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310B1 - 낚시대 거치장비 - Google Patents

낚시대 거치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310B1
KR101741310B1 KR1020150040874A KR20150040874A KR101741310B1 KR 101741310 B1 KR101741310 B1 KR 101741310B1 KR 1020150040874 A KR1020150040874 A KR 1020150040874A KR 20150040874 A KR20150040874 A KR 20150040874A KR 101741310 B1 KR101741310 B1 KR 101741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pair
user
mounting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788A (ko
Inventor
윤태진
Original Assignee
윤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진 filed Critical 윤태진
Priority to KR102015004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31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2Fishing rod hold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대 거치장비로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몸체부와, 낚시대를 거치시키기 위하여 몸체부의 길이 방향 일정 영역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되, 하방으로 라운드 지도록 절곡되어 확장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거치부 및 몸체부에 대한 별도의 체결수단을 체결하기 위하여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낚시대 거치장비를 제공한다.
따라서, 어깨에 착용한 상태로 낚시대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어 휴대성과 활동성이 좋은 낚시대 거치장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낚시대 거치장비{A support frame for fishing ro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낚시대 거치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팔을 거치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낚시대 거치장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현재 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 속에 여가를 즐기기 위한 목적으로서 혹은 전문적인 직업으로서 낚시를 즐겨 행한다. 이렇게 낚시를 하는 과정 가운데에서 낚시대를 양 손이 아닌 어느 한 손으로만 다루어야 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낚시대는 길이가 약 5 m 이상인 것이 대부분이며, 그 이하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중량이 어느 정도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낚시대를 한 손으로 다루는 것은 항상 쉬운 것만은 아니다.
바다에 낚시 바늘을 투척한 경우에 바람이나 해류의 환경 등에 영향을 받아 낚시대가 유동하는 경우와, 큰 고기가 낚여 낚시대가 유동하는 경우 등 장시간 낚시 활동으로 사용자의 팔에는 지속적인 무리가 가게 된다. 때문에 결국에는 사용자의 팔에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갯바위 등 협소한 장소에서 장시간 낚시 활동 중에 바늘에 미끼를 끼우거나 다른 부수적인 행동을 취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모든 행동이 사용자에게 용이하지 못하고 특히 낚시의 경험이 많지 않은 초보자들은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낚시 활동에 애를 먹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일반적인 낚시 거치대는 낚시대의 손잡이 부위를 지지하게 되며, 받침대와 거치대는 지면에 전후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꽂혀져 낚시대를 지지하게 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단순히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것에 초점을 둔 것으로 이동 상의 휴대성은 전혀 고려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손쉽고 간편하게 낚시를 즐기기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105097호
본 발명은, 어깨에 착용한 상태로 낚시대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낚시대 거치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낚시 중 또는 이동 중에도 팔을 거치할 수 있어 팔의 피로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낚시대 거치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낚시대 거치장비에 거치된 낚시대의 경사도를 아래 또는 위로 쏠리도록 선택적 조절이 가능하여 낚시 중에도 다양한 동작을 취하기가 용이한 낚시대 거치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낚시대 거치장비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몸체부; 낚시대를 거치시키기 위하여 몸체부의 길이 방향 일정 영역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되, 하방으로 라운드 지도록 절곡되어 확장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거치부; 몸체부에 대한 별도의 체결수단을 체결하기 위하여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구; 및 사용자의 어깨에 걸치거나, 크로스(Cross) 방식으로 메어 착용하도록 체결구에 체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낚시대 거치장비를 제공한다.
또한, 거치부는 표면에 낚시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는 낚시대를 안착시켜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의 상기 홈은, U자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는 밴드형 벨트(bel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체결구는 체결구들 사이로 사용자의 아래팔 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거치하도록 설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는 체결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 소정의 제 1 영역에 한 쌍의 제 1 벨크로가 구비되어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는 체결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 소정의 제 2 영역을 X자 형상으로 교차 배치시켜 교차부를 형성하고, 교차부에는 한 쌍의 제 2 벨크로가 구비되어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체결구 사이에는 사용자의 아래팔 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호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방에서 하방으로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고, 한 쌍의 체결구 사이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팔을 구부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아래팔 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안치시키기 위한 거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재는 한 쌍의 체결구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 거치부 및 체결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및 스텐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거치장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어깨에 착용한 상태로 낚시대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어 휴대성과 활동성이 좋은 낚시대 거치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낚시 중 또는 이동 중에도 팔을 거치할 수 있어 팔의 피로도를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낚시대 거치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낚시대 거치장비에 거치된 낚시대의 경사도를 아래 또는 위로 향하도록 선택적 조절이 가능하여 낚시 활동상의 다양한 행동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는 낚시대 거치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거치장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낚시대 거치장비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거치장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낚시대 거치장비(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낚시대 거치장비(100)를 사용자(P)가 착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낚시대 거치장비(100)는 몸체부(110)와, 거치부(120)와, 체결구(130)와, 체결부재(14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몸체부(110)의 너비는 낚시대(F)의 너비보다 길거나 짧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사용자(P)의 몸을 향하는 몸체부(110)의 일방은 사용자(P)의 신체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때문에 사용자(P)의 신체 측면을 향하는 몸체부(110)의 일방에는 모나거나 돌출되는 부분이 부수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사용자(P)의 신체 측면을 향하는 몸체부(110)의 일방에서 사용자(P)의 신체를 고정해주는 부수적인 가이드 수단(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을 얼마든지 가능하다. 예컨대, 이러한 가이드 수단으로는 사용자(P)가 이동 시에 몸체부(110)의 유동을 최소화 해줄 수 있도록 사용자(P)의 허리 부위 등을 감싸는 형태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복수의 거치부(120)는 낚시대(F)를 거치시키기 위하여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 일정 영역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되, 하방으로 라운드 지도록 절곡되어 확장 형성된다. 여기서 거치부(120)는 종단면 형상이 U자 형상, J자 형상, V자 형상 등에 가까우며 그 절곡되는 경사도와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된다.
거치부(120)는 표면에 낚시대(F)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지부재(120a)가 구비된다. 이러한 미끄러짐 방지부재(120a)는 낚시대(F)가 거치되는 거치부(120)의 일정 영역 또는 거치부(120)의 전체적인 영역으로 고무 재질의 패드를 부착하거나 고무 재질을 액상으로 코팅하여 형성 가능하다. 또한, 부수적으로 미끄럼 방지부재(120a) 표면에 다양한 패턴의 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끄러짐 방지와 관련된 기 공지된 다양한 수단의 적용이 가능하다.
체결구(130)는 몸체부(110)에 대한 별도의 체결수단을 체결하기 위하여 몸체부(110)의 상부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구(130)는 복수로 구비될 경우 일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비되는 체결구(130)의 상호 이격되는 간격은 사용자(P)가 팔을 구부려 걸쳤을 때 아래팔 전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너비의 설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하거나, 아래팔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너비의 설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한다.
체결부재(140)는 체결구(130)에 체결되어 사용자(P)의 어깨에 걸치거나, 크로스(Cross) 방식으로 메어 착용하는데, 이를 위하여 체결부재(140)는 끈 형태 또는 밴드형 벨트(belt) 등을 포함한다.
체결부재(140)는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체결구(130)를 통해 몸체부(110)와 체결되는데, 체결부재(14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직접적으로 체결구(130)와 매듭 맺어 묶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체결부재(14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일차적으로 걸고리(143)를 체결한 뒤 걸고리(143)를 다시 체결구(130)로 체결하는 방식이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체결부재(140)와 체결구(130)의 체결을 위해서 특정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체결부재(14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 소정의 영역인 제 1 영역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체결부재(140)의 소정의 제 1 영역은 암수 한 쌍의 제1 벨크로(141, 142)가 각기 구비되며, 제 1 벨크로(141, 142)가 체결부재(140) 상에 각각 형성되는 영역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사용자(P)가 원하는 정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체결부재(140)는 체결구(130)를 통해서 몸체부(110)에 연결되고 사용자(P)의 어깨에 크로스로 착용되었을 때, 사용자(P)의 몸체에서 교차하도록 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체결부재(14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 소정의 제 2 영역이 X자 형상으로 교차 배치되어 교차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교차부에는 암수 한 쌍의 제 2 벨크로(144, 145)가 구비되어 착탈식으로 부착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제 2 벨크로(144, 145)는 체결부재(140)의 제 2 영역에 상에서 그 형성되는 영역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P)가 부착지점을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교차되어 접하는 소정의 영역과 그 주변의 영역 각각에 제2 암수 벨크로(144, 145)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암수 벨크로(141, 142)와 마찬가지로 사용자(P)가 원하는 위치로의 체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암수 벨크로(141, 142)와 제2 암수 벨크로(144, 145)가 아니더라도 체결부재(140)의 탈부착을 위해서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 거치장비(100)에 낚시대(F)가 거치된 채로 사용자는 체결부재(140)의 길이 조절을 하여 낚시대(F)가 상방으로 들리도록 고정하거나, 하방으로 기울여 지도록 고정하여 낚시 중에도 사용자(P)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부수적인 행동을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몸체부(110), 거치부(120) 및 체결구(130)는, 낚시대(F)를 거치하기 적당한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사용자(P)가 착용하기 적당한 중량을 가지도록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및 스텐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거치장비(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서 설명하면, 거치부(220)는 낚시대(F)를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하도록 두 쌍으로 구비되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거치부(220)는 사용자의(P) 필요에 따라 그 개수와 크기를 몸체부(210) 상에서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220)에는 낚시대(F)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홈(220a)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거치부(220) 상의 낚시대(F)가 거치되어 접하는 영역으로 U자 형태, V자 형태 등의 홈(220a)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홈(220a)의 깊이와 너비는 낚시대(F)의 두께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거치부재(250)는 한 쌍의 체결구(230) 사이에서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치부재(250)는 호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방에서 하방으로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다. 때문에, 사용자(P)가 한 쌍의 체결구(230) 사이의 거치부재(250) 내부로 아래팔을 걸쳤을 때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여기서 사용자(P)의 아래팔이 접하여 거치되는 거치부재(250)의 내부는 쿠션감을 더하기 위하여 고무, 스티로폼 등의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재질을 가진 완충부재(미도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거치부재(250)는 한 쌍의 체결구(230) 사이의 영역에서 몸체부(210)와 나사방식 결합 등을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때문에 사용자(P)는 거치부재(250)에 팔을 안착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아래팔을 움일 수 있어 활동성이 커지고,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팔이 저리거나 쉽게 피로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치부재(250)는 특정 크기로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P)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거치부재(250)를 대신하여, 소정의 함몰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데, 한 쌍의 체결구(230) 사이의 몸체부(210) 영역에 사용자(P)가 팔을 구부린 상태에서 사용자(P)의 아래팔 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함몰시키는 것이다. 몸체부(210) 상의 함몰부 형성은 통상의 당업자가 본원발명을 통해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210 : 몸체부 120, 220 : 거치부
130, 230 : 체결구 140, 240 : 체결부재
141, 142, 241, 242 : 제 1 벨크로 143, 243 : 걸고리
144, 145, 244, 245 : 제 2 벨크로 250 : 거치부재

Claims (12)

  1. 낚시대 거치장비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몸체부;
    상기 낚시대를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일정 영역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되, 하방으로 라운드 지도록 절곡되어 확장 형성되고, 설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는 적어도 한 쌍의 거치부;
    상기 몸체부에 대한 별도의 체결수단을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설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체결구; 및
    사용자의 어깨에 걸치거나, 크로스(Cross) 방식으로 메어 착용하도록 상기 한쌍의 체결구 각각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 소정의 제 1 영역에 한 쌍의 제 1 벨크로가 구비되어 착탈식으로 부착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 소정의 제 2 영역을 X자 형상으로 교차 배치시켜 교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교차부에는 한 쌍의 제 2 벨크로가 구비되어 착탈식으로 부착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벨크로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의 길이가 조정되며, 상기 교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벨크로에 의한 부착 및 상기 낚시대에 거치되는 사용자의 팔에 의해 상기 낚시대의 상하방의 각도가 조정된 후 고정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거치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표면에 상기 낚시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낚시대 거치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낚시대를 안착시켜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낚시대 거치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상기 홈은, U자 형상 또는 V자 형상의 홈을 포함하는 낚시대 거치장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밴드형 벨트(belt)를 포함하는 낚시대 거치장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결구 사이에는, 상기 사용자의 아래팔 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낚시대 거치장비.
  10. 제1항에 있어서,
    호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방에서 하방으로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체결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팔을 구부린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아래팔 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안치시키기 위한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낚시대 거치장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한 쌍의 체결구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낚시대 거치장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체결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및 스텐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낚시대 거치장비.
KR1020150040874A 2015-03-24 2015-03-24 낚시대 거치장비 KR101741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74A KR101741310B1 (ko) 2015-03-24 2015-03-24 낚시대 거치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74A KR101741310B1 (ko) 2015-03-24 2015-03-24 낚시대 거치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788A KR20160114788A (ko) 2016-10-06
KR101741310B1 true KR101741310B1 (ko) 2017-05-31

Family

ID=5716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874A KR101741310B1 (ko) 2015-03-24 2015-03-24 낚시대 거치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3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5708A (ja) * 1998-10-27 2000-05-09 Ryobi Ltd 釣竿の肘当て
JP3133080B2 (ja) * 1991-01-11 2001-02-05 株式会社東芝 カラーブラウン管の製造装置
JP2009195252A (ja) * 2009-06-08 2009-09-03 Mitsuo Wada 釣竿受具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794Y1 (ko) 2000-05-19 2000-11-15 안영신 낚시대 받침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3080B2 (ja) * 1991-01-11 2001-02-05 株式会社東芝 カラーブラウン管の製造装置
JP2000125708A (ja) * 1998-10-27 2000-05-09 Ryobi Ltd 釣竿の肘当て
JP2009195252A (ja) * 2009-06-08 2009-09-03 Mitsuo Wada 釣竿受具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788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7323A (en) Belt for use with a fishing rod
EP0350841A2 (en) Load support, in particular, backpack
EP2453773B1 (en) Child carrier
US20070251965A1 (en) Load Carrying System
US7618385B2 (en) Head support
US8899455B2 (en) Articulable shoulder strap
US20110108596A1 (en) Back strain alleviating fishing pole harness
US20190269119A1 (en) Wearable Fishing Rod Holder
US10757987B2 (en) Knee pad device
US10542739B1 (en) Back strain alleviating and rail fishing assisting fishing rod harness with rotatably engaging pole receptacles and rod sliding channel
KR101741310B1 (ko) 낚시대 거치장비
US6557292B1 (en) Fishing rod support device
JP2016096993A (ja) 腰掛け装置
JP3141172U (ja) 身体装着式簡易立ち椅子
US20150296763A1 (en) Fishing Belt
EP1196120B1 (en) Head support
KR20180026036A (ko)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KR20170004273U (ko) 착용식 척추보호장치
US20190126793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sitting posture
JP3159985U (ja) 身体装着腰かけ
JP3209358U (ja) 釣竿保持具
KR20200001708A (ko) 낚시용 랜딩 보조기구
KR102307807B1 (ko) 낚시용 랜딩 보조기구
KR20170133248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JP2018193627A (ja) サポ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