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011B1 - 가변형 전동차량 - Google Patents

가변형 전동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011B1
KR101743011B1 KR1020150076334A KR20150076334A KR101743011B1 KR 101743011 B1 KR101743011 B1 KR 101743011B1 KR 1020150076334 A KR1020150076334 A KR 1020150076334A KR 20150076334 A KR20150076334 A KR 20150076334A KR 101743011 B1 KR101743011 B1 KR 101743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ed
shape
storage hous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130A (ko
Inventor
권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테크
권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테크, 권은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테크
Priority to KR1020150076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01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07Automatic balancing machines with single main ground engaging wheel or coaxial wheels supporting a rider
    • B60L11/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전동차량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에 구동을 위한 휠모듈이 결합되는 메인플레이트;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 및 후단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프론트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가 그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휠모듈이 내부에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관상태에서 휠모듈이 각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어 외부에서 가해 질 수 있는 충격에 대한 보호가 가능한 바, 제품의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절감되고 보다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전동차량{Transformative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동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형에 의해 전동차량의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고, 사람이 탑승하여 움직이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물건을 옮기는 데도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전동차량에 관한 것이다.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전기를 이용한 모터구동의 차량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에 대응하여, 세그웨이(Segway)와 같이 이륜의 전기차량에 대한 수요 및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세그웨이의 경우 평행한 두 바퀴 구조로 사람이 타서 중심을 잡고 달릴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운송수단이다. 이제껏 두 바퀴 운송수단은 자전거, 오토바이 등 전,후륜의 형태로 속도로서 좌우 중심을 지탱하는 형태였다
이와 유사한 선행기술이 한국공개특허 10-2003-0082156(평행한 두 바퀴 구조의 이륜전기자동차)에서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기차량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기술에 의할 경우, 전기차량의 기본적인 골격이 고정되어 별도로 보관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보관시 외부로 노출된 주요 부품(예를 들어 모터, 배터리, 감속기, 제어부 등)이 파손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전기차량이 사람을 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될 뿐 짐을 옮기기 위한 복합적인 수단으로 활용되지 못하여 활용도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을 역시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적게 소모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전기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람이 탈 수 있는 공간에 짐을 실을 수 있도록 하여 사람 뿐만 아니라 짐을 옮길 수 있는 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가변형 전기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에 구동을 위한 휠모듈이 결합되는 메인플레이트;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 및 후단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프론트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가 그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휠모듈이 내부에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사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일단이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에 구동을 위한 휠모듈이 결합되는 메인플레이트;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 및 후단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프론트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 및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사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 백플레이트, 사이드플레이트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반으로 포개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양단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회전통공;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회전통공이 형성된 부분에 그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프레임; 일정길이를 가지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회전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프레임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들; 상기 회전프레임의 바닥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방보조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백플레이트의 바닥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후방보조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하우징은, 상기 보관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판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보관하우징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방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에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제1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보관하우징은, 상기 보관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판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보관하우징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방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에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제1안착홈;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에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제2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보관상태에서 휠모듈이 각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어 외부에서 가해 질 수 있는 충격에 대한 보호가 가능한 바, 제품의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절감되고 보다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관상태에서 메인플레이트의 상면에 다수의 가변형 전동차량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메인플레이트에 사용자가 타고 이동할 수도 있고, 짐을 싫은 상태에서 운행하는 것도 가능한 바, 가변형 전동차량의 활용범위가 넓어지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바닥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방향 전환을 위해 핸들이 조작되는 모습을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세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변형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세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변형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세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바닥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방향 전환을 위해 핸들이 조작되는 모습을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세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변형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100)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에 구동을 위한 휠모듈(120)이 결합되는 메인플레이트(110);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 및 후단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프론트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40);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110)가 그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휠모듈(120)이 내부에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하우징(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메인플레이트(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는 사람 또는 짐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고, 하면에는 상기 휠모듈(12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휠모듈(120)은 상기 가변형 전동차량(100)을 움직이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쌍의 휠(125)과 상기 휠(125)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123), 상기 구동축(123)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2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휠모듈(120)은 상기 휠(125), 구동축(123) 및 모터(121) 이외에도, 속도 조절을 위한 감속기, 차등기어 어셈블리, 배터리, 상기 모터(121)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 및 감속을 위한 브레이크 등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기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상기 가변형 전동차량(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콘트롤러는 후술할 핸들(160)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4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에서 상기 휠모듈(120)의 진행방향에 해당하는 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4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에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40)는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메인플레이트(110)를 기준으로 서로 직교하거나 평행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에 힌지결합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후술할 상대회전가능한 결합구조들은 모두 이와 같은 힌지결합구조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40)는 상기 가변형 전동차량(100)의 보관시에는(이하 '보관상태'라 칭함) 상기 휠모듈(120)을 감싸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하측면을 향해 직교하도록 설치되었다가, 상기 가변형 전동차량(100)의 운행을 위한 변형시(이하 '운행상태'라 칭함)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하여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40)에 후술할 전방보조바퀴(135) 및 후방보조바퀴(143)가 결합되어 상기 가변형 전동차량(100)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하면,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사이드플레이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50)는 보관상태에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40)와 함께 상기 휠모듈(120)을 감싸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하측면을 향해 직교하도록 설치되었다가, 운행상태에는 상기 휠(125)을 덮도록 감싸 사용자가 운행시 상기 휠(125)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50)는 일단이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151); 상기 제1플레이트(151)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153); 상기 제2플레이트(153)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플레이트(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운행상태에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휠(125)을 감싸기 위해 상기 제1플레이트(151) 및 제2플레이트(153), 제3플레이트(155)가 서로 직교하도록 회전한 뒤 고정되어, 도 1과 같은 상태가 되어 상기 휠(125)을 감싸게 된다. 즉, 상기 제1플레이트(151) 및 제3플레이트(155)가 서로 마주보고 그 사이를 상기 제2플레이트(153)가 연결하여 대략'ㄷ'자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휠(125)을 감싸기 때문에 상기 휠(125)의 회전시 외부의 장애물 및 사람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100)에 의하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의 양단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회전통공(133);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의 일면에 상기 회전통공(133)이 형성된 부분에 그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프레임(137); 일정길이를 가지는 손잡이부(160a)와 상기 손잡이부(160a)의 양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부(160b)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60b)가 상기 회전통공(133)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프레임(137)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들(160); 상기 회전프레임(137)의 바닥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방보조바퀴(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 구성은 상기 가변형 전동차량(100)의 방향전환을 위한 구성으로 상기 회전프레임(137) 핸들(160) 및 전방보조바퀴(135)의 구성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관상태의 경우에는 제거된다.
상세하게 그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에 상기 회전프레임(137)이 회전베어링(139)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상기 회전베어링(139)에의해 상기 회전프레임(137)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에 상대회전가능한 것이다.(도 2 참조)
상기 회전프레임(137)에 결합되는 핸들(1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연결부(160b)의 말단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의 회전통공(133)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프레임(137)에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방보조바퀴(135)가 상기 회전프레임(137)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통공(133)은 도1에서 보듯이 대략 반원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통공(133)을 따라 상기 핸들(160)의 연결부(160b)가 이동함으로 해서 상기 회전프레임(137)이 기 설정된 각도만큼만 회전된다.
상기 전방보조바퀴(135)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변형 전동차량(100)의 주행방향이 변환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160)을 도 3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회전프레임(137)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전방보조바퀴(135)가 회전하여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핸들(160)을 도 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역시 전방보조바퀴(13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 백플레이트(140)의 바닥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후방보조바퀴(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보조바퀴(135) 및 후방보조바퀴(143)가 각각 구비되지만, 필요에 따라 후방보조바퀴(143)는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구비될 경우 보다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관하우징(170)은, 상기 보관하우징(17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판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71); 상기 보관하우징(170)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71)의 사방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측면플레이트(173);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173)에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제1안착홈(173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보관하우징(170)은, 상기 보관하우징(17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판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71); 상기 보관하우징(170)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71)의 사방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측면플레이트(173);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173)에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제1안착홈(173a);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173)에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5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제2안착홈(17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관하우징(170)은 상기 가변형 전동차량(100)을 운행하지 않거나 보관할 때, 상기 휠모듈(1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관상태에서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10), 프론트플레이트(130), 백플레이트(140) 사이드플레이트(150) 및 상기 보관하우징(17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휠모듈(120)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관하우징(170)은 판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71)와 측면을 구성하기 위한 측면플레이트(173)로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50) 및 프론트플레이트(130), 백플레이트(14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제1안착홈(173a) 및 제2안착홈(173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안착홈(173a)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플레이트(173)의 일부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결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5에서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50)가 상기 보관하우징(170)의 측면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2안착홈(173b)이 상기 측면플레이트(173) 일측을 완전히 개구되도록 하여 형성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측면플레이트(173)에 제1안착홈(173a)과 같이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100)의 변형과정을 살펴보면, 보관상태일 경우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에 상기 보관하우징(170)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휠모듈(120)이 상기 메인플레이트(110) 및 보관하우징(170)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5의 (b)와 같이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와 상기 보관하우징(170)을 분리시키고, 도 5의 (c)와 같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40)를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와 평행하도록 회전시키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50)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151) 내지 제3플레이트(155)가 서로 직교하도록 각각 회전하여 운행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을 위한 회전플레이트 및 핸들(160), 전방보조바퀴(135) 및 후방보조바퀴(143)를 각각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도 1의 운행상태로 완성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콘트롤러를 상기 핸들(160)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가변형 전동차량(100)을 제어하여 운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변형 전동차량(100)의 경우, 보관상태에서 상기 휠모듈(120)이 내부에 위치하여 보호될 수 있어 보관시 상기 가변형 전동차량(100)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고, 다수개의 상기 가변형 전동차량(100)을 보관할 때, 적층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바,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적게 소요되고, 이동시에도 외부의 충격에 보호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에서의 운행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할 경우 메인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짐을 싣고, 상기 핸들(160)의 콘트롤러를 조작하여 이송하는 것이 가능한 바, 사람의 이동 뿐만 아니라 화물의 이송에도 활용될 수 있는 활용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2 및 제3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제2 및 제3 실시예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세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의 변형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200)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에 구동을 위한 휠모듈이 결합되는 메인플레이트(210);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210)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 및 후단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프론트플레이트(230) 및 백플레이트(240);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210)가 그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휠모듈이 내부에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하우징(2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가변형 전동차량(100)과의 차이점은 메인플레이트(210)가 휠모듈의 휠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었고, 별도의 사이드플레이트(150)의 구성이 없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메인플레이트(210)에 프론트플레이트(230) 및 백플레이트(240)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보관하우징(270)은 상기 보관하우징(27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판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271); 상기 보관하우징(270)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71)의 사방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측면플레이트(273);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273)에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30) 및 백플레이트(2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제1안착홈(273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안착홈(273a)에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30) 및 백플레이트(240)가 안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휠과 마주보는 상기 측면플레이트(273)는 직접 상기 메인플레이트(210)에 접하여 보관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관상태의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고, 상기 보관하우징(270)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210)를 분리하여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30) 및 백플레이트(240)를 각각 상기 메인플레이트(210)와 평행하도록 회전시키면 도 8의 (c)와 같은 운행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하 제3실시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전동차량(300)의 세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때 도 9의 (a)는 보관상태를 나타내고, 도 9의 (b)는 운행상태를 나타낸다.
도 9에 의한 제3실시예의 경우 보관하우징(270)이 불필요하도록 구성된다. 즉, 메인플레이트(310)의 하면에 휠모듈이 결합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310)의 각 면에 각각 프론트플레이트(330), 백플레이트(340),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350)가 결합되어 완성되는 것이다.
도 9의 (a)에서와 같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30), 백플레이트(340), 사이드플레이트가 각각 상기 휠모듈을 감싸도록 회전된 상태로 있게 되고, 도 9의 (c)에서와 같이 운행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30), 백플레이트(340), 사이드플레이트가 상기 메인플레이트(310)와 평행하도록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어 변형되는 것이다.
도 9의 (a)에서는 상기 휠(325)의 일부가 노출되는데, 이와 달리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30), 백플레이트(340), 사이드플레이트(350)의 길이를 보관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더 길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30), 백플레이트(340), 사이드플레이트(350)를 도 5의 사이드플레이트(150)와 같이 다수개의 플레이트(151, 153, 155)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서로 포개어질 수 있도록 회전시켜 운행시 다른 구조물들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면적을 줄이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제2 및 제3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핸들, 회전플레이트, 전방보조바퀴, 후방보조바퀴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가변형 전동차량 110 : 메인플레이트
120 : 휠모듈 130 : 프론트플레이트
140 : 백플레이트 150 : 사이드플레이트
160 : 핸들 170 : 보관하우징

Claims (7)

  1.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에 구동을 위한 휠모듈이 결합되는 메인플레이트;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 및 후단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프론트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가 그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휠모듈이 내부에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변형 전동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사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일단이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전동차량.
  3.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에 구동을 위한 휠모듈이 결합되는 메인플레이트;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 및 후단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프론트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 및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사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 백플레이트, 사이드플레이트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반으로 포개질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전동차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양단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회전통공;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회전통공이 형성된 부분에 그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프레임;
    일정길이를 가지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회전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프레임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들;
    상기 회전프레임의 바닥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방보조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변형 전동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바닥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후방보조바퀴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전동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하우징은,
    상기 보관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판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보관하우징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방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에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제1안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변형 전동차량.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하우징은,
    상기 보관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판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보관하우징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방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에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제1안착홈;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에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제2안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변형 전동차량.


KR1020150076334A 2015-05-29 2015-05-29 가변형 전동차량 KR101743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334A KR101743011B1 (ko) 2015-05-29 2015-05-29 가변형 전동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334A KR101743011B1 (ko) 2015-05-29 2015-05-29 가변형 전동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30A KR20160140130A (ko) 2016-12-07
KR101743011B1 true KR101743011B1 (ko) 2017-06-02

Family

ID=5757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334A KR101743011B1 (ko) 2015-05-29 2015-05-29 가변형 전동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477B1 (ko) 2021-03-24 2022-12-29 울산과학기술원 가변형 퍼스널 모빌리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96820A1 (en) 2013-09-06 2015-04-09 Jason Thomas Strack Fully self-balanced hands-free portable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96820A1 (en) 2013-09-06 2015-04-09 Jason Thomas Strack Fully self-balanced hands-free portabl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30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6106B2 (en) Versatile platform
JP6167717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00032244A (ko) 모터를 이용한 4륜 구동 및 4륜 조향 방식의 전방향성 주행로봇 시스템
US20130056287A1 (en) Three-wheeled electric vehicle
JP6531907B2 (ja) 車両後部構造
CN108340965B (zh) 一种电动车用无人驾驶线控转向机构及转向控制方法
JP2012121391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CN204714478U (zh) 一种全向移动发动机安装车
KR101743011B1 (ko) 가변형 전동차량
JP2014201296A (ja) 対象物移動装置
JP2011195057A (ja) 電気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CN109229235B (zh) 一种驱动转向单元、模块化车辆及模块化运输系统
WO2012008005A1 (ja) 倒立振子型移動体および移動ロボット
WO2019194009A1 (ja) 電動車両
WO2013022017A1 (ja) 多方向移動体モジュール
JP6481930B2 (ja) 電動車両
CN116238587A (zh) 用于车辆的转角模块装置
WO2015076209A1 (ja) 駆動転舵モジュールと、駆動転舵モジュールを備えた車両
KR102654193B1 (ko) 차량용 코너 모듈 장치
EP2881306B1 (en) Traveling vehicle
JP2014027726A (ja) 全輪モータ駆動車におけるモータ駆動装置
JP6451553B2 (ja) 産業車両
WO2019207879A1 (ja) 電動車両
JP4904600B2 (ja) 回転体付き車輪及びそれを備えた全方向移動車輌
CN105882454A (zh) 一种无转向系统电动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