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019B1 -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019B1
KR101745019B1 KR1020110130528A KR20110130528A KR101745019B1 KR 101745019 B1 KR101745019 B1 KR 101745019B1 KR 1020110130528 A KR1020110130528 A KR 1020110130528A KR 20110130528 A KR20110130528 A KR 20110130528A KR 101745019 B1 KR101745019 B1 KR 101745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atial
channel
speak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906A (ko
Inventor
문종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0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04S5/02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of the pseudo four-channel type, e.g. in which rear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two-channel ster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일반 스피커; 차량의 실내에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일반 스피커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하이트 스피커; 및 음원데이터에서 공간음을 분리하고 분리된 공간음은 반사음 및 잔향음 처리되어 상기 하이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적인 프론트 스피커와 추가적인 Height channel 스피커를 모두 갖춘 오디오 청취 환경에서 front channel 및 Height channel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생성, 가공,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직접음, 반사음, 잔향음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사람의 오디오 청취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음원 소스에서 방출된 신호 중 다른 재질(벽, 바닥, 천장 등)에 맞지 않고 바로 귀로 들어오는 신호(Direct Sound, 직접음)는 전체의 약 11%이며, 나머지 89%는 다른 재질을 한번 혹은 여러 번 맞은 후 귀로 전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모든 청취 환경은 청취 공간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청취 공간에 영향을 주는 오디오 신호의 종류는 아래 및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3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Direct Sound(직접음) : 어떠한 반사도 없이 직접 사람에게 전달되는 소리이다.
2. Early Reflections(반사음) : 첫 번째 반사음의 경우 수 milli-seconds 단위로 이후 사람에게 전달된다. 사람의 뇌는 이러한 반사음을 통하여 공간의 크기, 재질 등을 가늠할 수 있게 된다.
3. Reverb(잔향음) : 반사음보다 더 반사되어 사람에게 가장 나중에 전달되는 소리이다.
청취 환경에 영향을 주는 항목으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공간적 특징뿐 아니라 음원 소스의 개수 및 스피커의 재생 위치도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사람의 귀의 개수에 근거하여 제안된 종래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2개의 스피커를 청취자 귀의 높이에 위치하여 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공간적 특징을 향상시키기 위해 ITU-R BS.775에 명시된 5.1채널 스피커 표준 배치는 스테레오 배치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오디오 신호의 공간 특성을 더욱 잘 표현 가능하다.
NHK에서는 가정용 UHDTV (Ultra High Definition TV)의 스피커 배치를 제안하였는데 22.2채널 배치로 총 24개의 스피커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청취자 기준 귀의 높이에 총 10 채널 (Middle Layer), 바닥에 총 5개 채널 (Lower Layer), 귀보다 높은 위치에 총 9개 채널을 사용하여 공간 특성을 표현한다.
이와 같이 사람에게 전달되는 소리의 공간적 청취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의 사운드 시스템들에서 귀보다 높은 위치에 스피커를 두는 하이트 스피커의 채용이 늘고 있으나 하이트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신호에 직접음, 반사음, 잔향음을 인위적으로 생성하는 가공 방법은 제공하지 않았다.
더욱이, 차량의 경우 그 내부공간이 매우 작아 실제 확장된 공간과 같은 풍부한 소리를 체험하기 어려우며, 더욱이 기존의 차량 스피커들은 모두 탑승자의 귀 언저리에만 설치되어 있어 머리 윗방향으로 소리가 비어있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간음을 분리하고, 이를 반사음이나 잔향음과 같은 효과를 주며, 특히 이를 차량의 윗방향에서 출력토록 함으로써 좁은 실내 공간에서도 답답하지 않고 공간감이 풍부한 사운드를 구현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간음을 분리하고, 이를 반사음이나 잔향음과 같은 효과를 주며, 특히 이를 차량의 윗방향에서 출력토록 함으로써 좁은 실내 공간에서도 답답하지 않고 공간감이 풍부한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일반 스피커; 차량의 실내에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일반 스피커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하이트 스피커; 및 음원데이터에서 공간음을 분리하고 분리된 공간음은 반사음 및 잔향음 처리되어 상기 하이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일반 스피커의 경우 공간음이 제거된 음원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음원데이터의 L채널과 R채널간 신호의 상관도를 통해 공간음을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음원데이터의 L채널과 R채널의 신호 레벨이 같고 상관도가 높을 경우 센터음으로 판정하고, 상관도는 높으나 레벨이 다른 경우 방향음으로 판정하여 센터음과 방향음을 일반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센터음, 방향음, 공간음의 출력게인(Gain)값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음원데이터의 L채널과 R채널 각각의 신호 레벨과 상호간의 상관도를 미리 마련된 테이블에 대입하여 공간음을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음원데이터를 복수의 주파수 구간으로 나누어 각 주파수 구간마다 공간음을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공간음을 유사센터음, 유사방향음, 유사공간음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출력게인(Gain)값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공간음의 경우 동일한 신호를 레벨을 감소시키면서 딜레이하여 중첩함으로써 반사음 및 잔향음 처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음원데이터의 L채널과 R채널간 신호의 상관도를 통해 공간음을 분리하는 분리단계; 분리된 공간음을 레벨을 감소시키면서 딜레이하여 중첩함으로써 반사음 및 잔향음 처리를 하는 처리단계; 및 공간음을 유사센터음, 유사방향음, 유사공간음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출력게인(Gain)값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는 적용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실제 오디오 신호가 가진 원음의 음상, 음장을 복원하여, 차량 내에서 넓고 자연스럽게 청취할 수 있는 프리미엄 사운드 재생 공간을 만드는 차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청취 공간이 협소하거나 제약이 있을 경우, 넓거나 제약이 없어진 환경에서 청취하는 듯한 효과가 제공되고, Height channel의 탑재로 인한 귀 윗공간에 비어있는 음장(Sound Field)이 채워지는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게인값을 소리마다 달리 설정함으로써 좁은 차량 내부에 갇힌 소리가 아닌 자연스러운 원음의 사운드를 복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직접음, 반사음, 잔향음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부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 중 공간음 추출/재생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 중 Early reflection/Reverb부의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Early reflection/Reverb부 중 Generator부의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Generator부 중 Gain Estimation부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 제어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오디오 시스템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일반 스피커(200); 차량의 실내에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일반 스피커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하이트 스피커(100); 및 음원데이터에서 공간음을 분리하고 분리된 공간음은 반사음 및 잔향음 처리되어 상기 하이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종래의 5.1 채널 등의 일반 스피커 외에 상기 하이트(Height) 스피커에서 재생할 공간음을 별도로 분리하여 처리하고 추후 이들 각각의 게인값을 조정함으로써 청취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부 구성도로서, 제어부는 입력된 음원데이터에서 공간음을 분리하고 재생하는 공간음 추출/재생장치, 추출된 공간음에 반사음과 잔향음 효과를 부여하는 Early reflection/Reverb부, 이를 후처리하여 재생하는 Audio Post Processing부로 구성되고, 일반 스피커를 대상으로 하는 제어부분은 공간음 제거장치, Audio Post Processing부, 하이트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소리와 매칭되도록 일반 스피커의 소리를 튜닝하는 Height Ch. Tonal Balancing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스피커 및 하이트 스피커에 추가적인 오디오 후처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일반 스피커에 재생하기 위한 <공간음 제거 장치>, <Audio Post Processing>, <Height ch. Tonal Balancing> 블록의 순서는 제약이 없으며, 필요에 따라 Serial 혹은 Parallel 구성이 가능하다. 이는 하이트 스피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일반 스피커 채널의 경우 오디오 후처리를 위한 <Audio Post Processing> 블록은 아래와 같은 구성이 가능하며 제약은 없다.
1) Surround / Widening 기능 : 하이트 스피커 채널이 일반적으로 공간의 윗쪽을 채워주는 역할을 한다면, 일반 스피커 채널에 가상 Surround 혹은 (multichannel의 경우라도) widening 기능을 추가하여 윗쪽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공간의 확장이 가상으로 가능하다. 즉, Left, Right 채널의 좌우 확산 기능을 담당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블록이 추가되는 경우를 말한다.
2) Volume/Loudness 제어/변경 기능 : 입력 소스의 볼륨 차이를 해소하는 기능의 추가가 가능하다. 이는 하이트 스피커 기능이 On/Off 가 가능한 구성으로 적용할 경우, On/Off의 볼륨 차이를 해소할 수 있게 하는 용도 등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물론, 이는 하이트 스피커 측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볼륨뿐만 아니라 주파수 특성을 변경하는 등의 기능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 중 공간음 추출/재생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어부(300)는 일반 스피커(200)의 경우 공간음이 제거된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음원데이터의 L채널과 R채널간 신호의 상관도를 통해 공간음을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300)는 음원데이터의 L채널과 R채널의 신호 레벨이 같고 상관도가 높을 경우 센터음으로 판정하고, 상관도는 높으나 레벨이 다른 경우 방향음으로 판정하여 센터음과 방향음을 일반 스피커(200)로 출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음원데이터의 L채널과 R채널 각각의 신호 레벨과 상호간의 상관도를 미리 마련된 테이블에 대입하여 공간음을 분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300)는 음원데이터를 복수의 주파수 구간으로 나누어 각 주파수 구간마다 공간음을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센터음, 방향음, 공간음의 출력게인(Gain)값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공간음은 직접음과는 반대로 방향성을 가지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방향성을 사용자가 인지하게 되는 것은 같은 신호가 레벨의 차이를 가지고 두 귀로 전달되거나, 혹은 시간 지연을 가지고 두 귀로 전달되거나, 혹은 레벨 차이와 시간 지연 모두를 가지고 두 귀로 전달되는 등의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방향성을 가지는 신호는 신호가 포함된 두 채널 간에 강한 상관관계를 갖게 한다. 반대로, 공간음은 두 채널 간에 상관 관계가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간음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두 채널에 포함된 신호 중 상관관계가 낮은 성분을 추출해내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의 공간음 분리는 해당 기능 주파수 영역에서 진행되며, 필요에 따라서 band를 나누어 밴드별 처리도 가능하다. 이때 밴드는 사람의 귀의 주파수 해상도에 근거하여 계산된 Critical Band를 기본 단위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입력 신호(Time-Freq. Transform, 311)에 대해 각 밴드의(혹은 전체 블록)의 입력 레벨 (혹은 Power)와 상대 채널간의 Correlation(상관도)을 근거로 현재 신호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입력 신호가 공간음이 아닐 경우는 Gain을 줄여주어 공간음만 남도록 입력 신호를 재처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Level Estimation부(레벨 측정, 312)와 Correlation Estimation부(상관도 측정, 313)을 이용한다.
여기서 가공된 입력신호는 Freq.-Time Transform에 의해 다시 time-domain의 신호로 합성되어야 하나, 이후 단계 진행 후 최종 단계에서 진행한다.
또한, i0는 입력 신호의 크기 및 상관도를 나타내는 정보인데, 이는 추후 Early reflection 생성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넘겨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Binaural calculation(판정부, 314)에서는 L채널과 R채널 각각의 신호 레벨과 상호간의 상관도를 비교하기 위해 미리 마련된 테이블로서, 이를 통하여 공간음을 분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Binaural calculation 블록은, L,R 채널의 Level difference와 상관 관계를 따져서 Center, Source(Directional), Ambient 공간 정보를 추출하는데 사용한다. 예를 들어, L, R의 신호 성분이 동일한 Level 및 상관도를 가질 때 이는 Center에 위치한 신호의 특성을 의미하며, L, R의 신호 성분에 상관도가 없을 경우 Ambient 공간 신호성분을 나타낸다. Level 등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신호의 경우 방향성이 있는 Source(Directional) 신호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판별 작업은 분석기(Analyzer)에서 이루어진다.
이렇게 판별/추출된 신호중 Ambient 신호에 대해서 신호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Ambient Gain Estimation 블록에서 처리된다. Ambient Gain Estimation(공간음 게인값 적용, 315)를 통하여 추출된 공간음을 증폭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 중 Early reflection/Reverb부의 구성도로서, Early reflection 생성기는 추출된 공간음 신호에 대해서 Early reflection 신호를 생성한다(321). 이때 미리 사용자 (혹은 오디오 튜닝 담당자)로 부터 전달받은 파라미터에 의해 기본적인 스펙이 정해지지만, 추가로 현재 신호의 Binaural 특성을 반영하여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신호의 레벨이 작을 때는 상대적으로 Early Reflection 신호의 Gain을 크게 하고, 레벨이 클 때는 작게 하는 등의 Dynamic 및 Non-linear 처리가 가능하며 사용 방법에 의한 제약은 없다.
생성된 Early reflection 신호를 입력 신호에 추가한 뒤, 필요에 따라 출력 스피커에 따른 신호 보상 작업이 진행된 후 출력되는 구조이다(322). 여기서 스피커 보상 작업은, 하이트 스피커로 선정된 스피커가 저음 재생 능력이 부족할 경우, 스피커 파손 방지를 위한 High-pass Filter를 적용 한다던지, 혹은 스피커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보정하는 등의 Tonal Balancing 작업 등의 스피커 보상 처리(322)를 의미한다. i0는 입력 신호의 크기 및 상관도를 나타내는 정보며 Early Reflection 및 Reverb. 생성기에 사용된다. 그리고 가공된 신호는 Freq.-Time Transform(323)에 의해 다시 time-domain의 신호로 합성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Early reflection/Reverb부 중 Generator부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Generator부 중 Gain Estimation부의 구성도이다.
Reflection Generator(321a) 및 ER and Reverb. Generator(321b)의 경우는 공간음의 경우 동일한 신호를 레벨을 감소시키면서 딜레이하여 중첩함으로써 반사음 및 잔향음 처리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생성된 ER 및 Reverb. 신호의 Gain을 결정할 때(321c), 앞서 생성된 Level 및 상관도 정보를 이용하여 Gain 값을 생성한다.
여기서 Gain Estimation부(321c)는 도 7에서와 같이 현재 적용하려는 신호의 특성이 Center 인지 LR(Source신호) 인지 LsRs(Ambient신호) 인지에 따라 각각 다른 게인을 적용하여 차량에서 재생 가능하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공간음을 유사센터음, 유사방향음, 유사공간음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출력게인(Gain)값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Room Effect를 Ambient 신호에만 주게 되면 전체적인 원음의 느낌을 완전히 회복하기가 힘들다. 하지만, 예를 들어 목소리가 많이 위치한 Center 신호에 너무 과도한 Reverb. (Room Effect) 효과가 들어가면 경우에 따라 뉴스와 같이 목소리만 듣게 되는 컨텐츠에 경우 청취자에 따라 약간 불쾌감을 느낄 수도 있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신호에 Room Effect를 첨가하되, 원음의 느낌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이를 먼저 Spatial Analyzer(321ca)를 이용하여 유사센터음, 유사방향음, 유사공간음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Center, Source 신호, Ambient 신호에 따라 각각 다른 Room Effect(321cb, 321cc, 321cd)를 주어 음질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음원데이터의 L채널과 R채널간 신호의 상관도를 통해 공간음을 분리하는 분리단계(S100); 분리된 공간음을 레벨을 감소시키면서 딜레이하여 중첩함으로써 반사음 및 잔향음 처리를 하는 처리단계(S200); 및 공간음을 유사센터음, 유사방향음, 유사공간음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출력게인(Gain)값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는 적용단계(S300);를 포함한다. 이에 관하여는 상술한 오디오 시스템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실제 오디오 신호가 가진 원음의 음상, 음장을 복원하여, 차량 내에서 넓고 자연스럽게 청취할 수 있는 프리미엄 사운드 재생 공간을 만드는 차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청취 공간이 협소하거나 제약이 있을 경우, 넓거나 제약이 없어진 환경에서 청취하는 듯한 효과가 제공되고, Height channel의 탑재로 인한 귀 윗공간에 비어있는 음장(Sound Field)이 채워지는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게인값을 소리마다 달리 설정함으로써 좁은 차량 내부에 갇힌 소리가 아닌 자연스러운 원음의 사운드를 복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하이트 스피커 200 : 일반 스피커
300 : 제어부

Claims (10)

  1.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일반 스피커(200);
    차량의 실내에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일반 스피커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하이트 스피커(100); 및
    음원데이터의 L채널과 R채널간 신호의 상관도를 통해 공간음을 분리하고 분리된 공간음은 반사음 및 잔향음 처리되어 상기 하이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300)는 음원데이터의 L채널과 R채널간 신호 레벨이 같고, 상관도가 높을 경우 센터음으로 판정하고, 상관도는 높으나 레벨이 다른 경우 방향음으로 판정하여 센터음과 방향음을 일반 스피커(200)로 출력하며, 센터음, 방향음, 공간음의 출력게인(Gain)값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고, 공간음을 유사센터음, 유사방향음, 유사공간음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출력게인(Gain)값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일반 스피커(200)의 경우 공간음이 제거된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음원데이터의 L채널과 R채널 각각의 신호 레벨과 상호간의 상관도를 미리 마련된 테이블에 대입하여 공간음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음원데이터를 복수의 주파수 구간으로 나누어 각 주파수 구간마다 공간음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공간음의 경우 동일한 신호를 레벨을 감소시키면서 딜레이하여 중첩함으로써 반사음 및 잔향음 처리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0. 청구항 1의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음원데이터의 L채널과 R채널간 신호의 상관도를 통해 공간음을 분리하는 분리단계(S100);
    분리된 공간음을 레벨을 감소시키면서 딜레이하여 중첩함으로써 반사음 및 잔향음 처리를 하는 처리단계(S200); 및
    공간음을 유사센터음, 유사방향음, 유사공간음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출력게인(Gain)값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는 적용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단계(S100) 시, 음원데이터의 L채널과 R채널간 신호 레벨이 같고 상관도가 높을 경우 센터음으로 판정하고, 상관도가 높으나 레벨이 다른 경우 방향음으로 판정하여 공간음을 분리하며, 센터음, 방향음, 공간음의 출력게인(Gain)값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110130528A 2011-12-07 2011-12-07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45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28A KR101745019B1 (ko) 2011-12-07 2011-12-07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28A KR101745019B1 (ko) 2011-12-07 2011-12-07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906A KR20130063906A (ko) 2013-06-17
KR101745019B1 true KR101745019B1 (ko) 2017-06-09

Family

ID=4886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528A KR101745019B1 (ko) 2011-12-07 2011-12-07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707B1 (ko) 2019-10-30 2020-09-08 박재범 다채널스피커가 장착된 이동식 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9880A (ja) * 2009-02-09 2010-08-19 Daikyonishikawa Corp スピーカ配設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9880A (ja) * 2009-02-09 2010-08-19 Daikyonishikawa Corp スピーカ配設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707B1 (ko) 2019-10-30 2020-09-08 박재범 다채널스피커가 장착된 이동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906A (ko) 201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021B1 (ko) 기록/재생용 다중 채널 오디오 강화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2160254B1 (ko) 액티브다운 믹스 방식을 이용한 입체 음향 재생 방법 및 장치
WO2012042905A1 (ja) 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再生方法
JP6377249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強化のための装置と方法及び音響強化システム
US9538307B2 (en) Audio signal reproduction device and audio signal reproduction method
CN108737936B (zh) 个人声区的音量控制
JP4841324B2 (ja) サラウンド生成装置
EP2252083B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EP2484127B1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US10075803B2 (en) Speaker device
JP5787128B2 (ja) 音響システム、音響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998844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1745019B1 (ko)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645531A (zh) 一种耳机虚拟空间声回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耳机
JP6212348B2 (ja) アップミックス装置、音響再生装置、音響増幅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290417B1 (ko) 액티브다운 믹스 방식을 이용한 입체 음향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566115B1 (ko) 입체 음향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11373662B2 (en) Audio system height channel up-mixing
KR102380232B1 (ko) 입체 음향 재생 방법 및 장치
JP4430105B2 (ja) 音響再生装置
WO2013145156A1 (ja)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音声信号処理プログラム
EP3035706B1 (en) Signal processor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23012347A (ja) 音響装置および音響制御方法
US9653065B2 (en) Audio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JP2007184758A (ja) 音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