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524B1 - 탄화방법 - Google Patents

탄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524B1
KR101744524B1 KR1020167022980A KR20167022980A KR101744524B1 KR 101744524 B1 KR101744524 B1 KR 101744524B1 KR 1020167022980 A KR1020167022980 A KR 1020167022980A KR 20167022980 A KR20167022980 A KR 20167022980A KR 101744524 B1 KR101744524 B1 KR 10174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ass
carbonization
dry
moisture content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091A (ko
Inventor
시게루 기타노
Original Assignee
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4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2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cellulose-contain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8Non-mechanical pretreatment of the charge, e.g. desulfurization
    • C10B57/10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7Carbonized vegetable substances, e.g. charcoal, or produced by hydrothermal carbonization of biom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2Combustion or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6Heat exchange, direct or indir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02E50/1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수분율 바이오매스의 건류에 의한 탄화처리를 기존의 탄화장치에 대폭적인 개량을 가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탄화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탄화방법은, 저수분율 바이오매스를 탄화로 내에서 열분해시켜서 저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의 탄화연료와 건류가스를 얻는 제1공정, 얻은 건류가스의 2차연소에 의하여 얻은 고온가스에 의하여 건조기 내의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건조시켜서 건조 바이오매스를 얻는 제2공정, 제2공정에서 얻은 건조 바이오매스를 보관하는 제3공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하고, 그 후에 보관한 건조 바이오매스를 열분해시켜서 고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의 탄화연료와 건류가스를 얻는 제4공정, 얻은 건류가스의 2차연소에 의하여 얻은 고온가스에 의하여 건조기 내의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건조시켜서 건조 바이오매스를 얻는 제5공정, 제5공정에서 얻은 건조 바이오매스를 보관하는 제6공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한다.

Description

탄화방법{CARBONIZATION METHOD}
본 발명은, 수분(水分)을 많이 포함하는 바이오매스(biomass)를 건류(乾溜)하여 탄화(炭化)시키는 탄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탄화장치에 대폭적인 개량을 가하지 않고 탄화처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탄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환경의식이 높아짐으로써, 종래라면 소각이나 매립처리를 하였던 하수오니(下水汚泥), 가축분뇨(家畜糞尿), 식품잔사(食品殘渣) 등의 바이오매스를 건류(乾溜)에 의하여 거의 무산소 상황하에서 열분해하여, 일산화탄소, 수소, 메탄 등의 연소가스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고형연료(固形燃料)로서의 숯을 얻는 기술의 개발이 진척되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매스 중에서 예를 들면 하수오니와 같은 수분함유율(水分含有率)이 높은 것은 건류의 전처리(前處理)로서 가열건조에 의하여 수분량을 저하시켜 둘 필요가 있지만, 등유 등 화석연료의 연소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료값이 비싸고, 태양광·풍력 등의 자연에너지나 발효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저수분율 바이오매스를 건류하여 제1공정 탄화연료와 건류가스를 얻는 제1탄화공정과, 제1탄화공정에서 얻은 건류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배기가스에 의하여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건조시켜서 건조 바이오매스를 얻는 건조공정과, 건조공정에서 얻은 건조 바이오매스를 건류하여 제2공정 탄화연료를 얻는 제2탄화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탄화연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24193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제1탄화행정(第1炭化行程)과 제2탄화행정의 각각에서 서로 다른 탄화로(炭化爐)(건류로(乾溜爐))를 사용하기 때문에 합계 2개의 탄화로가 필요하게 되어, 탄화로를 1개밖에 구비하지 않는 기존의 탄화장치를 전용(轉用)할 수 없다는 문제나 장치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1에는 저수분율 바이오매스가 들어가 있는 탄화로까지 건조 바이오매스를 반송하고, 당해 탄화로 내에서 저수분율 바이오매스와 건조 바이오매스를 섞은 후에 건류시키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지만, 이 경우에도 반송로(搬送路)나 믹서(mixer)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어, 기존의 탄화장치를 전용할 수 없다는 문제나 장치의 대형화라는 문제를 해소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고려하여 고수분율 바이오매스의 건류에 의한 탄화처리를 기존의 탄화장치에 대폭적인 개량을 가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탄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탄화방법은, 저수분율 바이오매스를 탄화로 내에서 열분해시켜서 저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의 탄화연료와 건류가스를 얻는 제1공정과, 제1공정에서 얻은 건류가스의 2차연소에 의하여 얻은 고온가스를 이용하여 건조기 내의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건조시켜서 건조 바이오매스를 얻는 제2공정과, 제2공정에서 얻은 건조 바이오매스를 보관하여 두는 제3공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하고, 그 후에 보관하여 둔 건조 바이오매스를 상기 제1공정에서 사용한 탄화로와 동일한 탄화로 내에서 열분해시켜서 고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의 탄화연료와 건류가스를 얻는 제4공정과, 제4공정에서 얻은 건류가스의 2차연소에 의하여 얻은 고온가스를 이용하여 건조기 내의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건조시켜서 건조 바이오매스를 얻는 제5공정과, 제5공정에서 얻은 건조 바이오매스를 보관하여 두는 제6공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하며, 보관하고 있었던 건조 바이오매스가 부족하게 된 타이밍에 상기 제4∼제6공정을 종료시키고 다시 상기 제1∼제3공정을 재개시킴으로써 건조 바이오매스를 보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수분율 바이오매스가 하수오니, 가축분뇨 및 식품잔사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수분율 바이오매스가 왕겨, 야자 껍질 및 목재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탄화방법은 상기 제1∼제3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하는 점이 특징 중 하나이다. 건조시킬 필요가 없는 저수분율 바이오매스만을 사용하여 제1∼제3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함으로써, 저수분율 바이오매스밖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순수한 탄화연료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건조시키는 수단으로서, 제1공정에서 얻은 건류가스를 2차연소시켜서 발생시킨 고온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것은, 고수분율 바이오매스에 대하여 저수분율 바이오매스를 혼합하여 함수율(含水率)을 저하시키는 수고가 불필요하게 된다는 이점에도 연결된다. 저수분율 바이오매스밖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순수한 탄화연료로서 예를 들면 왕겨 이루어지는 훈탄(燻炭)을 들 수 있다.
제1∼제3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할 경우의 「일정기간」이라는 것은, 저수분율 바이오매스 및 고수분율 바이오매스의 실제의 수분율, 재질, 탄화로 및 건조기의 처리능력 등에 의하여 변동되지만, 예를 들면 탄화처리를 1주일의 스팬(span)으로 한 경우에는, 최초의 2일간이 당해 「일정기간」에 해당한다. 이 2일간만 연속하여 제1∼제3공정을 반복함으로써 나머지 5일간에서 사용(소비)하는 양의 건조 바이오매스(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건조시킨 것)를 제조하여, 스톡으로서 보관하여 두게 된다. 또 당연한 것이지만 「일정기간」은 최초의 2일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최초의 30시간으로 하더라도 좋고 혹은 탄화처리를 3일간의 스팬으로 하였을 경우의 첫날로 하더라도 좋다. 또 1일 중 아침을 당해 「일정기간」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아침 중에 제1∼제3공정을 실시하여 저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의 탄화연료의 제조와 건조 바이오매스의 스톡을 실시하여 두고, 그 후에 다음에 설명하는 제4∼제6공정을 실시하여 고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의 탄화연료의 제조와 건조 바이오매스의 스톡의 보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제4∼제6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하는 점도 하나의 특징이다. 고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의 건조 바이오매스만을 사용하여 제4∼제6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함으로써,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밖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순수한 탄화연료를 얻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분율이 충분하게 낮아진 건조 바이오가스를 열분해시켜서 얻어지는 건류가스는 높은 열량을 갖기 때문에, 건조기 내의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4∼제6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하는 경우의 「일정기간」이라는 것은, 고수분율 바이오매스 및 건조 바이오매스의 실제의 수분량, 재질, 탄화로 및 건조기의 처리능력 등에 의하여 변동되지만, 예를 들면 탄화처리를 1주일의 스팬으로 하였을 경우로서, 최초의 2일간에 제1∼제3공정을 연속하여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는, 나머지 5일간이 당해 「일정기간」에 해당한다. 또 당연한 것이지만 「일정기간」은 나머지 5일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최초의 30시간으로 제1∼제3공정을 연속하여 실시한 후의 나머지 시간으로 하더라도 좋고 혹은 탄화처리를 3일간의 스팬으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첫날 종료 후의 나머지 2일간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1일 중 아침에 제1∼제3공정을 실시하고, 나머지 시간에 제4∼제6공정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탄화방법은, 저수분율 바이오매스와 고수분율 바이오매스(건조 바이오매스)의 열분해를 동일한 탄화로에서 실시하는 등, 고수분율 바이오매스의 건류에 의한 탄화처리를 기존의 탄화장치에 대폭적인 개량을 가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건조시킬 때에 등유 등의 화석연료, 태양광·풍력 등의 자연에너지, 발효열 등을 이용하지 않고, 저수분율 바이오매스를 열분해시킬 때에 발생하는 건류가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탄화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수분율 바이오매스」는 함수율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바이오매스를 가리킨다. 함수율이 15% 이하이면 저수분율 바이오매스를 열분해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건류가스의 연소열량이 커지게 되어,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함수율 15% 정도까지 건조시키는 데에도 충분한 열량을 얻을 수 있다.
「저수분율 바이오매스」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삼림벌채 목재, 간벌재, 가로수·공원 수목의 전정폐재(剪定廢材), 건축 폐목재 등의 칩(chip) 또는 펠렛(pellet), 톱밥, 옥수수·사탕수수·토마토의 줄기 등의 식품잔사, 왕겨, 야자 껍질(PKS : Palm Kernel Shell), 밀짚, 벼지푸라기 등의 농업폐재, 섬유소를 포함하는 산업폐재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는 함수율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바이오매스를 가리킨다. 당연히 고수분율 바이오매스의 함수율이 낮을수록 건조 바이오매스를 제조하기 쉬워지게 되지만, 함수율이 50%∼70% 정도로 비교적 낮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탄화방법이 아니라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어느 정도 효율적인 탄화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함수율이 70% 이상인 고수분율의 바이오매스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수분율 바이오매스」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하수오니, 메탄발효 후의 소화오니(消化汚泥), 가축분뇨, 식품잔사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탄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탄화방법(炭化方法)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화방법은 제1∼제6공정을 적어도 포함하고 있고, 건조기(乾燥機)와 탄화로(炭化爐)(건류로(乾溜爐))를 구비하는 기존의 탄화장치에 대하여 개량이나 장치의 추가 등을 거의 하지 않고 그대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도1에 있어서 저수분율 바이오매스(低水分率 biomass)가 탄화연료로 될 때까지의 경로에 L1 및 L2를 붙이고, 고수분율 바이오매스(高水分率 biomass)가 탄화연료로 될 때까지의 경로에 H1∼H4를 붙이고 있다.
제1공정에서는 저수분율 바이오매스를 탄화로 내에서 열분해시켜서 저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低水分率 biomass 由來)의 탄화연료와 건류가스(乾溜gas)를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탄화장치의 탄화로 내에 수분율이 낮은 저수분율 바이오매스를 1종류 또는 복수 종류를 투입하여 두고, 이것을 열분해시킴으로써 저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의 탄화연료를 얻음과 아울러, CO, H2, CH4 등을 포함하는 건류가스를 발생시킨다. 얻어진 탄화연료는 제1∼제3공정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탄화로로부터 꺼내어 둔다.
제2공정에서는, 제1공정에서 얻은 건류가스를 2차연소시킴으로써 발생시킨 고온가스를 이용하여 건조기 내의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건조시켜서 건조 바이오매스(乾燥 biomass)를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공정에서 얻은 건류가스에 산소(공기)를 공급하여 연소시킴으로써 고온가스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고온가스를 탄화로로부터 건조기에까지 이르는 유로(流路) 내에서 필요에 따라 공기와 혼합함으로써 적절한 온도로 조절한 후에 건조기 내로 유입한다. 건조기 내에는 미리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1종류 또는 복수 종류를 투입하여 두고, 상기 고온가스에 노출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수분을 증발시켜서 건조 바이오매스를 얻는다.
제3공정에서는, 제2공정에서 얻은 건조 바이오매스를 스톡(stock)으로서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둔다. 기존의 탄화장치에 적절한 보관장소가 있으면 그 장소를 사용하면 좋고, 적절한 보관장소가 없는 경우에는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보관장소는 건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우로(雨露)에 노출되기 어렵게 되도록 지붕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제3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한 후에 제4∼제6공정을 실시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제3공정과, 제4∼제6공정을 하나의 탄화장치 내에서 동시진행으로 실시하지 않는다. 또 당연한 것이지만 제1∼제3의 각 공정은 탄화장치 내에서 동시진행으로 실시된다.
제4공정에서는, 스톡으로서 보관하여 둔 건조 바이오매스(및 후술하는 제6공정에서 스톡으로서 보관하여 둔 건조 바이오매스)를 제1공정에서 사용한 탄화로와 동일한 탄화로 내에서 열분해시켜서 고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의 탄화연료와 건류가스를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보관하여 둔 건조 바이오매스를 제1공정에서 사용한 기존의 탄화로 내에 투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제3공정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저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의 탄화연료를 당해 탄화로로부터 꺼내어 두기 때문에, 제4공정의 시작시점에서는 당해 탄화로 내에 저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의 탄화연료는 잔존하지 않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탄화로 내에서 저수분율 바이오매스와 고수분율 바이오매스(건조 바이오매스)가 혼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탄화로 내의 건조 바이오매스를 열분해시킴으로써 고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의 탄화연료를 얻음과 아울러 건류가스를 발생시킨다. 얻어진 탄화연료는 제4∼제6공정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탄화로로부터 꺼내어 둔다.
제5공정에서는, 제4공정에서 얻은 건류가스를 2차연소시킴으로써 발생시킨 고온가스를 이용하여 건조기 내의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건조시켜서 건조 바이오매스를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공정과 마찬가지로, 제4공정에서 얻은 건류가스에 산소(공기)를 공급하여 연소시킴으로써 고온가스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고온가스를 탄화로로부터 건조기에까지 이르는 유로 내에서 필요에 따라 공기와 혼합함으로써 적절한 온도로 조절한 후에 건조기 내로 유입한다. 건조기 내에는 미리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1종류 또는 복수 종류를 투입하여 두고, 상기 고온가스에 노출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수분을 증발시켜서 건조 바이오매스를 얻는다.
제6공정에서는, 제5공정에서 얻은 건조 바이오매스를, 제2공정에서 얻은 건조 바이오매스와 함께 스톡으로서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둔다.
제6공정 종료 후에는 다시 제4공정부터 반복하여, 보관한 건조 바이오매스를 탄화로 내에서 열분해시킨다. 또 당연한 것이지만 제4∼제6의 각 공정은 탄화장치 내에서 동시진행으로 실시된다.
제4공정에서 1차연료의 용도로 제공되는 건조 바이오매스의 양과 제5공정에서 새롭게 얻어지는 건조 바이오매스의 양을 비교하면 전자(前者)쪽이 많아지게 되기 때문에, 제4∼제6공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하면, 스톡으로서 보관하고 있었던 건조 바이오매스가 점차적으로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부족하게 된 타이밍을 가늠하여 제4∼제6공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공정을 일단 종료시키고, 다시 제1∼제3공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공정을 재개시킴으로써 스톡으로서의 건조 바이오매스가 보충된다. 이 작업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관한 일련의 작업은 반드시 작업자의 판단에 의거하여 할 필요는 없고, 컴퓨터 제어에 의하여 전자동으로 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고수분율 바이오매스의 건류에 의한 탄화처리를 기존의 탄화장치에 대폭적인 개량을 가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탄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상의 이용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3)

  1. 저수분율 바이오매스(低水分率 biomass)를 탄화로(炭化爐) 내에서 열분해시켜서 저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低水分率 biomass 由來)의 탄화연료와 건류가스(乾溜gas)를 얻는 제1공정과,
    제1공정에서 얻은 건류가스의 2차연소에 의하여 얻은 고온가스를 이용하여 건조기 내의 고수분율 바이오매스(高水分率 biomass)를 건조시켜서 건조 바이오매스(乾燥 biomass)를 얻는 제2공정과,
    제2공정에서 얻은 건조 바이오매스를 보관하여 두는 제3공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하고,
    그 후에 보관하여 둔 건조 바이오매스를 상기 제1공정에서 사용한 탄화로와 동일한 탄화로 내에서 열분해시켜서 고수분율 바이오매스 유래의 탄화연료와 건류가스를 얻는 제4공정과,
    제4공정에서 얻은 건류가스의 2차연소에 의하여 얻은 고온가스를 이용하여 건조기 내의 고수분율 바이오매스를 건조시켜서 건조 바이오매스를 얻는 제5공정과,
    제5공정에서 얻은 건조 바이오매스를 보관하여 두는 제6공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공정을 일정기간 연속하여 실시하며,
    보관하고 있었던 건조 바이오매스가 부족하게 된 타이밍에 상기 제4∼제6공정을 종료시키고 다시 상기 제1∼제3공정을 재개시킴으로써 건조 바이오매스를 보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고수분율 바이오매스가 하수오니(下水汚泥), 가축분뇨(家畜糞尿) 및 식품잔사(食品殘渣) 중에서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有機性 廢棄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수분율 바이오매스가 왕겨, 야자 껍질 및 목재(木材) 중에서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방법.
KR1020167022980A 2014-02-07 2015-02-06 탄화방법 KR101744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22184 2014-02-07
JP2014022184A JP5636527B1 (ja) 2014-02-07 2014-02-07 炭化方法
PCT/JP2015/053322 WO2015119228A1 (ja) 2014-02-07 2015-02-06 炭化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091A KR20160104091A (ko) 2016-09-02
KR101744524B1 true KR101744524B1 (ko) 2017-06-08

Family

ID=5214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980A KR101744524B1 (ko) 2014-02-07 2015-02-06 탄화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103857A4 (ko)
JP (1) JP5636527B1 (ko)
KR (1) KR101744524B1 (ko)
CN (1) CN105874037A (ko)
TW (1) TWI574750B (ko)
WO (1) WO20151192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450B1 (ko) 2020-12-11 2021-01-25 주식회사 원천환경기술 축분을 주원료로 한 고체연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37194A (ko) 2021-09-09 2023-03-16 김정길 가축분뇨의 탄화 연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582B1 (ko) * 2017-11-24 2018-09-20 주식회사 유기산업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차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
US10410942B2 (en) * 2017-11-27 2019-09-10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9294604A (zh) * 2018-10-12 2019-02-01 浙江田成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质碳化方法
KR102521749B1 (ko) * 2022-08-31 2023-04-17 주식회사 케이아그로 폐비닐 분해 시스템을 이용한 가축분뇨로부터 고체연료 및 바이오차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1936A (ja) * 2009-04-03 2010-10-28 Masanami Tekko:Kk 炭化燃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059A (ja) * 2003-08-04 2005-03-03 Suntory Ltd 炭化装置及び炭化システム及び炭化方法
JP2006282914A (ja) * 2005-04-01 2006-10-19 Nippon Steel Corp バイオマスコークスの製造方法
JP2008201964A (ja) * 2007-02-21 2008-09-04 Mitsubishi Heavy Ind Ltd 固体燃料の製造方法及びシステム
CN101376813B (zh) * 2007-08-28 2011-12-21 三菱重工业株式会社 高含水有机物的碳化处理方法及其装置
CN101818081B (zh) * 2010-03-23 2013-04-24 武汉凯迪工程技术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通过炭化将生物质制造合成气的工艺方法及系统
CN102994103A (zh) * 2011-09-14 2013-03-27 邢献军 一种生物质干燥炭化炉
CN202543017U (zh) * 2011-12-31 2012-11-21 广州茵绿环境科技发展有限公司 生化污泥干燥装置
US8198493B1 (en) * 2012-01-11 2012-06-12 Earth Care Products, Inc. High energy efficiency biomass conversion process
CN103449701B (zh) * 2013-08-14 2015-04-08 湖州宜可欧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炼油厂污泥炭化处理及炭回收的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1936A (ja) * 2009-04-03 2010-10-28 Masanami Tekko:Kk 炭化燃料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450B1 (ko) 2020-12-11 2021-01-25 주식회사 원천환경기술 축분을 주원료로 한 고체연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37194A (ko) 2021-09-09 2023-03-16 김정길 가축분뇨의 탄화 연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74750B (zh) 2017-03-21
WO2015119228A1 (ja) 2015-08-13
JP2015147887A (ja) 2015-08-20
CN105874037A (zh) 2016-08-17
EP3103857A1 (en) 2016-12-14
TW201531343A (zh) 2015-08-16
JP5636527B1 (ja) 2014-12-10
EP3103857A4 (en) 2017-12-20
KR20160104091A (ko) 2016-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524B1 (ko) 탄화방법
Ghodake et al. Review on biomass feedstocks, pyrolysis mechanism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iochar: State-of-the-art framework to speed up vision of circular bioeconomy
Cai et al. Thermal degradations and processes of waste tea and tea leaves via TG-FTIR: combustion performances, kinetics, thermodynamics, products and optimization
Song et al. Catalytic effects of CaO, Al2O3, Fe2O3, and red mud on Pteris vittata combustion: emission, kinetic and ash conversion patterns
JP5501644B2 (ja) バイオマス炭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バイオマス炭の製造装置
WO2008076944A1 (en) Pyrolysis biomass chain reactor for clean energy production in closed loop
Bindar et al. Large-scale pyrolysis of oil palm frond using two-box chamber pyrolyzer for cleaner biochar production
Đurđević et al. Energy potential of digestate produced by anaerobic digestion in biogas power plants: The case study of Croatia
JP2010242035A (ja) バイオマス炭の製造方法
Demirbaş Fuel and combustion properties of bio-wastes
Murillo et al. Conversion of residual biomass into valuable biofuels by co-hydrothermal carbonization for utilization in household pellet stoves
Li et al. Life cycle water footprint assessment of syngas production from biomass chemical looping gasification
Vakalis et al. Introduction to frictional pyrolysis (FP)–An alternative method for converting biomass to solid carbonaceous products
Al Afif et al. Experimental and simulation study of hydrochar production from cotton stalks
Enam et al. A sustainable way to generate energy through biomass flash pyrolysis in south asia: A green energy technology
US10196569B2 (en) Method and system of treating biomass wastes by biochemistry-thermochemistry multi-point interconnection
KR101798332B1 (ko) 바이오촤 생산 및 열분해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US20220364720A1 (en) Production of renewable fuel for steam generation for heavy oil extraction
JP2010254749A (ja) バイオマス炭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バイオマス炭の製造装置
JP2005053771A (ja) 水素製造方法及び水素製造システム
Chang Energy and sustainability comparisons of anaerobic digestion and thermal technologies for processing animal waste
Kazimierski et al. Smoli nski
AU2021101768A4 (en) A System and a Process for Formation of a Renewable Natural Coal from Waste Output of a Cattle/Agricultural based Biogas Plant
Akpu et al. 1&2 Department of Physics, Michael Okpara University of Agriculture, Umudike, PMB 7267 Umuahia, Abia State, Nigeria 3 Department of Physics, Nasarawa State University Keffi, Nasarawa State, Nigeria
Kaczyński et al. Comparison of combusting pellets of agro and wood biomass in different fluidized bed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