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203B1 -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203B1
KR101744203B1 KR1020160003657A KR20160003657A KR101744203B1 KR 101744203 B1 KR101744203 B1 KR 101744203B1 KR 1020160003657 A KR1020160003657 A KR 1020160003657A KR 20160003657 A KR20160003657 A KR 20160003657A KR 101744203 B1 KR101744203 B1 KR 101744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atidylcholine
composition
renal
active ingredie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김석호
권중기
Original Assignee
(주)노터스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노터스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노터스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16000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203B1/ko
Priority to PCT/KR2016/005437 priority patent/WO201712288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83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 A61K31/685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one of the hydroxy compounds having nitrogen atoms, e.g. phosphatidylserine,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4Ovaries; Ova; Ovules; Embryos; Foetal cells; Ger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신장질환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기능성 식품, 동물용 사료 및 상기 제제의 치료 기전 규명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 식품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hosphatidylcholin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renal disease}
본 발명은 대표적인 인지질 성분인 포스파티딜콜린 (Phosphatidylcholine)이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할 수 있는 신장질환에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한 것을 기반으로, 사람 및 동물의 신장관련 질환에 대한 신규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동물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현재 포스파티딜콜린과 신장질환이 관련된 등록 특허 및 연구 논문은 존재하지 않으며, 단지 항암제의 독성을 완화시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제제로서 국내 특허 및 PCT 등록이 되었고,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국제 저널에 발표되었다. 허나 이 논문의 경우 시스플라틴 (Cisplatin) 이라는 특정 항암제의 부작용 중 하나인 신장 독성 낮춤에 초점을 맞춰 관련 기전 연구 및 그 다음 단계 연구가 진행 되어 있지 않다. 복잡 다양한 신장 질환 원인과 유형 중, 가장 문제시 되는 만성 신장 질환의 기전 연구 및 치료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만성 신장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인 환경성 오염 물질 사염화탄소 (Carbon tetrachloride; CCl4) 를 처리하고, 포스파티딜콜린의 치료 효과 및 타당한 기전을 규명하였다. 이런 결과는 사람 및 동물의 만성 신장 질환의 치료 및 예후 관리에 효과를 보일 것이며, 특히 고양이의 경우 육식 동물로서 낮은 인 (phosphorus) 함량, 저단백 식이 조절을 통한 신장 질환 치료 및 관리를 해야 하는 바, 인지질인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처방 사료 개발 가능성이 높다. 즉, 치료용 의약품으로서만이 아닌 신장 질환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효 성분의 첨가물 발명이 신장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돼 본 발명을 실시하게 되었다.
KR 101398076 B1 US 20140120181 A1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2013. vol. 58 PP. 388-393
본 발명은 계란, 콩 등의 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인지질로서 세포막 구성성분인 포스파티딜콜린이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규명하고, 규명된 사실을 바탕으로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기능성식품 및 동물용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콜린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스파티딜콜린은 대두 또는 계란 난황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신장 섬유화가 경감되며, 항산화 효능 및 아쿠아포린1의 조절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장질환은 사구체신염, 만성신부전, 급성신부전, 아급성신부전, 신증후군, 신우신염, 신장결석, 신세뇨관산증, 다낭성신증, 브라이트병으로 이루어진 질병군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 및 링거 주사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예로서,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음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및 예후 관리를 위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액상, 고상, 가루, 껌류, 보조 첨가제, 간식류, 음료 등의 성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의 동물용 사료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지금까지 단순 식품 성분으로만 알려졌던 포스파티딜콜린이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적용 가능한지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장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이용할 수 있는 강력한 신약 조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사람과 동물을 한정하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건강기능식품 또는 동물용 사료로서 고부가가치화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사염화탄소로 신장 질환을 일으킨 마우스 혈청 분석 결과 유도된 BUN 과 Creatinine 이 포스파티딜콜린에 의해 저하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실험에 사용된 마우스의 신장을 적출하여 육안 평가와 H&E 염색을 통한 조직 병리 평가를 한 것이다.
도 3은 Van gieson’s 염색을 통해 섬유질인 콜라겐을 붉게 염색하여 신장의 섬유화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신장 조직에서 분리한 mRNA를 이용하여 섬유화의 지표인 1형 콜라겐을 유전자 단계에서 평가하였다.
도 5는 신장 조직에서 분리한 단백질을 이용하여 염증성 지표인 NOS2 와 COX2의 발현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신장 조직에서 분리한 삼출액을 이용하여 산화 스트레스 마커인 ROS 와 TBARS를 측정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신장 조직에서 분리한 mRNA를 이용하여 염증성 및 산화 스트레스 전사 인자인 TNF-α, IL-1β, MCP-1 을 유전자 단계에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신장 조직에서 바깥쪽 수질 조직만 분리하여 단백질을 추출한 것과 전체 신장 조직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여 아쿠아포린1 의 발현 정도를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인지질인 포스파티딜콜린을 이용하여 신장 질환의 생체 단계에서 증상의 치료효과 및 기전을 확인하여 완성한 것이다.
포스파티딜콜린은 레시틴 (Lecithin) 이라고도 하며 가장 대표적인 인지질 ( Phospholipids)로 계란 난황에는 총 인지질의 약 70%, 인간혈청에는 총 인지질의 약 60%를 차지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0325030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지방산 잔기(fatty acid residures)를 의미한다.)
화학식 구조는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리세린 (glycerin) 에 2분자의 지방산과 인산, 콜린 (choline)이 결합하고, 천연의 것은 위치에 콜린이 결합한 것만이 존재한다. 지방산 부분에서는 palmitic acid, stearic acid가 많다. 메탄올, 에탄올, 벤젠, 에틸에테르, 석유 에테르, 클로로포름에 가용, 아세톤에 불용. 유화작용을 가지며 대두에서 주로 분리 추출되고 있다.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활성산소종 유발을 통한 항암 효과가 있는 항암제에서 부작용 저감제로 특허가 등록되었다. 순도 높은 포스파티딜콜린은 난황에서 추출되는 것으로 사용하며, 무독하여 경구 투여가 용이하다. 현재까지 이런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그 효능에 초점을 맞춘 식품이나 사료, 제제는 없었으며 신장 질환과 관련되어 밝혀진 바 없다. 따라서 우리는 만성 신장 질환을 유도하는 유해 물질인 사염화탄소를 마우스에 처리하여 질환 모델을 만든 후 포스파티딜콜린의 신장 질환 치료 효능을 확인하였다.
사염화탄소는 메테인의 수소원자 4개를 염소로 치환한 화합물로서 정사면체 구조이며 오존층 파괴물질로 알려져 있다. 유지류 용제, 소화제, 훈증제, 살충제, 분석시약 등으로 사용한다. 인화성이 없고 증기가 무거워서 예전에는 기름에 의한 화재의 소화제로 사용하였지만, 간과 신장에 유독한 포스젠을 생성한다는 것이 밝혀져 사용하지 않는다. 독성이 강하여 저농도 만성노출에서도 간장, 신장에 손상을 준다. 급성 간 질환과, 만성 신장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환경 오염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는 포스파티딜콜린이 사염화탄소가 유도한 마우스에서의 만성 신장 질환을 억제하고, 신장의 바깥쪽 수질 (outer medullar) 에서 아쿠아포린1 (aquaporin 1; AQP1) 이라는 수분 이동 조절 인자의 증가를 통해 삼투 평형을 정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치료 기전을 확인하였다. 이를 신장 질환의 치료 신약 조제나 기능성 첨가물, 동물용 처방 사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 식용 포스파티딜콜린은 미국에서 영양 보충제로 판매되고 있으며, 의약품으로 판매되고 있지 않다. 가장 많이 팔리는 것은 대두에서 추출한 포스파티딜콜린이며, 계란 난황에서 추출한 것은 순도 높은 것으로 고가에 팔리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스파티딜콜린의 추출원이 제한되지는 않지만 주로 계란 난황에서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다른 추출원에서 추출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만성 신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동물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과 식품, 사료를 개발하는 원천 기술을 제공하는데 근본적인 목적을 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강한 항산화 효능 및, 아쿠아포린1 의 항상성 유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신장 섬유화의 억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 및 링거 주사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포스파티딜콜린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당업계에 알려진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전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약 0.1 중량 % 내지 약 2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이 분야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제화함에 따라서, 단위 용량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단백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락토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크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 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주사용 증류수에 체액과 유사한 염분 농도를 가지도록 혼합되어 링거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질환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장 질환 관리 기능성 식품의 제형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향 보충용 식품, 음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반려 동물인 개와 고양이의 신장 질환 치료 및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과, 기능성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물용 신장 질환 치료 제제와 처방 사료의 제형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치료 제제의 경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 및 링거 주사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처방 사료의 제형은 고형 사료, 습식 사료, 가루식 보충제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구강 섭취를 위한 포스파티딜콜린과 신장질환 유도를 위한 사염화탄소는 sigma 에서 구입하였다. 구입한 포스파티딜콜린의 분자적구조식은 상기 화학식 1과 같다. 농도에 맞도록 희석은 식용유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포스파티딜콜린의 신장질환 유도 모델에서 효능 평가
만성신장질환 모델 유도 및 치료 적용
상기 실시예 1에서 구입한 사염화탄소를 7주령 ICR 마우스에 (Daehan Biolink, Daejeon, Korea) 마우스당 1.2 g/kg 농도로 3일 간격으로 두 번 복강 투여 해 만성신장질환 모델을 유도하였다. 신장질환이 유발된 마우스에 포스파티딜콜린 100 mg/kg 을 1 주일 동안 매일 경구 투여 하여 식이를 통한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포스파티딜콜린을 마지막으로 급여한 다음,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혈액 및 조직 분석을 위한 신장을 채취하였다.
혈청학적 분석
상기 마우스 군에서 분리한 혈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신장의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인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을 도1과 같이 평가하였다. 혈청 시료는 생화학적 혈청분석기인 VetTest 8008 (IDEXX, Kore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1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사염화탄소로 인해 신장질환이 진행된 마우스의 혈청 내 BUN, creatinine 이 증가한 데 비해, 포스파티딜콜린을 투여한 마우스는 그 수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조직학적 분석
마우스에서 분리한 신장 조직을 횡절개 하여 육안으로 병리상을 확인하였다. 사염화탄소로 신장질환이 유도된 신장의 경우 다른 실험군과 달리 창백하며, 모세혈관 출혈이 일어나 있다. 포스파티딜콜린을 섭취시킨 마우스의 경우 아무 처치 하지 않은 control 군과 비슷한 조직상이 확인 되었다. 포르말린 고정액으로 고정한 신장 조직을 8μm 두께로 박절하고, 자세한 조직상을 확인하기 위해 H&E 염색을 하였다. 신장을 이루는 세뇨관과 사구체가 느슨하게 벌어져 있는 것이 신장질환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확인되었고, 이것을 포스파티딜콜린이 control 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개선하였다 (도 2 참고). 박절한 조직 절편을 Van gieson’s 염색을 통해 콜라겐만을 붉게 염색하였고, 그 결과 만성 신장질환의 징후 중 하나인 신장 섬유화가 포스파티딜콜린을 섭취한 마우스에서 경감한 것이 확인되었다 (도 3 참고).
유전자 분석
채취한 조직에서 분리한 mRNA를 이용한 real time RT-PCR 분석법으로 콜라겐 유전자의 증폭 정도를 확인하였고 이것은 앞서 조직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도 4 참고). 도 7에서 신장질환의 원인으로 여겨지는 염증성 스트레스인 TNF-α, IL-1β, MCP-1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사염화탄소가 유도한 만성 신장질환군에서는 증가한 유전자들이 포스파티딜콜린에 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단백질 분석
만성 신장질환과 관련 있는 산화 스트레스 인자들을 신장 조직에서 분리한 단백질로 비교 평가하였다. 포스파티딜콜린을 만성 신장질환이 유도된 마우스에 처리된 결과 NOS2 와 COX2 의 유의성 있는 감소가 확인 되었다 (도 5 참고). 도8에서는 만성 신장질환이 유도되었을 때 교란이 일어나는 신장의 수분 교환능이 포스파티딜콜린에 의해 개선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만성 신장질환이 일어나게 되면 신장의 바깥 수질에 존재하는 수분 교환 전달체인 아쿠아포린1 (AQP1) 이 감소하게 되고 신장 전체적으론 증가하는 양상이 보이는데 이 경우 원활한 수분 교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포스파티딜콜린이 control 수준으로 바깥 수질의 AQP1 을 증가시켜서 신장질환을 개선하는 것을 확인했다.
산화 산물 분석
신장 조직을 잘게 으깨 분석 시료를 만든 후, 생리식염수로 완충하여 상층액을 수거해 분석하였다. Reactive oxygen species 활성산소종과 Malondialdehyde 지표인 TBARS 를 형광 측정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는 앞서 확인했던 염증성, 산화 스트레스성 유전자, 단백질 분석 결과와 유사하게 확인되어 포스파티딜콜린이 만성 신장질환의 증상을 개선하는데 좋은 역할을 했음을 확인하였다 (도 6 참고).
결과적으로, 상기 in vivo 동물실험 결과로부터 포스파티딜콜린이 사염화탄소가 유도한 만성 신장질환의 증상을 줄여주고 치료할 수 있는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제제예 1 : 산제의 제조
포스파티딜콜린 2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정제의 제조
포스파티딜콜린 10 ㎎
옥수수 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 캅셀제의 제조
포스파티딜콜린 1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락토오스 14.8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 건강 음료의 제조
포스파티딜콜린 1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 g
물 적당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고 멸균된 2 ℓ의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동물용 사료는 통상의 사료 제조방법에 따라 5000mg 포스파티딜콜린을 고양이를 위한 상업용 연질 사료(soft feed) 1 kg에 첨가하여 혼합 제조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포스파티딜콜린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사구체신염, 만성신부전, 신우신염, 신장결석, 신세뇨관산증, 다낭성신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신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콜린은 대두 또는 계란 난황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신장 섬유화가 경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쿠아포린1의 조절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 및 링거 주사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사구체신염, 만성신부전, 신우신염, 신장결석, 신세뇨관산증, 다낭성신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신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음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사구체신염, 만성신부전, 신우신염, 신장결석, 신세뇨관산증, 다낭성신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신장질환의 예방 또는 예후 관리를 위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고상, 가루, 껌류, 보조 첨가제, 간식류, 음료 등의 성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KR1020160003657A 2016-01-12 2016-01-12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4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657A KR101744203B1 (ko) 2016-01-12 2016-01-12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CT/KR2016/005437 WO2017122881A1 (ko) 2016-01-12 2016-05-23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657A KR101744203B1 (ko) 2016-01-12 2016-01-12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203B1 true KR101744203B1 (ko) 2017-06-20

Family

ID=5928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657A KR101744203B1 (ko) 2016-01-12 2016-01-12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4203B1 (ko)
WO (1) WO201712288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7785A1 (en) * 1995-08-31 1997-03-06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Therapeutic lipidic vesicles: methods of use and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58552A0 (en) * 2003-10-22 2004-05-12 Enzymotec Ltd Lipids containing omega-3 fatty acids
CN101437490A (zh) * 2006-04-20 2009-05-20 安美基公司 稳定乳液配方
US20090264520A1 (en) * 2008-04-21 2009-10-22 Asha Lipid Sciences, Inc. Lipid-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585159B1 (ko) * 2014-06-19 2016-01-13 농업회사법인(주)산들촌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7785A1 (en) * 1995-08-31 1997-03-06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Therapeutic lipidic vesicles: methods of use and composi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ood Chem Toxicol., 2013.08., No.58., pp 388-39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2881A1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jalakshmi et al. Assessment of the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NOAEL) of gallic acid in mice
EP2288364B1 (en) Method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other metabolic imbalances
Mohammadi et al.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urcumin on iron overload, hepcidin level, and liver function in β‐thalassemia major patient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Nangle et al. Effects of eugenol on nerve and vascular dysfunction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Sehgal et al. Toxicologic assessment of a commercial decolorized whole leaf aloe vera juice, lily of the desert filtered whole leaf juice with aloesorb
US20210008088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liver disease or insulin resistance comprising ginsenoside f2
Guo et al. Dietary phillygenin supplementation ameliorates aflatoxin B1-induced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apoptosis in chicken liver
KR20140022648A (ko) 구기자잎 추출 분말과 베타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JP2010524439A (ja) ヒドロキシチロソール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オリーブ抽出物/濃縮物の新規の使用
CN104053368B (zh) 抵御细胞损伤效应的组合物
Melebary et al. Impact of Moringa oleifera leaf extract in reducing the effect of lead acetate toxicity in mice
KR101744203B1 (ko)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9414417A (zh) 通过paris的法尼基化预防或治疗帕金森症的方法
KR20040084168A (ko) 피니톨 또는 카이로이노시톨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WO2010150072A1 (en) Synergistic combination to enhance blood glucose and insulin metabolism
Wang et al. Vanadium in high-fat diets sourced from egg yolk decreases growth and antioxidative status of Wistar rats
EP3479840A1 (en) Method for inhibiting renal hypofunction in non-human animal
Makri et al. Biofunctional feed supplemented with by-products of olive oil production improves tissue antioxidant profile of lambs
JP6441364B2 (ja) ジベンゾ−アルファ−ピロンを用いた体重増加制御
KR102010857B1 (ko) 귀리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11402A1 (de) Xanthohumol-solubilisat
Ouarda et al. Protective effects of wheat grass on histopathology of some organs and biomarkers parameters against lead acetate toxicity in Wistar rats
Shaheen et al. Study the effect of garden cress and rosemary on experimental animals infected hyperglycemic
Soji-Omoniwa et al. Toxicological Evaluation of Cod Liver Oil-Enriched Vernonia amygdalina Leaf-Based Diet in Wistar Rats
US11684618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mixtures of compounds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