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074B1 -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074B1
KR101746074B1 KR1020150190680A KR20150190680A KR101746074B1 KR 101746074 B1 KR101746074 B1 KR 101746074B1 KR 1020150190680 A KR1020150190680 A KR 1020150190680A KR 20150190680 A KR20150190680 A KR 20150190680A KR 101746074 B1 KR101746074 B1 KR 101746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rame
forgery
selection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범
윤용인
Original Assignee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90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23Analysis of motion using block-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한 입력영상 데이터를 관심영역별로 프레임을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프레임에서 동일 관심영역별 색의 대비를 시간순으로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색의 대비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위변조 프레임을 판단하는 위변조 분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위변조의 다양한 유형검출을 축적하여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동영상의 위변조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재생산된 유형별 위변조 영상에 대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동영상의 위변조 유형별로 위변조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으며, 유저인터페이스로 사용자가 손쉽게 선택영역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analyzing the forgery of digital video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동영상의 위변조 유형별로 위변조 분석을 수행하는 디지털 위변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시각각 디지털 콘텐츠가 생산되고 초고속 인터넷을 통해 생산된 콘텐츠가 지역과 국가를 초월하여 공유됨에 따라, 생산된 디지털 콘텐츠의 지적재산권 보장 요구 및 왜곡된 콘텐츠에 대한 명확한 검증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사진이나 영상물의 합성·조작 여부 등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 초기에는 어도비 포토샵 등의 영상제작도구를 사용하여 위, 변조 여부를 검출하였으나, 작업자의 평가 성향에 따라 분석 기준 및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디지털 영상 데이터의 위변조 또는 도용 방지를 위해서 워터마크(watermark) 또는 디지털 지문(fingerprint)을 데이터에 삽입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는데, 디지털 영상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07719호 등에 상술되어 있다.
전술한 선행 기술자료에서 사용되고 있는 워터마크 삽입 기술은 DCT 계수를 해쉬 함수(Hash Function) 혹은 비밀키 암호 발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MAC (Message Authentication Code)를 생성한 후, DCT 계수에 첨가하거나 압축된 스트림의 헤더 파일에 추가하는 방식에 기초하고 있다
디지털 영상 데이터 자체의 위조 또는 변조의 검출 자체는 가능하지만, 위변조가 발생한 영상 데이터 내에서 위변조가 발생한 부위를 정확히 어느 곳인지 색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디지털 워터마크 기법은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인 사용자의 ID나 자신만의 정보를 삽입시킴으로써 불법적인 복제를 막고, 지적 재산권 및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술이나, 가격이나 활용능력 등의 한계로 인해 이미 생산되어 있는 막대한 양의 모든 콘텐츠에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디지털 영상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 및 지적재산권 보호를 공정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영상 리샘플링(Image Re-sampling)이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영상의 위, 변조 분석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CCTV나 블랙박스 등의 동영상에 대한 위, 변조 연구는 전무한 상태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디지털 기기들을 사용한 동영상물의 대량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지털 콘텐츠의 지적재산권 침해나 사회적 범죄로의 이용 등 사회적으로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디지털 영상의 위변조 유형을 기반으로 하여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은 수신한 입력영상 데이터를 관심영역별로 프레임을 추출하는 추출부(100); 추출된 프레임에서 동일 관심영역별 색의 대비를 시간순으로 비교하는 비교부(200); 및 상기 색의 대비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위변조 프레임을 판단하는 위변조 분석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추출부(100)는 수신한 입력영상 데이터 중,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모듈(110); 및 상기 감지모듈의 움직임 감지여부에 따라 입력영상 데이터를 배경영역 또는 움직임 영역을 구분하여 관심영역으로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모듈(120);을 포함하고, 외부 선택명령에 의한 선택영역 프레임을 추출하는 선택영역 프레임 추출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선택입력명령에 따라 프레임의 추출 시작과 끝을 지정하는 선택시간 추출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부(200)는 추출된 프레임에서 관심영역별로 시간에 따라 색상 영역부분과 색상 라인경계 부분을 각각 비교할 수 있고, 위변조 분석부(300)는 위변조된 프레임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유형별로 분류하는 유형별 분류모듈(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 방법은 (a) 제어부가 입력영상 데이터를 관심영역별로 프레임을 추출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추출된 프레임에서 동일 관심영역별 색의 대비를 시간순으로 비교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심영역별 색의 대비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위변조 프레임을 판단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a) 단계는 (a-1) 제어부가 입력영상 데이터 중,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하는 단계; 및 (a-2) 제어부가 상기 움직임 감지여부에 따라 입력영상 데이터를 배경영역 또는 움직임 영역을 구분하여 관심영역으로 프레임을 추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a-3) 제어부가 외부 선택명령에 의한 선택영역 프레임을 추출하는 선택영역 프레임 추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a-4) 외부로부터 선택입력명령에 따라 프레임의 추출 시작과 끝을 지정하는 선택시간 추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b) 단계는 (b-1) 제어부가 추출된 프레임에서 관심영역별로 시간에 따라 색상 영역부분과 색상 라인경계 부분을 각각 비교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 (c) 단계는 (c-1) 제어부가 위변조된 프레임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유형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동영상 위변조의 다양한 유형검출을 축적하여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동영상의 위변조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재생산된 유형별 위변조 영상에 대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동영상의 위변조 유형별로 위변조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으며, 유저인터페이스로 사용자가 손쉽게 선택영역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의 입력영상 삽입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의 영상입력 화면에서 선택영역을 지정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의 입력영상과 분석결과 출력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의 움직임에 따른 배경영역과 움직임영역에 따른 위변조 분석결과인 출력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의 선택영역에 따른 신호등 신호영상의 위변조 분석결과인 출력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은 추출부(100), 비교부(200), 위변조 분석부(300), 데이터베이스부(400), 유저인터페이스(500),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의 입력영상 삽입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추출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관심영역별로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추출부(100)는 감지모듈(110), 프레임 추출모듈(120), 선택영역 프레임 추출모듈(130), 선택시간 추출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모듈(110)은 다수의 픽셀들로 구성된 입력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모듈은 수신한 입력영상 데이터 중,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프레임 추출모듈(120)은 다수의 픽셀들 각각에 적용된 보간 계수를 검출하고, 감지모듈의 움직임 감지여부에 따라 입력영상 데이터를 배경영역 또는 움직임 영역을 구분하여 관심영역으로 프레임을 추출할 수도 있다.
선택영역 프레임 추출모듈(130)은 유저인터페이스의 외부 선택명령에 의한 선택영역 프레임을 지정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영역 프레임 추출모듈을 통해 차량의 블랙박스 영상에서 신호등의 신호 부분을 지정할 수도 있고, 차량의 번호판을 지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선택영역을 지정함으로써, 특히 범죄자가 위변조하여 이득을 볼 수 있는 부분을 관심영역으로 특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의 영상입력 화면에서 선택영역을 지정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의 입력영상과 분석결과 출력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인터페이스의 외부 선택명령에 의한 선택영역 프레임을 지정하여 추출할 수 있다.
선택시간 추출모듈(140)은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부터 선택입력명령에 따라 시간별 프레임의 추출 시작과 끝을 지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출부(10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입력영상 데이터를 관심영역별로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는데, 이때 관심영역은 위에서 분류하는 배경영역, 움직임 영역, 선택영역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의 움직임에 따른 배경영역과 움직임영역에 따른 위변조 분석결과인 출력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의 선택영역에 따른 신호등 신호영상의 위변조 분석결과인 출력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영역과 움직임영역을 구분할 수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신호등 신호영상의 선택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교부(200)는 검출된 보간 계수를 기준 보간계수와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교부(200)는 추출된 프레임에서 동일 영역의 색의 대비를 시간순으로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색의 대비는 추출된 프레임의 관심영역별로 시간에 따른 색상 영역부분과 색상 라인경계 부분을 각각 비교하는 것으로, 색상의 차이가 임의 일정 허용범위를 넘어 두드러지게 드러날 경우 위변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교부(200)는 추출된 프레임에서 관심영역별로 시간에 따라 색상 영역부분과 색상 라인경계 부분을 각각 비교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분석부(300)는 검출된 보간 계수를 기준 보간계수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다수의 픽셀들을 기준 보간 계수에 의해서 보간된 제1 그룹 픽셀들과 기준 보간 계수에 의해서 보간되지 않은 제2 그룹 픽셀들로 분류하고, 제1 그룹 픽셀들과 제2 그룹 픽셀들 각각의 픽셀 값이 서로 다르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시에 출력된 픽셀들의 색상 정보의 패턴이 일정한 패턴을 갖는 경우 입력 이미지를 위변조된 이미지로 판정하고 색상정보의 패턴이 일정한 패턴을 갖지 않을 경우 입력 이미지를 위변조되지 않은 이미지로 판정한다.
여기서, 기준 보간 계수는 고정된 값으로 설정되어, 입력이미지의 가로방향, 세로방향 및 대각선 방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적용되는 보간 계수이고, 검출된 보간계수는 입력이미지의 가로방향, 세로방향 및 대각선 방향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에 대해서 검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분석부(300)는 다수의 픽셀들을 이용하여 추정 보간계수를 산출하고, 추정된 추정 보간계수를 기준 보간계수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추정 보간계수는 미리 정해진 EM알고리즘(Expectation-Maximization algorithm)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추정 보간 계수를 부연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추정 보간계수는 제1 추정 보간 계수와 제2 추정보간 계수를 포함하고, 제1 추정 보간계수와 제2 추정 보간 계수 각각은
첫째, 입력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들 중에서 제1 픽셀과 상기 제1 픽셀과 가로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픽셀과 제3픽셀에 기초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 값을 상기 제1 추정 보간 계수와 상기 제2 추정 보간 계수 각각에 관하여 미분하고 미분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고, 차이 값은 다음과 같다.
Yi-a1*Yi-1-a2*Yi+1(여기서, Yi은 제1 픽셀, Yi-1은 제2 픽셀, Yi+1은 제3 픽셀, a1은 제1 추정 보간계수, 및 a2는 제2 추정 보간 계수)
둘째, 입력 이미지를 구성하는 G*G(G는 자연수)개의 픽셀들 중에서 제1 픽셀과 상기 제1 픽셀과 세로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픽셀과 제3 픽셀에 기초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 값을 상기 제1 추정 보간 계수와 상기 제2 추정 보간 계수 각각에 관하여 미분하고 미분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고, 차이 값은 다음과 같다.
Yi+G-a3*Yi-a4*Yi+2G(여기서, Yi+G은 제1 픽셀, Yi는 제2 픽셀, Yi+2G은 제3 픽셀, a3는 제1 추정 보간 계수, 및 a4는 제2 추정 보간 계수)
셋째, 입력 이미지를 구성하는 G*G(G는 자연수)개의 픽셀들 중에서 제1 픽셀과 상기 제1 픽셀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픽셀, 제3 픽셀, 제4 픽셀, 및 제5 픽셀에 기초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 값을 상기 제1 추정 보간 계수 내지 상기 제4 추정 보간 계수 각각에 관하여 미분하고 미분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고, 상기 차이 값은 다음과 같다.
Yi+(G+1) - a1*Yi - a2*Yi+2 - a3*Yi+2G - a4*Yi+2(G+1)(여기서, Yi+(G+1)은 제1 픽셀, Yi은 제2 픽셀, Yi+2은 제3 픽셀, Yi+2G은 제4 픽셀, Yi+2(G+1)는 제1 픽셀, a1은 제1 추정 보간 계수, a2는 제2 추정 보간 계수, a3는 제3 추정 보간 계수, 및 a4는 제4 추정 보간 계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분석부(300)는 색의 대비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위변조 프레임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위변조 분석부(300)는 위변조된 디지털 정지영상과 동영상을 판단하고, 위변조된 프레임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유형별로 분류하는 유형별 분류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별 분류모듈(310)은 위변조된 프레임을 유형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유형별 분류는 앞에서 기술한 배경영역, 움직영 영역, 선택영역별로 위변조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유형을 말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의 위변조 분석부(300)는 정지영상 위변조 분석, 동영상 위변조 분석, 정지/동영상 위변조 유형별 분류, 정지/동영상 유형별로 분석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0)는 디지털 동영상의 위변조 분석을 위해 위변조된 정지영상과 동영상을 저장하고, 외부 입력에 따라 위변조 테스트를 위해 추출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색상정보의 패턴 또는 색의 대비로 위변조 프레임을 판단하였지만,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색상정보의 패턴 또는 색의 대비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변조 유형을 학습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위변조 분석부의 위변조 분석을 변형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400)는 정지영상 편집 유형 DB, 정지영상 위변조 유형 DB, 위변조 편집 유형 DB, 동영상 편집 유형 DB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는 40T 하드디??크 2개 이상으로 설치되어 하드랙과 레이어로 구축될 수 있고, 샘플 동영상을 구축하여 동영상에 대한 저장이 수십만개 이상 저장이 가능하며, 정지영상의 수천만장의 위조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유저인터페이스(500)는 외부로부터 입력영상 데이터를 추출부로 입력하거나 외부 선택명령에 의한 선택영역 프레임을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추출부(100), 비교부(200), 위변조 분석부(300), 데이터베이스부(400), 유저인터페이스(50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600)는 입력영상 데이터를 관심영역별로 프레임을 추출하도록 한다(S2).
다음으로 제어부(600)는 추출된 프레임에서 동일 관심영역별 색의 대비를 시간순으로 비교하도록 한다(S4).
그리고 제어부(600)는 관심영역별 색의 대비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위변조 프레임을 판단하도록 한다(S6).
구체적으로 제 S2 단계에서, 제어부(600)는 입력영상 데이터 중,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하고, 움직임 감지여부에 따라 입력영상 데이터를 배경영역 또는 움직임 영역을 구분하여 관심영역으로 프레임을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선택명령에 의한 선택영역 프레임을 추출하는 선택영역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영역 프레임은 차량의 블랙박스 영상을 예로 들면, 신호등 신호와 차량번호판을 선택영역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선택입력명령에 따라 프레임의 추출 시작과 끝을 지정할 수 있다.
제 S4 단계에서, 제어부(600)는 추출된 프레임에서 관심영역별로 시간에 따라 색상 영역부분과 색상 라인경계 부분을 각각 비교하도록 하고, 제 S6 단계에서, 제어부(600)는 위변조된 프레임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유형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
위변조 분석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석부는 수신한 입력이미지를 구성하는 다수의 픽셀들을 검출된 보간 계수를 기준 보간계수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다수의 픽셀들을 기준 보간 계수에 의해서 보간된 제1 그룹 픽셀들과 기준 보간 계수에 의해서 보간되지 않은 제2 그룹 픽셀들로 분류하고, 제1 그룹 픽셀들과 제2 그룹 픽셀들 각각의 픽셀 값이 서로 다르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시에 출력된 픽셀들의 색상 정보의 패턴이 일정한 패턴을 갖는 경우 입력 이미지를 위변조된 이미지로 판정하고 색상정보의 패턴이 일정한 패턴을 갖지 않을 경우 입력 이미지를 위변조되지 않은 이미지로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동영상 위변조의 다양한 유형검출을 축적하여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동영상의 위변조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재생산된 유형별 위변조 영상에 대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동영상의 위변조 유형별로 위변조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으며, 유저인터페이스로 사용자가 손쉽게 선택영역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추출부 110 : 감지모듈
120 : 프레임 추출모듈 130 : 선택영역 프레임 추출모듈
140 : 선택시간 추출모듈 200 : 비교부
300 : 위변조 분석부 310 : 유형별 분류모듈
400 : 데이터베이스 500 : 유저인터페이스
600 : 제어부

Claims (12)

  1. 수신한 입력영상 데이터에서 배경영역, 움직임 영역 및 선택영역을 포함하는 관심영역별로 프레임을 추출하며, 외부로부터 선택입력명령에 따라 시간별 프레임의 추출 시작과 끝의 시간을 선택 지정하는 추출부(100);
    추출된 프레임에서 동일 영역의 색의 대비를 시간순으로 비교하되, 상기 관심영역별로 시간에 따른 색상 영역부분과 색상 라인경계 부분을 각각 비교하는 비교부(200); 및
    상기 색의 대비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위변조 프레임을 판단하는 위변조 분석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100)는
    수신한 입력영상 데이터 중,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모듈(110); 및
    상기 감지모듈의 움직임 감지여부에 따라 입력영상 데이터를 배경영역 또는 움직임 영역을 구분하여 관심영역으로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모듈(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100)는 외부 선택명령에 의한 선택영역 프레임을 추출하는 선택영역 프레임 추출모듈(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100)는 외부로부터 선택입력명령에 따라 프레임의 추출 시작과 끝을 지정하는 선택시간 추출모듈(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위변조 분석부(300)는 위변조된 프레임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유형별로 분류하는 유형별 분류모듈(3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7. 제 1 항의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의 제어부가 입력영상 데이터에서 배경영역, 움직임 영역 및 선택영역을 포함하는 관심영역별로 프레임을 추출하며, 외부로부터 선택입력명령에 따라 시간별 프레임의 추출 시작과 끝의 시간을 선택 지정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추출된 프레임에서 동일 영역의 색의 대비를 시간순으로 비교하되, 상기 관심영역별로 시간에 따른 색상 영역부분과 색상 라인경계 부분을 각각 비교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심영역별 색의 대비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위변조 프레임을 판단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a) 단계는,
    (a-1) 상기 제어부가 입력영상 데이터 중,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하는 단계; 및
    (a-2)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움직임 감지여부에 따라 입력영상 데이터를 배경영역 또는 움직임 영역을 구분하여 관심영역으로 프레임을 추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a) 단계는,
    (a-3) 상기 제어부가 외부 선택명령에 의한 선택영역 프레임을 추출하는 선택영역 프레임 추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a) 단계는,
    (a-4) 상기 제어부가 외부로부터 선택입력명령에 따라 프레임의 추출 시작과 끝을 지정하는 선택시간 추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방법.
  11. 삭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 단계는,
    (c-1) 상기 제어부가 위변조된 프레임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유형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방법.
KR1020150190680A 2015-12-31 2015-12-31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6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680A KR101746074B1 (ko) 2015-12-31 2015-12-31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680A KR101746074B1 (ko) 2015-12-31 2015-12-31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074B1 true KR101746074B1 (ko) 2017-06-12

Family

ID=59219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680A KR101746074B1 (ko) 2015-12-31 2015-12-31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0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775A (ko) 2018-01-12 2019-08-23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지능 심층학습 기반의 영상물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2077A (ko) 2018-05-18 2019-11-27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인코딩 파라미터 예측을 통한 동영상 위변조 검출 방법
CN112101155A (zh) * 2020-09-02 2020-12-18 北京博睿维讯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内容核实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US11842274B2 (en) 2020-01-07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40006261A (ko) 2022-07-06 2024-01-15 동덕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위변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308B1 (ko) * 2012-06-08 2013-12-11 주식회사 마이씨에프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308B1 (ko) * 2012-06-08 2013-12-11 주식회사 마이씨에프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i et al. Estimation of color modification in digital images by CFA pattern change.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226.1, 2013, pp. 94-105.
Farid and Hany. Image forgery detection. IEEE Signal processing magazine, Vol. 26, No. 2, 2009, pp. 16-25.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775A (ko) 2018-01-12 2019-08-23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지능 심층학습 기반의 영상물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2077A (ko) 2018-05-18 2019-11-27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인코딩 파라미터 예측을 통한 동영상 위변조 검출 방법
US11842274B2 (en) 2020-01-07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2101155A (zh) * 2020-09-02 2020-12-18 北京博睿维讯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内容核实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2101155B (zh) * 2020-09-02 2024-04-26 北京博睿维讯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内容核实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20240006261A (ko) 2022-07-06 2024-01-15 동덕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위변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074B1 (ko) 디지털 동영상 위변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Huang et al. Improved DCT-based detection of copy-move forgery in images
Wu et al. Exposing video inter-frame forgery based on velocity field consistency
Mushtaq et al. Digital image forgeries and passive image authentication techniques: a survey
Bidokhti et al. Detection of regional copy/move forgery in MPEG videos using optical flow
Sowmya et al. A survey on video forgery detection
JP2001515688A (ja) 画像への透かしの埋め込み及び検出
KR20140058643A (ko) 강건한 낮은 복잡도 비디오 핑거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50190948A1 (en) Method of embedding a digital watermark and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apparatus
Böhme et al. Media forensics
Chang et al. A passive multi-purpose scheme based on periodicity analysis of CFA artifacts for image forensics
Julliand et al. Automated image splicing detection from noise estimation in raw images
US11244168B2 (en) Method of highlighting an object of interest in an image or video
Patel et al. An improvement of forgery video detection technique using Error Level Analysis
Joseph et al. Literature survey on image manipulation detection
Neenu et al. Image forgery detection based on illumination inconsistencies & intrinsic resampling properties
JP3916984B2 (ja) 電子透かし装置
Liu Correlation analysis for illegal tampering image evidence detection
Meshram et al. Video forensic for video tamper detection
Habeeb et al. A review: video tampering attacks and detection techniques
Pathak et al. Review of techniques for detecting video forgeries
Zheng et al. Exposing image forgery by detecting traces of feather operation
Rani et al. A Brief Review on Existing Techniques for Detecting Digital Image Forgery
Roberts Security camera video authentication
KR20130065277A (ko) 콘텐츠 적응형 시간축 변조를 이용한 비디오 워터마킹 삽입 및 검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