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702B1 -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702B1
KR101746702B1 KR1020157028930A KR20157028930A KR101746702B1 KR 101746702 B1 KR101746702 B1 KR 101746702B1 KR 1020157028930 A KR1020157028930 A KR 1020157028930A KR 20157028930 A KR20157028930 A KR 20157028930A KR 101746702 B1 KR101746702 B1 KR 10174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sensor
sensor device
body unit
mo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197A (ko
Inventor
반호영
최용근
이수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펙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펙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펙트
Publication of KR2017005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61B5/1114Tracking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3Discriminating type of movement, e.g. walking or ru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10Athle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ome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은, 특정한 신체단위에 부착되는 상기 측정센서장치의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S100); 특정한 측정센서장치에 대한 선택조작에 부합하는 상기 측정센서장치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S200); 상기 신체단위에 상기 식별정보를 매칭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측정센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상기 신체단위의 움직임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측정센서장치가 부착되는 위치를 초기설정함에 따라 단말기는 사용자의 자세 또는 동작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INITIALIZING THE ATTACHMENT LOCATION OF MEASUREMNET SENSOR}
본 발명은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를 초기설정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발달과 각종 센서 기술의 발달로 최근 전자기기는 첨단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용하고 있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리모콘,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별도의 인터페이스 장치없이 음성 또는 사용자의 모션을 통해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16025호).
특히 최근에는 센서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사용자의 움직임(모션)을 인식하여 이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추출하여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제어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00807호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동작형태에 따라 입력명령 내용을 대응하여 매칭시키고, 사용자가 특정 모션을 하는 경우, 이를 인지하여 이에 대응한 구동명령을 실행하는 기술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신체움직임 센싱기술은, 전자기기에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움직임이 적절한 지 평가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운동선수의 특정한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되는 지 훈련 시에 확인하거나, 재활환자의 재활운동 시 환자의 움직임이 특정한 신체부위의 근육을 트레이닝하기에 적합하게 움직이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움직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는, 센서장치를 신체에 부착하여 움직임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 비전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인식하는 방식 등이 있다. 관성센서 등이 포함되는 센서장치를 사용자 신체부위에 부착하여 움직임을 측정하는 경우, 각 센서장치가 부착된 신체부위의 설정이 필요하다. 즉, 센서장치에 의해 측정된 센싱데이터가 어느 신체부위의 움직임에 해당하는지 초기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측정센서장치를 통해 획득된 센싱데이터를 결합하여 사용자 전신의 자세 또는 움직임을 산출하기 위해, 각각의 측정센서장치가 사용자 신체부위 중 어디에 부착되는지 초기 설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 움직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각 신체단위 내에 측정센서장치가 부착된 상세지점을 설정할 수 있는, 부착위치 초기설정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은, 특정한 신체단위에 부착되는 상기 측정센서장치의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특정한 측정센서장치에 대한 선택조작에 부합하는 상기 측정센서장치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신체단위에 상기 식별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측정센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상기 신체단위의 움직임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 인식단계는, 센서허브로부터 상기 선택조작에 상응하는 특정한 측정센서장치의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센서허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장치 및 상기 단말기에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선택조작이 수신된 상기 측정센서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측정센서장치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인식단계는, 특정한 측정센서장치로부터 선택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조작이 수신된 상기 측정센서장치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장치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경우,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특정한 움직임 또는 자세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또는 자세의 수행에 따라, 각각의 센싱데이터를 상응하는 신체단위에 결합하여 전신 움직임 또는 전신 자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신 움직임 또는 전신 자세가 정상적인 신체움직임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상움직임 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특정한 자세 수행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정상움직임 판단단계는, 상기 자세에 부합하는 각 신체단위의 센싱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각 신체단위에 부착된 측정센서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싱데이터가 상기 센싱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신 움직임 또는 전신 자세가 정상움직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움직임에 상응하지 않는 오류신체단위에 부착된 상기 측정센서장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호간에 부착된 측정센서장치의 위치교체가 요구되는 오류신체단위 쌍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류신체단위 쌍에 부착된 측정센서장치의 위치교체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자세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자세 수행 시에 각각의 상기 측정센서장치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데이터의 값을 바탕으로, 상기 신체단위 내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측정센서장치가 부착된 상세지점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 신체단위의 상세지점 지정을 요청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각 신체단위 내의 상세지점을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요청단계는, 신체단위별로 상이한 기준선택조작동작을 설정하며, 상기 식별정보 매칭단계는, 각각의 상기 측정센서장치로부터 입력된 선택조작동작과 상기 기준선택조작동작을 비교하여, 상기 신체단위에 상기 측정센서장치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운동형태의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형태를 바탕으로 상기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이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신체단위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신체단위에 복수의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이 요구되는 경우, 특정한 신체단위에 부착이 요구되는 상기 측정센서장치의 개수를 바탕으로, 단말기가 상기 신체단위를 세부단위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언급된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복수의 측정센서장치가 부착되는 위치를 초기설정함에 따라 단말기는 사용자의 자세 또는 동작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둘째, 각 신체부위에 매칭된 측정센서장치의 센싱데이터를 결합하여 생성된 전신 자세와 전신 동작이 사람의 정상적인 자세 또는 동작에 해당하는 지 판단하여, 측정센서장치의 오부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체단위와 측정센서장치의 매칭관계를 더블 체크할 수 있어서,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를 정확하게 초기설정할 수 있다.
셋째, 특정한 신체단위 내에 측정센서장치가 부착된 상세지점을 결정할 수 있어서, 단말기는 사용자의 자세 또는 동작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측정센서장치가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부착위치 초기설정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장치와 단말기가 센서허브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부착위치 초기설정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신체단위는, 측정센서장치가 부착되는 사용자의 각 신체부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신체단위는 사용자의 신체 중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최소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신체단위는 관절에 의해 분리되어 더 이상 구부러지지 않는 각 신체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별정보는, 각각의 센서측정장치를 구별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식별정보는 외관이 동일하게 형성된 복수의 측정센서장치를 단말기가 구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측정센서장치에 부여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식별정보는, 통신 수행을 위해 부여된 주소(즉, Mac Address)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측정센서장치가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부착위치 초기설정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장치와 단말기가 센서허브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부착위치 초기설정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 시스템은, 단말기(100); 및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 및 고정 단말기(100)로 나뉠 수 있는데,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단말기(100)가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이동단말기(100)에 해당하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100),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ao phone), 모바일 게임기, 태블릿 PC, 넷북, 노트북(Note Book)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고정단말기(100)에 해당하는 데스크 탑 PC, 텔레비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및 출력부(1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단말기(100)는 상기 기재된 구성요소에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통신, 디스플레이부상의 재생을 위한 영상처리, 부착위치 초기설정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가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통신부(120)는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수신한 센싱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센싱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된 평가결과에 따른 출력을 상기 측정센서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측정센서장치(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선통신부(120) 또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측정센서장치(200) (또는 측정센서장치(200)가 연결된, 후술되는 센서허브(30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RF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 음향출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측정센서장치(200)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를 결합하여 생성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을 위해 사용자에게 요청할 사항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부착하는 특정한 측정센서장치(200)에 특정한 선택조작 입력 요청을 디스플레이부상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센서와 결합되어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조작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조작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사람 신체 형상 내의 특정한 지점을 선택받아서 특정한 사용자의 신체단위 내의 정확한 부착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어부(1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 또는 신체움직임 평가 수행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움직임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학습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어부(11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1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측정센서장치(200)는 특정한 신체단위에 부착되어 특정한 신체단위의 움직임에 관한 센싱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측정센서장치(200)는 밴드 등의 고정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특정한 신체단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신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착제가 일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특정한 신체단위에 부착될 수 있다.
측정센서장치(200)는 내부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측정센서장치(200)는 관성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센싱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측정센서장치(200)는 센싱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측정센서장치(200)는, 도 1에서와 같이, 단말기(100)로 직접 센싱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센서장치(200)는 단말기(100)와 NRF통신을 통해 별도의 페어링(Pairing) 작업 수행없이 연결하여 센싱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측정센서장치(200)는, 도 2에서와 같이, 센서허브(300)(Sensor Hub)를 통해 단말기(100)로 센싱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센서허브(300)는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허브(300)는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NRF통신을 통해 센싱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장치(200)를 각각 단말기(100)와 연결할 필요없이 센서허브(300)만을 단말기(100)와 연결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허브(300)는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장치(200)를 연결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크래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기(100)에 의한 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은, 특정한 신체단위에 부착되는 정센서장치의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S100); 특정한 측정센서장치(200)에 대한 선택조작에 부합하는 상기 측정센서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S200); 상기 신체단위에 상기 식별정보를 매칭하는 단계(S300); 및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상기 신체단위의 움직임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측정센서장치(200)는 특정한 신체부위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각 측정센서장치(200)에 포함된 식별정보만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정확한 자세 또는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해서 부착되는 측정센서장치(200)의 식별정보와 부착되는 신체단위를 매칭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단말기(100)는 특정한 신체단위에 부착되는 측정센서장치(200)의 선택을 요청한다(S100). 즉, 단말기(100)는 복수의 측정센서장치(200) 중에서 특정한 신체단위에 부착할 특정한 측정센서장치(200)를 선택하도록 음성출력 또는 화면출력을 통해 요청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단말기(100)는 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이 필요한 하나 이상의 신체단위를 차례대로 제시하고, 제시된 신체단위에 부착할 특정한 측정센서장치(200)의 지정 또는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화면상에 표시된 여러 신체단위 리스트 중에서 특정한 신체단위를 선택받거나, 화면상에 표시된 사람형상 이미지에서 특정한 신체단위에 대응되는 지점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 후, 단말기(100)는 선택된 신체단위에 부착할 측정센서장치(200)의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운동형태에 따라 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이 필요한 신체단위를 추출하여, 추출된 하나 이상의 신체단위에 부착할 측정센서장치(200) 지정을 차례대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측정센서장치(200)를 착용하고 어깨 재활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하체에는 측정센서장치(200)를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어깨 재활운동 시에 움직임의 센싱이 필요한 부위를 선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운동형태의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형태를 바탕으로 상기 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이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신체단위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다양한 사용자입력(예를 들어,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조작, 단말기(100)에 대한 음성명령 등)을 통해 원하는 운동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운동형태에 부합하는 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특정한 운동형태의 수행 시에 움직임이 수반되는 신체단위들을 운동형태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운동형태가 선택되면 매칭된 하나 이상의 신체단위를 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선택요청단계(S100)는, 특정한 신체단위에 복수의 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이 요구되는 경우, 특정한 신체단위에 부착이 요구되는 상기 측정센서장치(200)의 개수를 바탕으로, 상기 신체단위를 세부단위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정확한 자세 또는 동작을 산출하기 위해, 팔꿈치와 어깨 사이에 두개의 측정센서장치(200)를 부착한다면, 단말기(100)는 하나의 신체단위인 팔꿈치와 어깨 사이 영역을 두 개의 세부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어깨 주변 영역과 팔꿈치 주변 영역' 또는 '이두박근 영역과 삼두박근 영역'으로 하나의 신체단위를 분할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세분화된 세부단위 별로 부착할 측정센서장치(200)의 선택 또는 지정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단말기(100)가 특정한 측정센서장치(200)에 대한 선택조작에 부합하는 상기 측정센서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인식한다(S200). 즉, 단말기(10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한 측정센서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직접 선택조작을 수신하고, 선택조작이 수신된 측정센서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식별정보 인식단계(S200)는, 특정한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선택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조작이 수신된 상기 측정센서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측정센서장치(200)가 버튼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선택조작은 측정센서장치(200)에 부착된 버튼 조작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100)에 의해 요청된 신체단위에 부착할 측정센서장치(200)의 버튼을 조작하고, 단말기(100)는 버튼이 조작된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무선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기(100)는 버튼이 조작된 측정센서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식별정보를 직접 수신하여 인식할 수 있고, 무선신호를 발신한 측정센서장치(200)에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저장된 식별정보 리스트 중에서 탐색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선택조작은 측정센서장치(200)에 입력되는 특정한 선택조작동작이 해당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측정센서장치(200)에 대한 선택조작동작 입력을 요청하고, 선택조작이 입력되는 측정센서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측정센서장치(200)를 특정횟수 이상 흔들거나 돌리는 등의 특정한 동작을 선택조작동작으로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특정한 선택조작동작이 센싱되는 측정센서장치(200)를 단말기(100)로부터 요청된 특정한 신체단위에 부착되는 측정센서장치(200)로 인식하여 식별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특정한 선택조작이 입력되는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만 무선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측정센서장치(200)를 인식할 수 있고, 계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모든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무선통신신호(예를 들어, NRF신호 등)를 수신하여 정지상태(즉, 선택조작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인 측정센서장치와 선택조작이 입력되는 측정센서장치를 구별하여 선택된 측정센서장치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단말기(100)는 센서허브(300)를 통해 측정센서장치(200)와 연결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선택조작이 입력된 특정한 측정센서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센서허브(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센서허브(300)에 구비된 각각의 측정센서장치(200)에 대응하는 버튼(예를 들어, 센서허브(300)가 복수의 측정센서장치(200)를 각각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연결부와 인접한 영역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하여 특정한 측정센서장치(200)를 선택하고, 센서허브(300)가 단말기(100)로 선택된 측정센서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예를 들어, 센서허브(300)는 조작된 버튼에 대응하는 결합부에 연결된 측정센서장치(200)의 식별정보를 파악하여 단말기(100)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선택조작이 측정센서장치(200)에 입력되는 선택조작동작인 경우, 센서허브(300)가 특정한 조작동작(예를 들어, 흔들기, 뒤집기, 돌리기 등)이 입력된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가 수신된 측정센서장치(200)의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0)가 상기 신체단위에 상기 식별정보를 매칭한다(S300). 즉, 단말기(100)는 지정된 신체단위와 선택조작에 의해 선택된 측정센서장치(200)를 매칭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특정한 측정센서장치(200)를 신체단위에 매칭하여, 각 측정센서장치(200)에 의해 측정되는 데이터의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100)가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상기 신체단위의 움직임데이터로 결정한다(S400).
또한,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장치(200)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경우, 상기 단말기(100)가 사용자에게 특정한 움직임 또는 자세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또는 자세의 수행에 따라, 각각의 센싱데이터를 상응하는 신체단위에 결합하여 전신 움직임 또는 전신 자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신 움직임 또는 전신 자세가 정상적인 신체움직임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상움직임 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에 의해 수행된 측정센서장치(200)와 신체단위 사이의 매칭관계와 상이하게 사용자의 신체에 측정센서장치(200)가 부착될 수도 있고, 측정센서장치(200)의 식별정보와 신체단위의 매칭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기준자세 또는 기준움직임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생성되는 전신자세 또는 움직임이 일반적인 사람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게 특정한 자세 수행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정상움직임 판단단계는, 상기 자세에 부합하는 각 신체단위의 센싱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각 신체단위에 부착된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센싱데이터가 상기 센싱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특정한 자세를 요청하는 경우에 각 신체단위별로 예상되는 센싱범위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특정한 기준자세 수행 시에 실제 측정되는 센싱데이터(예를 들어,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는 기울기)가 예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각각의 신체단위에 대해 판단하여 측정센서장치(200)가 제대로 부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상움직임 판단단계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동작(즉, 움직임)의 수행을 요청하는 경우, 각 신체부위에 예상되는 센싱값의 변화와 실제 측정되는 센싱값의 변화를 비교하여 각각의 측정센서장치(200)가 대응되는 신체단위에 제대로 부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신움직임 또는 전신자세가 정상움직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움직임에 상응하지 않는 오류신체단위에 부착된 측정센서장치(200)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목에 부착되는 것으로 지정된 제1측정센서장치(200)와 허벅지에 부착되는 것으로 지정된 제2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위치가 바뀌게 되는 경우, 특정한 기준자세(예를 들어, 팔을 벌리고 서는 자세)의 수행 시, 제1측정센서장치(200)는 예상되는 기울기상태인 수평상태와 다르게 수직상태로 측정이 되고 제2측정센서장치(200)는 예상되는 수직상태와 다르게 수평상태로 측정되어,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제1측정센서장치(200)와 제2측정센서장치(200)를 잘못된 위치에 부착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팔목에 부착되는 것으로 지정된 제1측정센서장치(200)와 허벅지에 부착되는 것으로 지정된 제2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위치가 바뀌게 되는 경우, 특정한 기준동작(예를 들어, 팔을 벌려 뛰기)의 수행 시, 제2측정센서장치(200)의 각도변경범위가 예상되는 범위보다 일정비율 이상 크게 변경되므로, 단말기(100)는 제2측정센서장치(200)의 오부착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호간에 부착된 측정센서장치의 위치교체가 요구되는 오류신체단위 쌍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류신체단위 쌍에 부착된 측정센서장치의 위치교체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위치교체가 요구되는 오류신체단위 쌍을 산출하고, 상기 오류신체단위 쌍에 부착된 측정센서장치의 위치교체를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오류신체단위는 단말기(100)에 의해 매칭된 측정센서장치(200)가 제대로 부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신체부위를 의미한다. 먼저, 단말기(100)는 오류신체단위 중에서 상호 위치 교체가 요구되는 쌍을 산출(즉, 위치교체를 하여야 하는 오류신체단위를 매칭 또는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센서장치(200)가 잘못 부착된 것으로 생각되는 신체단위의 센싱데이터를 서로 바꾸는 경우에 정상움직임에 해당하게 되는지 판단하여, 위치 교체할 오류신체단위 쌍을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오류신체단위 쌍에 각각 부착된 측정센서장치의 위치교체를 요청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현재 측정센서장치(200)가 부착된 두 신체단위를 안내하고, 부착위치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호간 부착된 측정센서장치의 위치교체가 요구되는 오류신체단위 쌍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류신체단위 쌍에 연결된 측정센서장치의 식별정보를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기는 사용자가 측정센서장치를 잘못 부착한 오류신체단위 쌍(즉, 부착된 위치를 변경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이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두 개의 신체단위)을 파악하고, 오류신체단위에 매칭된 식별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기가 사용자의 별도의 측정센서장치의 위치교체 없이 자동으로 오류신체단위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각 신체단위 내에 측정센서장치(200)가 부착되는 상세지점에 따라 센싱데이터 값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센서장치(200)를 팔에 부착하는 경우, 이두박근 쪽에 부착할 때와 삼두박근 쪽에 부착할 때에 센싱데이터 값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측정센서장치(200)를 팔에 부착하는 경우, 어깨 쪽에 가까이 부착할 때와 팔꿈치에 가깝게 부착할 때 측정되는 센싱데이터 값이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팔을 돌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어깨 주변에 부착될 때에 비해 팔꿈치 주변에 부착될 때 더 빠르게 움직이게 되며, 더 큰 범위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자세 또는 동작(움직임)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 각 신체단위 내의 상세지점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신체단위 내의 상세지점을 설정하는 방식의 일실시예로,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자세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자세 수행 시에 각각의 상기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데이터의 값을 바탕으로, 상기 신체단위 내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측정센서장치(200)가 부착된 상세지점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의 기준자세를 차례대로 또는 동시에 화면 상에 표시하여 하나 이상의 기준자세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하나 이상의 기준자세에 따른 센싱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신체단위 내의 상세지점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신체단위 내의 상세지점을 설정하는 방식의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 신체단위의 상세지점 지정을 요청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각 신체단위 내의 상세지점을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신체단위와 특정한 식별정보의 측정센서장치(200)가 매칭되어 있으므로, 단말기(100)는 각 신체단위의 상세지점만 지정받으면, 특정한 신체단위의 상세지점과 측정센서장치(200)를 매칭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 상에 전신이미지를 제공하거나 각 신체단위의 확대이미지를 차례대로 제공하고, 상세지점에 대응하는 화면상의 지점에 터치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서,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수행하는 자세 또는 움직임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요청단계(S100)는, 신체단위별로 상이한 기준선택조작동작을 설정하며, 상기 식별정보 매칭단계(S300)는, 각각의 상기 측정센서장치(200)로부터 입력된 선택조작동작과 상기 기준선택조작동작을 비교하여, 상기 신체단위에 상기 측정센서장치(200)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조작동작을 선택조작으로 하여 각각의 측정센서장치(200)에 입력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각 신체단위별로 기준선택조작동작을 다르게 설정하여, 입력선택조작동작이 입력된 측정센서장치(200)를 입력선택조작동작과 일치하는 기준선택조작동작이 연결된 신체단위에 매칭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장치(200)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복수의 측정센서장치가 부착되는 위치를 초기설정함에 따라 단말기는 사용자의 자세 또는 동작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둘째, 각 신체부위에 매칭된 측정센서장치의 센싱데이터를 결합하여 생성된 자세와 동작이 사람의 정상적인 자세 또는 동작에 해당하는 지 판단하여 측정센서장치의 오부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착되는 신체단위와 측정센서장치의 매칭관계를 더블 체크할 수 있어서,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를 정확하게 초기설정할 수 있다.
셋째, 특정한 신체단위 내에 측정센서장치가 부착된 상세지점을 결정할 수 있어서, 단말기는 사용자의 자세 또는 동작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단말기가 복수의 신체부위에 부착되는 복수의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를 초기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한 신체단위에 부착되는, 복수의 측정센서장치 중에서 특정한 측정센서장치의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특정한 측정센서장치에 대한 선택조작에 부합하는 상기 측정센서장치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신체단위에 상기 식별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장치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경우,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한 움직임 또는 자세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또는 자세의 수행에 따라, 각각의 센싱데이터를 상응하는 신체단위에 결합하여 전신 움직임 또는 전신 자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신 움직임 또는 전신 자세가 정상적인 신체움직임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상움직임 판단단계;
    상기 전신 움직임 또는 전신 자세가 정상움직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움직임에 상응하지 않는 오류신체단위에 부착된 상기 측정센서장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호간에 부착된 측정센서장치의 위치교체가 요구되는 오류신체단위 쌍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류신체단위 쌍에 부착된 측정센서장치의 위치교체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인식단계는,
    센서허브로부터 상기 선택조작에 상응하는 특정한 측정센서장치의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센서허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장치 및 상기 단말기에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선택조작이 수신된 상기 측정센서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측정센서장치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인식단계는,
    특정한 측정센서장치로부터 선택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조작이 수신된 상기 측정센서장치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특정한 자세 수행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정상움직임 판단단계는,
    상기 자세에 부합하는 각 신체단위의 센싱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각 신체단위에 부착된 측정센서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싱데이터가 상기 센싱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특정한 움직임 또는 자세 수행 시에 각각의 상기 측정센서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싱데이터의 값을 바탕으로, 상기 신체단위 내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측정센서장치가 부착된 상세지점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 신체단위의 상세지점 지정을 요청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각 신체단위 내의 상세지점을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요청단계는,
    신체단위별로 상이한 기준선택조작동작을 설정하며,
    상기 식별정보 매칭단계는,
    각각의 상기 측정센서장치로부터 입력된 선택조작동작과 상기 기준선택조작동작을 비교하여, 상기 신체단위에 상기 측정센서장치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운동형태의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형태를 바탕으로 상기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이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신체단위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요청단계는,
    특정한 신체단위에 복수의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이 요구되는 경우,
    특정한 신체단위에 부착이 요구되는 상기 측정센서장치의 개수를 바탕으로, 단말기가 상기 신체단위를 세부단위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방법.
  12. 하드웨어인 단말기와 결합되어,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57028930A 2015-10-12 2015-10-12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 KR101746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0698 WO2017065321A1 (ko) 2015-10-12 2015-10-12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523A Division KR101924019B1 (ko) 2015-10-12 2015-10-12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197A KR20170054197A (ko) 2017-05-17
KR101746702B1 true KR101746702B1 (ko) 2017-06-13

Family

ID=5849935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170A KR20180128101A (ko) 2015-10-12 2015-10-12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
KR1020177015523A KR101924019B1 (ko) 2015-10-12 2015-10-12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
KR1020157028930A KR101746702B1 (ko) 2015-10-12 2015-10-12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170A KR20180128101A (ko) 2015-10-12 2015-10-12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
KR1020177015523A KR101924019B1 (ko) 2015-10-12 2015-10-12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314522B2 (ko)
EP (1) EP3364269B1 (ko)
KR (3) KR20180128101A (ko)
WO (1) WO201706532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351A (ja) * 2002-12-06 2004-07-02 Toshiba Corp 動作情報計測システムおよび動作情報計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991B1 (ko) * 2008-10-23 2010-10-11 전자부품연구원 행동 인지 장치 및 행동 인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행동 인지 처리 방법
KR101061072B1 (ko) 2008-12-15 2011-09-01 시사게임 주식회사 실감형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00807A (ko)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셀런 모션 인식을 이용한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9247212B2 (en) * 2010-08-26 2016-01-26 Blast Motion Inc. Intelligent motion capture element
US9320957B2 (en) * 2010-08-26 2016-04-26 Blast Motion Inc. Wireless and visual hybrid motion capture system
KR101263129B1 (ko) * 2011-12-29 2013-05-15 주식회사 네오펙트 착용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262700B1 (ko) 2011-08-05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및 모션 인식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WO2013163549A1 (en) * 2012-04-26 2013-10-31 The University Of Akron Flexible tactile sensors and method of making
WO2013191491A1 (ko) * 2012-06-20 2013-12-27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센싱 장치 및 방법
KR102064795B1 (ko) * 2013-02-27 2020-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세 훈련 시스템 및 자세 훈련 시스템의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351A (ja) * 2002-12-06 2004-07-02 Toshiba Corp 動作情報計測システムおよび動作情報計測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197A (ko) 2017-05-17
EP3364269A1 (en) 2018-08-22
EP3364269B1 (en) 2023-07-19
KR20170087473A (ko) 2017-07-28
KR20180128101A (ko) 2018-11-30
KR101924019B1 (ko) 2018-11-30
EP3364269A4 (en) 2019-03-06
WO2017065321A1 (ko) 2017-04-20
US20190246956A1 (en) 2019-08-15
US11051721B2 (en) 2021-07-06
US20170102406A1 (en) 2017-04-13
US10314522B2 (en)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6494B2 (e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gait posture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KR102254151B1 (ko) 보행 자세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281981B2 (en) AR out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20160144236A1 (en) Exerci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842436B2 (en) Electronic device and body composition measu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body part to be measured
KR10234848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
KR102114178B1 (ko) 근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142589A1 (en) Method for adjusting usage policy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CN110088764B (zh) 用于虹膜识别功能的操作方法及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KR101541099B1 (ko) 신체움직임 평가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EP3093750A1 (en) Gesture inpu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8241379A (zh) 用于控制无人机的方法和用于控制无人机的电子设备
EP37252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heart rate
CN113906371A (zh) 根据锻炼环境提供锻炼信息的电子装置及操作该电子装置的方法
US20170248424A1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posi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571613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that selects lowest amount of power consumed by a sensor and sensor's driver
KR102356599B1 (ko) 이미지의 관심 영역 결정 방법 및 관심 영역 결정 장치
US10307107B2 (en) Cooperative sensing method and terminal for performing cooperative sensing
KR101746702B1 (ko)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
KR102377001B1 (ko) 모션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083144A (ko)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1297368A (zh) 步态识别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210299519A1 (en) Animation preparing device, animation prepar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296168B1 (ko) 위치 결정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70029835A (ko)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