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883B1 - 부틸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 - Google Patents

부틸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883B1
KR101739883B1 KR1020150076206A KR20150076206A KR101739883B1 KR 101739883 B1 KR101739883 B1 KR 101739883B1 KR 1020150076206 A KR1020150076206 A KR 1020150076206A KR 20150076206 A KR20150076206 A KR 20150076206A KR 101739883 B1 KR101739883 B1 KR 101739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mixture
sheet
weight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078A (ko
Inventor
김석만
이현주
Original Assignee
한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6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88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08K3/003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16L58/0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F16L58/10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8Applications used for pi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틸고무 10~40 중량; 무기질 필러 10~50 중량%; 점착부여제 15~45 중량%; 개질재 5~25 중량%; 안료 0.1~5 중량%; 첨가제 0.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틸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을 제시함으로써, 점착성, 접착성 및 인장강도, 신장률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부착성능, 수밀성 및 균열 충진성이 뛰어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부틸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COMPOSITE OF BUTYL RUBBER AND SHEET FOR WATERPROOF AND ANTICORROSION USING THE SAME TH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토목, 건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부틸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에 관한 것이다.
수도용 강관과 콘크리트관의 경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관 내부의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일반적인 건축, 토목 구조물이 강가, 바닷가 또는 수중에 설치될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수도용 강관의 경우, 주재료가 철로서 지중에 매설된 구조물이므로 부식이 불가피하다.
수도용 강관의 부식은 관외면 부식과 관내면 부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관외면 부식은 토양환경하의 자연부식과 미주전류 또는 접지전류에 의한 전기부식, 토양내의 미생물에 의한 부식, 기타 이종금속 접촉, 신 구관 연결 등에 의해서 발생하며 부식진행에 따라 누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관내면 부식은 관 내부 수질에 따른 산화현상에 의해 발생하며 통수능력 저하 및 상수의 적수현상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강관의 부식으로 인하여 관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고, 소요두께 이하로 진행될 경우, 관내압 또는 외압에 의해서 관 파열이 발생하여 급수중단 및 매설 주변 지반 붕괴, 교통장애 등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관의 부식을 억제하는 방식 대책을 강구되어야 하며 부식방지를 위한 유지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에는 구조물의 방수, 방식을 위한 시공방법으로서, 방수 페인트 또는 방수 우레탄 등을 도포하여 구조물의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또한,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방수시트에 의해 방수성과 방식성을 향상시키는 시공방법도 있다.
결과적인 측면에서 위의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시공방법이 보다 효과적인데, 종래의 시공방법은 수도관의 내부에만 부착할 수 있는 등 사용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수시트는 주로 다른 재료로 제작된 시트들과 적층된 구조로 사용됨으로써, 이종물질간의 열융착으로 인하여 접착력이 저하되므로, 결국 구조물의 방수, 방식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점착성, 접착성 및 인장강도, 신장률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부착성능, 수밀성 및 균열 충진성이 뛰어나고, 시공이 용이한 부틸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부틸고무 10~40 중량; 무기질 필러 10~50 중량%; 점착부여제 15~45 중량%; 개질재 5~25 중량%; 안료 0.1~5 중량%; 첨가제 0.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틸고무 조성물을 제시한다.
상기 무기질 필러는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마이카, 클레이, 플라이애쉬, 벤토나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석유수지, 폴리부텐, 로진(송진) 및 로진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C5계, C9계, 공중합수지, 수첨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질재는 천연고무(NR), 에스비에스고무(SBS), 클리로프렌고무(CR), 이피디엠고무(EPDM), 에스비알고무(SBR),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아타티폴리프로필렌(APP), 비정형폴리올레핀(APAO),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는 카본블랙, 이산화티탄(백색),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산화철을 포함하는 무기안료 또는 유기안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내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광택제, 활제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로서, 합성 고분자계 조성물로 형성된 표면시트(110); 상기 표면시트(110)의 하부에 적층되고,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고무시트(120); 상기 고무시트(120)의 하부에 부탁된 이형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식시트(100)를 함께 제시한다.
상기 합성 고분자계 조성물은 합성수지 68~95 중량%; 무기질 필러 0.1~30 중량%; 개질재 1~5 중량%; 안료 0.1~5 중량%; 첨가제 0.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질 필러는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마이카, 클레이, 플라이애쉬, 벤토나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질재는 천연고무(NR), 에스비에스고무(SBS), 클리로프렌고무(CR), 이피디엠고무(EPDM), 에스비알고무(SBR),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아타티폴리프로필렌(APP), 비정형폴리올레핀(APAO),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는 카본블랙, 이산화티탄(백색),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산화철을 포함하는 무기안료 또는 유기안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내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광택제, 활제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으로서, 강관(200) 피착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형지(130)를 분리한 후, 상기 피착면에 상기 방수 및 방식시트(100)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을 함께 제시한다.
상기 피착면은 상기 강관(200)의 내부단면(200a)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강관(200)의 내부단면(200a)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착면은 상기 강관(200)의 외부단면(200b)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강관(200)의 외부단면(200b)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착면은 상기 강관(200) 및 인접 강관(200)의 결합부 외측면(200c)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착면은 상기 강관(200) 및 인접 강관(200)의 결합부 내측면(200d)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 및 방식시트(100)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표면시트(110)와 상기 고무시트(120)를 점착시키는 1차 점착단계; 상기 표면시트(110)의 측면 날개부를 웰딩하여 기밀시공하는 2차 기밀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 및 방식시트(100)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표면시트(110)와 상기 고무시트(120)를 점착시키는 1차 점착단계; 상기 표면시트(110)의 외면에 보강용 표면시트(110a)를 부착하여 보강하는 보강단계; 상기 보강용 표면시트(110a)를 웰딩하여 기밀시공하는 2차 기밀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점착성, 접착성 및 인장강도, 신장률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부착성능, 수밀성 및 균열 충진성이 뛰어나고, 시공이 용이한 부틸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을 제시한다.
도 1 본 발명에 의한 방수 및 방식시트의 측단면도 및 평면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 및 방식시트의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3은 방수 및 방식시트를 부착하는 단계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방수 및 방식시트를 부착하는 단계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강관 피착면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전면도.
도 7은 강관 피착면의 제 2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강관 피착면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강관 피착면의 제 4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부틸고무 조성물은 부틸고무 10~40 중량; 무기질 필러 10~50 중량%; 점착부여제 15~45 중량%; 개질재 5~25 중량%; 안료 0.1~5 중량%; 첨가제 0.1~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 1은 위의 성분 배합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5052054871-pat00001
위의 부틸고무 조성물은 복수가 적층되어 고무시트(120)의 구조로 사용되며, 상기 고무시트(120)와 그 상부에 결합하여 일체화된 표면시트(110), 상기 고무시트(120)의 하부에 결합한 이형지(130)와 함께 방수, 방식시트(100)로 사용된다(도 1).
이와 같이 형성된 방수 및 방식시트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점착성 및 접착성이 우수한 고분자 화합물인 부틸고무 조성물이 주 성분으로 사용됨으로써, 수도강관 및 콘크리트관, 구조물의 방수, 방식재료로로서 우수한 부착성능을 발휘한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방수 및 방식시트는 자기점착형의 특성이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사용범위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셋째, 방수, 방식시트의 주요기능인 수밀성 및 균열 충진성이 뛰어나고, 금속표면을 수분 및 공기로부터 확실히 차단하며,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수 및 방식시트는 수도강관 및 콘크리트관, 건축 구조물의 방수, 방식재료로 사용되어 효과적인 방수, 방식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수 및 방식시트에 사용된 부틸고무 조성물을 형성하는 각각의 성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틸고무는 범용적으로 공장에서 생산되는 합성고무의 한 종류로서, 점,접착성이 우수하고 내열,내한성이 우수한 고무로서, 상기 부틸고무의 등급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 등급을 제한하지 않는다.
특히, 부틸고무의 배합비가 10 중량% 미만이 될 경우,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 탄성 및 신장률 등의 물성이 저하되고 부틸고무 특유의 충진특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반면, 부틸고무의 배합비가 40 중량%을 초과할 경우, 그 사용량이 필요이상의 사용으로 가격경쟁력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무기질 필러의 경우,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마이카, 클레이, 플라이애쉬,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무기질 필러 성분이 10중량% 미만일 경우, 제품의 압축강도가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용량이 너무 많아 제품의 탄성, 신장률, 점착강도 등의 물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점착부여제의 경우, 석유수지, 폴리부텐, 로진(송진) 및 로진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석유수지는 C5계,C9계, 공중합수지, 수첨수지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부텐은 등급이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 등급을 제한하지 않는다.
점착부여제의 배합비가 15중량% 미만이 되면 점착제로서의 기능이 저하되고, 45중량%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가격경쟁력이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개질재의 경우, 천연고무(NR), 에스비에스고무(SBS), 클리로프렌고무(CR), 이피디엠고무(EPDM), 에스비알고무(SBR),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아타티폴리프로필렌(APP), 비정형폴리올레핀(APAO),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질재가 5중량% 미만이 되면 사용량이 너무 적어 개질효과가 낮으며, 25중량%를 초과하면 사용량이 너무 많아 가격상승의 요인이 된다.
안료는 카본블랙, 이산화티탄(백색),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산화철을 포함하는 무기안료 또는 유기안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납, 수은, 크롬 등의 중금속이 포함되어 제조된 안료일 경우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
안료의 배합비가 0.1 중량% 미만이 될 경우, 사용량이 너무 적어 원하는 색상의 제품을 기대하기 어렵고,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과잉사용으로 가격경쟁력이 낮아진다.
첨가제는 내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광택제, 활제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의 배합비는 0.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부틸고무 조성물은 점,접착력이 우수함은 물론 시공 편리성 및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부착성능과 수밀성, 균열 충진성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의 부틸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를 함께 제시한다.
방수 및 방식시트는 합성 고분자계 조성물로 형성된 표면시트(110); 표면시트(110)의 하부에 적층되고, 부틸고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고무시트(120); 고무시트(120)의 하부에 부탁된 이형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여기서, 합성 고분자계 조성물은 합성수지 68~95 중량%; 무기질 필러 0.1~30 중량%; 개질재 1~5 중량%; 안료 0.1~5 중량%; 첨가제 0.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2는 위의 성분 배합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5052054871-pat00002
위의 성분들 중, 합성수지는 범용적으로 공장에서 생산되는 합성수지의 한 종류로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합성수지의 배합비가 68중량% 미만일 경우, 제품의 강도와 제품간의 접착력이 자하되고, 95중량%을 초과할 경우, 필요이상의 사용으로 가격상승의 요인이 된다.
무기질 필러의 경우,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마이카, 클레이, 플라이애쉬, 벤토나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질 필러 성분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사용량이 너무 많아 제품의 탄성, 신장률, 접착강도 등의 물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개질재는 천연고무(NR), 에스비에스고무(SBS), 클리로프렌고무(CR), 이피디엠고무(EPDM), 에스비알고무(SBR),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아타티폴리프로필렌(APP), 비정형폴리올레틴(APAO),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질재가 1중량% 미만일 경우, 사용량이 적어 개질효과가 낮으며,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용량이 많아 가격상승의 요인이 된다.
안료의 경우, 카본블랙, 이산화티탄(백색),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산화철을 포함하는 무기안료 또는 유기안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의 배합비가 0.1중량% 미만일 경우, 사용량이 너무 적어 원하는 색상의 제품을 기대하기 어렵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 과잉사용으로 가격경쟁력이 낮아진다.
첨가제의 경우, 내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광택제, 활제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형성된 합성수지 조성물은 비중이 낮고, 인장강도 및 신장률이 우수함과 더불어, 시공 편리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시트를 결합할 경우, 시트간의 접착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 및 방식시트는 방수를 요구하는 구조물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수도관의 내,외부에 부착되어 방수 및 방식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강관(200) 피착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이형지(130)를 분리한 후, 피착면에 방수 및 방식시트(100)를 부착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방수 및 방식시트(100)는 합성 고분자계 조성물로 형성된 표면시트(110)가 연속 일체화될 수 있도록 적층시켜 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표면시트(110)와 고무시트(120)를 1차 점착시킨 후, 표면시트(110) 측면의 날개 부분을 열풍기를 이용하여 웰딩하여 2차 기밀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3).
반면, 표면시트의 끝단부분 또는 표면시트의 날개 부분이 없는 경우 방수 및 방식시트(100)를 부착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즉, 표면시트(110)와 상기 고무시트(120)를 점착시킨 후, 표면시트(110)의 외면에 보강용 표면시트(110a)를 부착하여 보강한다.
그리고, 보강용 표면시트(110a)를 열풍기를 이용하여 웰딩하여 기밀시공하는 2차 기밀시공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강관 부식방지공법은 방수 및 방식시트(100)의 적용범위가 다양하고 시공이 용이하므로, 수도관의 구관뿐 아니라 신관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다시말해, 방수 및 방식시트(100)를 구관의 내부에만 부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신관의 내부, 외부에도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위의 시공방법 중 피착면은 강관(200)의 내부단면(200a)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관(200)의 내부단면(200a)에 형성될 수 있다(도 5,6).
위의 실시예는 수도관의 구관, 신관 모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착면은 강관(200)의 외부단면(200b)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관(200)의 외부단면(200b)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수도관의 신관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피착면은 수도관의 신관에 해당하는 강관(200) 및 인접 강관(200a)의 결합부 외측(200c)에 형성될 수도 있다(도 8).
그리고, 피착면은 수도관의 구관, 신관 모두 해당하는 강관(200) 및 인접강관(200b) 결합부 내측(200d)에 형성될 수도 있다(도 9).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표 3은 본 발명의 부틸고무 조성물의 성능을 검증하고자, 실험에 사용한 3가지 시험체의 성분 배합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5052054871-pat00003
표 4는 표 3에 제시한 배합비로 제조한 3개의 시험체에 대하여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탄낸 것이다.
Figure 112015052054871-pat00004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와 대비하여 실시예 2,3은 내열성과 내한성이 우수하며, 비중과 점착력 등의 성능을 고려할 경우, 실시예 1이 가장 적당한 배합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5는 본 발명의 합성 고분자계 조성물의 성능을 검증하고자, 실험에 사용한 3가지 시험체의 성분 배합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5052054871-pat00005
표 6은 표 5에 제시한 배합비로 제조한 3개의 시험체에 대하여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5052054871-pat00006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와 대비하여 실시예 2,3은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우수하며, 비중과 인장성능 및 신장률을 고려했을 때 실시예 1이 가장 적당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방수 및 방식시트(100) 110 : 표면시트(110)
120 : 고무시트(120) 130 : 이형지(130)
200 : 강관(200)

Claims (21)

  1. 합성수지 68~95 중량%, 무기질 필러 0.1~30 중량%, 개질재 1~5 중량%, 안료 0.1~5 중량%, 첨가제 0.1~5 중량%를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계 조성물로 형성된 표면시트(110);
    상기 표면시트(110)의 하부에 적층되고, 부틸고무 10~40 중량%, 무기질 필러 10~50 중량%, 점착부여제 15~45 중량%, 개질재 5~25 중량%, 안료 0.1~5 중량%, 첨가제 0.1~5 중량%;를 포함하는 부틸고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고무시트(120);
    상기 고무시트(120)의 하부에 부탁된 이형지(130);를 포함하는 방수 및 방식시트(100)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으로서,
    강관(200) 피착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형지(130)를 분리한 후, 상기 피착면에 상기 방수 및 방식시트(100)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 및 방식시트(100)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표면시트(110)와 상기 고무시트(120)를 점착시키는 1차 점착단계;
    상기 표면시트(110)의 측면 날개부를 열풍기로 웰딩하여 기밀시공하는 2차 기밀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의 무기질 필러는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마이카, 클레이, 플라이애쉬, 벤토나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의 점착부여제는
    석유수지, 폴리부텐, 로진(송진) 및 로진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4. 제 3항에 잇어서,
    C5계, C9계, 공중합수지, 수첨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의 개질재는
    천연고무(NR), 에스비에스고무(SBS), 클리로프렌고무(CR), 이피디엠고무(EPDM), 에스비알고무(SBR),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아타티폴리프로필렌(APP), 비정형폴리올레핀(APAO),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의 안료는
    카본블랙, 이산화티탄(백색),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산화철을 포함하는 무기안료 또는 유기안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의 첨가제는
    내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광택제, 활제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계 조성물의 합성수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계 조성물의 무기질 필러는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마이카, 클레이, 플라이애쉬, 벤토나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계 조성물의 개질재는
    천연고무(NR), 에스비에스고무(SBS), 클리로프렌고무(CR), 이피디엠고무(EPDM), 에스비알고무(SBR),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아타티폴리프로필렌(APP), 비정형폴리올레틴(APAO),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계 조성물의 안료는
    카본블랙, 이산화티탄(백색),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산화철을 포함하는 무기안료 또는 유기안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계 조성물의 첨가제는
    내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광택제, 활제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강관 부식방지공법.
  15. 삭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면은
    상기 강관(200)의 내부단면(200a)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강관(200)의 내부단면(200a)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면은
    상기 강관(200)의 외부단면(200b)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강관(200)의 외부단면(200b)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면은
    상기 강관(200) 및 인접 강관(200)의 결합부 외측면(200c)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면은
    상기 강관(200) 및 인접 강관(200)의 결합부 내측면(200d)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20. 삭제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및 방식시트(100)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표면시트(110)와 상기 고무시트(120)를 점착시키는 1차 점착단계;
    상기 표면시트(110)의 외면에 보강용 표면시트(110a)를 부착하여 보강하는 보강단계;
    상기 보강용 표면시트(110a)를 웰딩하여 기밀시공하는 2차 기밀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부식방지공법.
KR1020150076206A 2015-05-29 2015-05-29 부틸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 KR101739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206A KR101739883B1 (ko) 2015-05-29 2015-05-29 부틸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206A KR101739883B1 (ko) 2015-05-29 2015-05-29 부틸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078A KR20160140078A (ko) 2016-12-07
KR101739883B1 true KR101739883B1 (ko) 2017-06-08

Family

ID=57573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206A KR101739883B1 (ko) 2015-05-29 2015-05-29 부틸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8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679B1 (ko) * 2017-08-18 2018-07-23 주식회사 지엘 타설 콘크리트 접착형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0625A (ko) * 2018-02-21 2019-08-29 김석만 방수시트와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526B1 (ko) * 2017-01-24 2018-06-04 한영미 접착층 및 수축 시트층을 가진 방식용 시트의 시공방법
KR101866882B1 (ko) * 2017-09-04 2018-07-19 김석만 방수, 방식 및 씰링시트를 이용한 플랜트 배관의 단열보호용 마감공법
KR102105955B1 (ko) * 2018-01-10 2020-04-29 김석만 코너부 방수부재
CN111019249B (zh) * 2019-11-28 2022-03-29 杭州理想密封科技有限公司 橡胶及制备工艺
CN112011131A (zh) * 2020-09-10 2020-12-01 腾森橡胶轮胎(威海)有限公司 一种连接丁基内胎与气门嘴的胶料及其制备方法
CN114181442B (zh) * 2020-09-15 2023-09-0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基于溴化丁基橡胶和丁苯橡胶的橡胶组合物及其应用、硫化橡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614874B1 (ko) * 2022-10-04 2024-01-08 한폴 주식회사 도로포장용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3212A (ja) 2008-08-27 2010-03-11 Two-One:Kk 熱収縮ゴム組成物および成形品。
KR100958884B1 (ko) * 2009-10-08 2010-05-20 한폴 주식회사 부틸합성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3212A (ja) 2008-08-27 2010-03-11 Two-One:Kk 熱収縮ゴム組成物および成形品。
KR100958884B1 (ko) * 2009-10-08 2010-05-20 한폴 주식회사 부틸합성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679B1 (ko) * 2017-08-18 2018-07-23 주식회사 지엘 타설 콘크리트 접착형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0625A (ko) * 2018-02-21 2019-08-29 김석만 방수시트와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337751B1 (ko) * 2018-02-21 2021-12-08 김석만 방수시트와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078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883B1 (ko) 부틸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식시트, 방수 및 방식시트를 이용한 강관 부식방지공법
US20020013389A1 (en) Polymeric blends and composites and laminates thereof
JP5228277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グレイジングガスケット
US11346490B2 (en) Metal pipes with anticorrosive polyolefin covering layer
KR101962231B1 (ko) 합성고무를 개질화한 자착식 방수시트
KR102006272B1 (ko) 부틸 자착식 방수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US20110183100A1 (en) Solvent-free adhesive for waterproof sheet, waterproof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aterproof sheet using the solvent-free adhesiv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waterproof sheet
KR101911364B1 (ko) 복합방수시트
KR100344940B1 (ko) 미가류 상태인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사용한 시공방법
KR102337751B1 (ko) 방수시트와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US20130288051A1 (en) Mechanical and anticorrosive protection vinyl tape
KR20190102682A (ko) 자착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
KR101681531B1 (ko) 친환경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방수공법
KR20200015319A (ko) 고무 아스팔트 또는 부틸 합성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분시설용 또는 토목 매립지용 재활용시설의 방수공법
CN105313390A (zh) 一种反应型非沥青基湿铺防水卷材
JP2022022531A (ja) ブチルゴム系粘着剤組成物、粘着テープ、屋根用防水シート及び接合体
KR101866882B1 (ko) 방수, 방식 및 씰링시트를 이용한 플랜트 배관의 단열보호용 마감공법
KR102349881B1 (ko) 내구성이 우수한 탄성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및 탄성도막방수재가 코팅된 고무화 아스팔트 자착식 방수시트
KR20210155036A (ko)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층 방수 시트
Papavinasam et al. Evolution of external pipeline coatings for corrosion protection–a review
KR102087925B1 (ko) 배수구 방수부재
US20220154870A1 (en) Metal pipes with anticorrosive polyolefin covering layer
KR102310922B1 (ko) 방수시트, 방수시트 일체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및 상기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공법
JP2022008035A (ja) ブチルゴム系粘着剤組成物、粘着テープ、屋根用防水シート及び接合体
KR101559133B1 (ko) 고무아스팔트계 방수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