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688B1 -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 Google Patents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688B1
KR101743688B1 KR1020150160618A KR20150160618A KR101743688B1 KR 101743688 B1 KR101743688 B1 KR 101743688B1 KR 1020150160618 A KR1020150160618 A KR 1020150160618A KR 20150160618 A KR20150160618 A KR 20150160618A KR 101743688 B1 KR101743688 B1 KR 101743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layer
repeating unit
layer
laminated film
copolym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7024A (en
Inventor
김용득
한권형
김철규
전영무
김성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688B1/en
Publication of KR20170057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0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모듈러스(Modulus)가 낮아 유연하고 신율이 높으며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파괴가 진행되지 않아 찌름 파단 강도가 높고, 이로 인해 농업용 필름으로 적합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has a low modulus, is flexible and has a high elongation.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he laminated film does not undergo destruction and has high puncture breaking strength. Suitable as a film.

Description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0001]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0002]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와 유연 소재를 활용 및 적층 구조화하여 유연성을 갖게한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러스(Modulus)가 낮아 유연하고 신율이 높으며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파괴가 진행되지 않아 찌름 파단 강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농업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유연성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 laminated film which is made flexible by utilizing polyester and a flexible material and laminated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inated polyester film which is flexible and has high elongation due to low modulus, To a polyester laminated film having a high puncture breaking strength and an agricultural film containing the same. In addition, the polyester laminated film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requiring flexibility.

농업용 필름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이 있다.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유연성, 투명성, 보온성 등이 우수한 반면, 가소제가 침출되는 현상이 있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필름의 표면이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보다 유연성은 떨어지나, 필름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고 저렴하며 내오염성과 내한성이 극히 우수하다.Representative thermoplastic resins used for agricultural films include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and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polyvinyl chloride resins. The polyvinyl chloride resin is excellent in flexibility, transparency, and warmth,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urface of the film is contaminated with time as the plasticizer leaches out. On the other hand, the polyethylene or polyolefin resin is less flexible than the polyvinyl chloride resin, but has excellent film processability, is inexpensive, and has excellent resistance to pollution and cold resistance.

이에 따라, 각 수지의 장점을 극대화시키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적층 필름이 제안되었다.Accordingly, various laminated films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maximize the advantage of each resin and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32707 호는 스펀본드 부직포, 통기성 필름 및 메쉬보강필름을 합지하여 제조된, 수분의 증발이 억제되고 강도와 공기 투과도가 우수한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0932707 discloses a film produced by mixing a spunbond nonwoven fabric, an air-permeable film and a mesh reinforcing film, which has excellent water vapor permeability and excellent strength and air permeability.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1-0107694 호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및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층을 최외층으로서 포함하는 다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107694 discloses a resin comprising a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 or an ethylene / vinyl acetate copolymer; And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n ethylene / olefin copolymer as an outermost layer.

한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열성, 기계적 강도, 투명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유연성이 낮은 편이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유연화를 위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가소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필름의 연신을 비롯한 제조 공정 중에 가소제가 용출 및 비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polyester film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mechanical strength, transparency, and chemical resistance, and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However, since the flexibility is low, a method of adding a plasticizer to the polyester resin is applied for softening the polyester film. However, in this cas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plasticizer is eluted and scatter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including the stretching of the film.

또한, 가소제를 포함하는 단층 혹은 적층 형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시 액상 또는 파우더 타입의 가소제는 단독 사용이 어려워 마스터 칩(master chip)화한 후 블렌딩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등 컴파운딩(compounding)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여야 했다. 또한,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가소제의 함량에 따른 물성 제어가 제한적이었다. 이에, 상기 가소제의 용출 및 비산을 억제하기 위해 가소제를 첨가하지 않은 표면층을 보호층으로서 형성하는 방법도 도입되었다.
Further, when producing a single-layer or multilayer polyester film containing a plasticizer, it is difficult to use a liquid or powder type plasticizer alone. Therefore, a compounding process such as a master chip and blending is required. I had to do it. In addition, the polyester film containing the plasticizer had limited physical properties control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In order to suppress elution and scattering of the plasticizer, a method of forming a surface layer not containing a plasticizer as a protective layer has also been introduc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32707 호Korean Patent No. 10-093270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1-0107694 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1-010769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 강도의 저하가 없으며 모듈러스가 낮아 향상된 유연성을 가지며 신율이 높고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파괴가 진행되지 않아 찌름 파단 강도가 높은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having high impact resistance and low modulus, high flexibility, high elongation, and no breakage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hereby having high puncture breaking strengt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제1 표면층/기재층/제2 표면층의 3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으로서,As a laminated film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of a first surface layer / a base layer / a second surface layer,

상기 제1 표면층과 제2 표면층이 각각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 및 디올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Wherein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each comprise a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containing a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and a diol repeating unit,

상기 기재층이 C2-5 알킬렌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Wherein the base layer comprises a copolymerized olefin resin comprising a C 2-5 alkylene repeating unit and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Figure 112015111556627-pat00001
Figure 11201511155662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In Formula 1,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n is an integer of 1 to 4,

R은 C1 -4 알콕시카보닐, 카복실 또는 C2 -10 알케닐이다.R is an alkenyl C 1 -4 alkoxycarbonyl, carboxyl or C 2 -10 Al.

또한, 본 발명은 제1 표면층/기재층/제2 표면층의 3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제1 표면층 및 제2 표면층은 각각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은 공중합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며, ASTM D882 측정법으로 측정시 길이 방향의 모듈러스(modulus)가 70 내지 130 kgf/㎟이고, 폭 방향의 모듈러스가 120 내지 170 kgf/㎟인,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aminated film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of a first surface layer / a base layer / a second surface layer, wherein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each comprise a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And has a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70 to 130 kgf / mm 2 and a modulus in the width direction of 120 to 170 kgf / mm 2 as measured by the ASTM D882 measurement method.

본 발명의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충격 강도의 저하가 없으며 모듈러스가 낮아 향상된 유연성을 가지며 신율이 높고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파괴가 진행되지 않아 찌름 파단 강도가 높아 농업용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유연 폴리머로서 상용되고 있는 올레핀 소재의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낮은 상용성으로 인하여 적층시 탈라미네이션(delamination) 현상을 일으키는데에 반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의 기재층에 사용되는 공중합 올레핀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적층 시 탈라미네이션 현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고온에서 열분해 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공압출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적층 안정성을 나타낸다.
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degradation in impact strength, has a low modulus, has improved flexibility, has a high elongation and is not broken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and thus has high puncture rupture strength, so that it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agricultural film. Further, in the case of an olefin material which is commonly used as a flexible polymer, a delamination phenomenon occurs in lamination due to low compatibility with a polyester resin, whereas the copolymerized olefin used in the base layer of the polyest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polyester resin and does not cause delamination phenomenon at the time of lamination and has an advantage of not being pyrolyzed at a high temperature, so that it exhibits excellent lamination stability even in the case of polyester resin and pneumatic sh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0: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11: 제1 표면층, 12: 기재층, 13: 제2 표면층).
도 2는 본 발명의 찌름 파단 강도 측정 모식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lyester laminat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polyester laminated film, 11: first surface layer, 12: base layer, 13: second surface layer).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amper fracture strength measur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제1 표면층/기재층/제2 표면층의 3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제1 표면층과 제2 표면층이 각각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 및 디올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이 C2 -5 알킬렌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inated film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of a first surface layer / a base layer / a second surface layer, wherein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each comprise a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and a diol repeating unit Wherein the base layer comprises a copolymerized olefin resin comprising a C 2 -5 alkylene repeating unit and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5111556627-pat00002
Figure 112015111556627-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In Formula 1,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n is an integer of 1 to 4,

R은 C1 -4 알콕시카보닐, 카복실 또는 C2 -10 알케닐이다.
R is an alkenyl C 1 -4 alkoxycarbonyl, carboxyl or C 2 -10 Al.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10)은 제1 표면층(11)/기재층(12)/제2 표면층(13)의 3층 구조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3층 필름은 공압출된 것일 수 있다.1, 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10 has a three-layer structure of a first surface layer 11 / a base layer 12 / a second surface layer 13, and specifically, May be coextruded.

상기 제1 표면층 및 제2 표면층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1 표면층 및 제2 표면층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제1 표면층 및 제2 표면층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85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1 표면층 및 제2 표면층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95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1 표면층 및 제2 표면층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99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include a copolymer polyester resi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include a copolymer polyester resin as a main component.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may contain 85% or more by weight of the copolymer polyester resi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may contain 95 wt% or more of a copolymer polyester resi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may contain 99 wt% or more of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올 반복단위 및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올 반복단위 및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올 반복단위 및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를 약 95 몰%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copolymer polyester resin includes a diol repeating unit and a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More specifically, the copolymer polyester resin may be composed of a diol repeating unit and a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More specifically, the copolymer polyester resin may contain about 95 mol% or more of a diol repeating unit and a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상기 디올 반복단위 및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가 에스테르 교환 반응 후, 중합되어,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형성될 수 있다.The diol repeating unit and the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may be polymerized after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to form the copolymer polyester resin.

상기 디올 반복단위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다이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1,4-cyclohexanedimethanol), 1,3-프로판디올, 1,2-옥탄디올, 1,3-옥탄디올, 2,3-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네오펜틸글리콜),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5-펜탄디올, 2,4-디에틸-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1-디메틸-1,5-펜탄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diol repeating unit include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1,4-cyclohexanedimethanol, 1,3-propanediol, 1,2-octanediol, 1,3-octane 1,3-butanediol, 1,4-butanediol, 1,5-pentanediol, 2,2-dimethyl-1,3-propanediol (neopentyl glycol) 1,3-propanediol, 2,2-diethyl-1,5-pentanediol, 2,4-diethyl-1,5-pentanediol, 3-methyl- , 1-dimethyl-1,5-pentanediol, and mixtures thereof.

상기 디올 반복단위는 에틸렌글리콜을 60 몰%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디올 반복단위는 1 내지 30 몰%의 네오펜틸글리콜 반복단위, 60 내지 98 몰%의 에틸렌글리콜 반복단위 및 0.5 내지 10 몰%의 다이에틸렌글리콜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디올 반복단위는 9 내지 30 몰%의 네오펜틸글리콜 반복단위, 69 내지 90 몰%의 에틸렌글리콜 반복단위 및 1 내지 5 몰%의 다이에틸렌글리콜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ol repeating unit may include ethylene glycol in an amount of 60 mol% or more. More specifically, the diol repeat unit may comprise from 1 to 30 mole percent neopentyl glycol repeat units, from 60 to 98 mole percent ethylene glycol repeat units, and from 0.5 to 10 mole percent diethylene glycol repeat units. More specifically, the diol repeat unit may comprise from 9 to 30 mole percent neopentyl glycol repeat units, from 69 to 90 mole percent ethylene glycol repeat units, and from 1 to 5 mole percent diethylene glycol repeat units.

또한, 상기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의 구체적인 예로는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복실산, 오르토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데칸디카복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이들의 에스테르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include arom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terephthalic acid, dimethyl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and orthophthalic aci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adipic acid, azelaic acid, sebacic acid and decanedicarboxylic acid; Alicyclic dicarboxylic acid; Esters thereof; And mixtures thereof.

상기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는 80 몰% 이상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는 80 몰% 이상의 테레프탈산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는 90 몰% 이상의 테레프탈산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는 95 몰% 이상의 테레프탈산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는 99 몰% 이상의 테레프탈산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may include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in an amount of 80 mol% or more. More specifically, the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may comprise 80 mol% or more of terephthalic acid. More specifically, the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may contain 90 mol% or more of terephthalic acid. More specifically, the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may comprise 95 mol% or more of terephthalic acid. More specifically, the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may contain 99 mol% or more of terephthalic acid.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일 수 있다. The copolymer polyester resin may be a copolymer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는 0.55 dl/g 내지 0.75 dl/g, 더 자세하게 0.6 dl/g 내지 0.7 dl/g 일 수 있다.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copolymer polyester resin may be 0.55 dl / g to 0.75 dl / g, more specifically 0.6 dl / g to 0.7 dl / g.

상기 제1 표면층과 제2 표면층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상기 기재층은 공중합 올레핀 수지를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기재층은 공중합 올레핀 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은 공중합 올레핀 수지를 85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기재층은 공중합 올레핀 수지를 95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기재층은 공중합 올레핀 수지를 99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layer comprises a copolymerized olefin resin. More specifically, the base layer contains a copolymerized olefin resin as a main component. The base layer may comprise at least 85% by weight of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More specifically, the substrate layer may comprise at least 95% by weight of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More specifically, the base layer may comprise at least 99% by weight of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상기 공중합 올레핀 수지는 C2 -5 알킬렌 반복단위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공중합 올레핀 수지는 전체적으로 C2 -5 알킬렌 반복단위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공중합 올레핀 수지는 C2 -5 알킬렌 반복단위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9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공중합 올레핀 수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includes a C 2 -5 alkylene repeating unit and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More specifically,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may consist entirely of a C 2 -5 alkylene repeating unit and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More specifically,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may contain 95 wt% or more of a C 2 -5 alkylene repeating unit and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More specifically,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may include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Figure 112015111556627-pat00003
Figure 112015111556627-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In Formula 2,

m은 2,500 내지 3,300의 정수이고,m is an integer from 2,500 to 3,300,

l은 120 내지 280의 정수이며,l is an integer from 120 to 280,

R1은 C1 -4 알콕시카보닐이다.
R 1 is C 1 -4 alkoxy-carbonyl.

상기 C2 -5 알킬렌 반복단위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가 통상적인 방법으로 중합되어, 상기 공중합 폴리올레핀 수지가 형성될 수 있다.The C 2 -5 alkylene repeating unit and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may be polymerized in a conventional manner to form the copolymer polyolefin resin.

상기 공중합 올레핀 수지는 60 내지 95 중량%의 C2 -5 알킬렌 반복단위 및 5 내지 40 중량%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공중합 올레핀 수지는 65 내지 90 중량%의 C2 -5 알킬렌 반복단위 및 10 내지 35 중량%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공중합 올레핀 수지는 70 내지 85 중량%의 C2 -5 알킬렌 반복단위 및 15 내지 30 중량%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may include 60 to 95 wt% of C 2 -5 alkylene repeating units and 5 to 40 wt% of repeating units represented by formula (1). More specifically,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may include 65 to 90 wt% of C 2 -5 alkylene repeating units and 10 to 35 wt% of repeating units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More specifically,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may include 70 to 85% by weight of C 2 -5 alkylene repeating units and 15 to 30% by weight of repeating units represented by formula (1).

상기 C2 -5 알킬렌 반복단위는, 구체적으로, 에틸렌 반복단위일 수 있다.The C 2 -5 alkylene repeating unit may specifically be an ethylene repeating unit.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구체적으로,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또는 부톡시카보닐일 수 있다.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일 수 있다.In the general formula (1), R may specifically be methoxycarbonyl, ethoxycarbonyl or butoxycarbonyl. That is,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may b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or butyl acrylate repeating unit.

상기 공중합 올레핀 수지는,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코-부틸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co-butyl acrylate))일 수 있다.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may be specifically poly (ethylene-co-butyl acrylate) (poly (ethylene-co-butyl acrylate)).

또한, 상기 공중합 올레핀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80,000 내지 120,000, 더 자세하게 90,000 내지 110,000일 수 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may be 80,000 to 120,000, more specifically 90,000 to 110,000.

상기 공중합 올레핀 수지는 유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적층 시 탈라미네이션 현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고온에서 열분해 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공중합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적층 안정성을 나타낸다.
The above-mentioned copolymerized olefin resin is not only excellent in flexibility but also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a polyester resin, does not cause delamination at the time of lamination, and is not pyrolyzed at a high temperature. Therefore, even when copolymerized with a polyester resin, .

본 발명의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제1 표면층, 기재층 및 제2 표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이들은 공압출 공정에 의해서 동시에 압출된 후 연신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surface layer, a base layer and a second surface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and they can be extruded simultaneously by a co-extrusion process and then drawn by stretching.

상기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제1 표면층, 기재층 및 제2 표면층이 1 : 1 ~ 25 : 1, 더 자세하게 1 : 1 ~ 20 : 1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may have a thickness ratio of 1: 1 to 25: 1, more specifically 1: 1 to 20: 1 in the first surface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상기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의 두께는 12 내지 150 ㎛, 더 자세하게 12 내지 50 ㎛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may be 12 to 150 mu m, more specifically 12 to 50 mu m.

본 발명의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ASTM D882 측정법으로 측정시 길이 방향의 모듈러스(modulus)가 70 내지 130 kgf/㎟이고, 폭 방향의 모듈러스가 120 내지 170 kgf/㎟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낮은 모듈러스로 인해 향상된 유연성을 가져 유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요구되는 여러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70 to 130 kgf / mm 2 and a modulus in the width direction of 120 to 170 kgf / mm 2 when measured by the ASTM D882 measurement method. 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flexibility due to its low modulus,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in which a flexible polyester film is required.

본 발명의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중합 촉매, 분산제, 블로킹 방지제, 정전인가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및 자외선 차단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층 필름의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0.0 중량%의 범위로 첨가할 수 있다.
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a known method such as a polymerization catalyst, a dispersing agent, an antiblocking agent, an electrostatic agent, an antistatic agent, an antioxidant, a heat stabilizer and a ultraviolet screening agent well known in the ar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0.001 to 1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laminated film.

본 발명의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제1 표면층/기재층/제2 표면층의 3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으로서, ASTM D882 측정법으로 측정시 길이 방향의 모듈러스(modulus)가 70 내지 130 kgf/㎟이고, 폭 방향의 모듈러스가 120 내지 170 kgf/㎟이다.
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inated film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of a first surface layer / a base layer / a second surface layer, and has a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70 to 130 kgf / mm 2 when measured by the ASTM D882 measurement method And a modulus in the width direction of 120 to 170 kgf / mm < 2 >.

본 발명에 따른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the following process.

(1) 제1 표면층 및 제2 표면층 각각을 구성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기재층을 구성하는 공중합 올레핀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수지들을 공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미연신 시트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providing a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constituting each of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and a copolymerized olefin resin constituting the base layer; (2) co-extruding the resins to produce an unoriented sheet; And (3) stretching the unstretched sheet.

먼저,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디올 반복단위와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와의 에스테르화 반응 및 고상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First, the copolymer polyester resin can be produced by an 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a diol repeating unit and a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and a solid phase polymerization proces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또한, 상기 공중합 올레핀 수지는 C2 -5 알킬렌 반복단위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와의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can be produced by a polymerization process of a C 2 -5 alkylene repeating unit and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다음으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공중합 올레핀 수지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각각 다른 층으로 공압출(용융 압출)한 후 냉각하여, 제1 표면층/기재층/제2 표면층의 순서로 적층된 3층 구조의 미연신 시트를 제조한다.Next, the copolymer polyester resin and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were co-extruded (melt-extruded) into different layer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and then cooled to obtain a three-layered laminate of the first surface layer / base layer / To produce an unstretched sheet of the structure.

구체적으로, 상기 용융 압출은 Tm+30℃ 내지 Tm+80℃의 온도에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Tm+140℃ 내지 Tm+190℃의 온도에서 공중합 올레핀 수지를 각각 다른 층으로 공압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은 30℃ 이하, 예를 들어 15 내지 3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melt extrusion can co-extrude the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at a temperature of Tm + 30 ° C to Tm + 80 ° C, and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to a different layer at a temperature of Tm + 140 ° C to Tm + 190 ° C .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oling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0 DEG C or less, for example, 15 to 30 DEG C.

이후, 상기 미연신 시트를 제1 방향, 예컨대 길이 방향(기계 방향)과 제2 방향, 예컨대 폭 방향(텐터 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방향으로 연신하고, 열고정하여 목적하는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is stretched in one or both directions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chine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the width direction (tenter direction), and is heat set to obtain the desired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Can be manufactured.

구체적으로, 상기 미연신 시트는 일축 또는 이축 연신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nstretched sheet may be uniaxially or biaxially stretched.

상기 미연신 시트는 제1 방향으로, 예컨대 길이 방향으로 1.0 내지 4.5 배 연신되고,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예컨대 폭 방향으로 1.0 내지 5.0 배 연신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미연신 시트는 제1 방향으로, 예컨대 길이 방향으로 1.0 내지 3.5 배 연신되고,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예컨대 폭 방향으로 3.0 내지 4.5 배 연신될 수 있다.The unstretched sheet may be stretched 1.0 to 4.5 times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1.0 to 5.0 times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width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unstretched sheet may be stretched 1.0 to 3.5 times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3.0 to 4.5 times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연신 온도는 Tg+5℃ 내지 Tg+80℃일 수 있으며, 더 자세하게 필름의 취성을 개선하기 위해, 연신 온도 범위가 Tg+10℃ 내지 Tg+50℃일 수 있다. 상기 Tg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 온도이다.The stretching temperature may be Tg + 5 ° C to Tg + 80 ° C.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brittleness of the film, the stretching temperature range may be Tg + 10 ° C to Tg + 50 ° C. Tg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polymer polyester.

상기 열고정을 시작한 후에 필름은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이완되며, 상기 연신된 시트는 60 내지 240 ℃, 더 자세하게 65 내지 120 ℃의 온도로 열고정될 수 있다.After initiating the heat setting, the film relaxes in the longitudinal and / or width direction and the stretched sheet can be heat set at a temperature of 60 to 240 캜, more specifically 65 to 120 캜.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충격 강도의 저하가 없으며 모듈러스가 낮아 향상된 유연성을 가지고 신율이 높으며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파괴가 진행되지 않아 찌름 파단 강도가 높은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으로서, 농업용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의 기재층에 사용되는 공중합 올레핀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적층시 탈라미네이션 현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고온에서 열분해 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공압출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적층 안정성을 나타낸다.
The thus produced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elongation at impact and a low elongation at break due to high elongation with high flexibility due to low modulus, And can be usefully used as an agricultural film.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used for the substrate layer of the above-mentioned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the polyester resin, does not cause delamination phenomenon in lamination, and ha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pyrolyzed at high temperature, Excellent lamination stability even when shipped.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실시예Example ]]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1: Production of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에스테르화 반응관을 200 ℃까지 승온한 후, 에틸렌글리콜 78 몰%, 네오펜틸글리콜 17 몰% 및 다이에틸렌글리콜 5 몰%와 테레프탈산 100 몰%를 넣고, 이들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촉매로서 아세트산 망간 0.017 중량부를 첨가한 후 교반하였다. 그 다음, 가압승온하여 게이지압 0.34 ㎫, 240 ℃의 조건에서 가압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한 후, 에스테르화 반응관을 상압으로 되돌린 다음, 인산 0.014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그 후, 15 분에 걸쳐 260 ℃로 승온하고, 안정화제로 인산트리메틸 0.012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15 분 후에 고압 분산기로 분산 처리를 행하고, 다시 15분 후, 얻어진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중축합 반응관에 이송하여, 280 ℃에서 감압 하에서 중축합 반응을 수행하였다.After the esterification reaction tube was heated to 200 ° C, 78 mol% of ethylene glycol, 17 mol% of neopentyl glycol and 5 mol% of diethylene glycol and 100 mol% of terephthalic acid were charged, 0.017 parts by weight were added and stirred. Then, the mixture was subjected to pressure elevation under the conditions of gauge pressure 0.34 MPa and 240 deg. C, the esterification reaction tube was returned to normal pressure, and 0.014 part by weight of phosphoric acid was added. Thereafter,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260 DEG C over 15 minutes, and 0.012 part by weight of trimethyl phosphate was added as a stabilizer. Subsequently, after 15 minutes, dispersion treatment was carried out with a high-pressure disperser. After 15 minutes, the obtained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was transferred to a polycondensation reaction tube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at 280 ° C under reduced pressure.

중축합 반응 종료 후, 95 % 컷 사이즈가 5 ㎛인 나슬론제 필터로 여과하여 노즐로부터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고, 사전에 여과 처리(구멍 크기: 1 ㎛ 이하)를 행한 냉각수를 사용하여 냉각, 고화시켜, 펠릿 형상으로 절단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칩을 제조하였다.
After completion of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the mixture was filtered through a nylon filter having a cut-off size of 95% at a size of 5 탆, extruded from the nozzle into a strand shape, and cooled and solidified using cooling water previously subjected to filtration treatment (pore size: And cut into pellets to produce a copolymer polyester resin chip.

실시예Example 1. One.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양쪽 표면층을 구성하고, 공중합 올레핀 수지(Lucobit사 Lucofin 1400HN)가 기재층을 구성하도록, 해당 수지 칩들을 275 ℃의 압출기를 통하여 용융 공압출한 후, 20 ℃의 캐스팅롤에서 냉각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연신 시트를 75 ℃에서 폭 방향으로 4.0 배 연신하고, 70 ℃에서 10 초간 열처리(열고정)한 후 냉각하여 두께 25 ㎛의 3층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제1 표면층 : 기재층 : 제2 표면층의 두께비 = 1 : 1 : 1)을 제조하였다.
The resin chips were melted and co-extruded through an extruder at 275 DEG C so that the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produced in Production Example 1 constituted both surface layers and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Lucofit Lucofin 1400HN) constituted the base layer, And then cooled in a casting roll at 20 DEG C to prepare an unoriented sheet. 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4.0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at 75 DEG C, heat treated (heat set) at 70 DEG C for 10 seconds, and cooled to obtain a three-layered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first surface layer: 2 surface layer thickness ratio = 1: 1: 1).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칩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유사한 공정으로 25 ㎛ 두께의 단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A single layer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 占 퐉 was prepared by a similar process to that of Example 1 using the copolymer polyester-based resin chip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 모듈러스Modulus

ASTM D882 측정법에 의해 길이 방향(기계 방향)과 폭 방향(텐터 방향) 각각의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The modulus of eac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chine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tenter direction) was measured by ASTM D882 measurement metho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충격 강도 2. Impact strength

피라미드형의 진자(면적: 30 ㎠, 무게: 400 g)를 암에 고정하고 일정 높이(최대 높이 30 cm)에서 암을 해제하여 시편(필름)을 파괴할 때 에너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A method of measuring the energy when a pyramidal pendulum (area: 30 cm 2, weight: 400 g) is fixed to an arm and the arm is released at a certain height (maximum height 30 cm) Respectively.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3. 찌름 파단 강도 3. Stubborn Breaking Strength

5 cm × 10 cm로 제단된 필름을 한쪽 방향(긴 방향)으로 5 %만큼 연신한 후, 끝이 뾰족하며 5 mm 직경의 원뿔형태의 탐침으로 찔렀을 때 파단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도 2 참조).When the film was elongated by 5% in one direction (long direction) and then pierced by a probe having a conical shape with a pointed end and a diameter of 5 mm, the degree of breakage was visually observed, (See Fig. 2).

강 : 파단이 전혀 일어나지 않음.Steel: No fracture occurs at all.

중 : 파단이 일부 일어나지만 전체적으로 찢어지지 않음.In: Some rupture occurs but not the whole.

하 : 찌르자마자 전체적으로 찢어짐.
H: As soon as it pierces, it tears as a whole.

상기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냈다.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by the above measurement method are shown in Table 1 below.

모듈러스(kgf/㎟)Modulus (kgf / ㎟) 충격강도(J)Impact strength (J) 찌름 파단강도Stubborn Breaking Strength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길이방향(MD) : 140
폭방향(TD) : 250
Longitudinal direction (MD): 140
Width direction (TD): 250
0.400.40 Ha
실시예 1Example 1 길이방향(MD) : 84
폭방향(TD) : 130
Longitudinal direction (MD): 84
Width direction (TD): 130
0.370.37 River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본 발명의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모듈러스가 둘 다 비교예 1의 필름에 비해서 현저히 낮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낮은 모듈러스로 인해 향상된 유연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비교예 1의 필름과 유사한 충격 강도를 가지면서 찌름 파단 강도가 현저히 우수하였다.As shown in Table 1, both of the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of Example 1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improved flexibility due to low modulus. In addition, the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an impact strength similar to that of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had a significantly higher puncture breaking strength.

Claims (12)

제1 표면층/기재층/제2 표면층의 3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제1 표면층과 제2 표면층이 각각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 및 디올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이 C2-5 알킬렌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표면층과 제2 표면층이 각각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총 디올 반복단위를 기준으로 1 내지 30 몰%의 네오펜틸글리콜 반복단위, 60 내지 98 몰%의 에틸렌글리콜 반복단위 및 0.5 내지 10 몰%의 다이에틸렌글리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7018318126-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R은 C1-4 알콕시카보닐, 카복실 또는 C2-10 알케닐이다.
As a laminated film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of a first surface layer / a base layer / a second surface layer,
Wherein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each comprise a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containing a di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and a diol repeating unit,
Wherein the substrate layer comprises a copolymerized olefin resin comprising a C 2-5 alkylene repeating unit and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Wherein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each comprise a copolymer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wherein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each comprise a neopentyl glycol repeating unit in an amount of 1 to 30 mol%, an ethylene glycol repeating unit in an amount of 60 to 98 mol% To 10 mol% of a diethylene glycol repeating unit:
[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7018318126-pat00004

In Formula 1,
n is an integer of 1 to 4,
R is C 1-4 alkoxycarbonyl, carboxyl or C 2-10 alkeny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C1 -4 알콕시카보닐인,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R is C 1 -4 alkoxycarbonyl is, flexible polyester laminate fil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공중합 올레핀 수지의 총 반복단위를 기준으로 60 내지 95 중량%의 C2 -5 알킬렌 반복단위 및 5 내지 40 중량%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layer comprises 60 to 95 wt% of C 2 -5 alkylene repeating units and 5 to 40 wt% of repeating units represented by formula (1) based on the total repeating units of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2 -5 알킬렌 반복단위가 에틸렌 반복단위인,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 2 -5 alkylene repeating unit is an ethylene repea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인,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is a repeating unit of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or butyl acry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올레핀 수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화학식 2]
Figure 112015111556627-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2,500 내지 3,300의 정수이고,
l은 120 내지 280의 정수이며,
R1은 C1 -4 알콕시카보닐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comprises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 EMI ID =
(2)
Figure 112015111556627-pat00005

In Formula 2,
m is an integer from 2,500 to 3,300,
l is an integer from 120 to 280,
R 1 is C 1 -4 alkoxy-carbony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올레핀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내지 120,000인,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polymerized olefin resin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80,000 to 120,0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ASTM D882 측정법으로 측정시 길이 방향의 모듈러스(modulus)가 70 내지 130 kgf/㎟이고, 폭 방향의 모듈러스가 120 내지 170 kgf/㎟인,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minated film has a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70 to 130 kgf / mm 2 and a modulu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120 to 170 kgf / mm 2 as measured by the ASTM D882 measurement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이 제1 표면층, 기재층 및 제2 표면층을 1: 1 내지 20 : 1 의 두께비로 갖는,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minated film has a first surface layer, a base layer and a second surface layer in a thickness ratio of 1: 1 to 20: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층/기재층/제2 표면층의 3층 구조가 공압출된 것인,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layer structure of the first surface layer / base layer / second surface layer is co-extruded.
제1 표면층/기재층/제2 표면층의 3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제1 표면층 및 제2 표면층은 각각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은 공중합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며,
ASTM D882 측정법으로 측정시 길이 방향의 모듈러스(modulus)가 70 내지 130 kgf/㎟이고, 폭 방향의 모듈러스가 120 내지 170 kgf/㎟이고,
상기 제1 표면층과 제2 표면층이 각각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총 디올 반복단위를 기준으로 1 내지 30 몰%의 네오펜틸글리콜 반복단위, 60 내지 98 몰%의 에틸렌글리콜 반복단위 및 0.5 내지 10 몰%의 다이에틸렌글리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유연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As a laminated film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of a first surface layer / a base layer / a second surface layer,
Wherein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each comprise a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Said base layer comprising a copolymerized olefin resin,
A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70 to 130 kgf / mm 2 and a modulus in the width direction of 120 to 170 kgf / mm 2 when measured by the ASTM D882 measurement method,
Wherein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each comprise a copolymer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wherein the first surface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each comprise a neopentyl glycol repeating unit in an amount of 1 to 30 mol%, an ethylene glycol repeating unit in an amount of 60 to 98 mol% To 10 mol% of a diethylene glycol repeating unit.
KR1020150160618A 2015-11-16 2015-11-16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KR101743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18A KR101743688B1 (en) 2015-11-16 2015-11-16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18A KR101743688B1 (en) 2015-11-16 2015-11-16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024A KR20170057024A (en) 2017-05-24
KR101743688B1 true KR101743688B1 (en) 2017-06-05

Family

ID=5905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618A KR101743688B1 (en) 2015-11-16 2015-11-16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68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024A (en)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9800C (en) Biodegradable resin film or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059390B1 (en) Multilayered aliphatic polyester film
JP2007276478A (en) Multilayer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7211368B2 (en) Copolyester film
CN114901735B (en) Biaxially stretched film
JP6320641B2 (en) Tear resistant multilayer film
KR20150077993A (en) Transparent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746170B1 (en) Protection film used in the preparation of an electrode film for a touch panel
KR101733186B1 (en) Heat-shrinkable laminated film and heat-shrinkable label using same
KR101743688B1 (en) Flexible polyester laminated film
KR101717647B1 (en) Protection film used in the preparation of an electrode film for a touch panel
EP4427938A1 (en) Multi-layer barrier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ackaging material including same
JPH09300518A (en) Laminated film and its production
KR101750920B1 (en) Laminated polyest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4386386B2 (en) Easy tear laminated polyester film
JP2009149784A (en) Film for molding
KR101717645B1 (en) Polyester film for a substrate of a touch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03080655A (en) Heat-shrinkable film
EP4427937A1 (en) Multilayered biodegradable barrier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eco-friendly packaging material comprising same
KR102670616B1 (en) Multilayer barrier film and packing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WO2005095499A1 (en) Transparent stretched films of biodegradable resins improved in gas barrier properties and resin articles
KR102625876B1 (en) Multi-layer biodegradable film, preperation method thereof, and environment-friendly packing material comprising same
JP2010270237A (en) Polyester film for molding membrane switch
KR101743703B1 (en) Easily separable heat shrinkable film
KR101769942B1 (en) White heat-shrinkable laminated film and heat-shrinkable label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