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297B1 -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297B1
KR101740297B1 KR1020150086554A KR20150086554A KR101740297B1 KR 101740297 B1 KR101740297 B1 KR 101740297B1 KR 1020150086554 A KR1020150086554 A KR 1020150086554A KR 20150086554 A KR20150086554 A KR 20150086554A KR 101740297 B1 KR101740297 B1 KR 101740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fare
data
information
unit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9493A (ko
Inventor
김현수
신형수
정창열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성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성동구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성동구
Priority to KR1020150086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29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정부, 지자체 및 민간 영역의 복지자원 서비스를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부정수급의 예방으로 재정누수를 방지하고, 복지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한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연계를 통한 법적 관리 대상자 정보와 오프라인 연계를 통한 성품/성금/기금/재능/재가복지/보건의료 정보 및 온라인 연계를 통한 지자체 정보를 복지 데이터로 획득하고, 획득한 복지 데이터를 복지 유형에 따라 단일의 양식으로 변환하여 복지 데이터를 통합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복지데이터 통합부; 및 내부 행정망을 통한 내부 시스템 및 인터넷을 통한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고, 상기 복지 데이터 통합부에서 통합된 복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계현황, 복지사업, 기부수혜, 복지분포 지도정보를 제공해주는 복지 통합 관리부를 포함하여,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Sharing e- Welfar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부, 지자체 및 민간 영역의 복지자원 서비스를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부정수급 예방으로 재정누수를 방지하고, 복지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한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지사업 효율화를 위해 지난 2010년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이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 지자체, 민간복지협의체 간의 정보 공유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부정수급의 현황 파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로 인해 중복수혜 등의 부정수급이 발생하였다. 특히, 구청, 동 주민센터, 복지관, 복지센터 등에서 공공·민간 복지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운영 및 관리하고 있는 상황이며,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틈새계층은 시스템 부재로 수기로 관리되고 있어 복지자원정보 현황파악 및 공유가 곤란하였다. 여기서 부정수급은 재정누수를 유발한다.
아울러 각 관계기관 간의 정보 공유체계의 미흡으로, 수급이나 미수급에 대한 현황파악이 어려워 중복수혜·누락 등의 발생으로 복지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정부, 지자체, 민간영역의 복지자원 서비스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파악할 수 있는 복지자원 통합 시스템의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민·관의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아 중복수혜·누락 등의 발생으로 복지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한편, 복지 통합을 위한 종래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복지 서비스 및 급여 내역에 관한 희망 복지 정보를 입력받는 신청 처리 모듈; 공적자료 제공시스템으로부터 신청인에 관한 가구 단위의 공적자료를 전송받고, 보장결정 판단을 위한 조사정보를 생성하는 조사 처리 모듈; 조사 정보를 기설정된 복지 서비스 및 급여별 기준과 대비 판단하여, 희망 복지 정보에 포함된 복지 서비스 및 급여의 보장 여부 및 내역을 결정하는 보장결정 처리모듈을 구비하고, 각종 사회복지 급여 및 서비스 신청자의 자격 및 이력에 관한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기능별/지역별로 설립된 각종 보건기관에서 보건사업 및 행정업무, 진료업무, 진료지원업무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보건정보를 통합관리하되, 보건기관별로 별도 생성/관리하던 기초코드를 표준화하여 통합적 업무 처리 및 자동화 통계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 중심의 비정형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건기관 또는 지차체, 관리기관의 사용자가 효율적인 업무 처리 및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는 실적 및 통계 자료를 효율적으로 생성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보건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75980호(2010.08.0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4000호(2012.10.17. 등록)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보건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가능하나, 단순히 정부나 지자체만의 통합 관리이며, 민간(복지관, 복지센터, 기타)은 정보 공유 대상에서 제외되어 정보 공유체계의 미흡으로, 수급이나 미 수급의 현황파악이 어려워 중복수혜·누락 등의 발생으로 복지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사망자, 전출자 정보현황 파악 곤란으로 부정수급자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정부, 지자체, 민간영역의 복지자원 서비스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파악할 수 있는 복지자원 통합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며, 민·관의 정보 공유를 통해 중복수혜·누락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복지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도록 한 복지자원 통합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과 복지자원 통합 시스템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정부, 지자체 및 민간 영역의 복지자원 서비스를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부정수급을 예방하여 재정누수를 방지하고, 복지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한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지자원에 대한 구청, 동 주민센터, 복지관, 복지센터에 이르기까지 정부 및 민간에서 개별 관리하고 있는 복지사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정보 공유의 부재로 인해 발생하는 중복수혜를 방지하고, 사망자, 전출자 등의 부정수급을 차단해 많은 수혜자가 투명하고 공평한 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혜자의 거주정보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계하여 수혜정보를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지시스템 간의 정보공유 불가로 복지업무 활용이 곤란하여 비효율적인 업무시간 낭비를 보완할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속한 자료분석을 통해 업무시간을 단축하여 복지 기능을 강화하고, 수혜자에게 맞춤형 현장중심의 복지행정을 구현하도록 한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은 내부 연계를 통한 법적 관리 대상자 정보와 오프라인 연계를 통한 성품/성금/기금/재능/재가복지/보건의료 정보 및 온라인 연계를 통한 지자체 정보를 복지 데이터로 획득하고, 획득한 복지 데이터를 복지 유형에 따라 단일의 양식으로 변환하여 복지 데이터를 통합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복지데이터 통합부; 내부 행정망을 통한 내부 시스템 및 인터넷을 통한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고, 상기 복지 데이터 통합부에서 통합된 복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계현황, 복지사업, 기부수혜, 복지분포 지도정보를 제공해주는 복지 통합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복지 데이터 통합부는 내부 연계와 오프라인 연계 및 온라인 연계를 통해 복지 데이터를 취합하는 복지 데이터 취합부; 취합한 복지 데이터를 복지 유형별로 분류하는 복지 유형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복지 데이터 통합부는 분류한 복지 유형별로 복지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해, 변환양식 저장부에 저장된 유형별 변환 양식 중 분류한 복지 유형에 맞는 변환 양식을 선택하는 유형별 통합변환양식 선택부; 상기 유형별 통합변환양식 선택부에서 선택한 변환 양식을 기초로 동일한 유형의 다수의 복지 데이터를 단일의 양식으로 변환하는 자료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자료 변환부는 상기 유형별 통합변환양식 선택부에서 선택된 변환양식을 입력받는 변환 양식 입력부; 입력받은 변환 양식으로부터 복지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한 항목을 추출하는 항목 추출부; 상기 추출한 항목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복지 데이터로부터 탐색하여 추출하는 항목 데이터 탐색부; 상기 추출한 복지 데이터를 각각의 항목에 매핑시켜 변환 양식을 통해 복지 데이터를 통합하는 항목 매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변환 양식은 인적정보, 서비스명, 복지서비스 형태, 수혜일자, 서비스 내용, 금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인적정보는 성명, 생년월일을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항목 데이터 탐색부는 문자 인식을 통해 항목 및 복지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복지 통합 관리부는 상기 복지 데이터 통합부에 의해 통합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지 데이터에서 대상자별, 제공기관별, 행정동별, 지원항목별로 통계처리를 하여 통계 현황을 추출하고 관리하는 통계 현황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복지 통합 관리부는 상기 통합된 복지 데이터로부터 복지후원사업별 사업비 및 집행현황을 분석하여 복지 사업을 관리하는 복지사업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복지 통합 관리부는 상기 통합된 복지 데이터로부터 사업별 후원자 및 수혜자 정보의 현황을 추출하여 관리하는 기부수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복지 통합 관리부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통해 수혜대상자의 거주지 정보를 조회하고, 수혜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지도에 디스플레이하여 복지 분포 지도를 제공해주는 복지분포 지도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부, 지자체 및 민간 영역의 다양한 복지자원 서비스를 단일의 시스템으로 통합함으로써, 주민정보의 실시간 파악으로 사망/전출 여부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어, 복지자원의 부정수급을 예방하여 재정누수를 방지하고, 복지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지자원에 대한 구청, 동 주민센터, 복지관, 복지센터에 이르기까지 정부 및 민간에서 개별 관리하고 있는 복지사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정보 공유의 부재로 인해 발생하는 중복수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혜자의 거주정보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계하여 수혜정보를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지시스템 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도모해줌으로써, 복지업무 활용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비효율적인 업무시간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속한 자료분석을 통해 업무시간을 단축하여 복지 기능을 강화하고, 수혜자에게 맞춤형 현장중심의 복지행정을 구현토록 도모해주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복지 데이터 통합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자료 변환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1의 복지 통합 관리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주민정보 검색을 통해 사망자/전출자 복지지원정보를 검색하는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복지자원에 대한 후원자와 수혜자 간의 지원정보 이력추적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상담 이력관리 정보지원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통합된 복지자료를 통한 실시간 통계산출 화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수혜자 거주정보 파악 화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가구세대별 수혜정보 통계현황분석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은 복지 데이터 통합부(110), 복지 통합 관리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지 통합 관리부(120)는 내부 행정망을 통해 내부 시스템(200)과 연동하고,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시스템(300)을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시스템(200)은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단말기로 구현할 수 있으며, 외부 시스템(300)은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단말기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복지 데이터 통합부(110)는 내부 연계를 통한 법적 관리 대상자 정보와 오프라인 연계를 통한 성품/성금/기금/재능/재가복지/보건의료 정보 및 온라인 연계를 통한 지자체 정보를 복지 데이터로 획득하고, 획득한 복지 데이터를 복지 유형에 따라 단일의 양식으로 변환하여 복지 데이터를 통합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복지 데이터 통합부(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연계와 오프라인 연계 및 온라인 연계를 통해 복지 데이터를 취합하는 복지 데이터 취합부(111); 취합한 복지 데이터를 복지 유형별로 분류하는 복지 유형 분류부(112); 분류한 복지 유형별로 복지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해, 변환양식 저장부(114)에 저장된 유형별 변환 양식 중 분류한 복지 유형에 맞는 변환 양식을 선택하는 유형별 통합변환양식 선택부(113); 상기 유형별 통합변환양식 선택부(113)에서 선택한 변환 양식을 기초로 동일한 유형의 다수의 복지 데이터를 단일의 양식으로 변환하는 자료 변환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료 변환부(11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형별 통합변환양식 선택부(113)에서 선택된 변환양식을 입력받는 변환 양식 입력부(115a); 입력받은 변환 양식으로부터 복지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한 항목을 추출하는 항목 추출부(115b); 상기 추출한 항목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복지 데이터로부터 탐색하여 추출하는 항목 데이터 탐색부(115c); 상기 추출한 복지 데이터를 각각의 항목에 매핑시켜 변환 양식을 통해 복지 데이터를 통합하는 항목 매핑부(115d)를 포함한다.
여기서 변환 양식은 인적정보, 서비스명, 복지서비스 형태, 수혜일자, 서비스 내용, 금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인적정보는 성명, 생년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지 통합 관리부(120)는 내부 행정망을 통한 내부 시스템(200) 및 인터넷을 통한 외부 시스템(300)과 연동하고, 상기 복지 데이터 통합부(110)에서 통합된 복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계현황, 복지사업, 기부수혜, 복지분포 지도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복지 통합 관리부(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지 데이터 통합부(110)에 의해 통합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지 데이터에서 대상자별, 제공기관별, 행정동별, 지원항목별로 통계처리를 하여 통계 현황을 추출하고 관리하는 통계 현황 분석부(121); 상기 통합된 복지 데이터로부터 복지후원사업별 사업비 및 집행현황을 분석하여 복지 사업을 관리하는 복지사업 관리부(122); 상기 통합된 복지 데이터로부터 사업별 후원자 및 수혜자 정보의 현황을 추출하여 관리하는 기부수혜 관리부(123);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통해 수혜대상자의 거주지 정보를 조회하고, 수혜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지도에 디스플레이하여 복지 분포 지도를 제공해주는 복지분포 지도 처리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지 데이터 통합부(110)는 분야별 다양한 복지 지원 사업을 하나로 통합한다. 예컨대, 긴급복지지원사업, 노인 돌봄 사업, 희망온돌 따뜻한 겨울나기 및 복지자원서비스와 같은 사회복지 통합 관리망, 디딤돌 인트라넷, 희망 플러스 인트라넷, 꿈 나래 인트라넷, 에너지 복지관리 시스템, 새누리 시스템 등과 같은 민간복지 지원 시스템, 방문 건강 관리사업, 치매 검진 관리사업, 성동 장학사업과 같은 보건분야 장학금, 노인식사 배달사업, 주택 바우처 사업, 희망의 집 수리사업, 가사간병사업 등과 같은 수기관리 사업과 같은 다양한 복지 지원 사업을 하나로 통합한다.
이를 위해 복지 데이터 통합부(110)의 복지 데이터 취합부(111)는 내부 연계를 통해 법적 관리 대상자 정보(기초수급자, 한 부모가족, 장애인, 기타)를 복지 서비스 데이터로 획득하고, 오프라인 연계를 통해 성품/성금 내역, 기금 내역, 재능기부 내역, 재가복지 내역, 보건 의료 정보 등을 복지 서비스 데이터로 획득하며, 온라인 연계를 통해 지자체 정보를 복지 서비스 데이터로 획득한다. 여기서 각각 취합한 복지 서비스 데이터는 정부, 지자체, 민간에서 개별적인 복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복지 서비스 데이터로서, 특정 파일 형태이다. 이하, 복지 데이터라 함은 복지 서비스 관련 복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서 파일을 지칭한다.
이렇게 각각의 기관별로 서비스하는 복지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취합하면, 복지 유형 분류부(112)에서 각각의 복지 서비스별로 복지 유형을 분류한다. 여기서 복지 유형은 복지 지원사업 종류를 의미한다.
복지 유형이 분류되면 유형별 통합 변환양식 선택부(113)는 분류된 복지 유형을 기초로 변환양식 저장부(114)를 검색하여, 분류된 복지 유형에 맞는 변환 양식을 추출한다. 여기서 변환 양식은 유형이 같은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단일의 양식으로 통합하여, 복지 유형별로 복지 서비스를 통합하는 것이다. 예컨대, 의료 복지 서비스일 경우, 의료관련 모든 복지 서비스는 의료라는 복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유형별 통합변환 양식 선택부(113)에서 선택된 변환 양식은 자료 변환부(115)에 전달된다. 자료 변환부(115) 내의 변환양식 입력부(115a)는 전달되는 변환 양식을 입력받아 항목 추출부(115b)에 전달한다. 여기서 변환 양식은 인적정보, 서비스명, 복지서비스 형태, 수혜일자, 서비스 내용, 금액을 기재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인적정보는 연락처, 성명, 주소, 생년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된 항목 정보는 항목 데이터 탐색부(115c)에 전달되며, 항목 데이터 탐색부(115c)는 전달되는 항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지 데이터 취합부(111)에서 취합한 각각의 복지 서비스별 복지 데이터로부터 항목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각각의 복지 서비스별 복지 데이터(파일)로부터 항목에 대응하는 데이터 추출은 문자 인식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항목을 문자로 인식하고, 그 인식한 문자 정보를 기초로 복지 서비스별 복지 데이터 파일로부터 항목을 탐색하고, 항목이 탐색되면 그 항목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항목 데이터로 추출한다. 각각의 복지 서비스 기관별로 복지 데이터 파일이 상이할 수 있으며, 그 항목도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복지 관련 서비스 데이터 파일에는 상기 언급된 복수의 항목을 대부분 포함하여 파일을 관리하는 형태이므로, 기관별로 서로 상이한 복지 데이터 파일이라도 각각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각각의 항목에 대한 항목 데이터가 추출되면, 항목 매핑부(115d)는 추출한 항목 데이터를 해당 항목에 매핑하여, 다수의 복지 서비스에 대한 복지 데이터를 단일의 양식으로 변환하여 복지 데이터를 통합한다.
그리고 복지 유형에 따라 변환한 복지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복지 데이터를 통합한 이후, 복지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지 통합 관리부(120)는 상기와 같이 복지 데이터 통합부(110)에 의해 동일한 복지 유형별로 통합된 복지 데이터를 관리한다. 여기서 복지 통합 관리부(120)는 내부 행정망을 통해 내부 시스템(200)과 연동하여 복지 서비스를 관리해주고,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시스템(300)과 연동하여 복지 서비스를 관리해준다.
내부 행정망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내부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상기 복지 통합 관리부(120)와 연동하여 복지 서비스 관련 정보를 검색, 수정, 등록, 변경하게 되고,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외부 시스템(300)을 이용하여 상기 복지 통합 관리부(120)와 연동하여 복지 서비스 관련 정보를 검색, 수정, 등록, 변경하게 된다. 여기서 내부 행정망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정부 또는 지자체 담당자라고 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민관 복지 기관의 담당자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의 복지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부, 지자체 및 민관 복지 관련 담당자들이 모두 동일한 복지 통합 시스템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정부 지자체 및 민관이 복지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통합된 복지 서비스를 관리하는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지 통합 관리부(120)의 통계 현황 분석부(121)는 복지 대상자별, 제공기관별, 행정동별, 지원항목별 통계를 산출하고, 이를 통계 현황 정보로 관리한다. 아울러 복지사업 관리부(122)는 복수의 복지 후원 사업별 사업비 및 진행 현황을 처리하고 관리한다. 또한, 기부수혜 관리부(123)는 각각의 복지 사업별 후원자 및 수혜자 정보의 현황을 관리한다. 즉 후원자 정보의 등록과 수혜자 정보의 등록을 통해 기부수혜 정보의 현황을 처리한다. 아울러 복지분포 지도 처리부(124)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하여 수혜대상자의 거주지 정보를 지도상에 표출하여, 한눈에 수혜자의 거주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통합적으로 복지 서비스가 처리 및 관리된 상태에서, 내부 시스템(200) 및 외부 시스템(300)의 이용자는 복지 통합 관리부(120)와 연동하여, 복지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확인 및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이용자는 정부, 지자체, 민간 기관의 복지 담당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시스템(200) 및 외부 시스템(300)의 이용자는 복지 통합 관리부(120)와 접속하여, 관내 거주 주민정보를 검색하여, 사망자 및 전출자의 복지 지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5는 관내 주민정보 연계로 사망자 및 진출자 복지지원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화면 예시이다. 이러한 통계 현황 분석부(121)의 통계 처리 현황을 기초로 특정 주민정보를 검색하게 되면, 실시간으로 사망 및 전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정부, 지자체, 민간 기관 담당자는 상기와 같이 정보 공유화 통합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사망자나 전출자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다. 이로써 사망자나 전출자에게 지급될 수 있는 복지자원의 부정수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비 수혜자들에게 더욱 많은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내부 시스템(200) 및 외부 시스템(300)의 이용자는 복지 통합 관리부(120)와 접속하여, 복지자원에 대한 후원자와 수혜자 간의 지원정보 이력을 추적할 수 있다. 도 6은 복지자원에 대한 후원자와 수혜자 간의 지원정보 이력을 추적하기 위한 화면 예시이다. 기존 복지정보시스템의 문제점 중 하나가 정보공유가 이루어지지 않아 수혜자가 후원자로부터 어떤 복지서비스를 받았는지 알 수 있는 창구가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후원자와 수혜자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후원자는 수혜자 정보를 반대로 수혜자는 후원자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컨대, 지원 정보에 대한 이력을 상호 추적하여 조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복지 통합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담 이력 관리에 대한 정보 지원도 가능하다. 도 7은 대직자의 신속한 업무파악을 위한 상담 이력관리 정보 지원 화면 예시이다. 일선 복지 담당자는 정기적으로 현장방문을 통해 지원이 필요한 사항들을 조사하고 관련 내용을 관리한다. 이런 수급자의 특이사항 및 상담 이력 정보들을 복지 통합 시스템을 통해 공유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복지 지원업무를 수행하고, 인사이동 및 휴가 등과 같은 부득이한 사유로 담당자 부재 발생 시에도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통합된 복지자료에 대한 실시간 통계산출로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8은 통합된 복지자료에 대한 실시간 통계산출을 위한 화면 예시이다. 현재 복지실무자들은 복지자료를 산출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현장에 나갈 시간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해 구현한 맞춤형 복지자원 통합관리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사업별, 사업비별, 행정동별, 기관별, 품목별로 대상이나 통계현황을 신속 정확하게 산출하고,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통계현황 자료를 엑셀파일로 출력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로써 복지자료를 산출하거나 확인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복지 실무자는 단축된 시간을 현장중심의 복지행정을 구현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복지 자료는 주민정보와의 실시간 연계를 통해 사업별로 현재 대상자의 전출입 현황까지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하여 수혜자 거주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9는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수혜자 거주정보 표시 화면 예시이다. 여기서 지리정보시스템은 네이버 지도나 다음 지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지도기능(영상지도, 로드 뷰, 사업별/행정동별/제공기관별로 수급자의 지원 통계 현황을 지도에 표출)을 활용하여 수급자의 거주지 정보를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보건 및 복지서비스 통합 구축으로 의료지원정보의 공유도 가능하다. 보건분야와 복지분야의 지원 시스템은 통상 별개로 운영되어, 상호 지원 현황 파악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맞춤형 복지자원 통합관리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의료지원정보 공유를 통해 일선 근무자들이 실질적으로 주민들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의료행위 및 의료물품이 제대로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점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가구세대별 수혜정보 통계 현황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 10은 가구세대별 수혜정보 통계현황 분석 화면 예시다. 기존 복지 시스템은 수혜당사자뿐만 아니라 수혜자를 포함한 가구세대에 대하여 가족들 전체의 수혜현황 및 수혜 이력정보를 파악할 수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복지자원 통합관리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한 번의 실행으로 가족 전체의 수혜내용을 조회 및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지자원이 한 가구에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가구별 복지혜택 편차를 줄임으로써 제한된 복지자원을 효율적이고 공평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정부, 지자체, 민간 기관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통합하여 정부, 지자체, 민간 기관이 복지 자원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10: 복지 데이터 통합부
111: 복지 데이터 취합부
112: 복지 유형 분류부
113: 유형별 통합 변환양식 선택부
114: 변환 양식 저장부
115: 자료 변환부
115a: 변환 양식 입력부
115b: 항목 추출부
115c: 항목 데이터 탐색부
115d: 항목 매핑부
120: 복지 통합 관리부
121: 통계 현황 분석부
122: 복지사업 관리부
123: 기부수혜 관리부
124: 복지분포 지도 처리부
200: 내부 시스템
300: 외부 시스템

Claims (10)

  1. 내부 연계를 통한 법적 관리 대상자 정보와 오프라인 연계를 통한 성품/성금/기금/재능/재가복지/보건의료 정보 및 온라인 연계를 통한 지자체 정보를 복지 데이터로 획득하고, 획득한 복지 데이터를 복지 유형에 따라 단일의 양식으로 변환하여 복지 데이터를 통합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복지데이터 통합부; 및
    내부 행정망을 통한 내부 시스템 및 인터넷을 통한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고, 상기 복지 데이터 통합부에서 통합된 복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계현황, 복지사업, 기부수혜, 복지분포 지도정보를 제공해주는 복지 통합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지데이터 통합부는 분류한 복지 유형별로 복지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해, 변환양식 저장부에 저장된 유형별 변환 양식 중 분류한 복지 유형에 맞는 변환 양식을 선택하는 유형별 통합변환양식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지 통합 관리부는 상기 통합된 복지 데이터로부터 복지후원사업별 사업비 및 집행현황을 분석하여 복지 사업을 관리하는 복지사업 관리부; 상기 통합된 복지 데이터로부터 사업별 후원자 및 수혜자 정보의 현황을 추출하여 관리하는 기부수혜 관리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통해 수혜대상자의 거주지 정보를 조회하고, 수혜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지도에 디스플레이하여 복지 분포 지도를 제공해주는 복지분포 지도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복지 데이터 통합부는 내부 연계와 오프라인 연계 및 온라인 연계를 통해 복지 데이터를 취합하는 복지 데이터 취합부; 취합한 복지 데이터를 복지 유형별로 분류하는 복지 유형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3. 청구항 2에서, 상기 복지 데이터 통합부는 상기 유형별 통합변환양식 선택부에서 선택한 변환 양식을 기초로 동일한 유형의 다수의 복지 데이터를 단일의 양식으로 변환하는 자료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4. 청구항 3에서, 상기 자료 변환부는 상기 유형별 통합변환양식 선택부에서 선택된 변환양식을 입력받는 변환 양식 입력부; 입력받은 변환 양식으로부터 복지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한 항목을 추출하는 항목 추출부; 상기 추출한 항목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복지 데이터로부터 탐색하여 추출하는 항목 데이터 탐색부; 상기 추출한 복지 데이터를 각각의 항목에 매핑시켜 변환 양식을 통해 복지 데이터를 통합하는 항목 매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5. 청구항 4에서, 상기 변환 양식은 인적정보, 서비스명, 복지서비스 형태, 수혜일자, 서비스 내용, 금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인적정보는 연락처, 성명, 생년월일,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6. 청구항 4에서, 상기 항목 데이터 탐색부는 문자 인식을 통해 항목 및 복지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7. 청구항 1에서, 상기 복지 통합 관리부는 상기 복지 데이터 통합부에 의해 통합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지 데이터에서 대상자별, 제공기관별, 행정동별, 지원항목별로 통계처리를 하여 통계 현황을 추출하고 관리하는 통계 현황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86554A 2015-06-18 2015-06-18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KR101740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554A KR101740297B1 (ko) 2015-06-18 2015-06-18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554A KR101740297B1 (ko) 2015-06-18 2015-06-18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493A KR20160149493A (ko) 2016-12-28
KR101740297B1 true KR101740297B1 (ko) 2017-05-29

Family

ID=5772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554A KR101740297B1 (ko) 2015-06-18 2015-06-18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873B1 (ko) * 2018-02-21 2022-02-28 고정애 기업의 사회복지사 직접 고용을 통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8446A (ko) 2019-11-14 2021-05-24 김동현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072B1 (ko) * 2005-03-31 2005-10-28 대한민국 온톨로지 시스템
KR100856506B1 (ko) * 2007-07-05 2008-09-04 대한민국 인터넷을 통한 지방행정 종합정보의 관리방법
KR100975980B1 (ko) * 2010-01-13 2010-08-13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복지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이를 위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000B1 (ko) 2012-04-19 2012-10-24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보건정보 통합관리방법 및 통합관리시스템, 그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072B1 (ko) * 2005-03-31 2005-10-28 대한민국 온톨로지 시스템
KR100856506B1 (ko) * 2007-07-05 2008-09-04 대한민국 인터넷을 통한 지방행정 종합정보의 관리방법
KR100975980B1 (ko) * 2010-01-13 2010-08-13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복지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이를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493A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hagarra et al. Big Data and blockchain supported conceptual model for enhanced healthcare coverage: The Indian context
US20200004746A1 (en) Graph database for outbreak tracking and management
Garber et al. Estimating access to health care in Yemen, a complex humanitarian emergency setting: a descriptive applied geospatial analysis
Christensen et al. Partnerships for development: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in Kasese, Uganda
Okello et al. Producing routine malaria data: an exploration of the micro-practices and processes shaping routine malaria data quality in frontline health facilities in Kenya
Mahmood et al. Data and knowledge management in designing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KR101740297B1 (ko) e-나눔 복지통합관리시스템
CN106780044A (zh) 一种社保信息管理方法及装置
Maji et al. Data Warehouse Based Analysis with integrated blood donation management system
Corte-Real et al. Blockchain technology and universal health coverage: Health data space in global migration
Al Tamimi et al. The IOM’s missing migrants project: The global authority on border deaths
KR102273680B1 (ko) 병원 홍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Ptochos et al. Using internet GIS technology for early warning, response and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public health sector
McAdam et al. Identification of occupations in a South African rural less-resourced community
KR101806419B1 (ko) 민관협의체 복지통합관리시스템
Teng et al. Design of a smart visiting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in order to integrate tourism management into an isolated island
Haque et al. Using business intelligence for efficient inter-facility patient transfer
Russell et al. OPTIMISE: a pragmatic stepped wedge cluster randomised trial of an intervention to improve primary care for refugees in Australia
Khoo et al. Management of unidentified and unclaimed bodies: a comparison of model from four countries in the Asia Pacific Region
Crossfield et al. Centralised electronic health records research across health organisation types
Kurwakumire et al. Cadastral systems re-engineering in urban Zimbabwe
Chow et al. Using web demographics to model population change of Vietnamese-Americans in Texas between 2000 and 2009
Nguyen et al. UTILIZING INFORMATION TECHNOLOGY TO ENHANCE THE CAPACITY AND EFFICIENCY OF CONTROL SYSTEM FOR TRANSMISSIBLE DISEASES IN HO CHI MINH CITY
Jopkiewicz et al. Innovations in the dimension of communication in health sector and the perspective of Society 5.0
Jha et al. A Novel GPS based Blood Bank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