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497B1 - 방음수단이 구비된 우물 천장 구조 - Google Patents

방음수단이 구비된 우물 천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497B1
KR101745497B1 KR1020160100328A KR20160100328A KR101745497B1 KR 101745497 B1 KR101745497 B1 KR 101745497B1 KR 1020160100328 A KR1020160100328 A KR 1020160100328A KR 20160100328 A KR20160100328 A KR 20160100328A KR 101745497 B1 KR101745497 B1 KR 101745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embryo
channel
carrying
w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세현
Original Assignee
유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세현 filed Critical 유세현
Priority to KR1020160100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4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 E04B9/345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consisting of non-parallel slats, e.g. 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의 슬래브에 고정된 복수의 행거부재; 상기 행거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우물 천장의 바닥면 부위에 배치된 복수의 제1캐링채널과, 상기 제1캐링채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제1캐링채널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의 제1엠바로 구성된 제1경량틀 조립체; 상기 제1경량틀 조립체의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지게 배치되되 제1캐링채널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행거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된 복수의 제2캐링채널과, 상기 제1엠바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캐링채널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의 제2엠바로 구성된 제2경량틀 조립체; 상기 제1엠바 및 제2엠바의 길이방향이나 너비방향으로 배치되되 제1엠바의 저면과, 제1엠바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진 위치에 있는 제2엠바의 저면을 연결하며, 제1엠바의 저면 및 제2엠바의 저면에 스크류 고정된 복수의 제트채널; 및 상기 제1엠바 및 제2엠바 그리고 제트 채널을 따라 결합되어 천장에 우물형 홈이 형성되며, 천장 내부를 마감하는 합성수지재의 마감재를 포함하는 우물 청잔 구조로서, 상기 마감재 및 상기 제트채널 상에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보강블록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블록은, 두께방향으로 그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장방형 개구부를 가진 복수개의 단위 구조체가 종횡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판; 및 상기 단위 구조체들의 각 개구부를 등분하도록 하판 위에 배치되되, 높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격자형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구조체는 측벽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단위 구조체의 상기 축벽에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완충패드가 구비되는 우물 천장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외부의 각종 소음(예: 층간소음 등)으로 인한 피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음수단이 구비된 우물 천장 구조 {Steel assembly structure of well type celing having soundproofing}
본 발명은 방음수단이 구비된 우물 천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음수단을 내장시켜 외부의 각종 소음(예: 층간 소음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우물 천장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품에 대한 경쟁력의 관건은 제품의 품질 이외에도 소비자의 미적 욕구, 즉 감성에 호소하는 디자인의 미려함이 제품선택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디자인 개발은 중요 요소 중 하나인 것이다. 특히, 실내 인테리어 분야에 있어서도 다른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디자인이 매우 중요하며, 외적으로 보이는 디자인 측면 이외에도 합리적인 가격과 기능적인 측면이 중요 관건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건물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심미적 외관과, 기능적인 측면이 고려된 인테리어를 요구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현대인들이 살아가고 있는 주거 환경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인테리어를 위해 최근에는 아파트 거실의 천장 중앙에 요홈 형태의 마감재를 시공하거나 천장의 중앙면과 단차지도록 마감재를 테두리처럼 시공하여 심미감을 돋보이게 하고 있다. 이러한 시공의 인테리어는 통상적으로, '우물 천장'으로 불리우고 있으며 아파트 시공시에 처음부터 시공되거나 리모델링시 빠지지 않고 시행되는 인테리어 시공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우물천장은 천장의 평면상에 목재와 같은 마감재를 사용하여 천장의 평면과 단차지게 테두리를 형성한 후 그 중앙으로 전등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조명등과 천장우물이 조화를 이루어 실내 인테리어를 한층 돋보이도록 하고 있다.그러나, 기존의 우물천장 설치구조는 목재로 이루어진 마감재는 특성상, 상당한 중량이 있으므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마감재의 자중에 의해 천장으로부터 마감재가 낙하될 수 있으며, 목재의 특성상 자재 비용이 높아 인테리어 시공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천장의 설치구조도 중요하지만, 그것에 치우진 나머지, 외부의 각종 소음(예: 층간소음 등) 문제에 대해서는 등한시 되어 소음공해로 인한 스트레스, 다툼 등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21659호
본 발명은 흡음수단을 구비시켜 외부의 각종 소음(예: 층간 소음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방음수단이 구비된 우물 천장 구조우물 천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장의 슬래브에 고정된 복수의 행거부재; 상기 행거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우물 천장의 바닥면 부위에 배치된 복수의 제1캐링채널과, 상기 제1캐링채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제1캐링채널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의 제1엠바로 구성된 제1경량틀 조립체; 상기 제1경량틀 조립체의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지게 배치되되 제1캐링채널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행거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된 복수의 제2캐링채널과, 상기 제1엠바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캐링채널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의 제2엠바로 구성된 제2경량틀 조립체; 상기 제1엠바 및 제2엠바의 길이방향이나 너비방향으로 배치되되 제1엠바의 저면과, 제1엠바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진 위치에 있는 제2엠바의 저면을 연결하며, 제1엠바의 저면 및 제2엠바의 저면에 스크류 고정된 복수의 제트채널; 및 상기 제1엠바 및 제2엠바 그리고 제트 채널을 따라 결합되어 천장에 우물형 홈이 형성되며, 천장 내부를 마감하는 합성수지재의 마감재를 포함하는 우물 청잔 구조로서, 상기 마감재 및 상기 제트채널 상에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보강블록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블록은, 두께방향으로 그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장방형 개구부를 가진 복수개의 단위 구조체가 종횡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판; 및 상기 단위 구조체들의 각 개구부를 등분하도록 하판 위에 배치되되, 높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격자형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구조체는 측벽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단위 구조체의 상기 축벽에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완충패드가 구비되는 우물 천장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물 천장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물 천장을 구성하기 위한 마감재로, 비교적 저렴한 합성수지재를 이용함으로써 자재 비용 및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의 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단차진 경량틀 구조가 제공되는데, 단차진 경량틀을 연결하는 제트 채널이 제공됨으로써 경량틀 간에 연결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트 채널은 경량틀을 구성하는 제1엠바의 저면 및 제2엠바의 저면에 스크류 고정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엠바 및 제2엠바가 배치된 방향에 관계없이 결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제트 채널은 엠바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웃하는 엠바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제트 채널에 대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외부의 각종 소음(예: 층간소음 등)으로 인한 피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우물 천장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물 천장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물 천장 구조 중 제트 채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물 천장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물 천장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보강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보강블록을 도시한 상측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보강블륵을 도시한 하측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따른 보강블록을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11는 도 7에 따른 보강블록을 도시한 타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라 2개의 보강블록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따른 보강블록을 도시한 타측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물 차장 구조의 구성들 중 보강블록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물 천장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물 천장 구조는 천장에 우물 형태를 구성하는 테두리에 대한 마감재를 값비싼 목재가 아닌 목재에 비해 저렴한 합성수지가 대신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의 마감재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천장 내부의 경량틀이 단차지게 설치되어 마감재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우물 천장 구조는 행거부재(100)와, 제1경량틀 조립체(200)와, 제2경량틀 조립체(300)와, 제트채널(400)과, 마감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행거부재(100)는 천장 내부에 설치되는 경량틀 조립체(200,300)을 천장의 슬래브(S)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천장의 슬래브(S)에 고정된다. 이때, 행거부재(100)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톱니 브라켓 이외에도 행거볼트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행거부재(100)의 길이는 어느 위치에 고정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우물 천장의 형태가 상,하 간에 단차지게 형성되므로, 천장의 슬래브(S)에 근접한 부위와 천장의 슬래브(S)로부터 먼 부위가 발생하게 되는데, 천장의 슬래브(S)를 기준으로 경량틀 조립체(200,300)의 거리에 따라 행거부재(100)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다음으로, 제1경량틀 조립체(200)는 우물 천장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면 마감재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천장의 슬래브(S)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우물 천장의 바닥면이라 함은, 천장의 면을 기준으로 상방을 향해 단차지게 형성된 홈(G)의 상면을 말한다. 즉, 명칭은 바닥면이지만, 실내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가장 높은 위치의 면이 되는 것이다.
한편, 제1경량틀 조립체(200)는 제1캐링채널(210)과, 제1엠바(220)로 구성된다. 제1캐링채널(210)은 제1엠바(220)를 매달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천장의 슬래브(S)에 가장 근접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1캐링채널(210)은 복수로 제공되되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행거부재의 하단부에 걸려 고정이 된다. 또한, 제1캐링채널(210)은, 우물 천장의 바닥면에 대응되므로 우물 천장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범위에만 설치된다. 그리고, 제1엠바(220)는 우물 천장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마감재가 고정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캐링채널(21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제1캐링채널(210)의 저면에 고정된다. 이때, 제1엠바(220)의 설치 범위 역시, 우물 천장의 바닥면에 제한된다. 다음으로, 제2경량틀 조립체(300)는 천장의 마감재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제1경량틀 조립체(200)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진 부위에 설치된다.
즉, 제2경량틀 조립체(300)가 제1경량틀 조립체(200)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지게 구성됨으로써, 제1경량틀 조립체(200)와 제2경량틀 조립체(300) 사이에 우물처럼 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이때, 제2경량틀 조립체(300)를 지지하기 위한 행거부재(100)의 길이는 제1경량틀 조립체(200)를 지지하는 행거부재(100)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한편, 제2경량틀 조립체(300)는 제2캐링채널(310)과, 제2엠바(320)로 구성된다. 제2캐링채널(310)은 제1캐링채널(210)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지게 배치되며, 천장의 슬래브(S)에 고정된 행거부재(100)의 하단부에 걸려 설치된다.
제2캐링채널(310)은 제1캐링채널(210)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캐링채널(310)의 설치범위는 천장 전체에 해당된다. 그리고, 제2엠바(320)는 천장을 구성하는 마감재가 고정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캐링채널(31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제2캐링채널(310)의 저면에 고정된다. 이때, 제2엠바(320)의 설치범위 역시, 천장 전체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제트 채널(400)은 단차지게 배치된 제1경량틀 조립체(200)와 제2경량틀 조립체(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제1엠바(220)의 저면과 엠바(320)의 저면에 고정된다. 제트 채널(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면(410)과, 절곡면(420)과, 하부 고정면(430)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트 채널(400)은 일체형의 금속 박판을 제트(Z) 형태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부 고정면(410)은 제1엠바(220)의 저면에 스크류 고정되고, 하부 고정면(430)은 제2엠바(320)의 저면에 스크류 고정된다.
그리고, 절곡면(420)은 상부 고정면(410)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우물 천장의 측벽을 가이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우물 천장을 마감하는 마감재는 제1엠바(220)의 저면과 제트 채널(400)의 절곡면(420)에 고정되어 우물처럼 천장에 홈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트 채널(400)의 너비는 제1엠바(22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거나 제2엠바(32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될 수 있는 크기임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트 채널(400)의 너비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엠바(220) 저면 사이에 걸쳐 고정되거나 제2엠바(320)의 저면 사이에 걸쳐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구성의 제트 채널(400)은 엠바(220,320)의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마감재(500)는 천장의 내부를 차폐하여 마감하는 역할을 하며, 자재의 비용이 비교적 저렴한 합성수지로 제공된다. 마감재(500)의 예로는 석고보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천장 및 우물 천장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마감재(500)는 석고보드(510)인 것으로 하고, 우물 천장의 측벽을 구성하는 마감재(500)는 MDF(Medium Density Fireboard)(520)인 것으로 한다. 이때, 우물 천장의 측벽을 구성하는 MDF(520)에는 심미적 외관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PVC 몰딩(521)이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우물 천장 구조에 대한 설치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천장의 슬래브(S)에 복수의 행거부재(100)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우물 천장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석고보드(510)를 고정하기 위한 제1경량틀 조립체(200)의 제1캐링채널(210)을 행거부재(100)의 하단부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1캐링채널(210)의 설치 범위는 우물 천장의 바닥면에 제한된다. 다음으로, 제1엠바(220)를 제1캐링채널(21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제1캐링채널(210)의 저면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제1경량틀 조립체(200)는 우물 천장의 바닥면 범위 안에서 격자 형태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제1경량틀 조립체(200)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트 채널(400)을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제트 채널(400)의 상부 고정면(410)을 제1엠바(220)의 저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스크류로고정시킨다. 이때, 제트 채널(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엠바(220)의 길이방향으로 스크류 고정되거나, 제1엠바(220)의 너비 방향으로 스크류 고정된다. 이때, 제트 채널(400)이 제1엠바(220)의 너비 방향으로 고정될 경우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엠바(220)에 걸쳐 고정된다. 다음으로, 우물 천장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면 마감재인 석고보드(510)를 엠바(220)의 저면 및 제트 채널(400)의 상부 고정면(410)을 통과하여 제1엠바(220)의 저면에 고정시킨다. 이때, 석고보드(510)의 단부와 제트 채널(400)의 절곡면(420) 사이는 후술하는 측벽 마감재인 MDF(520)의 상단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MDF(520)의 두께만큼 이격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우물 천장의 측벽을 구성하는 MDF(520)를 제트 채널(400)의 절곡면(420)에 고정시킨다. 이때, MDF(520)는 제트 채널(400)의 절곡면(420)에 밀착되며, MDF(520)의 상단부는 상기 석고보드(510)와 제트채널(400)의 절곡면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이후, 스크류를 이용하여 MDF(520)를 제트 채널(400)의 절곡면(420)에 고정시킨다.다음으로, 제2경량틀 조립체(300)를 설치한다.이를 위해, 행거부재(100)의 하단부에 제2캐링채널(310)을 결합시키고, 제2엠바(320)를 제2캐링채널(31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제2캐링채널(310)의 하단부에 결합시킨다. 이때, 우물 천장의 측벽을 구성하는 MDF(520)에 밀착되는 제2엠바(320)의 저면에는 제트 채널(400)의 하부 고정면(430)이 스크류 고정된다. 이때, 제트 채널(400)의 하부 고정면(430) 역시 제2엠바(320)의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거나 제2엠바(320)의 너비 방향으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천장을 구성하는 천장 마감재인 석고보드(510)를 제2엠바(320)의 저면 및 제트 채널(400)의 하부 고정면(43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크류를 이용하여 제2엠바(320)의 저면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우물 천장 전체에 대한 일련의 마감재 시공이 완료된다. 이후, 우물 천장에 대한 심미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우물 천장을 구성하는 측벽 마감재인 MDF(520)에PVC(521) 몰딩을 추가로 시공한다. 상기 측벽 마감재인 MDF(520)는 우물 천장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부위로서, 실내에서 보았을 때, 우물 천장의 심미감이 가장 돋보일 수 있는 부위이다. 이에 따라, PVC(521) 몰딩을 MDF(520)에 더 시공함으로써, 우물 천장에 대한 심미감은 더욱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물 천장 구조는 우물 천장을 구성하는 마감재를 석고보드 및 MDF와 같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시킨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재의 마감재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천장을 구성하는 경량틀을 단차지게 설치하고 단차진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인 제트 채널이 설치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시공 비용은 절감되며, 우물 천장에 대한 심미감은 저하되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물 천장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보강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보강블록을 도시한 상측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보강블륵을 도시한 하측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따른 보강블록을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11는 도 7에 따른 보강블록을 도시한 타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라 2개의 보강블록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따른 보강블록을 도시한 타측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마감재 및 제트채널 상에는 보강블록이 구비된다. 상기 보강블록은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 보강블록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강블록은 하판(610)과 상판(630)을 구비한다. 이 하판(610)과 상판(630)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 지는데, 예를 들면 금속재인 연철,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재질에 관계없이 그 구조로서 음파를 감쇄 및 상쇄시키는 것이므로, 기타 건축 폐자재나 합성 수지를 활용하여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판(610)은 복수개의 단위 구조체(612)가 종횡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이 단위 구조체(612)는 장방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장방형의 개구부(614)를 구비한다. 따라서, 단위 구조체(612)는, 전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614)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격자 형태를 가진다.
이 개구부(614)는 하판(610)의 두께방향으로 그 크기가 연속적으로 작아진다. 즉, 상측에서 볼 때는 오목하며, 하측에서 볼 때는 볼록하다. 이를 위해, 개구부(614)를 둘러싸고 있는 단위 구조체(612)의 각 측벽(612a, 12b)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이 각도는 45°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의 각도를 이룬다. 이 각도가 45°를 초과하거나 25°미만일 경우에는, 보강블록의 적층시, 입사되는 음파가 반사되는 음파에 의해 감쇄 및 상쇄되지 않고 그대로 외부로 빠져나가 흡음 효과가 떨어진다.
각 단위 구조체(612)의 일측벽(612a)은 이웃하는 다른 단위 구조체의 일측벽(612b)과 접한다. 바람직하게, 맞닿은 측벽(612a,12b)은 경사로 의해 삼각형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2와 같이 하판(610)의 상측에서 볼 때는 경계면이 뾰족한 산 형상의 돌기부(615)를 형성 하고, 도 3과 같이 하판(610)의 하측에서 볼 때는 뾰족한 골 형상의 홈부(616)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삼각형을 이루는 측벽(612a, 12b)의 밑변 즉, 하판(610)의 개구부(614) 사이의 간격(L1)은 동일선 상의 개구부(614) 폭(L2)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보강블록의 적층시 이 홈부(616)에 다른 보강블록의 상판(630)이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홈부 사이의 간격(L1)과 개구부의 폭(L2)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입사되는 음파의 대부분을 반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하판(610)의 바닥면 예컨대, 장방형 개구부(614)의 일측면(614a)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홈(618)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이 슬릿홈(618)은 대향하는 개구부의 측면(614a, 614b) 상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데(6도 3 참조), 전체적으로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각 단위 구조체(612)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이 슬릿홈(618)에 의해 보강블록은 적층시 정확한 위치로 가이드 된다. 또한, 하판(610)에는 보강블록의 적층시 다른 보강블록의 상판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돌기(620)가 설치된다.돌기(620)는 개구부(614)의 장방향으로는 두 칸 건너마다 하나씩, 그리고 단방향으로는 한 칸 건너 하나씩 총 4개가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돌기의 위치 및 수량은 보강블록을 구성하는 단위 구조체(612)의 수량 및 크기에 따라 적절히 달라지게 된다. 이 돌기(620)의 높이는 보강블록의 적층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판(630)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판(630)은 띠(6帶)상의 판재를 격자 형태로 엮은 것으로, 그 간격은 하판(6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상판(630)은 하판(610)을 구성하는 각 단위 구조체(612)들 위에 위치하는데, 바람직하게는 각 단위 구조체(612)의 개구부(614)를 1/4로 등분하도록 하판 위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판(630)의 격자 교차점(6P1)이 개구부(614)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이때 상판(630)의 격자 간격(L3)은 단위 구조체(612)의 동일 방향 거리(L4)와 동일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보강블록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에서는 하판(610)과 상판(630)을 분리해서 설명했지만, 이들을 주물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가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보강블록을 10 ~ 20개의 미니 단위 블록으로 제조한 후, 이를 납땜 등으로 이어 붙여서 필요한 크기의 대형 보강블록으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보강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보강블록을 벽면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을 적층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다층으로 적층될 수록 입사되는 음파의 반사파를 많이 형성해 내어 음파를 감쇄 및 상쇄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방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스티로폼, 스펀지 등의 발포성 합성 수지를 본원 발명의 보강블록과 함께 시공할 수도 있다. 우선, 흡음 하고자 하는 공간의 벽면 및 천정에 본 발명의 보강블록(600)을 통상적인 고정 방식으로 시공한다. 그리고, 그 위에 다른 보강블록(600)을 설치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블록(600)의 상판 위에 다른 보강블록(600)의 하판이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즉, 보강블록(600)의 장방향으로는 슬릿홈(618)에 다른 보강블록(600)의 상판(630) 제 1라인(634)이 위치하도록 하고, 단방향으로는 보강블록(600)의 홈부(616)에 다른 보강블록(600)의 제 2라인(636)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흡음 블록(600)의 돌기(620)가 다른 보강블록(600)의 상판에 걸리도록 한다. 보강블록(600)의 상술한 산 모양의 경계면과 상판 라인(634)의 교차지점(6P2)이 다른 보강블록(600)의 상판 라인 교차점(6P1)과 일치하게 되고, 그 결과 보강블록(600)의 하판 개구부가 다른 보강블록(600)의 산 모양 측벽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게 되어 입사되는 음파의 대부분을 반사시키게 된다. 또한, 적층시 보강블록(600)의 상판 라인(63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보강블록(600)의 슬릿홈(618) 상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 인해 적층되는 보강블록은 결합 위치를 벗어나지 못하게 되고, 나아가 2층, 3층으로 적층시 최적의 적층 위치에 따라 그 위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물 차장 구조의 구성들 중 보강블록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블록(600)은 상기 마감재 및 상기 제트채널(400) 상에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보강블록(600)의 하판(610)은 두께방향으로 그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장방형 개구부(614)를 가진 복수개의 단위 구조체(612)가 종횡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H2)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블록(600)의 상판()은 격자형으로서, 상기 단위 구조체(612)들의 각 개구부를 등분하도록 상기 하판(610) 위에 배치되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H1)이 형성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단위 구조체(612)는 측벽(612a, 612b)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단위 구조체(612)의 상기 측벽(612a, 612b)에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완충패드(6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완충패드의 제1변형예로 도 16 도는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패드(620)에서 제1완충구(621)는 상기 단위 구조체(612)의 측벽(612a, 612b)에 구비되어 외부의 소음을 차단시킨다. 그리고, 상기 완충패드의 지지구(622) 상기 제1완충구(62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완충패드(620)의 상기 제2완충구(623)는 상기 완충패드(620)의 상기 지지구(622)를 매개로 상기 제1완충구(621)로부터 상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완충구(621)에 앞서 외부의 소음을 차단시킨다.
상기 완충패드(620)는, 상기 단위 구조체(612) 상의 복수의 측벽(612a, 612b)에 설치되며, 상기 제1완충구(621)는 복수의 상기 측벽(612a, 612b)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완충구(623)는 상기 제1완충구(621)에서 상방 이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완충구(623)는 개별의 독립형으로서 상기 복수의 측벽(612a, 612b) 상방과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완충구(623)는 상기 지지구(622)를 통해 일정 반경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구(622)와 상기 제2완충구(623)는 회동 가능한 다양한 결속방식(예 : 힌지결합 등)으로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완충구(621)와 상기 제2완충구(623)는 상호간에 탄성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완충구(621)와 상기 제2완충구(623) 사이에, 예컨대, 상기 지지구(622)의 인접하도록 탄성부재(C)들이 구비되어 상기 제2완충구(623)가 상기 제1완충구(621)로부터 탄성유동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부가적으로 상기 제2완충구(623)는, 테두리부가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일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외부의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622)는 단부가 원형상체로 형성되어 탄성부재(C)가 없는 것으로 가정 시 제2완충구(623)의 전방향 운동을 가능케 한다. 즉, 탄성부재(C)가 구비된 상태에서는 제한된 전방향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622)는 복수로 나뉘어 제1지지구(622a)와 제2지지구(622b) 상호 간에 일정 반경으로 관절운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622)는 제2지지구(622)가 탄성부재로 구비되고, 제2지지구(622)는 원형돌기로 구비시킬 경우 탄성과 회동이 모두 가능하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완충구(623)는 이웃하는 다른 제2완충구(623) 상호 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동시적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블록(600)은 테두리 둘레부 적어도 일부를 둘러 감싸도록 전면이 개구된 커버유닛(B)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유닛(B)의 전면 특정된 일부가 개구되도록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행거부재
200 : 제1경량틀 조립체
210 : 제1캐링채널
220 : 제1엠바
300 : 제2경량틀 조립체
310 : 제2캐링채널
320 : 제2엠바
400 : 제트채널
410 : 상부고정면
420 : 절곡면
430 : 하부고정면
500 : 마감재
510 : 바닥면마감재, 천장마감재(석고보드)
520 : 측벽 마감재(MDF)
521 : PVC
S : 슬래브
G : 홈(우물 천장 홈)

Claims (7)

  1. 우물 천장 구조로서,
    천장의 슬래브에 고정된 복수의 행거부재;
    상기 행거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우물 천장의 바닥면 부위에 배치된 복수의 제1캐링채널과, 상기 제1캐링채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제1캐링채널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의 제1엠바로 구성된 제1경량틀 조립체;
    상기 제1경량틀 조립체의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지게 배치되되 제1캐링채널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행거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된 복수의 제2캐링채널과, 상기 제1엠바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캐링채널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의 제2엠바로 구성된 제2경량틀 조립체;
    상기 제1엠바 및 제2엠바의 길이방향이나 너비방향으로 배치되되 제1엠바의 저면과, 제1엠바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진 위치에 있는 제2엠바의 저면을 연결하며, 제1엠바의 저면 및 제2엠바의 저면에 스크류 고정된 복수의 제트채널; 및
    상기 제1엠바 및 제2엠바 그리고 제트 채널을 따라 결합되어 천장에 우물형 홈이 형성되며, 천장 내부를 마감하는 합성수지재의 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재 및 상기 제트채널 상에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보강블록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블록은,
    두께방향으로 그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장방형 개구부를 가진 복수개의 단위 구조체가 종횡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판; 및
    상기 단위 구조체들의 각 개구부를 등분하도록 하판 위에 배치되되, 높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격자형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블록의 테두리 둘레부 적어도 일부를 둘러 감싸는 커버유닛을 더 포함하는 우물 천장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00328A 2016-08-05 2016-08-05 방음수단이 구비된 우물 천장 구조 KR101745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328A KR101745497B1 (ko) 2016-08-05 2016-08-05 방음수단이 구비된 우물 천장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328A KR101745497B1 (ko) 2016-08-05 2016-08-05 방음수단이 구비된 우물 천장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497B1 true KR101745497B1 (ko) 2017-06-09

Family

ID=5921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328A KR101745497B1 (ko) 2016-08-05 2016-08-05 방음수단이 구비된 우물 천장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4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539B1 (ko) 2004-06-30 2006-04-24 김배영 흡음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1263735B1 (ko) 2012-07-13 2013-05-13 (주)유창 우물 천장의 경량틀 구조
KR200476660Y1 (ko) 2013-05-24 2015-03-19 민일만 욕실 천정판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539B1 (ko) 2004-06-30 2006-04-24 김배영 흡음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1263735B1 (ko) 2012-07-13 2013-05-13 (주)유창 우물 천장의 경량틀 구조
KR200476660Y1 (ko) 2013-05-24 2015-03-19 민일만 욕실 천정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004B1 (ko) 우물 천장 구조물
EP1904695B1 (en) Suspension systems
US9932736B2 (en) Tunable specular acoustic deck
KR102222881B1 (ko) 방음성능을 향상시킨 흡음패널 구조체
KR102407789B1 (ko)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JP3664416B2 (ja) 建物の柵構造
KR101745497B1 (ko) 방음수단이 구비된 우물 천장 구조
KR20090015672A (ko) 탈부착 식 방음판넬 구조
KR101917584B1 (ko) 난간
KR100990354B1 (ko) 방음벽용 방음패널
KR102338176B1 (ko) 바닥부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마감천장구조
KR101238328B1 (ko) 방음벽 결합구조
JP5013826B2 (ja) 建築物における床支持構造
JP6474767B2 (ja) 防音壁用防音装置
KR101255216B1 (ko) 방음블럭 연결구조
KR20200000682U (ko) 건물 외장용 어셈블리
KR200430910Y1 (ko) 방음벽용 가변형 지주 가림판
KR102193992B1 (ko) Fab 옥상 배기시설 방음벽
KR200298070Y1 (ko) 방음벽
KR20090011141A (ko) 방음판넬
KR101608441B1 (ko) 방음벽 프레임
KR20110135764A (ko) 방음벽용 방음재
KR200314962Y1 (ko) 구조용 흡음패널
KR101456821B1 (ko) 조립식 방음 파티션
WO2003035985A1 (en) Single body type soundproof panel for w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