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001B1 - 커패시터를 예비전원으로 구비한 비상유도등 및 그 커패시터 충전상태 점검방법 - Google Patents
커패시터를 예비전원으로 구비한 비상유도등 및 그 커패시터 충전상태 점검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6001B1 KR101746001B1 KR1020150066036A KR20150066036A KR101746001B1 KR 101746001 B1 KR101746001 B1 KR 101746001B1 KR 1020150066036 A KR1020150066036 A KR 1020150066036A KR 20150066036 A KR20150066036 A KR 20150066036A KR 101746001 B1 KR101746001 B1 KR 1017460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capacitor
- reference voltage
- unit
- charg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87 electr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 H02J7/027—
-
- H02J7/1461—
-
- H05B37/04—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커패시터를 예비전원으로 구비한 비상유도등 및 그 커패시터 충전상태 자가 점검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와 같은 배터리를 대신하여 커패시터를 비상시의 예비전원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은 상용 교류전원에 의한 직류전압 공급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비전원인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커패시터의 충전 상태나 불량 뿐만 아니라 유효 동작시간을 비교적 정확히 점검할 수 있으며, 이런 점검 과정에서 예비전원이 유도용 램프를 통해 완전 방전시키는 형태의 점검을 수행할 필요도 없고, 그에 따라 상당한 시간의 점검을 수행할 필요도 없어서 점검을 수행함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상구를 안내하는 비상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와 같은 화학전지를 대신하여 커패시터를 비상시의 예비전원으로 사용하고 커패시터 상태 점검을 수 초정도의 짧은 시간만 진행하면서도 비상시에 예비전원 동작에 이상이 없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커패시터를 예비전원으로 구비한 비상유도등 및 그 커패시터 충전상태 자가 점검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상유도등은 화재 등과 같은 불측의 재난 상태로 건물 내부가 정전된 상태에서 사람들의 안전한 피난을 유도하기 위하여 비상구 등에 설치되는 등으로서, 소방안전 설비에 특히 중요하다. 비상 유도등에는 그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피난구 유도등, 복도통로 유도등, 거실통로 유도등 등이 있다.
비상유도등은 정상 모드에서는 상용 전원을 사용하게 되지만, 정전시에는 내부의 예비전원을 사용하여 일정한 기준시간(예컨대 75분) 이상 점등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종래의 비상유도등의 예비전원으로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인 배터리(예를 들어, 리튬이온 이차전지)가 널리 사용된다. 이차전지가 일반적으로 충분한 용량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비상유도등에는 안전 규격에 따라 그 배터리 전원의 충전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 버튼이 노출 설치된다. 점검 버튼을 누르면, 상용 교류전원이 차단되면서 자동으로 예비 배터리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 이때 예비 전원인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인지 체크하여 불량인지 정상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점검 방식으로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제대로 판단할 수가 없다. 비록 현재의 충전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이어서 정상으로 판단되더라도 이 배터리가 기준 시간 동안 유도등의 점등을 유지할 전원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곧 방전될 것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배터리가 전기 화학반응에 의해 이온이 전극 물질 안에까지 저장되는 화학전지의 특성과도 관련된다. 충전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방전 전압은 방전 시간에 대해 선형 그래프를 그리지 않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커패시터는 이온이 전극의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어서 충전 및 방전전압이 시간에 대하여 선형을 이루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된 경우에는 짧은 시간동안 기준 전압 이상을 유지하다가 갑자기 전압이 급격하게 떨어질 수가 있다. 결국 배터리의 전압을 수 초내지 수 분 체크하여 정상이라고 판단해서는 배터리의 실질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비상유도등의 내부 예비전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75분의 기준 시간동안 점검 버튼을 누리고 있을 수도 없는 것이다.
만약, 배터리 점검을 유효 시간동안 계속 방전시키는 형태로 진행할 경우에는 배터리 점검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방전 중이나 방전 후 완전 충전이 되기 전에 실제 정전이 발생하면 대응할 방법이 없다.
[관련 기술 문헌]
1. 유도등 배터리 점검장치 및 그 방법(특허공개 제10-2010-0088889호)
이 발명은 배터리의 성능을 체크하기 위해 마이컴에서 주기적으로 방전시험을 수행하여, 방전시험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를 발광 다이오드(LED)의 점소등이나 점멸주기로 표시한다. 다만, 도 3 및 도 5에서처럼 배터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방전이 완전이 될때까지 시험하거나 적어도 30분 이상의 방전 테스트를 진행할 수 밖에 없다.
다시 말해, 배터리 점검이라는 것이 배터리가 완전이 방전되거나 유효 방전시간 이상 방전을 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배터리 테스트 과정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주기적으로 시행한다 하더라도 상당한 시간 간격으로 실시할 수 밖에 없고, 혹여 배터리 점검 중이나 배터리 점검 후 충전이 완전이 되기 전에 실제 방전이 일어날 경우에 대응할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전지를 대신하여 커패시터를 비상시의 예비전원으로 사용하고 커패시터 상태 점검을 수 초정도의 짧은 시간만 진행하면서도 비상시에 예비전원 동작에 이상이 없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커패시터를 예비전원으로 구비한 비상유도등 및 그 커패시터 충전상태 자가 점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등은,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여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직류전원으로 유도용 램프를 점등하고, 정전시에는 커패시터를 예비전원으로 하여 상기 유도용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를 위해, 비상유도등은 커패시터와, 충전부와, 스위칭부와, 전압검출부 및 상태점검부를 포함한다. 커패시터는 정전시 상기 예비전원으로 동작하며, 상기 유도용 램프의 소비전력을 유효 동작시간 이상 공급할 수 있는 크기의 공급용량을 가지도록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형태로 복수 개가 연결될 수 있다. 충전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을 충전전압으로 조정하여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하면서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시에 상기 전원공급부로의 방전을 차단한다.
스위칭부는 상기 충전부와 커패시터 사이에 마련되어, 커패시터 상태 점검이벤트 발생시 상기 충전전압의 공급을 차단하고, 전압검출부는 상기 상태 점검 이벤트시에 상기 램프를 거치지 않는 방전 경로를 제공하여 상기 커패시터의 전압을 검출한다.
상태점검부는 상기 상태 점검 이벤트시에 상기 스위칭부가 오픈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전압검출부가 측정한 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커패시터가 상기 유효 동작시간에 대응되는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직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정전시 상기 커패시터의 전환 동작을 점검하는 점검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커패시터는 램프쪽으로 방전하여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러한 점검과 달리, 상기 상태점검부는 상기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점검스위치 조작이 없더라도 상기 커패시터의 이상여부를 상기 상태표시등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압검출부는, 상기 커패시터의 (+)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복수 개의 저항을 구비하여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전압분배하는 전압분배부와, 상기 전압분배된 충전전압을 상기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비교회로부는 상기 전압분배된 충전전압을 제1 내지 제4 기준전압과 각각 비교하는 복수 개의 비교기를 더 구비하되, 제2 및 제3 기준전압은 제1 기준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단계별로 설정하고 제4 기준전압은 상기 제1 기준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태점검부는, 상기 전압분배된 충전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과 제2 기준전압 사이이면 상기 커패시터가 '불량 전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준전압과 제3 기준전압 사이이면 상기 커패시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4 기준전압 이상이면 상기 커패시터가 '과충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은 상기 커패시터 오류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태점검부는 상기 전압검출부가 측정한 전압이 제1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태표시등을 점등한다.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은 화학전지를 대신하여 충전전압과 방전시간의 관계가 비교적 선형 관계를 이루는 커패시터를 예비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확인하는 것으로도 비교적 정확하게 유도등 램프의 점등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유효 동작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은 예비전원인 커패시터의 유효 동작시간 체크를 하기 위하여 상용 교류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커패시터의 충전전압만 확인하는 것이므로, 수 초 정도의 매우 짧은 시간에 수행되어도 예비전원의 유효 동작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비전원 상태 점검을 위해 비상유도등의 예비전원이 완전히 방전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예비전원 상태 점검 중이나 직후에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비상유도등을 유효시간 이상 점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도 안전 규격상 사용자가 예비전원 동작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 스위치를 구비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직접 점검 스위치를 조작하여 점검하지 않더라도, 마이컴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예비전원인 커패시터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그 이상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비전원 점검방법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전압검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비전원 점검방법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전압검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100)은 기본적으로 유도용 램프(101), 전원공급부(103), 커패시터(105), 예비전원공급부(107), 전원감시부(109) 및 점검스위치(111)를 포함한다.
유도용 램프(101)는 비상시에 사람들의 피난을 위하여 점등되는 기본 램프이다. 비상유도등(100)의 동작은 상용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정상 모드와 상용 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 모드인 정전시로 구분된다. 유도용 램프(101)는 정상 모드에서 뿐만 아니라 정전시에도 항상 점등되어야 하며, 정전시에는 예비전원에 의해 점등된다.
전원공급부(103)는 각종 보호회로, 브릿지 다이오드(Bridge Diode) 회로와 같은 정류회로, 트랜스포머(Transformer) 및 정전압회로 등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교류(AC)전원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전원공급부(103)의 출력은 정상 모드 중에만 가능하여, 유도용 램프(101)를 점등하고 예비전원으로 사용될 커패시터(105)를 충전한다.
커패시터(105)는 이차 전지와 다른 출력 특성을 가지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100)의 예비전원으로 사용된다. 특별히, 기존의 커패시터와 이차 전지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에너지와 출력특성을 가지는 슈퍼 커패시터 또는 울트라 커패시터가 본 발명의 커패시터(105)에 바람직하다. 커패시터(105)는 유효 동작시간 등을 고려하여 비상모드에서의 비상유도등(100)의 소비전력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직류, 병렬 또는 직/병렬 상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커패시터(105)는 시간에 대하여 선형의 충방전 성능을 가짐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그 충전된 전압을 체크하는 것만으로 유효 동작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유효 동작시간은 비상모드인 정전시에 커패시터(105)가 방전하여 유도용 램프(101)의 점등을 유지하도록 요구된 시간을 말한다. 유효 동작시간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방 안전 규격(예, 75 분) 등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유효 동작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커패시터(105)의 크기(용량)는 부하인 유도용 램프(101)의 소비전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비전원공급부(107)는 커패시터(105)와 램프(101) 사이에 마련된다. 예비전원공급부(107)는 커패시터(105)의 방전 전압을 유도용 램프(101)의 동작전압에 맞도록 승압하기 위한 인버터(Inverter) 등을 구비하며, 정전시에 전원감시부(109)의 제어에 따라 커패시터(105)에 충전된 전압을 유도용 램프 동작전압으로 승압하여 유도용 램프(101)로 방전시킨다.
전원감시부(109)는 전원공급부(103)의 출력전압(Vcc)을 이용하여 교류전원 정전여부를 판단하며, 정전으로 판단된 경우에 예비전원공급부(107)를 제어하여 커패시터(105)가 유도용 램프(101)로 방전하도록 제어한다. 전원감시부(109)의 동작에 의해, 정전이 발생하여 전원공급부(103)에서 전원이 유도용 램프(101)로 공급되지 않더라도, 예비전원공급부(107)가 커패시터(105)의 예비전원으로 유도용 램프(101)가 즉시 다시 점등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전원감시부(109)는 전원공급부(103)의 출력전압(Vcc)을 체크하여 출력전압(Vcc)이 공급되면 정상 모드로 판단하고, 출력전압(Vcc)이 전원공급부(103)에서 공급되지 않으면 정전상태로 판단하여 예비전원공급부(107)를 제어하게 된다.
점검스위치(111)는 소방 안전규격상 필요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이 있는 동안 전원공급부(103)에서 직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점검스위치(111)의 조작은 정전시와 동일한 환경을 인위적으로 만드는 것으로서, 점검스위치(111)의 조작이 있는 동안은 전원공급부(103)의 출력전압(Vcc)이 없는 정전상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원감시부(109)가 예비전원공급부(107)를 제어하여 커패시터(105)의 예비전원으로 유도용 램프(101)가 즉시 다시 점등하여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100)은 커패시터(105)를 충전하고 그 충전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충전부(113)와, 충전부(113)와 커패시터(105)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칭부(115)와, 스위칭부(115)와 커패시터(105) 사이에 마련되는 전압검출부(117)와, 상태표시등(119) 및 상태점검부(121)도 포함한다. 스위칭부(115), 전압검출부(117) 및 상태점검부(121)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태점검 이벤트와 관련되어서 정상모드에서 동작한다.
충전부(113)는 전원공급부(103)의 출력전압(Vcc)을 커패시터(105)의 충전에 적절한 전압으로 낮춤과 동시에, 다이오드(Diode) 등을 구비하여 커패시터(105)의 방전시에 전원공급부(103) 측으로 방전되는 것을 차단한다.
스위칭부(115)는 충전부(113)와 커패시터(105) 사이에 마련되어, 정상모드 중에 상태점검부(121)의 제어에 따라 충전전압의 공급을 스위칭한다. 정상모드 중에 스위칭부(115)가 충전부(113)와 커패시터(105) 사이를 단선시키면, 예비전원공급부(107)는 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커패시터(105)는 전압검출부(117)로만 연결되며 방전을 개시한다.
전압검출부(117)는 스위칭부(115)와 커패시터(105) 사이, 즉 커패시터(105)의 (+) 단자와 그라운드(GND) 사이에 마련되어 점검 이벤트시에 커패시터(105)의 방전경로를 제공하면서, 커패시터(105)의 충전 전압을 검출한다. 전압검출부(117)가 제공하는 방전 경로는 램프(101)를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점검 이벤트시에 커패시터(105)의 방전 전압이 램프(101) 또는 예비전원공급부(107)로 공급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라, 도 3에서처럼, 전압검출부(117)는 전압분배부(301)와 비교회로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분배부(301)는 커패시터(105)의 (+) 단자(CAP)와 그라운드(GND) 사이 직렬 연결된 복수의 저항(R1, R2)으로 구현된다. 점검 이벤트가 커패시터(105)의 방전 특성을 보는 것이 아니므로, 저항(R1, R2)는 전압 측정이 가능한 정도이면 충분하므로 비교적 큰 저항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회로부(303)는 적어도 하나의 비교기(U1)를 구비하여 전압분배부(301)의 저항에 의해 전압 분배된 충전전압을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한다. 비교회로부(303)의 출력값이 상태점검부(121)에게 제공되는 것이다. 이처럼, 전압검출부(117)가 전압분배부(301)와 비교회로부(303)의 형태로 설계되는 경우에, 비교회로부(303)는 상태점검부(121)와 함께 하나의 칩(Chip, Micom)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태점검부(121)는 정상모드 중에 커패시터(105)의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생성하고, 그 점검 이벤트에 따라 스위칭부(115)를 제어하여 충전부(113)와 커패시터(105) 사이를 단선시킨 다음 전압검출부(117)가 검출한 전압을 확인하여 커패시터(105)의 충전 상태 또는 유효 동작시간을 판단한다. 상태점검부(121)가 점검 이벤트에 따라 스위칭부(115)를 오프시키는 시간은 전압검출부(117)를 통해 커패시터(105)의 충전전압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전압검출부(117)의 전압검출 또는 상태점검부(121)의 판단은 기준전압 이상인지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도로 수행되어도 충분하다. 여기서, 기준전압은 설정된 유효 동작시간(예컨대, 75분)에 대응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커패시터의 시간당 방전은 선형적인 특성이 있으므로, 현재의 충전 전압을 알면 램프(101)의 소비전력에 따른 동작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기초로 유효 동작시간을 정하고 그에 따른 기준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안전규격상 유효 동작시간은 75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서 램프(101)의 소비전력과 동작전압에 기초하여 커패시터(105)의 유효 동작시간(75분)에 대응되는 충전전압을 설정하고, 그 충전전압의 전압분배를 고려하여 기준전압으로 설정한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기준전압을 설정하고 전압검출부(117)가 복수 개의 기준전압을 커패시터(105)의 충전 전압과 비교하여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준전압은 유효 동작시간에 맞추고, 제2 및 제3 기준전압은 제1 기준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단계별로 설정하여, 커패시터(105)의 충전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이면 상태점검부(121)는 커패시터(105)를 '정상'으로 판단하고, 커패시터(105)의 충전전압이 제1 기준전압과 제2 기준전압 사이이면 상태점검부(121)는 커패시터(105)가 '불량 전단계'로 판단하고, 커패시터(105)의 충전전압이 제2 기준전압과 제3 기준전압 사이이면 상태점검부(121)는 커패시터(105)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기준전압보다 높은 제4 기준전압을 설정하여, 커패시터(105)의 충전전압이 제4 기준전압 이상이면 상태점검부(121)는 커패시터(105)의 충전이 '과충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태점검부(121)는 그 점검 이벤트에 따라 커패시터(105)의 충전전압을 점검한 결과(정상, 불량전단계, 불량, 과충전 등)를 상태표시등(119)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비상유도등(100)의 상태점검 이벤트를 자세히 설명한다.
<점검 이벤트 생성: S201>
정상모드에서 동작 중인 상태점검부(121)는 기 설정된 주기로 커패시터(105) 상태 점검 이벤트를 생성한다. 이벤트의 수행시간이 전압을 측정하는 정도의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므로, 이벤트는 예컨대 초당 2~3회 정도로 생성할 수도 있다. 당연히, 비상모드에서는 점검 이벤트가 생성되지 않는다.
<충전전압 공급 차단: S203>
점검 이벤트가 개시되면, 상태점검부(121)는 스위칭부(115)가 오프(OFF)되도록 제어하고, 스위칭부(115)가 오프되면서 충전전압이 커패시터(105)로 공급되지 않는다(S203).
<커패시터 충전전압 검출: S205>
스위칭부(115)가 오프되면, 커패시터(105)의 연결은 전압검출부(117)가 제공하는 방전 경로, 즉 전압분배부(301)로만 연결되어 방전한다. 전압분배부(301)에 의해 전압분배된 커패시터(105)의 충전전압을 비교회로부(303)가 기준전압과 비교한다. 전압분배부(301)의 저항(R1, R2)의 저항값을 매우 크게 할 경우에 점검 이벤트 중의 소모전력은 무시할 수 있다.
<커패시터 충전전압에 따른 오류 판단: S207 내지 S211>
상태점검부(121)는 전압검출부(117)가 제공하는 전압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커패시터(105)의 충전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7). 예컨대, 전압검출부(117)가 커패시터(105)의 충전전압을 제1 기준전압과만 비교하는 경우, 상태점검부(121)는 충전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이면 정상, 제1 기준전압 미만이면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S209, S211).
다른 실시 예로, 비교회로부(303)가 앞서의 예시처럼 복수 개의 비교기를 사용하여 제1 내지 제4 기준전압과 비교할 경우, 상태점검부(121)는 커패시터(105)의 상태를 정상, 불량전단계, 불량, 과충전의 4 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태 점검 이벤트 종료: S209>
상태점검부(121)는 커패시터(105)의 상태를 상태표시등(119)을 통해 표시한다.
상태점검부(121)는 전압검출부(117)로부터 전압검출결과가 제공되면, 즉시 스위칭부(115)가 온(ON)되도록 제어하여, 충전전압이 다시 커패시터(105)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스위칭()가 온되면 상태점검 이벤트는 종료된다.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100)은 주기적인 점검 이벤트를 수행하여 예비전원의 유효 동작시간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점검 이벤트 과정이 램프(101)로의 실제적인 방전을 통해 상당한 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이 아니므로 예비전원 점검에 따라 예비전원이 완전히 방전되거나 또는 점검 자체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7)
-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여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직류전원으로 유도용 램프를 점등하고, 정전시에는 예비전원으로 상기 유도용 램프를 점등시키는 비상유도등에 있어서,
정전시 상기 예비전원으로 동작하며, 상기 유도용 램프의 소비전력을 유효 동작시간 이상 공급할 수 있는 크기의 공급용량을 가지도록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형태로 연결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을 충전전압으로 조정하여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하면서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시에 상기 전원공급부로의 방전을 차단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와 커패시터 사이에 마련되어, 커패시터 상태 점검이벤트 발생시 상기 충전전압의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칭부;
상기 상태 점검 이벤트시에 상기 램프를 거치지 않는 방전 경로를 제공하여 상기 커패시터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 및
상기 상태 점검 이벤트시에, 상기 스위칭부가 오픈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전압검출부가 측정한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커패시터가 상기 유효 동작시간에 대응되는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상태점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등.
-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직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정전시 상기 커패시터의 전환 동작을 점검하는 점검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등.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점검부는 상기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점검스위치 조작이 없더라도 상기 커패시터의 이상여부를 별도의 상태표시등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검출부는,
상기 커패시터의 (+)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복수 개의 저항을 구비하여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전압분배하는 전압분배부; 및
상기 전압분배된 충전전압을 상기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등.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은 제1 기준전압, 제2 기준전압, 제3 기준전압 및 제4 기준전압으로 세분되고, 상기 제2 기준전압 및 제3 기준전압은 상기 제1 기준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단계별로 설정하고 상기 제4 기준전압은 상기 제1 기준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설정하며,
상기 비교회로부는 상기 전압분배된 충전전압을 상기 제1 내지 제4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복수 개의 비교기를 더 구비하되,
상기 상태점검부는, 상기 전압분배된 충전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과 제2 기준전압 사이이면 상기 커패시터가 '불량 전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준전압과 제3 기준전압 사이이면 상기 커패시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4 기준전압 이상이면 상기 커패시터가 '과충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오류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점검부는 상기 전압검출부가 측정한 전압이 제1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태표시등을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등.
-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여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직류전원으로 유도용 램프를 점등하고, 정전시에는 커패시터를 예비전원으로 상기 유도용 램프를 점등시키는 비상유도등의 상기 예비전원 점검방법으로서,
상태점검부가 커패시터 상태 점검이벤트를 생성하고,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충전부에서 상기 커패시터로 공급되는 충전전압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전압검출부가 상기 상태 점검 이벤트시에 상기 램프를 거치지 않는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점검부가, 상기 전압검출부가 측정한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커패시터가 유효 동작시간에 대응되는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등의 예비전원 점검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6036A KR101746001B1 (ko) | 2015-05-12 | 2015-05-12 | 커패시터를 예비전원으로 구비한 비상유도등 및 그 커패시터 충전상태 점검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6036A KR101746001B1 (ko) | 2015-05-12 | 2015-05-12 | 커패시터를 예비전원으로 구비한 비상유도등 및 그 커패시터 충전상태 점검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3232A KR20160133232A (ko) | 2016-11-22 |
KR101746001B1 true KR101746001B1 (ko) | 2017-06-12 |
Family
ID=5754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6036A KR101746001B1 (ko) | 2015-05-12 | 2015-05-12 | 커패시터를 예비전원으로 구비한 비상유도등 및 그 커패시터 충전상태 점검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600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80757A1 (ko) * | 2022-10-11 | 2024-04-1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배터리 모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16005B1 (ja) * | 2019-11-18 | 2020-07-01 | 西部電機株式会社 | 個別停電検出装置及び個別停電検出方法 |
KR102696168B1 (ko) * | 2022-11-05 | 2024-08-19 | (주)디에이치에너지시스템 | 단계적 전류 증감을 이용하는 차량 비상 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696164B1 (ko) * | 2022-11-05 | 2024-08-19 | (주)디에이치에너지시스템 | 차량 비상 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696166B1 (ko) * | 2022-11-05 | 2024-08-19 | (주)디에이치에너지시스템 | 차량 비상 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696163B1 (ko) * | 2022-11-05 | 2024-08-19 | (주)디에이치에너지시스템 | 차량 비상 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696167B1 (ko) * | 2022-11-05 | 2024-08-19 | (주)디에이치에너지시스템 | 친환경 차량 비상 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696165B1 (ko) * | 2022-11-05 | 2024-08-19 | (주)디에이치에너지시스템 | 차량 비상 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3738Y1 (ko) | 2006-09-13 | 2006-12-12 | (주) 피에스디테크 | 비상점등용 충전수단이 내장된 엘이디 조명등 |
JP2011165503A (ja) | 2010-02-10 | 2011-08-25 | Nihon Energy Kenkyusho:Kk | 時限点灯装置 |
-
2015
- 2015-05-12 KR KR1020150066036A patent/KR1017460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3738Y1 (ko) | 2006-09-13 | 2006-12-12 | (주) 피에스디테크 | 비상점등용 충전수단이 내장된 엘이디 조명등 |
JP2011165503A (ja) | 2010-02-10 | 2011-08-25 | Nihon Energy Kenkyusho:Kk | 時限点灯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80757A1 (ko) * | 2022-10-11 | 2024-04-1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배터리 모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3232A (ko) | 2016-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6001B1 (ko) | 커패시터를 예비전원으로 구비한 비상유도등 및 그 커패시터 충전상태 점검방법 | |
KR101210523B1 (ko) | 충, 방전모듈로 구성된 배터리 성능향상과 상태를 진단하고 표시하는 장치 | |
JP5361298B2 (ja) | 電池パック | |
AU2017386331A1 (en) | Power suppl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supply system, and communication base station backup system | |
KR102553037B1 (ko) | 배터리 전압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 상태 사전 감지 시스템 | |
JP2012175751A (ja) | 配電システム | |
KR100715282B1 (ko) | 비상조명등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장치 | |
JP2002142367A (ja) | 電源装置 | |
CN109586368B (zh) | 储能系统启动装置、启动方法及储能系统 | |
JP4556756B2 (ja) | 照明装置、照明器具、照明システム | |
EP2837258B1 (en) | Battery monitoring in emergency lighting systems | |
KR101017391B1 (ko) | 마이콤을 사용한 배터리 충전/방전 제어회로 | |
US20110068747A1 (en) | Cyclic self-maintenance battery device | |
KR200486093Y1 (ko) | 커패시터를 예비전원으로 구비한 전원시스템 | |
JP5212639B2 (ja) | 非常用点灯装置 | |
KR100425265B1 (ko) | 일반/비상 겸용 형광램프 점등제어장치 | |
JP2010129210A5 (ko) | ||
KR101695767B1 (ko) | 배터리 점검 기능을 갖는 비상 조명등 및 그 구동방법 | |
JP2013074715A (ja) | 充電装置 | |
KR20170109485A (ko) | 배터리 점검 기능을 갖는 비상 조명등 및 그 구동방법 | |
JP2015061404A (ja) | 二次電池システム | |
JP7439705B2 (ja) | 非常用照明装置 | |
KR101587634B1 (ko) | 조명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
JP6171249B2 (ja) | 非常用照明装置 | |
WO2009107503A1 (ja) | 地絡保護機能付き放電灯制御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