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106B1 - 시동 꺼짐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동 꺼짐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106B1
KR101745106B1 KR1020150097676A KR20150097676A KR101745106B1 KR 101745106 B1 KR101745106 B1 KR 101745106B1 KR 1020150097676 A KR1020150097676 A KR 1020150097676A KR 20150097676 A KR20150097676 A KR 20150097676A KR 101745106 B1 KR101745106 B1 KR 101745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ensor
model
sensor value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680A (ko
Inventor
안경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106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sensors or parameter dete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39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F02D41/144Sensor in intake manif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8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동 꺼짐 방지 장치는, 엔진; 흡기관을 통해 상기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측정하여 센서값을 생성하는 공기 유량 센서; 및 상기 센서값을 이용하여 센서값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센서값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한도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이상 감지 모드의 활성 상태에서 상기 흡기관의 이론적 압력을 모델링하여 생성되는 모델값을 즉시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동 꺼짐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starting-off}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 꺼짐 방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공기 유량 센서의 전기적 고장에 의한 순간적인 센서값 변화 발생시 시동 꺼짐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내연기관 엔진은 공기와 연료를 흡입하여 실린더 내에서 연소시킴으로써 그 폭발력을 이용하는 동력발생장치이다. 따라서 실린더 내에서 적절한 연소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실린더 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이를 기초로 적정한 연료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며, 실린더 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엔진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는 에어 클리너를 경유하여 흡기 매니폴드로 공급되고, 실린더 헤드의 흡기포트를 통해 실린더로 유입된다. 이때 실린더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흡기 매니폴드에 맵(MAP)센서(Manifold Absolute Pressure Sensor)가 사용된다. 이러한 맵 센서의 경우 상기 흡기 매니폴드 내의 압력을 통해 흡입 공기량을 간접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맵 센서의 경우 고장이 발생하면 문제가 된다. 이러한 고장을 감지하는 공개 기술로서는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3-0081683호(발명의 명칭: 차량에서 맵 센서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등이 있다.
위 공개 기술은 상하한치와 비교하는 레인지 체크(range check) 및 MAP 센서를 이용하지 않은 타센서 정보를 통하여, 고장 감지시 센서값 대신 모델값을 사용한다.
따라서, 모델값 대비 센서값의 차이에 의한 판단 및 디바운싱(debouncing)으로 인하여 빠르게 고장 검지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령 센서값의 드리프트(drift)가 천천히 발생하여 모델값과 센서값이 멀어지는 경우를 고려한다면, 두값의 비교에 의한 차이에 충분히 작은 임계값(threshold) 설정이 어렵게 된다. 즉 작은 임계값일수록 디바운싱 의존도는 커지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하여, 순간적인 공기량 계산 오류로 인해 엔진 부조가 발생하고, 이후 엔진 스톨(engine stall)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시동 꺼짐에 대한 대처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1.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3-0081683호 2.일본공개특허번호 제2006-177204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공기 유량 센서 시그널의 순간적인 이상 변화 발생시의 시동 꺼짐을 방지할 수 있는 시동 꺼짐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공기 유량 센서 시그널의 순간적인 이상 변화 발생시의 시동 꺼짐을 방지할 수 있는 시동 꺼짐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시동 꺼짐 방지 장치는,
엔진;
흡기관을 통해 상기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측정하여 센서값을 생성하는 공기 유량 센서; 및
상기 센서값을 이용하여 센서값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센서값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한도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이상 감지 모드의 활성 상태에서 상기 흡기관의 이론적 압력을 모델링하여 생성되는 모델값을 즉시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값을 적용한 이후 상기 모델값과 센서값의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 있으면 다시 상기 센서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값을 적용한 이후 고장 판정에 따른 고장 코드로 저장이 이루어지면 상기 이상 감지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량 센서는 MAP(Manifold Absolute Pressure) 센서 또는 공기 흐름 센서(AFS: Air Flow Senser)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델값은 수학식
Figure 112015066510233-pat00001
Figure 112015066510233-pat00002
(여기서, R은 이상기체상수, Tm은 흡기 매니폴드 온도, Vm은 흡기 매니폴드 체적(volume), Wθ는 스로틀을 통한 플로우, Wcyl은 실린더로 들어가는 플로우,
Figure 112015066510233-pat00003
은 모델값,
Figure 112015066510233-pat00004
는 체적 효율(volumetric efficiency), ne은 엔진 RPM(Revolution Per Minute), Pm은 매니폴드 압력, Vd는 총 배기량(total displaced cylinder volume)을 나타낸다)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엔진의 아이들 상태의 경우 상기 센서값에 일정한 지연값을 주어 상기 센서값 변화량을 읽어 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값 변화량은 현재 센서값과 이전 센서값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감지 모드에 대한 실행 조건은 아이들 상태를 경과하고, 엔진 RPM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고, 키온 상태이며, 시동 경과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델값의 적용은 상기 공기 유량 센서의 고장 판단 이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유량 센서에 대한 고장 판단이 이루어지면 상기 모델값을 적용하며, 상기 이상 감지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공기 유량 센서가 흡기관을 통해 상기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측정하여 센서값을 생성하는 센서값 생성 단계; 제어부가 상기 센서값을 이용하여 센서값 변화량을 계산하는 변화량 계산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값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한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한도 이상 판단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판단 결과에 따라 이상 감지 모드의 활성 상태에서 상기 흡기관의 이론적 압력을 모델링하여 생성되는 모델값을 적용하는 모델값 적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상 감지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델값을 적용한 이후 상기 모델값과 센서값의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 있으면 다시 상기 센서값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감지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델값을 적용한 이후 고장 판정에 따른 고장 코드로 저장이 이루어지면 상기 이상 감지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감지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 유량 센서에 대한 고장 판단이 이루어지면 상기 모델값을 적용하며, 상기 이상 감지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 고장으로 공기 유량 센서의 시그널이 순간적으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고장 판정 전에 이를 감지하여 대체값을 적용함으로써 시동 꺼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시동 꺼짐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동 꺼짐 방지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제어기의 상세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량 센서의 전기적 고장에 의한 순간적인 센서값 변화 발생시 시동 꺼짐을 방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동 방지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동 방지를 위한 이상 감지 모드에 대한 실행 조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동 꺼짐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동 꺼짐 방지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동 꺼짐 방지 장치(100)는, 흡기관(110), 이 흡기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측정하여 센서값을 생성하는 공기 유량 센서(120), 센서값을 이용하여 공기 유량 센서(12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모델값 및 센서값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제어기(130), 상기 제어기(1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엔진(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흡기관(110)은 엔진(140)의 실린더 내로 공기를 유입하게 하는 통로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미도시), 공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공기 유량 센서(120)는 흡기관(110)의 흡기 매니폴드 측에 장착되어 스로틀 밸브(미도시)의 개도에 따른 공기량을 측정하여 공기량 정보인 센서값을 생성한다. 이러한 공기 유량 젠서(120)는 MAP(Manifold Absolute Pressure) 센서 또는 공기 흐름 센서(AFS: Air Flow Sensor) 등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기 매니폴드 전단에 설치되는 공기 흐름 센서(AFS)를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 량을 직접 측정하거나, 흡기 매니폴드에 맵(MAP)센서를 장착하여 상기 흡기 매니폴드 내의 압력을 통해 흡입 공기량을 간접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공기 유량 센서(120) 이외에도 대기압을 검출하는 대기압 센서(미도시), 흡기온도를 검출하는 흡기온도 센서(미도시),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센서(미도시)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상기 센서값을 이용하여 센서값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센서값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한도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이상 감지 모드에서 상기 흡기관의 이론적 압력을 모델링하여 생성되는 모델값을 즉시 적용한다.
엔진(140)은 가솔린을 연료로하는 CVVT(Continuous Variable Valve Timing), DOHC(Double Over Head Camshaft), CVT(Continuous Valve Timing), GDI(Gasoline Direct Injection), MPI(Multi Point Injection) 엔진, 디젤을 연료로하는 CRDI(Commom Rail Direct Injection,), HTI(High dirction Turbo Intercooler), VGT(Variable Geometry Turbocharge) 엔진, 가스를 연료로하는 LPGX 엔진 등이 될 수 있다.
RPM 검출기(150)는 엔진(140)의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크랭크축이 회전함에 따라 엔진 RPM(Revolution Per Minute)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제어기의 상세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기(130)는 변화량 계산부(210), 판단부(220), 및 적용부(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화량 계산부(210)는 현재 센서값과 이전 센서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실시간으로 센서값 변화량을 모니터링한다.
판단부(220)는 변화량 계산부(210)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센서값 변화량이 순간적으로 정해진 한도 이상의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적용부(230)는 순간적으로 한도 이상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매니폴트 압력 대체값인 모델값을 즉시 적용하여 시동 꺼짐을 방지한다. 즉, 공기 유량 센서(120)의 고장을 판단하기 이전에 공기 유량 센서(120)의 신호에 이상이 발생하면 즉시 모델값을 적용한다.
모델값은 매니폴드 필링 다아나믹스(Manifold Filing Dynamics)를 이용하여 산출된다. 이 매니폴드 필링 다아나믹스(Manifold Filing Dynamics)는 등온선 흡기 매니폴드 압력 모델(Isothermal Intake Manifold Pressure Model)로 모델링된다.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5066510233-pat00005
여기서, R은 이상기체상수, Tm은 흡기 매니폴드 온도, Vm은 흡기 매니폴드 체적(volume), Wθ는 스로틀을 통한 플로우(flow), Wcyl은 실린더로 들어가는 플로우,
Figure 112015066510233-pat00006
은 모델값(즉 추정값)을 나타낸다.
이 실린더로 들어가는 플로우(flow)는 스피드-밀도 기법(speed-density method)은 다음식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5066510233-pat00007
여기서,
Figure 112015066510233-pat00008
는 체적 효율(volumetric efficiency), ne은 엔진 RPM(Revolution Per Minute), Pm은 매니폴드 압력, Vd는 총 배기량(total displaced cylinder volume)을 나타낸다.
위 수학식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 압력은 입력 스로틀 플로우(input throttle flow)에 대하여 기계적 댐핑(mechanical damping)을 갖고 움직이게 된다. 또한, 매니폴드 압력의 변화는 평형(equilibrium)(즉 steady state)으로 입력 스로틀 플로우의 변화에 의하여 제한된다(bound).
또한, 아이들 제어 등의 제어 상황에서 스로틀은 피드백 제어되며 이에 의한 스로틀 플로우의 지연(lag)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 매니폴드 필링 다아나믹스를 흡기 압력의 상태 변화로 보았을 때, 여기에는 물리적인 기계적 임피던스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특히 아이들 제어 상황에서는, 센서값의 비정상적인 압력 변화는 물리적으로 가능한 변형량과 구분하여 판별이 가능하다.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적용부(230)는 공기 유량 센서(120)에 의한 센서값의 순간적인 변화이후, 모델값을 적용하다가 모델값과 센서값의 차이가 정해진 한도 안에 들어온 이후로는 다시 센서값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적용부(230)는 만일 모델값 적용후 일반적인 고장 감지 기능이 공기 유량 센서(120)의 고장 판정을 하고 고장 코드 저장이 이루어지면 센서값 변화량을 통한 이상 감지 모드를 해제한다.
다른 한편으로, 적용부(230)는 상기 엔진(140)이 아이들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센서값에 일정한 지연값을 주어 상기 센서값 변화량을 읽어 들임으로써 엔진 부조를 극복하고 시동 꺼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는 매니폴드 압력 계산치에 지연값(lag)을 개입시키는 방식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량 센서의 전기적 고장에 의한 순간적인 센서값 변화 발생시 시동 꺼짐을 방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유량 센서(도 1의 120)가 흡기관(도 1의 110)을 통해 상기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측정하여 센서값을 생성한다. 이후, 제어기(130)는 이러한 상기 센서값을 이용하여 센서값 변화량을 계산한다(단계 S310). 센서값 변화량은 현재 센서값과 이전 센서값의 차이가 된다.
센서값 변화량이 계산되면, 센서값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특정값(Mx)이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321). 판단 결과, 센서값 변화량이 특정값(Mx)이상이면, 이상 감지로 확인하고 이상 감지 모드의 활성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21,S323).
단계 S323에서 이상 감지 모드가 활성 상태이면 제어기(130)는 모델값을 적용하여 엔진(도 1의 140)을 제어한다(단계 S325). 이와 달리, 단계 S323에서 이상 감지 모드가 활성 상태가 아니면 제어기(130)는 센서값을 적용한다(단계 S327).
한편, 제어기(130)는 유효한 모델값이 이용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330). 이는 모델값 적용 이후 및/또는 모델값 적용 이전이 가능하다.
단계 S330에서 유효한 모델값이 이용 가능하지 않으면, 센서값을 적용하고, 유효한 모델값이 이용 가능하면 모델값과 센서값의 차이가 특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331). 모델값과 센서값의 차이는 절대값이 될 수 있다.
단계 S331에서 모델값과 센서값의 차이가 특정 범위 이내이면 공기 유량 센서(120)가 정상 상태이므로 이상 감지 모드를 해제한다(단계 S360). 이와 달리, 모델값과 센서값의 차이가 특정 범위를 넘어서면 모델값을 적용한다.
또한, 공기 유량 센서(120)의 고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40). 이러한 고장 판단은 모델값 적용 이후로서 고장으로 판단되면 변화량을 통한 이상 감지 모드는 해제된다(단계 S360). 이 경우, 모델값으로 대체가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단계 S340에서 고장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S310)가 반복 수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동 방지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순간적인 센서값의 이상 변화 시점(400)에서 센서값으로부터 모델값으로 적용하는 모델값 적용시점(430)이 즉시 발생한다. 물론, 이상 변화 시점(400)에서 전환공기 유량 센서의 드리프트 라인(420)은 계속 유지된다. 이러한 모델값 적용시점(430) 이후 고장 코드 저장 시점(410)이 놓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동 방지를 위한 이상 감지 모드에 대한 실행 조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상 감지 모드에 대한 실행 조건은 아이들 조건 경과를 체크하는 아이들 조건 경과 체크 조건(510), 엔진 RPM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이상인지를 체크하는 최소 RPM 이상 체크 조건(520), 키온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키온 상태 체크 조건(530), 시동 경과 상태를 인지를 체크하는 시동 경과 상태 체크 조건(540)이다. 이러한 체크 조건들을 만족하면 이상 감지 모드를 실행하는 인에이블 비트(550)가 생성된다.
100: 시동 꺼짐 방지 장치
110: 흡기관
120: 공기 유량 센서
130: 제어기
140: 엔진
150: RPM(Revolution Per Minute)

Claims (20)

  1. 엔진;
    흡기관을 통해 상기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측정하여 센서값을 생성하는 공기 유량 센서; 및
    상기 센서값을 이용하여 센서값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센서값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한도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이상 감지 모드의 활성 상태에서 상기 흡기관의 이론적 압력을 모델링하여 생성되는 모델값을 즉시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델값은 흡기 매니폴드 압력 모델(Intake Manifold Pressure Model)로 모델링된 값이고,
    상기 모델값의 적용은 상기 공기 유량 센서의 고장 판단 이전에 이루어지며,
    상기 모델값을 적용한 이후 상기 모델값과 센서값의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 있으면 다시 상기 센서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값을 적용한 이후 고장 판정에 따른 고장 코드로 저장이 이루어지면 상기 이상 감지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량 센서는 MAP(Manifold Absolute Pressure) 센서 또는 공기
    흐름센서(AFS: Air Flow Sens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값은 수학식
    Figure 112015066510233-pat00009
    Figure 112015066510233-pat00010
    (여기서, R은 이상기체상수, Tm은 흡기 매니폴드 온도, Vm은 흡기 매니폴드 체적(volume), Wθ는 스로틀을 통한 플로우, Wcyl은 실린더로 들어가는 플로우,
    Figure 112015066510233-pat00011
    은 모델값,
    Figure 112015066510233-pat00012
    는 체적 효율(volumetric efficiency), ne은 엔진 RPM(Revolution Per Minute), Pm은 매니폴드 압력, Vd는 총 배기량(total displaced cylinder volume)을 나타낸다)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의 아이들 상태의 경우 상기 센서값에 일정한 지연값을 주어 상기 센서값 변화량을 읽어 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값 변화량은 현재 센서값과 이전 센서값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감지 모드에 대한 실행 조건은 아이들 상태를 경과하고, 엔진 RPM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이상이고, 키온 상태이며, 시동 경과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유량 센서에 대한 고장 판단이 이루어지면 상기 모델값을 적용하며, 상기 이상 감지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장치.
  11. 공기 유량 센서가 흡기관을 통해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측정하여 센서값을 생성하는 센서값 생성 단계;
    제어부가 상기 센서값을 이용하여 센서값 변화량을 계산하는 변화량 계산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값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한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한도 이상 판단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판단 결과에 따라 이상 감지 모드의 활성 상태에서 상기 흡기관의 이론적 압력을 모델링하여 생성되는 모델값을 적용하는 모델값 적용 단계;를 포함하 며,
    상기 모델값은 흡기 매니폴드 압력 모델(Intake Manifold Pressure Model)로 모델링된 값이고,
    상기 모델값의 적용은 상기 공기 유량 센서의 고장 판단 이전에 이루어지며,
    상기 이상 감지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델값을 적용한 이후 상기 모델값과 센서값의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 있으면 다시 상기 센서값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감지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델값을 적용한 이후 고장 판정에 따른 고장 코드로 저장이 이루어지면 상기 이상 감지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량 센서는 MAP(Manifold Absolute Pressure) 센서 또는 공기
    흐름센서(AFS: Air Flow Sens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값은 수학식
    Figure 112015066510233-pat00013
    Figure 112015066510233-pat00014
    (여기서, R은 이상기체상수, Tm은 흡기 매니폴드 온도, Vm은 흡기 매니폴드 체적(volume), Wθ는 스로틀을 통한 플로우, Wcyl은 실린더로 들어가는 플로우,
    Figure 112015066510233-pat00015
    은 모델값,
    Figure 112015066510233-pat00016
    는 체적 효율(volumetric efficiency), ne은 엔진 RPM(Revolution Per Minute), Pm은 매니폴드 압력, Vd는 총 배기량(total displaced cylinder volume)을 나타낸다)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의 아이들 상태의 경우 상기 센서값에 일정한 지연값을 주어 상기 센서값 변화량을 읽어 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값 변화량은 현재 센서값과 이전 센서값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감지 모드에 대한 실행 조건은 아이들 상태를 경과하고, 엔진 RPM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이상이고, 키온 상태이며, 시동 경과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방법.
  19. 삭제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감지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 유량 센서에 대한 고장 판단이 이루어지면 상기 모델값을 적용하며, 상기 이상 감지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꺼짐 방지 방법.
KR1020150097676A 2015-07-09 2015-07-09 시동 꺼짐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745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676A KR101745106B1 (ko) 2015-07-09 2015-07-09 시동 꺼짐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676A KR101745106B1 (ko) 2015-07-09 2015-07-09 시동 꺼짐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680A KR20170006680A (ko) 2017-01-18
KR101745106B1 true KR101745106B1 (ko) 2017-06-08

Family

ID=5799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676A KR101745106B1 (ko) 2015-07-09 2015-07-09 시동 꺼짐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1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279A (ja) * 2000-11-08 2002-05-22 Toyota Motor Corp 吸入空気量算出装置及び吸気圧算出装置
JP2006342748A (ja) * 2005-06-09 2006-12-2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295B1 (ko) 2002-04-12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 맵 센서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JP4439388B2 (ja) 2004-12-21 2010-03-24 ヤンマー株式会社 燃料噴射量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279A (ja) * 2000-11-08 2002-05-22 Toyota Motor Corp 吸入空気量算出装置及び吸気圧算出装置
JP2006342748A (ja) * 2005-06-09 2006-12-2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680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2202B2 (ja) 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JP5807953B2 (ja) 圧力センサ診断方法及びコモンレール式燃料噴射制御装置
US10066584B2 (en) Error determination unit
CN102477912B (zh) 用于对内燃机进行控制的方法
CN106194362B (zh) 用于控制氧传感器的设备和方法
JP4335167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US10385788B2 (en) Operating a gaseous fuel injector
JP2007170345A (ja) 内燃機関の燃焼異常検出装置
US20130298654A1 (en) Method for diagnosing a valve of a fluid supply line
EP3029304A1 (en) Exhaust system state detection device
JP2015169169A (ja) エンジンシステムの異常判定装置
KR102384313B1 (ko) 내연기관용 급기 시스템에서 압력 기반 질량 유량 센서의 점검 방법 및 장치
KR20150115043A (ko) 배기가스재순환 밸브의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
JP201015103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1745106B1 (ko) 시동 꺼짐 방지 장치 및 방법
RU2626905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US20160090926A1 (en) Supercharging system
WO2015087134A1 (en) Diagnostic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0174737A (ja) ディーゼル機関の制御装置
JP2008303860A (ja) 燃料性状補正装置
JP2006090306A (ja) 少なくとも1つのシリンダを有する内燃機関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JP5798796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CN110719993B (zh) 空气质量测量装置的可信度检验
JP6559002B2 (ja) ラムダセンサ故障診断方法及び車両用動作制御装置
JP7415998B2 (ja) 故障診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