 하지만 사용자가 스위치를 오프시키지 않으면 어느 순간 빵틀 내부의 재료는 타버린다. 이와 반대로 스위치를 너무 일찍 차단하면 재료가 설익는다.
이와같이 종래의 붕어빵구이기는 전기를 이용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가열시간의 조절은 여전히 사용자의 경험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재료를 넣고 빵틀을 덮은 후 몇 분 몇 초 후 빵틀을 열어야 하는지를 이론적으로 알고 있다 하더라도, 가령 손님이 밀려드는 상황에서 그 시간에 맞추어 정확히 빵틀을 개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빵틀이 한 두 개가 아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각각의 빵틀에 몇 분 몇 초 전에 재료를 넣고 덮었는지를 기억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타이머를 가져다 놓는다 하더라도, 빵틀이 10개일 경우 10개의 타이머를 가져다 놓고 각각의 타이머를 셋팅 및 리셋팅 하는 것도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결국, 상기한 전기식 붕어빵구이기는 전기를 이용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가열방식만 다를 뿐 사용자의 경험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각각의 빵틀 하부에, 빵틀의 무게에 의해 온오프되어 타이머의 작동을 개별 제어하는 타이밍스위치를 적용하여 빵틀의 가열시간을 초단위로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생산되는 빵의 베이킹 정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이밍스위치가 빵틀의 무게에 의해 물리적으로 눌리는 구조를 가지므로, 빵틀을 개방하거나 겹칠 때 타이밍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조작되어 스위치를 따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이 없어 그만큼 사용이 편리한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그 사실을 음향이나 램프를 통해 시각적으로 알려주므로, 사용자는 음향이나 램프를 보고 해당 빵틀을 개방하거나 뒤집어, 빵을 꺼낼 수 있어 초보자도 쉽게 사용 가능한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는, 사각의 벽부를 가지며 상부로 개방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벽부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그 사이에 재료가 투입된 상태로 겹쳐져 가열되는 빵틀과; 상기 빵틀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빵틀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가 빵을 베이킹하는 시간을 알려주는 타이머와; 상기 빵틀의 하부에 위치하며 빵틀의 무게에 의해 눌려 상기 타이머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빵틀이 펼쳐졌을 때 타이머를 리셋시키고 겹쳐졌을 때 타이머를 스타트시키는 스위칭부와; 상기 타이머와 연동하여,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할 때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빵틀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사용자에 의해 펼쳐지거나 겹쳐지는 좌빵틀 및 우빵틀로 이루어지고, 힌지부에 지지되어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향 탄성 돌출되고 빵틀의 무게가 가해질 때 눌려 하강하는 것으로서, 상기 좌빵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타이밍스위치와, 우빵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타이밍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타이밍스위치가 동시에 눌린 상태에서 타이머를 리셋시키고, 제 1타이밍스위치 또는 제 2타이밍스위치 중 어느 하나만 올라갈 때 타이머를 스타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신호발생부는;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할 때 점멸하는 신호램프, 또는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할 때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향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좌빵틀 및 우빵틀에 각각 밀착 고정되는 히터판과, 상기 히터판을 밀폐 수용하는 밀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각 히터판의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는, 각각의 빵틀 하부에, 빵틀의 무게에 의해 온오프되어 타이머의 작동을 개별 제어하는 타이밍스위치를 적용하여 빵틀의 가열시간을 초단위로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생산되는 빵의 베이킹 정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이밍스위치가 빵틀의 무게에 의해 물리적으로 눌리는 구조를 가지므로, 빵틀을 개방하거나 겹칠 때 타이밍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조작되어 스위치를 따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이 없어 그만큼 사용이 편리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그 사실을 음향이나 램프를 통해 시각적으로 알려주므로, 사용자는 음향이나 램프를 보고 해당 빵틀을 개방하거나 뒤집어, 빵을 꺼낼 수 있어 초보자도 쉽게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베이킹장치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베이킹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베이킹장치의 작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베이킹장치에서의 조작패널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1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베이킹장치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11)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해 빵틀을 가열하여 빵을 굽는 장치로서, 특히 빵틀의 무게에 눌려 조작되는 제 1,2타이밍스위치(39a,39b)를 갖는다.
상기 제 1,2타이밍스위치(39a,39b)는 후술할 타이머(23)를 스타트 또는 리셋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며, 빵틀에 눌리거나 눌리지 않음으로써 즉, 빵틀을 펼치거나 겹침에 의해 타이머(23)의 제어가 자동적으로 구현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의 빵은 붕어빵이나 국화빵 등을 포함하며 더 나아가 도넛형상의 빵도 포함되는 개념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킹장치(11)는, 네 벽부(15a)를 가져 사각틀의 형태를 취하는 케이싱(15)과, 상기 케이싱(15)의 상부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세 세트의 빵틀(31)과, 상기 각 빵틀(31)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힌지부(45)와, 상기 빵틀(31)을 가열하는 가열부(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15)의 전면에는, 음향발생부(19)와 차단기(29) 및 다수의 타이머(23)와 온도조절부(21a,21b)와 신호램프(25)와 온오프스위치(27)가 배치된다. 상기 타이머(23)와 온도조절부(21a,21b)와 온오프스위치(27)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이다. 즉, 타이머(23)를 통해 빵을 굽는 시간을 세팅할 수 있고, 온도조절부(21a,21b)를 통해 가열온도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먼저, 상기 케이싱(15)은 상부로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테이블(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테이블(13)은 케이싱(15)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작업대이다. 상기 테이블(13)의 높이는 인체공학적 편리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된다.
상기 케이싱(15)의 벽부(15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에서 볼 때 직사각틀의 형태를 취한다. 케이싱(15)의 사이즈도 경우에 따라, 가령 빵틀(31)의 개수나 크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힌지부(45)는 벽부(15a)의 상단부에 고정되되, 케이싱(15)의 내부공간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 벽부(15a)에 위치하며 상호 대향한다. 본 실시예에서 3세트의 빵틀이 적용되므로, 일측벽부에 3개의 힌지부(45)가 고정되고 반대편 벽부에 3개의 힌지부(45)가 구비됨은 당연하다. 각 힌지부(45) 자체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한편, 상기 힌지부(45)가 고정되어 있는 벽부(15a) 중 일측 벽부(15a)의 내측에는 스위치설치부(41)가 위치하고, 상기 스위치설치부(41)에는 다수의 제 1,2타이밍스위치(39a,39b)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2타이밍스위치(39a,39b)는 세 개 세트가 구비된다. 즉 각각의 빵틀(31) 하부에 제 1,2타이밍스위치(39a,39b)가 한 세트씩 위치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2타이밍스위치(39a,39b) 자체는 리미트스위치로서, 빵틀(31)의 무게에 의해 눌려 내려가거나,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돌출되는 기계적 구조를 갖는다. 즉 평상시(빵틀에 눌리지 않은 때)에는 자체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상부로 상향 돌출된 상태로 대기하다가, 빵틀(31)에 눌릴 때 빵틀의 무게에 의해 하부로 눌려 내려가는 것이다.
제 1,2타이밍스위치(39a,39b)는, 타이머(23)로 전달되는 신호전력을 차단하거나 통전시켜, 타이머(23)를 리셋시키거나 스타트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테면, 제 1,2타이밍스위치(39a,39b)가 모두 눌린 상태에서 타이머(23)를 리셋시키고, 둘 중 하나의 타이밍스위치(39a 또는 39b)가 올라가는 순간, 타이머를 스타트 시키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빵틀(31)은 좌빵틀(31a)과 우빵틀(31b)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타이밍스위치(39a)는 좌빵틀(31a)에, 제 2타이밍스위치(39b)는 우빵틀(31b)에 눌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빵틀(31)을 완전히 펼치면, 제 1,2타이밍스위치(39a,39b)가 동시에 눌리고, 제 1빵틀(31a)이나 제 2빵틀(31b)을 들어 올리면 둘 중 하나의 타이밍스위치(39a,39b)만 올라간다.
결국, 빵틀(31)을 펼치면 타이머가 리셋되고, 펼쳤던 빵틀 중 좌빵틀이나 우빵틀을 상향 회동하면 그 순간 타이머가 스타트 하는 것이다. 타이머에 입력되는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관리된다.
상기 케이싱(15)의 내부에는 받이판(도 4의 4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받이판(43)은 빵틀(31)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이나 재료 등을 받아내는 스텐레스스틸판이다.
한편, 상기 빵틀(31)은, 그 양단부가 상기 힌지부(45)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로 구성된다. 상기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은 힌지부(34)의 좌우에 대칭을 이루며 벽부(15a)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수평을 이룬다.
또한 상기 좌빵틀(31a)은 샤프트(47)를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여 우빵틀(31b)의 상면부에 겹쳐질 수 있고, 우빵틀(31b)은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하여 좌빵틀(31a)의 상부에 겹쳐질 수 있다. 빵을 굽기 위하여 좌빵틀(31a)을 들어 올릴지 우빵틀(31b)을 들어올릴지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샤프트(47)는 힌지부에 고정된 상태로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의 내측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성형홈(31d)이 형성된다. 상기 성형홈(31d)은 붕어모양 국화모양 도넛모양 등의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당연히, 붕어모양일 경우 붕어빵이 만들어지고, 국화모양일 경우 국화빵이 구워지고, 도넛모양으로 도넛을 만들 수 있다.
도면부호 31c는 손잡이이다. 상기 손잡이(31c)는 각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에 그 단부가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사용자가 빵틀(31)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게 한다.
상기 각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의 외측면에는 가열부(33)가 고정된다. 상기 가열부(33)는, 좌빵틀(31a) 또는 우빵틀(31b)에 면접 밀착하는 히터판(도 3의 33b)과, 상기 히터판(33b)을 밀폐 수용하는 밀폐커버(33a)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33)는 빵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두께를 갖는 육면체의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도 4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같이, 제 1,2타이밍스위치(39a,39b)가 밀폐커버(33a)의 귀퉁이부에 의해 확실하게 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가열부(33)에는 어뎁터(35)가 구비된다. 상기 어뎁터(35)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전력선과 히터판(33b)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37는 전력선호스이다. 상기 전력선호스(37)는 전력선(미도시)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스텐레스스틸제 주름관이다. 전력선은 전력선호스(37)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보호된다. 상기 전력선호스(37)의 외부에 합성수지호스를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싱(15)의 전면에는, 타이머(23)와 온도조절부(21a,21b)와 온오프스위치(27)와 신호램프(25)와 음향발생부(19)를 포함하는 제어부(1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7)에 있어서, 온도조절부(21a,21b)는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의 온도를 세팅하기 위한 것이고, 타이머(23)는 빵틀(31)을 가열하는 시간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또한 온오프스위치(27)는 상기 가열부(33)로 연결되는 전력공급회로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상기 온오프스위치(27)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된다.
아울러 상기 신호램프(25)는 타이머(23)와 연동하는 점멸램프로서, 타이머(23)에서 입력된 시간이 도래하면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는 경고등이다
도 5에 상기 타이머(23)와 온도조절부(21a,21b)와 온오프스위치(27)와 신호램프(25)를 보다 자세히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타이머(23)에는 디스플레이부(23a)와 조작부(23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23b)에는, 원하는 가열시간을 입력하는 다수의 버튼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3b)를 통해 빵을 굽기 위한 가열시간을 입력 및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세팅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용은 디스플레이부(23a)를 통해 출력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23a)에는 타이머(23)의 작동순간 시작하여 남아있는 시간이 디지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가령 50초를 입력하였을 때, 타이머(23)가 작동하는 순간, 숫자 50이 나타나고 그로부터 1초에 1씩 카운트 다운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같이, 타이머(23)는, 제 1타이밍스위치(39a) 또는 제 2타이밍스위치(39b)에 가해지던 하중이 제거되는 순간 작동하기 시작한다. 즉, (좌빵틀이던 우빵틀이던) 빵틀이 들어 올려지는 순간 카운트다운을 시작하는 것이다. 물론 초기값은 조작부(23b)를 통해 미리 세팅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부(21a,21b)는, 좌우빵틀(31a,31b)의 출력온도를 입력함과 아울러 사용 중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도면상 타이머(23)의 좌측에 위치한 온도조절부(21a)는 좌빵틀(31a)과 연결되어 좌빵틀(31a)의 운전에 관여하고, 타이머(23)의 우측에 위치한 온도조절부(21b)는 우빵틀(31b)과 접속되어 우빵틀(31b)의 운전에 관여한다.
상기 각 온도조절부(21a,21b)에는, 온도표시부(21d)와 조작부(21c)가 위치한다. 상기 조작부(21c)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는 조작부(21c)를 통해 빵틀(31)의 목표 가열온도를 입력한다.
온도표시부(21d)는 조작부(21c)에 의해 입력되는 온도숫자가 나타남은 물론, 베이킹장치(11)의 작동 중의 빵틀(31)의 온도를 계속적으로 나타내 보인다. 상기 온도표시부(21d)를 통해 현재 온도가 제대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어부(17)에 음향발생부(19)가 더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는 신호램프(25)와 동시에 작동하여, 부저음이나 기타 경고음을 출력한다. 즉, 상기 타이머(23)에서 설정한 시간이 도래했을 때,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가열시간이 다 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음향발생부(19)에서 출력된 경고음을 듣고 빵틀(31)을 펼쳐 알맞게 구워진 빵을 꺼낸다. 빵틀(31)을 펼침에 따라 제 1,2타이밍스위치(39a,39b)가 리셋됨은 물론이다.
도면부호 29는 차단기이다. 상기 차단기(29)는 과부하시 가열부(33)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11)의 평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에 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호 대향하는 벽부(15a)의 상단부에 세 개씩의 힌지부(45)가 고정되어 있고, 각 힌지부(45)의 사이에 빵틀(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빵틀(31)은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겹쳐진 상태로 (좌빵틀(31a)과 우빵틀(31b) 사이로 투입된) 재료를 굽는다. 상기 빵틀(31)은 온도조절부(21a,21b)를 통해 설정한 온도를 계속적으로 유지한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베이킹장치(11)의 작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킹장치(11)를 이용하여 빵을 굽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온도조절부(21a,21b)를 통해 베이킹 온도를 세팅하고, 타이머(23)로는 베이킹 시간을 입력한 후, 가열부(33)에 전력을 공급하여 빵틀을 가열한다.
상기 과정이 완료되었다면, 좌우빵틀(31a,31b)을 개방한 상태에서 빵틀(31a,31b)에 미리 준비된 재료를 올린다. 이어서 좌우빵틀(31a,31b)에 재료가 채워졌다면 좌빵틀(31a)을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시켜 우빵틀(31b)에 겹치거나, 우빵틀(31b)을 화살표 b방향으로 올려 좌빵틀(31a)에 올린다.
이와같이 빵틀을 움직이면 제 1,2타이밍스위치(39a,39b) 중 하나의 타이밍스위치(39a,39b)가 상부로 올라가고, 그 순간 타이머(23)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이 때 작업자는 타이머(23)의 디스플레이부(23a)를 통해 잔여 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마침내 타이머에 설정된 가열시간이 만료되었다면, 해당 빵틀(31)의 하부에 위치한 신호램프(25)가 점등하고, 이와 더불어 음향발생부(19)로부터 경고음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상기 경고음을 듣고 몇 번째 신호램프(25)가 점등하는지 확인한 후, 점등 신호램프(25) 상부의 빵틀(31)을 개방하고 베이킹이 완료된 빵을 꺼낸다. 빵틀(31)을 개방하면 제 1,2타이밍스위치(39a,39b)가 모두 눌려, 타이머(23)가 리셋된다.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서 빵의 베이킹을 연속적으로 수행해 나간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베이킹장치 13:테이블 15:케이싱
15a:벽부 17:제어부 19:음향발생부
21a,21b:온도조절부 21c:조작부 21d:온도표시부
23:타이머 23a:디스플레이부 23b:조작부
25:신호램프 27:온오프스위치 29:차단기
31:빵틀 31a:좌빵틀 31b:우빵틀
31c:손잡이 31d:성형홈 33:가열부
33a:밀폐커버 33b:히터판 35:어뎁터
37:전력선호스 39a:제 1타이밍스위치 39b:제 2타이밍스위치
41:스위치설치부 43:받이판 45:힌지부
47:샤프트

Claims (5)

  1. 사각의 벽부를 가지며 상부로 개방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벽부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그 사이에 재료가 투입된 상태로 겹쳐져 가열되는 빵틀과;
    상기 빵틀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빵틀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가 빵을 베이킹하는 시간을 알려주는 타이머와;
    상기 빵틀의 하부에 위치하며 빵틀의 무게에 의해 눌려 상기 타이머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빵틀이 펼쳐졌을 때 타이머를 리셋시키고 겹쳐졌을 때 타이머를 스타트시키는 스위칭부와;
    상기 타이머와 연동하여,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할 때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빵틀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사용자에 의해 펼쳐지거나 겹쳐지는 좌빵틀 및 우빵틀로 이루어지고, 힌지부에 지지되어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향 탄성 돌출되고 빵틀의 무게가 가해질 때 눌려 하강하는 것으로서, 상기 좌빵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타이밍스위치와, 우빵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타이밍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타이밍스위치가 동시에 눌린 상태에서 타이머를 리셋시키고, 제 1타이밍스위치 또는 제 2타이밍스위치 중 어느 하나만 올라갈 때 타이머를 스타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할 때 점멸하는 신호램프, 또는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할 때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향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좌빵틀 및 우빵틀에 각각 밀착 고정되는 히터판과, 상기 히터판을 밀폐 수용하는 밀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각 히터판의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
KR1020150011181A 2015-01-23 2015-01-23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 KR101747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81A KR101747148B1 (ko) 2015-01-23 2015-01-23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81A KR101747148B1 (ko) 2015-01-23 2015-01-23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481A KR20160091481A (ko) 2016-08-03
KR101747148B1 true KR101747148B1 (ko) 2017-06-16

Family

ID=5670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181A KR101747148B1 (ko) 2015-01-23 2015-01-23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1345A (zh) * 2020-09-18 2020-12-04 日照民群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烤鱼片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693Y1 (ko) 2000-10-27 2001-03-15 김영기 설탕과자 성형수단 및 건어포 구이수단을 구비한 음식물가공장치
KR200227114Y1 (ko) 2001-01-19 2001-06-15 최근수 자동 오징어 전기구이 장치
JP2005137726A (ja) * 2003-11-07 2005-06-02 Tks:Kk 両面焼用グリドル
JP2006102009A (ja) 2004-10-01 2006-04-20 Owada Seisakusho:Kk 食品焼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693Y1 (ko) 2000-10-27 2001-03-15 김영기 설탕과자 성형수단 및 건어포 구이수단을 구비한 음식물가공장치
KR200227114Y1 (ko) 2001-01-19 2001-06-15 최근수 자동 오징어 전기구이 장치
JP2005137726A (ja) * 2003-11-07 2005-06-02 Tks:Kk 両面焼用グリドル
JP2006102009A (ja) 2004-10-01 2006-04-20 Owada Seisakusho:Kk 食品焼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481A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23380A1 (en) Horizontal toasting device having relatively small top heating means
CN101612002A (zh) 烹饪器具
US20060272511A1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having interchangeable cooking inserts and method for using same
ES2212108T3 (es) Dispositivo controlador para proporcionar la temperatura de coccion instantanea.
KR101747148B1 (ko)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
US20160198898A1 (en) Pancake baker and method
AU2015211116A1 (en) Cooking appliance with baking plate having embedded heating element
CA2638222C (fr) Support de cuisson de pain et appareil associe
KR101747149B1 (ko) 전기식 제빵장치
KR20080005177U (ko) 호두과자제빵기
JP6257375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US4025299A (en) Baking oven
JP6417087B2 (ja) 加熱調理器
US10750903B2 (en) Baking toaster apparatus and method
GB2263764A (en) A pizza oven
US20160166106A1 (en) Vertical grill
KR101804887B1 (ko) 오븐 제빵기
JP2014211262A (ja) コンロ
WO2020218987A1 (en) A waffle maker
TW201615096A (zh) 烘烤裝置
US10420348B1 (en) Appliance for controlled rising of dough
KR20110005351U (ko) 붕어빵 구이기
KR101655252B1 (ko)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 가열기
KR200370238Y1 (ko) 호떡 구이장치
KR20060025092A (ko) 호떡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