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472B1 -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472B1
KR101746472B1 KR1020160104898A KR20160104898A KR101746472B1 KR 101746472 B1 KR101746472 B1 KR 101746472B1 KR 1020160104898 A KR1020160104898 A KR 1020160104898A KR 20160104898 A KR20160104898 A KR 20160104898A KR 101746472 B1 KR101746472 B1 KR 101746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dentification code
collection
ord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신규
최정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엠퓨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엠퓨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엠퓨처
Priority to KR102016010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지자체에서 사용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의 발행, 주문 및 수거를 시스템 상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자체 각각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종량제 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지자체단말;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판매하는 각각의 사업장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의 규격정보, 수량정보 및 주문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지자체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각각 연동하며, 상기 지자체단말로부터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종량제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식별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INTERGRATED MANAGEMENT SYSTEM AND THE MANAGEMENT METHOD FOR VOLUME-RATE DISPOSAL GARBAGE BAGS ISSUE, GARBAGE BAGS ORDER AND, COLLECTING GARBAGE}
본 발명은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지자체에서 사용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의 발행, 주문 및 수거를 시스템 상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업체에서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구매하여 해당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쓰레기나 음식물을 넣어 버리고 있으며, 수거업체에서는 해당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수거하고 있다.
한편, 요식업 등의 업체에서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를 구매하는 대신 종량제 납부필증을 구매하여 쓰레기통에 자신이 버리는 쓰레기에 대한 종량제 납부필증을 붙여서 내놓고 있으며, 수거업체는 해당 종량제 납부필증을 확인한 후, 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다. 여기서,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은 각각의 지자체에서 쓰레기봉투의 색상이나 인쇄형태 등을 달리하여 식별되도록 하고, 해당 식별력을 가지고 해당 지자체에서 발행한 것이 맞는 것인지를 확인한 후, 해당 지자체에서 발행한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이 부착된 쓰레기만을 수거하는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각각의 지자체에서 발행한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은 색상이나 인쇄형태가 유사할 경우 타 지역에서 발행한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이라도 수거가 진행되기 때문에, 이를 악용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각각의 지자체에서 발행한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은 색상이나 인쇄형태로 식별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각각의 지자체에서 발행한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마다 도용이 어려운 고유한 식별력을 가지도록 하고, 해당 식별력을 이용하여 쓰레기의 수거가 진행되도록 하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각각의 지자체에서 발행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량제 쓰레기 봉투와 종량제 납부필증의 색상이나 인쇄형태 등을 달리하여 식별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유한 식별력을 가지도록 할 경우, 지자체마다 이를 관리해야 한다. 그런데, 고유한 식별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여야 할 경우에는 새로운 식별력의 발행, 배포 및, 관리 등을 해야 하기 때문에 행정절차가 복잡해지고, 관리시간도 늘어나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특히, 각각의 지자체에서는 새로운 식별력을 생성하는 경우,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을 판매하는 판매처마다 고유한 식별력을 가지는 새로운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을 배포하여야 하고, 수거업체에도 새로운 식별력의 대한 변경사항을 알려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이러한 작업을 각각의 지자체 행정력만으로 감당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2684호(2002.09.0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지자체에서 사용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의 발행, 주문 및 수거를 시스템 상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자체 각각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종량제 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지자체단말;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판매하는 각각의 사업장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의 규격정보, 수량정보 및 주문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지자체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각각 연동하며, 상기 지자체단말로부터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종량제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식별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을 주문하기 위한 앱의 설치와 인터페이스 구동 및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통신기능을 관리하는 프로그램 관리부; 화면에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 각각의 주문창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의 용량정보를 입력 받는 주문규격 입력부;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의 수량정보를 입력 받는 주문수량 입력부; 및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의 용량정보 및 수량정보의 주문을 확정하여 주문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주문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판매소의 등록을 위한 판매소 등록창을 더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판매소 등록창을 통해 판매소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주문정보의 전송 시 상기 판매소정보를 상기 주문정보와 함께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판매소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주문정보가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주문정보를 주문내역으로 출력하는 주문내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에 인쇄된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추출하는 스캔부; 및 상기 스캔부로부터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수거업체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기 저장된 해당 지자체의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별하여 정상적인 발행 여부를 판단하는 정상 발행 판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수거여부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거여부정보가 기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다시 입력 받는 경우 이중 수거로 판별하는 이중 수거 판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형상정보로 변환하고 기 저장된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의 형상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위변조 판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변조 판별부는,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 및 기준점 좌표정보 추출하고,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 및 기준점 좌표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기준점좌표정보와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기준점좌표정보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가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가 얼마나 이격 되었는지에 대한 이격수치를 연산하고, 상기 이격수치가 일정 값 이상 넘는 경우에 대해 위변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를 생산하는 사업장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공정정보를 생성하는 종량제 쓰레기봉투 생산자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각각의 지자체에서 운영서버로 종량제 식별코드를 요청하는 식별코드 발행 요청단계;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지자체 각각에 대한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식별코드 생성단계; 및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종량제 쓰레기봉투 생산자단말로 전송하여 인쇄공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쇄공정정보를 통해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에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가 인쇄된 상태로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생성하는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 제작단계를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방법은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운영서버로 판매소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하는 판매소정보 등록단계; 및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운영서버로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의 용량 및 수량에 관한 주문정보와 상기 판매소정보를 전송하여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주문하는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 주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방법은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이 부착된 쓰레기를 수거 시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에 인쇄된 종량제 식별코드를 스캔부로 스캔하여 종량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종량제 식별코드를 수거업체단말에서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식별코드 추출단계; 정상 발행 판별부에서 운영서버에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와 상기 수거업체단말에서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가 일치하는지를 판별함으로써 정상적인 발행 여부를 판별하는 정상발행 판별단계; 이중 수거 판별부에서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수거여부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거여부정보가 기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다시 입력받는 경우 이중 수거로 판별하는 이중수거 판별단계; 및 위변조 판별부에서 운영서버에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형상정보와 상기 수거업체단말에서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형상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별함으로써, 종량제 식별코드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위변조 판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마다 고유한 식별력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정상적인 발행 여부, 이중 수거 여부 및, 위변조 여부 등을 매우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지자체마다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에 고유한 식별력을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의 발행이 매우 용이하고, 새로운 식별력을 가지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을 구입하는 판매처에서도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매우 용이하게 주문할 수 있으며, 새로운 식별력을 가지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에 대한 쓰레기 수거 시 해당 식별력을 매우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납부필증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가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IT를 접목한 시스템 제공으로 편의성을 고려하는 행정의 이미지 제고 효과를 각각의 지자체에 제공할 수 있고, 더불어, 대행업체는 판매소와의 전화주문 오류 및 시간 제한의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여유로운 재고파악으로 민원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단말에 앱을 설치하기 위하여 앱을 다운로드 하기전의 화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앱의 메인 화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용자단말의 종량제 쓰레기봉투 주문창을 선택하였을 경우의 서브 화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용자단말의 종량제 쓰레기봉투 용량을 선택하였을 경우의 서브 화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종량제 쓰레기봉투의 규격과 수량을 확정하였을 때의 서브 화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사용자단말의 판매소등록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서브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단말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단말에 앱을 설치하기 위하여 앱을 다운로드 하기전의 화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앱의 메인 화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용자단말의 종량제 쓰레기봉투 주문창을 선택하였을 경우의 서브 화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용자단말의 종량제 쓰레기봉투 용량을 선택하였을 경우의 서브 화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종량제 쓰레기봉투의 규격과 수량을 확정하였을 때의 서브 화면이고, 도 8는 도 4에 도시된 사용자단말의 판매소등록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서브 화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지자체단말(10), 사용자단말(20) 및 운영서버(30)를 포함한다.
지자체단말(10)은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단말로, 지자체 각각에 설치되어 운용된다. 이러한 지자체단말(10)은 각 지자체의 행정 담당자의 조작에 의해 종량제 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종량제 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운영서버(3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지자체는 종량제 식별코드를 별도로 제작, 배포 및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할 필요 없이, 단순 단말 조작 작업만으로도 종량제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업무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단말(20)은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단말로,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을 판매하는 판매소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의 규격정보와 수량정보 및 주문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의 조작만으로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을 용이하게 주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20)은 프로그램 관리부(21), 인터페이스부(22), 주문규격 입력부(23), 주문수량 입력부(24) 및 주문정보 전송부(25)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관리부(21)는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주문하기 위한 앱(어플)과 같은 구동 프로그램의 설치와 인터페이스 구동 및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통신기능을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이 경우, 프로그램 관리부(21)는 앱의 설치와 인터페이스 구동 및 주문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자단말(20)의 각종 제어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매소등록창(2a), 주문내역 조회창(2b), 납부필증 주문창(2c) 및 봉투 주문창(2d)과 같이 각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창 형태로 제공하고, 각 카테고리의 창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서브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2)는 필요에 따라 재고조회창(미도시)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종량제 쓰레기봉투과 종량제 납부필증의 용량 및 수량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주문내역이나 판매자 등록 등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주문규격 입력부(23)는 봉투 주문창(2d)의 카테고리의 선택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용량마다 용량선택창(1b)이 선택되는 경우,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의 용량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단말(20)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주문할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의 용량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주문수량 입력부(2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량입력창(1c)을 통해 해당 용량의 수량이 입력되는 경우,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의 수량정보를 입력 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단말(20)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주문할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의 수량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주문정보 전송부(2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문확정창(1d)을 통해 주문이 확정된 경우,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의 용량정보 및 수량정보의 주문을 확정하여 주문정보로 변환한 후, 운영서버(30)로 주문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단말(20)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주문할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주문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20)은 판매소등록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소의 등록을 위한 판매소정보 입력창(1e)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소정보 입력창(1e)은 판매소등록창(도 4의 2a)을 선택 시에 출력된다. 판매소등록부(26)는 판매소정보 입력창(1e)을 통해 판매소정보를 입력하고, 주문정보의 전송 시 판매소정보를 주문정보와 함께 운영서버(30)로 전송한다. 여기서, 판매소정보는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판매소의 대표자명 및 사업자번호와 같은 등록정보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판매소정보를 상기한 예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판매소정보는 지자체에서 발급한 ID나 휴대전화 번호와 같은 개인정보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단말(20)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용이하게 판매소정보를 등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단말(20)은 주문내역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문내역부(27)는 주문정보가 운영서버(30)로 전송된 이후, 운영서버(30)와 연동하여 주문정보를 주문내역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주문정보의 출력은 주문내역 조회창(2b)을 선택 시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단말(20)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주문한 내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운영서버(30)는 식별코드 생성부(31)를 포함한다. 이 경우, 식별코드 생성부(31)는 지자체단말(10) 및 사용자단말(20)과 각각 연동하며, 지자체단말(10)로부터 종량제 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종량제 식별코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종량제 식별코드는 QR코드나 바코드 또는 2차원 암호화 코드와 같은 식별정보로 구성되어 고유한 식별력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각각의 지자체는 고유한 식별력을 가지는 종량제 식별코드가 가짐으로써, 각각의 지자체 별로 관리 가능한 식별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스캔부(40) 및 수거업체단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캔부(40)는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에 인쇄된 종량제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종량제 식별코드를 추출한다. 이러한 스캔부(40)는 광학 판독기로, QR코드나 바코드 또는 2차원 암호화 코드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구동을 하게 된다.
수거업체단말(50)은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단말로, 쓰레기 수거업체의 사업장이나 수거차량에 각각에 설치되어 운용된다. 이러한 수거업체단말(50)은 스캔부(40)로부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운영서버(3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운영서버(30)는 정상 발행 판별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상 발행 판별부(32)는 수거업체단말(50)로부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기 저장된 해당 지자체의 종량제 식별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별함으로써 정상적인 발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거업체는 쓰레기의 수거 시, 수거한 쓰레기가 자신들의 관할지역에서 수거된 것인지를 확인하여, 관할 외 지역에서 나온 쓰레기에 대한 조치를 신속히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영서버(30)는 이중 수거 판별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수거 판별부(33)는 수거업체단말(50)로부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수거여부정보를 기록 및 저장하고, 수거여부정보가 기 생성된 상태에서 종량제 식별코드를 수거업체단말(50)로부터 다시 입력 받는 경우, 이중 수거로 판별한다. 따라서, 수거업체는 쓰레기의 수거 시, 수거한 쓰레기가 중복적으로 수거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중복적으로 수거된 쓰레기에 대한 조치를 신속히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운영서버(30)는 위변조 판별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변조 판별부(34)는 수거업체단말(50)로부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형상정보로 변환하고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형상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종량제 식별코드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한다. 이 경우, 위변조 판별부(34)는 수거업체단말(50)로부터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 및 기준점 좌표정보 추출하고,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 및 기준점 좌표정보를 추출하며, 수거업체단말(50)로부터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기준점좌표정보와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기준점좌표정보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거업체단말(50)로부터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가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가 얼마나 이격 되었는지에 대한 이격수치를 연산하고, 이 경우의 이격수치가 일정 값 이상 넘는 경우에 대해 위변조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수거업체는 쓰레기의 수거 시, 수거한 쓰레기가 위변조 되었는지를 판별하여 그에 대한 조치를 신속히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종량제 쓰레기봉투 생산자단말(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쓰레기봉투 생산자단말(60)은 종량제 쓰레기봉투를 생산하는 사업장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운영서버(30)로부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공정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공급자는 종량제 식별코드를 용이하게 공급받아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및 그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방법은 식별코드 발행 요청단계(S01), 식별코드 생성단계(S02),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 제작단계(S03), 판매소정보 등록단계(S04),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 주문단계(S05), 식별코드 추출단계(S06), 정상발행 판별단계(S07), 이중수거 판별단계(S08) 및 위변조 판별단계(S09)를 포함한다.
<종량제 식별코드 발행 작업 시>
먼저, 식별코드 발행 요청단계(S01)에서는 각각의 지자체에서 지자체단말(10)을 이용하여 운영서버(30)로 종량제 식별코드를 요청한다.
다음으로, 식별코드 생성단계(S02)에서는 운영서버(30)의 식별코드 생성부(31)에서 지자체들 각각에 대한 종량제 식별코드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 제작단계(S03)는 종량제 식별코드를 종량제 쓰레기봉투 생산자단말(60)로 전송하여 인쇄공정정보를 생성하고, 인쇄공정정보를 통해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에 종량제 식별코드가 인쇄된 상태로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방법은 식별코드 발행 요청단계(S01), 식별코드 생성단계(S02) 및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 제작단계(S03)가 지자체에서 지자체단말(10)을 운용하는 작업만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매우 용이하게 발행할 수 있다.
<판매소에서 주문 시>
먼저, 판매소정보 등록단계(S04)에서는 사용자단말(20)의 판매소 등록부를 통해 운영서버(30)로 판매소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한다.
다음으로,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 주문단계(S05)에서는 사용자단말(20)의 주문규격 입력부(23), 주문수량 입력부(24) 및 주문정보 전송부(25)를 통해 운영서버(30)로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의 용량 및 수량에 관한 주문정보와 판매소정보를 전송하여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주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방법은 판매소정보 등록단계(S04),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 주문단계(S05)가 사용자단말(20)을 운용하는 작업만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매우 용이하게 주문할 수 있다.
<수거업체에서 쓰레기 수거 시>
먼저, 식별코드 추출단계(S06)에서는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이 부착된 쓰레기 수거 시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에 인쇄된 종량제 식별코드를 스캔부(40)로 스캔하여 종량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종량제 식별코드를 수거업체단말(50)에서 운영서버(3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정상발행 판별단계(S07)에서는 운영서버(30)의 정상 발행 판별부(32)에서 운영서버(30)에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와 수거업체단말(50)에서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가 일치하는지를 판별함으로써 정상적인 발행 여부를 판별한다.
다음으로, 이중수거 판별단계(S08)에서는 이중 수거 판별부(33)에서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수거여부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수거여부정보가 기 생성된 상태에서 종량제 식별코드를 수거업체단말(50)로부터 다시 입력 받는 경우 이중 수거로 판별한다.
마지막으로, 위변조 판별단계(S09)에서는 위변조 판별부(34)에서 운영서버(30)에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형상정보와 수거업체단말(50)에서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형상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별함으로써, 종량제 식별코드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위변조 판별단계(S09)에서 형상정보의 비교는, 수거업체단말(50)로부터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 및 기준점 좌표정보 추출하고,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 및 기준점 좌표정보를 추출하며, 수거업체단말(50)로부터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기준점좌표정보와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기준점좌표정보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거업체단말(50)로부터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가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가 얼마나 이격 되었는지에 대한 이격수치를 연산하고, 이격수치가 일정 값 이상 넘는 경우에 대해 위변조정보를 생성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방법은 식별코드 추출단계(S06), 정상발행 판별단계(S07), 이중수거 판별단계(S08) 및 위변조 판별단계(S09)로 이루어진 일련의 프로세스가 쓰레기를 수거하는 중에 진행되기 때문에,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의 정상발행 유무, 이중수거 유무 및, 위변조 여부를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판별하여 해당 쓰레기에 대한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b: 용량선택창 1c: 수량입력창
1d: 주문확정창 1e: 판매소정보 입력창
2a: 판매소등록창 2b: 주문내역 조회창
2c: 납부필증 주문창 2d: 봉투 주문창
10: 지자체단말 20: 사용자단말
21: 프로그램 관리부 22: 인터페이스부
23: 주문규격 입력부 24: 주문수량 입력부
25: 주문정보 전송부 26: 판매소등록부
27: 주문내역부 30: 운영서버
31: 식별코드 생성부 32: 정상 발행 판별부
33: 이중 수거 판별부 34: 위변조 판별부
40: 스캔부 50: 수거업체단말
60: 쓰레기봉투 생산자단말

Claims (12)

  1. 지자체 각각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종량제 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지자체단말;
    스캔부로부터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수거업체단말;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판매하는 각각의 사업장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의 규격정보, 수량정보 및 주문정보를 생성하고, 화면에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 각각의 주문창 및, 판매소의 등록을 위한 판매소 등록창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지자체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각각 연동하며, 상기 지자체단말로부터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종량제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식별코드 생성부,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에 인쇄된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추출하는 스캔부 및,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기 저장된 해당 지자체의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별하여 정상적인 발행 여부를 판단하는 정상 발행 판별부,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형상정보로 변환하고 기 저장된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의 형상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위변조 판별부를 포함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판별부는,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 및 기준점 좌표정보 추출하고,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 및 기준점 좌표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기준점좌표정보와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기준점좌표정보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가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가 얼마나 이격 되었는지에 대한 이격수치를 연산하고, 상기 이격수치가 일정 값 이상 넘는 경우에 대해 위변조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판매소 등록창을 통해 판매소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주문정보의 전송 시 상기 판매소정보를 상기 주문정보와 함께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판매소등록부
    를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을 주문하기 위한 앱의 설치와 인터페이스 구동 및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통신기능을 관리하는 프로그램 관리부;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의 용량정보를 입력 받는 주문규격 입력부;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의 수량정보를 입력 받는 주문수량 입력부; 및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의 용량정보 및 수량정보의 주문을 확정하여 주문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주문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주문정보가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주문정보를 주문내역으로 출력하는 주문내역부를 더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수거여부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거여부정보가 기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다시 입력 받는 경우 이중 수거로 판별하는 이중 수거 판별부를 더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를 생산하는 사업장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 받아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상기 종량제 납부필증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공정정보를 생성하는 종량제 쓰레기봉투 생산자단말을 더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10. 각각의 지자체에서 운영서버로 종량제 식별코드를 요청하는 식별코드 발행 요청단계;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지자체 각각에 대한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식별코드 생성단계; 및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종량제 쓰레기봉투 생산자단말로 전송하여 인쇄공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쇄공정정보를 통해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에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가 인쇄된 상태로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생성하는 종량제 쓰레기봉투 및 종량제 납부필증 제작단계;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운영서버로 판매소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하는 판매소정보 등록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운영서버로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의 용량 및 수량에 관한 주문정보와 상기 판매소정보를 전송하여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주문하는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 주문단계를 포함하고,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이 부착된 쓰레기를 수거 시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 납부필증에 인쇄된 종량제 식별코드를 스캔부로 스캔하여 종량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종량제 식별코드를 수거업체단말에서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식별코드 추출단계;
    정상 발행 판별부에서 운영서버에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와 상기 수거업체단말에서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가 일치하는지를 판별함으로써 정상적인 발행 여부를 판별하는 정상발행 판별단계;
    이중 수거 판별부에서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수거여부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거여부정보가 기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를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다시 입력받는 경우 이중 수거로 판별하는 이중수거 판별단계; 및
    위변조 판별부에서 운영서버에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형상정보와 상기 수거업체단말에서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형상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별함으로써, 종량제 식별코드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위변조 판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판별부는,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 및 기준점 좌표정보 추출하고,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 및 기준점 좌표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기준점좌표정보와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기준점좌표정보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거업체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가 기 저장된 종량제 식별코드의 외곽좌표정보가 얼마나 이격 되었는지에 대한 이격수치를 연산하고, 상기 이격수치가 일정 값 이상 넘는 경우에 대해 위변조정보를 생성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104898A 2016-08-18 2016-08-18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1746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898A KR101746472B1 (ko) 2016-08-18 2016-08-18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898A KR101746472B1 (ko) 2016-08-18 2016-08-18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472B1 true KR101746472B1 (ko) 2017-06-14

Family

ID=5921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898A KR101746472B1 (ko) 2016-08-18 2016-08-18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47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4834A (zh) * 2017-12-13 2018-04-20 哈尔滨渤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健身saas大数据一体化管理平台
KR101937455B1 (ko) * 2017-07-07 2019-01-11 한국플랫폼솔루션 주식회사 종량제 봉투 도매 관리 시스템
KR101954400B1 (ko) * 2018-08-21 2019-03-05 주식회사 제이엠퓨처 종량제 쓰레기 납부필증과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쓰레기 수거 차량 제어가 가능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68988A (ko) 2018-12-06 2020-06-16 석수미 현관 앞 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그 방법
CN112320129A (zh) * 2020-10-27 2021-02-05 深圳市环资源科创投资有限公司 一种用于社区的垃圾分类系统及方法
KR102287868B1 (ko) 2021-02-02 2021-08-10 (주)제이엠테크 종량제 통합 관리 운영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455B1 (ko) * 2017-07-07 2019-01-11 한국플랫폼솔루션 주식회사 종량제 봉투 도매 관리 시스템
CN107944834A (zh) * 2017-12-13 2018-04-20 哈尔滨渤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健身saas大数据一体化管理平台
KR101954400B1 (ko) * 2018-08-21 2019-03-05 주식회사 제이엠퓨처 종량제 쓰레기 납부필증과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쓰레기 수거 차량 제어가 가능한 통합 관리 시스템
WO2020040398A1 (ko) * 2018-08-21 2020-02-27 주식회사 제이엠퓨처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쓰레기 수거 차량 제어가 가능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68988A (ko) 2018-12-06 2020-06-16 석수미 현관 앞 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그 방법
CN112320129A (zh) * 2020-10-27 2021-02-05 深圳市环资源科创投资有限公司 一种用于社区的垃圾分类系统及方法
KR102287868B1 (ko) 2021-02-02 2021-08-10 (주)제이엠테크 종량제 통합 관리 운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72B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1954400B1 (ko) 종량제 쓰레기 납부필증과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쓰레기 수거 차량 제어가 가능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628624B1 (ko)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하는 이종국가간 송금시스템 및 방법
KR102451561B1 (ko) 무인 우편/택배 관리 시스템
CA2469699C (en) Delivery of goods to electronic storage lockers
US74249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digital currency
US20090014363A1 (en) Drop-off recyc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4395917A (zh) 用于将移动通信终端用作支付终端的应用程序、应用服务提供商系统及方法
KR20130140285A (ko)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23098A (ko) 모바일 단말기의 lcd 바코드를 이용한 전자결제시스템, 그 전자 결제 방법 및 현금지급 방법
KR101543457B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위조방지를 위한 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2018517997A (ja) 無人郵便/宅配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34214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제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03886A (ko) 모바일 영수증을 이용한 상품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54399B1 (ko) 적재관리를 통한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제 처리 시스템
KR20070041811A (ko) 전자식별법을 활용한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방법
NZ563051A (en) Delivering a patent specification using a patent identifier and country selection
TWI605395B (zh) 用於代收第三方帳款的代收帳款平台、代收帳款系統與代收帳款的方法
JP5835818B2 (ja) 注文情報を集積・判定する事による不正注文情報の照会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及び情報照会装置
US20170132692A1 (en) Simplified delivery of shipments with goods not yet paid for
KR101569661B1 (ko) 로컬 푸드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407277B1 (ko) 종량제 물품 레이블 생성 장치, 이를 이용한 종량제 물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021227A2 (en) Drop-off recyc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90011296U (ko) 관급쓰레기 종량제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및 쓰레기봉투자동판매 시스템
KR102298554B1 (ko) 종량제봉투, 납부필증 및 대형폐기물 수거 수수료 스티커 판매 자판기를 이용한 통합 판매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