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684B1 -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684B1
KR101739684B1 KR1020160001630A KR20160001630A KR101739684B1 KR 101739684 B1 KR101739684 B1 KR 101739684B1 KR 1020160001630 A KR1020160001630 A KR 1020160001630A KR 20160001630 A KR20160001630 A KR 20160001630A KR 101739684 B1 KR101739684 B1 KR 101739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tection
shutter
light source
microorg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재
Original Assignee
이옥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재 filed Critical 이옥재
Priority to KR102016000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ellular or enzymatic activity or functionality, e.g. cell vi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8Automatic or computerized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86Measuring fluorescence of biological material, e.g. DNA, RNA,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25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having a carousel or turntable for reaction cells or cuvet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06Individual bottles or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39Rotary sample carriers, i.e. carousels
    • G01N2035/0441Rotary sample carriers, i.e. carousels for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19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ll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 시료와 배지가 혼합된 투명한 배지함에서 미생물을 배양하고 미생물 검출 위치에 대응하여 하부에 배출구(15)가 형성된 인큐베이터에 설치되어서 상기 검출 위치에 위치하는 검출 대상 배지함에서 미생물을 검출하는 검출기로서, 상기 검출 대상 배지함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광원부(121)와 수광부(126)를 구비하는 검출부(120); 및 상기 광원부와 수광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는 광원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대상 배지함과 대향하는 제1 밀착판(122)과, 흡광측정용 프로부가 설치되고 상기 검출 대상 배지함과 대향하는 제2 밀착 판(126)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검출시 상기 제1 밀착판과 상기 제2 밀착판을 이동시켜서 상기 배지함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 {DETECTOR FOR APPARATUS FOR CONTINUOUS CULTURE AND DETECTION OF MICROORGANISM AND THE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물 시료 중 대장균과 같은 미생물을 인공적으로 배양하고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음용수의 미생물학은 최근의 과학기술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남아있다. 음용수의 적절한 처리 및 소독 등 유효한 기술의 발전으로 수계감염에 의한 사망률은 감소되었으나, 병인불명의 수계유해가 미생물학적인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원생동물, 바이러스 및 Campylobacter와 같은 새로운 미생물의 출현과 질병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사실이다. 이는 수인성 전염병에서 화학물질보다 미생물학적 요인들이 주요한 원인임을 짐작케 한다.
먹는 물과 관련한 미생물은 지표 미생물 (indicator microorganisms)과 병원성 미생물 (pathogenic microorganisms)로 구분될 수 있다. 지표 미생물은 주변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분포상이 변화함으로서 환경변화의 정도를 알려주는 미생물로서, 사람이나 가축의 배설물이 물로 유입되었음을 알려주는 미생물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계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비병원성 미생물에 비하여 적게 분포하고, 종류가 많으며 검출방법이 까다롭고 검사자의 오염 우려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어 병원성 미생물을 직접 측정하기 보다는 비병원성이지만 분원성 오염원에 대한 지표 미생물의 분포를 측정함으로서 수인성 질병 원인균의 존재 유무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미생물 수질의 안전성과 분변오염의 관리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지표미생물로는 대장균군 (coliform)과 대장균 (Escherichia coli)를 들 수 있다.
기존에 사용되어지던 대장균 검출의 방식은 시료의 원수 채취부터 시료의 배양, 대장균의 검출의 과정에 이르기까지 모든 작업이 수동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인력에 의한 검사 방법으로 인해 검사의 정확성 및 데이터의 이력 관리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시료의 대장균 검출을 위한 인력을 활용한 배지 검사 방법을 모티브로 하여, 시료채취, 시료중 소독제의 중화, 배지 혼합, 인큐베이터 배양, 대장균군 및 대장균의 검출의 전과정을 자동화한 자동화 대장균군/대장균 검출 장치를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 시료에서 대장균과 같은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전 과정을 자동화하고 안정된 검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위한 검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료 시료와 배지가 혼합된 투명한 배지함에서 미생물을 배양하고 미생물 검출 위치에 대응하여 하부에 배출구(15)가 형성된 인큐베이터에 설치되어서 상기 검출 위치에 위치하는 검출 대상 배지함에서 미생물을 검출하는 검출기로서, 상기 검출 대상 배지함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광원부(121)와 수광부(126)를 구비하는 검출부(120); 및 상기 광원부와 수광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는 광원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대상 배지함과 대향하는 제1 밀착판(122)과, 흡광측정용 프로부가 설치되고 상기 검출 대상 배지함과 대향하는 제2 밀착 판(126)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검출시 상기 제1 밀착판과 상기 제2 밀착판을 이동시켜서 상기 배지함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가 제공된다.
상기 검출기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부(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셔터부는 상기 제1 밀착판과 함께 이동하는 제1 셔터 부재(111)와, 상기 제2 밀착판과 함께 이동하는 제2 셔터 부재(1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밀착판에는 형광 측정용 프로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 모터와, 볼스크루를 구비하며, 상기 볼스크루는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부와, 상기 두 셔터 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두 이동자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료 시료와 배지가 혼합된 투명한 배지함에서 미생물을 배양하고 미생물 검출 위치에 대응하여 하부에 배출구(15)가 형성된 인큐베이터(7); 및 상기 검출 위치에 위치하는 검출 대상 배지함에서 미생물을 검출하는 검출기(100)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기는 상기 구성의 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생물 검출을 위한 광원부와 수광부가 검출시 배지함에 밀착되는 구조이므로 광원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검출이 완료된 후 광원부와 수광부가 배지함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배출구를 막고 있던 셔터부가 함께 개방되므로 검출이 완료된 배지함이 자동으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보관함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주입실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검출 대상 배지함이 검출 위치에 도착한 직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 검출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검출 이후 검출 여부 판단이 종료된 배지함이 폐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원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정량펌프; 다수의 투명한 배지함을 보관하고, 하부에 위치한 시료 주입실로 배지함을 공급하기 위한 배지 보관함; 상기 배지 보관함으로부터 공급되는 배지함에 상기 정량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시료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하부에 위치한 인큐베이터로 배지함을 공급하기 위한 시료 주입실; 배지함을 배양하는 인큐베이터; 및 배지함에서 미생물을 검출한 후 폐기함으로 폐기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가 대장균군/대장균 연속 배양 및 검출 장치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는 정량 펌프(4), 배지 보관함(5), 시료 주입실(6), 인큐베이터(7), 검출기(도 4의 100), 장치 제어용 모니터(1), 시스템 제어용 컨트롤러(2), 온도 제어용 컨트롤러(3), 폐기함(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하기 상세히 설명한다.
정량 펌프(4)는 원수 시료의 채취를 담당하고 있으며, 대장균 검출의 정확성을 위해 정확한 원수량(100ml)를 채취하기 위하여 정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밀 장치를 사용한다.
기존 대장균 검출 작업의 경우 검사원이 직접 시료를 채취하고 검사를 진행하는 방식이었다. 이 방식은 검사원의 검사 방식이나 검사 위생상태 등에 따라 정확한 검출에 장애를 줄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최종적인 대장균 검출에 치명적인 오류를 가져올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위와 같은 시료 채취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검출을 실시하기 때문에 기존 검사원이 진행하였던 오류에 대한 부분을 수정하고, 더욱 정확한 검출 결과를 도출한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 수작업을 통한 검출 방식보다 원수 시료의 오염 등을 최소화한다. 또한, 수돗물과 같이 소독제를 포함한 시료에서 정확한 분석이 가능할 수 있도록 소독중화제 (티오황산나트륨)을 주입함으로서, 국내 먹는 물 공정시험기준에 적합한 미생물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배지 보관함(5)은 30분 간격의 원수 취득 샘플링 기반으로 일주일간의 사용량을 계획하여 수량을 산정하였으며, 하부 시료 주입실까지 전달을 담당하고 있다. 배지 보관함(5)은 회전식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하부로 통하는 1개의 셔터 출입구를 통해서 정해진 시간 간격에 맞추어 하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보관함(5)에 대한 도식도이며, 배지 주입구(5a)는 배지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반원통형의 구조로 설계한다. 배지함의 개수는 하루 30분 간격으로 48개의 배지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최대 일주일의 양인 336개를 보관할 수 있으며, 회전판(9)의 회전을 통해 하부 시료 주입실(6)로 1개의 배지함이 하강한다. 상기한 배지함의 사용 개수 및 보관 개수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배지함의 사용 개수 및 보관 개수는 조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시료 주입실(6)이 도시되어 있다. 시료 주입실(6)에서는 배지 보관함(5)으로부터 하강하는 배지함(10)을 시료 주입 위치에 장착시킨 후 시료 주입기(6a)를 통해서 배지함(10)에 원수 시료를 투입한다. 시료 주입기(6a)는 정량펌프와 연결되어 정확한 양의 원수 시료를 배지함(10)에 주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주입기(6a)의 입구는 주사기 형태로 고무캡을 가지고 있는 배지함(10)에 오염 없는 밀착주입이 가능하다. 시료 주입기(6a)의 이동은 X-Y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되며, 배지의 하강을 위한 X축 운동, 주사기의 삽입을 위한 Y축 운동으로 구성되어 시료의 주입 및 배지함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시료 주입실(6)에서 인큐베이터(7)로의 하강이 가능한 셔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지함(10)에서 시료와 배지의 혼합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바이브레이터를 설치하여 균일한 혼합이 가능하게 한다.
기존 대장균 검출 작업의 경우 검사원에 의한 혼합작업으로 시료의 주입량이나 혼합 시간, 혼합 정도가 일정치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시료 주입의 자동화를 통하여 시료의 적정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배지와의 혼합과정도 자동화하여 혼합 시간 및 혼합 방식의 균일화를 추구함으로써 대장균 배양에서 생길 수 있는 오류들을 최소화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시료 주입기(6a)는 밀폐용기인 배지에 시료를 오염 없이 주입하기 위해 주사기 바늘을 사용함으로써 원수 시료와 배지의 오염을 최소화하며, 배지의 상단부 캡은 고무재질로써 시료의 주입 후 다시 밀폐될 수 있도록 디자인한다. 시료 주입장치는 X-Y컨트롤러에 의해서 제어된다.
인큐베이터(7)는 원수 시료와 배지가 잘 혼합된 배지함(10)에서 대장균과 대장균군의 배양을 최적화하기 위한 섭씨 35℃±1℃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4에는 인큐베이터(7)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큐베이터(7)는 챔버(9)와, 회전판(11)과, 회전 구동 모터(13)와, 히터-냉각기(미도시)를 구비한다. 인큐베이터(7)는 배지함(10)에 대한 대장균 배양을 수행하며, 검출기(100)에 의해 검출이 완료된 배지함(10)은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도 5의 15)를 통해 폐기함(8)으로 전달한다.
챔버(9)는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도록 내부에 배양실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챔버(9) 내의 온도는 온도 제어용 컨트롤러(3)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된다.
회전판(11)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원판으로서, 그 중심이 회전 구동 모터(13)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판(1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다수의 배지함 장착구(12)가 형성된다. 배지함 장착구(12)에 시료 주입실(6)로부터 공급된 원수 시료와 배지가 혼합된 배지함(10)이 장착된다. 배지함 장착구(12)에 장착된 배지함(10)은 받침 부재(도 5의 14)에 의해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회전 구동 모터(13)는 배양 시간에 따른 주기로 회전판(11)을 등각도 회전 운동시킨다.
히터-냉각기(미도시)는 챔버(9)에 설치되어서, 챔버(9) 내부의 배양실을 배양 온도로 가열하거나 냉각한다. 즉, 히터-냉각기는 챔버(9) 내부의 배양실을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챔버(9) 내부 배양실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배양온도로 유지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검출기(100)는 인큐베이터(7)의 챔버(9) 내에서 배출구(15)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검출기(100)는 배출구(15)를 개폐하는 셔터부(110)와, 셔터부(110)와 함께 이동하는 검출부(120)와, 셔터부(110)와 검출부(120)를 함께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셔터부(110)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하여 챔버(9) 내에서 배출구(15)를 개폐하는 제1 셔터 부재(111)와 제2 셔터 부재(116)를 구비한다. 제1 셔터 부재(111)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서, 제2 셔터 부재(116)와 접촉하는 끝단부에는 제1 단턱부(113)가 마련된다. 제2 셔터 부재(116)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서, 제1 셔터 부재(111)와 접촉하는 끝단부에는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제2 단턱부(118)가 마련된다. 배양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셔터 부재(111)의 끝단은 제2 셔터 부재(116)의 제2 단턱부(118)에 위치하고, 제2 셔터 부재(116)의 끝단은 제1 셔터 부재(111)의 제1 단턱부(113)에 위치한 상태에서 겹쳐져서 배출구(15)를 폐쇄하게 된다. 제1 셔터 부재(111)와 제2 셔터 부재(116) 각각은 회전판(11)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안쪽과 바깥쪽에 배치된다.
검출부(120)는 검출 대상 배지함(도 5에서 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광원부(121)와 수광부(126)를 구비한다. 광원부(121)는 제1 셔터 부재(111)와 함께 반경방향 안쪽에 위치하고, 수광부(126)는 제2 셔터 부재(116)와 함께 반경방향 바깥쪽에 위치한다. 광원부(121)는 제1 셔터 부재(111)와 함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이동하며, 수광부(126)는 제2 셔터 부재(116)와 함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이동한다. 그에 따라, 광원부(121)와 수광부(126)는 검출 대상 배지함(도 5의 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게 된다. 광원부(121)는 광원(121a)이 설치되는 제1 밀착판(122)을 구비한다. 제1 밀착판(122)은 검출시 검출 대상 배지함(도 5의 10)의 일측에 밀착될 수 있는데, 평소 배양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함(10)과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수광부(126)는 흡광측정용 프로브(126a)와 형광측정용 프로브(126b)가 설치되는 제2 밀착판(127)을 구비한다. 제2 밀착판(126)은 검출시 검출 대상 배지함(도 5의 10)의 일측에 밀착되는데, 평소 배양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함(10)과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검출부(120)에 구비되는 광원(121a), 흡광측정용 프로브(126a) 및 형광측정용 프로브(126b)에 의해 대장균 검출 여부가 확인된다.
구동부(미도시)는 셔터부(110)를 구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미도시)가 구동 모터(미도시)와,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작동하는 볼스크루(미도시)인 것으로 설명한다. 볼스크루(미도시)의 스크루부는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고, 볼스크루(미도시)에 설치된 두 이동자가 두 셔터 부재(111, 116)가 결합되어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두 셔터 부재(111, 116)가 광원부(121) 및 수광부(126)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제, 위에서 구성 중심으로 설명된 검출기(100)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작용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에는 검출 대상 배지함(10)이 검출을 위해 검출 위치에 위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검출 대상 배지함(10)은 받침 부재(14)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된 상태이며, 셔터부(110)는 배출구(15)를 폐쇄한 상태이고, 검출부(120)는 광원부(121)와 수광부(126)가 검출 대상 배지함(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미생물 검출을 위해 광원부(121)와 수광부(126)는 셔터부(110)의 두 셔터 부재(111, 116)와 함께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검출 대상 배지함(10) 쪽으로 각각 이동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21)의 제1 밀착판(122)과 수광부(126)의 제2 밀착판(127)이 검출 대상 배지함(10)의 양측에 각각 밀착하게 된다. 이때, 셔터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배출구(15)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21)의 제1 밀착판(122)과 수광부(126)의 제2 밀착판(127)이 검출 대상 배지함(10)의 양측에 각각 밀착한 상태에서 제1 밀착판(122)에 장착된 광원(121a)과 제2 밀착판(127)에 장착된 흡광측정용 프로브(126a) 및 형광측정용 프로브(126b)에 의해 미생물 검출이 수행된다. 광원부(121)의 제1 밀착판(122)과 수광부(126)의 제2 밀착판(127)이 검출 대상 배지함(10)의 양측에 각각 밀착한 상태에서 미생물 검출이 수행되므로, 광원의 손실이 최소화되어서 측정시 안정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미생물 검출이 완료된 후에는 도 6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광원부(121)와 수광부(126)는 셔터부(110)의 두 셔터 부재(111, 116)와 함께 이동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밀착판(122, 126)은 미생물 검출이 완료된 배지함(10)으로부터 멀어지고, 셔터부(110)는 배출구(15)를 개방시킨다. 이때, 받침 부재(도 6의 14)도 함께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상 좌측으로 이동하여 미생물 검출이 완료된 배지함(10)이 아래로 떨어져서 배출구(15)를 통해 폐기함(8)으로 이동한다. 이는 받침 부재(14)와 연결된 가이드 핀(미도시)이 제1 셔터 부재(110)에 걸려서 제1 셔터 부재(110)가 도면 상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받침 부재(14)도 함께 이동하는 것이다. 이는 가이드 핀(미도시)은 제1 셔터 부재(110)가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만 걸리는 구조로서, 이는 당업자에게는 용이한 구조이다.
폐기함(8)은 검출기(100)에서 대장균과 대장균군의 검출 여부 판단이 종료된 폐기 배지함들이 저장되는 장소이다. 인큐베이터(7) 내의 배양실에서 대장균과 대장균군의 검출 여부가 판단되면 배지함(10)은 배출구(15)를 통해 하강하여 폐기함(8)에 저장된다.
장치 제어용 모니터(1)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동 모니터링 및 제어 등을 관리자가 손쉽게 사용하며, 장치의 오류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시스템 제어용 컨트롤러(2)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 및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이다. 시스템 제어용 컨트롤러를 통해서 구동 오류 발생 시 오류에 대한 즉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필요 시 장치의 수동 조작도 가능하다.
온도 제어용 컨트롤러(3)는 대장균군/대장균 검출 자동화 장치의 인큐베이터 온도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서 자동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구동 오류시 수동 조작이 가능하며, 장치 제어용 모니터와는 별개로 관리자가 손쉽게 수동으로 인큐베이터의 온도를 모니터링 하고 제어한다.
이상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7 : 인큐베이터 8 : 폐기함
9 : 챔버 10 : 배지함
11: 회전판 12 : 배지함 장착구
13 : 회전 구동 모터 14 : 받침 부재
15 : 배출구 100 : 검출기
110 : 셔터부 111 : 제1 셔터 부재
116 : 제2 셔터 부재 120 : 검출부
121 : 광원부 121a : 광원
122 : 제1 밀착판 126 : 수광부
126a : 흡광측정용 프로브 126b : 형광측정용 프로브
127 : 제2 밀착판

Claims (5)

  1. 원료 시료와 배지가 혼합된 투명한 배지함에서 미생물을 배양하고 미생물 검출 위치에 대응하여 하부에 배출구(15)가 형성되고, 상기 배지함의 낙하를 방지하는 받침 부재(14)가 구비되는 인큐베이터에 설치되어서 상기 검출 위치에 위치하는 검출 대상 배지함에서 미생물을 검출하는 검출기로서,
    상기 검출 대상 배지함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광원부(121)와 수광부(126)를 구비하는 검출부(120);
    상기 광원부와 수광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는 광원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대상 배지함과 대향하는 제1 밀착판(122)을 구비하며,
    상기 수광부는 흡광측정용 프로부가 설치되고 상기 검출 대상 배지함과 대향하는 제2 밀착 판(127)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검출시 상기 제1 밀착판과 상기 제2 밀착판을 이동시켜서 상기 배지함에 밀착시키며,
    상기 셔터부는 상기 제1 밀착판과 함께 이동하는 제1 셔터 부재(111)와, 상기 제2 밀착판과 함께 이동하는 제2 셔터 부재(116)를 구비하며,
    상기 두 셔터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받침 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배지함의 낙하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밀착판에는 형광 측정용 프로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 모터와, 볼스크루를 구비하며,
    상기 볼스크루는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부와, 상기 두 셔터 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두 이동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
  5. 원료 시료와 배지가 혼합된 투명한 배지함에서 미생물을 배양하고 미생물 검출 위치에 대응하여 하부에 배출구(15)가 형성된 인큐베이터(7); 및
    상기 검출 위치에 위치하는 검출 대상 배지함에서 미생물을 검출하는 검출기(100)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기는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
KR1020160001630A 2016-01-06 2016-01-06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 KR101739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630A KR101739684B1 (ko) 2016-01-06 2016-01-06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630A KR101739684B1 (ko) 2016-01-06 2016-01-06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684B1 true KR101739684B1 (ko) 2017-06-08

Family

ID=5922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630A KR101739684B1 (ko) 2016-01-06 2016-01-06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6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799A (ja) * 2001-05-10 2002-11-19 Matsushita Seiko Co Ltd 特定微生物計量方法および特定微生物計量装置
JP2004321090A (ja) * 2003-04-25 2004-11-18 Miura Co Ltd 大腸菌判定装置および大腸菌判定用合成酵素基質培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799A (ja) * 2001-05-10 2002-11-19 Matsushita Seiko Co Ltd 特定微生物計量方法および特定微生物計量装置
JP2004321090A (ja) * 2003-04-25 2004-11-18 Miura Co Ltd 大腸菌判定装置および大腸菌判定用合成酵素基質培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8086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готовления образца микроорганизма как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так и для тестов на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ь к антибиотикам
JP5805628B2 (ja) 微生物の自動検出装置
AU20222023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foam in specimen containers
CA1273906A (en) Tray for analyzing system
EP2989470B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processing of culture plates for microbiological samples
JP7073278B2 (ja) 検出機器内の標本容器を負荷分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660904B2 (ja) 分析装置用の塔
CN104871007A (zh) 自动分析装置
JP2009232847A (ja) 試験試料を処理する小型一体型システム
JPH076994B2 (ja) 自動標本分析装置
JP2004534956A (ja) 臨床分析装置用タンデム式インキュベータ
US20210116470A1 (en) Sample analyzing device
JPS63500117A (ja) 分析装置用の試薬投与装置
JP6247426B2 (ja) 発光計測装置
KR101739684B1 (ko)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용 검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미생물 연속 배양 검출 장치
US20140377843A1 (en) Automated microbiology laboratory instrument and system uses thereof
KR101465900B1 (ko) 물 시료 중 대장균 연속 배양 검출 시스템
WO2021002311A1 (ja) 生体試料分析装置、及び、生体試料分析方法
KR20160060294A (ko) 대장균군 및 대장균 검출 자동화 장비
CN106916728B (zh) 一种磁力搅拌式药敏分析仪器以及配套试剂盒
JP2004357523A (ja) 細胞培養検出装置
CN114674821A (zh) 一种检测水中微生物种类检测器
Zhang et al. Design of fully automatic antibiotics evaluation machine by cylinder-plate method/turbidity method
JPS61247376A (ja) 自動分析装置
JPH01128781A (ja) 生菌数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