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291B1 -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0291B1 KR101740291B1 KR1020160126282A KR20160126282A KR101740291B1 KR 101740291 B1 KR101740291 B1 KR 101740291B1 KR 1020160126282 A KR1020160126282 A KR 1020160126282A KR 20160126282 A KR20160126282 A KR 20160126282A KR 101740291 B1 KR101740291 B1 KR 1017402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upper case
- cradle
- lower case
- side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이 수용될 수 있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타공; 및 상기 상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말이 위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상호를 결속하고, 거치대에 단말을 위치시켜,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복수의 타공에 의하여 증폭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음향을 보다 공명하게 하고, 단말용 포장재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상호를 결속하고, 거치대에 단말을 위치시켜,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복수의 타공에 의하여 증폭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음향을 보다 공명하게 하고, 단말용 포장재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형상으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상호를 결속하고, 상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거나 또는 하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거치대에 단말을 위치시켜,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복수의 타공에 의하여 증폭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음향을 보다 공명하게 하고, 단말용 포장재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독자적인 운영체제(OS)를 탑재한 단말의 사용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단말은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 디지털 방송 시청, 화상통화, 모바일 게임, MP3 플레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처럼, 단말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피커 장치는 고음질의 출력을 위해 음향의 공명 공간이 구비되어야 한다.
하지만, 단말이 점차적으로 소형화 및 슬림(slim)화 됨에 따라, 단말 내 스피커 장치의 공명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음향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단말의 스피커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은 모노(mono) 형태로, 음악 및 영화 감상 등에 필요한 저음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비교적 음질이 저급하여 사용자의 불만족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고품질의 이어폰 및 별도의 단말용 스피커가 판매되고 있으나, 이어폰의 경우 장시간 착용시 경우 피로도가 높아지고, 고막 손상의 위험성이 있으며, 별도의 스피커는 구매 비용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형상으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상호를 결속하고, 상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거나 또는 하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거치대에 단말을 위치시켜,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복수의 타공에 의하여 증폭되도록 하는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는, 단말이 수용될 수 있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타공; 및 상기 상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말이 위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말이 상기 거치대에 위치하여 작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복수의 타공에 의하여 증폭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거치대는 제2 거치대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거치대가 돌출 형성되는 측벽과 이웃한 양측 측벽 모서리에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벽 모서리가 맞대어질 경우, 상기 상부 케이스의 미끄러짐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제2 거치대가 돌출 형성되는 측벽과 이웃한 양측 측벽의 모서리에는 결속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거치대는 제1 거치대일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제1 거치대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각각의 일측벽 모서리 상호가 맞대어질 경우, 상기 상부 케이스의 미끄러짐 방지를 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 내측에는 소정 길이의 걸림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대는,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의 스피커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공극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일측벽에는, 제1 복수의 타공이 각각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제1 복수의 타공 상호는 상반되는 패턴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가 상기 상부 케이스에 내입될 경우 타공이 제공된 측벽은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대에는 상기 단말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거치대가 돌출 형성되는 측벽의 외측으로는 충전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대에 상기 단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저면은 상기 결속홈에 의하여 결속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벽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결속홈에 의하여 결속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벽에는, 상기 단말의 스피커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공극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대가 돌출 형성되는 측벽과 이웃한 양측 측벽에는, 제2 복수의 타공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형상으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상호를 결속하고, 상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거나 또는 하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거치대에 단말을 위치시킴으로써,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복수의 타공에 의하여 증폭될 수 있는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 제조사는 단말 포장재의 제조 공정에서 간단한 설계 변형을 통하여 포장뿐만 아니라 타 용도로도 사용 가능한 포장재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며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소비자들은 단말 포장재를 음향 증폭 장치로 이용함으로써 스피커 등의 별도의 액세서리를 구매하는 추가적 지출을 막을 수 있다.
이로써, 전적으로 단말 제품의 파손 방지 및 포장의 용도로만 사용되어 왔던 포장재를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는 경제적, 환경적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음향 증폭 장치로의 이용뿐만 아니라, 단말 포장재로써의 이용은 물론, 동영상 시청 및 단말 충전 시 거치대로써 활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구동에 있어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않아 전원공급에 따른 부자재가 불필요하며, 이는 소형, 경량화 및 에너지 절약의 장점을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의 구성요소 상호 간이 결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의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상호가 결속된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의 하부 케이스가 상부 케이스에 내입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의 구성요소 상호 간이 결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의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상호가 결속된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의 구성요소 상호 간이 결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의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상호가 결속된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의 하부 케이스가 상부 케이스에 내입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의 구성요소 상호 간이 결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의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상호가 결속된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는, 단말 제품의 파손 및 포장의 용도로써 사용되어 왔던 종래의 단말 포장재를 공정 단계에서 설계 변형하여 제조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구성요소 상호 간의 결합 및 단말(10)이 거치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100)는 하부 케이스(110A), 상부 케이스(120A), 제1 복수의 타공(130A) 및 제1 거치대(14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구성요소들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먼저, 하부 케이스(110A) 및 상부 케이스(120A)는 일면과,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호가 정합되도록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 케이스(110A)가 상부 케이스(120A)에 내입될 경우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단말(10)의 보관 및 포장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하부 케이스(110A) 및 상부 케이스(120A) 상호가 소정의 형상으로 결속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100)로써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형상이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20A)가 경사를 이루며 하부 케이스(110A)를 차폐하는 형상을 일컫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하부 케이스(110A) 및 상부 케이스(120A) 상호가 결속된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A)와 상부 케이스(120A)는 상호가 대응하는 형상으로써, 상부 케이스(120A)의 일 방향 측벽의 모서리가 하부 케이스(110A)의 동일 방향 측벽 모서리에 맞대어져 얹힐 경우, 상부 케이스(120A)는 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하부 케이스(110A)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동시에 하부 케이스(110A)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케이스(110A)로부터 상부 케이스(120A)의 미끄러짐 및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케이스(120A)의 상면 내측에는 걸림돌기(122A)가 제공될 수 있다.
걸림돌기(122A)는 종 또는 횡 방향의 바(bar) 형상으로, 상부 케이스(120A)가 기울어지는 방향의 하부 케이스(110A) 측벽 내측에 걸림 됨으로써 상부 케이스(120A)를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로 돌아와서, 상부 케이스(120A)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제1 거치대(140A)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121A)이 구비되며, 이때 삽입홈(121A)은 제1 거치대(140A)의 하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개구 형태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삽입홈(121A)의 개구면은, 예컨대 중앙부가 절개된 스펀지, 고무 등의 부자재(미도시)로 마감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거치대(140A)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고, 동시에 제1 거치대(140A)의 반복적인 수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삽입홈(121A) 가장자리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제1 거치대(140A)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상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단말(10)을 수용하여 거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삽입홈(121A)을 통해 상부 케이스(120A)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거치대(140A)는 삽입홈(121A)에 삽입될 경우 입몰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면의 가장자리에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지지판(141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거치대(140A)의 측벽에는 단말(10)의 스피커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공극(142A)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거치대(140A)가 삽입홈(121A)에 수용될 경우, 단말(10)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하부 케이스(110A) 및 상부 케이스(120A)가 결속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으로 명향될 수 있다.
이때, 제1 거치대(140A)의 내측벽에는 방음스펀지(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거치대(140A)의 내부공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음파 간의 간섭에 의한 상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제1 복수의 타공(130A)은, 제1 공극(142A)을 통하여 하부 케이스(110A) 및 상부 케이스(120A)가 결속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으로 명향된 단말(10)의 음향을 공명 및 집음시켜 케이스의 외부로 보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복수의 타공(130A)은 단말(10)의 정면과 마주보는 하부 케이스(110A)의 측벽 및 상부 케이스(120A)의 측벽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제1 복수의 타공(130A)은 상호가 상이한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케이스(110A) 및 상부 케이스(120A) 각각에 형성된 제1 복수의 타공(130A) 중, 일측 타공을 기준하여 타측 타공의 패턴을 상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A)가 상부 케이스(120A)에 내입될 경우 상반되는 각각의 제1 복수의 타공(130A) 패턴으로 인하여 측벽이 마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부 케이스(110A) 및 상부 케이스(120A)가 단말(10)의 보관 및 포장의 역할을 수행할 경우, 외부로부터 제1 복수의 타공(130A)을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포장재로써의 견고함을 유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100)는 하부 케이스(110A)의 측벽 모서리에 상부 케이스(120A)의 측벽 모서리를 맞대어 얹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제1 거치대(140A)에 단말(10)을 위치시켜 상부 케이스(120A)의 삽입홈(121A)에 삽입함으로써, 단말(10)이 작동하는 경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하부 케이스(110A) 및 상부 케이스(120A) 측벽에 형성된 제1 복수의 타공(130A)에 의하여 보다 공명 및 집음되며 증폭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구성요소 상호 간의 결합 및 단말(10)이 거치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100')는 하부 케이스(110B), 상부 케이스(120B), 제2 복수의 타공(130B) 및 제2 거치대(14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케이스(110B) 및 상부 케이스(120B)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하부 케이스(110B)가 상부 케이스(120B)에 내입될 경우 단말(10)의 보관 및 포장의 용도로 사용되며, 하부 케이스(110B) 및 상부 케이스(120B) 상호가 소정의 형상으로 결속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100')로써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형상이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20B)가 경사를 이루며 하부 케이스(110B)의 일부를 차폐하는 형상을 일컫는 것일 수 있으며, 도 7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하부 케이스(110B) 및 상부 케이스(120A) 상호가 결속된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하부 케이스(110B)와 상부 케이스(120B)는 상호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120B)의 일 방향 측벽의 모서리가 하부 케이스(110B)의 일측벽 모서리 및 상기 일측벽과 마주보는 측벽 모서리에 얹힐 경우, 상부 케이스(120B)는 경사를 이루며 하부 케이스(110B)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동시에 하부 케이스(110B) 상부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케이스(110B)로부터 상부 케이스(120B)의 미끄러짐 및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케이스(120B)의 측벽 모서리가 얹혀지는 하부 케이스(110B)의 양측벽에는 결속홈(111B)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결속홈(111B)은 소정의 경사를 이루는 브이(V)자 형상으로, 상부 케이스(120B)의 측벽 모서리가 결속홈(111B)에 체결됨으로써 하부 케이스(110B)는 상부 케이스(120B)를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으로 돌아와서, 제2 거치대(140B)는 단말(10)을 지지하여 거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110B)의 일측벽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거치대(140B)에는 단말(10)의 거치와 동시에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전단자(141B)가 제공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2 거치대(140B)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110B)의 측벽 외측으로는 충전포트(142B)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충전단자(141B)는 단말(10)의 충전뿐만 아니라, 제2 거치대(140B)에 단말(10)이 위치할 경우 단말(10)을 고정하는 용도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도 5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제2 거치대(140B)에 위치하는 단말(10)의 저면은 결속홈(111B)에 체결되는 상부 케이스(120B)의 측벽에 지지되므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부 케이스(120B)의 측벽에는 단말(10)의 스피커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공극(121B)이 구비될 수 있으며, 결속홈(111B)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110B)의 양측벽에는 제2 복수의 타공(13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단말(10)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제2 공극(121B)을 통하여 하부 케이스(110B) 및 상부 케이스(120B)가 결속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으로 명향되며, 이후 제2 복수의 타공(130B)에 의하여 공명 및 집음되어 외부로 보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100')는 상부 케이스(120B)의 일측벽 모서리가 하부 케이스(110B)의 측벽에 형성된 결속홈(111B)에 체결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제2 거치대(140B)에 단말(10)을 위치시킴으로써, 단말(10)이 작동하는 경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하부 케이스(110B) 측벽에 형성된 제2 복수의 타공(130B)에 의하여 보다 공명 및 집음되며 증폭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110: 하부 케이스
120: 상부 케이스
130: 복수의 타공
140: 거치대
110: 하부 케이스
120: 상부 케이스
130: 복수의 타공
140: 거치대
Claims (5)
- 단말이 수용될 수 있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타공;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말이 위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거치대에 위치하여 작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복수의 타공에 의하여 증폭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거치대는 제2 거치대이며,
상기 제2 거치대가 돌출 형성되는 측벽과 이웃한 양측 측벽 모서리에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벽 모서리가 맞대어질 경우, 상기 상부 케이스의 미끄러짐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제2 거치대가 돌출 형성되는 측벽과 이웃한 양측 측벽의 모서리에는 결속홈이 제공되며,
상기 제2 거치대에 상기 단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저면은 상기 결속홈에 의하여 결속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벽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치대에는 상기 단말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제공되고, 상기 제2 거치대가 돌출 형성되는 측벽의 외측으로는 충전포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에 의하여 결속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벽에는,
상기 단말의 스피커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공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치대가 돌출 형성되는 측벽과 이웃한 양측 측벽에는,
제2 복수의 타공이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6282A KR101740291B1 (ko) | 2016-09-30 | 2016-09-30 |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6282A KR101740291B1 (ko) | 2016-09-30 | 2016-09-30 |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8964A Division KR101673551B1 (ko) | 2015-07-13 | 2015-07-13 |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8192A KR20170008192A (ko) | 2017-01-23 |
KR101740291B1 true KR101740291B1 (ko) | 2017-05-26 |
Family
ID=5799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6282A KR101740291B1 (ko) | 2016-09-30 | 2016-09-30 |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029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0194U (ko) | 2017-07-13 | 2019-01-23 | 윤재일 | 휴대단말기용 무전원 음향증폭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9058B1 (ko) * | 2021-05-04 | 2022-07-11 | 이경호 | 핸드폰 거치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0752B1 (ko) * | 2012-04-27 | 2014-05-13 | 유국일 | 스마트폰 용 스피커 |
KR101425523B1 (ko) | 2013-05-13 | 2014-08-13 | (주)리노컴즈 | 메가폰 기능을 갖는 휴대폰 포장상자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4447B1 (ko) | 2013-08-27 | 2015-04-22 | (주)메가크리에이트 | 스마트폰 거치대가 구비되는 공명구조 스피커 |
-
2016
- 2016-09-30 KR KR1020160126282A patent/KR1017402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0752B1 (ko) * | 2012-04-27 | 2014-05-13 | 유국일 | 스마트폰 용 스피커 |
KR101425523B1 (ko) | 2013-05-13 | 2014-08-13 | (주)리노컴즈 | 메가폰 기능을 갖는 휴대폰 포장상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0194U (ko) | 2017-07-13 | 2019-01-23 | 윤재일 | 휴대단말기용 무전원 음향증폭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8192A (ko) | 2017-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71919B2 (en) | Wearable sound box apparatus | |
US8472659B2 (en) | Multimode audio reproduction device | |
KR101470984B1 (ko) | 마이크로 스피커 | |
KR101740291B1 (ko) |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 |
WO2007005619A3 (en) | Angularly adjustable speaker system | |
US8848961B2 (en) | Speaker box with U-shaped bending channels | |
JP2015089137A (ja) | 音響増幅箱及びこれを備える音響増幅装置 | |
US7190802B2 (en) | Microphone enclosure for reducing acoustical interference | |
CN112640484A (zh) | 便携式扬声器设备和方法 | |
CN106941650B (zh) | 解耦扬声器膜组件、解耦微型扬声器振动膜和驱动器 | |
CN202634689U (zh) | 一种敞开式扬声器装置 | |
KR101198961B1 (ko) | 스마트폰 용 스피커 | |
KR101673551B1 (ko) |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 |
CN210351545U (zh) | 蓝牙喇叭耳机收纳器 | |
TW200723930A (en) | Loudspeaker enclosure | |
US9124967B2 (en) | Microphone systems for base drums and other instruments | |
KR20140000004U (ko) | 확성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 | |
JP2010050667A (ja) | ヘッドホン | |
KR101627121B1 (ko) |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무전원 스피커 | |
CN203352747U (zh) | 一种改进型便携式音箱 | |
JPWO2012144040A1 (ja) | イヤホン | |
CN218113308U (zh) | 纸托装置及具有其的包装盒 | |
KR200357646Y1 (ko) | Mp3 거치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카세트 어댑터 | |
JP3894492B2 (ja) | スピーカ装置 | |
CN219107639U (zh) | 用于大功率扬声器的磁钢保护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