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807B1 - 유체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807B1
KR101739807B1 KR1020160091627A KR20160091627A KR101739807B1 KR 101739807 B1 KR101739807 B1 KR 101739807B1 KR 1020160091627 A KR1020160091627 A KR 1020160091627A KR 20160091627 A KR20160091627 A KR 20160091627A KR 101739807 B1 KR101739807 B1 KR 101739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luid
flow path
flow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열
안상태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에이치 filed Critical ㈜디에스에이치
Priority to KR102016009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15Guiding means in wate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유체가열 장치가 제공된다. 유체가열 장치는 유체가 유출입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되, 상기 가열부를 중심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유동로가 형성되는 유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입부 및 유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는 상기 유동부의 일면은 상기 가열부 측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가열 장치{Fluid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유체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열 장치는 주택이나 산업시설 또는 농업용 난방을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유체가열 장치는 내부에 가열부가 배치되고, 가열부를 중심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로를 순환하는 유체는 가열부의 발열에 의하여 가열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는 유체가 유로에 배치되는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기포(산소 및 공기)가 발생된다. 또한, 가열부의 특성에 따라 산소 및 공기를 포함하는 기포에 노출되면, 가열부의 발열 온도가 변화되고, 이로 인하여 가열부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가열부의 파손으로 인하여 유체를 가열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열부의 파손없이 유동부를 통하여 유체를 가열시키는 유체가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가 유출입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되, 상기 가열부를 중심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유동로가 형성되는 유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입부 및 유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는 상기 유동부의 일면은 상기 가열부 측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유체가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동부는 상기 가열부를 중심으로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제1유동로와,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는 제2유동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유동로의 일면이 상기 가열부 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동로의 일면은 1° 내지 2°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제1유동로와 상기 제2유동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유동로의 일면과 연결되는 제1경사면과, 타단이 상기 제2유동로의 일면과 연결되는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은 각각 상기 제1유동로의 일면 및 상기 제2유동로의 일면에 대하여 120° 내지 130°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의 일측에는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는 복수 개로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복수 개의 유동부 내부를 유동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유동부의 일단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복수 개의 가열부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유동부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유동부 중 하나의 유동부는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고, 또 다른 하나의 유동부는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는 상기 하나의 유동부의 일면이 상기 가열부 측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출부와 연결되는 유동부의 상부면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유체를 유출부 측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기포가 유출부 측으로 유동하므로 기포에 의해 가열부의 온도 변화를 방지하여 가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경사면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기포가 유동부 내에 머무르지 않고 유출부측으로 용이하게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의 A-A'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4의 C-C'를 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의 A-A'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10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가열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체(110), 가열부(120) 및 유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유동부(130) 및 가열부(1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110)의 외부에는 유입부(111) 및 유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11) 및 유출부(112)는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유동부(130)로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입부(111) 및 유출부(112)는 각각 본체(110)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111)는 본체(110)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유출부(112)는 본체(110)의 상부측에 형성된다.
이때, 유출부(112)의 폭은 유입부(111)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입부(111)의 폭은 유출부(112)의 폭 보다 2배 내지 5배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유출부(112)의 폭이 1이라면, 유입부(111)의 폭은 2 내지 5일 수 있다.
이는, 유동부(130)의 내부 온도를 유지시켜주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부(13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가열부(120)에 의해 가열되어 유출부(112) 측으로 유출된다. 이때, 유출부(112)의 폭이 넓게 되면, 유출부(112)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동로(130)로 유입되고, 그러면 유동로(130) 내부의 온도가 외부 공기와 열 교환되어 유동로(130)의 내부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출부(112)의 폭은 유입부(111)의 폭 보다 작게 형성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동부(130)의 내부 온도는 본체(110)의 내부에 결합되는 가열부(120)가 유체를 가열함으로써 상승시킬 수 있다.
가열부(120)는 본체(110)의 내부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가열부(12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후술되는 유동부(130)의 중심에 배치되어 유동부를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한다.
또한, 가열부(120)의 일단에는 전류를 공급받는 단자(121, 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121, 122)는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도 2에서와 같이, 단자(121, 122)는 본체(1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140)와 연결되며, 전원공급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를 가열부(120)로 공급한다. 그리고 가열부(120)는 단자(121, 12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열될 수 있으며, 이에 유동부(130) 내부의 유체를 가열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120)는 세라믹 히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체를 가열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을 사용해도 좋다.
한편, 본체(110)의 내부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로가 형성되는 유동부(1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유동부(130)는 본체(110)의 내부로 배치되는 가열부(120)에 의해 제1유동로(131) 및 제2유동로(132)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부(120)는 유동부(130)의 중심에서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유동로(131)는 가열부(120)를 중심으로 하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유동로(132)는 가열부(120)를 중심으로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유동로(131)는 본체(110)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유입부(11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유동로(132)는 본체(11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유출부(11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유동로(131)의 일단과 제2유동로(132)의 일단은 연결부(133)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유체는 유입부(111)로 유입되어 제1유동로(131)로부터 제2유동로(132)로 유동하여 유출부(112)로 배출된다.
한편, 유동부로 유입된 유체는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며, 기포(산소 및 공기)가 발생된다. 이러한 기포는 유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제1유동로를 따라 이동하여 연결되는 연결부에 모여있거나, 제2유동로에 모여있게 된다. 이렇게 모여 있는 기포에 의해 가열부는 노출되는 비율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가열부의 발열 온도를 변화시켜 파손시킨다.
이에 따라 가열부(120)에 의해 발생한 기포를 유출부(112)로 배출시키도록 제2유동로(132)의 상부면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시키며, 연결부(133)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기포들이 모여있지 않고 제2유동로를 따라 이동하여 유출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부(120)의 상면과 마주하는 제2유동로(132)의 상부면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제2유동로(132)의 상부면은 유출부(112) 측에서 멀어질수록 가열부(120) 측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진다.
즉, 제1유동로(131)와 연결되는 제2유동로(132)의 일측의 폭은 제1유동로(131)의 폭과 동일하지만, 제2유동로(132)의 일 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은 점점 커진다.
여기서, 제2유동로(132)의 상부면이 갖는 경사 각은 1° 내지 3°의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질 수 있으며, 제2유동로(132)의 상부면의 이상적인 경사 각도는 1° 내지 2°의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의 α 참조).
이와 같은 제2유동로(132)의 상부면의 경사 각은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제2유동로의 상부면 경사 각에 따라 유출부 측으로 기포가 배출된 후 본체 내부의 온도 편차 및 가열부가 기포에 노출되는 표면적 비율을 실험을 하였고, 그에 대한 실험 결과는 표 1에 나타나있으며, 이를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유동로의 상부면 경사 각 기포 방출 후 본체 내부의 온도 편차 기포 발생시 가열부의 노출 비율
0 1.0 ~1.5 60%
1 1.0~1.5 40%
2 1.2~1.7 33%
3 1.5~2.0 25%
표 1를 참조하면, 제2유동로의 경사각이 0°인 경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체가열 장치로서, 가열부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유출부 측으로 배출된 후 본체의 내부 온도 편차는 1.0 내지 1.5이다. 그러나, 가열부가 기포에 노출되는 비율이 60% 로, 가열부가 기포에 노출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가열부가 기포에 노출이 많이 되면, 가열부의 발열 온도를 변화시켜 가열부를 파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유동로의 경사도가 3°인 경우는, 가열부가 기포에 노출되는 비율이 25% 로, 0°인 경우보다 낮은 비율로 가열부가 노출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체 내부의 온도 편차가 1.5 내지 2.0로, 0°인 경우보다 본체 내부의 온도 편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본체 내부의 온도 유지가 어렵다.
반면, 제2유동로의 경사도가 1°인 경우는 온도 편차가 0°일 경우와 동일한 온도 편차를 나타나는 동시에, 기포에 노출되는 가열부의 비율이 0°일 경우 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동로의 경사도가 2°인 경우는 온도 편차가 1°일 때보다는 0.2 정도 편차가 생기지만, 기포에 노출되는 가열부가 0°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2유동로의 상부면 경사각은 온도 유지를 위하여 온도 편차가 0°경우와 큰 편차를 나타내지 않으면서, 기포에 노출되는 가열부의 비율을 낮출 수 있는 각도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제2유동로의 상부면 경사각은 표 1에서와 같이 1°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이상적인 경사 각도는 1°의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열부(120)의 발열에 의해 발생한 기포가 연결부(133)에 수집되지 않고, 유체의 유동을 가속시켜 기포가 제2유동로(132)를 통하여 유출부(112)측으로 배출되도록 연결부(133)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연결부(133)는 제1 및 제2경사면(133a, 133b)을 포함하며, 제1경사면(133a)은 제1유동로(131)와 연결부(133)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2경사면(133b)은 제2유동로(132)와 연결부(133)의 타단을 연결한다.
이때, 제1 및 제2경사면(133a, 133b)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경사면(133a)는 유동부(130)의 하부면에 대하여 120° 내지 130°의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질 수 있으며, 제2경사면(133b)은 유동부(130)의 상부면에 대하여 120° 내지 130°의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도 3의 β참조).
이에 따라서, 유동부(130)에서 발생한 기포들은 제1경사면(133a) 및 제2경사면(133b)에 의하여 기포가 제2유동로(13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제2유동로(132)의 폭이 연결부(133)와 연결되는 제2유동로(132)의 일측부터 타측으로 점자 넓어지기 때문에, 연결부(133)로부터 제2유동로(132)로 이동되는 기포는 제1유동로(131)에서 제2유동로(132)로 유동하는 유체의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유출부(11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부의 가열에 의해 발생한 기포가 유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기포에 의한 가열부(120)의 온도 변화를 방지하여 가열부(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100)는 하나의 유동부 (130)가 본체(11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동부(130')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본체(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100)는 본체(110)의 내부에 하나의 유동부(130)가 설치되는 반면, 도 4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100')는 본체(11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유동부(1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의 유동부(130) 및 도 4의 유동부(13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가열부(120')의 상세한 구성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가열부(12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4의 C-C'를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 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유동부(1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유동부(130')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유동부(130')의 일단들은 일체로 연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유동부(130')의 타단들은 개별로 구획된다.
또한, 유동부(130')가 복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가열부(120')도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동부(130') 및 가열부(120')는 일대일 매칭되게 본체(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열부(120')가 유동부(130') 내에 배치되어 유동부(130')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유동로(131', 132')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유동부(130') 각각에 제1 및 제2유동로(131', 132')가 형성됨으로써, 본체(1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유동로(131', 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유동로(131', 132')를 따라 유동하며, 유동부(130')에 배치되는 가열부(120')에 의해 가열된다.
또한, 복수 개의 유동부(130') 중 본체(11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유동부(130')는 유출부(112')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본체(110')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유동부(130')는 유입부(111')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서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에는 유동부(130')가 3개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본체(11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임의의 제1유동부(130a')는 유출부(112')와 연결될 수 있고, 본체(110')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임의의 제3유동부(130c')는 유입부(11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유동부(130') 내부에 유체의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들을 유출부(112')로 빠르게 유동시키기 위하여 유출부(112')와 연결되 제1유동부(130a')의 상부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유동부(130a')에 형성된 제2유동로(132a')의 상부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유동부(130a')에 형성된 제2유동로(132a')의 상부면 경사각은 도 1에 따른 제2유동로(132)의 상부면과 동일하게 1°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이상적인 경사 각도는 1°의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2 및 제3유동부(130b', 130c')의 상부면은 수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유동부(130')의 타단은 각각의 제1유동로(131')에서 제2유동로(132')로 연결되는 연결부(133')가 일정 각도를 가지고 경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33')는 제1 및 제2경사면(133a', 133b')을 포함하며, 제1경사면(133a')은 제1유동로(131')와 연결부(133')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2경사면(133b')은 제2유동로(132')와 연결부(133')의 타단을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부(133')의 제1 및 제2경사면(133a', 133b')은 가열부(120')에 의해 유체가 가열됨에 따라 발생되는 기포를 유동부(130)에 머무르지 않고 유출부(132')측으로 유동시켜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100')의 기포 배출 방법은 도 1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100)의 기포 배출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자세한 기포 배출 방법은 도 1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100)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기포가 복수 개의 유동부에 머무르지 않고 유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 기포에 의해 가열부의 온도 변화를 방지하여 가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출부와 연결되는 상부측 유동부의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유체의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기포가 유출부 측으로 용이하게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100' : 유체가열 장치 110, 110' : 본체
111, 111' : 유입부 112, 112' : 유출부
120, 120' : 가열부 130, 130' : 유동부

Claims (9)

  1. 하부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측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 유동하며, 상기 가열부를 중심으로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제1유동로와,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는 제2유동로와, 상기 제1유동로와 상기 제2유동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동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유동로의 일면과 연결되는 제1경사면과, 타단이 상기 제2유동로의 일면과 연결되는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은 각각 상기 제1유동로의 일면 및 상기 제2유동로의 일면에 대하여 120° 내지 130°로 경사지고,
    상기 유체의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2유동로의 상면이 상기 가열부 측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되, 상기 제2유동로의 상면은 1° 내지 2°로 경사지며,
    상기 유동부의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유출부의 폭이 상기 유출부의 폭 보다 2배 내지 5배 작게 형성되는 유체가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일측에는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단자가 형성되는 유체가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복수 개로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복수 개의 유동부 내부를 유동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유동부의 일단들은 서로 연결되는 유체가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복수 개의 가열부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유동부 각각에 배치되는 유체 가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동부 중 하나의 유동부는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고, 또 다른 하나의 유동부는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는 상기 하나의 유동부의 일면이 상기 가열부 측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유체가열 장치.
KR1020160091627A 2016-07-19 2016-07-19 유체가열 장치 KR101739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627A KR101739807B1 (ko) 2016-07-19 2016-07-19 유체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627A KR101739807B1 (ko) 2016-07-19 2016-07-19 유체가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807B1 true KR101739807B1 (ko) 2017-05-26

Family

ID=5905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627A KR101739807B1 (ko) 2016-07-19 2016-07-19 유체가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511A (ko) *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 경동원 열교환기
KR102721560B1 (ko) * 2018-04-20 2024-10-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가열 히터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8958B2 (ja) * 1992-08-07 1999-03-10 株式会社 三浦研究所 純水加温装置
KR100880773B1 (ko) * 2008-01-23 2009-02-02 (주) 씨엠테크 유체 가열장치
KR101568372B1 (ko) * 2015-08-24 2015-11-12 삼원온스파주식회사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8958B2 (ja) * 1992-08-07 1999-03-10 株式会社 三浦研究所 純水加温装置
KR100880773B1 (ko) * 2008-01-23 2009-02-02 (주) 씨엠테크 유체 가열장치
KR101568372B1 (ko) * 2015-08-24 2015-11-12 삼원온스파주식회사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21560B1 (ko) * 2018-04-20 2024-10-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가열 히터 모듈
KR20200004511A (ko) *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 경동원 열교환기
KR102506060B1 (ko) * 2018-07-04 2023-03-07 주식회사 경동원 열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853B1 (ko) 구성가능한 액체 프리커서 기화기
US7597135B2 (en) Impingement cooled heat sink with low pressure drop
US20120000629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9267739B2 (en) Pedestal with multi-zone temperature control and multiple purge capabilities
TWI624904B (zh) 基板支持裝置
TWI647785B (zh) 恒定質量流多層次冷卻劑路徑之靜電式夾具
US20150348805A1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739807B1 (ko) 유체가열 장치
TWI571957B (zh) 靜電式吸盤與其溫度控制方法
CN105789014A (zh) 一种实现均匀排气的等离子体处理装置
CN107785283A (zh) 加热腔室及半导体加工设备
KR20220168181A (ko) 약액의 온도제어장치
JP7212767B2 (ja) 基板処理装置
RU22918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дувки текучей средой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стороны тонкого элемента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дувки
TWI628391B (zh) 用於冷卻一燈泡之方法及裝置及用於沿一燈泡之一表面分佈熱量之裝置
KR102328940B1 (ko) 핀휜 구조 히트싱크의 균일 냉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냉각 장치 구조
KR20050021596A (ko) 정전척의 냉각 베이스
JP3622152B2 (ja) 半導体検査装置
TW201727733A (zh) 基板處理裝置
KR101453860B1 (ko) 플라즈마 히터
KR102031305B1 (ko) 일체형 유체 분사장치
US11253970B2 (en) Slurry cooling device and slurry supply system having the same
KR100521373B1 (ko) 냉각 장치 및 반도체 소자 제조 장치
KR101742298B1 (ko) 미그용접용 토치 노즐
CN103369744B (zh) 用于集成电路制造的蜂巢状锥形加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