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772B1 - 배플장치 - Google Patents

배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772B1
KR101746772B1 KR1020160037011A KR20160037011A KR101746772B1 KR 101746772 B1 KR101746772 B1 KR 101746772B1 KR 1020160037011 A KR1020160037011 A KR 1020160037011A KR 20160037011 A KR20160037011 A KR 20160037011A KR 101746772 B1 KR101746772 B1 KR 101746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contact
rotating member
sens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우
진용희
하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3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플장치는,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피도금재 일측의 작동위치 및 상기 피도금재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 사이를 전환 가능한 배플플레이트; 및 상기 피도금재의 일측면에 외주면이 접촉 가능한 접촉회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피도금재와 상기 접촉회전부재의 접촉에 의해 상기 대기위치에 상기 배플플레이트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접촉신호를 전달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접촉신호에 따라 상기 접촉회전부재가 상기 피도금재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플장치{Baffle apparatus}
본 발명은 배플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피도금재의 일측에 배플플레이트를 효과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배플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나이프는 도금액이 도금된 피도금재의 표면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그에 따라 피도금재의 표면에 도금된 도금액의 양이 조절된다. 에어나이프는 고압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므로 심한 파공음을 유발하며, 피도금재의 양 측단측에서 와류현상을 일으켜서 도금 불균일을 유발한다. 파공음 발생 저감 및 와류현상에 따른 도금 불균일 방지를 위해,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위치의 피도금재의 양 측단에는 배플플레이트가 배치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6435호(2014.06.0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도금재의 일측에 배플플레이트를 효과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배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플장치는,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피도금재 일측의 작동위치 및 상기 피도금재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 사이를 전환 가능한 배플플레이트; 및 상기 피도금재의 일측면에 외주면이 접촉 가능한 접촉회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피도금재와 상기 접촉회전부재의 접촉에 의해 상기 대기위치에 상기 배플플레이트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접촉신호를 전달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접촉신호에 따라 상기 접촉회전부재가 상기 피도금재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배플장치는, 상기 배플플레이트 및 상기 센서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배플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무빙하우징; 및 상기 무빙하우징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무빙하우징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플장치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가이드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스크류축; 및 상기 스크류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가능한 이동모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빙하우징에는 상기 스크류축이 관통 배치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축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접촉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모터부재의 구동을 중단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피도금재와 대향되는 전방측의 일면에 상기 접촉회전부재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된 센서하우징; 상기 센서하우징의 후방측 타면으로부터 상기 배플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바; 상기 슬라이딩바가 관통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바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무빙하우징에 고정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바의 후방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접촉회전부재는 상기 피도금재를 향해 일단이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은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선단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바의 후방측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치되는 제한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선단측에 배치되는 터치부; 및 상기 터치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한프레임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바의 후방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센서하우징에 타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바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접촉회전부재에 회전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센서부모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회전부재의 타단은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센서유닛은 외주면이 상기 접촉회전부재의 타단과 접촉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센서부모터부재로부터 상기 접촉회전부재에 회전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보조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플장치는 상기 센서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회전부재로부터 낙하되는 도금용액을 회수 가능한 회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회수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센서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수프레임; 및 상기 회수공간에 수용된 도금액을 배출 가능한 배출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피도금재에 대향되는 상기 회수프레임의 선단은 상기 접촉회전부재의 돌출된 선단 및 상기 센서하우징의 전방측 일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수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접촉회전부재로부터 낙하되는 도금액을 상기 회수공간으로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플장치는 센서유닛에서 감지한 접촉신호를 이용하여 이동모터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바 배플플레이트를 작동위치에 효과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플장치는 접촉회전부재가 피도금재에 접촉한 상태로 피도금재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접촉회전부재 표면의 도금액 묻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금 품질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배플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점선으로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점선으로 표시된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센서유닛 및 회수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Y-Y'를 따라 센서유닛 및 회수유닛을 절단한 부분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X-X'를 따라 센서유닛 및 회수유닛을 절단한 부분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플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배플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배플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도금액이 도금된 피도금재(S)는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피도금재(S)의 일측에는 배플플레이트(1)가 위치한다.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에어나이프는 피도금재(S)의 너비 방향을 따라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며, 그에 따라 피도금재(S) 표면에 도금된 도금액의 도금량이 조절된다. 파공음 감소 및 압축공기의 와류 현상에 따른 도금 불균일 방지를 위해 에어나이프로부터 고압의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피도금재(S)의 일측에는 배플플레이트(1)가 배치된다.
배플플레이트(1)는 무빙하우징(2)에 배치되며, 피도금재(S)의 일측에서 무빙하우징(2)과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무빙하우징(2)에는 접촉부재(3)가 배치되며, 접촉부재(3)가 피도금재(S)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경우 피도금재(S)를 향해 이동하는 무빙하우징(2)의 이동이 중단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등의 회전체가 접촉부재(3)로 이용될 수 있다. 접촉부재(3)가 피도금재(S)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접촉부재(3)의 표면에 도금액의 묻음(G)이 발생할 수 있으며, 도금액의 묻음(G)이 발생한 접촉부재(3)가 연속적으로 피도금재(S)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피도금재(S)의 측면에 도금불량(G')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플장치(10)는 피도금재(S)의 일측에 배치되는 배플플레이트(100), 배플플레이트(100)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배플플레이트(100)에 연결되는 무빙하우징(110), 무빙하우징(110)에 배치되며 피도금재(S)의 일측면에 접촉됨으로서 피도금재(S)의 위치를 감지 가능한 센서유닛(200), 무빙하우징(110)에 이동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이동모터부재(140) 및 센서유닛(200)으로부터 접촉신호를 전달받아 이동모터부재(14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400)을 포함한다.
이동가이드축(110)은 피도금재(S)의 너비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무빙하우징(110)이 피도금재(S)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130)은 이동가이드축(11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스크류축(130)은 무빙하우징(110)에 관통 형성된 스크류홀(도시 안함)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스크류축(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내응하는 형상의 나사산이 스크류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스크류축(130)의 회전에 의해 무빙하우징(110)이 이동가이드축(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스크류축(130)의 일단에는 이동모터부재(140)가 배치되며, 이동모터부재(140)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축(130)이 회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점선으로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점선으로 표시된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센서유닛 및 회수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Y-Y'를 따라 센서유닛 및 회수유닛을 절단한 부분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X-X'를 따라 센서유닛 및 회수유닛을 절단한 부분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유닛(200)은 외주면이 피도금재(S)에 접촉됨으로써 피도금재(S)의 위치를 확인 가능한 접촉회전부재(210)를 구비하며, 회수유닛(300)은 센서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접촉회전부재(210)로부터 낙하되는 도금액을 회수 가능한 회수플레이트(210)를 구비한다.
센서하우징(220)의 전방측 일면에는 접촉회전부재(21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공간(210a)이 함몰 형성되며, 접촉회전부재(210)는 일단이 센서하우징(220)의 전방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수용공간(210a)에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는 구 형상의 접촉회전부재(210)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회전부재(210)는 구 형상뿐만 아니라 원통 형상 등의 회전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모터부재(214)는 접촉회전부재(21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센서하우징(220)에 배치된다. 센서부모터부재(214)는 접촉회전부재(210)에 직접적으로 회전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보조회전부재(212)를 통해 접촉회전부재(210)에 간접적으로 회전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센서부모터부재(214)의 내부에는 수용공간(210a)과 연통되는 내부공간(21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212a)은 센서무보터부재(214)가 배치된 센서하우징(220)의 일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모터부재(214)가 센서하우징(22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센서부모터부재(214)가 배치된 센서하우징(22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내부공간(212a)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내부공간(212a)이 형성될 수 있다.
접촉회전부재(210)의 후방측 타단은 내부공간(212a)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보조회전부재(212)는 접촉회전부재(210)의 돌출된 후방측 타단과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내부공간(212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는 원통형의 보조회전부재(212)를 도시하였으나, 보조회전부재(212)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구속될 것은 아니며, 모든 회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모터부재(214)의 모터축(214)에는 모터측풀리(215)가 배치되며, 보조회전부재(212)의 회전축(212')에는 보조측풀리(213)가 배치될 수 있다. 벨트부재(216)는 모터측풀리(215)와 보조측풀리(213)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모터측풀리(215)의 회전에 따라 벨트부재(216)가 이동함으로써 보조측풀리(215)가 회전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7에는 보조회전부재(212)에 센서부모터부재(214)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풀리(213, 215) 및 벨트(216)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들에 국한될 것을 아니며, 회전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회전부재(212)와 접촉회전부재(210)는 각각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되므로, 보조회전부재(212)가 회전함에 따라 접촉회전부재(210)가 회전하게 된다. 접촉회전부재(210)와 보조회전부재(212) 상호간에 자기적 인력을 형성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자석으로 제작되는 보조회전부재(212) 및 철(Fe) 성분을 포함하는 소재로 제작되는 접촉회전부재(210)가 바람직할 수 있다. 보조회전부재(212)와 접촉회전부재(210)가 긴밀하게 밀착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함이다. 보조회전부재(212)는 전자석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보조회전부재(21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수단(도시 안함)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모터부재(214)의 구동에 의해 접촉회전부재(210)는 피도금재(S)의 이동과는 별도로 독자적인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접촉회전부재(210)가 피도금재(S)에 접촉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피도금재(S)의 이동방향에 따라 접촉회전부재(210)가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며, 피도금재(S)의 이동방향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접촉회전부재(210)는 피도금재(S)에 접촉되어 독립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접촉회전부재(210)가 피도금재(S) 상호간에 마찰이 발생하며, 그에 따라 접촉회전부재(210)의 표면에 도금액의 묻음(G)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접촉회전부재(210)와 피도금재(S) 상호간의 마찰을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슬리이딩바(230)는 센서하우징(220)의 후방측 타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다. 무빙하우징(110)에 고정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40)에는 슬라이딩바(23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딩홀(240a)이 관통 형성되며, 슬라이딩바(230)는 슬라이딩홀(240a)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홀(240a)은 슬라이딩바(2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슬라이딩홀(240a)에 관통 배치된 슬라이딩바(230)가 전후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바(230)에 연결된 센서하우징(220)이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슬리이딩바(230)의 선단부에는 리미터링(233)이 배치될 수 있으며, 리미터링(233)에 의해 슬라이딩홀(240a)로부터 슬라이딩바(230)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40)에는 슬라이딩바(230)의 후방측 이동거리를 제한 가능한 제한프레임(244)이 배치된다. 슬라이딩바(230)의 선단에는 터치부(232)가 배치되며 슬라이딩바(230)의 선단에 대응하는 제한프레임(244)의 일측에는 감지부(244)가 배치된다. 슬라이딩바(230)가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감지부(244)에 터치부(232)가 지지됨으로써 슬라이딩바(230)의 후방측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감지부(244)는 제어유닛(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부(232)의 접촉시 제어유닛(400)으로 접촉신호를 전달한다.
탄성부재(250)는 일단이 센서하우징(220)에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프레임(240)에 지지되도록 슬라이딩바(230)에 배치되어 센서하우징(220)이 지지프레임(2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센서하우징(220)을 가압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50)는 접촉회전부재(210)가 피도금재(S)에 비접촉되는 경우 터치부(233)와 감지부(244)가 기 설정된 간격(d)을 회복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회수유닛(300)은 상부가 개방된 회수공간(312)이 형성되어 센서하우징(2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수프레임(310)을 구비한다. 피도금재(S)에 대향되는 회수프레임(310)의 선단부는 접촉회전부재(210)의 돌출된 선단 및 센서하우징(220)의 전방측 일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접촉회전부재(210)로부터 낙하되는 도금액은 회수공간(312)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회수공간(312)으로 회수될 수 있다. 수용공간(210a)이 형성되는 센서하우징(220)의 전방측 일면과 접촉회전부재(210)의 외주면이 마찰됨으로서, 접촉회전부재(210)의 표면에 묻은 도금액이 회수공간(312)을 향해 낙하되기 대문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센서하우징(22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212a)으로부터 회수프레임(310)의 개방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홀을 통해 내부공간(212a)에 누적되는 도금액을 회수공간(312)으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관부재(314)는 배출구(312a)를 통해 회수공간(312)과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배출구(312a)를 통해 회수공간(312)에 수집된 도금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관부재(314)는 지지프레임(240)에 형성된 지지홀(240b)을 통해 지지프레임(24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배관(316)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부재(314)는 회수탱크(도시 안함)에 연결되어 회수된 도금액은 회수탱크에 회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플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금 중단 등의 이유로 에어나이프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배플플레이트(100)는 피도금재(S)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 위치하게 된다. 도 8은 배플플레이트(100)가 대기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센서유닛(200) 및 회수유닛(200)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센서유닛(200)의 접촉회전부재(210)는 피도금재(S)로부터 이격되는 비접촉위치(D)에 위치하며, 터치부(223)는 감지부(244)로부터 기설정된 간격(d)으로 이격되는 이격위치(ㄱ)에 위치하게 된다.
도금작업이 개시 등의 이유로 에어나이프가 작동되는 경우, 에어나이프에서 고압의 압축공기가 분사되기 이전에 배플플레이트(100)가 피도금재(S) 일측의 작동위치에 위치해야 한다. 제어유닛(400)은 배플플레이트(100)를 작동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이동모터부재(140)를 구동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접촉회전부재(210)는 도 8의 (b)에 도시된 접촉위치(E)로 이동하게 된다. 제어유닛(400)은 접촉회전부재(210)가 접촉위치(E)에 위치한 이후에도 이동모터부재(140)가 계속 구동하도록 제어하며, 터치부(232)가 감지부(244)에 접촉되는 감지위치(ㄴ)로 이동하여 감지부(244)가 접촉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이동모터부재(140)가 구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제어유닛(400)은 접촉신호에 따라 센서부모터부재(214)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며, 그에 따라 접촉회전부재(210)는 접촉위치(E)에서 피도금재(S)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플장치(10)는 센서유닛(200)에서 감지한 접촉신호를 이용하여 이동모터부재(140)의 구동을 제어하는바 배플플레이트(100)를 작동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접촉회전부재(210)에 접촉위치(E)에서 피도금재(S)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금액 묻음(G)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도금 품질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100: 배플플레이트 2,110: 무빙하우징 3: 접촉부재
10: 배플장치 120: 이동가이드축 130: 스크류축
140: 이동모터부재 200: 센서유닛 210: 접촉회전부재
212: 보조회전부재 213: 보조측풀리 214: 센서부모터부재
215: 모터측풀리 216: 벨트부재 220: 센서하우징
230: 슬라이딩바 232: 터치부 233: 리미터링
240: 지지프레임 242: 제한프레임 244: 감지부
300: 회수유닛 310: 회수플레임 314: 배출관부재
316: 플렉서블배관 400: 제어유닛

Claims (11)

  1.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피도금재 일측의 작동위치 및 상기 피도금재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 사이를 전환 가능한 배플플레이트;
    상기 피도금재의 일측면에 외주면이 접촉 가능한 접촉회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피도금재와 상기 접촉회전부재의 접촉에 의해 상기 대기위치에 상기 배플플레이트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접촉신호를 전달하는 센서유닛;
    상기 접촉신호에 따라 상기 접촉회전부재가 상기 피도금재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
    상기 배플플레이트 및 상기 센서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배플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무빙하우징; 및
    상기 무빙하우징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무빙하우징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피도금재와 대향되는 전방측의 일면에 상기 접촉회전부재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된 센서하우징;
    상기 센서하우징의 후방측 타면으로부터 상기 배플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바;
    상기 슬라이딩바가 관통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바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무빙하우징에 고정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바의 후방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회전부재는 상기 피도금재를 향해 일단이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배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장치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가이드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스크류축; 및
    상기 스크류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가능한 이동모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빙하우징에는 상기 스크류축이 관통 배치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축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된, 배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접촉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모터부재의 구동을 중단 제어하는, 배플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선단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바의 후방측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치되는 제한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선단측에 배치되는 터치부; 및
    상기 터치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한프레임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바의 후방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배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센서하우징에 타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바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플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접촉회전부재에 회전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센서부모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플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회전부재의 타단은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센서유닛은 외주면이 상기 접촉회전부재의 타단과 접촉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센서부모터부재로부터 상기 접촉회전부재에 회전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보조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플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장치는 상기 센서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회전부재로부터 낙하되는 도금액을 회수 가능한 회수유닛을 더 포함하는, 배플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회수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센서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수프레임; 및
    상기 회수공간에 수용된 도금액을 배출 가능한 배출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피도금재에 대향되는 상기 회수프레임의 선단은 상기 접촉회전부재의 돌출된 선단 및 상기 센서하우징의 전방측 일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수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접촉회전부재로부터 낙하되는 도금액을 상기 회수공간으로 회수 가능한, 배플장치.
KR1020160037011A 2016-03-28 2016-03-28 배플장치 KR101746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011A KR101746772B1 (ko) 2016-03-28 2016-03-28 배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011A KR101746772B1 (ko) 2016-03-28 2016-03-28 배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772B1 true KR101746772B1 (ko) 2017-06-13

Family

ID=5921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011A KR101746772B1 (ko) 2016-03-28 2016-03-28 배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7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323B1 (ko) 2018-03-26 2019-09-27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용 접촉식 및 비접촉식 겸용 배플장치
KR102474918B1 (ko) 2022-10-07 2022-12-07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배플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9954B2 (ja) 2000-07-12 2002-07-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メッキラインのバッフルプレート装置
JP5812581B2 (ja) 2010-07-13 2015-11-17 スチールプランテック株式会社 バッフルプレート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ガスワイピ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9954B2 (ja) 2000-07-12 2002-07-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メッキラインのバッフルプレート装置
JP5812581B2 (ja) 2010-07-13 2015-11-17 スチールプランテック株式会社 バッフルプレート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ガスワイピング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323B1 (ko) 2018-03-26 2019-09-27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용 접촉식 및 비접촉식 겸용 배플장치
KR102474918B1 (ko) 2022-10-07 2022-12-07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배플장치
WO2024075896A1 (ko) 2022-10-07 2024-04-11 주식회사 삼우에코 용융 도금 공정을 위한 배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931B2 (en) Safety switch on a peristaltic pump
KR101746772B1 (ko) 배플장치
RU2011111941A (ru) Запис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записыв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CN203715900U (zh) 缝纫机的机针冷却机构和缝纫机
JP4781060B2 (ja) シリンジポンプ
CN111486238B (zh) 电子膨胀阀
CN210181704U (zh) 胶囊货道旋转装置
JP2016540491A (ja) 射出成形機のバルブモータ装置
CN201875091U (zh) 一种磁耦合传动机构
KR101359408B1 (ko) 호퍼의 분진 회수 장치
CN208472873U (zh) 一种管道疏通机及其弹簧自动进给装置
KR100724382B1 (ko) 제빙기의 만빙감지장치
CN205385623U (zh) 一种用于高频感应电源频率分段的切换装置
CN109518402B (zh) 衣物处理设备及其定位装置
KR101443098B1 (ko) 소재 감지장치
CN109924874B (zh) 节能饮水机
JP6249828B2 (ja) 研磨機
CN216947441U (zh) 一种用于缝纫机的皮筋送料装置
CN211769478U (zh) 一种整合到agv移动平台上的找线头装置
KR100707474B1 (ko)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
CN112820583A (zh) 应用于水下推进器的磁感应开关结构
KR101579886B1 (ko) 사출성형기의 밸브 모터장치
CN105430782A (zh) 一种用于高频感应电源频率分段的切换装置
KR101916775B1 (ko) 유량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펌프
KR101815396B1 (ko) 선반용 공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