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309B1 -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309B1
KR101742309B1 KR1020150155991A KR20150155991A KR101742309B1 KR 101742309 B1 KR101742309 B1 KR 101742309B1 KR 1020150155991 A KR1020150155991 A KR 1020150155991A KR 20150155991 A KR20150155991 A KR 20150155991A KR 101742309 B1 KR101742309 B1 KR 101742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film
adhesion
preventing film
un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453A (ko
Inventor
박대훈
Original Assignee
대진글로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글로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진글로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3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5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with 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61B2017/00597Implements comprising a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61F2002/0086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for preferentially controlling or promoting the growth of specific types of cells or tiss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61F2002/009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for hindering or preventing attachment of biological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유착방지막을 권취 및 풀림 작용을 수행하는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유착방지막이 평평하게 펴질 수 있도록 장력을 형성하는 스프링;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며, 유착방지막에 장력을 형성하면서 긴밀히 권취함과 아울러 풀림을 방지하는 장력발생수단;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가 수납 설치되는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 및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의 선단에는 방수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마감커버;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유착방지막을 인출하기 전에 액체(체액)로부터 막아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술 여건상 위치를 잘못 잡았을 경우 펼쳐진 유착방지막을 감았다가 다시 재 위치에 펼쳐서 정확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의사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Antiadhesion Barrier Protection device with a waterproof and Rotate Restore featur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착방지막을 인출하기 전에 액체(체액)로부터 막아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술 여건상 위치를 잘못 잡았을 경우 펼쳐진 유착방지막을 감았다가 다시 재 위치에 펼쳐서 정확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의사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유착(adhesion, 癒着)이란, 서로 떨어져 있는 피부나 막 등이 염증이 생겨서 서로 들러붙는 것을 말한다.
즉, 흉강(胸腔)에서의 체벽흉막과 장기흉막, 복강(腹腔)에서의 복벽복막과 장관장막 등과 같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접촉하고 있는 경우라도 생리적으로는 자유롭게 이개이동(離開移動)할 수 있는 상태에 있으나, 흉막염이나 복막염을 일으키면 유착하게 된다. 보통 염증의 치유 과정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육아(肉芽)나 반흔(瘢痕) 형성을 할 때 서로 엉겨붙거나, 다량으로 석출(析出)되는 섬유소가 엉겨 유착현상을 일으킨다.
부위에 따라 증세도 다르나 일반적으로는 동통이나 운동장애 등을 볼 수 있다. 때로는 유착 때문에 천공(穿孔)을 면하는 수도 있다. 초기의 가벼운 섬유소성 유착은 쉽게 뗄 수가 있으나, 오래된 것은 물질 결손 없이는 뗄 수 없다.
아무튼 장막으로 덮인 부위의 수술을 하거나, 염증이 일어나면 대소를 불문하고 유착이 생겨 복강내장 특히 장관의 경우에는 장폐색 등 장애 원인이 되기 쉽다. 따라서 수술할 때는 유착 원인을 배제하는 등 방지대책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유착이란 서로 떨어져 있어야 할 피부나 막(膜) 등이 염증 때문에 들러붙는 현상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유착의 원인은 여러 가지 창상 후 발생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수술, 염증, 감염, 화학적 치료, 암, 방사선 조사 등에 의한 조직 손상 시에 발생되며, 주된 원인은 수술에서 발생 된다.
한편, 유착방지제(또는 유착방지막)란 수술한 이후 유착이 우려되는 부위에 유착방지제를 삽입해 세포가 서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일종의 '차단벽' 역할을 하게 된다.
산부인과의 경우 불완전한 유산이나 사산, 재발성 유산에 대한 소파수술 등으로 수술 후 적게는 20%, 많게는 50%의 환자에게서 자궁 내막에 유착이 발생한다. 이러한 유착에 의해 불임이나 무월경, 습관성 유산을 초래한다고 한다.
또한 산부인과의 경우 수술한 부위가 대부분 임신과 관련된 자궁이기 때문에 수술한 이후 불임 가능성이 존재하여 사후관리 차원에서라도 유착방지제가 필요하다.
상기한 유착방지제(또는 유착방지막)를 이용한 종래 기술은 구조상 수술 후 조직표면에 부착하기 어렵고(유착방지막은 액체와 반응하여 젤 형태로 변형되어 유착방지막 본연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서로 붙는 문제점) 조직과 결합반응으로 한 덩어리로 뭉쳐지기 때문에 유착방지 효과가 부족하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내시경 수술시 발생 될 수 있는 장기 손상에 의한 장기 유착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의료 기업들은 장기 유착을 방지하기 위해 수많은 노력을 기여하고 있다. 하여 유착방지제가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고, 유착방지막은 수술에 사용되는 제품으로써 생체에 안전하여야 하고 생체흡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착방지막이 필름 형태로 되어 있고 액체와 화학 반응하여 젤 형상으로 변하는데 생체 내에서 수술 부위 장기에 완전하게 부착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종래 기술은 유착방지막이 13~15㎝ 크기로 사용되는데 체내에서 이렇게 큰 사이즈를 체액과 간섭 없이 장기에 부착하는 작업은 쉬운 일이 아니며, 따라서 좁은 공간을 통한 복막내에서 유착방지막을 원활하게 부착시킬 없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아울러 종래 기술은 유착방지막을 혈액 및 액상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장치가 없을뿐더러, 있다 하더라도 구멍과 틈새로 혈액 및 액상물질이 침투해 유착방지막을 변형시키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더하여 종래 기술은 수술 여건상 위치를 잘못 잡았을 경우 펼쳐진 유착방지막을 감았다가 다시 재 위치에 펼쳐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3-0007417호(1993. 05. 20)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1438호(2013. 03. 05)가 공개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와 스프링 그리고 장력발생수단과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 더하여 마감커버로 이루어진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필름형 유착방지막이 혈액 및 액상 물질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수술 후 장기 및 조직이 출혈과 염증 등으로 비정상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해 좁은 공간을 통한 복막내에서 유착방지막을 원활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유착방지막을 생체내에서 장기에 부착할 때까지 액체와 반응하지 않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수술 후 조직표면에 부착하기 쉽고 생체 내에서 수술 부위 장기에 완전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착방지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유착방지막이 13~15㎝ 크기로 사용되는데 체내에서 이렇게 큰 사이즈를 체액과 간섭 없이 장기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따라서 제7목적은 좁은 공간을 통한 복막내에서 유착방지막을 원활하게 부착시킬 있도록 한 것이며, 제8목적은 수술 여건상 위치를 잘못 잡았을 경우 펼쳐진 유착방지막을 감았다가 다시 재 위치에 펼쳐서 정확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유착방지막을 권취 및 풀림 작용을 수행하는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유착방지막이 평평하게 펴질 수 있도록 장력을 형성하는 스프링;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며, 유착방지막에 장력을 형성하면서 긴밀히 권취함과 아울러 풀림을 방지하는 장력발생수단;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가 수납 설치되는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 및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의 선단에는 방수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마감커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와 스프링 그리고 장력발생수단과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 더하여 마감커버로 이루어진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필름형 유착방지막이 혈액 및 액상 물질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 후 장기 및 조직이 출혈과 염증 등으로 비정상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해 좁은 공간을 통한 복막내에서 유착방지막을 원활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착방지막을 생체내에서 장기에 부착할 때까지 액체와 반응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 후 조직표면에 부착하기 쉽고 생체 내에서 수술 부위 장기에 완전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착방지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착방지막이 13~15㎝ 크기로 사용되는데 체내에서 이렇게 큰 사이즈를 체액과 간섭 없이 장기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좁은 공간을 통한 복막내에서 유착방지막을 원활하게 부착시킬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수술 여건상 위치를 잘못 잡았을 경우 펼쳐진 유착방지막을 감았다가 다시 재 위치에 펼쳐서 정확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보호장치에 유착방지막을 결합하기 전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유착방지막을 권취하기 전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유착방지막을 권취한 후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유착방지막권취부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권취부수납보호수단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장력발생수단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유착방지막 보호장치의 전체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유착방지막 보호장치를 보호장치지지수단에 끼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유착방지막 보호장치를 보호장치지지수단에 끼운
상태에서 집게로 유착방지막을 잡아당기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에 적용된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는 도 1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유착방지막(1)을 권취 및 풀림 작용을 수행하는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1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것은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유착방지막(1)이 평평하게 펴질 수 있도록 장력을 형성하는 스프링(2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것은 비틀림 작용을 하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10)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며, 유착방지막(1)에 장력을 형성하면서 긴밀히 권취함과 아울러 풀림을 방지하는 장력발생수단(30)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10)가 수납 설치되는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4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것도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40)의 선단에는 방수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10)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마감커버(5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10)의 일측 내부와 장력발생수단(30)의 일측 내부에는 스프링(2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긴밀히 끼워져 조립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스프링삽입홈(11))(31)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10)에는 유착방지막(1)의 일단이 끼워지는 유착방지막끼움홈(12)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유착방지막끼움홈(12)에는 유착방지막(1)의 이탈을 방지하는 유착방지막고정구(15)가 조립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유착방지막(1)의 타단에는 유착방지막(1)을 집게(70)로 잡아 당기거나 또는 유착방지막(1)이 더 이상 수납 보호수단 내부로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한 유착방지막걸림수단(16)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력발생수단(3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걸림홈(41)에 걸려지도록 한 걸림턱(33)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40)에 형성되며, 걸림턱(33)이 걸려지도록 한 걸림홈(41)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림홈(41)의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유착방지막(1)이 끼워진 상태에서 권취 및 풀림작용을 수행하도록 한 개구홀(42)이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장력발생수단(30)의 일측에는 보호장치지지수단(60)을 끼울 수 있도록 한 지지수단삽입공(32)이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40)의 일단에는 마감커버(50)의 핀(51)이 삽입되도록 한 핀삽입공(4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마감커버(50)의 선단은 수술시 장기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유착방지막을 인출하기 전에 액체(체액)로부터 막아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술 여건상 위치를 잘못 잡았을 경우 펼쳐진 유착방지막을 감았다가 다시 재 위치에 펼쳐서 정확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보호장치에 유착방지막을 결합하기 전의 사시도로, 유착방지막(1)의 일단을 유착방지막끼움홈(12)에 끼운 후 유착방지막고정구(15)를 끼우게 되면 유착방지막(1)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유착방지막(1)이 타단에는 유착방지막걸림수단(16)을 고정시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착방지막(1)이 개구홈(42)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유착방지막걸림수단(16)이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4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유착방지막(1)을 권취하기 전의 사시도로, 일단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10)를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40)에 끼워 넣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이때 유착방지막(1)은 개구홈(42)에 끼워지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유착방지막(1)을 권취한 후의 사시도로, 유착방지막(1)이 권취된 상태로 귄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40)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유착방지막(1)의 권취 과정에서 스프링(20)의 장력에 의해 유착방지막(1)은 당겨지면서 긴밀히 권취되는 것이며 아울러 유착방지막걸림수단(16)은 유착방지막(1)이 더이상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개구홈(42)에 걸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서 장력발생수단(30)의 걸림턱(33)은 걸림홈(41)에 걸려져서 더이상 유착방지막(1)이 권취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특히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유착방지막권취부의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권취부수납보호수단의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장력발생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유착방지막 보호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단면도에서와 같이 스프링(20)의 일단이 일측 스프링삽입홈(11)에 긴밀히 끼워짐과 아울러 스프링의 타단도 타측 스프링삽입홈(31)에 긴밀히 끼워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10)를 회전시키면서 외주면에 유착방지막(1)을 권취시키게 되면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20)은 스프링삽입홈에 긴밀히 끼워진 상태로 비틀림 회전력에 의해 장력이 발생되면서 유착방지막을 권취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용에 의해 유착방지막(1)을 권취한 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착방지막이 자유롭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33)을 걸림홈(41)에 걸려지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작용에 의해 권취된 상태의 유착방지막(1)을 도 9,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70)로 잡아당기게 되면 유착방지막(1)은 풀리게되는데, 이때 만일 수술 여건상 유착방지막 부착 위치를 잘못 잡았을 경우 펼쳐진 유착방지막을 다시 감았다가 다시 재 위치에 펼쳐서 정확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유착방지막(1)을 잡았던 집게를 풀면 유착방지막(1)은 스프링(20)의 장력에 의해 다시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10)의 외주면에 감기게 된다.
그런 다음 다시 보호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다시 집게(70)로 유착방지막(1)을 전술한 바와 같이 잡아 당겨 정확한 위치에 수술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유착방지막 보호장치를 보호장치지지수단(60)에 끼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유착방지막 보호장치를 보호장치지지수단(60)에 끼운 상태에서 집게(70)로 유착방지막(1)을 잡아당기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 상기 보호장치지지수단(60)의 선단을 장력발생수단(30)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수단삽입공(32)에 끼운 후 집게와 함께 수술을 진행하게 되고, 수술 후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40)의 선단에 형성된 핀삽입공(43)에 마감커버(50)의 핀(51)을 삽입하여 방수역할을 함과 아울러 상기 마감커버(50)는 선단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술시 장기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착방지막
10: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
20: 스프링
30: 장력발생수단
40: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
50: 마감커버
60: 보호장치지지수단

Claims (8)

  1. 유착방지막을 권취 및 풀림 작용을 수행하는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유착방지막이 평평하게 펴질 수 있도록 장력을 형성하는 스프링;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며, 유착방지막에 장력을 형성하면서 긴밀히 권취함과 아울러 풀림을 방지하는 장력발생수단;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가 수납 설치되는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 및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의 선단에는 방수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마감커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의 일측 내부와 장력발생수단의 일측 내부에는 스프링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긴밀히 끼워져 조립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스프링삽입홈;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유착방지막 권취 및 풀림부에는 유착방지막의 일단이 끼워지는 유착방지막끼움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유착방지막끼움홈에는 유착방지막의 이탈을 방지하는 유착방지막고정구;가 조립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4. 청구항 1 또는 3 에 있어서,
    상기 유착방지막의 타단에는 유착방지막을 집게로 잡아 당기거나 또는 유착방지막이 더 이상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한 유착방지막걸림수단;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장력발생수단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이 걸려지도록 한 걸림홈; 및
    상기 걸림홈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유착방지막이 끼워진 상태에서 권취 및 풀림작용을 수행하도록 한 개구홀;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6. 청구항 1 또는 5 에 있어서,
    상기 장력발생수단의 일측에는 보호장치지지수단을 끼울 수 있도록 한 지지수단삽입공;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7. 청구항 1 또는 5 에 있어서,
    상기 권취 및 풀림부 수납 보호수단의 일단에는 마감커버의 핀이 삽입되도록 한 핀삽입공;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의 선단은,
    수술시 장기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KR1020150155991A 2015-11-06 2015-11-06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KR101742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991A KR101742309B1 (ko) 2015-11-06 2015-11-06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991A KR101742309B1 (ko) 2015-11-06 2015-11-06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453A KR20170053453A (ko) 2017-05-16
KR101742309B1 true KR101742309B1 (ko) 2017-06-01

Family

ID=5903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991A KR101742309B1 (ko) 2015-11-06 2015-11-06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3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4403A (en) 1992-10-29 1995-11-07 General Surgical Innovations, Inc. Placement tool and method for laparoscopic hernia repair
US20070112361A1 (en) 2005-11-07 2007-05-17 Schonholz Steven M Surgical repair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7867222B1 (en) 1995-03-17 2011-01-11 Tilton Jr Eugene B Instrumentation for endoscopic surgical insertion and application of liquid, gel and like material
JP2014138727A (ja) 2013-12-04 2014-07-31 Genzyme Japan Kk 医療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4403A (en) 1992-10-29 1995-11-07 General Surgical Innovations, Inc. Placement tool and method for laparoscopic hernia repair
US7867222B1 (en) 1995-03-17 2011-01-11 Tilton Jr Eugene B Instrumentation for endoscopic surgical insertion and application of liquid, gel and like material
US20070112361A1 (en) 2005-11-07 2007-05-17 Schonholz Steven M Surgical repair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14138727A (ja) 2013-12-04 2014-07-31 Genzyme Japan Kk 医療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453A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4723B2 (ja) 補綴パッチをロールして体腔の中に挿入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1031456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losure of wounds
US6193731B1 (en) Laparoscopic insertion and deployment device
US201803180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off a portion of a heart ventricle
JP5324003B2 (ja) シート挿入用ディバイス
JP6537520B2 (ja) ヘルニア修復パッチ
US9468705B2 (en) Device and method to facilitate safe, adhesion-free surgical closures
JP7114483B2 (ja) 体内の欠陥の治療用装置
JP2017510395A (ja) 生体組織における開口を塞ぐ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US997463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implants
US11213292B2 (en) Endoscopic hemostasis closure device and delivery system
KR101742309B1 (ko) 방수 및 회전 복원 기능을 갖는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JP2022179677A (ja) 組織開口部のための閉鎖装置
EP3324858B1 (en) Devices for applying hemostatic or tissue healing agent to wet surfaces
KR101655359B1 (ko) 유착방지막 보호장치
KR20160149503A (ko) 유착방지막 보호 및 부착장치
US20230277194A1 (en) Repositional over the scope clip with frangible link
JP4297710B2 (ja) 圧排器具
KR20180112473A (ko) 유착방지막 시술롤 및 이를 이용한 유착방지막 시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