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726B1 -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726B1
KR101742726B1 KR1020150125225A KR20150125225A KR101742726B1 KR 101742726 B1 KR101742726 B1 KR 101742726B1 KR 1020150125225 A KR1020150125225 A KR 1020150125225A KR 20150125225 A KR20150125225 A KR 20150125225A KR 101742726 B1 KR101742726 B1 KR 101742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te water
storage tank
treatment apparatus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528A (ko
Inventor
오희재
최동수
이수민
반효진
이주연
임윤재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샤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샤인
Priority to KR1020150125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7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폐수 처리 시설에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음폐수를 처리함에 있어 일련의 작동 상태와 이상 유무는 물론 수질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 및 감시할 수 있는 음폐수 처리 장치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식폐기물을 포함하는 원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원수로부터 음폐수와 고형분 및 유류분을 분리하는 음폐수 처리 장치;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와 연통하며 음폐수 처리 장치에 의해 분리 배출된 음폐수를 수용하는 제 1저장조; 상기 원수와 음폐수에 대하여 각각 탁도와 수온을 포함한 수질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기 위한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수집된 수질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수질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수질 상태와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를 감시 및 판단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의 처리 결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Equipment Administration System For Food Wastewater Treat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음폐수 처리 시설에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음폐수를 처리함에 있어 음폐수 처리 장치에 대한 일련의 작동 상태와 이상 유무는 물론 수질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 및 감시할 수 있는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폐수(Food wastewater)라 함은 가정, 식당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류 폐기물에 대한 전처리 과정에서 침출, 탈리되는 폐수를 의미한다.
상기 음폐수는 CODCr, BOD가 각각 평균 157,843 mg/L, 76,235 mg/L로 상당히 고농도이며. 유기물 함량은 건조 기준으로 83.7∼90.5 %로 고형물의 대부분이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음폐수의 처리 방법은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는데, 일 예로 육상 처리방법 중 해양배출의 비율이 높으며, 하수처리장과의 연계처리의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형태였다. 국내의 경우 2013년 음폐수의 해양배출이 금지되어 육상 처리의 대안으로 음폐수 에너지화 사업이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지만, 음폐수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생산을 위한 소화조 설치 또는 개선, 바이오 가스를 이용한 스팀, 전력생산 등 추가적인 시설 설치에 지자체의 재정적 부담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음폐수의 에너지화 사업시에도 혐기성 소화 후 발생되는 폐수의 처리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음폐수는 대부분이 사람이 섭취하고 남은 음식물류 폐기물에서 발생한 폐수로 BOD(Biological Oxygen Demand), COD(Chemical Oxygen Demand), SS(Suspended Solid)는 매우 높은 유기성 폐수이지만 유해 중금속은 거의 존재하지 않아서 단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유기물의 농도를 저감할 수 있는 물리적 처리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폐수의 해양배출의 금지로 인해 음폐수에 대한 육상 처리가 확대되고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다양한 음폐수 처리 시설의 기술 배갈이 이루어지고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혼합액에서 비중차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침전 및 분리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음폐수에 포함된 슬러지의 경우 음폐수와 비중 차이가 미소한 이유로 침전 방법에 의한 분리에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되며, 넓은 공간을 사용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근래 들어 음폐수에 포함된 슬러지의 분리를 위하여 중력의 수십에서 수 백배 수준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강제로 침전시키는 decanter 형태의 원심 분리기의 이용한 음폐수 처리 시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음폐수 슬러지 처리를 위한 decanter형 원심분리기는 보울 내부의 표면과 고체 입자의 마찰, 고형물의 융착 등으로 성능저하가 발생하며, 일반적인 고속 회전기기와 비교 중형, 대형 시스템으로, 고형물의 유입률에 따른 극심한 부하변동, 질량 불평형에 따른 진동의 영향으로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처럼 종래 음폐수 처리시설의 경우 반복적인 사용, 노후화 또는 대량의 음식물류 폐기물을 포함한 원수의 유입에 따른 요인으로 성능 저하 내지 과부하로 인한 고정으로 정상적인 수처리 공정을 실시할 수 없게 되어 음폐수 처리시설에서 요구하는 분리 배출 기준을 충족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음폐수 처리시설은 음폐수 처리 공정과 수처리를 통해 배출되는 음폐수의 수질 상태는 물론 처리시설 자체의 물리적 구동 상태를 관리자가 일일이 육안으로 관찰해야했기 때문에 고장에 따른 즉각적인 대처가 용이하지 않는 등, 유지 보수 및 관리 측면에서 상당히 비효율적인 운용을 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7469호(공고일 2012.12.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음폐수 처리 시설에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음폐수를 처리함에 있어 음폐수 처리 장치에 대한 일련의 작동 상태와 이상 유무는 물론 수질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은 음식폐기물을 포함하는 원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원수로부터 음폐수와 고형분 및 유류분을 분리하는 음폐수 처리 장치;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와 연통하며 음폐수 처리 장치에 의해 분리 배출된 음폐수를 수용하는 제 1저장조; 상기 원수와 음폐수에 대하여 각각 탁도와 수온을 포함한 수질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기 위한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수집된 수질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수질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수질 상태와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를 감시 및 판단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의 처리 결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센싱부는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의 각 구동 요소에 설치되어 음폐수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측정 및 수집되는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에 대한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에 의해 분리 배출된 고형분과 유류분을 각각 수용하는 제 2 저장조 및 제 3 저장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 1 저장조와 제 2 저장조 및 제 3 저장조의 수용량을 각각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 정보를 통해 상기 제 1 저장조와 제 2 저장조 및 제 3 저장조의 수용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센싱부는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의 유입측과 상기 1 저장조의 유입측에 각각 설치되는 탁도 센서 및 수온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원수 및 음폐수 각각에 대한 탁도와 수온의 기준 대상이 되는 임계값을 설정하며, 상기 탁도 센서 및 수온 센서로부터 수신된 탁도와 수온 정보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 분석하여 단계적인 경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음식폐기물을 포함한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를 구획하며 유입된 음식폐기물로부터 고형분을 걸러내고 수분을 하부로 유출시키는 복수의 섬유사로 이루어진 분리망과, 상기 분리망의 하부에서 회전 연동하는 복수의 회전축 및 각각의 회전축에 복수로 평행하게 장착되며 회전연동에 의해 일부분이 상기 분리망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고형분을 일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타원형의 회동판을 포함하는 분리모듈; 및 분리모듈로부터 고형분이 유입되고 유입된 고형분을 탈수하여 잔여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복수의 회전축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회전축에는 상기 회동판의 장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판의 장축방향이 분리망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돌출단에 의해 분리망이 상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분리모듈은, 상기 분리망의 상부에서 상기 분리망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커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팅부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서 하방향으로 복수로 돌출되며 끝단부가 상기 분리망 상부에서 회동판 간에 게재되는 커팅날로 구성되되, 인접하는 커팅부에 있어서 각 커팅날은 상호 교차되는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커팅부는 각 고정축을 중심으로 탄성 힌지 연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은 음폐수 처리 시설에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음폐수를 처리함에 있어 음폐수 처리 장치에 대한 일련의 작동 상태와 이상 유무는 물론 수질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 및 유지 보수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섬유사로 형성되는 분리망을 이용하여 원수에 포함된 음식폐기물로부터 고형분이 충분히(80%이상)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어 하수관 막힘, 하수처리장 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제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폐수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팅부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이하 '관리 시스템'이라 칭함)은 센서 네트워크 구축하여 음폐수를 처리함에 있어 일련의 작동 상태는 물론 수질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폐기물을 포함하는 원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원수로부터 음폐수와 고형분 및 유류분을 분리하는 음폐수 처리 장치(10)와,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와 연통하며 음폐수 처리 장치(10)에 의해 분리 배출된 음폐수를 수용하는 제 1 저장조(20)와, 상기 원수와 음폐수에 대하여 각각 탁도와 수온을 포함한 수질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기 위한 센싱부(30)와, 상기 센싱부(30)에서 수집된 수질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수질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수질 상태와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상태 정보를 감시 및 판단하는 관제서버(40) 및 상기 관제서버(40)의 처리 결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는 음식폐기물을 포함하는 원수(유입수)로부터 고형분과 유류분 등을 분리하고 처리된 음폐수(배출수)를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경우 공지 기술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실시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원심력을 이용한 원심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조(20)는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에 의해 고형분과 유류분 등이 분리된 음폐수를 수용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에 의해 분리 배출되는 고형분과 유류분은 각각 제 2 저장조(21)와 제 3 저장조(22)에 별도로 수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수용된 고형분과 유류분은 추후 재활용 또는 자원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싱부(30)는 복수의 센서노드를 포함하여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물리적 작동 상태는 물론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수처리 상태 등에 대한 다양한 센싱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싱부(30)로부터 수집되는 센싱 정보는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정상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센싱부(30)는 상기 관제서버(40)와 또는 상호 센서노드 간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센서 네트워크망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각의 센서노드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유,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관제서버(40) 또는 상호 센서노드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30)는 이기종의 센서노드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원활하게 상기 관제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30)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아닌 상기 관제서버(40)에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른 요청 명령에 응답 정보를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따른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시간 간격은 5초 내지 1분 사이의 시간 간격일 수 있다.
상기 관제서버(40)는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관제서버(40)의 제어신호는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모터, 펌프 및 밸브 등의 각 구동 요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40)는 상기 센싱부(30)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정보들을 입력받고 이를 통해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구동을 능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작동 상태와 수처리 상태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관제서버(40)의 처리 결과 즉,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작동 상태와 설비의 이상 유무 및 수처리 상태는 물론 상기 제 1 저장조 내지 제 3 저장조(20, 21, 22)의 수용량 등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 하도록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관제서버(40)에 의해 구현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형태로 표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센싱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센서 노드 즉 통신모듈이 구비된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각 구동 요소에 설치되어 분리설비(10)의 구동 상태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감지 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감지 센서(320)는 분리설비(10)의 구동모터에 장착되어 구동모터의 RPM(Revolution Per Minute) 및 온도를 측정하거나 구동모터의 공급 전원의 상태를 측정함은 물론, 하우징 및 베어링류 등에 장착되어 본체의 진동 등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제서버(40)는 상기 센싱부(30)로부터 측정 및 수집되는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상태 정보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의 RPM, 온도 및 전원이나, 본체 및 베어링류의 진동 내지 온도 정보 등을 입력받게 되고 기준 정상값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에 대한 물리적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센싱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유입측과 상기 1 저장조(20)의 유입측에 각각 설치되는 탁도 센서(300) 및 수온 센서(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유입측에 설치되는 탁도 센서(300) 및 수온 센서(310)는 음식폐기물을 포함한 원수의 분리 공정을 실시하기에 앞서 상기 원수에 대한 탁도와 수온 정보를 측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조(20)의 유입측에 설치되는 탁도 센서(300) 및 수온 센서(310)는 음폐수 처리 장치(10)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음폐수 즉 원수로부터 고형분이 분리된 처리수에 대한 탁도와 수온 정보를 측정하도록 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관제서버(40)에서는 상기 원수 및 음폐수 각각에 대한 탁도와 수온의 기준 대상이 되는 임계값을 설정하며, 상기 탁도 센서(300) 및 수온 센서(310)로부터 수신된 탁도와 수온 정보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 분석하여 단계적인 경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제서버(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부(400)와 설정부(410)와 비교 분석부(420) 및 경보 출력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400)는 상기 센싱부(30)에서 측정 및 수집된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410)는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구동을 설정함은 물론 상기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경보 알람을 위한 상기 임계값은 탁도의 경우 하수처리장 유입수 및 혐기성 소화조에 유입되는 1차 처리수의 수질 자료를 근거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탁도 40NTU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탁도 정보는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탁도의 값이 높을 경우 BOD값 역시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경보 알람은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음폐수의 수질 상태를 감시함과 더불어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주요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온의 경우 원수의 온도와 음폐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원수와 음폐수의 온도차가 ±5℃ 이상이면 경보 알람이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값에는 단계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각 단계별로 주의, 경보, 비상 등의 단계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교분석부(420)는 원수 및 음폐수에서 측정된 탁도와 수온을 상기 설정부(410)에서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 분석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다.
상기 경보 출력부(430)는 상기 비교 분석부(420)의 판단 결과에 따른 단계별 알람을 출력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431) 또는 경광등(432) 등을 통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제 1 저장조(20)와 제 2 저장조(21) 및 제 3 저장조(22)의 수용량을 각각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제서버(40)에서는 상기 초음파 센서(330)로부터 측정된 측정 정보를 통해 상기 제 1 저장조(20)와 제 2 저장조(21) 및 제 3 저장조(22)의 수용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초음파 센서(330)는 센서의 초음파 송신기에서 발생된 초음파가 수표면에서 반사 또는 굴절되어 나오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저장조(20, 21, 22)의 수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센서(330)는 유체 또는 액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초음파 신호에 의해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측정대상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관제서버(40)는 상기 센싱부(30)에서 송신한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구동 상태에 대한 정보와 원수 및 음폐수의 수질 정보는 물론 음폐수 처리 장치(10)에 의해 분리 배출되는 각 저장소(20, 21, 22)의 수용량 정보 등을 입력받게 되고, 이를 분석하여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종합적인 감시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 결과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GUI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관리자로 하여금 음폐수 처리 장치(10)의 실시간 상태 정보 및 수처리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폐수 처리 장치(10)는 음식폐기물을 포함한 원수로부터 고형분을 충분히 분리하여 배출토록 함으로써 환경부에서 법제화한 규정(80%이상 회수 및 20%미만 배출)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음폐수 처리 장치(10)와 연통될 수 있는 하수관거의 막힘과 더 나아가 하수처리장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음폐수 처리 장치(10)는 외부로부터 음식폐기물을 포함한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를 구획하며 유입된 음식폐기물로부터 고형분을 걸러내고 수분을 하부로 유출시키는 복수의 섬유사(121)로 이루어진 분리망(120)과, 상기 분리망(120)의 하부에서 회전 연동하는 복수의 회전축(130) 및 각각의 회전축(130)에 복수로 평행하게 장착되며 회전 연동에 의해 일부분이 상기 분리망(120)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고형분을 일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타원형의 회동판(140)을 포함하는 분리모듈(100) 및 분리모듈(100)로부터 고형분이 유입되고 유입된 고형분을 탈수하여 잔여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모듈(100)은 유입된 원수로부터 고형분이 충분히 제거(80%이상)된 처리수(음폐수)를 배출라인(l3)을 통해 제 1 저장조(20)로 유입되도록 하고, 제 1저장소(20)에 연결된 하수라인(l6)을 통해 하수로 방류토록 하는 것으로, 상기 원수로부터 고형분 함량 20% 이내로 고형분이 분리되도록 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 음폐수 처리 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 식당 및 축사 등으로부터 수거된 음식폐기물을 포함한 원수를 집수조(60)에 별도 저장하도록 하고,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유입라인(l1)을 통해 상기 분리모듈(10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모듈(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분리망(120), 회전축(130), 회동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10)은 일측 상면에 음식폐기물이 유입되는 투입구(111)와 타측에 상기 분리망(120)과 연하여 수분이 분리된 고형분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112)가 구성되며, 상기 토출구(112) 부분에는 토출구(112) 방향으로 높이가 작아지도록 경사 구배가 형성된 유도판(112)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망(120)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를 구획하도록 구성되어 그 상부에는 고형분(S)이 상기 회동판(140)에 의해 상기 토출구(112)로 유동토록 하는 것이며, 상기 분리망(120) 하부에는 수분이 낙하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망(120)은 복수의 섬유사(121)가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각각의 섬유사(121)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고장력, 고인성의 아라미드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섬유사(121)가 일방향으로 배치된 분리망(120)을 사용하는 이유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사(121) 간에는 회동판(140) 일부분이 게재된 상태로 회동판(140)이 회전하도록 하는데, 상기 섬유사(121) 간의 간극을 촘촘히 하여도 섬유사(121)가 고장력, 고인성의 재질을 가지므로 회동판(140)의 일부분이 게재된 상태로 회동판(14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수에 포함된 음식폐기물로부터 고형분을 충분히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분리망(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사(121) 간의 간극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140)이 게재된 부분의 간극(d1)보다 상기 회동판(140)이 게재되지 않은 부분의 간극(d2)이 작아지도록 하여 섬유사(121) 간의 간극을 촘촘히 함으로써 고형분이 수분과 함께 분리망(120)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최대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회동판(140)이 섬유사(121) 사이로 게재되어 회전하면서 섬유사(121) 간에 회동판(140)이 게재된 부분이 변동하더라도 회동판(140)이 게재되지 않은 섬유사(121) 간극(d2)은 계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고형분 분리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망(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섬유사(121)가 평행하게 일방향으로 배치된 섬유판(122)이 복수로 적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복수의 섬유판(122)이 적층되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고형분의 분리 효율을 높이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섬유판(122)에 있어 섬유사(121)의 간극을 촘촘히 함에 따라 회동판(140)과 접촉에 의해 일 섬유판(122)에 섬유사(121) 절단 등의 하자가 발생되더라도 타 섬유판(122)에 의해 작업의 계속적 진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130)은 상기 분리망(120) 하부에 일정 유격을 형성하며 복수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모터 등 구동원에 의해 일체로 회전 연동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 예의 회전축(130)을 도 9에서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의 회전축(130)은 상기 회동판(140)의 장축(141)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출단(132)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 예의 회전축(130)은 중심에 중심축(131)이 구성되고 중심축(131)에서 장축(141)방향으로 양측에 돌출되는 돌출단(132)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단(132)은 회동판(140)의 장축(141)방향이 분리망(120)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돌출단(132)에 의해 분리망(120)이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회동판(140)의 단축(142)방향이 분리망(120)과 평행한 위치에서 회동판(140)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일정 위치에서 상기 돌출단(132)이 분리망(120)과 접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분리망(120)을 상승시키게 되고, 상기 회동판(140)의 장축(141)방향이 분리망(120)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분리망(120)을 최고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계속 회동판(140)이 회전함에 따라 분리망(120)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분리망(120)에 진동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분리망(120)에 발생되는 진동은 원수에 포함된 음식폐기물로 전달되어 음식폐기물로부터 수분의 분리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가능한 이유도 분리망(120) 자체가 고장력, 고인성을 가진 섬유사(121)로 이루어져 탄성 복원력을 가짐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돌출단(132)이 형성된 회전축(130)은 회전축(130) 중 일부에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동력 부하 등을 방지함에 타당하다.
상기 회동판(140)은 상기 회전축(130)에 일정 유격을 형성하며 평행하게 복수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 회전축(130)에 배치됨에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판(140)의 장축(141)은 인접하는 회동판(140)의 단축(142)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도록 하여 장축(141)이 분리망(120)에 직교한 위치로 세워진 회동판(140)은 회전함에 의해 분리망(120) 상부에서 수분이 제거된 고형분을 상기 토출구(112) 방향으로 유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장축(141)이 분리망(120)에 평행한 위치로 뉘워진 회동판(140)은 회전함에 의해 분리망(120)에 있어 섬유사(121) 간극에 침적된 고형분을 분리망(120) 상부로 토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고형분에 있어 덩어리가 큰 경우에는 내부의 수분이 분리되기가 용이하지 않고 이렇게 함유된 수분은 후단에서의 탈수모듈(200)에 부하를 유발하여 기기고정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형분의 덩어리가 커지는 것을 제어하고 수분 분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망(120) 상부에서 상기 분리망(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커팅부(150)가 형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커팅부(150)는 상기 하우징(110)에 체결되는 고정축(151)과 상기 고정축(151)에서 하방향으로 복수로 돌출되며 끝단부가 상기 분리망(120) 상부에서 회동판(140) 간에 게재가 되는 커팅날(15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151)은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면에 체결되어 분리망(120)과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축(151)에는 복수의 커팅날(152)이 구성되되 상기 커팅날(152)은 각각의 끝단부가 상기 분리망(120) 상부에서 상기 회동판(140) 간에 게재되도록 하여, 도 7에서와 같이 회동판(140)이 회전함에 따라 회동판(140)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유동하는 고형분이 상기 커팅날(152)에 의해 절단되거나 타격되도록 하는 것이다.
절단에 의해 덩어리가 큰 고형분이 절단되어 수분 제거 효율을 높이는 것이며 고형분이 타격되도록 함으로써 이 또한 수분 제거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커팅부(150)가 고형분의 토출구(112) 방향의 유동을 방해하여 토출구(112) 반대 방향에서 고형분이 침적되는 경우는 오히려 고형분에 대한 분리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며 기기고장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고형분의 토출구(112) 방향으로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커팅부(150)에 있어서 각 커팅날(152)은 상호 교차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고정축(151)에서 각각의 커팅날(152)을 배치함에 있어 일 고정축(151)의 커팅날(152)과 타 고정축(151)의 커팅날(152)이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분리망(120)의 일부분에서 고형물의 침적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각 커팅부(150)는 각 고정축(151)을 중심으로 탄성 힌지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커팅날(152)이 토출구(112) 방향으로만 힌지 연동이 되도록 하고 힌지 연동 후에는 원위치로 복원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커팅날(152)을 고정단으로 구성하는 경우 고형분의 경도가 있으면 고형분은 절단되지 않고 커팅날(152)에 밀려 고형분의 유동 방해 및 역방향에서 고형분 침적 등의 문제가 있어 회동판(140)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는 고형분이 커팅날(152)에 타격되는 경우 어느 정도의 미는 힘이 작용한 후에는 커팅날(152)이 상기 고정축(151)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힌지 연동이 되도록 하여 고형분이 계속적으로 토출구(112) 방향으로 유동토록 하고 커팅날(152)은 다시 원상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분리모듈(100)을 거쳐 수분이 제거된 고형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형분유입라인(l2)을 통해 탈수모듈(200)로 유입된다.
상기 탈수모듈(200)에서는 유입된 고형분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고형분을 케익화 시켜 케익배출라인(l4)을 통해 외부 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로 구비되는 제 2 저장조(21)로 배출토록 하는 것이며, 배출된 케익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재활용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탈수된 수분은 순환라인(l5)을 통해 배출라인(l3)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저장조(2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탈수모듈(200)은 다양한 공지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음폐수 처리 장치 20 : 제 1 저장조
21 : 제 2 저장조 22 : 제 3 저장조
30 : 센싱부 40 : 관제서버
50 : 디스플레이부
100 : 분리모듈 200 : 탈수모듈

Claims (8)

  1. 음식폐기물을 포함하는 원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원수로부터 음폐수와 고형분 및 유류분을 분리하는 음폐수 처리 장치;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와 연통하며 음폐수 처리 장치에 의해 분리 배출된 음폐수를 수용하는 제 1저장조;
    상기 원수와 음폐수에 대하여 각각 탁도와 수온을 포함한 수질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기 위한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수집된 수질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수질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수질 상태와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를 감시 및 판단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의 처리 결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음식폐기물을 포함한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며 유입된 음식폐기물로부터 고형분을 걸러내고 수분을 하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섬유사가 상호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분리망과, 상기 분리망의 하부에서 회전 연동하는 복수의 회전축 및 각각의 회전축에 복수로 평행하게 장착되며 회전연동에 의해 일부분이 상기 분리망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섬유사 사이에 게재되도록 하여 고형분을 일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타원형의 회동판을 포함하는 분리모듈; 및
    상기 분리모듈로부터 고형분이 유입되고 유입된 고형분을 탈수하여 잔여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전축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회전축에는 상기 회동판의 장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판의 장축방향이 분리망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돌출단에 의해 분리망이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의 각 구동 요소에 설치되어 음폐수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측정 및 수집되는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에 대한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에 의해 분리 배출된 고형분과 유류분을 각각 수용하는 제 2 저장조 및 제 3 저장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 1 저장조와 제 2 저장조 및 제 3 저장조의 수용량을 각각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 정보를 통해 상기 제 1 저장조와 제 2 저장조 및 제 3 저장조의 수용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음폐수 처리 장치의 유입측과 상기 1 저장조의 유입측에 각각 설치되는 탁도 센서 및 수온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원수 및 음폐수 각각에 대한 탁도와 수온의 기준 대상이 되는 임계값을 설정하며, 상기 탁도 센서 및 수온 센서로부터 수신된 탁도와 수온 정보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 분석하여 단계적인 경보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모듈은,
    상기 분리망의 상부에서 상기 분리망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커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팅부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서 하방향으로 복수로 돌출되며 끝단부가 상기 분리망 상부에서 회동판 간에 게재되는 커팅날로 구성되되,
    인접하는 커팅부에 있어서 각 커팅날은 상호 교차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각 고정축을 중심으로 탄성 힌지연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
KR1020150125225A 2015-09-04 2015-09-04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 KR101742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225A KR101742726B1 (ko) 2015-09-04 2015-09-04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225A KR101742726B1 (ko) 2015-09-04 2015-09-04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528A KR20170028528A (ko) 2017-03-14
KR101742726B1 true KR101742726B1 (ko) 2017-06-01

Family

ID=5845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225A KR101742726B1 (ko) 2015-09-04 2015-09-04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7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949B1 (ko) * 2018-11-23 2019-08-12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음폐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972B1 (ko) * 2005-06-30 2006-11-27 김위성 유기물질 회수장치
KR101494177B1 (ko) * 2013-08-23 2015-02-24 한국지역난방공사 매립가스 발생량 향상을 위한 음폐수 전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469B1 (ko) 2010-11-26 2012-12-13 (주)케이비시스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972B1 (ko) * 2005-06-30 2006-11-27 김위성 유기물질 회수장치
KR101494177B1 (ko) * 2013-08-23 2015-02-24 한국지역난방공사 매립가스 발생량 향상을 위한 음폐수 전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949B1 (ko) * 2018-11-23 2019-08-12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음폐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528A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4982B2 (en) Recovery device and recovery method for recovering specific material from sludge
CN205091589U (zh) 污水处理监控系统
CN103984320B (zh) 一种基于物联网的企业雨水排放口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KR100792030B1 (ko) 고형물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처리 수질의 원격 감시 시스템을 포함하는 오ㆍ폐수 처리 설비
CN101551652A (zh) 远程监视控制系统
Kumar et al. Internet of things for secure surveillance for sewage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KR101294338B1 (ko) 초기우수처리 장치 및 초기우수처리 관리시스템
KR101742726B1 (ko) 음폐수 처리 시설의 usn 현장 장비 관리 시스템
CN108706649A (zh) 污水处理数据采集传输系统
CN109269576A (zh) 一种用于石油化工企业污水排放检测实现方法
CN107132324A (zh) 抽样式污水监控分析系统及方法
Cicceri et al. A novel architecture for the smart managemen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CN107244711B (zh) 一种油水分离监控系统
US20130105370A1 (en) Construction de-watering high-volume, multi-separation system and method
Caliskaner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first full‐scale primary filtration using a fine pore cloth media disk filter
CN113092175A (zh) 一种基于阀控系统的污水取样装置
KR101797142B1 (ko) 수요 및 공급의 불균형을 대비한 선제적 다중수원 수운영 시스템
CN108120815B (zh) 一种企业污水排放物联网管理系统
KR200295999Y1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KR20040021732A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KR100490854B1 (ko) 슬러지 수집기의 운전 제어 시스템
Horenstein et al. Successful dewatering experience at hyperion wastewater treatment plant
CN210313784U (zh) 一种智慧污水处理用综合管理系统
Tillman Primary treatment at wastewater treatment plants
CN219363279U (zh) 一种基于水污染处理设计的分类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