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621B1 -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621B1
KR101743621B1 KR1020150077721A KR20150077721A KR101743621B1 KR 101743621 B1 KR101743621 B1 KR 101743621B1 KR 1020150077721 A KR1020150077721 A KR 1020150077721A KR 20150077721 A KR20150077721 A KR 20150077721A KR 101743621 B1 KR101743621 B1 KR 10174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unit
test
cylind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428A (ko
Inventor
김재웅
박정인
박태오
Original Assignee
팸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팸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팸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6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모듈의 각종 테스트를 위해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카메라모듈의 성능 검사 및 분류를 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에 설치되어 회전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회전장치에 있어서, 테스트 핸들러의 일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도록 지지부 타측에 설치되고, 지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축회전을 하며, 외측면이 다면으로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설치되고 카메라모듈이 접속 고정되는 소켓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Rotation device of a test handler for camera modules}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모듈의 각종 테스트를 위해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스트 핸들러는 모든 가공공정을 마친 제품 또는 모듈(반도체칩, LED, 카메라모듈 등)에 대한 성능 검사 및 검사 결과를 토대로 양품과 불량품을 등급에 따라 분류하는 자동화 장비를 말한다.
이렇게 모든 제품은 테스트 핸들러를 이용하여 성능테스트를 진행하여 정상 제품과 불량 제품을 등급별로 분류하여 불량 제품일 경우 폐기처리하고 정상제품에 대해서만 출하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10)은 크게, 회전장치(11), 테스트장치(12), 픽업장치(13), 로딩트레이(14), 불량트레이(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10)은 카메라모듈(CM)이 로딩트레이(14)에 적재된 상태에서 픽업장치(13)을 통해 회전장치(11)로 이송되고, 상기 회전장치(11)의 주변으로 각종 센서가 설치된 테스트장치(12)가 배치된다.
이때, 카메라모듈(CM)은 로딩트레이(14)에서 회전장치(11)로 이송된 후 고정된 상태로 각 위치별 테스트장치(12)를 향해 회전장치(11)가 연속해서 회전 동작을 수행하면서 각종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각종 테스트가 완료되면 카메라모듈(CM)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여 불량일 경우 픽업장치(13)에 의해 불량트레이(15)로 이송되면서 최종적으로 정상 또는 불량 카메라모듈(CM)을 분류하는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설명한 종래의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10)의 경우 카메라모듈(CM)이 고정되는 회전장치(11)는 지면과 수직된 회전축을 갖고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턴테이블 구조로 이루어지고, 회전장치(11)를 중심으로 각 위치별로 수평 상에 테스트장치(12)가 배치됨에 따라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을 구성 설치면적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즉, 회전장치(11)는 회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회전장치(11) 주변으로 테스트장치(12)를 위치별로 배치해야 함에 따라 테스트장치(12)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면서 설치면적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면적을 최소화시킨 상태로 카메라모듈의 각종 테스트를 위해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카메라모듈의 성능 검사 및 분류를 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에 설치되어 회전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회전장치에 있어서, 테스트 핸들러의 일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도록 지지부 타측에 설치되고, 지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축회전을 하며, 외측면이 다면으로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설치되고 카메라모듈이 접속 고정되는 소켓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모터부는, 상기 지지부 일측에 설치되는 서보모터; 상기 지지부 타측에 배치된 상태로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제2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회전부의 주변에 배치되는 테스트장치를 통해 카메라모듈의 4가지 테스트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외측면이 4개의 테스트장치를 향해 사각형의 4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켓부는, 상기 회전부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카메라모듈이 삽입되어 접속되는 모듈소켓; 상기 회전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와 수직되도록 설치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1실린더 일측에 설치되고,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의 왕복운동에 의해 모듈소켓에 삽입된 카메라모듈이 접속되도록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소켓에는 카메라모듈의 삽입 배치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흡착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에는 카메라모듈과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켓부에는, 테스트장치를 통해 입력된 카메라모듈의 성능 테스트 데이터를 전달받아 카메라모듈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계측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계측부는, 회전부 일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접속보드; 상기 접속보드의 일측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소켓부와 접속되는 제2접속부재; 상기 제2접속부재가 소켓부에 접속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왕복운동하는 접속실린더; 및 상기 제2접속부재를 통해 전달된 카메라모듈의 성능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메라모듈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계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 일측에는, 카메라모듈을 모듈소켓에 흡착시키거나 제1실린더, 제2실린더의 왕복운동을 위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부는, 테스트장치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의 테스트장치가 배치된 테스트존마다 회전 동작 후 정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카메라모듈이 고정되는 회전장치를 회전축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 상태로 회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카메라모듈의 각종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장치가 회전장치의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테스트장치가 회전장치를 중심으로 수평과 수직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테스트존을 형성할 수 있어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가 설치된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하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소켓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작동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가 설치된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하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소켓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회전장치가 설치된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1)은 크게, 테스트존을 향해 회전 동작을 하는 회전장치(100), 상기 회전장치(100)의 회전반경 주변에 배치되는 테스트장치(200), 카메라모듈(CM)을 이송하기 위한 픽업장치(300), 카메라모듈(CM)이 적재되는 로딩트레이(400), 테스트가 완료되어 불량으로 판정된 불량 카메라모듈(CM)이 적재되는 불량트레이(500), 카메라모듈(CM)의 성능 테스트 데이터를 통해 불량 유부를 판단하는 계측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회전장치가 설치된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1)의 개략적인 작동 흐름에 대해 설명하면, 모든 가공공정을 마친 카메라모듈(CM)의 성능 검사 및 분류작업을 위해 카메라모듈(CM)이 로딩트레이(400)에 적재된다.
그리고 픽업장치(300)를 통해 로딩트레이(400)에 적재된 카메라모듈(CM)을 회전장치(100)로 이송한 뒤 카메라모듈(CM)을 고정시킨다.
그 다음 회전장치(100)가 각각의 테스트장치(200)를 향해 회전하고 테스트장치(200)를 통해 수집된 카메라모듈(CM)의 성능 테스트 데이터는 계측부(600)로 보내지고 기설정된 값과 비교한 후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이를 통해 정상 카메라모듈(CM)이라고 판단되면 다시 로딩트레이(400)로 보내져 적재되고, 불량 카메라모듈(CM)로 판단되면 불량트레이(500)로 이송되어 분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1)을 통해 카메라모듈(CM)의 성능 테스트 및 분류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1)에 설치된 본 발명의 회전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회전장치(100)는 크게, 지지부(110), 모터부(120), 회전부(130), 소켓부(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110)는 테스트 핸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장치(100)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지지부(110)는 테스트 핸들러에 설치 고정되는 부분과 수직상으로 배치된 부분이 하나의 몸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상으로 배치되는 부분은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1)의 구조에 따라 길이 또는 크기가 유동적으로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테스트 핸들러의 설치될 일측 부분에 대해 상측을 수직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상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길이가 조절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10)는 테스트 핸들러의 일측에 고정되되 회전장치(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그 형상은 특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모터부(12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부(120)는 후술하는 회전부(130)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부(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모터부(120)는 서보모터(121), 제1기어(122), 제2기어(123), 커버(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보모터(121)는 상기 지지부(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이때 수직되게 배치된 지지부(110)의 수직된 부분의 일측으로 수직되게 설치된다.
즉, 수직된 지지부(110)에 대해 수직된 상태로 설치되어 서보모터(121)의 회전축은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서보모터(121)의 회전축은 수직된 지지부(1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보모터(121)는 일정 각도별로 회전과 정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보모터(121)의 회전축에는 제1기어(122)가 결합된다.
상기 제1기어(122)는 지지부(110)의 타측으로 관통되어 돌출된 서보모터(121)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기어(122)가 설치되는 지지부(110)의 타측에는 제1기어(122)와 맞물리도록 제2기어(123)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기어(123)의 일측에는 원통형상으로 체결부(123a)가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기어(123)는 상기 제1기어(122)보다 직경이 크고 기어 잇수가 많게 형성하여 서보모터(121)의 회전 수에 비해 제2기어(123)의 회전 수를 적어지도록 기어비를 설정하여 감속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서보모터(121), 제1기어(122) 및 제2기어(123)를 고려하여 기어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기어(122)와 제2기어(123)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124)가 지지부(110) 타측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124)의 일측에는 상기 제2기어(123)의 체결부(123a)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124a)이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모터부(120)는 지지부(110)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어 서보모터(121)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제1기어(122)와 제2기어(123)을 거쳐 회전 수를 설정하여 최종적으로 후술하는 회전부(130)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회전부(130)는 상기 모터부(1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동작을 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부(130)는 모터부(120)의 체결부(123a)에 체결되고, 지지부(110)의 타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130)는 상기 제2기어(12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130)는 외측면이 다면으로 형성되며, 4개의 면으로 구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130)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소켓홀(13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터부(120)의 체결부(123a)에 체결되는 일측에는 체결부(123a)와 볼팅결합되기 위해 볼트홀이 형성된 체결홀(132)이 형성된다.
즉, 타공된 체결홀(132) 주변으로 복수개의 볼트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130)는 내부가 비어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130)는 서보모터(121)의 구동에 따라 지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축회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부(130)의 외측면은 다면으로 형성하고, 적어도 3개 이상의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부(130)의 외측면은 회전부(130)의 주변에 배치되는 테스트장치(200)를 통해 카메라모듈(CM)의 4가지 테스트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외측면이 4개의 테스트장치(200)를 향해 사각형의 4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 테스트장치(200)의 배치된 형태에 따라 대응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130)는 테스트장치(200)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의 테스트장치(200)가 배치된 테스트존마다 회전 동작 후 정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위치별 테스트존마다 회전부(130)가 회전 및 정지 동작은 서보모터(121)의 설정에 통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즉, 기설정된 서보모터(121)의 회전동작에 대한 설정을 통해 테스트장치(200)가 위치된 테스트존에 신속하게 도달하여 정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소켓부(140)는 카메라모듈(CM)이 접속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소켓부(140)는 회전부(13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소켓부(140)는 크게, 플레이트(141), 모듈소켓(142), 제1실린더(143), 제2실린더(144), 가압부재(145)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레이트(141)는 회전부(130)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41)는 일부가 회전부(130)의 외측면보다 일부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41) 일측에는 후술하는 계측부(600)의 제2접속부재(620)와 접속되기 위한 단자(미도시)가 형성된다.
따라서, 플레이트(141)는 테스트장치(200)의 배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회전부(130)의 외측면마다 각각 설치된다.
한편, 모듈소켓(142)은 카메라모듈(CM)이 삽입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모듈소켓(142)은 상기 플레이트(14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안쪽에는 카메라모듈(CM)이 삽입되기 위한 소켓홈(14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소켓홈(142a)은 카메라모듈(CM)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소켓(142)의 소켓홈(142a)에는 카메라모듈(CM)의 삽입 배치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흡착부(142b)가 설치된다.
상기 흡착부(142b)는 픽업장치(300)로부터 이송된 카메라모듈(CM)이 정상적으로 소켓홈(142a)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흡착부(142b)의 진공 흡착을 통해 카메라모듈(CM)의 삽입된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130)의 내부 공간에는 제1실린더(143)와 제2실린더(144)가 설치된다.
상기 제1실린더(143)와 제2실린더(144)는 후술하는 가압부재(145)를 수평축(X축), 수직축(Y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왕복운동을 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실린더(143)를 수평축(X축)으로 이동된다고 했을 때, 제2실린더(144)는 수직축(Y축)으로 정의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실린더(143)에 대해 제2실린더(144)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실린더(143)와 제2실린더(144)는 공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143)와 제2실린더(144)는 하나의 쌍을 이루어 회전부(130)의 외측면, 즉 테스트장치(200)의 배치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실린더(144) 일측에는 제1실린더(143)와 제2실린더(144)의 왕복운동에 의해 이동하는 가압부재(145)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부재(145)는 회전부(130)의 소켓홀(131) 외부에 설치되고 모듈소켓(142)에 삽입된 카메라모듈(CM)이 접속되도록 가압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145)의 하측에는 카메라모듈(CM)과 접속되는 제1접속부재(145a)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재(145)는 제1실린더(143)와 제2실린더(144)의 왕복운동에 의해 카메라모듈(CM)이 위치된 곳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후에는 카메라모듈(CM)을 가압하여 접속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모듈소켓(142)의 소켓홈(142a)에 삽입된 카메라모듈(CM)에 상기 제1접속부재(145a)가 접속되어 카메라모듈(CM)이 작동되어 테스트장치(200)를 통해 테스트가 진행된 후 수집된 데이터가 후술하는 계측부(600)로 전달되어 카메라모듈(CM)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켓부(140)에는 카메라모듈(CM)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계측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계측부(600)는 테스트장치(200)를 통해 입력된 카메라모듈(CM)의 성능 테스트 데이터를 카메라모듈(CM)로부터 접속되어 전달받아 카메라모듈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상기 계측부(600)는 크게, 접속보드(610), 제2접속부재(620), 접속실린더(630), 계측기(6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보드(610)는 서보모터(121)의 반대측 회전부(130)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접속보드(610)는 회전부(130)의 측면 면적과 대응되도록 패널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접속보드(610) 일측에는 소켓부(140)의 플레이트(141)의 단자와 접속되는 복수개의 제2접속부재(62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접속부재(620)는 플레이트(141)의 일측에 형성된 카메라모듈(CM)로부터 측정된 데이터가 전달되는 단자와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접속부재(620)는 소켓부(140), 즉 플레이트(141)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되도록 접속보드(610) 일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접속부재(620)가 설치된 접속보드(610)가 플레이트(141)의 단자와 접속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접속보드(610) 타측으로 접속실린더(630)가 설치된다.
상기 접속실린더(630)는 접속보드(610)에 대해 수직되게 설치되어 수평상에서 왕복운동을 통해 플레이트(141)의 단자와 접속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부(130)가 회전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접속실린더(630)이 작동되어 접속보드(610)의 제2접속부재(620)가 플레이트(141)와 분리된 상태로 위치되고, 회전부(130)의 회전 동작이 정지될 경우 접속실린더(630)가 작동되어 접속보드(610)는 회전부(130)의 측면으로 이동하여 제2접속부재(620)와 접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2접속부재(620)에는 포고핀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플레이트(141)의 측면과 접촉할 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모듈(CM)로부터 전달된 테스트 데이터는 플레이트(141)의 단자를 통해 제2접속부재(620)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계측부(600)에는 상기 제2접속부재(620)를 통해 전달된 카메라모듈(CM)의 성능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메라모듈(CM)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계측기(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측기(640)는 카메라모듈(CM)이 작동되어 각 테스트장치(200)를 통해 성능 테스트를 거쳐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정상 범위의 설정값과 카메라모듈(CM)로부터 수집되어 전달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카메라모듈(CM)의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계측기(640)로 보내지는 데이터는 영상, 소리 등의 카메라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카메라모듈(CM)을 모듈소켓(142)에 흡착시키거나, 제1실린더(143), 제2실린더(144)의 왕복운동을 위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110) 일측으로 에어공급부(7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공급부(700)는 외부의 공기압축기(미도시)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각 실린더로 분산시켜 공급하기 위한 분분이다.
상기 에어공급부(700)는 지지부(110) 일측, 즉 모터부(120)의 제2기어(123)이 설치되는 부분의 반대측 지지부(110)에 설치된다.
이때, 에어공급부(700)를 통해 압축된 공기가 제2기어(123)의 체결부(123a)의 관통된 홀을 통해 회전부(130) 내부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소켓부(140)의 제1실린더(143)과 제2실린더(144)로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이렇게 상기 회전장치(100)는 각 위치별 테스트장치(200)를 향해 배치되어 회전 동작 됨으로써 카메라모듈(CM)의 작동시 불량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테스트장치(200)는 카메라모듈(CM)의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위치된 테스트장치(200)는 다양한 테스트 조건을 조성하여 카메라모듈(CM)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테스트장치(200)로는, 모노크롬 상태에서 테스트를 수행하는 모노유닛(Mono unit), 컬러상태의 조건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RGB 유닛(RGB unit)이 일 수 있다.
즉, 흑백 상태 및 컬러 상태에서 카메라모듈(CM)을 작동시켜 정상적인 촬영이 이루어지는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를 통해, 카메라모듈(CM)이 실제 제품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메라모듈(CM) 내부에 이물질이 투입되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테스트장치(200)를 통해 카메라모듈(CM)의 테스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최종적인 카메라모듈(CM)의 하드웨어 설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즉, 카메라모듈(CM)의 카메라의 조리개 및 초점거리를 기설정된 설정값으로 조종하는 작업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경통을 조절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초점거리를 조정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최종적으로 초점거리 조절이 완료된 카메라의 경통을 경화시켜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의 작동상태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모든 가공공정을 마친 카메라모듈(CM)은 로딩트레이(400)이 적재된다.
그 다음 로딩트레이(400)에 적재된 카메라모듈(CM)은 픽업장치(300)를 통해 회전부(130)로 이송되고, 소켓부(140)의 각 모듈소켓(142)에 삽입되어 안착되게 된다.
그 다음 제1실린더(143)과 제2실린더(144)의 왕복운동을 통해 가압부재(145)는 카메라모듈(CM)을 가압하고 접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가압부재(145)의 제1접속부재(145a)는 카메라모듈(CM)과 접속되게 된다.
그 다음 모터부(120)의 서보모터(121)가 작동되면 회전부(130)는 각 위치별 테스트장치(200)가 배치된 방향으로 회전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4방향으로 테스트존이 형성되도록 테스트장치(200)가 배치된 상태에서는 90도 각도마다 회전부가(130)가 회전 후 정지될 수 있도록 서보모터(121)가 작동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130)가 서보모터(121)의 작동에 의해 회전 후 정지되면 각 위치별 테스트장치(200)가 작동하고 4개의 방향의 회전부(130) 외측면에 배치된 카메라모듈(CM)이 작동하여 카메라모듈(CM)의 정상 작동 여부에 대한 성능 테스트가 실시된다.
이때, 4개 방향의 테스트장치(200)는 동시에 작동하여 4가지의 테스트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회전부(130)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테스트가 진행되고 난 후 수집된 카메라모듈(CM)의 데이터는 계측부(600)로 보내져 정상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소켓부(140)의 플레이트(141)의 단자와 제2접속부재(620)가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실린더(630)가 작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모듈(CM)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는 플레이트(141)의 단자를 거쳐 제2접속부재(620)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계측기(640)로 보내지게 된다.
이렇게 계측기(640)로 보내진 수집된 데이터는 기설정된 정상 범위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카메라모듈(CM)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정상 범위를 벗어난 카메라모듈(CM)로 판단되면 픽업장치(300)를 통해 불량트레이(500)로 이송되어 적재되게 된다.
또한, 정상으로 판단된 카메라모듈(CM)은 다시 로딩트레이(400)로 이송되어 적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정상 또는 불량 카메라모듈(CM)을 분류하는 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CM)이 고정되는 회전장치(100)를 회전축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 상태로 회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카메라모듈(CM)의 각종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장치(200)가 회전장치(100)의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테스트장치(200)가 회전장치(100)를 중심으로 수평과 수직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테스트존을 형성할 수 있어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1)을 구성하기 위한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 시스템 100: 회전장치
110: 지지부 120: 모터부
121: 서보모터 122: 제1기어
123: 제2기어 123a: 체결부
124: 커버 124a: 관통홀
130: 회전부 131: 소켓홀
132: 체결홀 140: 소켓부
141: 플레이트 142: 모듈소켓
142a: 소켓홈 142b: 흡착부
143: 제1실린더 144: 제2실린더
145: 가압부재 145a: 제1접속부재
200: 테스트장치 300: 픽업장치
400: 로딩트레이 500: 불량트레이
600: 계측부 610: 접속보드
620: 제2접속부재 630: 접속실린더
640: 계측기 700: 에어공급부

Claims (10)

  1. 카메라모듈의 성능 검사 및 분류를 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에 설치되어 회전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회전장치에 있어서,
    테스트 핸들러의 일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도록 지지부 타측에 설치되고, 지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축회전을 하며, 외측면이 다면으로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설치되고 카메라모듈이 접속 고정되는 소켓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켓부는,
    상기 회전부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카메라모듈이 삽입되어 접속되는 모듈소켓;
    상기 회전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와 수직되도록 설치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 일측에 설치되고,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의 왕복운동에 의해 모듈소켓에 삽입된 카메라모듈이 접속되도록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지지부 일측에 설치되는 서보모터;
    상기 지지부 타측에 배치된 상태로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제2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부의 주변에 배치되는 테스트장치를 통해 카메라모듈의 4가지 테스트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외측면이 4개의 테스트장치를 향해 사각형의 4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소켓에는 카메라모듈의 삽입 배치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흡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에는 카메라모듈과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7. 삭제
  8. 카메라모듈의 성능 검사 및 분류를 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에 설치되어 회전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회전장치에 있어서,
    테스트 핸들러의 일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도록 지지부 타측에 설치되고, 지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축회전을 하며, 외측면이 다면으로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설치되고 카메라모듈이 접속 고정되는 소켓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켓부에는 테스트장치를 통해 입력된 카메라모듈의 성능 테스트 데이터를 전달받아 카메라모듈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계측부가 설치되며,
    상기 계측부는,
    회전부 일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접속보드;
    상기 접속보드의 일측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소켓부와 접속되는 제2접속부재;
    상기 제2접속부재가 소켓부에 접속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왕복운동하는 접속실린더; 및
    상기 제2접속부재를 통해 전달된 카메라모듈의 성능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메라모듈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계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일측에는, 카메라모듈을 모듈소켓에 흡착시키거나 제1실린더, 제2실린더의 왕복운동을 위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10.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5항, 제 6항, 제 8항,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테스트장치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의 테스트장치가 배치된 테스트존마다 회전 동작 후 정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KR1020150077721A 2015-06-02 2015-06-02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KR10174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721A KR101743621B1 (ko) 2015-06-02 2015-06-02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721A KR101743621B1 (ko) 2015-06-02 2015-06-02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428A KR20160142428A (ko) 2016-12-13
KR101743621B1 true KR101743621B1 (ko) 2017-06-07

Family

ID=5757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721A KR101743621B1 (ko) 2015-06-02 2015-06-02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471B1 (ko) * 2017-04-27 2018-08-06 (주)이즈미디어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579Y1 (ko) * 2003-07-02 2003-09-29 뉴텍코리아 주식회사 모듈 검사용 지그조립체
KR101425646B1 (ko) 2014-06-25 2014-08-05 팸텍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소켓장치
KR101464223B1 (ko) 2014-08-20 2014-11-25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579Y1 (ko) * 2003-07-02 2003-09-29 뉴텍코리아 주식회사 모듈 검사용 지그조립체
KR101425646B1 (ko) 2014-06-25 2014-08-05 팸텍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소켓장치
KR101464223B1 (ko) 2014-08-20 2014-11-25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428A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24189B (zh) 监控晶圆处理的系统及方法以及晶圆处理机
CN111257321A (zh) 线缆检测设备
CN105548775B (zh) 一种空调外机安规自动检测设备及检测方法
CN103901038A (zh) 检测系统
US7868630B2 (en) Integrated light conditioning devices on a probe card for testing imaging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CN103901044A (zh) 检测系统
KR20170070296A (ko) 카메라 모듈의 검사 장치
KR101743621B1 (ko) 카메라모듈용 테스트 핸들러의 회전장치
CN104820299A (zh) 电子部件检查装置
KR20120009835A (ko) 오링볼트 검사장치
KR100338194B1 (ko) 3차원 반도체 패키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TW201638570A (zh) 攝像模組眩光測試機台及眩光測試方法
KR200392078Y1 (ko) 다방향 동시검사 기능을 갖는 검사장치
KR20210060112A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JP3219171U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中の回路および画素の欠陥を発見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2527765B1 (ko) 탭 홀 검사 장치 및 탭 홀 검사 방법
KR102253507B1 (ko) 제품 위치 확인 장치 및 이를 갖는 제품 테스트 장치
KR101632144B1 (ko) Led 패키지 검사 장치 및 방법
CN104813172B (zh) 用于测试系统的接口
KR20060035074A (ko) 멀티 테스트가 용이한 반도체 칩 패키지 검사용 소켓
US20140132754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est Results for Components Obstructed From View
KR20150050222A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974541B1 (ko) 렌즈 검사장치
KR102151920B1 (ko) 진동요소를 분리한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JP2007315982A (ja) 測定装置および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