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038B1 -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038B1
KR101741038B1 KR1020170052768A KR20170052768A KR101741038B1 KR 101741038 B1 KR101741038 B1 KR 101741038B1 KR 1020170052768 A KR1020170052768 A KR 1020170052768A KR 20170052768 A KR20170052768 A KR 20170052768A KR 101741038 B1 KR101741038 B1 KR 101741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s
bim
lightening
backgroun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희
김지은
박승화
윤천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52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Landscapes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은 타겟 건물에 대한 BIM 데이터를 3D 시각화를 위한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로 분리하는 단계와, 형상정보의 버텍스 수에 기반하여 타겟 건물을 선별적으로 층 별 또는 각 층의 공간 별로 분류하여 초기 경량화하는 단계와, 타겟 건물, 선별적으로 분류된 층 및 공간을 각각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객체들과 선택에서 제외된 배경 객체들로 구분하는 단계와, 선택 객체들을 선택적으로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추가 경량화하는 단계와, 배경 객체들을 하나로 그룹화하여 추가 경량화하는 단계와, 추가 경량화된 선택 객체들과 배경 객체들의 형상정보와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BIM data lightweight method and apparatus for BIM model application based on HTML5 WebGL}
본 발명은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용량의 BIM 데이터를 웹 기반의 BIM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해 BIM 데이터를 경량화할 수 있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BIM은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약자로 건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의 생애주기를 위한 모델링 및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건물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가상공간 상에 3D 모델링화함으로써 건물에 대한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트랜드이다.
이를 위한 건물 구조와 설비 정보에 대한 3D 기반의 BIM 모델링은 모델링에 필요한 구축 데이터의 크기를 가중시키며, 또한, 이를 활용하기 위한 고성능 장비를 필요로 한다.
한편, BIM의 근본적인 목적은 다수의 관계자들이 건설 생애주기에 초점을 두고 프로젝트 별, 프로세스 별로 정보의 호환, 공유를 통해 모든 단계의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활용하여, 사업성을 극대화 하고,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BIM의 이러한 목적과는 달리, 최근까지도 스탠드얼론(standalone) 형태의 단독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기존의 대표적 WebGL 기반 BIM 서비스로는 BIMSurfer, 웹 기반 오픈소스 BIM 뷰어, 웹 기반의 그래픽 라이브러리(WEBGL) 등이 있으며, 이를 이용한 IFC/BIM 데이터 시각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의 서비스는 단일 BIM 모델만 처리가능하고, 대용량 데이터 구동 및 한글 처리가 불가하며, BIM의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를 함께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AUTODESK Revit WEBGL-Publisher Export, Forge platform의 경우, 한글 처리가 불안정하고, BIM의 형상정보와 속성정보의 연계 및 데이터베이스화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누구나 접근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웹서비스를 통해서 BIM 데이터가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BIM 데이터는 대용량의 크기를 가지므로, 웹에서 쉽게 활용되도록 BIM 데이터를 최적의 방식으로 경량화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546703호(2015.08.18. 등록)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HTML5-WebGL과 같은 웹서비스를 통해서도 BIM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도록 BIM 데이터의 크기를 경량화하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BIM 데이터의 경량화가 가능하면서 BIM 데이터의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를 연계하여 관리하며, 안정적인 한글 처리가 가능한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은, (A) 타겟 건물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3D 시각화를 위한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로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형상정보의 버텍스 수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건물을 선별적으로 층 별 또는 각 층의 공간 별로 분류하여 초기 경량화하는 단계; (C) 상기 타겟 건물, 상기 선별적으로 분류된 층 및 공간을 각각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객체들과 선택에서 제외된 배경 객체들로 구분하는 단계; (D) 상기 선택 객체들을 선택적으로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추가 경량화하는 단계; (E) 상기 배경 객체들을 하나로 그룹화하여 추가 경량화하는 단계; 및 (F) 상기 추가 경량화된 선택 객체들과 배경 객체들의 형상정보와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타겟 건물에 대한 형상정보의 버텍스 수가 기준개수를 초과하면, 상기 타겟 건물에 대한 형상정보를 상기 층 별로 분류하는 단계; (B2) 상기 (B1)단계에서 분류된 각 층의 버텍스 수와 상기 기준개수를 비교하여, 버텍스 수가 상기 기준개수를 초과하는 층을 공간 별로 분류하는 단계; 및 (B3) 상기 (B2) 단계에서 분류된 각 공간의 버텍스 수와 상기 기준개수를 비교하여, 버텍스 수가 상기 기준개수를 초과하는 공간을 세부 공간으로 더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초기 경량화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류된 각각의 처리 대상을 개별적으로 인덱싱하여 웹서비스를 위한 개별 형상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C2) 상기 변환된 개별 형상 파일에 해당하는 처리 대상을 상기 선택 객체들과 상기 배경 객체들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 객체들은 웹서비스 시 상세정보가 제공되는 객체이고, 상기 배경 객체들은 상세정보가 미제공되는 객체이며, 상기 선택 객체와 배경 객체는 변경가능하다.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선택 객체들을 구성하는 메쉬의 좌표점 개수를 감소시켜 상기 선택 객체들을 경량화하는 단계; (D2) 상기 (D1) 단계에서 경량화된 선택 객체들을 동일 재질끼리 그룹화하는 단계; 및 (D3) 각 재질마다 설정된 디폴트 재질 색상으로 동일 재질끼리 그룹화된 객체들을 텍스처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배경 객체들을 단일 배경 객체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및 (E2) 상기 단일 배경 객체 그룹을 구성하는 메쉬의 좌표점 개수를 감소시켜 단일 메쉬로 변환하여 경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 단계와 상기 (E) 단계는, 상기 선택 객체들과 상기 배경 객체 그룹 중 곡선 형태를 포함하는 곡선 객체들의 버텍스 수를 감소시켜 경량화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타겟 건물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3D 시각화를 위한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로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 상기 형상정보의 버텍스 수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건물을 선별적으로 층 별 또는 각 층의 공간 별로 분류하여 초기 경량화하는 초기 경량화부; 상기 초기 경량화부에서 상기 타겟 건물, 상기 선별적으로 분류된 층 및 공간을 각각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객체들과 선택에서 제외된 배경 객체들로 구분하는 객체 처리부; 상기 선택 객체들을 선택적으로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추가 경량화하는 선택 객체 경량화부; 상기 배경 객체들을 하나로 그룹화하여 추가 경량화하는 배경 객체 경량화부; 및 상기 추가 경량화된 선택 객체들과 배경 객체들의 형상정보와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연계하는 정보 연계부;를 포함한다.
상기 초기 경량화부는, 상기 데이터 분리부에서 분리된 타겟 건물에 대한 형상정보의 버텍스 수가 기준개수를 초과하면, 상기 분리된 타겟 건물에 대한 형상정보를 상기 층 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각 층의 버텍스 수가 상기 기준개수를 초과하는 층을 공간 별로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각 공간의 버텍스 수가 상기 기준개수를 초과하는 공간을 세부 공간으로 더 분류한다.
상기 객체 처리부는, 상기 초기 경량화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류된 각각의 처리 대상을 개별적으로 인덱싱하여 웹서비스를 위한 개별 형상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개별 형상 파일에 해당하는 처리 대상을 상기 선택 객체들과 상기 배경 객체들로 분리하는 객체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 객체들은 웹서비스 시 상세정보가 제공되는 객체이고, 상기 배경 객체들은 상세정보가 미제공되는 객체이며, 상기 선택 객체와 배경 객체는 변경가능하다.
상기 선택 객체 경량화부는, 상기 선택 객체들을 구성하는 메쉬의 좌표점 개수를 감소시켜 상기 선택 객체들의 메쉬를 경량화하는 메쉬 경량화부; 상기 메쉬가 경량화된 선택 객체들을 동일 재질끼리 그룹화하는 선택 객체 그룹화부; 및 각 재질마다 설정된 디폴트 재질 색상으로 동일 재질끼리 그룹화된 객체들을 텍스처 매핑하는 텍스처 매핑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경 객체 경량화부는, 상기 배경 객체들을 단일 배경 객체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배경 객체 그룹화부; 및 상기 단일 배경 객체 그룹을 구성하는 메쉬의 좌표점 개수를 감소시켜 단일 메쉬로 변환하여 경량화하는 단일 메쉬 경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 환경에 적합하게 BIM 데이터의 크기를 효율적으로 경량화함으로써, HTML5-WebGL과 같은 웹서비스를 통해서도 누구나 BIM 데이터를 쉽게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용량의 BIM 데이터를 단일 파일보다 세분화된 다수의 파일로 분리하여 처리하기 위해, 타겟 건물을 층 또는 공간으로 구분함으로써 경량화 속도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HTML5-WebGL과 같은 웹서비스를 통해 BIM 데이터를 활용할 때, 경량화된 BIM 데이터의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를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객체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HTML5에서 BIM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안정적인 한글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HTML5는 인터넷 상의 웹 페이지 개발에 사용되는 차세대 HTML 버전으로, 현재 MS, 애플, 모질라, 구글, 오페라 등 주요 웹 브라우저 개발사가 완성도 있는 HTML5 표준 개발을 위해 참여 중이다. WebGL은 웹 기반의 OpenGL ES 2.0을 기반으로 하는 3D 그래픽 라이브러리로,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호환성이 있는 웹 브라우저에서 인터랙티브한 3D 그래픽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이는 HTML5 기반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HTML5-WebGL을 활용하여 BIM/GIS 플랫폼과 같이 다수의 BIM 데이터를 관리해야 하는 시스템을 대상으로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특히, 여러 BIM 모델 처리가 가능하며, 형상-속성정보를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효과적인 경량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S200단계의 초기 경량화 동작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도 1의 S300단계 내지 S500단계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타겟 건물을 층 별 또는 공간 별로 분류하여 개별 형상 파일을 생성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곡선 객체를 경량화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내용 이해에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TML5-WebGL 기반의 BIM(RVT, IFC)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600)는 사용자들의 접근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웹서비스를 통해서 BIM 데이터가 활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웹서비스에 최적화된 BIM 데이터의 경량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첫째, BIM 데이터를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로 분리하고, 둘째, 3D 시각화를 위한 형상정보를 주 대상으로 경량화하는 데이터 경량화 방안을 제공한다. 이로써, BIM 데이터를 기반으로 WebGL HTML 브라우저를 통해 BIM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효율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600)의 각각의 구성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내며, 반드시 각각의 구성이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분되거나 별도의 코드로 작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600)는 소정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은,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600)일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웹 기반으로 BIM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웹에 접속한 후 웹서비스를 위한 타겟 건물의 BIM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타겟 건물의 BIM 파일이 선택되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타겟 건물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3D 시각화를 위한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로 분리할 수 있다(S100). 형상정보는 타겟 건물의 3D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객체들의 형태, 크기, 방향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속성정보는 타겟 건물의 객체들의 이름, 재질, BIM 데이터 제조사/관리자/유효기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분리된 형상정보의 버텍스 수와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개수에 기반하여 타겟 건물을 선별적으로 층 별 또는 각 층의 공간 별로 분류하여 BIM 데이터를 초기 경량화할 수 있다(S200).
S200단계에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하나의 BIM 파일의 BIM 데이터를 버텍스 수를 기준으로 층 또는 공간으로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층 또는 공간을 각각의 처리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로써, 세분화된 각 처리 대상은 각각의 파일로 변환되어 추가 경량화가 진행될 수 있다.
초기 경량화를 위한 '기준 개수'는 예를 들어, 65536일 수 있다. 컴퓨터 사이언트에서 객체 별 인덱스 하나의 크기를 16비트로 처리할지 또는 32비트로 처리할지는 매우 중요하다. 32비트에 비해서 16비트로 처리하면 데이터 크기가 작아지므로 16비트로 처리하는 것이 웹서비스할 때 더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16=65536으로부터 65536개를 기준 개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텍스 수, 즉, 좌표점 개수가 65536개일 때 파일의 크기를 산출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7040311292-pat00001
여기서, 65536은 좌표점 개수, 3은 3D 좌표는 X, Y, Z로 구성됨을 의미하며, 4Byte는 컴퓨터 언어에서 소수값은 4Byte를 가지며, 좌표점을 이루는 X, Y, Z는 소수점으로 이루어지므로, Float Byte를 의미한다. 따라서, 초기 경량화에 의해 버텍스 수가 줄어들수록 파일의 크기는 786Kbyte 이하로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초기 경량화 이후,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타겟 건물, 선별적으로 분류된 층 및 공간을 각각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객체들과 선택에서 제외된 배경 객체들로 분리할 수 있다(S300). 선택 객체들은 웹서비스 시 사용자의 클릭에 의해 상세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객체이고, 배경 객체들은 선택이 되지는 않았으나 형상정보를 제공하는 객체이며, 선택 객체와 배경 객체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다.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S300단계에서 분리된 선택 객체들을 선택적으로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추가 경량화할 수 있다(S400).
또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S300단계에서 분리된 배경 객체들을 하나로 그룹화하여 추가 경량화할 수 있다(S500).
선택 객체들과 배경 객체들의 추가 경량화가 완료되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추가 경량화된 선택 객체들과 배경 객체들의 형상정보의 ID와 BIM 데이터 내 속성정보(테이블 레코드 정보) 중 같은 ID를 매핑하여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를 연계할 수 있다(S600).
S600단계에 의해 형상정보와 속성정보가 연계됨에 따라, 추후 사용자가 웹상에서 서비스를 원하는 선택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BIM 웹서비스를 위한 서버에 선택 객체의 ID를 가지고 접속한 후 해당 속성정보(객체 이름, 타입, 크기, 사용처, 담당자 등 다수)를 호출하여 시각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특히, HTML5 기반의 웹서비스를 제공하므로 기존의 웹서비스에서 발생하는 한글 깨짐 현상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S300단계 내지 S500단계는 파일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모든 파일(즉, 모든 처리 대상)에 대해 선택 객체와 배경 객체 별로 추가 경량화가 완료되어야 S600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1의 S200단계 내지 S500단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S200단계의 초기 경량화 동작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S100단계에서 분리된 타겟 건물에 대한 형상정보의 버텍스 수가 기준 개수(예를 들어, 65536)를 초과하면(S215-Yes), 타겟 건물에 대한 형상정보를 층 별로 분류할 수 있다(S220). 이는, 타겟 건물의 버텍스 수가 기준 개수를 초과한다는 것은 BIM 파일의 크기가 대용량임을 의미하기 때문에, BIM 파일을 세분화하면서 용량을 줄이기 위함이다.
타겟 건물이 각 층으로 분류되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분류된 각 층의 버텍스 수와 기준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 즉,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분류된 현재 층의 버텍스 수와 기준 개수를 비교하여, 버텍스 수가 기준 개수를 초과하면(S225-Yes), 현재 층을 다시 공간 별로 분류할 수 있다(S230).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분류된 공간들 중 현재 처리할 공간(즉, 현재 공간)의 버텍스 수와 기준 개수를 비교하여, 버텍스 수가 기준 개수를 초과하면(S235-Yes), 현재 공간을 설정된 규칙을 참조하여 세부 공간으로 더 분류할 수 있다(S240).
한편, S215단계에서 타겟 건물의 버텍스 수가 기준 개수 이하이면(S215-No), 즉, 타겟 건물의 파일 용량이 대용량이라고 판단되는 크기 이하이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현재 타겟 건물(즉, 타겟 건물에 대한 전체 BIM 데이터)을 처리 대상으로 지정하고(S245), S300단계로 진입한다.
또한, S225단계에서, 현재 층의 버텍스 수가 기준 개수 이하이면(S225-No),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현재 층을 처리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S250).
S250단계 이후,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타겟 건물의 모든 층에 대한 버텍스 수와 기준 개수의 비교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S255-No), 다음 층에 대한 버텍스 수를 비교할 수 있다(S260). 즉,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현재 층=현재 층+1'로 설정한 후, 다음 층의 버텍스 수와 기준 개수를 비교하는 S225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타겟 건물을 이루는 모든 층에 대한 비교가 완료되면(S255-Yes),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S300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S235단계에서 현재 공간의 버텍스 수가 기준 개수 이하이면(S235-No),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현재 공간을 처리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S265).
S265단계 이후,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현재 층을 구성하는 모든 공간들에 대한 버텍스 수와 기준 개수의 비교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S270-No), 다음 공간에 대한 버텍스 수를 비교할 수 있다. 즉,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현재 공간=다음 공간'으로 설정한 후(S275), 다음 공간의 버텍스 수와 기준 개수를 비교하는 S235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S300단계 내지 S500단계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S200단계의 초기 경량화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류된 각각의 처리 대상을 개별적으로 인덱싱하여 웹서비스를 위한 개별 형상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S310). 각각의 처리 대상은 버텍스 수가 기준 개수 이하인, S245단계, S250단계 및/또는 S265단계에서 지정된 타겟 건물, 각 층 및/또는 각 공간일 수 있다.
도 4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타겟 건물을 층 별 또는 공간 별로 분류하여 개별 형상 파일을 생성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라는 타겟 건물은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은 두 개의 공간을 포함한다. 1층은 공간 5와 6, 2층은 공간 3과 4, 3층은 공간 1과 2를 포함한다.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타겟 건물의 버텍스 수가 65536보다 적으면, 타겟 건물의 형상정보에 인덱스를 추가하여 1개의 개별 형상 파일을 생성한다.
또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타겟 건물의 버텍스 수가 65536보다 많으면, 타겟 건물을 층 별로, 즉, 3개의 층으로 분류한다. 3개의 층 모두 버텍스 수가 65536보다 적으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3개의 층 각각에 인덱스를 추가하여 3개의 개별 형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3개의 층 각각의 버텍스 수가 65536보다 많으면, 각 층을 모두 개별 공간으로 분류한다. 분류된 6개의 공간들 각각의 버텍스 수가 65536보다 적으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6개의 공간 각각에 인덱스를 추가하여 6개의 개별 형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예를 들어, 1층 및 2층의 버텍스 수는 65536보다 적고, 3층의 버텍스 수는 65536보다 많으면, 3층만 공간 1, 2로 분류될 수 있다. 이 때,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1층에 대한 개별 형상 파일, 2층에 대한 개별 형상 파일, 공간 1에 대한 개별 형상 파일, 공간 2에 대한 개별 형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S310단계에서 변환된 개별 형상 파일에 해당하는 처리 대상을 선택 객체들과 배경 객체들로 분류할 수 있다(S320).
S320단계는 사용자가 웹화면에 표시되는 리스트 또는 그래픽 화면을 통해 웹서비스를 원하는 객체를 선택하면, BIM의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선택된 객체를 선택 객체로서 분류하고, 미선택된 객체들을 배경 객체로서 분류하는 것이다.
BIM의 분류 체계는 크게 건물 구조와 부가 정보로 구분되고, 건물 구조는 다시 바닥, 벽, 기둥, 천장, H빔, 문, 창 및 창틀 외 다수로 구분되며, 부가 정보는 바닥 마감재, 벽 마감재, 기둥 마감재, 천장 마감재, H빔 마감재, 문틀, 문손잡이, 창틀, 창손잡이 등 다수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건물 구조는 각각 타겟 건물의 객체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건물 구조 중 기둥, 문, 창을 선택 객체로서 선택하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나머지 객체들은 배경 객체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창을 선택한 경우, 타겟 건물에 창이 100개이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100개의 창에 대한 100개의 선택 객체로 분류하고, 창틀들은 하나의 배경객체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창과 창틀을 하나의 객체로 처리하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창과 창틀을 하나의 배경 객체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S320단계에서, BIM의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선택 객체와 배경 객체를 웹서비스 데이터의 용량과 시각화 성능에 맞게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적응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S320단계에서 선택 객체와 배경 객체의 분리가 완료되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선택 객체들을 구성하는 메쉬의 좌표점 개수를 감소시켜 선택 객체들을 각각 경량화할 수 있다(S410). S410단계에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각 선택 객체의 메쉬를 구성하는 좌표점(즉, 버텍스) 수가 최소화가 되도록 경량화할 수 있다.
일 예로, S410단계에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선택 객체가 직선 객체인지 또는 곡선 객체인지에 따라 적응적으로 경량화를 진행할 수 있다. 직선 객체는 더 이상의 경량화를 진행하면 안 되는 객체로서, 예를 들어, 4개의 점으로 구성된 바닥면을 3개의 점으로 경량화하면, 바닥 형상은 사각형에서 삼각형으로 변형되어 바닥 형상이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S410단계에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직선 객체에 대해서는 객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최소한의 개수로 경량화를 수행한다.
곡선 객체는 아크형으로 구성된 객체로서, 대부분의 객체가 곡선객체이다. 곡선 객체를 표현할 때 좌표점이 많으면 성능에 부하를 줄 수 있지만 곡선 객체는 보다 자연스럽게 구현되고, 반대로 좌표점이 적으면 구현 성능이 올라가나 곡선 객체는 부자연스럽게 표현된다.
도 5는 곡선 객체를 경량화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서리가 곡선인 객체를 경량화할 경우, 경량화 이전에 모서리 부분은 7개의 좌표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곡선 형태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한도에서 경량화함으로써 모서리는 3개의 좌표점으로 구성된다. 즉, 곡선 객체의 경량화는 아크형의 좌표점을 줄여가면서 형상을 구성하는 방식으로서, 3D 모델을 구성하는 메쉬의 좌표점을 기반으로 곡선 객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줄여갈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쉬의 좌표점을 기반으로 경량화는 구체적인 기술은 예를 들어, 본 발명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등록번호 10-1546703호, '대용량 건물 BIM 데이터의 시각화 시스템'에 기재된 알고리즘을 참조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S410단계에서 경량화된 선택 객체들을 동일 재질끼리 그룹화할 수 있다(S420).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아래의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이용하여 S42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동일한 객체의 경우,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는 동일 ID를 갖는 객체로부터 나오기 때문에, 재질 정보가 속성정보에 포함되어 있을지라도,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각 선택 객체들의 형상을 통해 동일한 형상은 동일한 재질을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 외벽에 같은 모양의 창들이 존재하면, S420단계는 같은 형상정보를 갖는 다수의 창이라는 객체는 동일 재질을 갖는다고 판단하고 이를 하나의 그룹(즉, 단일 객체)으로 병합(merge)할 수 있다.
또는, S420단계에서, 각 객체들의 형상정보는 재질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동일한 재질이거나 또는 동일한 재질이 아닐지라도 질감이 유사한 경우 동일한 재질정보가 객체마다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과 벽의 실제 마감재는 다를지라도 질감의 유사도가 임계값 이내에 있는 경우, 기둥과 벽이라는 객체에는 동일한 재질정보가 BIM 데이터 설계 시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S420단계는 사전에 설정된 재질정보가 동일한 선택 객체끼리 그룹화할 수 있다.
S420단계에 의해 동일 재질끼리 그룹화가 되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각 재질(즉, 각 재질 정보)마다 설정된 디폴트 재질 색상으로 동일 재질끼리 그룹화된 객체들, 또는 그룹에 속하지 않은 선택 객체들 각각을 텍스처 매핑할 수 있다(S430). 텍스처는 드론과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해 타겟 건물을 촬영한 이미지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S420단계에서 동일 형상을 갖는 객체끼리 그룹화되었다면, S430단계에서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그룹에 속하는 선택 객체들에게 경량화를 위해 동일한 텍스처를 매핑할 수 있다. 또는, S420단계에서 동일 재질정보를 갖는 객체끼리 그룹화되었다면, S430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형상의 객체들일지라도 동일한 그룹에 속하면 동일한 텍스처를 매핑한다.
S420단계에 의해 동일 재질의 그룹은 동일한 텍스처로 매핑함으로써, 각 개체 별로 다른 색상을 표현하여 용량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일괄적으로 색상을 적용하여 경량화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S320단계에서 선택 객체와 배경 객체의 분리가 완료되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배경 객체들 전체를 하나의 단일 배경 객체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S510). 예를 들어, 한 개의 파일에 포함된 객체들 중 1개의 바닥, 4개의 벽, 1개의 천장, 20개의 H빔 및 3개의 창틀이 배경 객체로 분류된 경우,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29개의 배경 객체들을 하나의 단일 배경 객체 그룹으로 그룹화한다.
그리고,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단일 배경 객체 그룹을 구성하는 메쉬의 좌표점 개수를 감소시켜 단일 메쉬로 변환하여 추가 경량화할 수 있다(S520). S520단계에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각 선택 객체의 메쉬를 구성하는 좌표점(즉, 버텍스) 수가 최소화가 되도록 경량화할 수 있다. S520단계는 등록번호 10-1546703호, '대용량 건물 BIM 데이터의 시각화 시스템'에 기재된 알고리즘을 참조할 수 있다.
S520단계 후,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단일 배경 객체 그룹을 그레이 스케일의 단순 텍스처로 매핑할 수 있다(S53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6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6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일 수 있으므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600)의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600)는 데이터 분리부(610), 초기 경량화부(620), 객체 처리부(630), 선택 객체 경량화부(640), 배경 객체 경량화부(650) 및 정보 연계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분리부(610)는 타겟 건물의 BIM 파일이 선택되면, 타겟 건물에 대한 BIM 데이터를 3D 시각화를 위한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로 분리할 수 있다(S100).
초기 경량화부(620)는 분리된 형상정보의 버텍스 수와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개수에 기반하여 타겟 건물을 선별적으로 층 별 또는 각 층의 공간 별로 분류하여 BIM 데이터를 초기 경량화할 수 있다. 초기 경량화부(620)는 타겟 건물 전체에 해당하는 BIM 파일의 BIM 데이터를 버텍스 수에 기초하여 층 또는 공간으로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층 또는 공간을 각각의 경량화를 위한 처리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로써, 세분화된 각 처리 대상은 각각의 파일로 변환되어 추가 경량화가 진행될 수 있다.
객체 처리부(630)는 타겟 건물, 선별적으로 분류된 층 및 공간을 각각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객체들과 선택에서 제외된 배경 객체들로 분리할 수 있다.
객체 처리부(630)는 파일 변환부(632) 및 객체 분리부(634)를 포함한다.
파일 변환부(632)는 초기 경량화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류된 각각의 처리 대상을 개별적으로 인덱싱하여 웹서비스를 위한 개별 형상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파일 변환부(632)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였다.
객체 분리부(634)는 변환된 개별 형상 파일에 해당하는 처리 대상(예를 들어, 2층에 있는 공간 3의 형상정보)를 선택 객체들과 상기 배경 객체들로 분리할 수 있다.
선택 객체 경량화부(640)는 분리된 선택 객체들을 선택적으로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추가 경량화할 수 있다.
선택 객체 경량화부(640)는 메쉬 경량화부(642), 선택 객체 그룹화부(644) 및 재질 텍스처 매핑부(646)를 포함한다.
메쉬 경량화부(642)는 선택 객체들을 구성하는 메쉬의 좌표점 개수를 감소시켜 선택 객체들의 메쉬를 경량화할 수 있다.
선택 객체 그룹화부(644)는 메쉬가 경량화된 선택 객체들을 동일 재질끼리 그룹화할 수 있다.
재질 텍스처 매핑부(646)는 각 재질마다 설정된 디폴트 재질 색상으로 동일 재질끼리 그룹화된 객체들을 텍스처 매핑할 수 있다. 즉, 재질 텍스처 매핑부(646)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선택 객체들에게는 동일한 텍스처를 매핑할 수 있다.
배경 객체 경량화부(650)는 분리된 배경 객체들을 하나로 그룹화하여 추가 경량화할 수 있다.
배경 객체 경량화부(650)는 배경 객체 그룹화부(652), 단일 메쉬 경량화부(654) 및 그레이 텍스처 매핑부(656)를 포함한다.
배경 객체 그룹화부(652)는 배경 객체들을 단일 배경 객체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단일 메쉬 경량화부(654)는 단일 배경 객체 그룹을 구성하는 메쉬의 좌표점 개수를 감소시켜 단일 메쉬로 변환하여 경량화할 수 있다. 상술한 메쉬 경량화부(642)와 단일 메쉬 경량화부(654)는 등록번호 10-1546703호, '대용량 건물 BIM 데이터의 시각화 시스템'에 기재된 알고리즘을 참조하여 경량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레이 텍스처 매핑부(656)는 단일 메쉬로 변환된 단일 배경 객체 그룹의 객체들을 그레이 레벨의 텍스처로 매핑할 수 있다.
상술한 객체 처리부(630), 선택 객체 경량화부(640) 및 배경 객체 경량화부(650)는 초기 경량화에 의해 세분화된 파일 단위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경량화부(620)의 초기 경량화에 의해 처리 대상이 1개의 층, 4개의 공간으로 분류되면, 객체 처리부(630), 선택 객체 경량화부(640) 및 배경 객체 경량화부(650)는 5개의 파일에 대해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정보 연계부(660)는 선택 객체들과 배경 객체들의 추가 경량화가 완료되면, 추가 경량화된 선택 객체들과 배경 객체들의 형상정보의 ID와 BIM 데이터 내 속성정보 중 같은 ID를 매핑하여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를 연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타겟 건물에 대한 형상정보의 버텍스 수가 기준 개수를 초과하면, 타겟 건물에 대한 형상정보를 층 별로 분류한다. 또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분류된 각 층의 버텍스 수와 기준 개수를 비교하여, 버텍스 수가 기준 개수를 초과하는 층을 공간 별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분류된 각 공간의 버텍스 수와 기준 개수를 비교하여, 버텍스 수가 기준개수를 초과하는 공간을 세부 공간으로 더 분류할 수 있다.
또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는, 하나의 BIM 파일의 BIM 데이터를 버텍스 수를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초기 경량화를 진행하고, 세분화된 각 처리 대상을 각 파일로 변환하며, 파일 단위로 선택 객체와 배경 객체를 분류한 후 그룹화를 통해 추가로 더 경량화를 진행한다. 특히, 배경 객체에는 단일 그룹화를 적용하고, 선택 객체에는 각 선택 객체의 메쉬가 깨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량화를 수행함으로써, 대용량의 BIM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선택 객체들 중 동일한 그룹에 속한 객체들은 동일한 텍스처가 매핑된다. 예를 들어, 우측 벽과 좌측 벽의 실제 색상은 다를지라도 동일한 재질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어 그룹화가 되면, 텍스처 매핑에 의해 동일한 텍스처가 매핑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우측 벽을 클릭하여 실제 색상 표시를 요청하면,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 및 방법은 속성정보를 확인하여 우측 벽의 실제 색상을 표시함으로써, BIM 데이터의 경량화에 의해 웹서비스 구현 및 실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의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의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의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한다.
600: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 610: 데이터 분리부
620: 초기 경량화부 630: 객체 처리부
640: 선택 객체 경량화부 650: 배경 객체 경량화부
660: 정보 연계부

Claims (11)

  1. (A) 타겟 건물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3D 시각화를 위한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로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형상정보의 버텍스 수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건물을 선별적으로 층 별 또는 각 층의 공간 별로 분류하여 초기 경량화하는 단계;
    (C) 상기 타겟 건물, 상기 선별적으로 분류된 층 및 공간을 각각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객체들과 선택에서 제외된 배경 객체들로 구분하는 단계;
    (D) 상기 선택 객체들을 선택적으로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추가 경량화하는 단계;
    (E) 상기 배경 객체들을 하나로 그룹화하여 추가 경량화하는 단계; 및
    (F) 상기 추가 경량화된 선택 객체들과 배경 객체들의 형상정보와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타겟 건물에 대한 형상정보의 버텍스 수가 기준개수를 초과하면, 상기 타겟 건물에 대한 형상정보를 상기 층 별로 분류하는 단계;
    (B2) 상기 (B1)단계에서 분류된 각 층의 버텍스 수와 상기 기준개수를 비교하여, 버텍스 수가 상기 기준개수를 초과하는 층을 공간 별로 분류하는 단계; 및
    (B3) 상기 (B2) 단계에서 분류된 각 공간의 버텍스 수와 상기 기준개수를 비교하여, 버텍스 수가 상기 기준개수를 초과하는 공간을 세부 공간으로 더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초기 경량화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류된 각각의 처리 대상을 개별적으로 인덱싱하여 웹서비스를 위한 개별 형상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C2) 상기 변환된 개별 형상 파일에 해당하는 처리 대상을 상기 선택 객체들과 상기 배경 객체들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 객체들은 웹서비스 시 상세정보가 제공되는 객체이고, 상기 배경 객체들은 상세정보가 미제공되는 객체이며, 상기 선택 객체와 배경 객체는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선택 객체들을 구성하는 메쉬의 좌표점 개수를 감소시켜 상기 선택 객체들을 경량화하는 단계;
    (D2) 상기 (D1) 단계에서 경량화된 선택 객체들을 동일 재질끼리 그룹화하는 단계; 및
    (D3) 각 재질마다 설정된 디폴트 재질 색상으로 동일 재질끼리 그룹화된 객체들을 텍스처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배경 객체들을 단일 배경 객체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및
    (E2) 상기 단일 배경 객체 그룹을 구성하는 메쉬의 좌표점 개수를 감소시켜 단일 메쉬로 변환하여 경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와 상기 (E) 단계는,
    상기 선택 객체들과 상기 배경 객체들의 그룹 중 곡선 형태를 포함하는 곡선 객체들의 버텍스 수를 감소시켜 경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7. 타겟 건물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3D 시각화를 위한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로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
    상기 형상정보의 버텍스 수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건물을 선별적으로 층 별 또는 각 층의 공간 별로 분류하여 초기 경량화하는 초기 경량화부;
    상기 초기 경량화부에서 상기 타겟 건물, 상기 선별적으로 분류된 층 및 공간을 각각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객체들과 선택에서 제외된 배경 객체들로 구분하는 객체 처리부;
    상기 선택 객체들을 선택적으로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추가 경량화하는 선택 객체 경량화부;
    상기 배경 객체들을 하나로 그룹화하여 추가 경량화하는 배경 객체 경량화부; 및
    상기 추가 경량화된 선택 객체들과 배경 객체들의 형상정보와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연계하는 정보 연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경량화부는,
    상기 데이터 분리부에서 분리된 타겟 건물에 대한 형상정보의 버텍스 수가 기준개수를 초과하면, 상기 분리된 타겟 건물에 대한 형상정보를 상기 층 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각 층의 버텍스 수가 상기 기준개수를 초과하는 층을 공간 별로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각 공간의 버텍스 수가 상기 기준개수를 초과하는 공간을 세부 공간으로 더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처리부는,
    상기 초기 경량화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류된 각각의 처리 대상을 개별적으로 인덱싱하여 웹서비스를 위한 개별 형상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개별 형상 파일에 해당하는 처리 대상을 상기 선택 객체들과 상기 배경 객체들로 분리하는 객체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 객체들은 웹서비스 시 상세정보가 제공되는 객체이고, 상기 배경 객체들은 상세정보가 미제공되는 객체이며, 상기 선택 객체와 배경 객체는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객체 경량화부는,
    상기 선택 객체들을 구성하는 메쉬의 좌표점 개수를 감소시켜 상기 선택 객체들의 메쉬를 경량화하는 메쉬 경량화부;
    상기 메쉬가 경량화된 선택 객체들을 동일 재질끼리 그룹화하는 선택 객체 그룹화부; 및
    각 재질마다 설정된 디폴트 재질 색상으로 동일 재질끼리 그룹화된 객체들을 텍스처 매핑하는 텍스처 매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객체 경량화부는,
    상기 배경 객체들을 단일 배경 객체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배경 객체 그룹화부; 및
    상기 단일 배경 객체 그룹을 구성하는 메쉬의 좌표점 개수를 감소시켜 단일 메쉬로 변환하여 경량화하는 단일 메쉬 경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장치.
KR1020170052768A 2017-04-25 2017-04-25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 KR101741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768A KR101741038B1 (ko) 2017-04-25 2017-04-25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768A KR101741038B1 (ko) 2017-04-25 2017-04-25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038B1 true KR101741038B1 (ko) 2017-06-15

Family

ID=5921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768A KR101741038B1 (ko) 2017-04-25 2017-04-25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038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5858A (zh) * 2018-04-28 2018-09-28 成都希盟科技有限公司 基于bim的轻量化深度处理工作方法
CN110309458A (zh) * 2018-03-30 2019-10-08 北京东晨工元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WebGL的BIM模型显示及渲染方法
CN110378063A (zh) * 2019-07-26 2019-10-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智慧建筑空间的设备部署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10414148A (zh) * 2019-07-30 2019-11-05 中北大学 基于WebGL的开放式BIM跨平台在线可视化方法
KR102134423B1 (ko) * 2019-11-28 2020-07-21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안전 공간 모델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1949722A (zh) * 2020-07-06 2020-11-17 中煤科工重庆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Revit的BIM模型轻量化方法及系统
KR102192714B1 (ko) 2019-11-14 2020-12-17 (주)올포랜드 공간 객체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2241294A (zh) * 2020-10-20 2021-01-19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客户端程序与网页的交互方法及装置
CN112734930A (zh) * 2020-12-30 2021-04-30 长沙眸瑞网络科技有限公司 三维模型轻量化方法、系统、存储介质及图像处理装置
KR20210049498A (ko) * 2019-10-25 2021-05-06 현대건설주식회사 웹브라우저 및 가상/증강현실 기기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변환/추출 방법
KR102467152B1 (ko) * 2021-06-07 2022-11-16 (주)지오씨엔아이 웹 환경에서의 bim 가시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186819A (zh) * 2022-08-20 2023-05-30 苏州智在云数据科技有限公司 Bim模型轻量化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258804A (zh) * 2022-09-06 2023-06-13 华建数创(上海)科技有限公司 基于数模分离与压缩优化的bim模型轻量化方法
CN116258809A (zh) * 2022-12-13 2023-06-13 江苏重华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轻量化3d模型存储结构工作方法
CN116385670A (zh) * 2023-06-07 2023-07-04 金云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gis与bim融合的应用场景的快速搭建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065B1 (ko) 2014-10-15 2016-04-20 가이아쓰리디 주식회사 3차원 모델링 데이터 용량을 줄이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717896B1 (ko) 2016-09-19 2017-03-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데이터 경량화를 고려한 건물 외곽 모델링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065B1 (ko) 2014-10-15 2016-04-20 가이아쓰리디 주식회사 3차원 모델링 데이터 용량을 줄이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717896B1 (ko) 2016-09-19 2017-03-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데이터 경량화를 고려한 건물 외곽 모델링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M을 이용한 WebGL기반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제18권 2호(pp. 150-153), 2014년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9458A (zh) * 2018-03-30 2019-10-08 北京东晨工元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WebGL的BIM模型显示及渲染方法
CN110309458B (zh) * 2018-03-30 2021-03-30 北京东晨工元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WebGL的BIM模型显示及渲染方法
CN108595858A (zh) * 2018-04-28 2018-09-28 成都希盟科技有限公司 基于bim的轻量化深度处理工作方法
CN108595858B (zh) * 2018-04-28 2022-03-18 成都希盟泰克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bim的轻量化深度处理工作方法
CN110378063A (zh) * 2019-07-26 2019-10-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智慧建筑空间的设备部署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10378063B (zh) * 2019-07-26 2023-07-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智慧建筑空间的设备部署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10414148A (zh) * 2019-07-30 2019-11-05 中北大学 基于WebGL的开放式BIM跨平台在线可视化方法
KR102356044B1 (ko) * 2019-10-25 2022-01-25 현대건설(주) 웹브라우저 및 가상/증강현실 기기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변환/추출 방법
KR20210049498A (ko) * 2019-10-25 2021-05-06 현대건설주식회사 웹브라우저 및 가상/증강현실 기기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변환/추출 방법
KR102192714B1 (ko) 2019-11-14 2020-12-17 (주)올포랜드 공간 객체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34423B1 (ko) * 2019-11-28 2020-07-21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안전 공간 모델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1949722A (zh) * 2020-07-06 2020-11-17 中煤科工重庆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Revit的BIM模型轻量化方法及系统
CN111949722B (zh) * 2020-07-06 2023-07-25 中煤科工重庆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Revit的BIM模型轻量化方法及系统
CN112241294A (zh) * 2020-10-20 2021-01-19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客户端程序与网页的交互方法及装置
CN112734930A (zh) * 2020-12-30 2021-04-30 长沙眸瑞网络科技有限公司 三维模型轻量化方法、系统、存储介质及图像处理装置
KR102467152B1 (ko) * 2021-06-07 2022-11-16 (주)지오씨엔아이 웹 환경에서의 bim 가시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186819A (zh) * 2022-08-20 2023-05-30 苏州智在云数据科技有限公司 Bim模型轻量化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186819B (zh) * 2022-08-20 2024-03-12 苏州智在云数据科技有限公司 Bim模型轻量化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258804A (zh) * 2022-09-06 2023-06-13 华建数创(上海)科技有限公司 基于数模分离与压缩优化的bim模型轻量化方法
CN116258809A (zh) * 2022-12-13 2023-06-13 江苏重华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轻量化3d模型存储结构工作方法
CN116258809B (zh) * 2022-12-13 2024-04-12 江苏重华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轻量化3d模型存储结构工作方法
CN116385670A (zh) * 2023-06-07 2023-07-04 金云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gis与bim融合的应用场景的快速搭建方法
CN116385670B (zh) * 2023-06-07 2023-09-08 金云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gis与bim融合的应用场景的快速搭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038B1 (ko) HTML5-WebGL 기반의 BIM 모델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경량화 방법 및 장치
CN112270756B (zh) 一种应用于bim模型文件的数据渲染方法
Wu et 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in the built environment: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application of GANs across data types and scales
US10137646B2 (en) Preparing a polygon mesh for printing
EP4120199A1 (en) Image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5712964A (en) Computer graphics data display device and method based on a high-speed generation of a changed image
TWI603286B (zh) 在螢幕上顯示3d場景圖的方法
JPH02287776A (ja) 大域レンダリングに階層ディスプレイリストを採用する方法
Jeřábková et al. Volumetric modeling and interactive cutting of deformable bodies
US9697751B2 (en) Interactive representation of clusters of geographical entities
CN105261066A (zh) 一种三维地理信息系统实时绘制多线程分配与控制方法
US10650567B2 (en) Optimizing processing time of a simulation engine
US201702433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volume of three-dimensional modeling data
CN105549929A (zh) 用于改善图形性能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CN114529707A (zh) 三维模型分割方法、装置、计算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5798654A (zh) 一种模型材料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She et al. 3D building model simplification method considering both model mesh and building structure
EP42871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olygon meshes approximating surfaces using root-finding and iteration for mesh vertex positions
WO2023159595A1 (zh) 构建和配置三维空间场景的模型的方法、装置及计算机程序产品
US20150269781A1 (en) Rapid Virtual Reality Enablement of Structured Data Assets
Glander et al. Techniques for generalizing building geometry of complex virtual 3D city models
WO20120337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ylized map generation
US9582247B1 (en) Preserving data correlation in asynchronous collaborative authoring systems
US10140758B1 (en) Texturing models of structures
CN114494577A (zh) 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