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655B1 - Sewage treatment methods using sequencing batch reactor and apparatus used therein - Google Patents
Sewage treatment methods using sequencing batch reactor and apparatus used there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1655B1 KR101741655B1 KR1020160139522A KR20160139522A KR101741655B1 KR 101741655 B1 KR101741655 B1 KR 101741655B1 KR 1020160139522 A KR1020160139522 A KR 1020160139522A KR 20160139522 A KR20160139522 A KR 20160139522A KR 101741655 B1 KR101741655 B1 KR 1017416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inuous batch
- bioreactor
- sewage
- batch type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3—Sequencing batch reactors [SB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 B01F3/04248—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8—Membrane ae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1—Aerobic and anaerobic treatment in the same react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에스비알 공법에 의한 수처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길이 방향으로 하수의 수평 유동을 생성하는 교반장치;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장치;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수용된 하수에서 분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배출장치; 및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수용된 하수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배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는,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전단에 형성되어, 하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부스터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유입부의 하수가 상기 부스터의 하단에 형성되는 부스터홀을 통해 유입되는 생물혼합부; 상기 생물혼합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교반장치와 상기 슬러지배출장치가 배치되는 생물반응부; 및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생물반응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처리수배출장치가 배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를 사용한 하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기장치를 구동하여 미생물에 의한 호기 공정을 수행하는 포기 단계; 상기 산기장치의 구동을 중단하여 미생물에 의한 무산소 공정을 수행하는 비포기 단계; 상기 산기장치와 상기 교반장치의 구동을 중단하는 침전 단계; 및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서 처리수와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포기 단계 및 상기 비포기 단계는 교번적으로 진행되어, 상기 포기 단계는 4회 이상에 걸쳐 실시되고 상기 비포기 단계는 3회 이상에 걸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Disclosed is a water treatment method and an apparatus used theref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inuous batch bioreactor in which sewage is continuously introduced; A stirring device for generating a horizontal flow of sewag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inuous batch bioreactor; Aeration device for supplying air to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separated from the sewage contained 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to the outside; And a sludge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sludge separated from the sewage contained 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n inflow inlet; A biological mixing portion which is separated from the inflow portion by a booster and into which the sewage of the inflow portion is introduced through a booster hol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ooster; A biological reaction part which is separated from the biological mixing part and in which the agitation device and the sludge discharge device are disposed; And a discharge part formed at a rear end of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nd separated from the biological reaction part and in which the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is disposed, the sewage treatment method using the sewage treatment device, To perform an aerobic process by microorganisms; A non-aeration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anaerobic device and performing anaerobic process by microorganisms; A precipitation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air diffuser and the stirring device; And a discharge step of discharging treated water and sludge 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wherein the aeration step and the non-aeration step alternately proceed, the aeration step is performed over four times or more, And the step is carried out three times or mo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스비알 공법에 의한 수처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케아스(ICEAS) 에스비알 공법에 의한 수처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an SBR method and a device used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an ICEAS SBR method and an apparatus used therefor.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오수, 축산농가에서 배출되는 축산폐수, 공장에서 배출되는 산업폐수 등(이하 '하수'라고 함)에는 부유물 외에 각종 유기물질과 질소, 인 등이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Domestic sewage, livestock wastewater discharged from livestock farms, industrial wastewater discharged from factor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wage") contain pollutants such as various organic substances, nitrogen and phosphorus in addition to floats.
하수가 오염물질이 포함된 상태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되면, 하천에는 조류의 대량 증식을 초래하는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대량 증식한 조류는 햇빛을 차단하고 산소 소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하천에 서식하는 대부분의 동식물을 폐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천에 하수를 방류하기 전에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 각종 유기물질,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하수처리 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When sewage is discharged into rivers in the state of containing pollutants, there may be eutrophication phenomenon in rivers, which causes massive growth of algae. Large-scale algae can shut down most of the flora and fauna in the river by blocking sunlight and increasing oxygen consumption. Accordingly, various sewage treatment methods can be applied to remove contaminants such as floating matters, various organic substances,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sewage before discharging the sewage to the river.
이러한 하수처리 공법 중 하나로 에스비알(SBR, Sequencing Batch Reactor) 공법이 있다. 에스비알 공법이란 하나의 반응조, 즉 에스비알에서 하수의 유입, (혐기, 호기, 무산소) 반응, 침전 및 배출 공정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간 배분식 하수처리공법으로써, 혐기조, 호기조, 무산소조, 침전조 등을 포함하는 공간 배분식 A20 공법과 구별될 수 있다. 그 결과, 에스비알 공법은 작은 부지에 설치되는 소규모 하수처리시설에도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연속유입 간헐배출식 에스비알 공법은 일반적인 에스비알 공법에서 간헐 유입 방식의 문제점 중 하나인 낮은 처리용량을 개선하고 부지면적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보완하여 연속 유입 방식으로 개량한 것이다.One of these sewage treatment methods is SBR (Sequencing Batch Reactor). The SLB method is a time-sharing sewage treatment method in which sewage inflow, anaerobic, aerobic, anaerobic reaction, precipitation and discharge processes are periodically performed in a single reaction tank, ie, SLB, including anaerobic tank, aerobic tank, anoxic tank, Which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space-distributed A20 method. As a result, the SLR method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a small-scale sewage treatment facility installed on a small site. In particular, the continuous inflow intermittent discharge type SLB method is a continuous inflow method in which the low processing capacity, which is one of the problems of the intermittent inflow method, is improved and the site area is increas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가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에스비알 공법에 의한 수처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ater treatment method by the SBR method in which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is divided and a device used therei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길이 방향으로 하수의 수평 유동을 생성하는 교반장치;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장치;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수용된 하수에서 분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배출장치; 및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수용된 하수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배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는,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전단에 형성되어, 하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부스터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유입부의 하수가 상기 부스터의 하단에 형성되는 부스터홀을 통해 유입되는 생물혼합부; 상기 생물혼합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교반장치와 상기 슬러지배출장치가 배치되는 생물반응부; 및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생물반응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처리수배출장치가 배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를 사용한 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기장치를 구동하여 미생물에 의한 호기 공정을 수행하는 포기 단계; 상기 산기장치의 구동을 중단하여 미생물에 의한 무산소 공정을 수행하는 비포기 단계; 상기 산기장치와 상기 교반장치의 구동을 중단하는 침전 단계; 및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서 처리수와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포기 단계 및 상기 비포기 단계는 교번적으로 진행되어, 상기 포기 단계는 4회 이상에 걸쳐 실시되고 상기 비포기 단계는 3회 이상에 걸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inuous batch bioreactor in which sewage is continuously introduced; A stirring device for generating a horizontal flow of sewag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inuous batch bioreactor; Aeration device for supplying air to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separated from the sewage contained 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to the outside; And a sludge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sludge separated from the sewage contained 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n inflow inlet; A biological mixing portion which is separated from the inflow portion by a booster and into which the sewage of the inflow portion is introduced through a booster hol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ooster; A biological reaction part which is separated from the biological mixing part and in which the agitation device and the sludge discharge device are disposed; And a discharge unit formed at a rear end of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nd separated from the biological reaction unit, wherein the treated water discharge unit is disposed, the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eration step of performing an aerobic process by microorganisms; A non-aeration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anaerobic device and performing anaerobic process by microorganisms; A precipitation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air diffuser and the stirring device; And a discharge step of discharging treated water and sludge 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wherein the aeration step and the non-aeration step alternately proceed, the aeration step is performed over four times or more, And the step is carried out three times or more.
상기 생물반응부는 상기 생물혼합부로부터 업부스터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생물혼합부의 하수는 상기 업부스터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업부스터홀 및 상기 업부스터와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측벽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생물반응부로 유입될 수 있다.Wherein the biological reacting section is separated from the biological mixing section by an up booster, the sewage of the biological mixing section includes an up booster hole formed in an upward sloping manner in the up booster and a gap between the up booster and the side wall of the continuous batch biological reactor To the biological reaction unit.
상기 업부스터는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저면에서 상기 생물반응부에 수용된 하수의 수면 하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up booster may extend from the bottom of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to the lower side of the water surface of the sewage contained in the bioreactor.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생물반응부로부터 다운부스터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생물반응부의 하수는 상기 다운부스터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운부스터홀 및 상기 다운부스터와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측벽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Wherein th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at a downstream end of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nd separated from the bioreactor by a down booster, the sewage in the bioreactor is downwardly sloped downward in the down booster,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side walls of the batch type bioreactor.
상기 다운부스터는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저면에서 상기 생물반응부에 수용된 하수의 수면 하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down booster may extend from the bottom of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to a lower side of the water surface of the sewage contained in the bioreactor.
상기 다운부스터에는 상기 다운부스터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 측으로 하향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세스톤 리무버가 형성될 수 있다.The down booster may include a sterone remover disposed above the down booster hole and protruding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unit.
상기 산기장치는,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하부로 연장되는 드랍파이프; 상기 드랍파이프의 하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디스트리뷰션 헤더 파이프; 상기 드랍파이프와 상기 디스트리뷰션 헤더 파이프 사이에 형성되는 매니폴드; 상기 디스트리뷰션 헤더 파이프에서 분기되고,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배출부까지 수평 연장되는 공기공급관; 상기 공기공급관의 공기를 상측으로 분사하는 복수 개의 산기부; 및 상기 산기부와 협력하여 상기 산기부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산기부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제1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멤브레인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ffusion device comprising: a drop pipe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tinuous batch bioreactor; A distribution header pipe extending horizontally at a lower end of the drop pipe; A manifold formed between the drop pipe and the distribution header pipe; An air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distribution header pipe and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 plurality of acid bases for spraying the air of the air supply pipe upward; And a membrane coupled to the acid b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ir outlets to form a containment space for receiving air to be injected from the acid base in cooperation with the acid base.
상기 산기부는, 상기 공기공급관에 연결되어 공기를 상측으로 분사하는 깔때기 형상의 디퓨저홀더; 상기 디퓨저홀더를 상기 공기공급관에 고정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디퓨저홀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공급관의 내부와 상기 디퓨저홀더의 내부를 연결하는 오리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iffuser has a funnel-shaped diffuser hold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and injecting air upward; A retainer for fixing the diffuser holder to the air supply pipe; And an orific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ffuser holder, the orifice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air supply pipe and the inside of the diffuser holder.
상기 산기장치는, 상기 멤브레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 방울을 상기 복수 개의 산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비공기방울영역으로 확산시키는 스프레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air diffuse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embrane and is coupled to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ir bubble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are connected to a non- The spreader may further include a spreader for diffusing into the drop region.
상기 스프레더는 자중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1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 방울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The spreader can be lifted by air bubbles that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by its own weight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멤브레인을 감싸고, 복수 개의 제2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저면에서 상향 연장되는 가이드바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가이드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preader comprises: a cover plate surrounding the membrane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air outlets; And an annular guide ring extending upward at an edge of the cover plate and coupled to the guide bar upwardly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inuous batch bioreactor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상기 가이드고리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물이 채워진 플로터가 형성될 수 있다.A part or whole of the guide ring may be formed with a water-filled plotter.
상기 산기장치는,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산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고리를 따라 이동한 공기 방울을 하향 안내하는 곡면이 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ffuser may further include a guide column which is coupled to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nd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acid bases and has a curved surface formed on the side to downwardly guide the air bubbles moved along the guide collar have.
상기 처리수배출장치는,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설치된 견인장치에 의해 상하 이동하고, 디켄터 웨어, 디켄터 트러프 및 디켄터 거터를 구비하여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처리수가 유입되고, 스컴 피보팅 플로트 및 사이드월을 구비하여 스컴 유입을 방지하는 디켄터; 상기 디켄터에서 하향 연장되는 다운커머 파이프; 상기 다운커머 파이프의 하단에 결합되어 처리수를 수집하는 콜렉터파이프; 및 상기 콜렉터파이프가 스위벨 조인트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고정되는 처리수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is vertically moved by a tra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nd includes treated water of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with decanterware, decanter trough and decanter gutter, And a decanter provided with side walls to prevent the inflow of scum; A downcomer pi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ecanter; A collector pip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downcomer pipe to collect treated water; And a treatment water discharge pipe rotatably coupled to the collector pipe through a swivel joint and fixed to the continuous batch bioreactor.
상기 처리수배출장치는, 상기 콜렉터파이프와 상기 스위벨 조인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콜렉터파이프에 조인트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ipe interposed between the collector pipe and the swivel join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llector pipe through a joint par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길이 방향으로 하수의 수평 유동을 생성하는 교반장치;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장치;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수용된 하수에서 분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배출장치; 및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수용된 하수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배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는,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전단에 형성되어, 하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부스터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유입부의 하수가 상기 부스터의 하단에 형성되는 부스터홀을 통해 유입되는 생물혼합부; 상기 생물혼합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교반장치와 상기 슬러지배출장치가 배치되는 생물반응부; 및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생물반응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처리수배출장치가 배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inuous batch bioreactor in which sewage is continuously introduced; A stirring device for generating a horizontal flow of sewag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inuous batch bioreactor; Aeration device for supplying air to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separated from the sewage contained 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to the outside; And a sludge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sludge separated from the sewage contained 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n inflow inlet; A biological mixing portion which is separated from the inflow portion by a booster and into which the sewage of the inflow portion is introduced through a booster hol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ooster; A biological reaction part which is separated from the biological mixing part and in which the agitation device and the sludge discharge device are disposed; And a discharge portion formed at a rear end of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nd separated from the biological reaction portion, wherein the treated water discharge device is dispos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가 교반장치, 산기장치, 처리수배출장치 및 슬러지배출장치를 포함하고 유입부, 생물혼합부, 생물반응부 및 배출부를 둠으로써 BOD, COD, SS, T-N, T-P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유지관리비가 저렴하며 유기물 제거 효율이 우수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includes the stirring device, the anaerobic device, the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and the sludge discharging device and has an inlet portion, a biological mixing portion, a biological reaction portion, , SS, TN, TP removal efficiency, low maintenance cost, and excellent organic removal efficiency.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가 복수의 부스터에 의해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부스터는 하수의 반응시간을 증가시켜 하수의 유량변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하수의 연속유입에 따른 와류를 해소시키고 유기물의 선택역할을 하여 사상균을 억제할 수 있고, 업부스터는 하수가 상향류로 유입됨으로써 상하 교반효율을 증대시켜 미생물과 혼합효과가 증대되어 반응효율이 증대되고, 다운부스터는 하수가 하향류로 유입됨으로써 상하 교반효율을 증대시켜 미생물과 혼합효과가 증대되어 반응효율이 증대되며 다운부스터홀 상부에 부착된 세스톤 리무버에 의해 처리수 배출시 슬러지, 세스톤 등의 유출을 배제하여 양질의 처리수를 배출함으로써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Since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is constructed by dividing by the plurality of booster, the booster can increase the reaction time of the sewage, absorb the shock due to the variation of the flow rate of the sewage, solve the vortex caused by continuous inflow of sewage, The up-booster can increase the mixing efficiency with the micro-organism by increasing the up-and-down agitation efficiency by flowing the sewage into the upward flow, and the reaction efficiency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mixing up with the microorganism is increased and the reac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the Seeston remover attached on the upper booster hole, the effluent of sludge and cestone is excluded when the treated water is discharged, The discharg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종래 산기장치 상부에만 단순혼합이 가능하였으나 스프레더를 둠으로써 산기장치와 산기장치 사이의 비공기방울영역을 완전 혼합하여 처리효율이 증대되며 산기장치 수량을 줄임으로써 설치비 및 유지관리비가 감소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Conventionally, it is possible to simply mix only on the upper part of the apparatus. However, by installing the spreader, the non-air bubble area between the air diffuser and the air diffuser is completely mixed to increase the treatment efficiency and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배출장치는 디켄터 웨어, 스컴 피보팅 플로트 및 사이드월을 둠으로써 처리수 배출시 유입될 수 있는 스컴 등 이물질을 배제하여 처리수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The discharging device can improve the quality of treated water by eliminating foreign materials such as decanterware, scum pivoting float, and sidewalls, which can be introduced at the time of discharge of treated water.
스위벨 조인트를 구비한 디켄터로 인해 처리수 배출을 위한 하강 및 상승속도가 빨라져 처리수 배출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처리수 배출시간을 줄이고 반응시간을 늘려 전체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설정수위에 빨리 도달함으로써 슬러지 및 세스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The decanter with the swivel joint increases the descending and rising speed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to increase the discharged amount of the treated water, thereby reducing the discharge time of the treated water and increasing the reaction time to increase the overall treatment efficiency, And the outflow of the cestone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가 사용된 수처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산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산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산기장치를 구동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처리수배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처리수배출장치의 일 예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처리수배출장치에 형성된 조인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처리수배출장치에 형성된 스위벨 조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방법의 운전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방법의 다른 운전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4 is a view showing a diffuser.
5 is a plan view showing a diffuser.
6 is a diagram showing the air diffuser in a driving state.
7 is a view showing a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8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Fig. 9 is a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formed in the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of Fig. 8; Fig.
10 is a view showing a swivel joint formed in the process water discharging device of FIG.
1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model of a water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operation model of the water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on"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objec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Furthermore, the term " coupled " does not mean that only a physical contact is made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but the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t should be used as a concept to cover until the componen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izes and thicknesse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스비알 공법에 의한 수처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water treatment method and an apparatus used theref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element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가 사용된 수처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to b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1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 교반장치(200), 산기장치(300), 처리수배출장치(400) 및 슬러지배출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에는 하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100), sewage can be continuously introduced.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에서는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에 의해 하수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하수는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처리수는 하수에서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에 슬러지가 침강되고 남은 부분일 수 있다.In the continuous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는 길이 방향, 즉 하수가 유입되는 전단에서 처리수가 배출되는 후단까지 차례로 유입부(110), 생물혼합부(130), 생물반응부(150) 및 배출부(170)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inuous
유입부(11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는 1차적으로 유입부(110)로 공급될 수 있다. 유입부(110)에는 산기장치(300)가 배치될 수 있다. 유입부(11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전체 길이의 10% ~ 30%의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10)는 부스터(120)에 의해 생물혼합부(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부스터(12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저면에서 유입부(110)에 수용된 하수의 수면 상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부스터(120)는 벽(wall)일 수 있다. 부스터(120)의 하단에는 유입부(110)와 생물혼합부(130)를 연결하는 부스터홀(121)이 부스터(12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부스터(120)에 형성된 부스터홀(121)은 하수의 반응시간을 증가시키고 하수의 유량변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하수의 연속유입에 따른 와류를 해소시키고 유기물의 선택역할을 하여 사상균을 억제할 수 있다.The
생물혼합부(130)는 유입부(110)와 생물반응부(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부(110)에 수용된 하수는 부스터홀(121)을 통해 생물혼합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생물혼합부(130)는 유입부(110)로부터 유입되는 하수가 미생물과 충분히 혼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생물혼합부(130)에는 산기장치(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생물혼합부(130)는 업부스터(140)에 의해 생물반응부(1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업부스터(14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저면에서 생물반응부(150)에 수용된 하수의 수면(W)의 하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업부스터(140)는 벽(wall)일 수 있다. 업부스터(140)에는 생물혼합부(130)와 생물반응부(150)를 연결하는 업부스터홀(141)이 업부스터(1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업부스터홀(141)은 생물혼합부(130)에서 생물반응부(150)까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하수의 상승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상하 교반 효율을 증대시켜 미생물과의 혼합 및 반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업부스터홀(141)의 출구는 업부스터홀(141)의 입구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업부스터홀(141)의 출구는 생물반응부(150)의 저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생물반응부(150)에 침전된 슬러지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슬러지 침전시 연속적인 하수 유입에 따른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한편, 업부스터(140)는 생물반응부(150)에 수용된 하수의 수면(W)의 하측까지만 연장되므로, 생물혼합부(130)에 수용된 하수는 업부스터홀(141)뿐만 아니라 업부스터(140)의 상측을 통해서도 생물반응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업부스터(14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측벽으로부터 이격 배치됨으로써, 생물혼합부(130)에 수용된 하수는 업부스터(140)와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측벽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도 생물반응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The up
생물반응부(150)는 생물혼합부(130)와 배출부(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생물혼합부(130)에 수용된 하수는 업부스터홀(141)을 통해 생물반응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생물반응부(150)는 미생물에 의한 하수처리, 침전 및 슬러지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생물반응부(150)에는 교반장치(200), 산기장치(300) 및 슬러지배출장치(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생물반응부(15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전체 길이의 70% 이상의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슬러지 침전시 연속적인 하수 유입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길이 대 폭이 2 ~ 4 : 1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생물반응부(150)는 다운부스터(160)에 의해 배출부(17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다운부스터(16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저면에서 생물반응부(150)에 수용된 하수의 수면(W)의 하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운부스터(160)는 벽(wall)일 수 있다. 다운부스터(160)에는 생물반응부(150)와 배출부(170)를 연결하는 다운부스터홀(161)이 다운부스터(16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운부스터홀(161)은 생물반응부(150)에서 배출부(170)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하수의 하강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상하 교반 효율을 증대시켜 미생물과의 혼합 및 반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다운부스터홀(161)의 출구는 다운부스터홀(161)의 입구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운부스터홀(161)의 입구는 생물반응부(150)의 저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생물반응부(150)에 침전된 슬러지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슬러지 침전시 연속적인 하수 유입에 따른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한편, 다운부스터(160)는 생물반응부(150)에 수용된 하수의 수면(W)의 하측까지만 연장되므로, 생물반응부(150)에 수용된 하수는 다운부스터홀(161)뿐만 아니라 다운부스터(160)의 상측을 통해서도 배출부(17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다운부스터(16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측벽으로부터 이격 배치됨으로써, 생물반응부(150)에 수용된 하수는 다운부스터(160)와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측벽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도 배출부(170)로 유입될 수 있다. 다운부스터(160)에는 다운부스터홀(161)의 상측에 배치되어 배출부(170) 측으로 하향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세스톤 리무버(163)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세스톤 리무버(163)는 처리수 배출시 슬러지, 세스톤 등의 이물질이 처리수와 함께 상승하여 배출되는 것을 배제함으로써 처리수의 수질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The down
배출부(17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생물반응부(150)에 수용된 하수는 다운부스터홀(161)을 통해 배출부(170)로 유입될 수 있다. 배출부(170)에는 산기장치(300) 및 처리수배출장치(400)가 배치될 수 있다.The
교반장치(20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길이 방향으로 하수의 수평 유동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교반장치(20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양 측벽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 유동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일 측벽에 설치된 하나의 교반장치(20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전단 측에서 후단 측으로 수평 유동을 생성할 수 있고,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반대 측벽에 설치된 다른 하나의 교반장치(20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후단 측에서 전단 측으로 수평 유동을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교반장치(200)는 수평면 상에서 순환 유동을 생성할 수 있다. 교반장치(200)는 수평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임펠러(impell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irring
산기장치(30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에 미생물의 호기 반응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air diffuser (300) can supply the air required for aerobic reaction of the microorganisms to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100).
도 4는 산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산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산기장치를 구동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diffuser,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diffuser,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diffuser in a driven state.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산기장치(300)는 드랍파이프(301), 매니폴드(302), 디스트리뷰션 헤더 파이프(303), 공기공급관(310), 산기부(320), 멤브레인(330), 스프레더(340) 및 가이드기둥(350)을 포함할 수 있다.4 to 6, the
드랍파이프(301)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송풍기(S)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고,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하부로 하향 연장될 수 있다.The
매니폴드(302)는 드랍파이프(301)와 디스트리뷰션 헤더 파이프(30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manifold 302 may be formed between the
디스트리뷰션 헤더 파이프(303)는 드랍파이프(301)의 하단에서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즉, 공기는 드랍파이프(301) 및 매니폴드(302)를 차례로 거쳐 디스트리뷰션 헤더 파이프(303)로 이송될 수 있다.The
공기공급관(310)은 디스트리뷰션 헤더 파이프(303)에서 분기되어 디스트리뷰션 헤더 파이프(303)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고,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입부(110)에서 배출부(170)까지 수평 연장될 수 있다.The
산기부(320)는 공기공급관(310)에 결합되어 공기공급관(310)을 통해 이송된 공기를 상측으로 분사할 수 있다. 산기부(3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 개의 산기부(320)는 공기공급관(3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산기부(320)는 공기공급관(310)에 연결되어 공기를 상측으로 분사하는 깔때기 형상의 디퓨저홀더(321), 디퓨저홀더(321)의 하부에 형성되어 공기공급관(310)의 내부와 디퓨저홀더(321)의 내부를 연결하는 오리피스(322) 및 디퓨저홀더(321)를 공기공급관(310)에 고정하는 리테이너(3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멤브레인(330)은 산기부(320)와 협력하여 산기부(320)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C)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멤브레인(330)은 산기부(320)의 상단 모서리와 마찬가지로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산기부(320)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산기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멤브레인(330)은 평상시 수평 상태일 수 있고, 산기부(320)을 통해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수용공간(C)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상측으로 팽창할 수 있다. 멤브레인(330)이 팽창하게 되면, 멤브레인(3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공기배출구(331)가 개방됨으로써 산기부(320)를 통해 분사된 공기는 제1 공기배출구(331)를 통해 하수로 공급될 수 있다.The
스프레더(340)는 멤브레인(3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레더(34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레더(34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저면에서 상향 연장되는 가이드바(18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바(180)의 상단에는 스프레더(340)의 최대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19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프레더(340)는 평상시 자중에 의해 멤브레인(330)에 안착된 상태일 수 있고, 제1 공기배출구(331)를 통해 공기 방울이 분사되면 형성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스프레더(340)는 커버플레이트(341) 및 가이드고리(34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341)는 멤브레인(330)에 안착하여 멤브레인(330)을 감쌈으로써 멤브레인(330)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341)에는 복수 개의 제2 공기배출구(342)가 커버플레이트(341)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고리(343)는 커버플레이트(34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고리(343)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바(180)는 가이드고리(343)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스프레더(340)는 제1 공기배출구(331)를 통해 배출된 공기 방울을 산기부(320)의 측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즉, 제1 공기배출구(331)를 통해 배출된 공기 방울은 제2 공기배출구(342)를 통해 상승하거나 커버플레이트(341)의 하면을 따라 이동하여 가이드고리(343)를 따라 산기부(320)의 측방으로 확산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 개의 산기부(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비공기방울영역(Z)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산기부(320)에서 분사되는 대부분의 공기 방울이 상향 이동하는 결과로 복수 개의 산기부(320) 사이에 공기 방울이 공급되지 않는 비공기방울영역(Z)이 형성될 수 있으나, 스프레더(340)에 의해 비공기방울영역(Z)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산기부(320)의 설치 수량을 줄일 수 있어 설치 및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가이드고리(343)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물이 채워진 플로터(345)가 형성됨으로써, 스프레더(340)의 상향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가이드기둥(350)은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기둥(350)은 복수 개의 산기부(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기둥(350)은 상부에서 공기 방울을 하향 안내하는 곡면이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기둥(350)의 상부는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직경도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가이드기둥(350)은 공기 방울의 하강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비공기방울영역(Z)의 크기를 더욱 축소시킬 수 있다.The
처리수배출장치(40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에 수용된 하수에서 분리된 처리수를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treated
도 7은 처리수배출장치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처리수배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처리수배출장치에 형성된 조인트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의 처리수배출장치에 형성된 스위벨 조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front view showing a process water discharging device, Fig. 9 is a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formed in the process water discharging device of Fig. 8, Fig. 10 is a view showing a process Fig. 2 is a view of a swivel joint formed in a water discharge device.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처리수배출장치(400)는 디켄터(410), 다운커머 파이프(420), 콜렉터파이프(430), 조인트부(440), 연결관(450), 스위벨 조인트(460) 및 처리수배출관(470)을 포함할 수 있다.7 to 10, the process
디켄터(41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에 설치된 견인장치(480)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견인장치(480)는 와이어 윈치(winch), 액츄에이터, 벨트, 체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디켄터(410)는 디켄터 웨어(411), 디켄터 트러프(412) 및 디켄터 거터(413)를 구비하여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처리수가 디켄터(410)로 유입될 수 있다. 디켄터 웨어(411)는 디켄터(410)에서 처리수가 유입되는 입구를 의미할 수 있다. 디켄터 트러프(412)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운커머 파이프(420)에 결합될 수 있다. 디켄터 거터(413)는 디켄터(410)에서 처리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의미할 수 있다. 디켄터 웨어(411)는 디켄터 트러프(412)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고, 디켄터 거터(413)는 디켄터 트러프(412)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켄터(410)는 스컴 피보팅 플로트(414) 및 사이드월(415)을 구비하여 스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스컴 피보팅 플로트(414)는 물에 뜰 수 있도록 탱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이드월(415)을 통해 디켄터 트러프(4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월(415)은 스컴 피보팅 플로트(415)의 양단에서 디켄터 트러프(412)까지 각각 연장됨으로써 스컴 피보팅 플로트(415)와 디켄터 트러프(412) 사이로 스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다운커머 파이프(420)는 디켄터(410)에서 하향 연장될 수 있고, 디켄터(410)에서 유입된 처리수를 콜렉터파이프(430)로 이송할 수 있다The
콜렉터파이프(430)는 다운커머 파이프(420)의 하단에 결합되어 다운커머 파이프(420)를 통해 이송된 처리수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콜렉터파이프(430)에 연결되는 다운커머 파이프(420)가 복수 개인 경우에 각각의 다운커머 파이프(420)를 통해 이송된 처리수는 콜렉터파이프(430)에 모일 수 있다. 콜렉터파이프(430)는 수평 연장될 수 있다.The
조인트부(440)는 콜렉터파이프(430)의 단부와 연결관(450)의 일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콜렉터파이프(430)는 조인트부(440)를 통해 연결관(4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인트부(440)는 중공의 제1 원통부(441), 제1 슬리브(443), 제1 플랜지커버(445) 및 로터리 씰(44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통부(441)는 연결관(450)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에 결합되어 연결관(450)의 단부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슬리브(443)는 콜렉터파이프(4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콜렉터파이프(4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제1 원통부(44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플랜지커버(445)는 제1 원통부(441)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1 원통부(441)와 콜렉터파이프(43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플랜지커버(445)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터리 씰(447)은 제1 슬리브(443)와 제1 플랜지커버(445)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원통부(441)와 콜렉터파이프(43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제1 원통부(441)와 콜렉터파이프(43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하수 또는 처리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콜렉터파이프(430)는 간소화된 구조의 조인트부(440)를 통해 연결관(4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누수 염려 없이 원활한 처리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연결관(450)은 콜렉터파이프(430) 및 처리수배출관(470)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관(450)의 양단에는 90°로 굽은 엘보가 형성됨으로써, 연결관(450)은 일단에서 조인트부(440)를 통해 콜렉터파이프(4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타단에서 스위벨 조인트(460)를 통해 처리수배출관(4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스위벨 조인트(460)는 연결관(450)의 타단과 처리수배출관(470)의 일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50)은 스위벨 조인트(460)를 통해 처리수배출관(4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위벨 조인트(460)는 중공의 제2 원통부(461), 제2 슬리브(463) 및 제2 플랜지커버(4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원통부(461)는 연결관(450)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에 결합되어 연결관(450)의 단부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슬리브(463)는 처리수배출관(47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원통부(46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플랜지커버(465)는 제2 원통부(461)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 원통부(461)와 처리수배출관(47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플랜지커버(465)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관(450)은 간소화된 구조의 스위벨 조인트(460)를 통해 처리수배출관(4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누수 염려 없이 원활한 처리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wivel joint 460 may be form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처리수배출관(470)은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에 고정될 수 있고, 콜렉터파이프(430)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처리수배출관(470)은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를 관통하여 일단이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내부에서 수평 연장될 수 있고 타단이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처리수조(20)로 연결될 수 있다. 디켄터(410)와 처리수배출관(470)을 연결하는 회전 조인트를 조인트부(440)와 스위벨 조인트(460)의 다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디켄터(410)의 승강 속도를 향상시켜 처리수 배출량을 증가시키고 처리수 배출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반응시간을 늘려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설정 수위에 빨리 도달하게 함으로써 슬러지 및 세스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cess
슬러지배출장치(500)는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에 수용된 하수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슬러지배출장치(500)는 생물반응부(150)의 하부에 연결되는 슬러지배출관 및 슬러지배출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슬러지배출관은 슬러지저류조(30)에 연결될 수 있다.Th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방법은 에스비알 공법에 의한 수처리방법으로서 제1 포기 단계(S100), 제1 비포기 단계(S110), 제2 포기 단계(S120), 제2 비포기 단계(S130), 제3 포기 단계(S140), 제3 비포기 단계(S150), 제4 포기 단계(S160), 침전 단계(S170) 및 배출 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10)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water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BR method, including a first discarding step S100, a first non-discarding step S110, a second discarding step S120, The second unreleasing step S130, the third releasing step S140, the third non-releasing step S150, the fourth releasing step S160, the settling step S170, and the discharging step S180 , A
먼저, 포기 단계(S100, S120, S140, S160)에서는 산기장치(300)를 구동하여 미생물에 의한 호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교반장치(200)도 구동 상태일 수 있고, 처리수배출장치(400) 및 슬러지배출장치(500)의 구동은 중단될 수 있다. 즉, 디켄터(450)는 수면(W)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슬러지배출장치(500)의 개폐밸브는 폐쇄될 수 있다. 포기 단계(S100, S120, S140, S160)는 각각의 단계별로 30분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포기 단계(S110, S130, S150)에서는 산기장치(300)의 구동을 중단하고 교반장치(200)를 구동하거나 구동을 중단한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한 무산소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처리수배출장치(400) 및 슬러지배출장치(500)의 구동은 중단될 수 있다. 비포기 단계(S110, S130, S150)는 각각의 단계별로 28분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기 단계(S100, S120, S140, S160)와 비포기 단계(S110, S130, S150)는 교번적으로 진행되어, 포기 단계(S100, S120, S140, S160)는 4회 이상에 걸쳐 실시되고, 비포기 단계(S110, S130, S150)는 3회 이상에 걸쳐 실시될 수 있다. 제4 포기 단계(S160)에서 하수는 NH3-N이 20mg/ℓ 이하가 될 수 있고 T-P는 2mg/ℓ 이하가 될 수 있다.First, in the aeration steps (S100, S120, S140, and S160), the
다음으로, 침전 단계(S170)에서는 슬러지가 침전될 수 있도록 교반장치(200)와 산기장치(300)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슬러지의 상측에는 처리수가 형성될 수 있다. 침전단계(S170)는 60분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in the precipitation step (S170), the driving of the
다음으로, 배출 단계(S180)에서는 처리수 배출 및 슬러지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처리수배출장치(400) 및 슬러지배출장치(50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교반장치(200)와 산기장치(300)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방법의 포기 단계(S100, S120, S140, S160), 비포기 단계(S110, S130, S150), 침전 단계(S170) 및 배출 단계(S180)에서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100)에는 하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방법은 1회당 4.8시간 이내로 이루어질 수 있고, 1일 5주기로 반복되어 1주기당 설정 유량의 1/6 ~ 1/4를 처리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Next, in the discharging step S180, the treated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방법의 운전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방법의 다른 운전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2 illustrates an operation model of a water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llustrates another operation model of the water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방법의 운전모델이 일 최대운전 및 비상운전으로 각각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 the operation model of the water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ly shown as a maximum operation operation and an emergency operation operation, respectively.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dditions to, or additions to, the component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 수용공간
S: 송풍기
W: 수면
Z: 비공기방울영역
10: 수처리장치
20: 처리수조
30: 슬러지저류조
40: 소독장치
100: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
110: 유입부
120: 부스터
121: 부스터홀
130: 생물혼합부
140: 업부스터
141: 업부스터홀
150: 생물반응부
160: 다운부스터
161: 다운부스터홀
163: 세스톤 리무버
170: 배출부
180: 가이드바
190: 스토퍼
200: 교반장치
300: 산기장치
301: 드랍파이프
302: 매니폴드
303: 디스트리뷰션 헤더 파이프
310: 공기공급관
320: 산기부
321: 디퓨저홀더
322: 오리피스
323: 리테이너
330: 멤브레인
331: 제1 공기배출구
340: 스프레더
341: 커버플레이트
342: 제2 공기배출구
343: 가이드고리
345: 플로터
350: 가이드기둥
400: 처리수배출장치
410: 디켄터
411: 디켄터 웨어
412: 디켄터 트러프
413: 디켄터 거터
414: 스컴 피보팅 플로트
415: 사이드월
420: 다운커머 파이프
430: 콜렉터파이프
440: 조인트부
441: 제1 원통부
443: 제1 슬리브
445: 제1 플랜지커버
447: 로터리 씰
450: 연결관
460: 스위벨 조인트
461: 제2 원통부
463: 제2 슬리브
465: 제2 플랜지커버
470: 처리수배출관
480: 견인장치
500: 슬러지배출장치C: Capacity space
S: blower
W: Sleep
Z: non-air bubble region
10: Water treatment device
20: Treatment tank
30: Sludge storage tank
40: disinfection device
100: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110: inlet
120: Booster
121: Booster hole
130: biological mixing section
140: Up Booster
141: Up Booster Hole
150: biological reaction unit
160: Down Booster
161: Down Booster Hall
163: Seeston Remover
170:
180: Guide bar
190: Stopper
200: stirring device
300: aeration device
301: Drop pipe
302: Manifold
303: Distribution header pipe
310: air supply pipe
320:
321: Diffuser holder
322: Orifice
323: Retainer
330: Membrane
331: First air outlet
340: spreader
341: Cover plate
342: second air outlet
343: Guide ring
345: Plotter
350: Guide pillar
400: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410: decanter
411: Decanterware
412: Decanter Truffle
413: decanter gutters
414: Schem pivoting float
415: Sidewall
420: Downcomer pipe
430: Collector pipe
440: joint part
441:
443: first sleeve
445: first flange cover
447: Rotary seal
450: Connector
460: Swivel joint
461:
463: second sleeve
465: Second flange cover
470: Process water outlet pipe
480: Towing device
500: sludge discharge device
Claims (10)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길이 방향으로 하수의 수평 유동을 생성하는 교반장치;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장치;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수용된 하수에서 분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배출장치; 및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수용된 하수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배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는,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전단에 형성되어, 하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부스터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유입부의 하수가 상기 부스터의 하단에 형성되는 부스터홀을 통해 유입되는 생물혼합부;
상기 생물혼합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교반장치와 상기 슬러지배출장치가 배치되는 생물반응부; 및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생물반응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처리수배출장치가 배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수배출장치는,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설치된 견인장치에 의해 상하 이동하고, 디켄터 웨어, 디켄터 트러프 및 디켄터 거터를 구비하여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처리수가 유입되고, 스컴 피보팅 플로트 및 사이드월을 구비하여 스컴 유입을 방지하는 디켄터;
상기 디켄터에서 하향 연장되는 다운커머 파이프;
상기 다운커머 파이프의 하단에 결합되어 처리수를 수집하는 콜렉터파이프; 및
상기 콜렉터파이프가 스위벨 조인트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고정되는 처리수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산기장치는,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하부로 연장되는 드랍파이프;
상기 드랍파이프의 하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디스트리뷰션 헤더 파이프;
상기 드랍파이프와 상기 디스트리뷰션 헤더 파이프 사이에 형성되는 매니폴드;
상기 디스트리뷰션 헤더 파이프에서 분기되고,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배출부까지 수평 연장되는 공기공급관;
상기 공기공급관의 공기를 상측으로 분사하는 복수 개의 산기부;
상기 산기부와 협력하여 상기 산기부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산기부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제1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 방울을 상기 복수 개의 산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비공기방울영역으로 확산시키는 스프레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A continuous batch bioreactor into which sewage is continuously introduced;
A stirring device for generating a horizontal flow of sewag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inuous batch bioreactor;
Aeration device for supplying air to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separated from the sewage contained 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to the outside; And
And a sludge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sludge separated from the sewage contained 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to the outside,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comprises:
An inflow section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nd continuously introducing sewage;
A biological mixing portion which is separated from the inflow portion by a booster and into which the sewage of the inflow portion is introduced through a booster hol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ooster;
A biological reaction part which is separated from the biological mixing part and in which the agitation device and the sludge discharge device are disposed; And
And a discharge part formed at a rear end of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and separated from the biological reaction part, in whic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device is disposed,
The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includes:
A decanterware, a decanter trough, and a decanter gutter to allow the treated water of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to flow in, and a scum pivoting float and a sidewall are provided, A decanter for preventing inflow;
A downcomer pi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ecanter;
A collector pip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downcomer pipe to collect treated water; And
Wherein the collector pipe is rotatably coupled through a swivel joint and is fixed to the continuous batch bioreactor,
The above-
A drop pipe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tinuous batch bioreactor;
A distribution header pipe extending horizontally at a lower end of the drop pipe;
A manifold formed between the drop pipe and the distribution header pipe;
An air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distribution header pipe and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 plurality of acid bases for spraying the air of the air supply pipe upward;
A membrane coupled to the acid base to form a containment space for receiving air ejected from the acid base in cooperation with the acid base, the membran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ir outlets; And
Air bubble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are diffused into a non-air bubble region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acid bases, And a spreader.
상기 처리수배출장치는,
상기 콜렉터파이프와 상기 스위벨 조인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콜렉터파이프에 조인트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pipe interposed between the collector pipe and the swivel join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llector pipe through a joint portion.
상기 산기부는,
상기 공기공급관에 연결되어 공기를 상측으로 분사하는 깔때기 형상의 디퓨저홀더;
상기 디퓨저홀더를 상기 공기공급관에 고정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디퓨저홀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공급관의 내부와 상기 디퓨저홀더의 내부를 연결하는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id-
A funnel-shaped diffuser hold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for spraying air upward;
A retainer for fixing the diffuser holder to the air supply pipe; And
And an orific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ffuser holder for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air supply pipe and the inside of the diffuser holder.
상기 스프레더는 자중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1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 방울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eader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by self weight and is raised by air bubble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멤브레인을 감싸고, 복수 개의 제2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의 저면에서 상향 연장되는 가이드바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가이드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reader
A cover plate surrounding the membrane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air outlets; And
And an annular guide ring extending upward at an edge of the cover plate and coupled to the guide bar upwardly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inuous batch bioreactor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상기 가이드고리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물이 채워진 플로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floater filled with water is formed on a part or the whole of the guide ring.
상기 산기장치는,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산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고리를 따라 이동한 공기 방울을 하향 안내하는 곡면이 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기둥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bove-
Further comprising a guide pillar coupled to the continuous batch bioreactor and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acid bases and having a curved surface formed on the side thereof for guiding downward air bubbles moved along the guide collar.
상기 산기장치를 구동하여 미생물에 의한 호기 공정을 수행하는 포기 단계;
상기 산기장치의 구동을 중단하여 미생물에 의한 무산소 공정을 수행하는 비포기 단계;
상기 산기장치와 상기 교반장치의 구동을 중단하는 침전 단계; 및
상기 연속배치식 생물반응조에서 처리수와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포기 단계 및 상기 비포기 단계는 교번적으로 진행되어, 상기 포기 단계는 4회 이상에 걸쳐 실시되고 상기 비포기 단계는 3회 이상에 걸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A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eration step of performing the aerobic process by microorganisms by driving the anaerobic device;
A non-aeration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anaerobic device and performing anaerobic process by microorganisms;
A precipitation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air diffuser and the stirring device; And
And a discharge step of discharging treated water and sludge in the continuous batch type bioreactor,
Wherein the aeration step and the non-aeration step are alternately performed such that the aeration step is performed over four times and the non-aeration step is performed over three or more tim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9522A KR101741655B1 (en) | 2016-10-25 | 2016-10-25 | Sewage treatment methods using sequencing batch reactor and apparatus used there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9522A KR101741655B1 (en) | 2016-10-25 | 2016-10-25 | Sewage treatment methods using sequencing batch reactor and apparatus used therein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9222A Division KR101672022B1 (en) | 2016-02-18 | 2016-02-18 | Sewage treatment methods using sequencing batch reactor and apparatus used therei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1655B1 true KR101741655B1 (en) | 2017-06-01 |
Family
ID=5922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9522A KR101741655B1 (en) | 2016-10-25 | 2016-10-25 | Sewage treatment methods using sequencing batch reactor and apparatus used there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1655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4568B1 (en) * | 2004-06-08 | 2005-01-03 | 장한정 |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 Water |
-
2016
- 2016-10-25 KR KR1020160139522A patent/KR10174165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4568B1 (en) * | 2004-06-08 | 2005-01-03 | 장한정 |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 Wa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61554B (en) | Anaerobic hydrolysis-acidification and anoxic-aerobic process-sequencing batch reactor (AO-SBR) integrated sewage treatment reaction tank | |
JP2011110520A (en) |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waste water and method of treating organic waste water | |
CN107572737A (en) | A kind of six sections of biochemical sewage processing methods | |
CN105836970A (en) | Sewage treatment device | |
KR102370635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water | |
KR101672022B1 (en) | Sewage treatment methods using sequencing batch reactor and apparatus used therein | |
KR101750449B1 (en) | a small siz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of SBR method using both fixed and speed changeable floating aerator and a floating discharge device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 |
KR101741655B1 (en) | Sewage treatment methods using sequencing batch reactor and apparatus used therein | |
KR100882818B1 (en) | An aeration apparatus | |
CN208843873U (en) | A kind of oxidation equipment | |
CN108793599B (en) | Low-concentration organic sewage treatment system | |
KR101817471B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JP3150530B2 (en) | Biological nitrogen removal equipment | |
JP2006007033A (en) | Biological treatment tank for waste water and biologically treating method | |
JP4349679B2 (en) | Nitrogen removal equipment | |
CN201240940Y (en) | Lateral ditch type integrated biological reaction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 |
CN204058056U (en) | A kind of Continuous Flow permanent water level SBR waste disposal plant | |
JP2004305916A (en) | Membrane separator | |
CN201334396Y (en) | Center island type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of integrated circulatory biological reactor | |
CN105668779B (en) | A kind of circulating oxygenation biochemical device | |
CN205419912U (en) | Circulatingly oxygenate biochemical ware | |
CN110194530A (en) | Waste water and sewage disposal system | |
KR100456661B1 (en) | Decanter for Discharging Supernatant | |
JP6448177B2 (en) | Aerobic / anaerobic combined reaction tan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2300414B1 (en) | High efficiency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