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908B1 - 애견 감정 표현 장치 - Google Patents

애견 감정 표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908B1
KR101746908B1 KR1020140169033A KR20140169033A KR101746908B1 KR 101746908 B1 KR101746908 B1 KR 101746908B1 KR 1020140169033 A KR1020140169033 A KR 1020140169033A KR 20140169033 A KR20140169033 A KR 20140169033A KR 101746908 B1 KR101746908 B1 KR 101746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og
determination unit
voice output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378A (ko
Inventor
고재필
최예은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9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애견 감정 표현 장치는, 애견의 동작 정보에 따라 애견 감정으로 추정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애견 감정 표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견의 신발이나 양말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 및 압력 스위치를 포함하는 동작 센서, 및 상기 동작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정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사람의 음성을 감정 변화에 대응되게 출력함으로써 애견을 진정한 반려 동물로 느낄 수 있다.

Description

애견 감정 표현 장치 {Devices for providing emotion expressing of pet dog}
본 발명은, 애견 감정 표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애견에 착용 가능한 감정 표현 장치를 통하여 애견의 감정으로 추정되는 대체 음성을 녹음 저장하고, 애견의 감정 여부에 따라 이에 부합하는 음성을 출력함에 있어서, 애견의 감정은 발 주변에 착용 가능한 진동 스위치, 온/오프 스위치, 및/또는 압력 스위치를 이용하여 발 디딤 신호를 측정하고 발 디딤 동작 정보에 따라 제스처를 인식하며, 또는 애견의 감정은 꼬리에 착용 가능한 흔들림 스위치 및/또는 휨 스위치를 이용하여 꼬리 흔들림 및/또는 휨 신호를 측정하고 꼬리 동작 정보에 따라 제스처를 인식하며, 또는 애견의 감정은 머리 주변에 착용 가능한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 신호를 측정하고 짖는 소리 정보에 따라 제스처를 인식하는 애견 감정 표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견 인구의 증가와 함께 애견에 대한 관심 증폭으로 인해 한국의 애견 분야가 급속하게 성장, 발전하고 있다.
애견을 반려(伴侶)함이 인간에게 인간 종과는 다른 생명을 키우고 부딪치는 생생한 기쁨과 즐거움을 준다는 사실에 깊이 공감하고 동참하는 이들이 늘어가는 추세 속에서, 이제 애견은 단순한 애완동물을 넘어서서 키우는 사람들에게 가족처럼 소중한 존재가 되고 있다.
이처럼 "전통적 사고"에서의 애견관이 애견인구의 급증과 함께 "현대적 애견관"으로 변화되고 있다. 집을 지키는 개의 개념에서 "희노애락"을 같이 나누는 가족의 일원이 되어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견은 몸동작이나 짖어대는 것과 같은 제스처로만 사람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만약, 몸동작이나 짖어대는 소리를 사람의 소리로 추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면, 애견을 진정한 반려동물로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공개특허 10-2013-01030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애견의 제스처를 통하여 애견의 감정을 파악함으로써, 애견의 감정으로 추정되는 사람의 음성 등을 대신 출력하는 애견 감정 표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애견 감정 표현 장치는 애견 감정을 표현할지 말지를 판단하는 음성 출력 판단부, 상기 애견 감정으로 추정되는 음성이 녹음 저장 출력되는 음성 녹음 출력부, 및 상기 음성의 출력 명령을 지시하거나 혹은 정지하는 음성 출력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애견 감정 표현 장치는, 애견의 동작 정보에 따라 애견 감정으로 추정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애견 감정 표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견의 신발이나 양말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 및 압력 스위치를 포함하는 동작 센서, 및 상기 동작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정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애견 감정 표현 장치는 애견의 동작 정보에 따라 애견 감정으로 추정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애견 감정 표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견의 꼬리에 설치되는 흔들림 스위치 및 휨 스위치를 포함하는 동작 센서, 및 상기 동작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정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애견 감정 표현 장치는 애견의 동작 정보에 따라 애견 감정으로 추정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애견 감정 표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견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동작 센서, 및 상기 동작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정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애견의 생체 정보나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애견의 감정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추단하는 사람의 음성을 감정 변화에 대응되게 출력함으로써 애견을 진정한 반려 동물로 느끼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애견 감정 표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및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성 녹음 출력부의 시각 표시 사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애견 발 디딤 기반 제스처 인식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애견의 발 디딤 온/오프 스위치 및 압력 스위치의 사례를 나타내고, 도 6은 발 디딤 스위치의 동작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애견 꼬리 변화 기반 제스처 인식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애견 소리 변화 기반 제스처 인식을 나타내는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애견 감정 표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애견의 감정 표현 장치(100)는, 애견 몸에 고정할 수 있는 장치로서 애견이 처해있는 상황이나 감정에 적절하게 대응되는 사람의 음성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옷, 목걸이, 머리띠, 밴드, 양말, 신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정 표현 장치(100)는, 여러 가지 상황 등을 고려하여 애견의 감정을 표현할지 말지를 판단하여 애견의 감정으로 추정되는 사람의 음성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음성 출력 판단부(110), 애견의 감정 상태에 걸맞게 표현할 갖가지 음성을 녹음하거나 가져와서 출력하는 음성 녹음 출력부(120), 고려되어야 할 상황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상황에 따른 애견의 감정 상태를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음성 출력 명령을 지지하거나 혹은 정지하는 음성 출력 결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 판단부(110)는, 타이머(112), 애견 주변의 환경 센서(114), 및 애견의 행동 양태를 검출하는 동작 센서(116)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112)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서, 모든 애견에 적용될 수 있는 애견의 정보를 전형적으로 쉽게 표현할 수 있는 장치를 정의한다. 가령, 아침이 되면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아침 인사를 할 수 있다.
환경 센서(114)는, 해당 애견의 주변 조도, 습도, 혹은 온도 등의 변수를 고려할 수 있는 장치들을 정의한다. 가령, 조도 센서에 의하여 날이 밝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사람의 거동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면 사람을 깨우는 알람 기능(예컨대, “길동아 그만 일어나, 아침 밥 안주나?”)을 수행할 수 있다.
환경 센서(114)는, 기본적인 환경 변수 외에도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사물 또는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사물 정보부(114a) 혹은 사람 정보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사물 정보부(114a)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애견 감정 표현 장치(100)가 사물에 접근하거나 반대로 사물이 애견 감정 표현 장치(100)에 접근할 때 사물의 접근 정보를 알려준다. 통상 초음파 센서는 수십 센티미터 범위 내의 사물 등을 감지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비교적 높고 특히 감정 표현 장치(100)와 먼 거리에 있는 사물까지 음성 출력을 남발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하다.
사람 정보부(114b)는 IR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R 인체 감지 센서는 물체가 방사하는 적외선을 감지하고 그 적외선이 갖는 열에너지의 크기를 이용하여 물체의 유무 또는 물체까지의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가령, 사람의 체온은 소정 온도를 가지는 흑체(Blackbody)로 간주되고, 해당 온도에 상당하는 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IR 인체 감지 센서(가령, 초전센서: Pyroelectric Sensor)는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초음파 센서는 사람을 구별하지 못하고, IR 인체 감지 센서는 사람의 접근을 판단하기 때문에, 초음파 센서와 IR 인체 감지 센서를 오버랩하여 판단하면, 사람의 접근을 보다 정확하게 센싱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를 참조하면, 방향 정보에 의하여 산책 중에 있고, 애견이 산책 중 전방에 사람이 걸어오면 1차적으로 장애물로 판단하고, 장애물로부터 열이 감지되면 사람으로 인식하여 “비키바라 쫌”이라고 음성 출력하여 상대방과 소통할 수 있다.
동작 센서(116)는, 해당 애견의 심장박동, 초음파, 뇌파 등의 생체 정보부(116a)를 통해 애견의 감정 상태를 직접 감지하거나, 해당 애견의 활동에 따른 거리, 압력, 혹은 자이로스코프 등의 동작 정보부(116b)를 통해 애견의 감정 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장치들을 정의한다. 가령, 통상 울타리 안에서는 애견의 행동반경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진행 방향이 수시로 변경되는데 반하여, 산책과 같이 울타리 밖에서는 애견의 행동반경에 제한이 없어 진행 방향이 일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면 애견의 상황을 알 수 있다.
음성 녹음 출력부(120)는, 애견의 감정 상태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음성을 직접 녹음하거나 가공하거나 혹은 외부로부터 내려 받아 음성을 생성하는 음성 녹음기(122), 애견의 감정 상태에 따라 표현되는 음성을 분류하여 저장되는 음성 기록기(124), 및 음성 출력 결정부(130)의 결정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기(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 결정부(130)는, 타이머(112), 환경 센서(114), 및 동작 센서(11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애견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여 표현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음성 출력 선택기(132), 애견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고 비례하는 음성을 선택 조정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 조정기(134), 및 애견의 감정 상태를 더 이상 파악할 수 없거나 사용자 필요에 의하여 음성 출력을 정지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음성 출력 해제기(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녹음기(122) 및 음성 기록기(124)는 애견 감정 정도를 달리하는 음성 정도를 달리하여 녹음/저장하거나 혹은 환경 상태나 대응 장치의 대상에 따라 달리하여 녹음/저장하고, 이를 출력함에 있어서도 감정 상태에 따라 좀 더 과장되게 변화를 가지면서 출력되도록 음성 출력 조정기(134)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애견의 감정 상태를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표현 수단으로 애견의 감정으로 추정되는 사람의 음성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음성적 표현 수단에 제한될 이유는 없는 것이며, 시각적 표현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가령,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견 감정 표현 장치(100)의 음성 녹음 출력부(120)로 머리띠를 선택하는 경우, 머리띠에 토끼 귀 혹은 천사 날개 등을 결합하여 한 쌍의 토끼 귀 혹은 천사 날개 중 하나 혹은 두 개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애견의 감정(예컨대, 한 쪽 귀/날개가 접혀지고 펼쳐지거나 양 쪽 귀/날개가 번갈아 가면서 접혀지고 펼쳐지다가 양 쪽 귀/날개가 동시에 접혀지고 펼쳐지는 방식으로 감정 정도를 다양하게 출력할 수 있다.)을 표현할 수 있다.
그 밖에 LED 표지판을 이용하여 애견의 감정 상태를 문자나 도형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하, 애견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감정 표현하는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애견 발 디딤 기반 제스처 인식 실시예
애견은 감정 상태에 따라 일정한 발 디딤 변화를 가진다. 가령, 반가운 사람을 만나면 뒷발로 서서 스트레칭 하는 자세로 앞발을 기댄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정보부(116b)는, 스위치 혹은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해당 애견에게 신발을 신겨줄 때 신발 바닥에 스위치 혹은 압력 센서를 설치하여 동작을 센싱 할 수 있다. 혹은 신발 대신 발목에 착용 가능한 진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센서는 애견의 발동작에 따른 가속도를 이용할 수 있다.
동작 정보부(116b)는 신발이나 양말에 설치되는 동작 센서(116) 즉, 온/오프 스위치 및/또는 압력 스위치 내지는 발목에 설치되는 진동 스위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온/오프 스위치는 동작의 시작과 종료를 의미하는 온/오프 기능을 수행하고, 압력 스위치는 동작의 세기를 의미하는 정량 측정 기능을 수행한다. 온/오프 검출 기능 및 정량 검출 기능은 하나의 스위치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정보부(116b)는, 온/오프 스위치 및/또는 압력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발 디딤 신호를 양자화하는 발 디딤 변화 신호 측정기(10), 발 디딤 변화 신호의 양자화 정보를 분석하여 발 디딤 변화 패턴을 추출하는 발 디딤 변화 패턴 분석기(12), 및 전술한 발 디딤 변화 패턴의 특징을 제스처 학습의 결과로 저장되는 제스처 정보 DB(14)와 비교하여 애견의 감정을 추단하는 제스처 인식기(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앞발(왼발 및 오른발 모두)의 압력 스위치에서 전송되는 발 디딤 신호는 양발 모두 매우 작은데 비하여, 뒤발(왼발 및 오른발 모두)의 압력 스위치에서 전해오는 발 디딤 신호는 매우 큰 경우, 애견의 뒷발만이 땅에 지지된 채로 앞발이 사람 몸에 기대어 있는 동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애견이 반가운 주인을 만날 때 가지는 동작으로 해석된다. 이에 음성 녹음 출력부(120)는 “길동아 반가와.”라고 출력할 수 있다.
애견 꼬리 변화 기반 제스처 인식 실시예
애견 꼬리의 흔들림 정도에 따라 흥분 정도가 다른데, 흔들림이 강하면 우호적인 감정을 나타내고, 흔들림이 약하면 긴장이나 흥분된 감정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애견 꼬리의 뻣뻣한 정도에 따라 자신감 정도가 다른데, 똑바로 서 있으면 긴장하여 자신감이 없고, 구부려져 있으면 자신감이나 친근감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애견 꼬리의 위치에 지배 성향이 다른데, 높을수록 지배성이 강하고, 낮을수록 복종성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정보부(116b)는, 진동 및 휨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해당 애견의 꼬리에 진동 및/또는 휨 센서를 설치하여 동작을 센싱 할 수 있다.
동작 정보부(116b)는 꼬리에 설치되는 동작 센서(116) 즉, 흔들림 스위치(혹은 4방향 기울기 스위치) 및/또는 휨 스위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진동 스위치는 빠른 진동에 적합한 압전 가속도 방식이나 혹은 느린 진동에 적합한 외팔보 진동 방식 중에 하나가 선택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휨 스위치는 플렉서블 하게 제작되어 애견의 꼬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꼬리가 휘어지면 함께 휘어지도록 설계된다.
동작 정보부(116b)는, 흔들림 스위치 및/또는 휨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꼬리 변화 신호를 정량화하는 꼬리 변화 신호 측정기(20), 꼬리 변화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꼬리 변화 패턴을 추출하는 꼬리 변화 패턴 분석기(22), 및 전술한 꼬리 변화 패턴의 특징을 제스처 학습의 결과로 저장되는 제스처 정보 DB(24)와 비교하여 애견의 감정을 추단하는 제스처 인식기(26)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흔들림이 거의 없어 흔들림 스위치에서 분석되는 꼬리 패턴은 변화가 거의 없고, 뻣뻣하여 휨 스위치에서 분석되는 휨 패턴 역시 변화가 거의 없다면, 꼬리가 긴장하여 똑바로 내밀고 있는 것으로, 침입자에 대하여 경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음성 녹음 출력부(120)는 “가까이 오지마. 가까이 오면 물어버릴 거야.”라고 출력할 수 있다.
애견 소리 변화 기반 제스처 인식 실시예
애견이 짖는 음의 높낮이는 빠르기에 따라 감정 상태가 다른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애견의 저음은 지배성이나 위협을, 고음은 불안이나 공포를 나타낸다. 또한 짖는 소리가 빠를수록 흥분의 정도가 높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정보부(116b)는 음의 높낮이 혹은 음의 빠르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를 통해 애견이 짖어대는 소리를 녹음하고, 음의 높낮이 센서나 빠르기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을 센싱 할 수 있다.
동작 정보부(116b)는 입 주변에 설치되는 동작 센서(116) 즉, 음 높낮이 스위치 및/또는 음 빠르기 스위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음 높낮이 스위치는 저음과 고음을 구별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음 빠르기 스위치는 느린 음과 빠른 음을 구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동작 정보부(116b)는, 음 높낮이 스위치 및/또는 음 빠르기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소리 변화 신호를 정량화하는 소리 변화 신호 측정기(30), 소리 변화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소리 변화 패턴을 추출하는 소리 변화 패턴 분석기(32), 및 전술한 소리 변화 패턴의 특징을 제스처 학습의 결과로 저장되는 제스처 정보 DB(34)와 비교하여 애견의 감정을 추단하는 제스처 인식기(36)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음 높낮이 스위치를 통해서 짖는 소리가 고음으로 측정되고, 음 빠르기 스위치를 통해서 짖는 소리가 빠른 음으로 측정되었다면, 애견이 불안이나 공포 상태에서 흥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음성 녹음 출력부(120)는 “무섭다 나 좀 도와줘.”라고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작 센서(116)와 동작 정보부(116b)를 동일 장치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고, 두 개의 장치에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가령, 동작 센서(116)는 애견의 발, 꼬리, 혹은 머리에 설치되고, 동작 정보부(116a)는 목걸이나 옷의 형태로 몸에 착용되며, 둘 사이에는 유선 혹은 무선에 의하여 상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애견의 발 디딤 패턴, 꼬리 흔들림이나 휨 패턴, 및 짖는 소리 변화 패턴 등을 분석하여 제스처를 인식함으로써, 애견의 감정으로 추정되는 대체 음성을 출력해주는 구성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애견 감정 표현 장치
110: 음성 출력 판단부 112: 타이머
114: 환경 센서 114a: 사물 정보부
114b: 사람 정보부 116: 동작 센서
116a: 생체 정보부 116b: 동작 정보부
120: 음성 녹음 출력부 122: 음성 녹음기
124: 음성 기록기 126: 음성 출력기
130: 음성 출력 결정부 132: 음성 출력 선택기
134: 음성 출력 조정기 136: 음성 출력 해제기

Claims (10)

  1. 애견 감정을 표현할지 말지를 판단하는 음성 출력 판단부;
    상기 애견 감정으로 추정되는 음성이 녹음 저장 출력되는 음성 녹음 출력부; 및
    상기 음성의 출력 명령을 지시하거나 혹은 정지하는 음성 출력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 판단부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 결정부는, 상기 음성 출력 판단부에 의하여 상기 애견 감정을 표현하는 판단이 정해지면, 주기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음성의 출력을 명령하거나 상기 음성 출력 판단부에 의하여 상기 애견 감정을 표현하는 판단이 정해지더라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상기 음성 출력을 정지하는 것을 명령하고, 상기 음성 녹음 출력부에 의하여 녹음되는 상기 음성을 상기 애견 감정 상태에 대응되게 과장하여 출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 감정 표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 판단부는, 환경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센서는 사물 정보부 및 사람 정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물 정보부는, 초음파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사람 정보부는 IR 인체 감지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음성 출력 결정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에 의한 사물 접근과, 상기 IR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한 사람 접근을 공통적으로 판단할 때, 상기 음성 출력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 감정 표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 판단부는, 동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센서는 상기 애견의 심장박동을 통해 애견의 감정을 판단하는 생체 정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 감정 표현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169033A 2014-11-28 2014-11-28 애견 감정 표현 장치 KR101746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033A KR101746908B1 (ko) 2014-11-28 2014-11-28 애견 감정 표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033A KR101746908B1 (ko) 2014-11-28 2014-11-28 애견 감정 표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378A KR20160065378A (ko) 2016-06-09
KR101746908B1 true KR101746908B1 (ko) 2017-06-14

Family

ID=5613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033A KR101746908B1 (ko) 2014-11-28 2014-11-28 애견 감정 표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9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159A (ko) * 2018-12-10 2020-06-1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견에 대한 공격성 예측이 가능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42308B1 (ko) * 2020-03-17 2021-04-19 이대화 행동패턴 분석을 통한 반려동물 식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654A1 (ko) * 2017-02-08 2018-08-16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펫 동작 구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N108847254B (zh) * 2018-05-31 2020-11-10 广州粤创富科技有限公司 一种识别宠物情绪的方法、装置及宠物可穿戴设备
KR102172648B1 (ko) * 2019-04-03 2020-11-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인터랙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6212A (ja) * 2007-12-06 2009-06-2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ペットの尻尾振り計数システム、及びペットの感情推定システム
KR101397572B1 (ko) * 2012-11-27 2014-05-30 홍상민 반려동물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원거리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과의 원거리 커뮤니케이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646B1 (ko) 2012-03-09 2013-11-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감정표현이 가능한 영상/음성 기반 로봇용 안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6212A (ja) * 2007-12-06 2009-06-2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ペットの尻尾振り計数システム、及びペットの感情推定システム
KR101397572B1 (ko) * 2012-11-27 2014-05-30 홍상민 반려동물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원거리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과의 원거리 커뮤니케이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159A (ko) * 2018-12-10 2020-06-1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견에 대한 공격성 예측이 가능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6174B1 (ko) 2018-12-10 2020-11-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견에 대한 공격성 예측이 가능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42308B1 (ko) * 2020-03-17 2021-04-19 이대화 행동패턴 분석을 통한 반려동물 식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378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908B1 (ko) 애견 감정 표현 장치
JP6494062B2 (ja) 音源の方向を認識する自律行動型ロボット
US10366689B2 (en) Communication robot
JP6259094B2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の音声認識プロセスの制御
JP6402320B2 (ja) 人見知りする自律行動型ロボット
US9341659B2 (en) User interactive living organisms
JP2003340759A (ja) ロボット装置およびロボット制御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10219524A1 (en) Animal trai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JP2013080015A (ja) 音声認識装置および音声認識方法
CN111002303B (zh) 识别装置、机器人、识别方法和存储介质
JP2003288238A (ja) 評価プログラム、その記録媒体、タイミング評価装置、タイミング評価システム
KR20200025283A (ko) 반려동물의 감정 상태 감지 방법
US11325262B2 (en) Robot, robot control system, robot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6715477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307783B1 (ko) 사회성 훈련 장치 및 그 방법
KR101724804B1 (ko) 동물 감정 표현 장치와 동물 감정 유발 장치가 쌍을 이루어 상호작용하는 동물 감정 표현 시스템
KR20200022134A (ko) 심혈관 분석기
KR20200051320A (ko) 반려 동물의 분리 불안을 검출하는 서포트 벡터 머신 및 복잡 이벤트 처리를 사용하는 IoT 기반의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JP2003340760A (ja) ロボット装置およびロボット制御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725434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3760120A1 (en) Wearable cueing systems for assisting a subject with walking
KR20200022135A (ko) 심혈관 분석기
JP2004066418A (ja) 自律ロボット
JP5602753B2 (ja) 懐く挙動を示す玩具
JP2019053191A (ja) 発声補助システム及び発声補助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