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664B1 - 개량형 변기 - Google Patents

개량형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664B1
KR101745664B1 KR1020150115867A KR20150115867A KR101745664B1 KR 101745664 B1 KR101745664 B1 KR 101745664B1 KR 1020150115867 A KR1020150115867 A KR 1020150115867A KR 20150115867 A KR20150115867 A KR 20150115867A KR 101745664 B1 KR101745664 B1 KR 101745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auxiliary
water
spac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50564A (ko
Inventor
원명수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60150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좌변기와 재래식 변기가 지니고 있었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만을 가지는 개량형 변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메인공간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배출부가 구비된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의 전방측으로 상기 메인공간부와 연결된 형태로 보조공간부가 구비된 보조부 및 상기 메인공간부와 보조공간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부와 상기 보조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측에 설치되는 개량형 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량형 변기{Improved toilet bowel}
본 발명은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래식 변기와 좌변기의 장점을 혼합한 개량형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좌변기(10)는, 도 1에 도시되 바와 같이, 내부 수용부(13) 및 배출부(14)가 구비된 좌변기 몸체부(12)에 상기 내부 수용부(13) 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8)와, 상기 물공급부(18)에 수용된 물이 상기 내부 수용부(13)로 공급되도록 하는 작동부(19)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좌변기 몸체부(12) 상부에는 힌지에 의하여 물공급부(18)에 거치되거나 또는 회전하여 몸체부(12) 상부에 설치되는 좌석부(16)가 구비된다.
최근 자료에 의하면, 배변 시 사용자의 무릎과 복부가 밀착된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가장 배변에 유리하다는 연구가 많이 나와 있는데, 이에 따라서 상기 도 1과 같은 일반적인 좌변기의 경우는 배변활동에 인체공학상 효율적 구조를 이룰 수 없었으며, 비만체질의 사용자의 경우 배변 시 특히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수세식 재래식 변기(이하, "재래식 변기"라고도 함)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 바닥면에 설치되며 소정 수용부(23)가 구비된 몸체부(22)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측에 구비된 물공급부(27) 및 상기 물공급부(27)로부터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대소변이 배출되는 배출부(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재래식 변기는 배변자세가 배변에 용이한 형태를 취하기는 하나, 상기 몸체부(22)의 수용부(23)와 배출구(24)가 직접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이루어 여름철 등에는 분뇨의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게 됨은 물론, 시각적 및 후각적으로 불쾌감을 가져올 수 밖에 없었다.
또한, 현대식 주거공간 예를 들어 아파트 등의 경우에는 바닥면에 몸체부를 삽입한 형태로 설치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용이한 배변이 가능하면서도 시각적 또는 후각적 불결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개량형 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현대 주거시설에 적합하게 설계된 개량형 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공간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배출부가 구비된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의 전방측으로 상기 메인공간부와 연결된 형태로 보조공간부가 구비된 보조부 및 상기 메인공간부와 보조공간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부와 상기 보조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측에 설치되는 개량형 변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공간부의 최대 깊이는 상기 보조공간부의 최대 깊이보다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부는 상측 둘레를 따라서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물이 유동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메인물유로부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물유로부는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메인물배출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물배출홀은 상기 메인공간부 내측에서 물이 사선 형태로 유동한 후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부는 상측 둘레를 따라서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물이 유동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보조물유로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물유로부는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보조물배출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물배출홀은 상기 메인공간부 측으로 물이 유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공간부는 저면이 상기 메인공간부 측으로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부 후방측에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공간부와 상기 보조공간부를 동시에 덮어 감싸는 커버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공간부 양측으로 사용자의 발판 역할을 하는 발판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공간부로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메인작동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공간부로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보조작동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메인부의 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에 지지되거나 상기 메인부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메인부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지지할 수 있는 손잡이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메인공간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배출부가 구비된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의 전방측으로 상기 메인공간부와 연결된 형태로 보조공간부가 구비된 보조부 및 상기 메인부와 소정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공간부 및 보조공간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개량형 변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공간부의 최대 깊이는 상기 보조공간부의 최대 깊이보다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공간부는 저면이 상기 메인공간부 측으로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지지할 수 있는 손잡이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공간부와 보조공간부 사이로 중간물공급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중간물공급홀을 통하여 상기 메인공간부 측으로 고압으로 물을 공급하는 중간작동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공간부로 물을 공급하는 메인작동모듈과, 상기 보조공간부로 물을 공급하는 보조작동모듈 및 상기 메인공간부와 보조공간부 사이로 상기 메인공간부 측으로 고압으로 물을 공급하는 중간작동모듈이 더 구비되며,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메인부와 보조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도록 하는 문양부가 구비되되 물이 공급되는 위치 파악이 용이하도록 상기 문양부에 상기 메인작동모듈, 중간작동모듈, 보조작동모듈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에 의하면, 현대 주거시설 즉 아파트 등에도 기존 변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용이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에 의하면, 종래 재래식 변기와 좌변기의 혼합 구성을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서 택일하여 배변자세를 취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에 의하면, 물 공급부의 설치 방향을 달리 적용하여 거동이 불편한 사람에게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좌변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사용되는 재래식 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개량형 변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개량형 변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를 나타낸 측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의 물공급부에 구비되는 작동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개량형 변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3의 개량형 변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100)는 메인부(113), 보조부(112)를 포함한 변기 몸체부(111)와 상기 몸체부(112) 후방측에 설치되는 물공급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부(113)는 내부에 메인공간부(123)가 구비됨과 동시에 물 또는 배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128)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부(113)는 좌변기와 비슷한 형태로 상당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충분한 물이 수용 및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부(112)는 상기 메인부(113)의 전방측으로 상기 메인공간부(123)와 연결된 형태를 이루는 보조공간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부(112)는 종래 재래식 변기에 대응되는 형태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부(112)의 전방측에는 캡부(115)가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 보조부(112)는 사용자가 앉아서 소변을 보는 경우에 소변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부(112) 양측으로 사용자의 발판 역할을 하는 발판부(130)가 더 구비된다.
한편,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100)는 상기 메인부(113)와 상기 보조부(112)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측에 설치되는 형태를 이루며, 특히 상기 메인부(113) 하부는 일반 좌변기와 동일한 구성을 이루어 일반 아파트 등지에서도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100)는 상기 메인공간부(123)의 최대 깊이가 상기 보조공간부(122)의 최대 깊이보다 더 크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공간부(122)는 저면이 상기 메인공간부(123) 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도록 하여 소변 등이 상기 보조공간부(122)에 수용된 후 자중에 의하여 메인공간부(123)로 자동적으로 유동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부(113)는 상측 둘레를 따라서 상기 물공급부(15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물공급부(150)와 연결되는 형태로 내부 유로가 구비된 메인물유로부(119)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물유로부(119)는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메인물배출홀(117)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물배출홀(117)은 상기 메인공간부(123)로 물이 사선 형태로 공급된 후 상기 배출부(128)로 대소변과 함께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배변이 보다 강하게 배출부(128)로 배출되도록 하여 잔변이 메인공간부(123) 표면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기존의 좌변기에 있어서의 물 배출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부(112)는 상측 둘레를 따라서 상기 물공급부(150)와 연결되는 보조물유로부(118)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물유로부(118)는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보조물배출홀(116)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물배출홀(116)은 상기 메인공간부(123) 측으로 물이 유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조물배출홀(116)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는 구조는 종래 재래식 변기와 같은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메인물유로부(119)와 보조물유로부(118)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물공급부(150)와 연결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물공급부(150)는 상기 메인공간부(123) 및 보조공간부(122)로 상기 각각의 메인물유로부(119)와 보조물유로부(118)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물공급부(150)는 내부에 물을 상당량 저장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 박스 형태를 이루되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부 또는 보조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작동모듈(157, 158)이 설치된다.
즉, 종래 좌변기 등에 적용되는 손잡이와 물공급부 내측에 구비되는 연결레버 또는 부레 등을 포함하는 작동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메인물유로부(119)로 물을 공급하는 메인작동모듈(157)과, 상기 보조물유로부(118)로 물을 공급하는 보조작동모듈(158)로 나뉘어 적용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두 개의 작동모듈이 한 개로 이루어져 하나의 동작으로 상기 메인부(113)와 보조부(112)로 물이 동시에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물유로부(118)로만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공간부(122)에 수용된 물이 메인공간부(123)로 유동한 후, 물의 자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배출부(128)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각 물유로부(118, 117)로 물을 공급하는 작동모듈 구조는 기 공지된 형태 중 일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메인부(113)와 상기 보조부(112)를 동시에 덮어 감싸는 형태로 커버부(18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180)는 상기 메인부(113) 후방측에 힌지(18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메인부(113) 및 보조부(112)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를 설명하되, 상술한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200) 또한 메인공간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배출부가 구비된 메인부(113)와, 상기 메인부(113)의 전방측으로 상기 메인공간부와 연결된 형태로 보조공간부가 구비된 보조부(11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부(113)는 메인물유로부(119)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부(112)는 보조물유로부(11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메인공간부 및 보조공간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50)를 포함함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같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부(2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부(113)의 측방향으로 메인물유로부(119)와 보조물유로부(118)로 물 공급이 가능한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물공급부(250)와 메인부(113) 사이로는 보조연결부(270)가 구비되되, 상기 보조연결부(270) 상부로 힌지(28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좌석부(28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좌석부(280)는 사용자가 대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회전시켜 상기 물공급부(250)에 거치된 형태를 이루도록 한 후 재래식 변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발판부(130)에 올라가 배변을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메인부(113) 상부에 좌석부(280)가 위치되도록 한 후 후방측에서 종전 좌변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앉아서 배변활동을 할 수도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300)는 상기 메인공간부(123)와 보조공간부(122) 사이로 중간물공급홀(190)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물공급홀(190)을 통하여 상기 메인공간부(123) 측으로 고압으로 물을 공급하는 중간작동모듈(159)이 더 구비된다.
이때,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중간물공급홀(190)은 별도의 고압펌프에 의하여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간물공급홀(190)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상기 메인공간부(123) 측으로 물이 고압으로 공급되어 대변 등의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경우에도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메인작동모듈(157)과 보조작동모듈(158)이 물공급부(150)에 구비됨은 물론이며, 각각 종래 공지된 변기에 적용되는 공급모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때 상기 물공급부 내측이 서로 다른 수용부가 구비되도록 하되, 각각의 수용부마다 상기 메인작동모듈(157)과 보조작동모듈(158) 및 중간작동모듈(159)이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메인공간부(123)의 저면(123a)이 상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완만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배출부(128)는 소정 후방측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공간부(123)의 저면(123a)에는 새로운 배변을 하고자 하는 경우 물이 저장된 상태를 이루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대변이 바로 배출부(128) 측 등으로 낙하 시 발생하는 물 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도, 상기 중간물공급홀(190)을 통하여 상기 메인공간부(123) 측에 수용되는 대변 등의 처리는 용이하여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의 물공급부에 구비되는 작동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기의 물공급부는 개량형 변기의 외관 중 상기 메인부(113)와 보조부(112)가 시각적으로 인식되도록 하는 문양부(172)가 구비되되 물이 공급되는 위치 파악이 용이하도록 상기 문양부(172)에 상기 메인작동모듈(157), 중간작동모듈(159), 보조작동모듈(158)이 실제 대응되는 위치 주위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작동모듈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별도로, 상기 메인작동모듈(157), 중간작동모듈(159), 보조작동모듈(158)을 통하여 물이 배출되는 즉 메인물배출홀(117)과 중간물공급홀(190) 및 보조물배출홀(116) 모두를 통하여 한 번의 동작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전체작동모듈(155)이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량형 변기에 의하면, 현대 주거시설 즉 아파트 등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기존의 변기 대신에 본 실시예들에 따른 변기를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 재래식 변기와 좌변기의 혼합 구성을 취함으로써 상황에 따라서 택일하여 배변자세를 취할 수 있다.
나아가, 물 공급부의 설치 방향에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사람에게 물공급부 구성을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 경우 별도로 물공급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봉이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공간부에 별도의 감지부가 적용되도록 한 후, 소변을 상기 보조공간부에 넣는 경우 자동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공간부로만 물이 공급된 후 메인공간부로 유동된 후에는 상기 배출부로 유동된 물의 자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물이 배출된 후에, 차후 사용자가 용변활동 시 오취가 줄어들도록 기 설정된 량의 물이 다시 상기 메인공간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100, 200: 개량형 변기 111: 몸체부
112: 보조부 113: 메인부
115: 캡부 116: 보조물배출홀
117: 메인물배출홀 118: 보조물유로부
119: 메인물유로부 122: 보조공간부
123: 메인공간부 128: 배출부
130: 발판부 150, 250: 물공급부
157, 257: 메인작동모듈 158, 258: 보조작동모듈
180: 커버부 188, 288: 힌지
280: 좌석부

Claims (20)

  1. 메인공간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배출부가 구비된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의 전방측으로 상기 메인공간부와 연결된 형태로 보조공간부가 구비된 보조부 및 상기 메인공간부와 보조공간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부와 상기 보조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공간부의 전방측으로 상기 보조공간부 양측으로 상기 보조공간부와 동일한 높이에 사용자의 발판 역할을 하는 발판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메인부는 상측 둘레를 따라서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물이 유동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메인물유로부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물유로부는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메인물배출홀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부는 상측 둘레를 따라서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물이 유동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보조물유로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물유로부는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보조물배출홀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공간부와 보조공간부 사이로 중간물공급홀이 더 구비되며,
    상기 메인공간부로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메인작동모듈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공간부로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보조작동모듈이 더 구비되며,
    상기 중간물공급홀을 통하여 상기 메인공간부 측으로 고압으로 물을 공급하는 중간작동모듈이 더 구비되며,
    상기 중간물공급홀을 통하여 고압으로 물을 공급하는 고압펌프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부의 전방측에는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 캡부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부 후방측에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공간부와 상기 보조공간부를 동시에 덮어 감싸되 전방측이 상기 캡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커버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메인물배출홀과 중간물공급홀 및 보조물배출홀 모두를 통하여 한 번의 동작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전체작동모듈이 더 구비되는,
    개량형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공간부의 최대 깊이는 상기 보조공간부의 최대 깊이보다 더 크게 이루어지는,
    개량형 변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물배출홀은,
    상기 메인공간부 내측에서 물이 사선 형태로 유동한 후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개량형 변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물배출홀은,
    상기 메인공간부 측으로 물이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개량형 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간부는,
    저면이 상기 메인공간부 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개량형 변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메인부의 측부에 구비되는,
    개량형 변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에 지지되거나 상기 메인부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메인부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석부를 더 포함하는,
    개량형 변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지지할 수 있는 손잡이봉이 더 구비되는,
    개량형 변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115867A 2015-06-22 2015-08-18 개량형 변기 KR101745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88297 2015-06-22
KR1020150088297 2015-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64A KR20160150564A (ko) 2016-12-30
KR101745664B1 true KR101745664B1 (ko) 2017-06-20

Family

ID=5773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67A KR101745664B1 (ko) 2015-06-22 2015-08-18 개량형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6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258Y1 (ko) * 1999-10-12 2000-03-15 조용훈 장애자용 절첩식 지지대를 갖는 변기
JP2002322716A (ja) * 2001-04-24 2002-11-08 Inax Corp 水洗式便器
KR200419041Y1 (ko) * 2006-03-16 2006-06-16 문광호 변기
KR200455687Y1 (ko) * 2009-11-09 2011-09-20 김영은 여성용 수세식 변기
KR200458417Y1 (ko) * 2009-11-09 2012-02-14 김영은 대소변 분리형 좌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258Y1 (ko) * 1999-10-12 2000-03-15 조용훈 장애자용 절첩식 지지대를 갖는 변기
JP2002322716A (ja) * 2001-04-24 2002-11-08 Inax Corp 水洗式便器
KR200419041Y1 (ko) * 2006-03-16 2006-06-16 문광호 변기
KR200455687Y1 (ko) * 2009-11-09 2011-09-20 김영은 여성용 수세식 변기
KR200458417Y1 (ko) * 2009-11-09 2012-02-14 김영은 대소변 분리형 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64A (ko)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2763A (ko)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US20080083063A1 (en) Bathtub insert
KR101299122B1 (ko) 벽체 내장형 접이식 양변기
BR112019011725B1 (pt) Cuba de vaso sanitário para um vaso sanitário de agachamento e vaso sanitário
KR20210020948A (ko) 비데 샤워기를 갖는 변기
KR100777165B1 (ko)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KR101750065B1 (ko) 실내에서 노약자 및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
KR101745664B1 (ko) 개량형 변기
KR20080079766A (ko) 대소변 겸용 변기
US20090044324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US11058260B2 (en) Lavatory unit for vehicle
JP2558894B2 (ja) 駆動便器
KR101359284B1 (ko) 여성 전용 소변기
US6339853B1 (en) Combination hydrothermal bath and bidet
TWM520076U (zh) 多功能馬桶
JP2558874B2 (ja) 回動式便器ユニット
KR101853381B1 (ko) 변기 커버 부착용 소변기
JPH09165808A (ja) 便 器
CN214712287U (zh) 一种双层马桶盖
JPH09324455A (ja) 洗浄水ロータンク付大小便兼用トイレ
JP5028928B2 (ja) トイレの手洗い装置
KR20080080843A (ko) 소변기 겸용 좌변기
US20040231040A1 (en) Flush-toilet bowl integrated with a urinal
JP2014015724A (ja) ポータブルトイレ装置
KR20220141439A (ko) 양변기와 소변기가 결합된 일체형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