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036B1 - Pant-type disposable di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Pant-type disposable di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036B1
KR101744036B1 KR1020157033901A KR20157033901A KR101744036B1 KR 101744036 B1 KR101744036 B1 KR 101744036B1 KR 1020157033901 A KR1020157033901 A KR 1020157033901A KR 20157033901 A KR20157033901 A KR 20157033901A KR 101744036 B1 KR101744036 B1 KR 101744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main
sub
bonding
emb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1101A (en
Inventor
카츠히코 스기야마
이즈미 타시로
Original Assignee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1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0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61F13/49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characterized by the s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9Sealing, e.g. involving cu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된 사이드 씰부의 미관이 좋고, 또한 이 사이드 씰부에 있어 감촉이 좋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사이드 씰부(4)가 형성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이 한 쌍의 사이드 씰부(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접합 영역(40)과 주 접합 영역(40)보다 좌우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 접합 영역(50)과, 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부 접합 영역(50)은 다수의 부 엠보싱부(5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엠보싱 열이 하나 또는 다수 열 마련됨으로써 형성된 영역이며,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보다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Provided is a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having good side-seal portions form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a diaper and having a good feel on the side-sealed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ts-type disposable diaper having a pair of side seal parts (4), wherein the pair of side seal parts (4) have a main bonding area (40) And a sub-junction region (50) located outside the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joining strength of the sub-joining region 50 is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number of the embossing regions 51 to the number of the embossing regions 51. The joining region 50 is a region formed by one or more rows of embossing rows in which a plurality of sub- Is set to be weaker tha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bonding region (40).

Description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PANT-TYPE DISPOSABLE DI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diap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착용자의 가랑이에 장착되어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하고 유지하기 위한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좌우 양측부를 사이드 씰부에서 접합함으로써 팬츠형으로 성형된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diaper for absorbing and retaining liquid such as urine, which is attached to a crotch of a wear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osable diap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diaper which is formed in a pants shape by joining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trunk with the side seal por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종래부터, 예를 들어 유아 나 고령자용에 의해 장착되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는 액체 흡수 기능을 가지는 흡수성 본체와, 이 흡수성 본체를 착용자의 가랑이에 유지하기 위한 커버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시트는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좌우 양단부가 미리 접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가 팬츠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허리 둘레의 개구부에서 양다리부분을 삽입함으로써,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씰부에서는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양단부가 적당한 접합 강도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사이드 씰부를 찢음으로써 착용자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를 쉽게 벗을 수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for example, a disposable diaper having a pants shape is mounted for infants or elderly people. A typical pants-type disposable diaper includes an absorbent main body having a liquid absorbing function and a cover sheet for holding the absorbent main body in the wearer's crotch. The cover sheet is previously bonded to both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ody and rear portion of the body so that the disposable diaper is formed into a pants shape. Therefore, the wearer can insert the pants-type disposable diaper by inserting the leg portions in the opening portion around the waist. In addition, in the side seal portion, since the body front portion and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are joined at a proper bonding strength, the side seal portion is torn, so that the wearer can easily take off the disposable diaper of pants type.

이러한 사이드 씰부는, 일반적으로, 히터 씰이나 초음파 씰에 의하여, 기저귀 커버 시트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시트 부재끼리를 열 융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히터 씰이란, 한쪽에 접합 패턴을 조각한 블록을 가지는 엠보싱 롤과 평평한 앤빌롤로 이루어진 한 쌍의 롤 사이에 적층된 다수 매의 열가소성 시트를 도입하고, 엠보싱 롤와 앤빌 롤에 의해 열가소성 시트를 가열 및 가압하여 시트를 녹여 접합하는 기술이다. 또한 초음파 씰이란 접합 패턴을 조각한 블록과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초음파 혼(horn) 사이에 적층된 다수 매의 열가소성 시트를 도입하여, 시트를 가압하면서 초음파 진동을 주어 마찰열로 시트를 녹임으로써 접합하는 기술이다.Such a side seal portion is generally formed by thermally fusing thermoplastic sheet members constituting the diaper cover sheet by a heater seal or an ultrasonic seal. For example, a heater seal is a laminated sheet having a plurality of thermoplastic sheets stacked between an embossing roll having a block on which a bonding pattern is formed on one side and a pair of rolls made of a flat anvil roll, To heat and pressurize the sheet to melt the sheet. Further, the ultrasonic seal is formed by introducing a plurality of thermoplastic sheets laminated between a block in which a bonding pattern is formed and an ultrasonic horn for transmitting ultrasonic vibration, and ultrasonic vibration is applied while pressing the sheet to melt the sheet with frictional heat Technology.

상기와 같이, 히터 씰이나 초음파 씰에 의하여 일회용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에 한 쌍의 사이드 씰부를 형성하는 기술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1 및 특허 문헌2에 개시되어있다.As described above, a technique of forming a pair of side seal por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disposable diaper by the heater seal or the ultrasonic seal is disclosed in,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

[특허 문헌1] 일본특표 2004-52337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523374 [특허 문헌2] 일본특개 2002-102283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102283

그러나 일회용 기저귀의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를 구성하는 커버 시트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부에서만 결착(結着)되어 있으며, 이 접합부 이외의 부분에서는 결착되어 있지 않다. 즉, 이 접합부보다 좌우 방향 바깥 쪽 부위에서는 몸통 전면부의 커버 시트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가 결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비 결착 부위에서 몸통 전면부의 커버 시트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가 팔락 팔락 열려 외형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ver sheet constituting the body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 surface portion of the body of the disposable diaper is bonded only at the joint portion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not bonded at portions other than the joint portions. That is, since the cover sheet of the body front face portion and the cover sheet of the rear body portion of the body are not bonded to each other at the portions outside the joining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cover sheet of the body front face portion and the cover sheet of the body rear face portion are open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is was not good.

그런데, 기저귀 커버 시트에는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신축 부재가 고정되어있는 것이 많다. 예를 들어, 탄성신축 부재는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허리 둘레와 복부 주위의 부분에서 다수 시트 부재의 층간에 끼워지고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커버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경우와 탄성신축 부재에 직접 도포하는 경우가 있다. 기타 커버 시트에는 탄성신축 부재를 고정하는 이외에도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끼리 접합시키기 위해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에 사이드 씰부를 형성할 때, 히터 씰링이나 초음파 씰링이라는 접합 기술이 사용된다. 이들 히터 씰이나 초음파 씰은 열 융착에 의해 열가소성 시트끼리 접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열가소성 시트의 접합 부분에 핫멜트 접착제가 존재하고 있으면, 핫멜트 접착제를 녹일 열이 사용되어 버려, 접합 대상인 열가소성 시트를 충분히 가열할 수 없게 되어 접합 강도가 안정되지 않거나 녹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 부분에 점착성이 발현하거나, 접합부의 엠보싱 패턴이 흐트러진 상태로 고화하여 굳어지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 한다. 따라서 사이드 씰부의 접합에 관해서 말하면, 이 접합 부분에는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일회용 기저귀 중 사이드 씰부를 형성할 예정 부위에 대해서는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또한 탄성신축 부재를 고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사이드 씰부를 형성하는 부위를 제외하고 탄성신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핫멜트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도포함으로써 적어도 이 사이드 씰부에서는 핫멜트 접착제와 탄성신축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핫멜트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도포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 (사이드 씰부)는 핫멜트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생기기 때문에, 역시 완성된 일회용 기저귀의 양쪽에는 몸통 전면부의 커버 시트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의 결착을 목적으로 한 접합부 (주 접합 영역)보다 좌우 방향 바깥 쪽 영역에,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가 서로 결착하지 않는 영역 (비결착 부위)가 존재하게 된다. 그렇다면, 이 일회용 기저귀의 좌우 양쪽 끝은 비결착 부위에서, 몸통 전면부의 커버 시트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가 팔락 팔락 열려 버려, 외형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many cases, the diaper cover sheet is fixed with an elastic stretchable member for imparting stretchability. For example,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is sandwiched between the layers of the plurality of sheet members at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trunk and the rear portion of the trunk and around the abdomen, and is fixed with a hot-melt adhesive or the like. As a method of applying the hot-melt adhesive, for example, there is a case of applying to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constituting the cover sheet and a case of applying directly to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In addition to fixing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to the other cover sheet, a hot-melt adhesive may be applied to join the cover sheets of the body front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of the body to each other. He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de seal portion is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disposable diaper, a bonding technique called a heater sealing or an ultrasonic sealing is used. These heater seals and ultrasonic seals are made to bond the thermoplastic sheets together by heat fusion. However, if a hot-melt adhesive is present at the joining portion of the thermoplastic sheet, heat to melt the hot-melt adhesive is used, the thermoplastic sheet to be joined can not be heated sufficiently and the bonding strength is not stabilized or the melted hot-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ackiness is manifested or the embossing pattern of the joint is solidified in a disordered state and hardened. Therefore, with regard to the joining of the side seal portio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referable not to apply the hot-melt adhesive to this joining por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not to apply a hot-melt adhesive to the portion of the disposable diaper where the side seal portion is to be formed, and to prevent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from being fixed. For example, by intermittently applying a hot-melt adhesive for fixing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except for a portion where the side seal portion is formed, it can be said that at least the hot-melt adhesive and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do not exist in the side seal portion. However, by applying the hot-melt adhesive intermittently, both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side-sealed portions) of the disposable diaper have areas where no hot-melt adhesive is present. Therefore, both of the completed disposable diapers have a cover sheet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and a cover sheet There is a region (non-bonded portion) in which the body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do not bond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uter region than the joint portion (main bonding region) for binding purposes. In this case,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sposable diaper have the problem that the cover sheet of the body front portion and the cover sheet of the back portion of the body are opened at the non-sticking portion, and the appearance is poor.

한편, 상기와 같이 몸통 전면부와 커버 시트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가 좌우 양측부에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들 접합부를 기저귀의 좌우 양측의 단 테두리와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팬츠형 기저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속된 시트재를 다수 적층하여 2조 한쌍의 접합에 의하여 접합하고 그 사이를 절단함으로써 개별 팬츠형 기저귀를 얻는다. 따라서, 상기 접합부 사이를 너무 간격이 없도록 하면 절단시에 접합부 사이에서 잘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접합부를 절단할 우려가 있다. 그러면 접합부의 접합 강도의 편차가 커져 버린다. 또한 절단부에 다수의 접합부의 단면이 노출하므로 촉감도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부터 몸통 전면부의 커버 시트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의 결착을 목적으로 한 접합부(주 접합 영역)를 기저귀의 좌우 양측의 단 테두리와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되어 있었다.It is also conceivable to form the joining portions at positions close to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aper in order to prevent the front surface of the trunk, the cover sheet and the back cover portion of the body from being open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as described above. However, as described later, the pants-type diaper is obtain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continuous sheet materials, joining them by a pair of two pairs, and cutting them between the pair, thereby obtaining the individual pants-type diaper. Therefore, if there is no gap between the joints, there is a case where the joints are not cut off at the time of cutting,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joints are cut off. Then, the deviation of the joining strength of the joining portion becomes large. Also, since the cross section of a plurality of joints is exposed to the cut portion, the touch is also lowered. Therefore, conventionally,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is not preferable to form the joints (main joint regions) for binding the cover sheet of the front portion of the trunk and the cover sheet of the rear portion of the trunk portion at positions close to the edg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aper.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씰부의 미관을 좋게 하는 것과, 이 사이드 씰부의 촉감을 좋게 하는 것을 양립하는 것은 어렵다고 되어 있었다. 따라서 현재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씰부에 관한 기술로서,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에서 몸통 전면부의 커버 시트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가 열려 미관이 나쁘게 되는 것을 방지 함과 동시에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의 촉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it is difficult to make both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side seal portion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better and the feel of the side seal portion bett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seal portion of a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which prevents both the cover sheet at the front of the body and the cover sheet at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from being open at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diaper,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ique for preventing damage.

그래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에 대하여 예의 검토 한 결과, 일회용 기저귀의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좌우 양측부를 주 접합 영역에서 결착(結着) 시킴과 동시에 이 주 접합 영역보다 좌우 방향 외측에 주 접합 영역보다 접합 강도가 약한 부 접합 영역을 형성하여, 몸통 전면부의 커버 시트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가 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미관이 좋게됨과 동시에 좌우 양측부 촉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상기 지견에 근거하면,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에 이르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made intensive investigations on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s a resul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the body front portion of the disposable diaper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ack portion of the body are fastened at the main joint region, And the cover sheet of the body front portion and the cover sheet of the body rear portion are prevented from opening so that the beauty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is improv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ctile sensation of both sides from being damaged.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 the present inventors came to the idea that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can be solved and accomplished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1측면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on 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복부에 접하는 몸통 전면부(1)과, 착용자의 등부에 접하는 후 옷길 2와 이들의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3)로 구분된다. 또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몸통 전면부(1)의 좌우 양측부와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부를 각각 겹쳐 합친 상태에서 히터 씰 또는 초음파 씰에 의해 열 융착 접합하는 한 쌍의 사이드 씰부(4)가 형성되어있다.Th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front portion 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abdomen of a wearer, a rear body 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ack portion of the wearer, a body front portion 1 and a crotch portion And (3). The pants-type disposable diaper includes a pair of side seal portions 4 which are joined together by heaters or ultrasonic seals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ody rear portion 2 are superimposed, Respectively.

여기서 한 쌍의 사이드 씰부(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주 접합 영역(40)과, 이 주 접합 영역(40)보다 좌우 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 접합 영역(50)과, 를 가지고 있다.The pair of side seal portions 4 includes a main bonding region 40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 sub bonding region 50 located outside the main bonding region 40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Lt; / RTI >

부 접합 영역(50)은 다수 부 엠보싱부(5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엠보싱 열이 하나 또는 다수 열 마련됨으로써 형성된 영역이다.The non-bonded region 50 is an area formed by one or more rows of embossing lines in which the plurality of embossed portions 51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상기 구성과 같이, 본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좌우 양측부를 결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주 접합 영역(40)보다 더 좌우 바깥 쪽 부위에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부 접합 영역(50)이 형성되어있다. 이처럼 부 접합 영역(50)을 마련함으로써,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에서 몸통 전면부의 커버 시트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가 팔락 팔락 열려 외관이 나빠진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부 접합 영역(50)은 주 접합 영역(40)과 비교하여 접합 강도가 약해지고 있다. 즉, 부 접합 영역(50)은 기저귀의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양측부를 결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기저귀의 양측부에서 커버 시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면 충분하기 때문에 그 접합 강도를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보다 훨씬 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부 접합 영역(50)를 마련하더라도 기저귀 촉감이 손상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결과적으로 기저귀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front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of the body are loosened at the left and right outer portions than the main joint region 40 for the purpose of binding the body front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 portion of the body A non-junction region 50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By providing the non-joined region 50 in this way, the cover shee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runk and the cover sheet on the back surface of the trunk can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diaper is deteriorated. In additio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ing region 50 is weaker than that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That is, the non-joined region 50 is not intended to bond both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body of the diaper, but it is sufficient if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ver sheet from being unwound from both sides of the diaper. Can be made much weaker tha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Therefore, even if the non-joined region 50 is provided, the feeling of the diaper is hardly damaged, and consequently the feeling of wearing of the diaper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서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에 대하여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ing region 50 is preferably 50% or less with respect to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상기 구성과 같이, 부 접합 영역(50)에 있어서 접합 강도를, 주 접합 영역(40)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의 절반 이하로 함으로써 부 접합 영역(50) 전체의 촉감을 부드러운 것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부 접합 영역(50)에 있어서 접합 강도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착용자가 일회용 기저귀를 벗을 때, 사이드 씰부(4)에서 접합된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를 찢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making the bonding strength in the non-bonding region 50 equal to or less than half of the bonding strength in the main bonding region 40 as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entire non-bonding region 50 can be kept soft. Further, by setting the bonding strength to be low in the non-joined region 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diaper bonded by the side seal portion 4 from being torn easily when the wearer removes the 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주 접합 영역(40) 및 부 접합 영역(50)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고, 히터 씰 또는 초음파 씰에 의한 열 융착에 의해서만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부가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주 접합 영역(40) 및 부 접합 영역(50)에서는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부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지 않고, 또한,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부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에 탄성 신축 부재가 접착제에 의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ull-on disposable di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is not applied to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sub-bonding region 50, and only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the back body portion 2 are joined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or example, in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sub bonding region 50, the sheet members constituting both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the back side portion 2 of the body are not bonded by the adhesiv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is not provided on the sheet member constituting both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front portion 1 and the back side portion 2 of the body by an adhesive.

상술 한 바와 같이 주 접합 영역(40) 및 부 접합 영역(50)이 형성하려는 부위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가 존재하고 있으면, 히터 씰 또는 초음파 씰에 의한 열 융착 기술에 의해 주 접합 영역(40) 및 부 접합 영역(50)을 형성하려고 해도, 히터 씰 또는 초음파 씰에 의해 생긴 열이 핫멜트 접착제를 녹이는 데 사용되어 버리게 된다. 그러면 접합 대상인 열가소성 시트를 충분히 가열할 수 없게 되어 접합 강도가 안정되지 않거나 녹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 부분에 점착성이 발현하거나, 접합부의 엠보싱 패턴이 흐트러진 상태에서 고화하여 굳어 지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사이드 씰부에 있어서의 접합에 관해서 말하면, 이 접합 부분에는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이드 씰부에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으면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에서 몸통 전면부의 커버 시트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가 팔락 팔락 열려 외관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이러한 문제를 동시에 해소하기 위해 사이드 씰부를 형성하려는 부위에는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도록 해두고, 이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 되지 않은 부위에는 주 접합 영역(40) 뿐만 아니라 부 접합 영역(50)을 형성하여, 몸통 전면부의 커버 시트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가 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의 양측부를 보기 좋게, 또한, 안정성 있게 접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re is an adhesive such as a hot-melt adhesive on the portion to be formed by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sub-bonding region 50,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formed by a heat sealing technique using a heater seal or an ultrasonic seal,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seal or the ultrasonic seal is used to melt the hot-melt adhesive. In this case, the thermoplastic sheet to be bonded can not be heated sufficiently,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is not stabilized or the adhesive property is developed by the melted hot-melt adhesive, or the embossing pattern of the bonding portion is solidified by solidification in the state of being disturbed. For this reason, regarding the bonding in the side seal por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preferable not to apply the hot-melt adhesive to the bonding portion. However, if the hot-melt adhesive is not applied to the side-seal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ver sheet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and the cover sheet of the back portion of the body are open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aper.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t the same tim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melt adhesive is not applied to the area where the side seal part is to be formed, and not only the main bonding area 40, The region 50 is formed to prevent the cover sheet of the body front portion and the cover sheet of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from being opened so that the both side portions of the disposable diaper can be stably and stably bonded.

본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부 접합 영역(50)에 형성된 다수의 부 엠보싱부(51) 중 적어도2개 이상은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의 단 테두리(4a)에 도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ull-on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ub-embossed portions 51 formed in the sub-joint region 50 are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the back body portion 2 4a.

상기 구성과 같이 다수의 부 엠보싱부(51)가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의 단 테두리(4a)에 도달하고 있음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몸통 전면부의 커버 시트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embossed portions 51 reach the end edges 4a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unk front portion 1 and the rear portion 2 of the body so that the cover sheet of the front portion of the trunk and the body The cover sheet of the rear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본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주 접합 영역(40)은 다수의 주 엠보싱부(4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엠보싱 열이 다수 열 마련됨으로써 형성된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부 접합 영역(50)은, 다수의 부 엠보싱부(5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엠보싱 열이 다수 열 마련됨으로써 형성된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에 대하여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ants-type disposable di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preferably an area form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embossing rows in which a plurality of main embossing portions 41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Likewi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junction region 50 is an area form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embossing rows in which a plurality of sub-embossing portions 51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ing region 50 is 30% or less with respect to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상기 구성과 같이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 모두가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엠보싱 열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부 접합 영역(50)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주 접합 영역(40)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보다 훨씬 약한 것인 것에서 효과적으로, 몸통 전면부의 커버 시트와 몸통 후면부의 커버 시트가 개방되는 것과 기저귀 촉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sub bonding region 50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embossing lines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bonding strength in the sub bonding region 5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over sheet of the body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cover sheet of the rear surface portion of the body from being opened and the diaper tactile sensation to be damaged.

또한 주 접합 영역(40)은 양쪽 겨드랑이 부분에 착용시 필요한 접합 강도를 주기 위한 접합부이며, 부 접합 영역(50)은 주 접합 영역(40)의 좌우 방향 외측이 열지 않도록 억제하기 위한 접합부이다. 따라서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에는 위와 같은 큰 차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에 큰 차이가 없는 경우, 사이드 씰부(4)를 찢기 위하여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면 이용자의 스트레스가 되는 동시에 찢는 기세로 착용자를 흔드는 것으로 되어 착용자에게도 불쾌감을 일으키게 해 버린다.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a bonding portion for giving a necessary bonding strength to both side portions and the sub bonding region 50 is a bond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outside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from being open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non-bonding region 50 has a large difference as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re is not a large difference in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non-bonding region 50, a large force is required to tear the side sealing portion 4. Then it becomes a stress of the user and it shakes the wearer with the moment of tearing, and it causes discomfort to the wearer.

또한, 본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주 접합 영역(40)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에서 상하 방향의 길이 전체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부 접합 영역(50)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주 접합 영역(40)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 접합 영역(50)은 기저귀의 상하 방향의 단부와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오프셋 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가장 외부에 위치하는 엠보싱 패턴 바깥 테두리(外緣)끼리의 간격을 가리킨다.In the pants-type disposable di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over the entire length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length of the sub-junction region 50 in the up-and-down direction is preferab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main junction region 40 in the up-down direction.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joined region 50 is offset and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coincide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iaper. In this case, the length in the up-and-down direction indic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most edges of the embossed patterns located at the outermost position.

이러한 부 접합 영역(50)의 위치라면, 기저귀의 상단이나 하단에 접합부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딱딱한 접합부가 피부에 닿아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한편 주 접합 영역(40)은 착용시 및 착용 중의 배 주위와 다리 주위가 찢어져 버리지 않는 강도를 줄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저귀의 상하 방향의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편이 좋다.In the position of the sub-joint region 50, since the joint portion is not exposed at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diaper, it is possible to avoid a discomfort to the wearer due to the contact of the hard joint portion with the skin. On the other hand, the main joint region 40 should be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diap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strength of the diaper around the waist portion when worn and worn.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복부에 접하는 몸통 전면부(1)와, 착용자의 등부에 접하는 몸통 후면부(2)와, 몸통 전면부(1)와몸통 후면부(2)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3)를 가진다.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includes a body front portion 1 abutting on the wearer's abdomen, a body back portion 2 abutting on the back of the wearer, and a crotch portion 3 located between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the body back portion 2 ).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일회용 기저귀가 좌우 방향으로 다수 나란한 기저귀 연속체를 얻는 공정과, 기저귀 연속체를 가랑이부(3)에서 되접어 꺾어,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를 겹쳐 합치는 공정과, 몸통 전면부(1)의 좌우 양측부와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부를 히터 씰 또는 초음파 씰에 의해 열 융착 접합하는 사이드 씰부(4)를 형성하는 접합 공정과, 기저귀 연속체를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의 단 테두리(4a)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여 개별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얻는 절단 공정:을 포함한다.A method for producing a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a diaper continuum in which a plurality of disposable diapers are juxta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step of folding back the diaper continuation body at the crotch part 3 to superimpose the body front part 1 and the body back part 2 A joining step of forming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side and side portions of the body rear portion 2 by heat sealing and bonding by a heater seal or an ultrasonic seal; And a cutting step of cutting the individual pants-type disposable diaper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nd edge (4a)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unk front part (1) and the back body part (2).

여기에서 접합 공정에서 형성되는 사이드 씰부(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접합 영역(40)과, 주 접합 영역(40)보다도 좌우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 접합 영역(50):을 가지고 있다.The side seal portion 4 formed in the bonding step has a main bonding region 40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 sub bonding region 50 located outside the main bonding region 4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Lt; / RTI >

또한 부 접합 영역(50)은 다수의 부 엠보싱부(5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엠보싱 열이 하나 또는 다수 열 마련됨으로써 형성된 영역이며,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보다 약해져 있다.The auxiliary bonding region 50 is an area formed by providing one or more rows of embossing lines in which a plurality of sub-embossing portions 51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ub- (40).

그리고, 절단 공정에서는 2조의 부 접합 영역(50)의 경계 위치에서, 기저귀 연속체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다.Then, in the cutting step, the diaper continuum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two sets of the non-joined regions 50.

상기 공정을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연속적으로 효율좋게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inuously and efficiently manufactured.

본 발명은,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된 사이드 씰부의 외관이 좋고, 또한 이 사이드 씰부에 있어서 감촉이 좋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ull-on disposable diaper having a good appearance of the side seal portion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aper and having a good feel on the side seal por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3은 사이드 씰부의 접합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사이드 씰부의 접합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a)는 도2중의 Y1-Y1의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4 (b)는 도2중 Y2-Y2의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4 (c)는 사이드 씰부를 나타낸 평면 확대도이다.
도5는 사이드 씰부에 포함된 주 접합 영역의 접합 패턴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6은 사이드 씰부에 포함된 주 접합 영역과 부 접합 영역을 대비 한 확대도이다.
도7은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8은 사이드 씰부의 접합 패턴의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9는 사이드 씰부의 접합 패턴의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onding pattern of the side seal por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bonding pattern of the side seal portion. 4 (a) is a sectional view of the disposable diaper of Y1-Y1 in Fig. 2. Fig. 4 (b) is a sectional view of the disposable diaper of Y2-Y2 in Fig. 2. Fig. 4 (c)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side seal portion.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bonding pattern of the main bonding region included in the side seal por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bonding region and the sub bonding region included in the side seal por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osable diaper.
Fig. 8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bonding pattern of the side seal portion.
Fig. 9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bonding pattern of the side seal portion.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음에 설명하는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형태에서 당업자가 자명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수정한 것도 포함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but includes those appropriately modified to the extent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상하 방향」라고 할 때는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양단부가 접합된 상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허리 개구부 상단으로 가랑이부를 하단으로 한 때의 상하 방향 (도1등에서 화살표 Y로 나타낸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좌우 방향」이라고 할 때는,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양단부가 접합된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둘레 방향 (도1 등에 있어서 화살표 X로 나타낸 방향)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vertical direction " refers to a vertical direction of the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in a state in which both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torso are join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Quot; direction "). In the case of "left and right", it mean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X in FIG. 1 and the like) of the disposable diaper in a state in which the both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body are joined.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A ~ B"는 "A 이상 B 이하"임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to B" means "A to B ".

(1.일회용 기저귀의 전체 구성) (1. Overall configuration of 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이면, 공지의 것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는,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양측부가 미리 접합된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이다. 예를 들어,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는, 각각 다른 몸으로 형성된 몸통 전면부 외장체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 사이에 흡수성 본체가 가교(架橋)된 구성을 가지는 타입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는, 몸통 전면부에서 몸통 후면부에 걸쳐 일체적으로 형성된 외장체에 가랑이부를 중심으로 하여 흡수성 본체를 고정한 타입의 것이라도 좋다. 이하는, 이들 타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중 몸통 전면부 외장체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가 다른 몸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들 사이에 흡수성 본체가 가교된 타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a known one as long as it is a pants-type disposable diaper. The disposable diaper of pants type is a disposable diaper of a type in which both side portions of the body front portion and the back side of the body are previously joined. For example,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may be of a typ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absorbent main body is brid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and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The pants-type disposable diaper may also be of a type in which the absorbent main body is fixed around the crotch part to an external body integrally formed from the body front part to the back side of the body. Hereinafter, th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ants-type disposable diaper of a pant-type disposable diaper of a type in which the body front-face outer body and the back body of the body are provided in different bodi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1은 일회용 기저귀(100)를 몸통 전면부 측에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2는 일회용 기저귀(100)의 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며, 일회용 기저귀(100)를 피부 맞닿는 면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2의 전개도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00)는 장착된 때에, 착용자의 복부에 접하는 몸통 전면부(1)와, 착용자의 등부에 접하는 몸통 후면부(2)와, 착용자의 가랑이에 가리개가 갈라지는 가랑이부(3)로 구분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일회용 기저귀 (100)는, 몸통 전면부(1)에, 몸통 전면부 외장체(1a)를 구비하고, 몸통 후면부(2)에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를 구비한다. 그리고,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 사이의 가랑이부(3)에는 흡수성 본체(3a)가 가교되어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흡수성 본체(3a)는 그 길이 방향의 일단 부 측이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의 타 단부 측이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에 고정되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posable diaper 100 on the body front sid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posable diaper 100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osable diaper 100 is seen from the side of the skin contacting face. As shown in the developed view of Fig. 2, the disposable diaper 100 is provided with a body front portion 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abdomen of the wearer when it is mounted, a body rear portion 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ack portion of the wearer, And a crotch part (3) where the crotch part is di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osable diaper 100 is provided with the trunk front face external body 1a on the trunk front portion 1 and the trunk back face external body 2a on the trunk rear portion 2. The absorbent main body 3a is bridged to the crotch part 3 between the body front-side outer body 1a and the body rear-side outer body 2a.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sorbent main body 3a is fixed at one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body front face side external body 1a, and the other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ixed to the body back side external body 2a have.

도2에 나타난 전개 상태로부터,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좌우 양단부를 서로 겹쳐합친 상태로 접합한다. 이 접합 부분에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씰부(4)가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씰부(4)에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의 양단부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양단부를 대응시켜 접합함으로써, 도2에 나타낸 전개 상태에서, 도1에 나타내는 상태로 이루어진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의 상단 테두리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상단 테두리에 의해, 허리 개구부(5)가 형성된다. 또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양단부끼리가 사이드 씰부(4)에서 접합됨으로써 장착시 착용자의 다리부 주위에 위치하는 다리 주위 개구부(6)가 형성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허리 개구부(5)에서 양다리부분을 넣고 각 다리부를 다리 주위 개구부(6)에서 내는 일회용 기저귀(100)를 장착할 수 있다.2,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runk front-face outer body 1a and the rear-body outer body 2a of the body are joined together in a superimposed state. A pair of right and left side seal portions 4 are formed at this joint portion. In the pair of side seal portions 4, both end portions of the body front-face outer body 1a and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body rear face portion outer body 2a are joined and joined to form a state shown in Fig. 1 . As shown in Fig. 1, the waist opening 5 is formed by the upper edge of the trunk front face outer body 1a and the upper edge of the body rear face portion outer body 2a. Further, the body side front portion outer body 1a and the body rear side portion body 2a are joined together at the side seal portion 4, thereby forming the perimeter opening portion 6 positioned around the leg portion of the wearer. Therefore, the wearer can mount the disposable diaper 100 which inserts the leg portions at the waist opening 5 and releases the leg portions at the peripheries opening 6.

또한,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사이드 씰부(4)는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을 가지고 있다. 주 접합 영역(40)은,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좌우 양측단부 끼리를 고착하는 것을 목적으로한 것이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를 접합하고 있다. 한편, 부 접합 영역(50)은 주 접합 영역(40)보다도 좌우 방향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 접합 영역(50)은 기본적으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좌우 양쪽 테두리가 팔락 팔락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를 가볍게 접합하고 있다. 즉,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적어도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보다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air of side seal portions 4 has a main bonding region 40 and a sub bonding region 50. As shown in Fig. The main joint region 40 is intended to fix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dy front and front body external portions 1a and 2a to each other and extends vertically to form a body front face external body 1a And the body rear face portion outer body 2a are joined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non-joined region 50 is formed outside the main bonded region 40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auxiliary joint region 50 is basically formed so as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body front and rear body portions 1a and 2a from being opened for a long distance, And the external body 1a and the body rear face portion external body 2a are lightly joined. That is,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ing region 50 is set to be at least weaker tha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2.몸통 전면부 외장체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 (2. External body of the body front and rear body of the body)

다음에, 일회용 기저귀(100)의 각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of the disposable diaper 100 will be described.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통 전면부 외장체(1a)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는 일회용 기저귀(100) 착용시에 있어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2a) 사이에 위치한 흡수성 본체(3a)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몸통 전면부 외장체(1a)는 착용시에 있어서 장착자의 복부에 접하는 부재이며,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는 착용시에 착용자의 등부에 접하는 부재이다.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disposable diaper 100 is worn, the trunk front and back outer body 1a and the back body of the trunk 2a are made of the trunk front outer sheath 1a, (3a) positioned between the absorbent main body (2a). The trunk frontal outer body 1a is a member in contact with the abdomen of the wearer at the time of wearing, and the back body of the torso 2a is a member in contact with the back portion of the wearer when worn.

또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는, 좌우 방향의 양측 단부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이 접합 부분에 한 쌍의 사이드 씰부(4)가 형성되어있다. 도3은 사이드 씰부(4)의 접합 패턴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씰부(4)는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좌우 양측부에서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접합 영역(40)과 주 접합 영역(40)보다 좌우 방향 바깥에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좌우 양측부를 접합하는 부 접합 영역(50)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은, 각각 다수의 엠보싱부 (주 엠보싱부(41) 부 엠보싱부(51))가 집합하여 형성되어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엠보싱부 (주 엠보싱부(41), 부 엠보싱부(51))란, 접합점의 하나 하나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주 접합 영역(40)이란, 다수의 주 엠보싱부(41)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것의 안 테두리로부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의 바깥 테두리까지를 폭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모양의 영역이다. 마찬가지로, 부 접합 영역(50)이란, 다수의 부 엠보싱부(51)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것의 안 테두리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의 바깥 테두리까지를 폭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띠 모양의 영역이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은, 각각 다수의 주 엠보싱부(41)와 다수의 부 엠보싱부(51)가 규칙적인 패턴으로 배치 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Further, the body front-side outer body 1a and the body rear-side outer body 2a are joined to each other at both side 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air of side seal portions 4 are formed at the joint por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bonding pattern of the side seal portion 4. Fig. 3, the side seal portion 4 includes a main bonding region 4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in both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trunk front and back outer bodies 1a and 2a, Bonded region 50 joining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ody front-side external body 1a and the body rear-side external body 2a to the outside of the main junction region 40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sub-bonding region 50 are formed by collecting a plurality of embossing portions (main embossing portion 41 embossing portions 51). Here, the embossing portion (main embossing portion 41, sub embossing portion 51) means one of the bonding points.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a band-shaped reg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ner edge of the innermost one of the plurality of main embossing sections 41 to the outer edge of the outermost one of the plurality of main embossing sections 41, the width being the width. Likewise, the sub-joined region 50 is a region of the innermos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ub-embossed portions 51 that extends from the inner edge of the innermost portion to the outer edge of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sub- Area. As shown in FIG. 3,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sub bonding region 50 ar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main embossing portions 41 and a plurality of sub-embossing portions 51 in a regular patter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auxiliary bonding region 50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도4(a)는 도2에 나타낸 전개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를, 도2중의 Y1-Y1 선분을 따라, 일회용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 (b)는 도2에 나타낸 전개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를, 도2중의 Y2-Y2의 선분을 따라, 일회용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래, 각종 시트재는 극히 얇은 것이지만, 도4(a)나 도4 (b)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개념적 두께를 갖게 하여 작도를 하고 있다.4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osable diaper shown in Fig. 2 is cut along the Y1-Y1 line segment in Fig.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osable diaper. Fig.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osable diaper shown in Fig. 2 is cut along the line segment Y2-Y2 in Fig.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osable diaper. Although various sheet materials are originally thin, they are structured to have a conceptual thickness in order to facilitate the explanation in FIGS. 4 (a) and 4 (b).

몸통 전면부 외장체(1a)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는, 피부 비 맞닿는 면 측에 아우터 시트(10)를 가지며, 피부 맞닿는 면 측에 이너 시트(12)를 가진다. 아우터 시트(10)와 이너 시트(12)는 예를 들어, 유연한 섬유 부직포 나,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섬유 부직포나 플라스틱 시트 사이는,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단, 주 접합 영역(40) 및 부 접합 영역(50)을 형성할 예정 부위에는, 아우터 시트(10)와 이너 시트(12)를 접합하는 핫멜트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 접합 영역(40) 및 부 접합 영역(50)을 형성할 예정 부위에 핫멜트 접착제가 존재하고 있으면, 히터 씰 또는 초음파 씰 의한 열 융착 기술에 의하여, 주 접합 영역(40) 및 부 접합 영역(50)을 형성하려고 해도, 히터 씰 또는 초음파 씰에 의해 생긴 열이 핫멜트 접착제를 녹이는 데 사용되어 버리게 된다. 그러면 접합 대상인 열가소성 시트를 충분히 가열 할 수 없게 되어 접합 강도가 안정되지 않거나 녹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 부분에 점착성이 발현되거나 핫멜트 접착제가 고화하여 딱딱하게 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이드 씰부(4)를 형성하는 접합 부분에는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unk front face outer body 1a and the body rear face outer body 2a each have an outer sheet 10 on the side facing the skin and an inner sheet 12 on the side facing the skin. The outer sheet 10 and the inner sheet 12 are formed of, for example, a flexible fibrous nonwoven fabric or a plastic sheet. The fibrous nonwoven fabric or the plastic sheet is adhered, for example, by a hot-melt adhesive. It is preferable that no hot melt adhesive for joining the outer sheet 10 and the inner sheet 12 is present at a portion where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auxiliary bonding region 50 are to be formed. If there is a hot-melt adhesive on a portion where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sub-bonding region 50 are to be formed,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sub-bonding region 50 are formed by a heat seal technique using a heater seal or an ultrasonic seal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seal or the ultrasonic seal is used to melt the hot melt adhesive. As a result, the thermoplastic sheet to be bonded can not be heated sufficiently,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is not stabilized, 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lted hot-melt adhesive exhibits tackiness at the bonded portion or the hot-melt adhesive becomes hard and hard. Therefore, it is preferable not to apply the hot-melt adhesive to the joint portion where the side seal portion 4 is formed.

또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허리 둘레의 테두리부를 따라, 다수의 허리 신축재(20)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다수 허리 신축재(20)중 일부는 신장 상태에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에 접합되어 있으며, 수축함으로써 허리 주름(waist gather)을 형성한다. 또한, 다수 허리 신축재(20)의 아래 쪽 (가랑이부 측)에는 더미 신축재(21)가 배치되어 있다. 더미 신축재(21)는 아우터 시트(10)와 이너 시트(12)사이에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더미 신축재(21)가 수축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의 복부 주위에 더미 주름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waist elastic members 20 are arranged in a stretched state along the rim of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trunk front face outer body 1a and the body rear face outer body 2a. Some of the plurality of waist elastic members 20 are joined to the trunk front outer body 1a and the back body outer body 2a in a stretched state and form a waist gather by contraction. A dummy stretchable material 21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crotch side) of the plural waist elastic members 20. The dummy stretchable material 21 is fixed in a stretched state between the outer sheet 10 and the inner sheet 12 and the dummy stretchable material 21 is contracted to form dummy wrinkles around the abdomen of the disposable diaper.

도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는, 피부 비 맞닿는 면 측의 최외층에 아우터 시트(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에서 아우터 시트(10)가 상단 테두리의 되접어 꺾음선(11a)에서 피부 맞닿는 면 측으로 되접어 꺾고, 되접어 꺾음부(11)가 형성된다. 아 우터 시트(10)가 되접어 „M인 되접어 꺾음선(11a)는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상단부에 해당하며, 일회용 기저귀가 이루어진 때에는, 허리 개구부(5)의 개구 테두리가 된다. 아우터 시트(10)의 되접어 꺾음부(11)는, 예를 들어 더미 신축재(21)가 배치된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는 길이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있다.As shown in Figs. 4 (a) and 4 (b), the outer body 1a of the torso front portion and the outer body 2a of the torso back portion are provided with the outer sheet 10 on the outermost layer on the side facing the skin. The outer sheet 10 is folded back to the side where the upper sheet 10 is in contact with the skin at the fold line 11a and the folded back portion 11 is folded back, . The folded line 11a folded back to the outer sheet 10 corresponds to the upper ends of the trunk front face outer body 1a and the rear face body outer body 2a of the body and when the disposable diaper is made, (5). The folded back portion 11 of the outer sheet 1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 length that does not reach, for example, the position where the dummy stretchable member 21 is disposed.

도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에서 아우터 시트(10)에는 다수의 허리 신축재(20) 및 다수 더미 신축재(21)가 되접어 꺾음선(11a)에 따른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허리 신축재(20)의 수는 2개 이상이면 좋고, 예를 들어, 2개~15개, 4개~12개 또는 6개~9 개인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허리 신축재(20)의 아래쪽에는, 다수의 더미 신축재(21)가 아우터 시트(10)에 설치되어있다. 더미 신축재(21)의 수는 예를 들어, 10개~30개, 15개~25개 또는 18개~20개 인 것으로 해도 좋다. 다수의 허리 신축재(20)와 다수의 더미 신축재(21)는 도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대략 평행으로 나란히 배치되어있다. 도2의 전개도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다수의 허리 신축재(20)와 다수의 더미 신축재(21)는, 그 신장 상태에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좌우 양쪽 끝에 위치하는 사이드 씰부(4)까지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허리 신축재(20)와 다수의 더미 신축재(21)는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유동성이 높은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분사함으로써 고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단, 사이드 씰부(4)에 의해 접합되는 부위에는, 다수의 허리 신축재(20)와 다수의 더미 신축재(21)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씰부(4)에 허리 신축재(20)나 더미 신축재(21)가 존재하고 있으면, 사이드 씰부(4)에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좌우 양측부를 접합하려고 할 때, 히트씰이나 초음파 씰에 의해 발생한 열이 각종 탄성신축 부재를 용융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버리고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좌우 양측부 접합이 안정하지 않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s. 4 (a) and 4 (b), a plurality of waist elastic members 20 and a plurality of dummy elastic member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outer sheet 10 at the body front- 21 are folded back and arranged in a stretched state in the direction along the broken line 11a. The number of waist elastic members 20 may be two or more, and may be, for example, two to fifteen, four to twelve, or six to nine. A plurality of dummy stretchable members 21 are provided on the outer sheet 10 below the waist elastic member 20. The number of the dummy elastic members 21 may be, for example, 10 to 30, 15 to 25, or 18 to 20. A plurality of waist stretchable members 20 and a plurality of dummy stretchable members 21 ar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osable diaper as shown in Figs. 4 (a) and 4 (b). 2, a plurality of waist elastic members 20 and a plurality of dummy elastic members 21 are fixed to the body front and back outer bodies 1a and 2a in the stretched state, To the side seal portions 4 locat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side seal portion 4. The plurality of waist elastic members 20 and the plurality of dummy elastic members 21 may be fixed by applying or spraying a highly fluid adhesive such as a hot melt adhesiv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waist elastic members 20 and a plurality of dummy elastic members 21 are not present at a portion to be joined by the side seal portion 4. If the waist elastic member 20 and the dummy elastic member 21 are present on the side seal portion 4, the side seal portion 4 is provided with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torso front outer portion 1a and the torso rear portion outer portion 2a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seal or the ultrasonic seal is used for melting various elastic elastic members and the joints of the body front and rear external bodies 1a and 2a are not stable It is not.

또한, 도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시트(10)를 되집어 꺾음으로써 형성된 되접어 꺾음부(11)와, 다수의 허리 신축재(20)사이에는 쿠션 형성 시트(1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 형성 시트(13)는 허리 주름 쿠션성과 유연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하여 배치된 시트재다. 쿠션 형성 시트(13)는, 예를 들면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 형성 시트(13)의 부직포는, 친수성 부직포 이어도 좋고, 발수성 부직포 이어도 좋다. 이 쿠션 형성 시트(13)는 그 피부 맞닿는 면 측이 되접어 꺾음부(11)의 내향면(피부 비 맞닿는 면 측)에 대하여 되접어 꺾음선(11a)에 따른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헐적으로 접합"이란 접합부와 비 접합부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쿠션 형성 시트(13)와 되접어 꺾음부(11)가 되접어 꺾음선(11a)에 따른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접합되는 것으로, 허리 신축재(20)와 더미 신축재(21)가 수축할 때 쿠션 형성 시트(13)와 되접어 꺾음부(11) 사이 공간이 생기고, 이 공간을 통해, 허리 주름 쿠션성과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쿠션 형성 시트(13)는 기저귀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쿠션 형성 시트(13)의 상단 측은 아우터 시트(10)의 되접어 꺾음선(11a)의 위치까지 연장하고, 쿠션 형성 시트(13)의 하단 측은 일부가 이너 시트(12)의 피부 맞닿는 면 측에 중첩되어 있다. 단, 쿠션 형성 시트(13)는 이너 시트(12)의 하단에 도달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지 않다.4 (a) and (b), a cushion-forming sheet 13 is provided between a folded back portion 11 formed by retracting the outer sheet 10 and a plurality of waist elastic members 20, Is preferably disposed. The cushion-forming sheet 13 is a sheet material arrang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waistline cushioning and flexibility. The cushion-forming sheet 13 is preferably formed of,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The nonwoven fabric of the cushion-forming sheet 13 may be a hydrophilic nonwoven fabric or a water repellent nonwoven fabric. The cushion-forming sheet 13 is folded back toward the inward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 11 (the surface facing the skin) of the folded portion 11 and intermittently join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folded line 11a desirable. "Intermittently bonded" means that the joint and non-joint are continuous at a constant interval. The cushion forming sheet 13 and the folded back portion 11 are folded back and intermittently join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folded line 11a so that when the waist elastic member 20 and the dummy stretchable member 21 contrac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orming sheet 13 and the folded portion 11, and the waist flap cushioning and flexibility can be improved through this space. The upper end of the cushion-forming sheet 13 extends to the position of the fold line 11a of the outer sheet 10 and the cushion-forming sheet 13 13 are partially overlapped on the side of the inner sheet 12 where the skin contacts. However, the cushion-forming sheet 13 does not have a length reaching the lower end of the inner sheet 12.

또한, 이러한 쿠션 형성 시트(13)를 가지는 일회용 기저귀는 일본 특개 2011-25499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Disposable diapers having such a cushion-forming sheet 13 ar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1-254996.

도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시트(10)의 피부 맞닿는 면 측에는 이너 시트(12)가 위치하고 있다. 이너 시트(12)는 아우터 시트(10) 사이에서 다수의 허리 신축재(20)중 일부와 다수의 더미 신축재(21)를 끼워 고정한다. 이너 시트(12)는 아우터 시트(10)의 상단 테두리까지는 도달하지 않는 반면, 아우터 시트(10)의 하단 테두리에는 도달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너 시트(12)는 상부 측의 일부가 쿠션 형성 시트(13)와 겹쳐 합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너 시트(12)는 상측의 일부가 쿠션 형성 시트(13) 및 아우터 시트(10)의 되접어 꺾음부(11)와 겹쳐 합치는 것이어도 좋다.As shown in Figs. 4 (a) and 4 (b), the inner sheet 12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outer sheet 10 which faces the skin. The inner sheet 12 fixes a part of a plurality of waist stretchable members 20 and a plurality of dummy stretchable members 21 between the outer sheets 10. The inner sheet 12 does not reach the upper edge of the outer sheet 10, but is formed to reach the lower edge of the outer sheet 10.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heet 12 may be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cushion-forming sheet 13.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heet 12 may be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folded portion 11 of the cushion-forming sheet 13 and the outer sheet 10.

이와 같이, 몸통 전면부 외장체(1a)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는 다수 시트재가 겹쳐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몸통 전면부 외장체(1a)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최상부인 제1적층부(71)에서는 피부 비 맞닿는 면 측부터 차례로 아우터 시트(10), 쿠션 형성 시트(13), 및 아우터 시트(10)의 되접어 꺾음부(11)가 3중으로 겹쳐있다. 또한 제1적층부(7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적층부(72)에서는 피부 비 맞닿는 면 측부터 아우터 시트(10), 이너 시트(12), 쿠션 형성 시트(13) 및 아우터 시트(10)의 되접어 꺾음부(11)가, 4중 겹쳐 합쳐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runk front-side outer body 1a and the rear-side body portion 2a of the torso are construct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sheet materials.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first laminated portion 71, which is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trunk front outer portion 1a and the trunk rear outer portion 2a, the outer sheet 10, the cushion The sheet 13 and the folded back portion 11 of the outer sheet 10 are triple-overlapped. The outer sheet 10, the inner sheet 12, the cushion-forming sheet 13 and the outer sheet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outer sheet 10 " Folded portions 11 are folded in four.

또한 제2적층부(7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적층부(73)에서는, 피부 비 맞닿는 면 측부터 차례로 아우터 시트(10), 이너 시트(12), 및 쿠션 형성 시트(13)가 3중으로 겹쳐 합쳐있다. 또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최하부인 제4적층부(74)에서는, 피부 비 맞닿는 면 측부터 차례로, 아우터 시트(10) 및 이너 시트(12)가 2중으로 겹쳐 합쳐있다. 이와 같이, 몸통 전면부 외장체(1a)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는 사이드 씰부(4)에서 겹쳐 합치는 시트재의 점수는 부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도 좋다.The outer sheet 10, the inner sheet 12, and the cushion-forming sheet 13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third laminate portion 73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laminate portion 72, They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The outer sheet 10 and the inner sheet 12 are arranged in order from the side where the skin is abutted against each other in the order of 2 They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score of the sheet material superimposed on the side seal portion 4 of the trunk front outer sheave 1a and the back body outer sheath 2a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

상기와 같이, 다수 시트재가 겹쳐 합쳐 구성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는 좌우 양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사이드 씰부(4)에서 접합된다. 즉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좌우 양측부는 서로 겹쳐 합친 상태로 접합되고,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양측부에 한 쌍의 사이드 씰부(4)가 형성된다.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접합 방법은 예를 들어 히터 씰이나 초음파 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body front face portion outer body 1a and the body back face portion outer body 2a, which ar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sheet materials, are joined at a pair of side seal portions 4 located at left and right ends. That is, both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trunk front-side outer body 1a and the rear-side body portion 2a of the trunk are joined together in a state of being superimposed on each other, and the trunk front-side outer body 1a and the rear- A pair of side seal portions 4 are formed. For example, a heater seal or an ultrasonic seal is preferably used as a method of joining the body front-face outer body 1a and the body rear-face outer body 2a.

(2-1주접합 영역) (2-1 main bonding region)

여기서, 사이드 씰부(4)에 포함되는 주 접합 영역(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 the main bonding region 40 included in the side seal portion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4 (c)는 사이드 씰부(4)에서 접합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의 일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4(a)의 단면도, 도4 (b)의 단면도 및 도4 (c)의 평면도는, 모두 상하 방향의 치수가 일치하도록 나타나 있다. 특히 도4 (c)는, 사이드 씰부(4)에 있어서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패턴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패턴은 도4 (c)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Fig. 4 (c)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one end portion of the trunk front-side outer body 1a and the rear portion of the trunk-side body 2a joined by the side seal portion 4. Fig. Sectional view of Fig. 4 (a), a sectional view of Fig. 4 (b), and a plan view of Fig. 4 (c) Particularly, FIG. 4 (c) shows an embodiment of the bonding pattern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in the side seal portion 4. The bonding pattern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4 (c).

도4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의 상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주 접합 영역(40)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접합 영역(40a)과,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접합 영역(40b) 두 영역으로 구분된다. 도4 (c)에서 상부 접합 영역(40a)와 하부 접합 영역(40b)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점선에 의하여 구분되어 나타나고 있다. 상부 접합 영역(40a)과 하부 접합 영역(40b)은 주 접합 영역(40)을 등분하는 것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도4 (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부 접합 영역(40a) 쪽이 하부 접합 영역(40b)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또한 그 반대라도 좋다. 도4(a), 도4 (b) 및 도4 (c)를 참조하면, 상부 접합 영역(40a)과 하부 접합 영역(40b)은 그 접합하는 시트재의 적층 수가 다르다. 즉 상부 접합 영역(40a)은 하부 접합 영역(40b) 보다 접합하는 시트재의 적층 수가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부 접합 영역(40a)은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를, 제1적층부(71), 제2적층부(72) 및 제3적층부(73)에 접합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 접합 영역(40a)은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를 구성하는 시트재의 수를 합치면 6 매 또는 8매의 시트재를 겹쳐 합쳐서 접합한다. 한편, 도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접합 영역(40b)는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를 제4적층부(74)에 접합하고 있다. 따라서 하부 접합 영역(40b)은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를 구성하는 시트재의 수를 합치면 4매 시트재를 겹쳐 합쳐서 접합한다.As shown in Fig. 4 (c), the main bonding region 40 extending linearly in the up-and-down direction of the diaper has an upper bonding region 40a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bonding region 40b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 In FIG. 4 (c), the upper bonding region 40a and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are separated by a dotted lin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upper bonding region 40a and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do not need to equally divide the main bonding region 4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c)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junction region 40b, or vice versa. Referring to Figs. 4 (a), 4 (b) and 4 (c), the upper joining region 40a and the lower joining region 40b have different numbers of laminated sheet members. That is,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 members joining the lower joining region 40b is increased in the upper joining region 40a.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upper bonding region 40a is formed by laminating the body front-face outer body 1a and the body rear-face outer body 2a to the first lamination portion 71, (72) and the third lamination portion (73).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the sheet materials constituting the trunk front-side outer body 1a and the back-side body 2a of the trunk are combined, the upper joining region 40a overlaps and joins 6 or 8 sheets of sheet material.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lower junction region 40b is joined to the fourth stacking portion 74 with the trunk front-side outer body 1a and the rear-side body portion 2a.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the sheet members constituting the trunk front-side outer body 1a and the back-side body 2a of the trunk portion is the same, the lower joining region 40b joins and joins the four sheet members.

단, 주 접합 영역(40)에서, 상부 접합 영역(40a)과 하부 접합 영역(40b)에 의해 접합하는 시트재의 매수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부 접합 영역 0a는 하부 접합 영역(40b)의 위쪽에서, 하부 접합 영역(40b) 이상의 매수의 시트재를 겹쳐 접합하는 것이면 좋고, 하부 접합 영역(40b)은 상부 접합 영역(40a)의 하방에서 상부 접합 영역(40a) 이하의 매수의 시트재를 겹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e main bonding region 40, the number of sheet members to be bonded by the upper bonding region 40a and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one. That is, the upper bonding region 40a may be formed by stacking the uppermost bonding region 40a and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at a position above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It is preferable that the sheet members of the number equal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 upper joining region 40a are stacked and joined.

도4 (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부 접합 영역(40a)은 다수의 상부 엠보싱부(41a)가 형성되는 영역이며, 하부 접합 영역(40b)은 다수의 하부 엠보싱부(41b)가 형성되는 영역이다. 상부 접합 영역(40a)에는 다수의 상부 엠보싱부(41a)가 기저귀의 상하 방향에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도4 (c)에 도시된 예에서, 상부 엠보싱부(41a)는 3열로 형성되어있다. 이 상부 엠보싱부(41a)의 다수 열 중 왼쪽 단의 열에서 오른쪽 단의 열까지의 거리가 상부 접합 영역(40a)의 폭이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접합 영역(40b)에는 다수의 하부 엠보싱부(41b)가, 기저귀의 상하 방향에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도4 (c)에 도시된 예에서, 하부 엠보싱부(41b)는 3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엠보싱부(41b)의 다수 열 중 왼쪽단의 열에서 오른쪽단의 열까지의 거리가 하부 접합 영역(40b)의 폭이된다. 상부 접합 영역(40a)과 하부 접합 영역(40b)을 형성하는 상부 엠보싱부(41a)와 하부 엠보싱부(41b)의 열은 다수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4열~10열 이어도 좋다. 또한 상부 엠보싱부(41a)의 열과 하부 엠보싱부(41b)의 열은 다른 수 라도 좋다.The upper bonding region 40a is a region where a plurality of upper embossments 41a are formed and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is a region where a plurality of lower embossments 41b are formed to be. In the upper joint region 40a, a plurality of upper embossed portions 41a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p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c),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is formed in three rows. The distance from the left end column to the right end column of the plurality of rows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is the width of the upper joining region 40a. Likewise, a plurality of lower embossments 41b are formed in the lower junction area 40b in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p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c),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is formed in three rows. The distance from the left end column to the right end column of the plurality of rows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is the width of the lower junction region 40b. The number of rows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and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forming the upper joining region 40a and the lower joining region 40b is preferably a plurality of rows. For example, it may be four rows to ten columns. The heat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and the heat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여기서, 도4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접합 영역(40b)의 폭 Bl은 상부 접합 영역(40a)의 폭 Bu보다 기저귀의 좌우 방향으로 넓어져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Bl>Bc). 예를 들어, 하부 접합 영역(40b)의 폭 Bl 값은 상부 접합 영역(40a)의 폭 Bu 값에 대하여 105%~150%, 110%~145%, 115%~140% 또는 120%~135%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하부 접합 영역(40b)은 상부 접합 영역(40a)에 대하여, 기저귀 왼쪽과 오른쪽 모두에 넓어져 넓은 폭으로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수치를 나타내면, 예를 들어, 상부 접합 영역(40a)의 폭 Bu가 2mm~20mm, 4mm~15mm 또는 5mm~10mm 인 경우, 하부 접합 영역(40b)의 폭 Bl는 3mm~30mm, 5mm~20mm 또는 6mm~1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부 접합 영역(40b) 의 폭 Bl를, 상부 접합 영역(40a)의 폭 Bu보다 넓은 것으로 함으로써 접합하는 시트 수가 적은 하부 접합 영역(40b)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합하는 시트 수가 많은 상부 접합 영역(40a)의 접합 강도와의 균형을 좋게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접합 영역(40a)과 하부 접합 영역(40b)의 경도가 균일화되어, 결과적으로 사이드 씰부(4) (특히 주 접합 영역(40) 전체의 감촉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하부 접합 영역(40b)은 접합되는 시트 수가 적기 때문에 기저귀 착용시에 접합부가 박리하기 쉽게 될 우려가 있지만, 하부 접합 영역(40b)의 폭을 넓힘으로써, 접착 강도가 향상하므로, 기저귀 착용시의 박리가 방지된다. 게다가 하부 접합 영역(40b)의 폭을 넓힘으로써, 하부 엠보싱부(41b) 자체의 면적을 확대하지 않고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의 폐기에 있어서 사이드 씰부(4)를 파단시키기 쉬운 것으로 된다.Here, as shown in Fig. 4 (c), the width B1 of the lower junction area 40b is wider than the width Bu of the upper junction area 40a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diaper so as to have a wide width (Bl> Bc) . For example, the width Bl of the lower junction region 40b may be in the range of 105% to 150%, 110% to 145%, 115% to 140%, or 120% to 135% of the width Bu of the upper junction region 40a. .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junction region 40b is wider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aper relative to the upper junction region 40a. For example, when the width Bu of the upper bonding region 40a is 2 mm to 20 mm, 4 mm to 15 mm, or 5 mm to 10 mm, the width Bl of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is 3 mm to 30 mm, Or 6 mm to 15 mm. By making the width B1 of the lower junction region 40b larger than the width Bu of the upper junction region 40a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lower junction region 40b in which the number of sheets to be joined is smal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alance with the bonding strength of the upper bonding region 40a having a large number of the bonding regions 40a. Therefore, the hardness of the upper bonding region 40a and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is made uniform, and as a result, the feeling of the entire side sealing portion 4 (in particular, the entirety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improved. The number of sheets to be joined is small,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joining portion may be easily peeled off when the diaper is worn. However, by widening the width of the lower joining region 40b, the bonding strength is improved and peeling at the time of wearing the diaper is prevented. The width of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is widened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can be improved without enlarging the area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itself. This makes it easier to break the side seal portion 4 in the disposal of the diaper.

주 접합 영역(40)에 있어서 접합 패턴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The bonding pattern in the main bonding region 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5는 도4 (c)에 나타난 파선 테두리 개소를 확대하여 나타낸 추가 확대도이다. 도5는 다수의 상부 엠보싱부(41a)와 다수의 하부 엠보싱부(41b)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엠보싱부(41a)와 하부 엠보싱부(41b)는 각각 3열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가운데 열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하부 엠보싱부(41b)의 왼쪽단의 열과 오른쪽단의 열은, 상부 엠보싱부(41a)의 왼쪽단의 열과 오른쪽단의 열보다도, 기저귀의 좌우 방향으로 확산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문에 하부 접합 영역(40b)의 폭 Bl가 상부 접합 영역(40a)보다 광폭으로 된다.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a broken-line frame shown in Fig. 4 (c). Fig. 5 shows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a plurality of upper embossments 41a and a plurality of lower embossments 41b. As shown in FIG. 4,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and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are formed in three rows, and the center rows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and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are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On the other hand, the row of the left end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and the row of the right end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are formed at a position diffused from the left end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to the left end of the diaper. Thus, the width Bl of the lower junction region 40b becomes wider than that of the upper junction region 40a.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상부 엠보싱부(41a) 및 각 하부 엠보싱부(41b)는 기저귀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선(短線)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선상(短線?)"의 상부 엠보싱부(41a)란, 적어도 상부 엠보싱부(41a)의 좌우 방향의 길이 Lu가, 상부 엠보싱부(41a)의 상하 방향의 폭 Wu보다 길고, 또한 길이 Lu 값이 상부 접합 영역(40a)의 폭 Bu 값의 절반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단선상의 "하부 엠보싱부(41b)란, 적어도 하부 엠보싱부(41b)의 좌우 방향의 길이 Ll이, 하부 엠보싱부(41b)의 상하 방향의 폭Wl보다 길고, 또한 길이 Ll의 값이 하부 접합 영역(40b)의 폭 Bl값의 절반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부 엠보싱부(41a)와 하부 엠보싱부(41b)를 단선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저귀의 폐기시에 사이드 씰부(4) (특히 주 접합 영역(40))을 파단시키기 쉬워진다. 즉, 상부 엠보싱부(41a)와 하부 엠보싱부(41b)는 기저귀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므로 기저귀를 파단할 때의 힘을, 기저귀 외측으로 이끌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엠보싱부(41a)와 하부 엠보싱부(41b)를 단선상으로함으로써, 착용자가 기저귀를 파단시키는 힘을 주었을 때 단숨에 일련의 동작으로, 사이드 씰부(4)를 파단시키기 쉬워진다.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each upper embossing portion 41a and each lower embossing portion 41b is formed as a short line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diaper.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of the "short line?" Means that at least the length Lu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is longer than the width Wu in the up-down direction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half of the width Bu value of the upper junction region 40a. Likewise, the "bottom-line embossed portion 41b" of the "single-line" is defined as the length Ll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at least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is longer than the width W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Half or less of the width Bl of the lower junction region 40b. Thus, by forming the upper embossed portion 41a and the lower embossed portion 41b in a line shape, it is easy to break the side seal portion 4 (particularly the main bonding region 40) at the time of disposing of the diaper. That is, since the upper embossed portion 41a and the lower embossed portion 41b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diaper, the force at the time of breaking the diaper can be led to the outside of the diaper. Therefore, by making the upper embossed portion 41a and the lower embossed portion 41b a single line, it is easy to break the side seal portion 4 by a series of operations when the wearer gives a force to break the diaper.

또한 각 상부 엠보싱부(41a) 및 각 하부 엠보싱부(41b)에 의한 접합 면적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부 엠보싱부(41a)의 길이Lu와 하부 엠보싱부(41b)의 길이Ll이 동일하고, 또한, 상부 엠보싱부(41a)의 폭Wu와 하부 엠보싱부(41b)의 폭Wu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형태에서, 상부 엠보싱부(41a)의 길이Lu와 하부 엠보싱부(41b)의 길이Ll는 모두, 0.5mm~10mm, 1mm~5mm 또는 1.5mm~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엠보싱부(41a)의 폭Wu와 하부 엠보싱부(41b)의 폭Wl은 모두, 0.2mm~5mm 또는 0.4mm~3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술 한 바와 같이, 하부 접합 영역(40b)의 폭Bl을 확대함으로써 하부 접합 영역(40b)의 접합 강도를 담보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접합 영역(40b)을 형성하는 하부 엠보싱부(41b)의 접합 면적을, 상부 접합 영역(40a)을 형성하는 상부 엠보싱부(41a)의 접합 면적과 동일한 것으로 한 경우라도 하부 접합 영역(40b)의 접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엠보싱부(41b)의 접합 면적과 상부 엠보싱부(41a)의 접합 면적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기저귀의 폐기시, 상부 접합 영역(40a)와 하부 접합 영역(40b)을 일련의 동작으로 파단시키기 쉬워진다.It is preferable that the joint areas of the upper embossments 41a and the lower embossments 41b are the same. The length Lu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is equal to the length L1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and the width Wu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is equal to the width Wu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 5, the length Lu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and the length L1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are both preferably 0.5 mm to 10 mm, 1 mm to 5 mm, or 1.5 mm to 3 mm, for example Do.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Wu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and the width Wl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are both 0.2 mm to 5 mm or 0.4 mm to 3 mm. 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can be secured by enlarging the width Bl of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Even if the bonding area of the lower embossed portion 41b forming the lower bonded region 40b is equal to the bonding area of the upper embossed portion 41a forming the upper bonded region 40a, ) Can be ensured. Further, by making the bonding area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and the bonding area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the same, it is easy to break the upper bonding region 40a and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by a series of operations at the time of disposing of the diaper Loses.

도5에서 부호Su는, 상부 접합 영역(40a)에서, 인접한 상부 엠보싱부(41a) 열의 좌우 방향의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한 상부 엠보싱부(41a) 열의 좌우 방향의 간격Su는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접한 상부 엠보싱부(41a) 열의 좌우 방향의 간격Su는, 상부 엠보싱부(41a)의 길이Lu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Su = Lu).In FIG. 5, Su designates the interval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row of adjacent upper embossments 41a in the upper joining region 40a.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s Su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adjacent rows of the upper embossments 41a are the same. Especially, the interval Su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row of the adjacent upper embossing portions 41a is preferably equal to the length Lu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Su = Lu).

또한 부호Sl 하부 접합 영역(40b)에서, 인접한 하부 엠보싱부(41b)의 열의 좌우 방향의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한 하부 엠보싱부(41b)의 열의 좌우 방향의 간격Sl는,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And also shows the interval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row of the adjacent lower embossed portion 41b in the junction area 40b under the symbol S1. As shown in Fig. 5, the intervals S1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rows of the adjacent lower embossments 41b are preferably the same.

또한 상부 엠보싱부(41a) 열 간격Su와 하부 엠보싱부(41b)의 열 간격 Sl를 비교한 경우, 간격Sl의 값은, 간격Su의 값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Sl>Su). 예를 들어, 하부 엠보싱부(41b)의 열 간격Sl 값은 상부 엠보싱부(41a)의 열 간격Su 값에 대하여, 110%~200%, 120 %~180% 또는 130%~160%이며 140%~1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 엠보싱부(41b)의 열 간격Sl을 상부 엠보싱부(41a)의 열 간격Su보다 넓게 확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하부 접합 영역(40b)의 폭Bl을, 상부 접합 영역(40a)의 폭Bu보다 넓은 폭으로 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row spacing Su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is compared with the row spacing Sl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the value of the interval Sl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value of the interval Su (S1> Su). For example, the value of the interval S1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is 110% to 200%, 120% to 180%, or 130% to 160%, and is 140% or more of the column spacing Su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To 15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S1 of the lower embossed portion 41b is made wider than the row spacing Su of the upper embossed portion 41a, Width of width Bu.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접합 영역(40b)의 폭Bl이 상부 접합 영역(40a)의 폭Bu보다 폭이 넓음으로써, 하부 접합 영역(40b)에서 좌우 방향의 가장 바깥 쪽 열에 위치하는 다수의 하부 접합 영역(40b)에는, 상부 접합 영역(40a)의 폭보다 좌우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분O가 형성되게 된다. 도5에서 돌출부분O는, 사선을 실시하여 나타내고 있다. 돌출부분O는, 좌우 양방향의 가장 바깥 쪽 열에 위치하는 하부 접합 영역(40b)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돌출부분O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0.1mm~1mm, 0.3mm~0.8mm 또는 0.5mm~0.6mm 인 것이 바람직하다.5, the width B1 of the lower junction region 40b is wider than the width Bu of the upper junction region 40a, so that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the junction regions 40b located in the outermost row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lower junction region 40b In the lower junction region 40b, a protruding portion O projecting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than the width of the upper junction region 40a is formed. In Fig. 5, the projected portion O is shown by oblique lines.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portions O are formed in the lower junction regions 40b located in the outermost rows in both right and left directions.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projecting portion O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preferably 0.1 mm to 1 mm, 0.3 mm to 0.8 mm, or 0.5 mm to 0.6 mm.

도5에서 부호Pu는, 어느 열에서 다수의 상부 엠보싱부(41a)의 상하 방향의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엠보싱부(41a)의 상하 방향의 간격Pu는 모두 동일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In Fig. 5, reference character Pu denotes the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upper embossments 41a in any column.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spacings Pu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are all the same.

또한 부호 Pl은, 어느 열에서 다수의 하부 엠보싱부(41b)의 상하 방향의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엠보싱부(41b)의 상하 방향의 간격Pl은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ference numeral P1 denotes an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lower embossments 41b in any column.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s P1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embossments 41b are all the same.

또한 상부 엠보싱부(41a)의 상하 방향의 간격Pu와, 하부 엠보싱부(41b)의 상하 방향의 간격Pl을 비교한 경우, 간격Pl 값은 간격Pu의 값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Pu>Pl). 예를 들어, 하부 엠보싱부(41b)의 상하 방향의 간격Pl값은 상부 엠보싱부(41a)의 상하 방향의 간격Pu 값에 대하여 50%~95%, 55%~90% 또는 60%~85%이며, 65%~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부 엠보싱부(41b)의 상하 방향의 간격 Pl을, 상부 엠보싱부(41a)의 상하 방향의 간격Pu보다 좁게 함으로써, 접합하는 시트 수가 적은 하부 접합 영역(40b)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합하는 시트 수가 많은 상부 접합 영역(40a)의 접합 강도와 균형을 좋게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접합 영역(40a)와 하부 접합 영역(40b)의 경도가 균일화되어, 결과적으로 사이드 씰부(4) 전체 감촉이 양호하게 된다.When the distance Pu between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and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is compared with the distance Pl between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and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 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embossments 41b may have a spacing Pl of 50% to 95%, 55% to 90%, or 60% to 85% of the upper embossments 41a, , And it is preferably 65% to 80%. As described above, by making the distance P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narrower than the distance Pu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It is possible to improve balance with the bonding strength of the upper bonded region 40a having a large number of sheets to be bonded. Therefore, the hardness of the upper bonding region 40a and the lower bonding region 40b is made uniform, and consequently, the overall feeling of the side sealing portion 4 is improved.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접합 영역(40a)에 있어서, 인접한 상부 엠보싱부(41a)의 열은 서로, 기저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로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에서 부호Du는 좌우 양쪽에 위치하는 상부 엠보싱부(41a)의 열과 중앙에 위치하는 상부 엠보싱부(41a)의 열과의 어긋난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상부 엠보싱부(41a)의 열의 어긋난 거리Du는, 어느 열에서 다수의 상부 엠보싱부(41a)의 상하 방향의 간격Pu의 절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 in the upper joining region 40a, the adjacent rows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s 41a are desirably shifted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per. In FIG. 5, reference symbol Du denotes a displacement distance between a row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locat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 row of the upper embossing portion 41a located at the center.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ift distance Du of the upper embossed portion 41a is about half of the vertical distance Pu between the upper embossments 41a in any row.

마찬가지로, 하부 접합 영역(40b)에 있어서, 인접한 하부 엠보싱부(41b)의 열은 서로 기저귀의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로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에서 부호Dl은 좌우 양단에 위치하는 하부 엠보싱부(41b)의 열과, 중앙에 위치하는 하부 엠보싱부(41b)의 열과의 어긋남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엠보싱부(41b) 열의 어긋난 거리Dl은 어느 열에서 다수의 하부 엠보싱부(41b)의 상하 방향의 간격Pl의 절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ikewise, in the lower junction area 40b, the rows of the adjacent lower embossments 41b are desirably shifted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per. In Fig. 5, reference symbol D1 denotes a distance between the heat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located at the right and left ends and the heat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 41b located at the center.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cement distance Dl of the row of the lower embossing portions 41b is about half of the interval P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lower embossments 41b in any row.

이상 주 접합 영역(40)에 있어서의 접합 패턴에 대하여, 다수의 주 엠보싱부(4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다수의 열을 이루고, 이 다수의 열이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패턴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단,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패턴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주 접합 영역(40)에 있어서, 접합 패턴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 이어도 좋다. 또한 주 접합 영역(40)을 형성하는 주 엠보싱부(41)는, 기저귀의 측단 테두리에 평행한 종길이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주 엠보싱부(41)는 기저귀의 측단면 테두리에 대하여 1도~45도 또는 2도~30정도의 경사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처럼 주 엠보싱부(41)가 경사를 가짐으로써 선압(線?)을 높게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 강도를 유지하거나, 안정시키고 싶은 경우에 유리하다.A plurality of main embossing portions 41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nding pattern in the main bonding region 40 to form a plurality of rows and the plurality of rows are formed with intervals in the left- I explained the pattern as an example. However, the bonding pattern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main bonding region 40, the bonding pattern may be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urther, the main embossing portion 41 forming the main bonding region 40 may have a longitudinal shape parallel to the side edge of the diaper. The main embossing portion 41 may have a slope of about 1 to 45 degrees or about 2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ide edge of the diaper. As the main embossing portion 41 has an inclination, the line pressure can be increased, which is advantageous when it is desired to maintain or stabilize the bonding strength.

(2-2 부 접합 영역) (2-2 joint region)

계속하여 사이드 씰부(4)에 포함된 부 접합 영역(5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non-bonded region 50 included in the side seal portion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6은 도3에 표시된 파선 테두리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즉, 도6에 나타낸 확대도는 주 접합 영역(40)의 상부와 부 접합 영역(50)의 상부를 나타낸 것이다.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side of the dashed line shown in Fig. That is, the enlarged view shown in FIG. 6 shows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non-bonding region 50.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씰부(4)는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주 접합 영역(40)은 위에서 설명한 대로, 다수의 주 엠보싱부(41)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모양의 영역이다. 또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접합 영역(40)의 바깥 테두리와, 몸통 전면부 외장체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의 좌우 양측의 단 테두리(4a) 사이에는, 여백S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주 접합 영역(40)과 단 테두리(4a) 사이에 여백 S를 마련하는 것으로, 촉감이 딱딱한 주 접합 영역(40)이 단 테두리(4a)에 노출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팬츠형 기저귀는 일반적으로 연속된 시트재를 다수 적층하여 2조 한쌍의 주 접합 영역(40)에 의해 접합하고, 그 사이를 절단함으로써, 개별 팬츠형 기저귀를 얻는다. 따라서, 주 접합 영역(40) 사이를 너무 간격이 없도록 하면 절단시에 주 접합 영역(40) 사이에서 잘라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주 접합 영역(40)을 절단할 우려가 있다. 그렇다면,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의 편차가 커져 버린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주 접합 영역(40)과 단 테두리(4a) 사이에 여백S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2조 한쌍의 주 접합 영역(40) 사이에서 연속적인 시트재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여백S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적어도 3mm~20mm 또는 5mm~10mm 정도 형성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주 접합 영역(40)과 단 테두리(4a) 사이에 여백S가 존재하면 몸통 전면부 외장체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의 좌우 양단부가 팔락 팔락 개방되게 되어, 기저귀 전체 미관이 나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 접합 영역(40)과 단 테두리(4a)의 사이에 존재하는 여백S 부분에 부 접합 영역(50)을 형성하고, 이 여백S 부위를 기저귀의 촉감을 해치지 않는 정도로 가볍게 접합함으로써, 몸통 전면부 외장체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의 좌우 양단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As shown in FIG. 6, the side seal portion 4 includes a main bonding region 40 and a sub bonding region 50. 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a band-shaped region in which a plurality of main embossing portions 41 are vertically arranged and spaced a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 margin S exists between the outer edge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edge 4a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unk front face exterior body and the trunk rear face exterior body. By providing the margins S between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edge 4a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nding region 40, which is hard to touch, is exposed to the edge 4a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can do. In addition, a pull-on diaper is generally obtain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continuous sheet materials, joining them by a pair of main bonded regions 40, and cutting them therebetween to obtain an individual pull-on diaper. Therefore, if there is not too much space between the main bonding regions 4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ain bonding regions 40 are not cut off at the time of cutting, and the main bonding regions 40 may be cut off. Then, the deviation of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becomes large. Thus, by providing the margins S between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end frame 4a as described above, the continuous sheet member can be cut more reliably between the pair of main bonding regions 40 in a pair. From this viewpoint,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margin S in the lateral direction is at least about 3 mm to 20 mm or about 5 mm to 10 mm. However, if there is a margin S between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edge 4a,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runk front-face outer body and the back face-side outer body are opened to each other, and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iaper is likely to become worse .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joint region 50 is formed in the margin S portion existing between the main joint region 40 and the end edge 4a, and the marginal area S is lightly joined so as not to hurt the feel of the diaper Thereby preventing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dy front and rear body portions from being opened.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은, 착용시에 몸통 전면부 외장체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의 좌우 양단부가 박리하지 않도록 고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몸통 전면부 외장체 및 몸통 후면부 외장체의 좌우 양단부가 개방되지 않는 정도로 가볍게 접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부 접합 영역(50)에 있어서 접합 강도는,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보다 낮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를 100%로 했을 때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이하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에 대하여 1%~50%, 1%~30% 또는 1%~15%로 하면 좋다.The joining of the sub-joined region 50 is not intended to fix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uter body of the body front face portion and the outer face of the rear body portion of the body at the time of wearing so as not to peel off, And to lightly adhere to such an extent that both end portions are not opened. Therefore, the bonding strength in the non-bonding region 50 is set to be lower tha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 For exampl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ing region 50 is preferably 50% or less, more preferably 30% or less, more preferably 15% or less, whe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100% desirable. For exampl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ing region 50 may be 1% to 50%, 1% to 30%, or 1% to 15% with respect to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그것을 벗을 때에는 좌우 양측부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 쪽을 잡아 찢어 전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동작을 재현하기 위해 "접합 강도"는 인장 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기저귀 안쪽에서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을 180도 방향으로 열어 당기고, 강도의 피크 값을 접합 강도로 한다.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is designed to be able to tear open and expand either or both of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when removing it. In order to reproduce this operation, the "bonding strength" is determined by pulling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non-bonding region 50 in the direction of 180 degrees from the inside of the diaper using a tensile strength tester, do.

즉, 본원 명세서에서 "접합 강도"라 함은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된 인장 강도를 의미한다.That i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bond strength" means a tensil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우선, 접합 강도의 측정 대상인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을 포함하는 부위를 각각 소정 형상 (좌우 방향: 25mm×상하 방향: 30mm)으로 잘라내어 주 접합 영역 시험편 및 부 접합 영역 시험편으로 한다. 이어서, 주 접합 영역 시험편을 인장 강도 시험기 (상품명: 스트로 그래프 V1-B, 東洋精機製作所사제품)에 세트한다. 주 접합 영역 시험편의 세트는 주 접합 영역(40)을 중심으로 하여 주 접합 영역 시험편을 좌우로 전개하고 그 전개된 양단을 상하로 척으로 끼워 고정함으로써 행한다. 이 때, 좌우의 척 사이의 거리는 20mm로 한다. 이 상태에서 인장 시험기를 작동시키고, 주 접합 영역 시험편을 좌우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주 접합 영역 시험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한다. 이 때, 인장 속도는 200mm/분으로 하고, 주 접합 영역 시험편이 파단된 시점에서 측정을 종료한다. 그리고 얻어진 측정 차트에서 최대의 인장 강도를 확인한다. 이 최대 인장 강도를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접합 강도"로 한다. 부 접합 영역(50)은, 미리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부를 예를 들어 도6의 S2의 영역까지 벗긴 후,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접합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First, regions including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non-bonding region 50, which are the measurement targets of the bonding strength, were cut out in predetermined shapes (left and right directions: 25 mm.times.vertical direction: 30 mm) . Next, the main bonded area test piece is set in a tensile strength tester (trade name: Stroog V1-B, manufactured by Toyo Seiki Seisakusho Co., Ltd.). A set of main joint area test specimens is made by expanding the main joint area test specimen left and right around the main joint area 40 and fixing the developed both ends by chucking them up and down.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chucks is set to 20 mm. In this state, the tensile strength is measured by operating the tensile tester and pulling the test specime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is time, the tensile speed was set at 200 mm / min, and the measurement was terminated at the point when the test specimen of the main bonded area was broken. The maximum tensile strength is confirmed in the obtained measurement chart. This maximum tensile strength is referred to herein as "bond strength ". The bonded region 50 is obtained by peeling the bonding portion of the main bonded region 40 to the region of S2 in Fig. 6 in advance and measuring the "bonding strength" in the same manner as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can do.

수치를 나타내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는 5.0N/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는, 5.0N/25mm~30.0N/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가 5.0N/25mm 미만이면 접합 강도가 너무 낮아 져서 기저귀 착용시 기저귀의 측면 테두리측을 쥐고 잡아 올릴 때, 주 접합 영역(40)이 박리하여 기저귀 전체가 파단될 우려가 있다. 한편,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가 30.0N/25mm를 초과하면 이 접합부가 피부에 닿아 통증을 느끼는 우려가 있다. 또한 팬츠형 기저귀를 착용자로부터 용이하게 벗기기 위해서는, 기저귀의 측면 테두리를 당겨 찢을 필요가 있지만,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가 30.0N/25mm를 초과하면 이러한 측면 테두리부의 잡아 찢음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preferably 5.0 N / 25 mm or more. For exampl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preferably 5.0 N / 25 mm to 30.0 N / 25 mm. Whe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less than 5.0 N / 25 mm, the bonding strength is so low that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peeled off and the entire diaper is broken when the side edge of the diaper is gripped when the diaper is worn There is a concern. On the other hand, whe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exceeds 30.0 N / 25 mm, there is a concern that the bonding portion touches the skin and feel pain. Further, in order to easily peel off the pants-type diaper from the wearer, it is necessary to pull the side edge of the diaper by pulling. However, if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exceeds 30.0 N / 25 mm, .

한편,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상기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에 대하여 50% 이하, 30% 이하 또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0.75N/25mm~15.0N/2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가 0.75N/25mm 미만이면 접합 강도가 너무 낮아져서,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용이하게 부 접합 영역(50)이 박리 해 버려, 부 접합 영역(50)을 마련하는 의미가 거의 없어진다. 한편,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가 15.0N/25mm를 초과하면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을 맞춘 접합 폭이 길고 깨기 위한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불편하다. 또한,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가 15.0N/25mm를 초과하면, 부 접합 영역(50)의 촉감이 딱딱하게 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닿았을 때 통증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ing region 50 is 50% or less, 30% or 15% or less with respect to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For exampl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ed region 50 is preferably 0.75 N / 25 mm to 15.0 N / 25 mm. If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ing region 50 is less than 0.75 N / 25 mm, the bonding strength is too low, and the non-bonding region 50 easily peels off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earer, . On the other hand, if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ing region 50 exceeds 15.0 N / 25 mm, the bonding wid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non-bonding region 50 is long and a force for breaking is required. Whe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ing area 50 is more than 15.0 N / 25 mm, the touch of the non-bonding area 50 becomes hard and may cause pain when touching the skin of the wearer.

상기와 같이,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를,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보다 약하게 설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methods can be considered as a method of setting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ub-bonding region 50 to be lower tha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를 약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A)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면적을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면적보다 좁게 하거나 (B)부 접합 영역(50)에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의 부 엠보싱부(51)의 상하 방향 길이의 합을 주 접합 영역(40)에서의 것보다 짧게 하거나 (C)부 접합 영역(50)의 각 부 엠보싱부(51)의 깊이를, 주 접합 영역(40)의 각 주 엠보싱부(41)의 깊이 보다 얕게하거나 하는 것이 생각된다. 다음에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를 약하게 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부 접합 영역(5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necessary to set the bonding area of the auxiliary bonding area 50 to be narrower than the bonding area of the main bonding area 40 or the bonding area of the auxiliary bonding area 50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sub-embossing parts 51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ain bonded area 50 are made shorter than those in the main bonded area 40 or the lengths of the respective sub-embossed parts 51 To be shallower than the depth of each main embossing portion 41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 Next, an example of a method of weakening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ing region 50 is described, but the non-bonding region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A)에 관하여,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를 약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면적을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면적보다 좁게 하면 좋다. 즉, 부 접합 영역(50)에 마련된 부 엠보싱부(51) 각각의 면적이 주 접합 영역(40)에 마련된 주 엠보싱부(41)의 면적과 동일하더라도 부 접합 영역(50)의 엠보싱 패턴의 상하 방향 간격과 좌우 방향의 간격을 주 접합 영역(40)의 엠보싱 패턴보다 넓게함으로써,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를 약하게 할 수 있다.Regarding the above (A), in order to set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ing region 50 to be weak, the bonding area of the non-bonding region 50 may be made narrower than the bonding area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That is, even if the area of each of the sub-embossed portions 51 provided in the sub-bonded region 50 is the same as the area of the main embossed portion 41 provided in the main bonded region 40, By making the gap between the directional gap and the lateral direction wider than the embossed pattern of the main junction region 40,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junction region 50 can be reduced.

예를 들면, 도6에서 부호Ps는, 어느 열에서 다수 부 엠보싱부(51)의 상하 방향의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 엠보싱부(51) 끼리의 상하 방향의 간격Ps는, 주 엠보싱부 (41) (상부 엠보싱부(41a)) 끼리의 상하 방향의 간격Pu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 엠보싱부(51) 끼리의 상하방향의 간격Ps는 주 엠보싱부(41)끼리의 상하방향의 간격Pu 대하여 200%~1000% 또는 300%~6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6에서, 부호Ds는, 어느 열에 위치하는 부 엠보싱부(51)와, 그 가까운 열에 위치하는 부 엠보싱부(51)의 상하 방향의 어긋난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부 엠보싱부(51)의 열이 오프셋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어긋난 거리Ds는 주 엠보싱부(41) 끼리의 상하방향의 간격Pu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거리Ds는 간격Pu에 대하여 150%~500% 또는 20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n Fig. 6, reference symbol Ps denotes an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ultiple embossed portions 51 in any column. As shown in Fig. 6, the vertical spacing Ps between the sub-embossments 51 is preferably wider than the vertical spacing Pu between the main embossments 41 (the upper embossments 41a).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P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mbossments 51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200% to 1000% or 300% to 60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interval Pu between the main embossments 41. 6, reference character Ds denotes a displacement distance between the sub-embossing portion 51 located in a certain column and the sub-embossing portion 51 located in the nearest colum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ase where the rows of the embossing portions 51 are offset, it is preferable that the deviation distance Ds is wider than the interval Pu between the main embossing portions 41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distance Ds is preferably 150% to 500% or 200% to 300% with respect to the interval Pu.

또한, 도6에서 부호Gs는 부 엠보싱부(51)의 열끼리의 좌우 방향의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 엠보싱부(51)의 열의 좌우 방향의 간격Gs는 주 엠보싱부 (41)의 열 좌우 방향의 간격Gs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부 엠보싱부(51)의 열의 좌우 방향의 간격Gs는 주 엠보싱부(41)의 열 좌우 방향의 간격 Gs에 대하여 120%~500% 또는 15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부 접합 영역(50)의 엠보싱 패턴의 상하 방향의 간격과 좌우 방향의 간격을, 주 접합 영역(40)의 엠보싱 패턴보다 넓게 함으로써,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면적을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면적보다 좁게할 수 있다.In FIG. 6, reference symbol Gs denotes the interval between the rows of the sub-embossing portions 51 in the left-right direction. As shown in Fig. 6, 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G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row of the sub-embossing portion 51 is wider than the gap Gs in the row left-right direction of the main embossing portion 41. [ For example, the gap G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row of the sub-embossing portions 51 is preferably 120% to 500% or 150% to 300% with respect to the gap Gs in the row-left direction of the main embossing portion 41. By making the gap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ga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mbossed pattern 50 of the sub-bonded region 50 wider than the embossed pattern of the main bonded region 40, the bonded area of the sub- Can be narrowed.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면적율이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면적율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면적율이란, 부 접합 영역(50)의 전체 면적에 대한 다수의 부 엠보싱부(51)의 총 면적의 비율이다. 마찬가지로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면적율이란, 주 접합 영역(40) 전체의 면적에 대한 다수의 주 엠보싱부(41)의 총 면적의 비율이다.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의 전체 면적은 각 엠보싱부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것의 안 테두리에서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것의 바깥 테두리까지를 폭으로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모양 영역의 면적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주 엠보싱부(41)의 총 면적과 다수의 부 엠보싱부(51)의 총 면적은, 각 엠보싱부의 면적에 주 접합 영역(40) 또는 부 접합 영역(50)에 속하는 엠보싱부의 수를 곱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해진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면적율은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면적율에 대하여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1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부 엠보싱부(51)의 면적은 하나의 주 엠보싱부(41)의 면적에 대하여 50%~2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70%~1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bonding area ratio of the non-bonding area 50 is smaller than the bonding area ratio of the main bonding area 40. Here, the bonding area ratio of the non-bonding area 50 is the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plurality of the sub-embossing parts 51 to the total area of the non-bonding area 50. Similarly, the bonding area ratio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the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main embossing portions 41 to the total area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The total area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sub-bonding region 50 is set so that the width of the edge of the outermost one of the embossed portion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embossed portion, Area can be obtained. The total area of the plurality of main embossing portions 41 and the total area of the plurality of sub-embossing portions 51 are set such that the number of the embossing portions belonging to the main bonding region 40 or the sub- . The bonded area ratio of the non-bonded area 50 thus obtained is preferably 1% to 50%, more preferably 1% to 30%, and even more preferably 1% to 15% of the bonded area ratio of the main bonded area 40,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e area of one sub-embossing portion 51 is preferably about 50% to 200%, more preferably 70% to 150% with respect to the area of one main embossing portion 41.

또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 접합 영역(50)의 폭Bs는 주 접합 영역(40) (상부 접합 영역(40a))의 폭Bu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부 접합 영역(50)의 폭Bs는 주 접합 영역(40) (상부 접합 영역(40a))의 폭Bu 대하여 40%~95% 또는 50%~7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6,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Bs of the sub-junction region 50 is narrower than the width Bu of the main junction region 40 (the upper junction region 40a). The width Bs of the auxiliary junction region 50 is preferably 40% to 95% or 50% to 70% with respect to the width Bu of the main junction region 40 (upper junction region 40a).

상기 (B)에 관해,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를 약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부 접합 영역(50)에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의 부 엠보싱부(51)의 상하 방향의 길이의 합을, 주 접합 영역(40)의 것보다 짧게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본원 명세서에서 "접합 강도"는 상술 한 바와 같이, 기저귀 안쪽에서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을 180도 방향으로 열어 당길 때의 인장 강도의 피크 값으로 정의되므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 엠보싱부의 상하 방향의 길이의 합이 긴 것이 접합 강도가 높고, 짧은 쪽이 접합 강도가 낮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 엠보싱부의 상하 방향의 길이의 합계"란, 일회용 기저귀의 측면 테두리와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선을 당긴 때 그 가상 선을 타는 다수 엠보싱부의 상하 방향의 변의 길이의 합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각엠 보스 부의 정보 높은 변이 상정 선과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상 선상을 각 엠보싱부가 상하 방향으로 가로 지르는 길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부 접합 영역(50)에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의 부 엠보싱부(51)의 상하 방향의 길이의 합은 주 접합 영역(40)에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의 주 엠보싱부(41)의 상하 방향의 길이 의 합계에 대하여 1%~50%, 1%~30% 또는 1%~15 %인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et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ub-bonded region 50 to be weak,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sub-embossments 51 arrang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in the sub- May be shorter than that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 That i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bond strength" is defined as the peak value of the tensile strength when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sub bonding region 50 are opened in the direction of 180 degrees from the inside of the diaper, The longer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multiple embossing por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igher the bonding strength, and the shorter the bonding strength. In this case,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embossed portion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means the length of the vertical sides of the plurality of embossed portions of the diagonal lines extending when the imaginary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ulled in parallel with the side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 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information is not parallel to the high-level assumed line of the embossed portion, it means the length of each embosse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cross the expected line. For example,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sub-embossing portions 51 arrang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in the sub-bonded region 50 in the up-down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main embossing portions 41 arranged in the up- Is preferably 1% to 50%, 1% to 30%, or 1% to 15% with respect to the sum of the length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상기 (C)에 관해,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를 약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부 접합 영역(50)의 각 부 엠보싱부(51)의 깊이를 주 접합 영역(40)의 각 주 엠보싱부(41)의 깊이보다 얕게 해도 좋다. 히터 씰이나 초음파 씰에 의해 사이드 씰 부(4)를 형성함에 있어서, 히터 씰이나 초음파 씰링에 사용되는 패턴 블록의 높이는, 실제로는, 원통 연마로 불리는 가공을 실시하고, 같은 높이의 표면을 원통 표면과 같이 커브를 형성함으로써 가공된다. 따라서, 패턴 블록의 위에 배치된 엠보싱 패턴은 일단 같은 높이로 된다. 그래서 엠보싱 패턴이 동일한 높이로 가공된 후 부 접합 영역(50)의 각 부 엠보싱부(51)를 형성하는 패턴 블록을 더욱 연마하고 그 패턴 블록의 높이가 낮아 지도록 가능하면 좋다. 예를 들어, 부 엠보싱부(51)를 형성하는 패턴 블록의 높이는, 주 엠보싱부(41)를 형성하는 패턴 블록의 높이보다 3μm 이상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 엠보싱부(51)를 형성하는 패턴 블록의 높이는, 주 엠보싱부(41)를 형성하는 패턴 블록의 높이보다 3μm~100μm 또는 5μm~50μm 정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부 엠보싱부(51)를 형성하는 패턴 블록의 높이는, 주 엠보싱부(41)를 형성하는 패턴 블록을 향해 서서히 높아지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이드 씰부(4)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50)의 각 부 엠보싱부(51)의 깊이 주 접합 영역(40)의 각 주 엠보싱부(41)의 깊이보다 얕게 할 수 있다. 각 부 엠보싱부(51)의 깊이가 얕게 되면, 결과적으로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가 약하게 된다. 또한, 각 부 엠보싱부(51)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를 적절한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면 주 접합 영역(40)의 엠보싱 패턴과 부 접합 영역(50)의 엠보싱 패턴은 같은 패턴이라도 좋다.In order to set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ub-bonding region 50 to be weak, the depth of each sub-embossing portion 51 of the sub-bonding region 50 is set to be equal to the depth of each main embossing portion 40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41). In forming the side seal portion 4 by the heater seal or the ultrasonic seal, the height of the pattern block used for the heater seal or the ultrasonic sealing is actually subjected to a process called cylindrical polishing,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embossing pattern disposed on the pattern block becomes once the same heigh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tern blocks forming the sub-embossed portions 51 of the sub-bonded region 50 are further polished after the embossing pattern is processed to have the same height so that the height of the pattern blocks can be reduced.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pattern block forming the sub-embossing portion 51 is preferably 3 μm or more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pattern block forming the main embossing portion 41.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pattern block forming the sub-embossing portion 51 is preferably 3 to 100 μm or 5 to 50 μm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pattern block forming the main embossing portion 41. The height of the pattern block forming the sub embossing portion 51 may be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pattern block forming the main embossing portion 41. [ By doing so, the depth of the main embossing portions 41 of the depth main bonding region 40 of each sub-embossing portion 51 of the bonding region 50 formed in the side seal portion 4 can be made shallower. As the depth of each embossed portion 51 becomes shallow,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on-bonded region 50 is consequently weakened. By adjusting the depth of each embossing portion 51, the embossing pattern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embossing pattern 50 of the sub-bonding region 50 can be set to the appropriate range, May be the same pattern.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부 접합 영역(50)의 엠보싱 패턴에 대하여, 주 접합 영역(40)의 엠보싱 패턴과 비교한 설명을 했지만, 부 접합 영역(50)의 엠보싱 패턴과 주 접합 영역(40)의 엠보싱 패턴에는, 영역마다 다른 접합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부 접합 영역(50)의 엠보싱 패턴과 주 접합 영역(40)의 엠보싱 패턴은 접합 면적율과 엠보싱부의 상하 방향의 간격, 좌우 방향의 간격 등이 부위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이처럼 부 접합 영역(50)과 주 접합 영역(40)이 다수 종류의 접합 면적율, 엠보싱부의 상하 방향의 간격, 좌우 방향의 간격 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 부 접합 영역(50)과 주 접합 영역(40)의 비교는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여 있는 소정 부위를 잘라내어 실행하면 된다. 예를 들어, "접합 강도"의 측정 방법의 설명에서 말한 대로, 부 접합 영역(50)과 주 접합 영역(40)의 비교는,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고 있는 소정 부위 (좌우 방향:25mm × 상하 방향 : 30mm)를 잘라내어 비교하면 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embossing pattern of the sub-bonding region 50 is compared with the embossing pattern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However, the embossing pattern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may be different from the embossing pattern of the non- The embossing pattern may have a bonding strength different from region to region. For example, the embossing pattern of the non-bonding area 50 and the embossing pattern of the main bonding area 40 may differ depending on the bonding area ratio,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mbossing part, the spac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case where the non-bonding area 50 and the main bonding area 40 have many types of bonding area ratios, the vertical spacing of the embossing part, and the left and right spacing, ) Can be performed by cutting out predetermined portions neighbor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For example,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measurement method of "bonding strength ", a comparison between the non-bonding area 50 and the main bonding area 40 is made in a predetermined region neighboring in the left- : 30 mm).

또한 부 접합 영역(50)의 엠보싱 패턴은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부 엠보싱부(5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다수의 열을 이루고, 이 부 엠보싱부(51)의 다수 열이 서로 옵셋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부 엠보싱부(51)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2mm~5mm이며, 상하 방향의 길이는 0.3~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부 엠보싱부(51) 끼리의 상하방향의 간격은 5mm~50mm가 바람직한 범위이다.6, the plurality of sub-embossing portions 51 form a plurality of rows side by side at an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rows of the sub-embossing portions 51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offset from each other. The length of each embossing portion 51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preferably 2 mm to 5 mm, and the length in the up-down direction is preferably 0.3 to 5 mm.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mbossing portions 51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mm to 50 mm.

또한 부 접합 영역(50)은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의 단 테두리(4a)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 접합 영역(50) 내에 마련된 부 엠보싱부(51) 중 어느 하나가 기저귀의 단 테두리(4a)에서 5mm 이내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6은, 부 접합 영역(50)의 가장 바깥테두리와 기저귀의 양측부의 단 테두리(4a) 사이의 거리가, 부호S1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 거리S1은 5mm 이내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부 접합 영역(50)을 기저귀의 단 테두리(4a)에서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몸통 전면부 외장체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의 좌우 양단 테두리가 말려올라가 더라도 그 말림 폭을 최대 5mm 이내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 접합 영역(50)이 기저귀의 단 테두리(4a)에 달하고 있으며, 거리S1이 0mm가 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부 접합 영역(50)은 주 접합 영역(40)에 비해 접합 강도가 낮아지고 있기 때문에 기저귀 단 테두리(4a)에 부 엠보싱부(51)의 단면이 노출해도, 이 기저귀 단 테두리(4a)의 촉감이 손상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on-joined region 50 is formed at a position within 5 mm from the end edge 4a of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diaper. That is, any one of the sub-embossed portions 51 provided in the non-joined region 50 is disposed within 5 mm from the end edge 4a of the diaper. For example, Fig. 6 shows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most edge of the sub-joint region 50 and the edge 4a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diaper at S1. The distance S1 is preferably within 5 mm. By forming the non-joined region 50 at a position within 5 mm from the end edge 4a of the diaper, even i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uter body of the body front and the body of the back of the body are curled up, the curled width can be suppressed within 5 mm It is effective because it can. Furth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b-joined region 50 may reach the end edge 4a of the diaper, and the distance S1 may be 0 mm. Sinc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ub bonding area 50 is lower than that of the main bonding area 40, even if the end face of the sub embossing part 51 is exposed in the diaper edge frame 4a, The damage can be prevented.

또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 사이에는, 접합부가 없는 영역 (비 접합 영역)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서,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 사이에 존재하는 비 접합 영역의 폭은 부호S2로 나타나있다. 예를 들어, 비 접합 영역의 폭S2는 0.5mm~4mm, 또는 1mm~3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를 파기함에 있어 사이드 씰부(4)를 박리할 때, 부 접합 영역(50)을 박리하기 쉬워진다. 즉, 사이드 씰부(4)를 박리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기저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박리 해 간다. 이 때문에 우선, 주 접합 영역(40)이 박리되고, 그 후 부 접합 영역(50)이 박리된다. 여기에서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 사이에 비 접합 영역이 존재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이드 씰부(4)를 깨는 힘은 주 접합 영역(40)을 깨어 자른 후에, 이 비 접합 영역에서 더욱 기세가 붙어 그 기세 그대로 부 접합 영역(50)에 도달하여, 부 접합 영역(50)을 찢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이드 씰부(4)를 감각적으로 짖기 쉽다고 느낄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씰부(4)가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 접합 영역(50)을 갖지 않는 종래의 사이드 씰부에 비해 사이드 씰부(4) 전체 폭이 넓어 진다. 이 점, 상기와 같이 주 접합 영역(40)과 부 접합 영역(50) 사이에 비 접합 영역을 마련해 사용자에 대하여 사이드 씰부(4)를 찢기 쉽다는 느낌을 줌으로써, 부 접합 영역(50) 설치한 것에 기인하는 사이드 씰부(4)의 찢기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it is preferable that a region (non-bonding region) having no bonding portion exists between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non-bonding region 50. [ In Fig. 6, the width of the non-junction region existing between the main junction region 40 and the non-junction region 50 is represented by S2. For example, the width S2 of the non-bonding area is preferably 0.5 mm to 4 mm, or 1 mm to 3 mm, and more preferably 1.5 mm or more. By doing so, when the side seal portion 4 is peeled off in disposing the disposable diaper, it becomes easy to peel off the non-joined region 50. That is, when the side seal portion 4 is peeled off, the diaper is generally peel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refore, first,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peeled off, and then the non-bonding region 50 is peeled off. Here, since there is a non-bonding region between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non-bonding region 50, the force that the user breaks the side sealing portion 4 is generated by breaking the main bonding region 40, So that the momentum is applied to the sub-joined region 50 as it is, and the sub-joined region 50 is torn. Therefore, the user can feel that the side seal portion 4 is apt to bark sensi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de seal portion 4 has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sub bonding region 50, the total width of the side seal portion 4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ide seal portion having no sub bonding region 50 It widen. As described above, a non-bonding region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non-bonding region 50 to give the user a feeling that the side sealing portion 4 can be torn easily,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difficulty of tearing the side seal portion 4 due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2-3. 사이드 씰부의 형성 공정) (2-3. Process of forming the side seal portion)

계속해서, 도7을 참조하여,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에서 이루어지는 사이드 씰부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이드 씰부의 형성 공정은 기본적으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7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의 최종 단계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7, a process of forming the side seal por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ull-on disposable diaper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 of forming the side seal portion is basically performed at the final stag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Fig. 7 conceptually shows the flow of the final step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제조 방법에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가 좌우 방향으로 다수 나란한 기저귀 연속체(100’)를 얻을 수 있다 (스탭 S1). 기저귀 연속체(100’)는 다수의 몸통 전면부 외장체가 사이드 씰부(4)의 형성 예정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접(連接)하여 연속체(1a’)로 되고, 또한 다수의 몸통 후면부 외장체가 사이드 씰부(4)의 형성 예정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접하여 연속체(2a’)로 되고있다. 또한 기저귀 연속체(100’)는, 몸통 전면부 외장체와 연속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의 연속체(2a’)와 직교하도록 흡수성 본체(3a)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 기저귀 연속체(100’) 중 사이드 씰부(4)의 형성 예정 부위에는, 허리 신축재(20) 및 더미 신축재(21)를 외장체에 고정하기 위한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핫멜트 접착제는 기저귀 연속체(100’)의 좌우 방향 (흐름 방향)에 따라 일부 간헐적으로 도포되어 있으며, 이 간헐부(110)가 사이드 씰부(4)의 형성 예정 부위에 일치하도록 조절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씰부(4)가 형성될 예정 부위에는, 탄성신축 부재도, 이를 고정하는 핫멜트 접착제도 존재하지 않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a general manufacturing method, a diaper continuous 100 'in which a plurality of disposable diapers are arranged side by side is obtained (step S1). The diaper continuum 100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body front-face outer sheaths are continuou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t a position where the side seal portion 4 is to be formed to form a continuum 1a', and a plurality of body rear- 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t the planned formation site to form a continuum 2a '. The absorbent main body 3a is arranged so that the diaper continuum 100 'is perpendicular to the continuum body 2a' of the continuous body 1a 'and the back body external body of the body together with the body frontal external body. At this time, in the portion of the diaper continuum 100 'where the side seal portion 4 is to be formed, a hot melt adhesive for fixing the waist elastic member 20 and the dummy elastic member 21 to the external body is not coated desirable. That is, the hot-melt adhesive is partially and intermittently appli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low direction) of the diaper continuum 100 ', and the intermittent portion 110 is adjust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intended formation site of the side seal portion 4. As a result, neither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nor the hot melt adhesive for fixing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is present at a portion where the side seal portion 4 is to be formed.

이어서 기저귀 연속체(100’)는, 흡수성 본체(3a)가 배치된 가랑이 영역에서 상하 방향으로 접힌다 (스탭 S2). 이에 따라, 몸통 전면부 외장체의 연속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의 연속체(2a’)와가, 서로 겹쳐합쳐진다. 이 때, 몸통 전면부 외장체의 연속체(1a’) 측에 형성된 간헐부(110)과, 몸통 후면부 외장체(2a)' 측에 형성된 간헐부(110)의 위치는, 서로 일치한다.Subsequently, the diaper continuum 100 'is f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rotch region where the absorbent main body 3a is arranged (step S2). Thus, the continuum 1a 'of the outer body of the body front portion and the continuum 2a' of the outer body of the body rear portion overlap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intermittent portion 110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inuum body 1a 'of the trunk front face outer body and the positions of the intermittent portion 110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rear face portion external body 2a' coincide with each other.

계속하여,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가 겹쳐 합쳐진 기저귀 연속체(100’)에 대하여 사이드 씰부(4)가 형성된다(스탭S3). 사이드 씰부(4)는 별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00)로 된 때, 몸통 전면부와 몸통 후면부의 좌우 양측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씰부(4)는, 어느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우측부에 형성되는 것과, 다른 이웃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좌측부에 형성되는 것등이, 2조 나란히 한 번에 형성된다. 2조의 사이드 씰부(4)를 한 번에 형성한다 는 것은, 즉, 히터 씰이나 초음파 씰을 하는 엠보싱 롤 패턴 블록에 2조 엠보싱 패턴이 새겨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엠보싱 롤과 앤빌 롤 사이에 기저귀 연속체(100’)를 도입함으로써, 엠보싱 롤 및 앤빌 롤이 일 회전하는 것만으로, 사이드 씰부(4)가 2조 나란히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도7에서 사이드 씰부(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이드 씰부(4)에는 상술 한 바와 같이, 주 접합 영역(40)과, 이 주 접합 영역(40)보다 절단 예정선 (일점쇄선) 가까이의 위치에 마련된 부 접합 영역(50)을 가지고 있다. 도7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조의 사이드 씰부(4)는 각각의 부 접합 영역(50)이 인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부 접합 영역(50) 사이에, 기저귀 연속체(100’)의 절단 예정선 (일점쇄선)이 위치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side seal portion 4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diaper continuum 100 'in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and the back portion of the body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Step S3). The side seal portion 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body front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of the body when the disposable diaper 100 is a separate pants type. Here, as shown in Fig. 7, the side seal portion 4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any pants-type disposable diaper, and on the left side portion of another neighboring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The formation of two pairs of side seal portions 4 means that a pair of embossing patterns are engraved on the embossing roll pattern block which forms a heater seal or an ultrasonic seal. Therefore, by introducing the diaper continuing body 100 'between the embossing roll and the anvil roll, the side seal portions 4 are formed side by side by only one rotation of the embossing roll and the anvil roll.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the side seal portion 4 in Fig. 7, the side seal portions 4 are provided with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a sub-junction region 50 provided at a position near the dashed lin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7, the two sets of side seal portions 4 are formed in a state where the respective sub-junction regions 50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between the two sub-junction regions 50, the line (one-dot chain line) of the diaper continuum 100 'to be cut is located.

그후, 사이드 씰 부(4)가 형성된 기저귀 연속체(100’)를 2조의 사이드 씰부(4) 사이에 위치하는 절단 예정선 (일점쇄선)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다(스탭 S4). 즉, 기저귀 연속체(100’)는 2개의 부 접합 영역(50)의 경계면에서 절단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저귀 연속체(100’)에서 개별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00)이 분리된다. 상기 공정을 거쳐, 본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00)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after, the diaper continuing body 100 'on which the side seal portion 4 is formed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a line (one-dot chain line)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pairs of side seal portions 4 (step S4). That is, the diaper continuum 100 'is cut at the interface of the two sub-junction regions 50. Accordingly, the individual pants-type disposable diaper 100 is separated from the diaper continuum 100 '. Through the above proces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2-4. 사이드 씰부에서 다른 엠보싱 패턴) (2-4 different embossing patterns in the side seals)

다음으로, 도8 (a), 도8 (b), 도9 (a) 및 도9 (b)를 참조하여 도3 등에 나타낸 엠보싱 패턴과는 다른 패턴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8과 도9에 나타낸 엠보싱 패턴은, 도3 등의 패턴과는 달리, 부 접합 영역(50)에 형성된 다수의 부 엠보싱부(51) 중 적어도2개 이상이,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의 단 테두리(4a)에 도달한 것으로 되어있다. 이들의 도8 및 도9에 나타낸 패턴과 같이, 다수의 부 엠보싱부(51)가 몸통 전면부(1)와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의 단 테두리(4a)에 도달하여 있음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좌우 양쪽의 단 테두리(4a)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Next, patterns different from the embossing pattern shown in Fig. 3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 8 (b), 9 (a) and 9 (b). The embossing patterns shown in Figs. 8 and 9 are different from the embossing pattern shown in Fig. 3 or the like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of the plurality of embossed portions 51 formed in the sub- And the end edge 4a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ortion 2 of the body. 8 and 9, since the plurality of sub-embossed portions 51 reach the end edges 4a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the rear portion 2 of the body,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left and right end edges 4a from being open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8 (a)의 엠보싱 패턴에서는, 기저귀 연속체의 절단 예정선 (일점쇄선)을 따라, 대략 타원형의 다수의 부 엠보싱부(5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열을 지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절단 예정선을 따라 기저귀 연속체를 절단함으로써, 이 절단 예정선상의 다수의 부 엠보싱부(51)는 2개로 분단된다. 이에 따라, 각 사이드 씰부(4)의 부 접합 영역(50)에서는, 분단된 부 엠보싱부(51)가, 기저귀 좌우 양측의 단 테두리(4a)에 도달한 것으로 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embossing pattern of Fig. 8 (a), a plurality of substantially elliptical sub-embossed portions 51 are arranged along the line along which the diaper is to be cut (one-dot chain line) . Therefore, by cutting the diaper continuum along the line along which the object is intended to be cut, the plurality of sub-embossed portions 51 on the expected line to be cut are divided into two. Thus, in the sub-bonding region 50 of each side seal portion 4, the divided sub-embossing portions 51 reach the end edges 4a on both sides of the diaper.

도8 (b)에 나타난 엠보싱 패턴에서는, 부 접합 영역(50)이 단선상의 다수의 부 엠보싱부(51)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 접합 영역(50)이 절단 예정선 (일점쇄선)의 근처에 비교적 집중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절단 예정선상에도, 단선상의 다수의 부 엠보싱부(5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열을 지어 배치되어 있다. 도8 (b)에 나타난 엠보싱 패턴에서는 절단 예정선상에 배치된 부 엠보싱부(51)의 열이, 양옆의 부 엠보싱부(51)의 열 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 있다.In the embossing pattern shown in Fig. 8 (b), the sub-bonded region 50 is formed by a plurality of sub-embossed portions 51 on the single line, and the sub- And is relatively concentrated in the vicinity. Further, on the line along which the material is to be cut, a plurality of sub-embossed portions 51 are arranged in r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In the embossing pattern shown in Fig. 8 (b), the heat of the sub-embossing portion 51 arranged on the line to be cut is off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eat of the sub-embossing portions 51 on both sides.

도9 (a)의 엠보싱 패턴은 도8 (c)의 엠보싱 패턴의 변형 예이다. 도9 (a)에 나타난 엠보싱 패턴에서는 절단 예정선상에 배치된 부 엠보싱부(51)의 열 과 그 양옆에 위치하는 부 엠보싱부(51)의 열의 모두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것으로 되어있다.The embossing pattern of Fig. 9 (a) is a modification of the embossing pattern of Fig. 8 (c). In the embossing pattern shown in FIG. 9A, the rows of the sub-embossing portions 51 arranged on the line along which the material is to be cut and the rows of the sub-embossing portions 51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ow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도9 (b)에 나타낸 엠보싱 패턴에서는, 절단 예정선 (일점쇄선)을 넘도록 해서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되는 긴 선형의 다수의 부 엠보싱부(51)가 절단 예정선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긴 선형의 부 엠보싱부(51)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3mm~15mm로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mm~10mm로 되어 있다. 긴 선형의 부 엠보싱부(51)는 절단 예정선을 따라 기저귀 연속체를 절단함으로써, 2개의 부 접합 영역(50)에 속하는 것으로 분단된다. 도9 (b)에 나타낸 엠보싱 패턴에 의하면, 보다 확실하게 일회용 기저귀의 양측부 단 테두리에 말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embossing pattern shown in Fig. 9 (b), a plurality of sub-embossed portions 51 having a long linear shape and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beyond the line along which the object is intended to be cut (dashed-dotted line) are arranged in a line . The length of the long linear sub-embossing portion 51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3 mm to 15 mm, preferably 5 mm to 10 mm. The long linear sub-embossing portion 51 is divided into two sub-junction regions 50 by cutting the diaper continuum along the line to be cut. According to the embossing pattern shown in Fig. 9 (b),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curling of both side edge portions of the disposable diaper.

이상, 사이드 씰부(4)의 엠보싱 패턴에 대하여, 바람직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했다. 단, 본 발명에서 사이드 씰부(4)의 엠보싱 패턴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예에서 당업자가 자명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ssing pattern of the side seal portion 4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a preferable form as an example. However, the embossing pattern of the side seal portion 4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range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the above example.

(3. 흡수성 본체) (3. Absorbent Body)

마지막으로, 상술한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에 의해 유지되는 흡수성 본체(3a)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Finally, the structure of the absorbent main body 3a to be held by the above-described body front-side outer body 1a and the back-side body part 2a will be described.

흡수성 본체(3a)는, 몸통 전면부 외장체(1a)와 몸통 후면부 외장체(2a) 사이에 가교된 상태로 유지되고, 일회용 기저귀(100)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위치하여, 착용자가 배설한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 유지한다. 흡수성 본체(3a)는 일회용 기저귀의 가랑이부(3)를 중심으로 몸통 전면부(1) 및 몸통 후면부(2)에 걸쳐 배치된다.The absorbent main body 3a is held in a state of being bridged between the trunk front and back outer bodies 1a and 2a and is placed in the crotch part of the wearer when the disposable diaper 100 is worn, And absorbs liquid such as urine which the wearer excreted. The absorbent main body 3a is disposed over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the back body portion 2 around the crotch portion 3 of the disposable diaper.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3a)는 흡수체(31)와 톱 시트(32)와 백 시트(33)와 한 쌍의 입체 주름(34)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2, the absorbent main body 3a has a basic structure of an absorbent body 31, a top sheet 32, a back sheet 33 and a pair of three-dimensional wrinkles 34. As shown in Fig.

흡수체(31)는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하고, 흡수한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흡수체(31)는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32)와 액체 불 투과성의 백 시트(33) 사이에 배치된다. 흡수체(31)는 톱 시트(32)를 투과한 액체를 흡수하는 기능이 가지고, 흡수성 재료로 구성된다. 흡수체(31)를 구성하는 흡수성 재료에는 공지의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흡수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플랩 펄프, 고 흡수성 폴리머 또는 친수성 시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흡수성 재료에는 플랩 펄프, 고 흡수성 폴리머 또는 친수성 시트 중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흡수성 재료는 통상, 단층 또는 다층의 매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된다. 흡수체(31)의 형상은 적절하게 일회용 기저귀의 모양과 크기, 용도에 맞게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체(31)의 형상은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래 시계형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일반적인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고 있는 사각형 모양, 타원형 모양, 또는 바가지 형으로 것으로 해도 좋다.The absorber 31 is a member for absorbing liquid such as urine and holding the absorbed liquid. The absorbent body 31 is disposed between the liquid permeable top sheet 32 and the liquid impervious back sheet 33. The absorbent body 31 has a function of absorbing liquid permeated through the topsheet 32 and is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A known material can be used as the absorbent material constituting the absorbent body 31. [ As the absorbent material, for example, a flap pulp, a super absorbent polymer, or a hydrophilic sheet may be used. As the water absorbent material, one type of flap pulp, super absorbent polymer or hydrophilic sheet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 water absorbent material is usually used as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ed mat. The shape of the absorbent body 31 can be appropriately designed to suit the shape, size and application of the disposable diaper.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absorber 31 may be an hourglass shape as shown in Fig. It may also be a square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a tortuous shape used in a general disposable diaper.

톱 시트(32)는 착용자의 가랑이부의 피부에 직접 접하고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체(31)에 투과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따라서 톱 시트(32)는 유연성이 높은 액체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톱 시트(32)는 흡수체(31)의 피부 맞닿는 면 측을 피복하도록 배치된다. 톱 시트(32)를 구성하는 불 투과성 재료의 예는 직물, 부직포, 또는 다공성 필름이다. 또한, 예를 들어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폴리 에스테르, 나일론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친 수화 처리하고 또한 부직포로 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The topsheet 32 is a member for directly contacting the skin of the crotch part of the wearer and for transmitting liquid such as urine to the absorbent body 31. [ Therefore, the top sheet 32 is made of a highly flexible liquid-permeable material. In addition, the topsheet 32 is arranged to cover the skin-contacting side of the absorbent body 31. Examples of the impermeable material constituting the topsheet 32 are a 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or a porous film. Further, for example, thermoplastic resin fibers such as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ester, and nylon may be subjected to a hydrophilization treatment and a nonwoven fabric may be used.

백 시트(33)는 톱 시트(32)를 투과하고, 흡수체(31)에 흡수된 액체가 기저귀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따라서 백 시트(33)는 액체 불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다. 그리고 백 시트(33)는 흡수체(31)의 저면으로부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체(31)를 피부 비 맞닿는 면 측에서 피복한다. 백 시트(33)를 구성하는 불투명 재료의 예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액체 불 투과성 필름이다. 특히 0.1~4μm의 미세한 구멍이 다수 형성된 미세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ck sheet 33 is a member for transmitting the top sheet 32 and preventing the liquid absorbed in the absorbent body 31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diaper. Thus, the back sheet 33 is made of a liquid impermeable material. The back sheet 33 covers the absorber 31 on the skin-facing side so as to prevent leakag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bsorber 31. An example of the opaque material constituting the back sheet 33 is a liquid impermeable film made of a polyethylene resin.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a microporous polyethylene film having many fine holes of 0.1 to 4 탆.

한 쌍의 입체 주름(34)는 흡수체(31)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기립(起立)하고, 착용자가 배설한 소변의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입체 주름(34)의 각각에는, 그 선단부에, 입체 주름 신축재(35)가 배치되어 있으며, 입체 주름 신축재(35)가 수축한 때, 착용자의 피부 맞닿는 방향으로 향하여 일어 선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입체 주름(34)은 소변의 방누벽(防 漏壁)으로 되고, 톱시트(32)를 투과하지 않았던 소변이나, 흡수체(31)에 의해 흡수된 소변이, 일회용 기저귀의 다리 주위 개구부 등으로부터 누출되는 옆 누설을 방지한다. 입체 주름(34)은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입체 주름(34)은 예를 들어, 발수성 시트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입체 주름 신축재(35)를 끼워 고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발수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카드 엠보싱이나, 스펀 본드 등의 제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 시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방수성이 높은 SMS 나 SMMS 등의 부직포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체 주름 신축재(35)에는 일반적으로、실형상 탄성 고무가 사용된다. 이 같은 고무 재질로는 스틸렌계 고무, 올레핀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에스테르계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스틸렌 부타디엔,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A pair of the three-dimensional wrinkles 34 is a member for standing up along both side edges of the absorbent body 31 and preventing leaking of the urine discharged by the wearer to the side.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wrinkles 34 is provided with a three-dimensional wrinkle stretchable material 35 at the distal end thereof, and when the three-dimensional wrinkle stretchable material 35 is shrunk, it rises toward the wearer's skin. Therefore, the pair of three-dimensional corrugations 34 constitute a leakage preventing wall of the urine, and the urine which has not permeated through the topsheet 32 or the urine absorbed by the absorbing body 31, Thereby preventing side leakage that leaks from openings around the legs and the like. The three-dimensional wrinkle 34 may adopt a known configuration used in a conventional disposable diaper. The three-dimensional wrinkles 34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interposing a three-dimensional wrinkle stretchable material 35 in a stretched state between the layers of the water-repellent sheet. As the water repellent sheet, for example, a nonwoven sheet obtained by a method such as card embossing or spunbond can be used,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a nonwoven sheet such as SMS or SMMS having high water resistance. The elastic wrinkle stretch material 35 is generally made of a thread-like elastic rubber. As such a rubber material, materials such as styrene-based rubber, olefin-based rubber, urethane-based rubber, ester-based rubber, polyurethane, polyethylene, polystyrene, styrene-butadiene, silicone and polyester can be used.

본 발명은, 유아용이나 고령자용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육아 및 간병 관련 산업에 있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diaper for pants for infants and elderly person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in industry related to child care and nursing.

1 ... 몸통 전면부 1a ... 몸통 전면부 외장체
2 ... 몸통 후면부 2a ... 몸통 후면부 외장체
3 ... 가랑이부 3a ... 흡수성 본체
4 ... 사이드 씰부 4a ... 단 테두리
40 ... 주 접합 영역 40a ... 상부 접합 영역 40b ... 하부 접합 영역
41 ... 주 엠보싱부 41a ... 상부 엠보싱부 41b ... 하부 엠보싱부
50 ... 부 접합 영역 51 ... 부 엠보싱부
100 ... 일회용 기저귀 100' ... 기저귀 연속체 110 ... 간헐부
1 ... body front part 1a ... body front part external body
2 ... rear portion of the body 2a ... rear portion of the body
3 ... crotch portion 3a ... absorbent body
4 ... side seal part 4a ... end edge
40 ... main bonding region 40a ... upper bonding region 40b ... lower bonding region
41 ... main embossing portion 41a ... upper embossing portion 41b ... lower embossing portion
50 ... Sub-bonding area 51 ... Sub-
100 ... disposable diaper 100 '... diaper continuum 110 ... intermittent portion

Claims (9)

착용자의 복부에 접하는 몸통 전면부(1)와 착용자의 등부에 접하는 상기 몸통 후면부(2)와, 상기 몸통 전면부(1)와 상기 몸통 후면부(2)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3)를 가지고,
상기 몸통 전면부(1)의 좌우 양측부와 상기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부를 각각 대응시켜 겹쳐 합친 상태에서 히터 씰 또는 초음파 씰에 의해 열 융착 접합하는 한 쌍의 사이드 씰부(4)가 형성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씰부(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접합 영역(40)과,
상기 주 접합 영역(40)보다도 좌우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 접합 영역(50)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주 접합 영역(40)은 다수의 주 엠보싱부(4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엠보싱 열이 다수 열 마련됨으로써 형성된 영역이며,
상기 부 접합 영역(50)은 다수 부 엠보싱부(5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엠보싱 열이 하나 또는 다수 열 마련됨으로써 형성된 영역이며,
상기 부 접합 영역(50)의 엠보싱 패턴의 상하 방향 간격과 좌우 방향의 간격은 상기 주 접합 영역(40)의 엠보싱 패턴의 상하 방향 간격과 좌우 방향의 간격보다 넓고,
상기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상기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보다 약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A body front portion 1 abutting on a wearer's abdomen, a body back portion 2 abutting on a wearer's back portion and a crotch portion 3 positioned between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the body rear portion 2 ,
A pair of side seal portions 4 are formed in a state where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ody rear face portion 2 are overlapped and joined together by a heater seal or an ultrasonic seal In a pull-on disposable diaper,
The pair of side seal portions (4)
A main bonding region 4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50) located outside the main bonding region (40)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ain bonding region 40 is a region form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embossing lines in which a plurality of main embossing portions 41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b-joint regions 50 are regions formed by one or more rows of embossing lines in which the plurality of embossing portions 51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spacing and the horizontal spacing of the embossed pattern of the auxiliary bonded area 50 are wider than the vertical spacing and lateral spacing of the embossed pattern of the main bonded area 40,
And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ub-bonding region (50) is weaker tha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착용자의 복부에 접하는 몸통 전면부(1)와 착용자의 등부에 접하는 상기 몸통 후면부(2)와 상기 몸통 전면부(1)와 상기 몸통 후면부(2)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3)를 가지고,
상기 몸통 전면부(1)의 좌우 양측부와 상기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부를 각각 대응시켜 겹쳐 합친 상태에서 히터 씰 또는 초음파 씰에 의해 열 융착 접합하는 한 쌍의 사이드 씰부(4)가 형성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씰부(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접합 영역(40)과,
상기 주 접합 영역(40)보다도 좌우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 접합 영역(50)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부 접합 영역(50)은 다수 부 엠보싱부(5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엠보싱 열이 하나 또는 다수 열 마련됨으로써 형성된 영역이며,
상기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상기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보다 약하고,
상기 부 접합 영역(50)에 형성된 다수의 부 엠보싱부(51) 중 적어도 2개 이상은 상기 몸통 전면부(1) 와 상기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의 단 테두리(端) (4a)에 도달하고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And a crotch part (3) located between the body front part (1) and the body back part (2), the body front part (1) being in contact with the abdomen of the wearer, the body back part (2)
A pair of side seal portions 4 are formed in a state where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ody rear face portion 2 are overlapped and joined together by a heater seal or an ultrasonic seal In a pull-on disposable diaper,
The pair of side seal portions (4)
A main bonding region 4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50) located outside the main bonding region (40)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b-joint regions 50 are regions formed by one or more rows of embossing lines in which the plurality of embossing portions 51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ub-bonding region 50 is weaker tha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At least two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ub-embossments 51 formed in the sub-joint region 50 are arranged at the edges 4a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the body rear portion 2, Pants-type disposable diapers reach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상기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에 대하여, 50% 이하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ub-bonded region (50) is 50% or less with respect to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ed region (4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접합 영역(40) 및 상기 부 접합 영역(50)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고,
히터 씰 또는 초음파 씰에 의한 열 융착에 의해서만 상기 몸통 전면부(1) 와 상기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부가 접합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in bonding region 40 and the auxiliary bonding region 50 are not coated with an adhesive,
Wherei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the body rear portion (2) are joined only by heat fusion by a heater seal or an ultrasonic se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접합 영역(50)은, 다수의 부 엠보싱부(5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엠보싱 열이 다수 열 마련됨으로써 형성된 영역이며,
상기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상기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에 대하여 30% 이하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non-bonded region 50 is an area form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embossing rows in which a plurality of sub-embossing portions 51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ub-bonding region (50) is 30% or less with respect to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착용자의 복부에 접하는 몸통 전면부(1) 와 착용자의 등부에 접하는 후 몸통 후면부(2)와, 상기 몸통 전면부(1) 와 상기 몸통 후면부(2)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3)를 가지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기저귀가 좌우 방향으로 다수 연결된 상태의 기저귀 연속체를 얻는 공정과,
상기 기저귀 연속체를 상기 가랑이부(3)에서 접고, 상기 몸통 전면부(1)와 상기 몸통 후면부(2)를 겹쳐 합치는 공정과,
상기 몸통 전면부(1)의 좌우 양측부와 상기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부를 히터 씰 또는 초음파 씰에 의해 열 융착 접합하는 사이드 씰부(4)를 형성하는 접합 공정과,
상기 기저귀 연속체를 상기 몸통 전면부(1)와 상기 몸통 후면부(2)의 좌우 양측의 단 테두리 (4a)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고, 개별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얻는 절단 공정과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 공정에서 형성되는 사이드 씰부(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접합 영역(40)과,
상기 주 접합 영역(40)보다 좌우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 접합 영역(50)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부 접합 영역(50)은, 다수의 부 엠보싱부(5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엠보싱 열이, 하나 또는 다수 열 마련됨으로써 형성된 영역이며,
상기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강도는 상기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강도보다 약하며,
상기 절단 공정에서는,
2조의 부 접합 영역(50)의 경계 위치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 연속체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A rear waist region 2 abutting on the back of the wearer and a crotch region 3 loca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 and 2,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 step of obtaining a diaper continuum in which a plurality of said disposable diapers are connected in a lateral direction;
Folding the diaper continuum at the crotch part (3) and superimposing the body front part (1) and the body back part (2)
A joining step of forming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body front portion 1 and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body rear face portion 2 by heat seal bonding with a heater seal or an ultrasonic seal;
And a cutting step of cutting the diaper continuum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edges (4a) of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front face portion (1) and the body back face portion (2) to obtain the individual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In addition,
In the side seal portion 4 formed in the joining step,
A main bonding region 4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50) located outside the main bonding region (40)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b-joint region 50 is an area formed by one or more rows of embossing lines in which a plurality of sub-embossing portions 51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ub-bonding region 50 is weaker tha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ain bonding region 40,
In the cutting step,
Wherein the diaper continuum is cut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boundary position of the two sets of sub-joined regions (5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접합 영역(50)의 접합 면적은 상기 주 접합 영역(40)의 접합 면적보다 좁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junction area of said sub-junction region (50) is narrower than a junction area of said main junction region (4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접합 영역(50)의 폭(Bs)는 상기 주 접합 영역(40)의 폭(Bu)보다 좁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idth (Bs) of the auxiliary bonded area (50) is narrower than the width (Bu) of the main bonded area (4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접합 영역(50)의 각 부 엠보싱부의 깊이(51)는 상기 주 접합 영역(40)의 각 주 엠보싱부(41)보다 얕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epth (51) of each sub-embossed portion of the sub-bonded region (50) is shallower than that of each main embossed portion (41) of the main bonded region (40).
KR1020157033901A 2013-06-03 2014-01-15 Pant-type disposable di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7440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16794 2013-06-03
JP2013116794A JP5360327B1 (en) 2013-06-03 2013-06-03 Pants-type disposable dia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CT/JP2014/050498 WO2014196215A1 (en) 2013-06-03 2014-01-15 Pant-type disposable di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101A KR20160021101A (en) 2016-02-24
KR101744036B1 true KR101744036B1 (en) 2017-06-07

Family

ID=4985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901A KR101744036B1 (en) 2013-06-03 2014-01-15 Pant-type disposable di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JP (1) JP5360327B1 (en)
KR (1) KR101744036B1 (en)
CN (3) CN109528397B (en)
AU (1) AU2014276240B2 (en)
BR (1) BR112015029984A2 (en)
EA (1) EA030691B1 (en)
HK (1) HK1215528A1 (en)
MY (1) MY176170A (en)
NZ (1) NZ714235A (en)
PH (1) PH12015502609B1 (en)
SG (2) SG11201509501UA (en)
TW (1) TWI605804B (en)
WO (1) WO201419621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3331B2 (en) * 2014-02-28 2016-07-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JP5899255B2 (en) 2014-02-28 2016-04-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JP5919319B2 (en) * 2014-02-28 2016-05-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JP2018139718A (en) * 2017-02-27 2018-09-1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Disposable pants-type diaper
JP6906495B2 (en) * 2018-12-25 2021-07-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Pants type absorbent article
JP7338026B2 (en) 2021-12-27 2023-09-04 花王株式会社 Pants-type absorbent article
WO2023127768A1 (en) * 2021-12-27 2023-07-06 花王株式会社 Underwear-style absorbent art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785A (en) 2001-03-21 2002-09-24 Uni Charm Corp Underwear style disposable diaper
JP2011072577A (en) * 2009-09-30 2011-04-14 Daio Paper Corp Absorptive article
JP2012110456A (en) 2010-11-24 2012-06-14 Kao Corp Underpants type wearing article
JP2013042861A (en) * 2011-08-23 2013-03-04 Kao Corp Underpants type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2114A1 (en) 2000-06-01 2002-02-21 Sorensen Daniel J. Leak-proof intermittent ultrasonic bonds
JP4152064B2 (en) 2000-09-29 2008-09-17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4551193B2 (en) * 2004-11-19 2010-09-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disposable pants-type wearing article
JP4824452B2 (en) * 2006-03-30 2011-11-30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Method for producing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4747071B2 (en) * 2006-10-19 2011-08-10 王子ネピア株式会社 Pants-type disposable diaper
JP5342879B2 (en) * 2006-12-08 2013-11-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5074774B2 (en) * 2007-01-12 2012-1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pants-type diapers
JP5065793B2 (en) * 2007-07-31 2012-11-07 大王製紙株式会社 Pants-type disposable paper diapers
RU2472482C1 (en) * 2008-11-14 2013-01-20 Као Корпорейшн Stretchable absorbing product
JP5250406B2 (en) * 2008-12-03 2013-07-31 花王株式会社 Sheet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apparatus
MY152455A (en) * 2009-03-23 2014-09-25 Kao Corp Pull-on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785A (en) 2001-03-21 2002-09-24 Uni Charm Corp Underwear style disposable diaper
JP2011072577A (en) * 2009-09-30 2011-04-14 Daio Paper Corp Absorptive article
JP2012110456A (en) 2010-11-24 2012-06-14 Kao Corp Underpants type wearing article
JP2013042861A (en) * 2011-08-23 2013-03-04 Kao Corp Underpants type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28397A (en) 2019-03-29
MY176170A (en) 2020-07-24
EA030691B1 (en) 2018-09-28
PH12015502609A1 (en) 2016-02-29
CN109528398B (en) 2021-05-28
CN109528398A (en) 2019-03-29
HK1215528A1 (en) 2016-09-02
CN109528397B (en) 2021-05-14
NZ714235A (en) 2016-07-29
CN105324098A (en) 2016-02-10
BR112015029984A2 (en) 2017-07-25
PH12015502609B1 (en) 2016-02-29
CN105324098B (en) 2018-11-16
SG11201509501UA (en) 2015-12-30
KR20160021101A (en) 2016-02-24
WO2014196215A1 (en) 2014-12-11
EA201592116A1 (en) 2016-07-29
SG10201606752VA (en) 2016-10-28
JP2014233466A (en) 2014-12-15
AU2014276240B2 (en) 2016-11-10
AU2014276240A1 (en) 2015-12-03
JP5360327B1 (en) 2013-12-04
TWI605804B (en) 2017-11-21
TW201446223A (en)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036B1 (en) Pant-type disposable di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6659603B (en) Disposable diaper and cushioning sheet
JP5475323B2 (en) Absorbent articles
JP200203502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heet and paper diaper using the same
JP5896187B1 (en) Disposable diapers and cushion sheets
JP6111971B2 (en) Pants-type disposable diaper
JP6314822B2 (en) Disposable diapers and cushion sheets
JP5978654B2 (en) Disposable dia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diaper
JP2022066375A (en) Underpants type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underpants type absorbent article
JP2020179048A (en) Absorbent article
JP6103024B2 (en) Pants-type disposable diaper
JP6661374B2 (en) Absorbent articles
JP5849759B2 (en) Pants-type disposable diapers
JP6265110B2 (en)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957289A1 (en) Wearable article production method, wearable article, and wearable article production device
JP5429423B1 (en) Pants-type disposable diaper
EP3482730B1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ull-up absorbent article
CN113840586B (en) Underpants type disposable dia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nderpants type disposable diaper
CN113226234B (en) Composite sheet,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sheet
CN213047731U (en) Pants-type absorbent article
JP6863269B2 (en) Disposable diaper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disposable diapers
JP2015150247A (en) Disposable di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