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792B1 -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 Google Patents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792B1
KR101744792B1 KR1020160094531A KR20160094531A KR101744792B1 KR 101744792 B1 KR101744792 B1 KR 101744792B1 KR 1020160094531 A KR1020160094531 A KR 1020160094531A KR 20160094531 A KR20160094531 A KR 20160094531A KR 101744792 B1 KR101744792 B1 KR 101744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paces
cooler
scree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교성
김태현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7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7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 F22B31/0084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with recirculation of separated solids or with cooling of the bed particles outside the combustion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 F22B31/0061Constructional features of b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4Arrangements of recup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 냉각기의 하부가 복수의 공간들로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상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고 복수의 홀들이 형성된 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연소실에서 배출된 바닥재들 중에서 입자의 크기가 설정 크기 이상인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을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간으로 이송하여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이 응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ttom portion of the bottom cool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the scree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bove the plurality of spaces, the size of the particles among the bottom materials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The bottoms of the large particles having a set size or larger can be transferred to the space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to cool the bottoms of the large particles.

Description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0001]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0002]

본 발명은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층 바닥재 냉각기에서 바닥재의 유동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system in which fluidity of a bottoming material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in a fluidized bed material cooler.

일반적으로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은, 화석 연료, 바이오 매스 연료 등의 고형 연료를 모래 등의 층(bed) 물질(또는 순환 매체)과 함께 연소실(Furnace), 사이클론(Cyclone), 룹실(Loopseal) 및 연소실을 순환하면서 증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은 강력한 혼합력과 열전달 특성을 바탕으로 석탄 등의 화석 연료 뿐만 아니라 바이오 매스까지 다양한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다.Generally,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system is a system in which a solid fuel such as a fossil fuel or a biomass fuel is supplied to a furnace, a cyclone, a loop chamber, To produce steam. The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system can burn various fuels, not only fossil fuels such as coal but also biomass, based on strong mixing power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에서, 연소실에서 연소된 바닥재(bottom ash)는 약 900℃의 고온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바닥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바닥재 냉각기가 설치된다. 상기 바닥재를 냉각시키는 방법은 스크류 방법과 유동층 방법이 있다. 유동층 바닥재 냉각기(FBAC, Fluidized Bottom Ash Cooler)는 스크류 방법에 비해 처리용량이 크고 열전달 효율이 좋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In the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system, since bottom ash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s discharged at a high temperature of about 900 캜, a bottoming cooler for cooling the bottoming material is installed. Methods for cooling the flooring include a screw method and a fluidized bed method. Fluidized bottom ash cooler (FBAC) is widely used because it has higher processing capacity and better heat transfer efficiency than the screw method.

그러나, 유동층 바닥재 냉각기는 상기 바닥재의 입자가 큰 경우 유동성이 낮아지게 되어, 상기 바닥재의 입자들의 열이 축열된다. 축열이 되면, 상기 바닥재가 국부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바닥재의 입자들의 표면이 녹으면서 서로 달라붙게 되어 응집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응집현상이 발생되면, 비유동화(Defluidization)가 발생되어 시스템이 정지되는 상황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particles of the bottom material are large, the fluidity of the fluidized bed material cooler is lowered, and the heat of the particles of the bottom material is stored. When the heat accumulation occurs, the temperature of the bottom material locally rises, and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of the bottom material melts and sticks to each other, resulting in agglomeration. When the coagulation phenomenon occurs, defluidization occurs and the system is stopped.

한국공개특허 1994-000872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4-0008728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재의 입자 크기로 인한 유동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 decrease in fluidity due to the particle size of a bottom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은, 고체 연료와 순환 매체를 유동시키면서 연소시키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로부터 바닥재(bottom ash)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질수록 온도가 낮아지도록 복수의 공간들로 구획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된 바닥재가 상기 공간을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바닥재를 냉각시키는 바닥재 냉각기와; 상기 바닥재 냉각기의 상부에서 상기 투입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된 바닥재 중에서 입자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설정 크기 이상인 입자들은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입자분류수단을 포함한다.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for combusting a solid fuel and a circulating medium while flowing; Wherein a bottom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lower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so that the temperature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inlet is increased, A floor cooler for cooling the floor material; Wherein particles of a particle size of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among particles of a bottom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inlet are transported to a space of relatively low temperature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Means.

본 발명은, 바닥재 냉각기의 하부가 복수의 공간들로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상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고 복수의 홀들이 형성된 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연소실에서 배출된 바닥재들이 중력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바닥재들 중에서 입자의 크기가 설정 크기 이상인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을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간으로 이송하여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이 응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ortion of the bottom cool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the screen is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hole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bove the plurality of spaces so that the bottom materials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are transferred by gravity Since the bottoms of the larg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size among the bottoms can be cooled and transferred to the space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it is possible to prevent flocculation of the large particles,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재 냉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닥재 냉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loor cooler shown i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loor cooler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은, 연소실(10), 사이클론(Cyclone)(20), 룹실(Loop seal)(30), 공기 예열기(40), 스택(50) 및 바닥재 냉각기(100)를 포함한다.1,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10, a Cyclone 20, a loop seal 30, an air preheater 40, a stack 50 And a bottom cooler 100.

상기 연소실(10)은, 고체 연료와 순환 매체를 유동시키면서 연소시키는 공간이다. 상기 연소실(10)에는 상기 고체 연료가 저장된 고체 연료 벙커(2)와, 상기 순환 매체가 저장된 순환 매체 벙커(4)가 연결된다. 상기 고체 연료는, 화석 연료, 바이오 매스 등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석탄을 이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순환 매체는, 모래나 석탄의 재(ash)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연소실(10)로 공급된 상기 고체 연료와 상기 순환 매체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동화 가스에 의해 상기 연소실(10)의 내부를 유동, 비산 및 순환하면서 연소된다. The combustion chamber 10 is a space for combusting while circulating the solid fuel and the circulating medium. The solid fuel bunker 2 in which the solid fuel is stored and the circulating medium bunker 4 in which the circulating medium is stored ar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0. The solid fuel includes fossil fuel, biomass, and the like. In this embodiment, coal is used as an example. The circulating medium includes ash of sand or coal, and in this embodiment, ash is used as an example. The solid fuel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he circulating medium are combusted while flowing, scattering and circulating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by the fluidizing gas su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사이클론(20)은, 상기 연소실(10)의 상부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연소실(10)에서 상기 고체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한 배기가스가 사이클론(20)으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연소실(10) 내부에서 연소되어 유동하던 재의 일부가 상기 배기가스와 함께 상기 사이클론(20)으로 유입된다. 상기 사이클론(20)은,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상기 재를 포집하여 하부로 배출하여, 상기 연소실(10)로 재순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The cyclone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The exhaust gas generated as the solid fuel is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flows into the cyclone 20. At this time, a part of the material which has been burned and flow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flows into the cyclone (20) together with the exhaust gas. The cyclone 20 collects the ash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discharges the ash to the lower portion, and recirculates the ash to the combustion chamber 10.

상기 룹실(30)은, 상기 사이클론(20)의 하부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룹 실(30)은 상기 재가 가득 채워져 있는 공간이다. 상기 룹 실(30)의 하부는 상기 연소실(10)의 하부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사이클론(20)에서 포집된 재는 상기 룹 실(30)을 통해 상기 연소실(10)의 하부로 다시 공급된다. 상기 룹 실(30)은, 상기 재가 가득 채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연소실(10)로부터 상기 룹 실(30)로 재가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group chamber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20 in a communicating manner. The group room (30) is a space filled with the ash. The lower part of the group room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in a communicating manner. The collected material in the cyclone 20 is supplied agai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through the loop room 30. Since the ash is filled in the loop chamber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backflow of the ashes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0 to the loop chamber 30. [

상기 공기 예열기(40)는, 상기 사이클론(20)의 상부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공기 예열기(40)에는 복수의 열교환기들(42)이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들(42)은, 상기 사이클론(20)에서 배출된 고온의 배기가스를 증기 터빈(미도시)을 순환하는 물과 열교환시킨다. 상기 열교환기(42)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스택(50)에 공급된다.The air preheater (4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yclone (20) in a communicating manner. The air preheater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 exchangers (42). The heat exchangers 42 heat exchange the hot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cyclone 20 with water circulating in a steam turbine (not shown). The exhaust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42) is supplied to the stack (5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재 냉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닥재 냉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loor cooler shown i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loor cooler shown in Fig.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소실(10)로부터 배출된 바닥재(bottom ash)를 유동시켜 냉각시키는 유동층 방식 냉각기(FBAC, Fluidized Bottom Ash Cooler)이다. 상기 바닥재는 상기 연소실(10)에서 연소되고 남은 재를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bottom cooler 100 is a fluidized bottom ash cooler (FBAC) for cooling bottom ash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0 to cool the bottom ash. The bottom material refers to ashes remaining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는, 상기 연소실(10)의 하부에 덕트(12)를 통해 연결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는 상기 연소실(10)의 하부에 맞대어져 연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The bottom cooler 100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through a duct 1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bottom cooler 10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to be connected thereto.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일측 상부에는 투입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02)는, 상기 덕트(12)에 연결되어 상기 연소실(10)로부터 상기 바닥재가 투입되는 홀이다. An inlet 102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bottoming cooler 100. The inlet 102 is a hole connected to the duct 12 and into which the bottom material is inject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0.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는, 복수의 격벽들(110), 입자분류수단, 진동기(미도시), 분산판(미도시) 및 윈드박스(130)를 포함한다.The bottom coole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artitions 110, a particle sorting unit, a vibrator (not shown), a dispersing plate (not shown), and a wind box 130.

상기 복수의 격벽들(110)은,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들(120)로 구획한다. 상기 복수의 격벽들(110)은,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바닥면에서 연직방향으로 세워지고,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격벽들(110)의 높이는,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내부 공간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즉, 상기 복수의 격벽들(110)은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하부 공간만을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격벽들(110)은, 3개의 제1,2,3격벽(111)(112)(113)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120)은 상기 제1,2,3격벽(111)(112)(113)에 의해 구획된 4개의 제1,2,3,4공간(121)(122)(123)(124)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2,3,4공간(121)(122)(123)(124)은 차례대로 배치된다. The plurality of partitions 110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ttoming cooler 100 into a plurality of spaces 120. The plurality of partitions 110 ar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floor cooler 10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s 110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space of the bottoming cooler 100. That is, the plurality of partitions 110 partition the bottom space of the bottom cooler 100 on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artitions 110 include three first, second, and third partitions 111, 112, and 113, and the plurality of spaces 120 may include first,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paces 121, 122, 123, and 124 partitioned by the first and second barrier ribs 111, 112, and 113, respectively.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paces 121, 122, 123, and 124 are arranged in order.

상기 제1,2,3,4공간(121)(122)(123)(124) 중에서 상기 투입구(102)와 가장 가까운 공간은 상기 제1공간(121)이고, 상기 투입구(102)가 가장 먼 공간은 상기 제4공간(124)이다. 상기 투입구(102)와 가까울수록 다른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공간이다. 즉, 상기 제1공간(121)이 내부 온도가 가장 높은 최고온 공간이며, 상기 제4공간(124)이 내부 온도가 가장 낮은 최저온 공간인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4공간(124)의 내부 온도는 미리 설정된 설정 크기 이상인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이어야 한다. The space closest to the charging port 102 amo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paces 121, 122, 123 and 124 is the first space 121 and the charging port 102 is the most distant The space is the fourth space 124. The closer to the input port 102, the higher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than the other space. 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space 121 has the highest internal temperature and the fourth space 124 has the lowest internal temperature. The inner temperature of the fourth space 124 should be lower than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bottoms A of the large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상기 제1,2,3격벽(111)(112)(113)의 각 하부에는 상기 복수의 공간들 사이에서 상기 바닥재가 이동하도록 각각 제1,2,3이동홀(111a)(112a)(113a)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1,2,3이동홀(111a)(112a)(113a)들은 상기 바닥재의 이동 경로가 최대가 되도록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moving holes 111a, 112a, 113a, 113a, 113a, 113a, 113a, 113a, 113a, Are form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moving holes 111a, 112a and 113a are formed at positions diagonally spaced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moving path of the bottom material is maximized.

상기 제1이동홀(111a)은, 상기 제1격벽(111)의 하부와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바닥면(100c)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이동홀(111a)은 상기 투입구(102)와 거리가 최대한 멀리 떨어지도록 상기 투입구(102)가 형성된 제1측면(100a)과 마주하는 제2측면(100b)에 가깝게 형성된다.The first moving hole 111a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bottom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11 and the bottom surface 100c of the bottom cooler 100 meet. The first moving hole 111a is formed close to the second side 100b facing the first side 100a formed with the charging port 102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charging port 102 is as far as possible.

상기 제2이동홀(112a)은, 상기 제2격벽(112)의 하부와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바닥면(100c)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이동홀(112a)은 상기 제1이동홀(111a)과 거리가 최대한 멀리 떨어지도록 상기 투입구(102)가 형성된 상기 제1측면(100a)에 가깝게 형성된다.The second moving hole 112a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bottom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12 and the bottom surface 100c of the bottoming cooler 100 meet. The second moving hole 112a is formed close to the first side 100a formed with the inlet 102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first moving hole 111a is as far as possible.

상기 제3이동홀(113a)은, 상기 제3격벽(113)의 하부와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바닥면(100c)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이동홀(113a)은 상기 제2이동홀(112a)과 거리가 최대한 멀리 떨어지도록 상기 제2측면(100b)에 가깝게 형성된다.The third moving hole 113a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bottom of the third partition wall 113 and the bottom surface 100c of the bottom cooler 100 meet. The third moving hole 113a is formed close to the second side 100b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moving hole 112a is as far as possible.

상기 제4공간(140)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에서 냉각된 바닥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40a)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40a)는 상기 제4이동홀(114a)과 거리가 최대한 멀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40a)에는 상기 바닥재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140a)를 개폐하는 피더(미도시)가 설치된다. A discharge port 140a for discharging the flooring material cooled by the bottoming cooler 100 to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ourth space 140. The outlet (140a) is formed at a position as far as possible from the fourth moving hole (114a). The outlet 140a is provided with a feede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140a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bottom material.

상기 입자분류수단은, 상기 투입구(102)를 통해 공급된 바닥재를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복수의 공간들(120) 중 일부 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한다. 상기 입자분류수단은,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상부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스크린(150)이다. 상기 스크린(150)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바닥재들을 중력에 따라 이송시킨다.The particle sorting means selectively classifies the bottom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inlet 102 into some of the plurality of spaces 120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The particle sorting means is a screen 150 which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floor cooler 100. The screen 15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reby conveying the bottom materials according to gravity.

상기 스크린(150)은,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상부에서 상기 투입구(102)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격벽들(11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The screen 150 is disposed below the loading port 102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ing cooler 100 and above the plurality of partitions 110.

상기 스크린(150)은,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상부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150)은, 상기 바닥재 중에서 입자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설정 크기 이상인 입자들을 상기 복수의 공간들(120) 중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간으로 이송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150)은, 최저온 공간이 상기 제4공간(124)을 향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입자의 크기가 상기 설정크기 이상인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을 상기 제4공간(124)으로 이송한다. The screen 150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oor cooler 100 at an angle. The screen 15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transport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a preset size or larger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120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120 to a space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The screen (150) is arranged such that the lowest temperature space is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ourth space (124), and the bottoms (A) of the large particles, 124).

상기 스크린(150)은, 상기 설정 크기 미만인 소립자의 바닥재들(B)만이 통과하도록 복수의 홀들(150a)이 형성된다. The screen 1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150a so that only the bottoms B of the particles smaller than the set size pass through.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린(150)은, 상기 바닥재의 이송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복수의 리브(rib)들(151)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하나의 판을 이루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 방향은, 상기 바닥재가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송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제1공간(121)에서 상기 제4공간(124)을 향한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리브들(151)은 상기 바닥재들을 상기 이송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리브들(151)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소립자의 바닥재들(B)이 통과하는 상기 홀들(150a)을 형성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크린(150)은, 상기 복수의 홀들(150a)이 형성된 메쉬(Mes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소립자의 바닥재들(B)이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ribs 151, which are long in the direction of conveyance of the bottom material,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single plate . Here, the conveying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material is conveyed from a high temperature to a low temperature, and refers to a direction from the first space 121 toward the fourth space 124. The ribs 151 serve to guide the bottom materials in the transport direction. The ribs 15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the holes 150a through which the bottoms B of the small particles pas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creen 150 may have a mesh shape in which the holes 150a are formed. If the bottoms B of the small particles can pass through, It is possible.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크린(150)은, 복수의 판들이 다단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바닥재들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것도 물론 가능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creen 150 may b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plates are inclined at multiple stages to move the bottoms in a downward direction.

상기 홀(150a)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설정 크기 미만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은 상기 홀(150a)을 통과하지 못하여 상기 스크린(150)을 따라 이송된다.The holes 150a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nd ar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et size, for example. Therefore, the bottoms A of the large particles can not pass through the holes 150a and are transported along the screen 150. [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홀(150a)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공간들(120) 중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공간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간(121)의 상부에 대향되는 홀들의 크기는 상기 제2공간(122)의 상부에 대향되는 홀들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공간(123)의 상부에 대향되는 홀들의 크기는 상기 제2공간(122)의 상부에 대향되는 홀들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자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공간으로 투입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ize of the hole 150a may be reduced as the temperature of the plurality of spaces 120 increases. For example, the size of the holes fac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21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holes fac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2. The size of the holes facing the upper part of the third space 123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holes facing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pace 122. Therefor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nject them into different spac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rticles.

상기 스크린(150)의 단부는 상기 제4공간(12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은 상기 홀들(150a)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송되어 상기 제4공간(124)으로 낙하된다. The end of the screen 150 is dispos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fourth space 124. Therefore, the bottoms A of the large particles are transferr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oles 150a, and fall into the fourth space 124. [

상기 진동기(미도시)는, 상기 스크린(150)을 진동시켜 상기 바닥재가 경사진 면을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진동기(미도시)는, 모터(미도시)와 스프링(162)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힘에 의해 스프링(162)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스프링(162)은, 상기 스크린(150)을 지지하는 지지대(160)에 설치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크린(150)을 진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The vibrator (not shown) causes the screen 150 to vibrate so that the floor material is transported along a sloped surface. The vibrator (not shown) includes a motor (not shown) and a spring 162, and generates vibration by using the spring 162 by the force of the motor. The spring 162 is installed on a support base 160 that supports the screen 15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one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vibrate the screen 150.

상기 윈드박스(130)는,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에 상기 바닥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여 장치이다. 상기 윈드박스(130)는,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공간들(120)에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윈드박스(130)는 상기 복수의 공간들(120)별로 송풍 유량이나 송풍 온도를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wind box 130 is an apparatus by supplying air to the bottom cooler 100 to cool the bottom material. The wind box 13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ttom cooler 100 to supply air to the plurality of spaces 120. The wind box 130 may have different blowing flow rates or blowing temperatures for the plurality of spaces 120.

상기 분산판(170)은, 상기 윈드박스(130)와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경계면에 설치된다. 상기 분산판(170)은, 상기 윈드박스(13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내부로 분산시켜 공급한다. The dispersion plate 170 is installed at an interface between the wind box 130 and the bottom cooler 100. The dispersion plate 170 distributes the air supplied from the wind box 130 to the inside of the bottoming cooler 100 and supplies the air.

상기 분산판(170)에는 복수의 노즐들(172)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노즐들(172)은, 공기를 분산 공급함으로써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입자들이 부유하여 유동하도록 한다. In the dispersion plate 170, a plurality of nozzles 172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nozzles 172 allow the particles of the bottom cooler 100 to float and flow by dispersing and supplying air.

상기 노즐들(172)은, 일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산홀들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nozzles 172 may have a shape bent in one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one dispersion hole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상기 제1공간(121)에 배치된 노즐들은(172)은 상기 제2공간(122)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간(121)의 바닥재들이 냉각된 후 상기 제2공간(122)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공간(122)에 배치된 노즐들(172)은 상기 제3공간(123)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공간(122)의 바닥재들이 냉각된 후 상기 제3공간(123)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제3공간(123)에 배치된 노즐들(172)은 상기 제4공간(124)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3공간(123)의 바닥재들이 냉각된 후 상기 제4공간(124)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공간(121)에 배치된 노즐들(172)은 상기 제1이동홀(111a)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공간(122)에 배치된 노즐들(172)은 상기 제2이동홀(112a)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공간(123)에 배치된 노즐들(172)은 상기 제3이동홀(112a)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The nozzles 172 disposed in the first space 121 are formed to be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pace 122, for example. Accordingly, after the bottoms of the first space 121 are cooled, the bottoms of the first space 121 are easily moved to the second space 122. The nozzles 172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122 are ben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third space 123 so that the bottoms of the second space 122 are cooled, ). The nozzles 172 disposed in the third space 123 are ben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ourth space 124 to cool the bottoms of the third space 123 and then into the fourth space 124 Make it easy to m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ozzles 172 disposed in the first space 121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moving hole 111a, and the nozzles 172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122 17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moving hole 112a and the nozzles 172 disposed in the third space 123 may be disposed to face the third moving hole 112a .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의 바닥재 냉각기의 냉각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oling method of the bottom cooler of the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system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연소실(10)에서 상기 석탄이 상기 재와 함께 유동하면서 연소된다. 상기 연소실(10)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배기가스와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상기 재는 상기 연소실(10)의 상부를 통해 상기 사이클론(20)으로 배출된다. First,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the coal is combusted while flowing together with the ash. The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he ashe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are discharged to the cyclone 20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상기 사이클론(20)에서는 상기 배기가스를 상부로 토출하여 상기 공기 예열기(40)로 보내고,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재는 포집하여 상기 룹 실(30)로 보낸다. In the cyclone 20,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upward to the air preheater 40, and the ashe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are collected and sent to the group room 30.

상기 룹 실(30)의 재는 상기 연소실(10)의 하부로 공급되어 순환된다.The material of the group room (30) is su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circulated.

한편, 상기 연소실(10)의 하부에 쌓인 바닥재는 상기 덕트(12)를 통해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로 공급된다. Meanwhile, the bottom material accumul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is supplied to the bottom cooler 100 through the duct 12.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의 투입구(102)를 통해 공급된 바닥재는 상기 스크린(150)위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스크린(150)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크린(150)위로 떨어진 바닥재들은 경사진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이송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150)은 상기 진동기(미도시)를 통해 진동하기 때문에 상기 바닥재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loor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inlet 102 of the bottoming cooler 100 falls onto the screen 150. Because the screen 150 is disposed in a downward sloping manner, the flooring material that has fallen onto the screen 150 is conveyed by gravity in an inclined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screen 150 vibrates through the vibrator (not shown), the floor material can be smoothly conveyed.

상기 스크린(150)위로 떨어진 바닥재 중에서 입자의 크기가 상기 설정 크기 미만인 소립자의 바닥재들(B)은 상기 스크린(150)의 홀들(150a)을 통과하여 하방향으로 낙하한다. 한편, 상기 스크린(150)위로 떨어진 바닥재 중에서 입자의 크기가 상기 설정 크기 이상인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은 상기 홀들(150a)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상기 스크린(150)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 이송된 후 상기 제4공간(124)으로 낙하한다. The bottoms B of the particles whose particle size is smaller than the set size among the bottoms dropped on the screen 150 pass down the holes 150a of the screen 150 and drop downward. On the other hand, the bottoms A of the larg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et size among the bottoms dropped on the screen 150 can not pass through the holes 150a, And falls into the fourth space 124. [

상기 소립자의 바닥재들(B) 중 대부분은, 상기 홀들(150a)을 통해 상기 제1공간(121)으로 낙하한다. 즉, 상기 소립자의 바닥재들(B) 중 일부는 상기 설정 크기 이상인 바닥재들(A)과 섞여서 미처 상기 홀들(150a)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공간(121)으로 낙하하지 못한 소립자의 바닥재들(B) 중 대부분은 상기 스크린(150)을 따라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이송되다가 상기 홀들(150a)을 통해 상기 제2공간(122)으로 낙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간(122)으로도 낙하하지 못한 소립자의 바닥재들(B)은 상기 스크린(150)을 따라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이송되다가 상기 홀들(150a)을 통해 상기 제3공간(123)으로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정 크기 미만인 소립자의 바닥재들(B)은 대부분 상기 제1,2,3공간(121)(122)(123)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낙하한다.Most of the bottoms B of the small particles fall into the first space 121 through the holes 150a. That is, some of the bottoms B of the small particles may not mix with the bottoms A having the set size or more and can not escape through the holes 150a. Most of the bottoms B of the small particles that have not fallen into the first space 121 are transported in a downward sloping direction along the screen 150 and are transported to the second space 122 through the holes 150a. You can fall. The bottoms B of the small particles which have not fallen into the second space 122 are transported in a downward inclined direction along the screen 150 and are transported in the third space 123 through the holes 150a.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bottoms B of the small particles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size fall down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aces 121, 122, and 123.

상기 제1공간(121)으로 낙하한 바닥재들은 상기 제1공간(121)으로 공급된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 후, 상기 제1이동홀(111a)을 통해 상기 제2공간(122)으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 제1공간(121)은 온도가 가장 높은 최고온 공간이다. The bottoms dropped into the first space 121 are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air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21 and then transferred to the second space 122 through the first moving hole 111a. do. At this time, the first space 121 is the highest temperature space having the highest temperature.

상기 제2공간(122)에서는 상기 스크린(150)으로부터 상기 제2공간(122)으로 낙하한 바닥재들과 상기 제1공간(121)에서 냉각된 후 이송된 바닥재들이 함께 유동하면서 냉각된다. 상기 제2공간(122)내의 바닥재들은 상기 제2공간(122)으로 공급된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 후, 상기 제2이동홀(112a)을 통해 상기 제3공간(123)으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 제2공간(122)은, 상기 제1공간(121)에서 냉각된 바닥재들이 공급되므로, 상기 제2공간(122)의 온도는 상기 제1공간(121)의 온도보다 낮다. In the second space 122, the bottoms that have fallen from the screen 150 into the second space 122 and the bottoms that have been cooled after being cooled in the first space 121 cools and flows together. The bottoms in the second space 122 are cool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air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22 and then transferred to the third space 123 through the second moving hole 112a .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space 122 is supplied with the cooled flooring material in the first space 121,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pace 122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space 121.

상기 제3공간(123)에서는 상기 스크린(150)으로부터 상기 제3공간(123)으로 낙하한 바닥재들과 상기 제2공간(122)에서 냉각된 후 이송된 바닥재들이 함께 유동하면서 냉각된다. 상기 제3공간(123)내의 바닥재들은 상기 제3공간(123)으로 공급된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 후, 상기 제3이동홀(113a)을 통해 상기 제4공간(124)으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 제3공간(123)은, 상기 제2공간(122)에서 냉각된 바닥재들이 공급되므로, 상기 제3공간(123)의 온도는 상기 제2공간(122)의 온도보다 낮다. In the third space 123, the bottoms that have fallen from the screen 150 into the third space 123 and the bottoms that have been cooled after being cooled in the second space 122 cools and flows together. The bottoms in the third space 123 are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air supplied to the third space 123 and then transferred to the fourth space 124 through the third transfer hole 113a . At this time, the third space 123 is cooled by the second space 122,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third space 123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pace 122.

상기 제4공간(124)에서는, 상기 스크린(150)을 따라 이송된 후 낙하한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과 상기 제3공간(123)에서 냉각된 후 이송된 소립자의 바닥재들(B)이 함께 냉각된다. 상기 제4공간(124)은, 상기 제3공간(123)으로부터 냉각이 충분히 이루어진 소립자의 바닥재들(B)이 유입되므로, 상기 제4공간(124)의 내부 온도는 상기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이 용융되는 온도보다 낮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4공간(124)에서는 상기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의 용융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상기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의 응집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In the fourth space 124, the bottoms A of the large particles dropped after being transported along the screen 150 and the bottoms B of the small particles transported after being cooled in the third space 123, Are cooled together. Since the bottoms B of fine particles sufficiently cooled from the third space 123 are introduced into the fourth space 124,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ourth space 124 is lower than the inner temperature of the bottoms A) is lower than the melting temperature. Therefore, in the fourth space 124, the possibility of melting the bottom particles A of the large particles is low, so that the aggregation phenomenon of the bottom particles A of the large particles does not occur.

상기 제4공간(124)내의 바닥재들은 상기 제4공간(124)으로 공급된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 후, 상기 배출구(14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The bottoms in the fourth space 124 are cool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air supplied to the fourth space 124,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40a.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을 상기 제4공간(124)으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120) 중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가장 높은 최고온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s A of the large particles are introduced only into the fourth space 12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also possible to flow into the remaining space except for the highest temperature space with the highest temperature.

상기와 같이,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로 투입된 바닥재들 중에서 상기 설정 크기 이상인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은 상기 복수의 공간들(120) 중에서 상대적으로 고온 공간이 상기 제1,2,3공간(121)(122)(123)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mong the flooring materials introduced into the flooring cooler 100, the flooring materials A of the large particles having the set size or more have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120, 121, 122, and 123, respectively.

종래에는 상기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은 유동성이 낮으므로 입자들이 가지고 있는 열이 원활하게 열교환되지 않고 축열이 일어나게 되어, 입자의 표면이 녹으면서 입자끼리 달라 붙는 응집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응집이 점차 거대해지면, 유동화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으므로 상기 바닥재 냉각기(100)에서는 바닥재를 배출하지 못하므로 보일러가 정지될 수 있다. Conventionally, since the bottoms A of the large particles have low fluidity, the heat of the particles does not flow smoothly and heat accumulation occurs. As a result, coagulation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surfaces of the particles melt while sticking to each other . If the flocculation becomes progressively large, the flooding material cooler 100 can not discharge the bottom material because the fluidization is no longer caused, so that the boiler can be stopped.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을 상기 복수의 공간들(120) 중에서 상대적으로 최저온 공간인 상기 제4공간(124)으로만 유입시키기 때문에, 상기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이 응집되는 현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ottom particles A of the large particles are introduced only into the fourth space 124 which is the relatively minimum on-space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agglomeration of the resin (A) in advanc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대형 입자의 바닥재들(A)의 응집 현상이 방지되므로, 국부적인 온도 상승이 방지되고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ggregation of the bottoms A of large particles is prevented, so that local temperature rise is prevented and fluidity can be ensur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연소실 100: 바닥재 냉각기
110: 격벽 120: 공간
150: 스크린 150a: 홀
10: Combustion chamber 100: Flooring cooler
110: partition wall 120: space
150: Screen 150a: Hole

Claims (13)

고체 연료와 순환 매체를 유동시키면서 연소시키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로부터 바닥재(bottom ash)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질수록 온도가 낮아지도록 복수의 공간들로 구획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된 바닥재가 상기 공간을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바닥재를 냉각시키는 바닥재 냉각기와;
상기 바닥재 냉각기의 상부에서 상기 투입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된 바닥재 중에서 입자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설정 크기 이상인 입자들은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입자분류수단과;
상기 바닥재 냉각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재를 냉각시킬 공기를 공급하는 윈드 박스와;
상기 바닥재 냉각기와 상기 윈드박스의 경계면에 설치되어, 상기 윈드박스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상기 복수의 공간들로 분산시켜 공급하도록 복수의 노즐들이 형성된 분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은, 상기 바닥재 냉각기의 바닥면에서 연직방향으로 세워지고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격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온도가 서로 다른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격벽들의 각 하부에는 상기 복수의 공간들 사이에서 상기 바닥재가 이동하도록 이동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입자분류수단은,
상기 복수의 공간들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간을 향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진동시켜 상기 바닥재를 이동시키는 진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바닥재의 이송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복수의 리브(rib)들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리브들 사이의 이격 공간이 상기 설정 크기 미만의 입자들만이 통과하도록 홀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에서 온도가 가장 낮은 최저온 공간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설정 크기 이상인 입자들은 상기 최저온 공간으로 낙하시키고,
상기 윈드박스는 상기 복수의 공간들별로 송풍 유량이나 송풍 온도를 다르게 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
A combustion chamber for combusting while flowing the solid fuel and the circulating medium;
Wherein a bottom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lower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so that the temperature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inlet is increased, A floor cooler for cooling the floor material;
Wherein particles of a particle size of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among particles of a bottom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inlet are transported to a space of relatively low temperature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Means;
A wind box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ttom cooler to supply air to cool the bottom material;
And a distributor plate provided on an interface between the bottom cooler and the wind box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therein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wind box to the plurality of spaces,
Wherein the plurality of spaces are defin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s arranged vertically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floor cool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oving holes are formed in respective low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s to allow the bottom material to move between the plurality of spaces,
The particle sorting means includes:
A screen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paces and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toward a space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And a vibrator for vibrating the screen to move the flooring,
The screen has a plurality of rib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conveyance of the bottom material, and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has a hole Forming,
Wherein the end of the screen is dispos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lowest temperature space having the lowest temperature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Wherein the wind box supplies air by varying a blowing flow rate or a blowing temperatu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들은,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공간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된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such that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holes decreases toward a space having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저온 공간 하부에는 상기 바닥재 냉각기에서 냉각된 바닥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순환유동층 보일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bottom material cooled in the bottoming cooler to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lowest temperature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94531A 2016-07-26 2016-07-26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KR1017447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531A KR101744792B1 (en) 2016-07-26 2016-07-26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531A KR101744792B1 (en) 2016-07-26 2016-07-26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792B1 true KR101744792B1 (en) 2017-06-08

Family

ID=5922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531A KR101744792B1 (en) 2016-07-26 2016-07-26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79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852B1 (en) * 1992-10-16 2001-09-17 잭 이. 데온즈 Fluidized bed reactor using baffle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196471B1 (en) * 2012-05-11 2012-11-01 지엠텍(주) Apparatus for recycling filtering sa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852B1 (en) * 1992-10-16 2001-09-17 잭 이. 데온즈 Fluidized bed reactor using baffle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196471B1 (en) * 2012-05-11 2012-11-01 지엠텍(주) Apparatus for recycling filtering s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7876B2 (en) Stepped floor for solid fuel boilers
US4796546A (en) Combustion plant including a circulation fluid bed
US5954000A (en) Fluid bed ash cooler
KR101898077B1 (en)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SE457661B (en) SEAT AND REACTOR FOR FLUIDIZED BOTTOM
US20090151902A1 (en) Moving bed heat exchanger for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CN111492176B (en)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with material returning heat exchanger
JP5549213B2 (en) Furnace wall structure of fluidized bed boiler
KR101744792B1 (en)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DK166694B1 (en) PROCEDURE FOR MANAGING A FLUID BED BOILER AND FLUID BED BOILER FOR USE IN EXERCISING THE PROCEDURE
RU2324110C2 (en) Two-stage fuel combustion technique and combustor
KR101835737B1 (en)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KR101786304B1 (en) Furnance of solid fuel
US20120251959A1 (en) Method of and Arrangement for Feeding Fuel Into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US20120111535A1 (en) Orifice plate for controlling solids flow, methods of us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KR101932458B1 (en) Inclination­type air distributor apparatus of combustion in fluidized bed
CN114981392B (en) Gasification gas manufacturing apparatus
JP5748784B2 (en) Fluidized bed reactor equipment
KR102462442B1 (en)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apparatus
EP3222911B1 (en) A fluidized bed heat exchanger and a corresponding incineration apparatus
JP6800251B2 (en) Fluidized bed incinerator
JP5406562B2 (en) Fluidized bed furnace and fluidized bed boiler provided with the same
JP7006114B2 (en) Drying equipment
US25867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usting finely divided low sintering temperature fuel
JP2018096639A (en) Fluidized be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