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339B1 -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판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판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339B1
KR101746339B1 KR1020160064084A KR20160064084A KR101746339B1 KR 101746339 B1 KR101746339 B1 KR 101746339B1 KR 1020160064084 A KR1020160064084 A KR 1020160064084A KR 20160064084 A KR20160064084 A KR 20160064084A KR 101746339 B1 KR101746339 B1 KR 10174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late
abacus
conductors
spac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석
정창원
고훈
정희원
이후석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4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판알이 이동하는 세로대의 내부에 저항이 구비되어 세로대의 외관이 심플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저항의 전압분배법칙을 이용하여 주판알의 이동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주판틀(100)과, 주판틀(100)의 내부공간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할되도록 주판틀(100)의 내부공간에 좌우로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가름대(200)와, 가름대(200)를 거쳐서 주판틀(100)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대(300)와, 세로대(3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주판틀(100)의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에 분리되게 위치되는 다수의 주판알(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판 표시 시스템{APPARATUS OF DETECTING POSITION OF COUNTER AND ABACUS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판알이 이동하는 세로대의 내부에 저항이 구비되어 세로대의 외관이 심플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저항의 전압분배법칙을 이용하여 주판알의 이동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판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판은 수판 또는 산판이라 불리고, 수판셈에 의해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계산을 하는 간편한 계산도구이다. 주판은 주판틀에 윗알과 아래알로 구성된 주판알과 상기 주판알이 이동하는 세로대로 구성된다. 주판은 사용자가 세로대에 위치하는 주판알을 움직이면서 원하는 계산 결과를 도출해낸다. 이러한, 주판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한 컴퓨터와 전자계산기의 보급이 보편화되어 주판의 사용이 많이 퇴색되었다.
그러나, 주판은 사람의 연산능력과 학습능력 발달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어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3-0021208호에 서 "전자주판"이라는 제목으로 제안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에서 제안하는 전자주판은 주판틀에 설치된 자릿대의 위치와 그 자릿대에 결합되고, 내부에 자석이 구비된 주판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단과 그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자릿대의 위치와 주판알의 움직임에 따른 계산정보를 분석하는 분석수단 및 상기 분석결과를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USB 연결포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각 자릿대에 위치한 주판알을 움직이면, 주판알의 내부에 위치하는 자석이 움직여 자장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자장은 전자주판의 저면에 위치한 감지수단에 검출되어 주판알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그리고, 감지수단에서 검출된 주판알의 위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주판알의 움직임과 자릿대의 위치에 따른 계산정보를 분석수단에서 분석한 후 분석된 데이터를 USB 연결포트를 통해 컴퓨터로 전송한다.
그러나, 주판알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주판알 내부에 자석을 설치하거나, 주판알을 자석으로 제조해야함으로 주판알의 가공과 제조과정이 복잡해져 대량생산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판알에 자석이 설치되면 주판알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여 서로 붙어 있게 되고, 이로 인한 주판알의 이동이 불편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판알이 이동하는 세로대의 내부에 저항이 구비되어 세로대의 외관이 심플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저항의 전압분배법칙을 이용하여 주판알의 이동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판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주판틀(100)과, 주판틀(100)의 내부공간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할되도록 주판틀(100)의 내부공간에 좌우로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가름대(200)와, 가름대(200)를 거쳐서 주판틀(100)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대(300)와, 세로대(3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주판틀(100)의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에 분리되게 위치되는 다수의 주판알(400)을 포함하며, 세로대(300)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연이어지는 상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주판틀(100)에 고정되는 다수의 도체(310)와,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고, 도체(310)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는 상태로 도체(310)들의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부도체(320)와, 부도체(320)들의 내부공간에 각각 위치되는 다수의 저항과, 저항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이 인가되는 다수의 전원라인(340)과, 전원라인(340)들 각각에 접속된 상태로 도체(310)들의 내주면에 양단이 연결되는 도체선(350)을 포함하고, 주판알(400)은 내면에 노출되어 도체(310)들에 양단이 각각 접촉되어 도체(3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도체(310)들 및 부도체(320)들이 교번으로 연이어져서 일직선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도체(310)는 부도체(320)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주판알(400)은 접점수단이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접점수단은 주판알(400)의 내면에 노출되어 도체(310)들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포고핀(410)과, 포고핀(4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포고핀연결선(420)을 포함하고, 포고핀연결선(420)에 연결된 포고핀(410)들은 부도체(320)의 길이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접점수단은 주판알(40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40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접점몸체(430)와, 접점몸체(430)의 양단에 절곡되거나 휘어지게 형성되어 볼록하게 돌출되어서 도체(310)들에 각각 접속되는 접점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접점수단은 주판알(40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40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체(450)와, 고정체(450)의 양단에 코일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체(460)와, 탄성체(460)들에 각각 고정되어 도체(310)들에 각각 접속되는 접점단부(4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를 이용하는 주판 표시 시스템은, 주판알(400)의 이동에 따라 주판알(400)의 포고핀(41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저항을 제외한 나머지 저항들을 통과한 저항값을 인식하여, 이동된 주판알(400)에 해당되는 수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표시수단(500)은 주판알(400)의 이동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들을 통과하는 각각의 전압을 인식하는 전압인식부(510)와, 전압인식부(510)에서 인식되는 전압들을 계산하는 전압계산부(520)와, 전압계산부(520)에서 계산된 계산값에 대응되는 수치가 저장되는 수치저장부(530)와, 전압계산부(520)에서 계산된 계산값에 대응되는 수치를 수치저장부(530)에서 검색하여 선택하는 수치선택부(540)와, 수치선택부(540)에서 선택된 수치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수치출력부(550)와, 주판틀(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1저항(R1)을 포함하고, 제1저항(R1)을 통과하기 전의 전압과 제1저항(R1)을 통과한 후의 전압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이상으로 판단하는 이상판단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는, 저항이 주판알이 이동하는 세로대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로대의 외관이 심플하게 형성될 수 있어서 주판알이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항의 전압분배법칙을 이용하여 주판알의 이동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판 표시 시스템은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인식된 주판알에 해당되는 수치를 화면으로 출력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해서 보인 도면.
도 3(a)(b)는 본 발명의 주판알에 구비되는 접점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표시수단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판알이 이동되어 1을 표시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주판알이 이동되어 2를 표시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주판알이 이동되어 3을 표시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주판알이 이동되어 4를 표시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주판알이 이동되어 5를 표시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는 본 발명의 주판알이 이동되어 9를 표시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판 표시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판틀(100)과, 가름대(200)와, 세로대(300)와, 주판알(400)과, 표시수단(500)을 포함한다.
주판틀(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름대(200)는 주판틀(100)의 내부공간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할되도록 주판틀(100)의 내부공간에 좌우로 가로질러서 설치된다. 이러한, 가름대(200)는 장방형의 판재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공간의 주판알(400)이 하부공간으로 이동됨을 차단하고, 하부공간의 주판알(400)이 상부공간으로 이동됨을 차단한다.
세로대(300)는 다수로 구성되어 가름대(200)를 거쳐서 주판틀(100)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세로대(300)를 따라 주판알(400)이 이동될 수 있고, 세로대(300)들이 주판알(400)의 폭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됨에 따라, 세로대(300)들에서 각각 이동되는 주판알(400)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세로대(300)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연이어지는 상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주판틀(100)에 고정되는 다수의 도체(310)와,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고, 도체(310)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는 상태로 도체(310)들의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부도체(320)와, 부도체(320)들의 내부공간에 각각 위치되는 다수의 저항과, 저항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이 인가되는 다수의 전원라인(340)과, 전원라인(340)들 각각에 접속된 상태로 도체(310)들의 내주면에 양단이 연결되는 도체선(350)을 포함한다.
도체(310) 및 부도체(320)는 각각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면서 접착제나 돌기 및 홈의 결합 또는 볼팅에 의해 나란히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부도체(320)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저항이 위치된다.
여기서, 도체(310)들 및 부도체(320)들이 교번으로 연이어져서 일직선형태를 이루어서 파이프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일직선형태의 세로대(300)를 따라 주판알(400)이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도체(310)는 부도체(320)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부도체(320)가 후술되는 포고핀연결선(420)에 연결된 포고핀(410)들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어서, 포고핀연결선(420)에 연결된 포고핀(410)들이 부도체(320)의 양측에 위치되는 도체(310)들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즉, 포고핀연결선(420)에 연결된 포고핀(410)들에 접속된 도체(310)들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이 흐르게 되므로, 도체(310)들의 사이에 위치되는 저항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저항들은 부도체(320)들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면서 전원라인(340)들의 사이사이에 일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주판알(400)의 포고핀(410)들이 세로대(300)의 도체(310)들에 접속되면, 입력되는 전원이 부도체(32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저항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서, 포고핀(410)들을 통해 도체(310)들에 도통되게 된다.
또한, 저항은 주판틀(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1저항(R1)과, 제1저항(R1)에 전원라인(3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주판틀(100)의 상부공간에 위치되는 제2저항(R2)과, 제2저항(R2)에 전원라인(3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주판틀(100)의 상부공간에 위치되는 제3저항(R3)과, 제3저항(R3)에 전원라인(3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주판틀(100)의 하부공간에 위치되는 제4저항(R4)과, 제4저항(R4)에 전원라인(3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주판틀(100)의 하부공간에 위치되는 제5저항(R5)과, 제5저항(R5)에 전원라인(3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주판틀(100)의 하부공간에 위치되는 제6저항(R6)과, 제6저항(R6)에 전원라인(3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주판틀(100)의 하부공간에 위치되는 제7저항(R7)과, 제7저항(R7)에 전원라인(3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주판틀(100)의 하부공간에 위치되는 제8저항(R8)을 포함한다.
이때, 제1저항(R1), 제2저항(R2), 제3저항(R3), 제4저항(R4), 제5저항(R5), 제6저항(R6), 제7저항(R7), 제8저항(R8)은 각기 다른 저항값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제1저항(R1)은 11킬로옴의 저항값을 갖고, 제2저항(R2)은 11킬로옴의 저항값을 갖고, 제3저항(R3)은 6킬로옴의 저항값을 갖고, 제4저항(R4)은 1킬로옴의 저항값을 갖고, 제5저항(R5)은 2킬로옴의 저항값을 갖고, 제6저항(R6)은 3킬로옴의 저항값을 갖고, 제7저항(R7)은 4킬로옴의 저항값을 갖고, 제8저항(R8)은 5킬로옴의 저항값을 갖는다.
도체선(350)은 도체(310)의 내부공간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선될 수 있다.
전원라인(340)들은 도체(310)의 내부공간에서 세로방향으로 배선되면서 저항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도체선(350)이 측방으로 접속될 수 있다.
주판알(400)은 다수로 구성되어 세로대(3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주판틀(100)의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에 분리되게 위치된다. 이러한, 주판알(400)은 부도체인 합성수지나 나무로 구성되며, 주판알(400)은 내면에 노출되어 도체(310)들에 양단이 각각 접촉되어 도체(3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핀과 같은 도체로 구성되는 접점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주판알(400)에는 세로대(300)가 관통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홀(401)이 형성되어 있어서, 세로대(300)를 따라 주판알(400)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주판알(400)에 형성된 관통홀(401)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접점수단이 도체(310)들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접점수단은 주판알(400)의 내면에 노출되어 도체(310)들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포고핀(410)과, 포고핀(4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포고핀연결선(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포고핀(410)은 주판알(400)에 형성된 관통홀(401)의 내주면에 노출되어 도체(310)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포고핀(410)은 주판알(400)에 내장되며 끝단이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포고핀(410)의 끝단은 반구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서 주판알(400)이 세로대(300)를 따라 이동될 때 포고핀(410)이 세로대(300)에 마찰됨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전원의 도통됨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포고핀연결선(420)은 주판알(400)에 내장되며 포고핀(410)들에 양단이 연결되는 심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포고핀연결선(420)에 연결된 포고핀(410)들은 부도체(320)의 길이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고핀(410)들이 부도체(320)의 양측에 위치되는 도체(310)들에 접속될 수 있다.
더욱이, 주판알(400)은 접점수단이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세로대(300)에서 주판알(400)이 회전되어 접점수단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향하여 도체(310)에서 이격되는 경우 전원이 도통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때, 반대편에 위치되는 접점수단이 도체(310)에 접속되므로 전원이 안정적으로 도통될 수 있다. 즉, 주판알(400)이 회전되어도 주판알(400)의 접점수단이 도체(310)에 접속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접점수단은 주판알(40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40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접점몸체(430)와, 접점몸체(430)의 양단에 절곡되거나 휘어지게 형성되어 볼록하게 돌출되어서 도체(310)들에 각각 접속되는 접점부(440)를 포함한다.
접점몸체(430)는 금속판이나 금속핀으로 구성되고, 접점부(440)는 접점몸체(430)의 양단에 연이어지면서 삼각형태로 뾰족하거나 원호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점몸체(430)인 금속판의 양단을 볼록하게 절곡시켜서 접점부(440)를 형성시킨 후에, 주판알(400)에 형성된 관통홀(401)의 내주면에 접착제나 핀을 이용하여 접점몸체(43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주판알(400)을 세로대(300)에 끼우면 접점부(440)들이 세로대(300)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판알(400)을 이동시키면 접점부(440)들이 이동되어서 세로대(300)의 도체(310)들에 각각 탄력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즉, 접점수단은 도체(3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주판알(400)에 형성되는 관통홀(401)의 내주면에 돌기(40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돌기(402)에 접점몸체(430)가 고정되면, 접점몸체(430)가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어서, 접점몸체(430) 및 접점부(440)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즉, 접점몸체(430) 및 접점부(440)의 형상이 최소한으로 변형되면서도 접점부(440)들의 접촉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접점수단은 주판알(40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40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체(450)와, 고정체(450)의 양단에 코일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체(460)와, 탄성체(460)들에 각각 고정되어 도체(310)들에 각각 접속되는 접점단부(470)를 포함한다.
고정체(450)는 금속핀이나 금속판과 같은 도체로 구성되어, 관통홀(401)의 내주면에 접착제나 핀에 의해 고정된다.
탄성체(460)는 금속의 압축스프링형태로 형성되어 고정체(45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서 고정된다. 즉, 탄성체(460)는 고정체(4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점단부(470)는 금속의 볼이나 반구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체(4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탄성체(4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탄력지지 되는 접점단부(470)가 세로대(300)에 접촉된 상태에서, 주판알(400)이 세로대(300)를 따라 이동되면 접점단부(470)들이 도체(310)들에 각각 접속된다. 즉, 접점수단은 도체(3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표시수단(500)은 주판알(400)의 이동에 따라 주판알(400)의 포고핀(41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저항을 제외한 나머지 저항들을 통과한 저항값을 인식하여, 이동된 주판알(400)에 해당되는 수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주판알(400)의 이동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들을 통과하는 각각의 전압을 인식하는 전압인식부(510)와, 전압인식부(510)에서 인식되는 전압들을 계산하는 전압계산부(520)와, 전압계산부(520)에서 계산된 계산값에 대응되는 수치가 저장되는 수치저장부(530)와, 전압계산부(520)에서 계산된 계산값에 대응되는 수치를 수치저장부(530)에서 검색하여 선택하는 수치선택부(540)와, 수치선택부(540)에서 선택된 수치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수치출력부(550)를 포함한다.
전압인식부(510)는 저항들을 통과하는 전압에 대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A/D컨번터(도시생략)를 포함한다. 따라서, 주판알(400)이 이동됨에 따라 각기 다른 저항값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을 인식할 수 있다.
전압계산부(520)는 각 저항들에 각각 부여된 각기 다른 저항값을 근거로 전압분배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수치저장부(530)는 전압계산부(520)에서 계산되는 계산값들과 각 계산값에 해당되는 수치를 저장하도록 메모리를 포함한다.
수치선택부(540)는 전압계산부(520)에서 계산된 계산값에 해당되는 수치를 검색하여 선택한다.
수치출력부(550)는 선택된 수치를 모니터의 화면으로 출력되게 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판알(400)이 이동될 때마다 전압계산부(520)에서 계산값이 계산되면 계산된 계산값에 해당되는 수치를 수치선택부(540)가 선택하면, 선택된 수치가 수치출력부(55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수치는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화면을 통해 수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소리를 청취하여 자신이 주판알(400)들을 이동시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가감된 최종 합산값에 대한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볼트의 전원이 입력되는 상태에서 주판알(400)이 이동에 따라 전압계산부(520)가
Figure 112016050278643-pat00001
를 계산하면, 수치선택부(540)가 '0'을 선택하고, 주판알(400)이 이동에 따라 전압계산부(520)가
Figure 112016050278643-pat00002
를 계산하면, 수치선택부(540)가 '1'을 선택하고, 주판알(400)이 이동에 따라 전압계산부(520)가
Figure 112016050278643-pat00003
를 계산하면, 수치선택부(540)가 '2'를 선택하고, 주판알(400)이 이동에 따라 전압계산부(520)가
Figure 112016050278643-pat00004
를 계산하면, 수치선택부(540)가 '3'을 선택하고, 주판알(400)이 이동에 따라 전압계산부(520)가
Figure 112016050278643-pat00005
를 계산하면, 수치선택부(540)가 '4'를 선택하고, 주판알(400)이 이동에 따라 전압계산부(520)가
Figure 112016050278643-pat00006
를 계산하면, 수치선택부(540)가 '5'를 선택하고, 주판알(400)이 이동에 따라 전압계산부(520)가
Figure 112016050278643-pat00007
를 계산하면, 수치선택부(540)가 '6'을 선택하고, 주판알(400)이 이동에 따라 전압계산부(520)가
Figure 112016050278643-pat00008
를 계산하면, 수치선택부(540)가 '7'을 선택하고, 주판알(400)이 이동에 따라 전압계산부(520)가
Figure 112016050278643-pat00009
를 계산하면, 수치선택부(540)가 '8'을 선택하고, 주판알(400)이 이동에 따라 전압계산부(520)가
Figure 112016050278643-pat00010
를 계산하면, 수치선택부(540)가 '9'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주판알(400)의 이동에 따라 표시수단(500)을 통해 1에서 9까지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세로대(300)에 각기 다른 저항값을 갖는 저항들이 구비되므로 다른 세로대(300)를 따라 주판알(400)의 이동하는 경우 표시수단(500)을 통해 10에서 90까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표시수단(500)은 제1저항(R1)을 통과하기 전의 전압과 제1저항(R1)을 통과한 후의 전압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이상으로 판단하는 이상판단부(56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이 5볼트일 때 제1저항(R1)을 통과한 후의 전압은 5볼트보다 작아야 하므로, 입력전의 전압과 입력 후의 전압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이상판단부(560)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상이 발생됨을 확인하여 조취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주판알(400)을 이동시킬 때마다 표시수단(500)을 통해 수치가 표시되므로, 주판알(400)을 이동시킨 결과(수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으므로, 전자식 주판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주판틀 200 : 가름대
300 : 세로대 310 : 도체
320 : 부도체 340 : 전원라인
350 : 도체선 400 : 주판알
410 : 포고핀 420 : 포고핀연결선
500 : 표시수단
610 : 전압인식부 620 : 전압계산부
630 : 수치저장부 640 : 수치선택부
650 : 수치출력부 660 : 이상판단부
R1 : 제1저항 R2 : 제2저항
R3 : 제3저항 R4 : 제4저항
R5 : 제5저항 R6 : 제6저항
R7 : 제7저항 R8 : 제8저항

Claims (9)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주판틀(100)과,
    주판틀(100)의 내부공간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할되도록 주판틀(100)의 내부공간에 좌우로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가름대(200)와,
    가름대(200)를 거쳐서 주판틀(100)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대(300)와,
    세로대(3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주판틀(100)의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에 분리되게 위치되는 다수의 주판알(400)을 포함하며,
    세로대(300)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연이어지는 상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주판틀(100)에 고정되는 다수의 도체(310)와,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고, 도체(310)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는 상태로 도체(310)들의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부도체(320)와,
    부도체(320)들의 내부공간에 각각 위치되는 다수의 저항과,
    저항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이 인가되는 다수의 전원라인(340)과,
    전원라인(340)들 각각에 접속된 상태로 도체(310)들의 내주면에 양단이 연결되는 도체선(350)을 포함하고,
    주판알(400)은 내면에 노출되어 도체(310)들에 양단이 각각 접촉되어 도체(3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체(310)들 및 부도체(320)들이 교번으로 연이어져서 일직선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도체(310)는 부도체(320)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주판알(400)은 접점수단이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점수단은
    주판알(400)의 내면에 노출되어 도체(310)들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포고핀(410)과,
    포고핀(4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포고핀연결선(420)을 포함하고,
    포고핀연결선(420)에 연결된 포고핀(410)들은 부도체(320)의 길이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점수단은
    주판알(40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40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접점몸체(430)와,
    접점몸체(430)의 양단에 절곡되거나 휘어지게 형성되어 볼록하게 돌출되어서 도체(310)들에 각각 접속되는 접점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점수단은
    주판알(40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40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체(450)와,
    고정체(450)의 양단에 코일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체(460)와,
    탄성체(460)들에 각각 고정되어 도체(310)들에 각각 접속되는 접점단부(4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와,
    주판알(400)의 이동에 따라 주판알(400)의 포고핀(41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저항을 제외한 나머지 저항들을 통과한 저항값을 인식하여, 이동된 주판알(400)에 해당되는 수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판 표시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표시수단(500)은
    주판알(400)의 이동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들을 통과하는 각각의 전압을 인식하는 전압인식부(510)와,
    전압인식부(510)에서 인식되는 전압들을 계산하는 전압계산부(520)와,
    전압계산부(520)에서 계산된 계산값에 대응되는 수치가 저장되는 수치저장부(530)와,
    전압계산부(520)에서 계산된 계산값에 대응되는 수치를 수치저장부(530)에서 검색하여 선택하는 수치선택부(540)와,
    수치선택부(540)에서 선택된 수치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수치출력부(550)와,
    주판틀(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1저항(R1)을 포함하고,
    제1저항(R1)을 통과하기 전의 전압과 제1저항(R1)을 통과한 후의 전압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이상으로 판단하는 이상판단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판 표시 시스템.
KR1020160064084A 2016-05-25 2016-05-25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판 표시 시스템 KR10174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084A KR101746339B1 (ko) 2016-05-25 2016-05-25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판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084A KR101746339B1 (ko) 2016-05-25 2016-05-25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판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339B1 true KR101746339B1 (ko) 2017-06-12

Family

ID=5921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084A KR101746339B1 (ko) 2016-05-25 2016-05-25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판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882B1 (ko) * 2017-11-13 2019-02-18 손범석 전자주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2851A (ja) 2009-02-20 2010-09-02 Alps Electric Co Ltd 可変抵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2851A (ja) 2009-02-20 2010-09-02 Alps Electric Co Ltd 可変抵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882B1 (ko) * 2017-11-13 2019-02-18 손범석 전자주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6266B (zh) 锻炼跟踪器
US6909373B2 (en) Floor monitoring system
CN105426027B (zh) 具有基于电容性数据的锐度的自适应触摸感测阈值的电容式触摸屏
CN104718521B (zh) 触摸传感器和电子设备
CN105093000B (zh) 测试装置
CN106175763A (zh) 用于测量体脂的装置及其方法
KR101746339B1 (ko) 주판알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판 표시 시스템
US10976381B2 (en) Magnetic field monitor having automated quantitative calibration of magnetic field sensor
CN103675489B (zh) 应用于触控装置的测试系统及测试方法
US3029526A (en) Olalainty
RU2636020C1 (ru) Учебный стенд по электронике
KR20070117408A (ko) 다목적 반응시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US10107836B2 (en) Talking test light
US4561852A (en) Computer assisted teaching machine that uses two electroresistive sheets
CN216167408U (zh) 一种有创血压监护仪检测设备及系统
JP5200198B1 (ja) 動作確認支援装置および動作確認支援方法
EP4006880A1 (en) Method for simulating an electrical circuit,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and simulating component
US11953524B2 (en) Tool for electronics testing and diagnostics
US11512978B2 (en) Scanner for differentiating objects detected behind an opaque surface
CN109239130A (zh) 一种材料识别装置及识别方法
CN204332130U (zh) 一种元器件识别与检测技能训练装置
RU12114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сихо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US9274166B2 (en) Pin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JP6965151B2 (ja) 吸着プローブおよび測定装置
CN207396672U (zh) 测试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