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727B1 - 휴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727B1
KR101741727B1 KR1020150154742A KR20150154742A KR101741727B1 KR 101741727 B1 KR101741727 B1 KR 101741727B1 KR 1020150154742 A KR1020150154742 A KR 1020150154742A KR 20150154742 A KR20150154742 A KR 20150154742A KR 101741727 B1 KR101741727 B1 KR 101741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main body
drink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372A (ko
Inventor
최나리
김선아
조성주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7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02Small separation devices for domestic application, e.g. for canteens, industrial kitchen, wash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08Mobile separation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클립이 형성되어 있어 컵에 자유롭게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정수 과정에서 별도의 물병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어디서든 손쉽게 정수된 음용수를 마실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정수기{Portable water purifier}
어디서든 오염된 물을 간편하게 음용수로 정수할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음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정수하는 여과수단의 한 종류로서, 이 정수장치는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현대의 생활여건에 따라 음식점이나 공공장소는 물론이고 일반가정에서도 역시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현대에는 생활환경이 점차적으로 향상되면서 낚시나 등산과 같은 각종 레저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고, 이로 인해 정수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어 정수장치가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야외활동에서도 정수된 물을 음용하는 것이 당연시되고 있다.
그러나, 야외활동에서 미리 정수된 물을 준비하려는 경우 부피나 무게로 인하여 부담이 가중되고, 또한 자연에 흐르는 물이나 수돗물은 환경오염의 심화로 인해 음용수로 직접 사용할 수 없음을 감안하여, 휴대용 정수기를 개발하여 어느 장소에서나 물을 여과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09682호(이하 선행기술 1)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휴대용정수기(100)는 물병(200)의 배출구에 끼움부(113)를 통해 결합되면서 그 일측부에 소정크기의 수용공간(116)을 갖는 몸체부(110) 및, 상기 수용공간(116)에 내장되어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정수하는 필터카트리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행기술 1의 구성에 의하면 야외활동 등의 과정에서 물병(200)의 배출구에 상기 끼움부(113)를 통해 상기 휴대용정수기(100)를 결합한 상태에서 일정각도로 기울이면, 상기 몸병(200)에 수용되어 있던 물이 상기 필터카트리지(120)를 경유하면서 음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정수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선행기술 1에 의해 야외활동에서 정수된 음용수를 확보할 수 있으나, 휴대용정수기(100)에 결합되는 별도의 물병(200) 등을 필요로 한다.
선행기술 1과 같이 정수된 음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물병(200)이 필요한 기술은 사회간접시설이 매우 미약한 후진국에서 널리 사용되기는 곤란하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8-0004749호(이하 선행기술 2라 한다.)의 경우, 튜브형 휴대용 정수필터로 별도의 물병이 필요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선행기술 1의 문제점을 해결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2의 경우, 튜브, 즉 빨대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사용시 컵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새롭게 제기되며, 또한 튜브(빨대) 구성의 경우 정수된 음용수를 빨아 먹어야만 한다는 제한도 있다.
따라서 정수된 음용수를 조리나 취사 등에 이용하기 위해 용기 등에 수용할 때 선행기술 2의 경우 제한이 됨은 명백하다.
아프리카와 같이 물 부족에 시달리며, 수인성 전염병(콜레라, 장티푸스, 이질)이 만연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휴대용정수기에 맞는 물병조차 주민들이 구하기 곤란하고, 조리나 취사 등에 이용하기 위한 정수된 음용수의 확보가 절실하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갖고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8-0004749호 한국공개특허 제2014-0009682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1572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물병 등도 필요하지 않으며, 조리나 취사 등에 이용하기 위한 정수된 음용수를 용이하고 만들어주는 휴대용 정수기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필터; 상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는 상기 클립과 본체의 후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더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클립과 결합하며 타측은 본체와 결합하는 것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는 상기 필터의 전단에는 물유입구가 형성되며, 오염된 물을 상기 필터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전부에 형성되는 측면; 상기 필터의 후단에는 물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를 거친 음용수를 음용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의 후부에 형성되는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는 상기 필터는 제1필터층과 제3필터층, 그리고 상기 제1필터층과 제3필터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필터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클립이 형성되어 있어 컵에 자유롭게 끼워 사용할 수 있다.
(2) 정수 과정에서 별도의 물병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어디서든 손쉽게 정수된 음용수를 마실 수 있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의 사시도.
도면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면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의 측면도.
도면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1)는 본체(10)와 본체(10)에 형성되는 필터(100)와 본체의 후면(15)에 형성되는 클립(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는 크게 3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오염된 물이 들어오는 부분을 본체의 전(前)부(20)이라 한다.
필터(100)를 거치며 정수된 음용수를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의 후(後)부(30)라 한다.
그리고 본체의 전부(20)과 본체의 후부(30)의 사이에 위치하는 필터(100)로 구분된다.
본체의 전부(20)는 컵에 담겨져 있는 오염된 물을 필터로 안내, 즉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의 전부의 측면(25)의 형상은 정면도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의 전부의 측면의 일단(25a)으로부터 필터(100)를 향할수록 본체의 전부의 측면(25)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한다.
즉, 본체의 전부의 측면의 일단(25a)은 본체의 전부의 측면의 타단(25b)보다 높이가 낮게 함으로써 본체(10)에 형성된 필터(100)로 오염된 물이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본체(10)에 형성된 필터(100)로부터 정수된 음용수가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1)의 사용자는 본체의 후부(30)를 통해 정수된 음용수를 음용하거나 조리 또는 취사를 위해 휴대용 정수기(1)를 통해 정수된 음용수를 다른 용기나 그릇으로 옮길 수 있다.
본체의 후부(30)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의 후부(30)의 타단을 음용부(60)라 한다.
음용부의 외측면(70)에는 본체의 후부의 측면(35)의 타단(35b) 사이에 걸쳐 라운드가 형성된다.
라운드가 형성된 음용부의 외측면(70)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1)의 사용자의 음용을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음용부의 상면(65)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1)의 사용자가 정수된 음용수를 쉽게 음용 하기 위해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즉, 본체의 전부의 측면(25)과 마찬가지로 본체의 후부(30)에는 측면(35)이 형성되어 정수된 음용수를 음용부(6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의 후부의 측면의 타단(35b)과 음용부(60)는 일체로 연결된다.
음용부의 제1부(61)로부터 음용부의 외측면(70)을 향하여 갈수록 음용부의 상면(65)은 하향경사가 형성된다.
즉, 음용부의 제1부(61)와 대비할 경우 음용부의 외측면(70)은 두께가 얇게 형성함으로써 하향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용부의 상면(65)에 하향경사를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1)의 사용자가 음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체의 후부의 전단(40)에는 단턱(50)이 형성된다.
단턱(50)은 정수된 음용수가 필터(100)를 통하여 나올 때 음용수가 출렁거리지 않고 본체의 후부(30) 전체에 걸쳐 고르게 펼쳐져 사용자의 음용을 용이하도록 한다.
본체의 후면(15)에는 클립(200)이 형성된다.
클립(200)은 본체(10)를 컵에 안정적으로 걸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10)의 클립(200)의 대략적인 형상은 직사각형 의 얇은 판과 유사하다.
클립(200)과 본체(10) 사이에는 탄성부재(300)가 형성된다.
클립의 전면(210)과 탄성부재(예를 들어 스프링)의 일측(310)이 결합한다.
탄성부재의 타측(320)은 본체의 후면(15)과 결합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1)가 컵(400)에 고정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클립의 상부(220)를 누르기 전에 클립의 상부(220)는 탄성부재(300)에 의해 본체의 후면(15)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이다.
휴대용 정수기(1)의 사용자는 클립의 상부(220)를 누른다.
사용자가 클립의 상부(220)를 누르게 되면 본체의 후면(15)과 클립의 상부 (220)사이의 이격된 거리가 감소하게 되고, 반대로 클립의 하부(230)는 본체의 후면(15)과 이격된 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클립의 하부(230)가 본체의 후면(15)과 충분히 이격되면 휴대용 정수기(1)의 사용자는 컵(400)의 상부에 클립의 하부(230)를 삽입한다.
이때 본체(10)는 컵(4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클립(200)은 컵(40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체(10)가 컵(4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휴대용 정수기(1)의 사용자는 클립의 상부(22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한다.
즉, 더 이상 클립의 상부(220)를 누르지 않는다.
그러면 클립의 하부(230)와 본체의 후면(15) 사이는 원래의 이격거리, 좁았던 이격거리로 회복된다.
반대로 클립의 상부(220)와 본체의 후면(15)사이는 원래의 이격거리, 넓었던 이격거리로 회복된다.
필터(100)의 전단에는 물유입구(110)가 형성되며, 필터(100)의 후단에는 물유출구(120)가 형성된다.
물유입구(110)와 물유출구(120)는 필터(100)의 폭 방향에 걸쳐 형성되며, 복수 개의 관통공(115,125)이 형성된다.
물유입구의 복수 개의 관통공(115)을 통하여 오염된 물이 필터(100)로 들어온다.
물유출구의 복수 개의 관통공(125)을 통하여 정수된 음용수가 음용부(60)로 배출된다.
전술한 필터(100)는 제1필터층(130)과 제3필터층(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제1필터층(130)은 물유입구(110)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1필터층(130)은 세디먼트 필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필터층(130)은 먼지, 모래 등과 같은 부유물질을 제거한다.
1차 정수가 완료된 오염된 물은 2단계 필터인 제2필터층(140)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필터층(140)은 세균 등에 의해 심하게 오염된 물을 정수할 경우, 세균과 곰팡이 등의 제거가 제일 중요하므로, 오염된 물에 포함된 세균과 곰팡이를 추가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원적외선볼과 기능성 세라믹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필터층(150)은 카본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 필터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져 물속에 존재하는 냄새 및 세균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카본 필터는 일반적으로 정수의 마지막 단계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3필터층(150)은 물유출구(120)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물유출구(120)도 필터(100)의 폭 방향에 걸쳐 형성되며, 복수 개의 관통공(125)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관통공(125)을 통하여 흘러나온 정수된 음용수를 사용자는 음용할 수 있다.
한편 필터(100)의 정수 능력은 시간에 따라 감소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1)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례에서는 필터(100)가 본체(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필터(100)의 주기적인 교체를 할 수 있다.
즉, 필터(100)는 본체(10)의 양 측면(25,35)사이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질 수 있다.
필터(100)의 수명이 다 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본체(10)의 양 측면(25,35)을 살짝 벌려서 필터(100)를 교체한다.
또는 필터(100)의 필터층만 교체할 수도 있다.
즉, 물유출구(120)에서 물유입구(110) 방향으로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필터(100) 내부를 민다.
이때는 물유입구(110)와 필터층(130,140,150)은 일체로 형성되어, 필터층을 교체할 경우, 물유입구(110)도 같이 교체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는 휴대가 간편하며, 사용환경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오염된 물을 간편하게 음용수로 정수할 수 있다.
1 : 휴대용 정수기 10 : 본체
15 : 본체의 후면 20 : 본체의 전부
25 : 본체의 전부의 측면 25a : 본체의 전부의 측면의 일단
25b : 본체의 전부의 측면의 타단 30 : 본체의 후부
35 : 본체의 후부의 측면 35b : 본체의 후부의 측면의 타단
40 : 본체의 후부의 전단 50 : 단턱
60 : 음용부 61 : 음용부의 제1부
65 : 음용부의 상면 70 : 음용부의 외측면
100 : 필터 110 : 물유입구
115 : 물유입구의 관통공 120 : 물유출구
125 : 물유출구의 관통공 130 : 제1필터층
140 : 제2필터층 150 : 제3필터층
200 : 클립 210 : 클립의 전면
220 : 클립의 상부 230 : 클립의 하부
300 : 탄성부재 310 : 탄성부재의 일측
320 : 탄성부재의 타측

Claims (4)

  1. 본체(10);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필터(100);
    상기 본체의 후면(15)에 형성되는 클립(200);
    상기 클립(200)과 상기 본체의 후면(15) 사이에 형성되며, 일측(310)은 상기 클립(200)과 결합하고 타측(320)은 상기 본체(10)와 결합하는 탄성부재(300);
    상기 필터(100)의 전단에 형성되는 물유입구(110)와 상기 필터(100)의 후단에 형성되는 물유출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오염된 물을 상기 필터(100)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전부(20)에 형성되는 측면(25)은 상기 측면의 일단(25a)으로부터 상기 필터(100)를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터(100)를 거친 음용수를 본체의 후부(30)의 타단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후부(30)에 형성되는 측면(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후부의 전단(40)에는 단턱(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세디먼트 필터로 이루어진 제1필터층과 카본 필터로 이루어진 제3필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필터층과 제3필터층의 사이에는 원적외선볼과 기능성 세라믹볼로 이루어진 제2필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KR1020150154742A 2015-11-04 2015-11-04 휴대용 정수기 KR101741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742A KR101741727B1 (ko) 2015-11-04 2015-11-04 휴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742A KR101741727B1 (ko) 2015-11-04 2015-11-04 휴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372A KR20170052372A (ko) 2017-05-12
KR101741727B1 true KR101741727B1 (ko) 2017-05-30

Family

ID=5874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742A KR101741727B1 (ko) 2015-11-04 2015-11-04 휴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7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0568A1 (en) * 2010-03-12 2011-09-15 Clean & Clear Corporation Portable filter assembl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0568A1 (en) * 2010-03-12 2011-09-15 Clean & Clear Corporation Portable filter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372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6462B2 (en) Portabl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CN208113738U (zh) 一种便携式宠物喂水器
EP1844846A3 (en) Disposable tangential flow filtration device holder
US7049615B1 (en) Portable ultraviolet water purifier
CN205367925U (zh) 具反冲洗功能的多用途微型吸管式净水器
KR101741727B1 (ko) 휴대용 정수기
CN202038926U (zh) 便携式手动管式膜净水器
WO2008010116A3 (en) A water purifier system and a filter element for such system
CN202516389U (zh) 一种便携式净水器
JPH10211954A (ja) 水処理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のカートリッジと飲料ボトルとの組合せ構造ならびにこの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水処理方法
CN210874261U (zh) 一种电动式净水杯
KR100893491B1 (ko) 피팅
CN209733324U (zh) 户外超轻型便携式循环净水杯
KR20140009682A (ko)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
CN202379233U (zh) 一种纯净水桶
CN215906021U (zh) 一种便携式铁路站车应急供水净化消毒一体机
CN208182628U (zh) 一种净水瓶
CN205590470U (zh) 户外净水器
CN206359361U (zh) 一种便携式户外净水器
WO2010010572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CN101732922A (zh) 一种便携式净水器
KR200428136Y1 (ko) 단체 급수를 위한 대용량 분수형 정수기
CN205559856U (zh) 一种新型净水装置水龙头
CN2913331Y (zh) 便携式简易直饮过滤净水杯
KR200471218Y1 (ko)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