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429B1 - 진동자극기 - Google Patents

진동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429B1
KR101742429B1 KR1020160034056A KR20160034056A KR101742429B1 KR 101742429 B1 KR101742429 B1 KR 101742429B1 KR 1020160034056 A KR1020160034056 A KR 1020160034056A KR 20160034056 A KR20160034056 A KR 20160034056A KR 101742429 B1 KR101742429 B1 KR 101742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air
ropes
main body
vibr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석
임재관
구익모
전주희
김낙현
김낙환
김승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00Freely-suspended gymnastic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A61H2023/0281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multiple masses driven by the same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8Interfaces to the user freely programmable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 A61H2203/0487Hanging upr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는, 천장에 매달린 한 쌍의 로프 사이에 연결되어, 한 쌍의 로프로 진동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로프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지지부; 한 쌍의 결합부재를 연결하는 진동전달부; 및 진동전달부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진동모듈을 포함하고, 진동모듈은 진동전달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한 쌍의 로프 중 인접하게 위치된 로프로 편중하여 진동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진동자극기{Vibration Stimu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진동자극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슬링운동용 로프에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을 제공하여, 슬링운동치료를 받는 사람에게 다양한 방향으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진동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슬링운동치료(Sling Exerxise Therapy)는 노르웨이에서 개발되어 전 세계에 보급되고 있는 재활, 운동치료 기구로 중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근육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이 쉽고 정확하게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슬링운동치료는 천장에 매달린 줄과 밴드 등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으로 몸에 가해지는 중력의 힘을 덜어주어 관절이나 근조직에 무리가 가지 않아 환자 스스로 운동하기 쉬우며 개개인의 증상에 맞춰 각기 다른 운동방법을 함으로써 맞춤 치료를 할 수 있다.
슬링운동치료를 위해, 환자가 소량의 힘을 가지고도 용이하게 자발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탄성고무밴드, 풀리(pully)와 평형추를 갖는 서스펜션(suspension) 및 환자 신체 특정 부분의 무게를 상쇄시켜 주는 미끄러운 표면체가 사용된다(브이. 엘. 나이딘, "운동장애가 있는 신경외과 환자의 재활", 모스크바: "의학", 1972년, 216~217페이지). 상기 방법들은 신체의 무게보다 더 작은 힘을 사용하게 되므로 운동 훈련 분야에 유용하다. 상기 방법들의 문제점은 의료 요원이 많이 필요하고, 자동화가 되어 있지 않아 효율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슬링운동용 장치에 연결되어, 슬링운동용 로프에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을 제공하여, 슬링운동치료를 받는 사람에게 다양한 방향으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진동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는, 천장에 매달린 한 쌍의 로프 사이에 연결되어, 한 쌍의 로프로 진동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로프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지지부; 한 쌍의 결합부재를 연결하는 진동전달부; 및 진동전달부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진동모듈을 포함하고, 진동모듈은 진동전달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한 쌍의 로프 중 인접하게 위치된 로프로 편중하여 진동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는, 한 쌍의 로프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지지부; 한 쌍의 결합부재를 연결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한 쌍의 결합부재에 연결된 진동조절부; 및 진동조절부에 설치되어, 한 쌍의 로프로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모듈을 포함하고, 진동조절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한 쌍이 결합부재를 경유하여 한 쌍의 로프로 전달되는 진동의 방향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에 있어서, 진동조절부는, 진동모듈이 설치되고, 중심축에 위치된 조정몸체; 및 조정몸체의 양단과 한 쌍의 결합부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한 쌍의 연결부재는 조정몸체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쌍의 결합부재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에 있어서, 한 쌍의 연결부재는, 조정몸체의 일단에 결합된 제 1 각도조정판과, 조정몸체의 일단에 인접한 결합부재에 결합된 제 1 각도고정판이 구비되고, 제 1 각도조정판이 제 1 각도고정판에 각도조정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연결부재; 및 조정몸체의 타단에 결합된 제 2 각도조정판과, 조정몸체의 타단에 인접한 결하부재에 결합된 제 1 각도고정판이 구비되고, 제 2 각도조정판이 제 2 각도고정판에 각도조정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에 있어서, 진동전달부에는 진동모듈의 좌우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이 내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에 있어서, 진동모듈은, 진동전달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진동모듈본체; 진동모듈본체에 내장된 진동모터; 진동모듈본체에 설치되고 진동모터에 연결되어, 진동모터의 작동시 진동모듈본체로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자; 및 진동모듈본체의 외면에 설치되고 진동모터에 연결되어, 진동모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에 있어서, 진동모듈은, 진동전달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진동모듈본체; 진동모듈본체에 내장된 진동모터; 진동모터의 작동시 결합부재의 3축 방향으로 진동을 제공토록, 진동모듈본체의 3축 방향으로 진동모듈본체의 외면에 배치된 복수의 진동자; 및 진동모터에 연결되어, 진동모터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극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에 따른 진동자극기는 한 쌍의 로프를 연결하는 지지부; 한 쌍의 로프 중 왼쪽로프에 인접한 위치에서, 지지부에 설치된 제 1 진동모듈; 한 쌍의 로프 중 오른쪽로프에 인접하게 위치에서, 제 1 진동모듈과 이격되어 지지부에 설치된 제 2 진동모듈; 및 제 1 진동모듈과 제 2 진동모듈의 진동세기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 1 진동모듈과 제 2 진동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서로 다른 진동세기로 왼쪽로프와 오른쪽로프로 진동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에 있어서, 제 1 진동모듈과 제 2 진동모듈은, 지지부에 설치된 진동모듈본체; 진동모듈본체에 내장되고, 제어부에 연결된 진동모터; 진동모듈본체에 설치되어, 진동모터의 작동시 진동모듈본체로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자; 및 진동모듈본체의 외면에 설치되고 진동모터에 연결되어, 진동모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고, 진동모터는 제어부에 의해 진동세기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슬링운동용 장치에 연결되어, 슬링운동용 로프에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을 제공하여, 슬링운동치료를 받는 사람에게 다양한 방향으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의 가이드봉이 투시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진동모듈의 좌우이동 개념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에서, 진동조절부에 의해 진동모듈이 결합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진동모듈의 다른 예에 따른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 재활치료용 진동자극기는 진동방향이 고정되어 하나의 평면에서만 진동하는 반면, 본 발명은 진동면의 각도를 조절하고 또한 비대칭적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고안한 장비로써 기존에 비해 다양한 진동자극을 환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인 진동자극기(100)는 재활치료 중 하나인 슬링운동치료에 사용되는 장치에 설치되어, 천장에 매달린 한 쌍의 로프(10)로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100)의 구성 및 작동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자극기(100)는 지지부(110), 진동조절부(120)와 진동모듈(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100)는 한 쌍의 로프 중 어느 하나의 로프로 편중하여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110)는 천장에 매달린 한 쌍의 로프(10) 사이에 연결된다. 지지부(110)는 한 쌍의 결합부재(111, 112)와 로프연결부재(111a, 112a)를 포함한다.
한 쌍의 결합부재(111, 112)는 로프연결부재(111a, 112a)에 의해 한 쌍의 로프(10)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쌍의 결합부재(111, 112)는 진동조절부(120)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 쌍의 결합부재에 대해 "제 1 결합부재(111)"와 "제 2 결합부재(112)"로 구분지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조절부(120)는 제 1 결합부재(111)과 제 2 결합부재(112)에 연결된다. 진동조절부(120)는 조정몸체(121)와 연결부재(123, 124)를 포함한다.
진동조절부(120)에는 진동모듈(13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모듈(130)은 조정몸체(121)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모듈(130)은 제 1 결합부재(111)와 제 2 결합부재(112) 사이에서 조정몸체(121)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위치가 가변된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모듈(130)이 조정몸체(121)의 중심에 위치된 경우에, 진동모듈(130)에서 발생된 진동은 한 쌍의 로프(10)로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모듈(130)이 조정몸체(121)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 1 결합부재(111)와 인접하게 위치된 경우에, 진동모듈(130)에서 발생된 진동은 제 1 결합부재(111)에 연결된 로프(10)로 편중하여 전달되고, 제 2 결합부재(112)에 연결된 로프(10)로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전달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모듈(130)이 조정몸체(121)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 2 결합부재(112)와 인접하게 위치된 경우에, 진동모듈(130)에서 발생된 진동은 제 2 결합부재(112)에 연결된 로프(10)로 편중하여 전달되고, 제 1 결합부재(111)에 연결된 로프(10)로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전달된다.
진동모듈(130)은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한 쌍의 로프(10) 중 어느 하나의 로프(10)로 집중적으로 진동을 제공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집중치료가 요구되는 곳으로 로프(10)를 통해 진동에 의한 자극을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100)는 지지부(110), 진동조절부(120)와 진동모듈(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는 한 쌍의 로프 중 어느 하나의 로프로 편중하여 진동을 제공하는 동시에, 진동방향을 가변시켜, 슬링운동치료를 받는 사람에게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을 자극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지지부(110)와 진동모듈(130)의 구조 및 기능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진동조절부(120)의 기능 및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조절부(120)는 제 1 결합부재(111)과 제 2 결합부재(112)에 연결된다. 진동조절부(120)는 조정몸체(121)와 연결부재(123, 124)를 포함한다.
조정몸체(121)는 연결부재(123, 124)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축 상에 놓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몸체(121)는 제 1 결합부재(111)과 제 2 결합부재(112)에 대해 일직선 상에 놓인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3, 124)에 의해,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제 1 결합부재(111)과 제 2 결합부재(112)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중심축은 연결부재(123, 124)의 회전중심을 말하며, 제 1 결합부재(111)과 제 2 결합부재(112)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제 1 결합부재(111)과 제 2 결합부재(112)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말한다.
그리고, 조정몸체(121)에는 진동모듈(130)이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몸체(121)에는 진동모듈(130)의 좌우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125)이 내장된다.
연결부재(123, 124)는 조정몸체(12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결부재(123, 124)를 "제 1 연결부재(123)"와 "제 2 연결부재(124)"로 구분지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연결부재(123)는 제 1 결합부재(111)와 조정몸체(121)의 일단을 연결한다. 제 2 연결부재(124)는 제 2 결합부재(112)와 조정몸체(121)의 타단을 연결한다. 조정몸체(121)는 제 1 연결부재(123)와 제 2 연결부재(124)에 의해 제 1 결합부재(111)와 제 2 결합부재(11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연결부재(123)는 제 1 각도조정판(123a)과 제 1 각도고정판(123b)이 구비된다. 제 1 각도조정판(123a)은 조정몸체(121)의 일단에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각도조정판(123a)의 일면에는 조정몸체(121)의 일단이 끼움결합되는 제 1 결합홈이 마련된다. 제 1 각도조정판(123a)은 조정몸체(121)에 볼팅결합된다.
그리고, 제 1 각도조정판(123a)의 다른 일면에는 제 1 각도고정판(123b)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123c)와 맞물려 제 1 각도조정판(123a)의 회전각을 조정하는 복수의 돌기(123c)가 마련된다. 여기서, 복수의 돌기(123c)는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돌기(123c)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돌기(123c)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연결부재(123)가 상기 제 1 결합부재(111)에 대해 1회 회전되는 각도이다.
제 1 각도고정판(123b)은 조정몸체(121)의 일단에 인접한 제 1 결합부재(111)에 결합된다. 제 1 각도고정판(123b)의 일면에는 제 1 결합부재(111)가 끼움결합되는 제 2 결합홈(123e)이 마련된다. 제 1 각도고정판(123b)은 제 1 결합부재(111)와 볼팅결합된다. 제 1 각도고정판(123b)의 다른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123c)에 맞물려 상기 복수의 돌기(123c)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마련된다.
복수의 걸림돌기(미도시)는 제 1 각도고정판(123b)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을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 1 연결부재(123)는 조정몸체(121)가 지지부(11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 후, 각도조정이 없는 한, 조정몸체(121)가 지지부(110)에 대한 자유회전이 제한된다.
제 2 연결부재(124)는 제 2 각도조정판(124a)과 제 2 각도고정판(124b)이 구비된다. 제 2 각도조정판(124a)은 조정몸체(121)의 타단에 결합된다. 제 2 각도조정판(124a)은 조정몸체(121)에 볼팅결합된다.
제 2 각도고정판(124b)은 조정몸체(121)의 일단에 인접한 제 2 결합부재(112)에 결합된다. 제 2 각도고정판(124b)은 제 2 결합부재(112)와 볼팅결합된다.
제 2 연결부재(124)는 제 1 연결부재(12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연결부재(124)의 형상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조절부(120)는 조정몸체(121)가 제 1 결합부재(111)과 제 2 결합부재(112)에 일직선상에 놓일 때, 진동모듈(130)에서 발생된 진동을 F1방향으로 제 1 결합부재(111)과 제 2 결합부재(112)를 통해 한 쌍의 로프(10)로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조절부(120)는 조정몸체(121)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제 1 결합부재(111)와 제 2 결합부재(112)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틀어지게 위치되면, 진동모듈(130)에서 발생된 진동을 F2방향으로 제 1 결합부재(111)과 제 2 결합부재(112)를 통해 한 쌍의 로프(10)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 1 결합부재(111)와 제 2 결합부재(112)에 대한 조정몸체(121)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진동모듈(130)에서 발생한 진동의 방향을 다양하게 가변시켜 한 쌍의 로프(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모듈은 진동모듈본체(131), 진동자(133), 진동모터(134), 조작버튼(135)과 표시부(137)로 이루어진다.
진동모듈본체(131)는 가이드봉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조정몸체에 설치된다. 진동모듈본체(131)는 진동자(133), 진동모터(134), 조작버튼(135)과 표시부(137)를 지지하고, 진동모터(134)의 동작시 진동자(133)에서 발생된 진동을 조정몸체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진동모터(134)는 진동모듈본체(131)에 내장된다. 진동모터(134)는 진동자(133)에 연결되어, 진동자(133)로 진동을 제공한다. 진동모터(134)로는 휴대폰 진동에 사용되는 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진동자(133)는 진동모듈본체(131)에 설치된다. 진동자(133)는 진동모터(134)의 작동시 진동모듈본체(131)로 진동을 제공한다.
조작버튼(135)은 진동모듈본체(131)의 외면에 설치된다. 조작버튼(135)은 진동모터(134)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버튼(135)은 전원버튼과 동작버튼으로 이루어진다. 전원버튼의 온(on)상태에서, 동작버튼이 온(on)상태가 되면, 진동모터(134)가 동작되면서 진동자(133)에서 발생된 진동이 진동모듈본체(131)를 따라 조정몸체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는 로프에 연결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표시부(137)는 진동모듈(130)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이다. 표시부(137)에는 진동모듈(130)의 작동상태, 작동시간, 진동모터의 진동세기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진동모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진동자(133a, 133b, 133c)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에 따른 진동모듈(130)은 진동모듈본체(131), 복수의 진동자(133a, 133b, 133c) 및 진동모터를 구비한다. 진동모듈(130)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진동추를 사용함과 더불어, 핸드폰에 들어가는 진동모터(134)를 넣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진동모듈본체(131)는 진동조절부(120)의 조정몸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진동모듈본체(131)의 외면에는 복수의 진동자(133a, 133b, 133c)가 설치된다. 복수의 진동자(133a, 133b, 133c)는 진동모듈본체(131)의 3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진동모터의 작동시 제 1 결합부재(111)와 제 2 결합부재(112)의 3축 방향으로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진동모터는 원격제어 또는 진동모듈본체(131)에 마련된 조작버튼의 전원버튼(135b)와 동작버튼(135a)에 의해 온오프가 조작된다.
제 3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극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에 따른 진동자극기(200)는 지지부(210), 제 1 진동모듈(230a), 제 2 진동모듈(230b)과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지지부(210)는 한 쌍의 로프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왼쪽로프(11)와 오른쪽로프(12)로 구분지어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부(210)는 양측에 로프연결부재(211, 212)가 마련된다. 로프연결부재(211, 212)는 왼쪽로프(11)와 오른쪽로프(12)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지지부(210)에는 제 1 진동모듈(230a)과 제 2 진동모듈(230b)이 설치된다.
제 1 진동모듈(230a)은 한 쌍의 로프 중 왼쪽로프(11)에 인접한 위치에서 지지부(2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 1 진동모듈(230a)은 왼쪽로프(11)로 진동을 제공한다.
제 1 진동모듈(230a)은 제 1 진동모듈본체(231a), 제 1 진동자(233a), 제 1 진동모터, 제 1 조작버튼(235a, 236a)과 제 1 표시부(237a)로 이루어진다.
제 1 진동모듈본체(231a)는 지지부(2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 1 진동모듈본체(231a)는 제 1 진동자(233a), 제 1 진동모터(미도시), 제 1 조작버튼(235a, 236a)과 제 1 표시부(237a)를 지지한다. 제 1 진동모듈본체(231a)의 내부에는 제 1 진동모터와 제어부(미도시)가 내장된다. 제 1 진동모듈본체(231a)는 제 1 진동모터의 동작시 제 1 진동자(233a)에서 발생된 진동을 지지부(210)로 전달한다.
제 1 진동모터는 제 1 진동모듈본체(231a)에 내장된다. 제 1 진동모터는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진동모터는 제 1 진동자(233a)에 연결된다. 제 1 진동모터는 제 1 진동자(233a)로 진동을 제공한다. 이때, 제 1 진동모터의 진동세기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제 2 진동모터의 진동세기와 서로 상이하다. 제 1 진동모터로는 휴대폰 진동에 사용되는 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진동자(233a)는 제 1 진동모듈본체(231a)에 설치된다. 제 1 진동자(233a)는 제 1 진동모터의 작동시 제 1 진동모듈본체(231a)로 진동을 제공한다.
제 1 조작버튼(235a, 236a)은 제 1 진동모듈본체(231a)의 외면에 설치된다. 제 1 조작버튼(235a, 236a)은 제 1 진동모터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조작버튼(235a, 236a)은 전원버튼(236a)과 동작버튼(235a)으로 이루어진다.
전원버튼(236a)의 온(on)상태에서, 동작버튼(235a)이 온(on)상태가 되면, 제 1 진동모터가 동작되면서 제 1 진동자(233a)에서 발생된 진동이 제 1 진동모듈본체(231a)를 따라 지지부(210)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는 로프에 연결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제 1 표시부(237a)는 제 1 진동모듈(230a)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이다. 제 1 표시부(237a)에는 제 1 진동모듈(230a)의 작동상태, 작동시간, 진동모터의 진동세기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제 2 진동모듈(230b)은 제 1 진동모듈(230a)과 이격되어, 한 쌍의 로프 중 오른쪽로프(12)에 인접한 위치에서 지지부(210)의 타측에 설치된다. 제 2 진동모듈(230b)은 오른쪽로프(12)로 진동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진동모듈(230a)과 제 2 진동모듈(230b)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제 2 진동모듈(230b)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제 1 진동모듈(230a)의 진동세기를 제 2 진동모듈(230b)의 진동세기보다 크게 하여, 제 2 진동모듈(230b)에 인접한 오른쪽로프(12)보다 제 1 진동모듈(230a)에 인접한 왼쪽로프(11)로 진동이 편중되게 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제 2 진동모듈(230b)의 진동세기를 제 1 진동모듈(230a)의 진동세기보다 크게 하여, 제 1 진동모듈(230a)에 인접한 왼쪽로프(11)보다 제 2 진동모듈(230b)에 인접한 오른쪽로프(12)로 진동이 편중되게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진동모듈(230a)과 제 2 진동모듈(230b)은 진동세기가 차이가 날 뿐, 둘 다 작동 중이다.
본 발명은 슬링운동용 장치에 연결되어, 슬링운동용 로프에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을 제공하여, 슬링운동치료를 받는 사람에게 다양한 방향으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진동자극기 110, 210: 지지부
111: 제 1 결합부재 112: 제 2 결합부재
120: 진동조절부 121: 조정몸체
123, 124: 연결부재 130: 진동모듈
230a: 제 1 진동모듈 230b: 제 2 진동모듈

Claims (9)

  1. 천장에 매달린 한 쌍의 로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로프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자극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로프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지지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를 연결하는 진동조절부; 및
    상기 진동조절부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진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모듈은 상기 진동조절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한 쌍의 로프 중 인접하게 위치된 로프로 편중하여 진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극기.
  2. 천장에 매달린 한 쌍의 로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로프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자극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로프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지지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를 연결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에 연결된 진동조절부; 및
    상기 진동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로프로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조절부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한 쌍이 결합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한 쌍의 로프로 전달되는 진동의 방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극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조절부는,
    상기 진동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에 위치된 조정몸체; 및
    상기 조정몸체의 양단과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는 상기 조정몸체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극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는,
    상기 조정몸체의 일단에 결합된 제 1 각도조정판과, 상기 조정몸체의 일단에 인접한 결합부재에 결합된 제 1 각도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각도조정판이 상기 제 1 각도고정판에 각도조정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연결부재; 및
    상기 조정몸체의 타단에 결합된 제 2 각도조정판과, 상기 조정몸체의 타단에 인접한 결합부재에 결합된 제 2 각도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각도조정판이 상기 제 2 각도고정판에 각도조정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극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조절부에는 상기 진동모듈의 좌우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극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듈은,
    상기 진동조절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진동모듈본체;
    상기 진동모듈본체에 내장된 진동모터;
    상기 진동모듈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모터의 작동시 상기 진동모듈본체로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자; 및
    상기 진동모듈본체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모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극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듈은,
    상기 진동조절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진동모듈본체;
    상기 진동모듈본체에 내장된 진동모터;
    상기 진동모터의 작동시 상기 결합부재의 3축 방향으로 진동을 제공토록, 상기 진동모듈본체의 3축 방향으로 상기 진동모듈본체의 외면에 배치된 복수의 진동자; 및
    상기 진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모터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극기.

  8. 삭제
  9. 삭제
KR1020160034056A 2015-12-04 2016-03-22 진동자극기 KR101742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482 2015-12-04
KR20150172482 2015-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429B1 true KR101742429B1 (ko) 2017-06-01

Family

ID=5922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056A KR101742429B1 (ko) 2015-12-04 2016-03-22 진동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4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361B1 (ko) * 2018-12-28 2020-06-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슬링 진동 장치
KR20210012787A (ko) * 2019-07-26 2021-02-03 김동훈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16Y1 (ko) 2009-06-09 2011-05-03 이진섭 높이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마사지 진동운동기구
KR101261650B1 (ko) * 2004-11-26 2013-05-06 노르디스크 테라피 에이에스 운동 장치
KR101423805B1 (ko) 2007-01-08 2014-07-25 레드코드 에이에스 치료 및 운동 장비에 사용하기 위한 진동 장치 및 이러한 장비에 제어 가능한 진동을 제공하는 방법
WO2015030602A1 (en) 2013-08-30 2015-03-05 Redcord As A vibrator apparatus for use in physical treat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650B1 (ko) * 2004-11-26 2013-05-06 노르디스크 테라피 에이에스 운동 장치
KR101423805B1 (ko) 2007-01-08 2014-07-25 레드코드 에이에스 치료 및 운동 장비에 사용하기 위한 진동 장치 및 이러한 장비에 제어 가능한 진동을 제공하는 방법
KR200453416Y1 (ko) 2009-06-09 2011-05-03 이진섭 높이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마사지 진동운동기구
WO2015030602A1 (en) 2013-08-30 2015-03-05 Redcord As A vibrator apparatus for use in physical treat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361B1 (ko) * 2018-12-28 2020-06-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슬링 진동 장치
KR20210012787A (ko) * 2019-07-26 2021-02-03 김동훈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
KR102247708B1 (ko) 2019-07-26 2021-04-30 김동훈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650B1 (ko) 운동 장치
JP5373627B2 (ja) 療法機器および運動機器に使用する振動装置、ならびにこのような機器に制御可能な振動を提供する方法
US20130218058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localised vibrations, in particular to muscles of a user
US8096922B2 (en) Training apparatus
KR20120087143A (ko) 회전 편심 매스를 사용하는 연습, 훈련 및 통증 완화용 휴대 장치
KR101330532B1 (ko) 고관절 재활훈련장치
EP3320889A2 (en) Massage device for acting on the spinal muscles of three regions of the spine
US10363196B2 (en) Vibrator apparatus for use in physical treatment
KR101742429B1 (ko) 진동자극기
US20080125679A1 (en) Multi-mode vibrating platform for treatment of the body
KR101481455B1 (ko) 근력 및 뇌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상현실기반 편마비 환자의 상지/하지 물리치료장치
EP3261603B1 (en) Gymnastic equipment
KR101838819B1 (ko) 분리 가능한 음파 진동 모듈을 갖는 슬링 운동 장치
KR101411628B1 (ko) 3축 인체 진동기
KR20150110027A (ko) 진동 및 회전 지압에 의한 안마 장치
KR102127361B1 (ko) 슬링 진동 장치
RU12810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бной гимнастики
KR101915524B1 (ko) 진동 및 회전 지압에 의한 안마 장치
KR20200044502A (ko) IoT연동 바이브라오실레이터
CN109044730A (zh) 患者立卧两用式肩关节康复训练医疗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