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360B1 -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360B1
KR101739360B1 KR1020160029084A KR20160029084A KR101739360B1 KR 101739360 B1 KR101739360 B1 KR 101739360B1 KR 1020160029084 A KR1020160029084 A KR 1020160029084A KR 20160029084 A KR20160029084 A KR 20160029084A KR 101739360 B1 KR101739360 B1 KR 101739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hamber
floating member
discharge port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운
Original Assignee
이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운 filed Critical 이상운
Priority to KR1020160029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4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low-level float-valve to cut off media flow from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37Separating means having val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68Ve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22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air intake into infusion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38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hydrophilic or hydrophobic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수액세트의 에어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수액세트를 통해서 인체로 공급되는 수액(輸液)이 잠시 저류하는 수액챔버와, 상기 수액챔버의 상단에 설치되는 실링캡과, 상기 실링캡의 중앙에 삽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실링캡 또는 상기 유입관의 하단에 임시로 걸림 결합되어 있는 플로팅부재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유입관을 상승 또는 하강 시키면 상기 플로팅부재가 자유 상태로 분리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액챔버 내부에 채워진 수액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플로팅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수액챔버의 배출구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Air shut-off equipment for medical infusion set}
본 발명은 의료용 수액세트의 에어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수액세트를 통해서 인체로 공급되는 수액(輸液)이 잠시 저류하는 수액챔버와, 상기 수액챔버의 상단에 설치되는 실링캡과, 상기 실링캡의 중앙에 삽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실링캡 또는 상기 유입관의 하단에 임시로 걸림 결합되어 있는 플로팅부재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유입관을 상승 또는 하강 시키면 상기 플로팅부재가 자유 상태로 분리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액챔버 내부에 채워진 수액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플로팅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수액챔버의 배출구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액세트는 의료적 목적으로 수액을 인체에 주입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의료용품을 말한다. 첨부 도 1은 통상적인 수액세트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수액백(10)에 저장되어 있는 수액을 인출해 내는 드립챔버(100)와, 상기 수액이 이동하는 수액튜브(200), 상기 수액튜브(200)의 단부에 연결된 주사기(300), 상기 수액튜브(200)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유량조절 클램프(400) 및 분기관(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량조절 클램프(400)는 상기 수액튜브(200)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수액을 유량을 조절하거나 유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가이드 레일(410)과 압박 롤러(4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410)의 경사면을 따라 압박 롤러(420)를 이동시키면, 상기 압박 롤러(420)가 수액튜브(200)를 물리적으로 압박하여 유량을 조절 또는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량조절 클램프(400) 이외에 국내 등록특허 제10-0737195호( 2007년 07월 03일 ), 제10-1169597호( 2012년 07월 24일 ) 등에도 의료용 수액의 유량을 조절 또는 차단하는 클램프가 소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클램프는 모두 사용자가 수동으로 유로를 차단해야 한다.
따라서, 수액백에 저장되어 있는 수액이 모두 배출되고 나면, 수액백이나 드립챔버에 남아 있던 공기가 수액튜브를 통해서 인체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환자 보호자나 간호사가 시간을 맞추어 기다리고 있다가 적시에 클램프를 차단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737195호( 2007년 07월 03일 ) 국내 등록특허 제10-1169597호( 2012년 07월 24일 )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액백에 저장되어 있는 수액이 모두 인출되고 나면, 인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수액튜브의 유로를 스스로 차단하는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차단장치는, 수액세트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수액(輸液)이 잠시 저류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단은 개방되어 있고, 하단에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 수액챔버와; 상기 수액챔버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실링캡과; 상기 수액챔버 속으로 수액을 유입시키는 것으로, 상기 관통홀에 기밀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유입관과; 상기 수액챔버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수액에 대하여 부력을 가지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를 상기 실링캡 또는 상기 유입관의 하단에 임시로 걸림 결합시켜 주는 가이드부를 갖는 플로팅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차단장치는, 상기 유입관을 상승 또는 하강 시키면 상기 가이드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플로팅부재가 상기 수액챔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분리되고, 상기 수액챔버 내부에 수액이 차 있으면 부력에 의해서 상기 플로팅부재가 떠올라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며, 수액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플로팅부재가 수위를 따라 하강하여 상기 밸브부가 상기 배출구의 상단을 밀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차단장치는, 상기 수액챔버의 측면에 다른 수액라인을 연결하거나, 배액용 스파이크(spike)를 삽입할 수 있는 접속포터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차단장치는, 상기 수액챔버의 하단에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수액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링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차단장치는 의료용 수액세트를 통해 환자에게 수액을 주입할 때 수액백에 저장되어 있는 수액이 모두 배액되고 나면, 상기 플로팅부재가 스스로 상기 수액챔버의 배출구를 밀폐함으로써, 수액백이나 드립챔버에 남아 있던 공기가 인체로 유입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수액세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상기 에어 차단장치에서 플로팅부재(40)가 수액챔버(10)의 배출구(11)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 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 수액챔버(10)와 그 상단에 결합되는 실링캡(20), 상기 실링캡(20)에 설치되는 유입관(30), 상기 수액챔버(10) 내부에 수용되는 플로팅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액챔버(10)는 통상적인 의료용 수액세트를 통해서 인체로 공급되는 수액이 잠시 저류하는 원통형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단은 개방되어 있고 하단에는 배출구(11)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액챔버(10)는 사용자가 내부공간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실링캡(20)는 상기 수액챔버(10)의 상단 개방구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액챔버(10)와 상기 실링캡(20) 사이의 결합 부위에는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기밀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유입관(30)은 상기 수액챔버(10) 속으로 수액을 유입시키는 통로로서, 상기 관통홀(21) 속에 기밀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유입관(30)의 외경부에는 수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링(31)이 설치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플로팅부재(40)는 상기 수액챔버(10)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수액에 대하여 부력을 가지며, 밸브부(41)와 가이드부(42)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부(41)는 상기 수액챔버(10)의 배출구(11)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가이드부(42)는 상기 밸브부(41)를 상기 실링캡(20) 또는 상기 유입관(30)의 하단에 매달라 임시로 걸림 결합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플로팅부재(40)가 상기 실링캡(20)의 하단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입관(30)을 하강 시키거나, 또는 상기 플로팅부재(40)가 상기 유입관(30)의 하단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입관(30)을 상승시키면, 상기 가이드부(42)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플로팅부재(40)가 상기 수액챔버(1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분리된다.
첨부 도면에 예시한 에어 차단장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링캡(20)의 하단에는 걸림돌부(22)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부(22)에 상기 가이드부(42)가 걸림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 경우, 상기 유입관(30)을 수액챔버(10) 속으로 하강 시키면, 상기 유입관(30)의 하단부가 상기 플로팅부재(40)의 상단을 밀어서 상기 가이드부(42)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첨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부(42)가 유입관(30)의 외경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유입관(30)을 상승시키면 자연스럽게 상기 가이드부(42)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 어떤 구조를 채택해도 무방하다.
상기 에어 차단장치는 예컨대 도 1과 같은 통상적인 수액세트의 수액튜브(200) 중간에 설치되어 도 2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똑 바로 세워진 상태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유입관(30)의 상단은 위쪽, 즉 도 1의 드립챔버(100) 쪽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11)의 하단은 아래쪽, 즉 도 1의 주사기(300) 쪽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유입관(30)으로 유입된 수액은 수액챔버(10) 내부에 잠시 머물러 있다가 배출구(11)를 통해 밑으로 배출된다.
상기 플로팅부재(4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수액챔버(10) 내부에 수액이 채워지면, 상기 플로팅부재(40)가 부력에 의해서 수액 중에 떠오르고 배출구(11)가 개방된다. 그러나, 수액의 유입이 중단되고 수액챔버(10)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플로팅부재(40)가 수위를 따라 하강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기 플로팅부재(40)의 밸브부(41)가 상기 수액챔버(10)의 배출구(11) 상단을 밀폐하여 유로를 차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차단장치의 사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에어 차단장치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드립챔버(10)는 물론, 그 배출구(11)에 연결된 수액튜브 전체에 수액을 채워 넣은 다음, 수액챔버(10)를 똑 바로 일으켜 세운 상태에서 상기 유입관(30)을 이용하여 플로팅부재(40)를 분리시킨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상기 플로팅부재(40)가 자유 상태로 분리되어 있고 드립챔버(10)를 똑 바로 세운 상태에서 수액챔버(10) 속으로 수액을 주입하면, 수액의 유압에 의해 상기 플로팅부재(40)가 배출구(11)를 막게 되고, 따라서 수액이 더 이상 순조롭게 유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플로팅부재(40)가 분리되어 있고 드립챔버(10)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수액을 주입하면, 상기 플로팅부재(40)가 부력에 의해 떠오르면서 상기 밸브부(41)가 배출구(11)를 막아 역시 수액이 순조롭게 유입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로팅부재(40)가 상기 실링캡(20)이나 유입관(30)의 하단에 임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플로팅부재(40)가 상기 실링캡(20)이나 유입관(30)에 매달려 있고, 드립챔버(10)를 똑 바로 세운 상태에서 수액을 주입할 경우, 배출구(11)의 직경이 약간만 커도 수액이 드립챔버(100) 속에 채워지지 않고 배출구(11)를 통해 그대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로팅부재(40)가 임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드립챔버(10)를 거꾸로 뒤집어 수액튜브 내에 수액을 완전히 채우고, 수액튜브의 단부에 설치된 주사기까지 완전히 배기시킨 이후에 상기 플로팅부재를 분리시켜야 한다.
상기 플로팅부재(40)는 전체를 한 몸으로 사출성형 할 수도 있으나, 상기 밸브부(41)와 가이드부(42)를 따로 성형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부(41)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을 밀폐하는 접시 형태의 유로차단판(411)과, 상기 유로차단판(411)의 상면에 돌출된 지지봉(412)으로 구성되며, 밀착력이 우수한 연질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42)는 상기 밸브부(41)를 임시로 매달아 두는 기능과 함께 수액 중에서 부력을 갖게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42)는 수액 보다 비중이 작고 인체에 무해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폴리프로필렌은 비중이 0.91 로서, 수액의 비중보다 낮다.
상기 가이드부(42)의 바람직한 구조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핀(421)과 결합홈(422) 및 가이드핀(423)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핀(421)은 상기 실링캡(20) 또는 상기 유입관(30)의 하단에 걸림 결합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결합홈(422)은 상기 탄성핀(421)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봉(412)을 수용하여 밸브부(41)와 가이드부(42)를 서로 결합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이드핀(423)은 상기 탄성핀(421)과 상기 결합홈(422)의 주변에 상하방향으로 확장되어 있으며, 상기 플로팅부재(40)가 상기 수액챔버(10) 내부에서 수액의 수위를 따라 하강할 때 좌우로 뒤틀리지 않고 똑바로 하강하도록 위치를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플로팅부재(40)가 똑 바로 하강해야 상기 밸브부(41)의 유로차단판(411)이 상기 배출구(11)의 입구에 정확히 안착하여 유로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423)은 상기 플로팅부재(40)가 수액 중에 떠 있을 때 상기 플로팅부재(40)가 상기 유입관(30)의 하단부를 막아서 수액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차단장치는 예컨대 도 1의 수액튜브(200)에 독자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드립챔버(100)와 결합된 구조를 이룰 수도 있고, 수액세트에 다른 수액라인을 연결하거나, 배액용 스파이크(spike)를 삽입할 수 있는 접속포트나, 상기 배출구(11)로 배출되는 수액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filter) 등과 결합된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속포터 유닛(5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전(51)과, 제1 포트하우징(52) 및 제2 포트하우징(5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무전(51)은, 내부에는 중앙홀(511)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외경이 축소된 지지돌부(512)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돌부(512)에는 스파이크를 삽입하는 슬릿부(513)가 절개되어 있다.
상기 제1 포트하우징(52)은, 상기 고무전(51)의 일측 절반을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돌부(512)가 삽입되어 상기 슬릿부(513)를 노출시켜 주는 노출공(52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 포트하우징(53)은, 상기 고무전(51)의 타측 절반을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중앙홀(511)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수액챔버(10)의 측면에 삽입되는 연결관(531)을 갖는다.
상기 접속포터 유닛(50)은 한 개만 설치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다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첨부 도면에서는 상기 접속포터 유닛(50)이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2개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포터 유닛(50)이 설치되는 수액챔버(10)는 한 몸으로 성형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두 개로 분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터링 유닛(6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필터하우징(61)과 제2 필터하우징(62), 여과막(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필터하우징(61)은 접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상기 수액챔버(10)의 배출구(11)에 결합되는 연결관(611)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 필터하우징(62)은 상기 제1 필터하우징(6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1 필터하우징(61)과 서로 결합되어 원반 형상의 내부공간을 구성한다. 상기 제2 필터하우징(62)의 외면에는 수액배출관(621)이 구비되어 있고, 내면에는 상기 여과막(63)을 받쳐주는 받침살(62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여과막(63)은 상기 제1 및 제2 필터하우징(61,62) 사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테두리 부위가 양쪽 필터하우징(61,62)의 테두리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필터링 유닛(60)은 수액이 통과하는 연결관(611) 및 수액배출관(621)의 직경에 비해 상기 하우징(61,62)의 내부공간과 여과막(63)의 여과면적이 넓기 때문에 여과 효율이 우수하다.
10; 수액챔버 11; 배출구
20; 실링캡(sealing cap) 21; 관통홀
22; 걸림돌부 30; 유입관
31; 기밀링 40; 플로팅(floating)부재
41; 밸브부 42; 가이드부
50; 접속포트 유닛 51; 고무전
52,53; 포트하우징 60; 필터링 유닛
61,62; 필터하우징 63; 여과막

Claims (7)

  1. 수액세트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수액(輸液)이 잠시 저류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단은 개방되어 있고, 하단에는 배출구(11)가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 수액챔버(10)와;
    상기 수액챔버(1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는 실링캡(20)과;
    상기 수액챔버(10) 속으로 수액을 유입시키는 것으로, 상기 관통홀(21)에 기밀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유입관(30)과;
    상기 수액챔버(10)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수액에 대하여 부력을 가지며, 상기 배출구(11)를 개폐하는 밸브부(41)와 상기 밸브부(41)를 상기 실링캡(20) 또는 상기 유입관(30)의 하단에 임시로 걸림 결합시켜 주는 가이드부(42)를 갖는 플로팅부재(40); 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30)을 상승 또는 하강 시키면 상기 가이드부(42)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플로팅부재(40)가 상기 수액챔버(1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분리되고, 상기 수액챔버(10) 내부에 수액이 차 있으면 부력에 의해서 상기 플로팅부재(40)가 떠올라 상기 배출구(11)가 개방되며, 수액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플로팅부재(40)가 수위를 따라 하강하여 상기 밸브부(41)가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을 밀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챔버(10)의 측면에는 다른 수액라인을 연결하거나, 배액용 스파이크(spike)를 삽입할 수 있는 접속포터 유닛(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포터 유닛(50)은:
    내부에 중앙홀(511)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외경이 축소된 지지돌부(512)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돌부(512)에는 슬릿부(513)가 절개되어 있는 고무전(51)과;
    상기 고무전(51)의 일측 절반을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돌부(512)가 삽입되어 상기 슬릿부(513)를 노출시켜 주는 노출공(521)이 구비되어 있는 제1 포트하우징(52)과;
    상기 고무전(51)의 타측 절반을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중앙홀(511)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수액챔버(10)의 측면에 삽입되는 연결관(531)을 갖는 제2 포트하우징(53);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챔버(10)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구(11)로 배출되는 수액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링 유닛(6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유닛(60)은:
    상면에 상기 수액챔버(10)의 배출구(11)에 결합되는 연결관(611)을 갖는 접시 형상의 제1 필터하우징(61)과;
    상기 제1 필터하우징(6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1 필터하우징(61)과 결합하여 원반 형상의 내부공간을 구성하며, 외면에 수액배출관(621)이 구비되어 있는 제2 필터하우징(62)과;
    상기 제1 및 제2 필터하우징(61,62) 사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테두리 부위가 양쪽 필터하우징(61,62)의 테두리 사이에 지지되어 있는 여과막(6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부재(40)의 밸브부(41)는 연질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로팅부재(40)의 가이드부(42)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41)는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을 밀폐하는 접시 형태의 유로차단판(411)과, 상기 유로차단판(411)의 상면에 돌출된 지지봉(412)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42)는 상기 실링캡(20) 또는 상기 유입관(30)의 하단에 걸림 결합되는 탄성핀(421)과, 상기 지지봉(412)이 삽입되는 결합홈(422)과, 상기 탄성핀(421)과 상기 결합홈(422)의 주변에 상하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핀(4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KR1020160029084A 2016-03-10 2016-03-10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KR101739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84A KR101739360B1 (ko) 2016-03-10 2016-03-10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84A KR101739360B1 (ko) 2016-03-10 2016-03-10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360B1 true KR101739360B1 (ko) 2017-06-08

Family

ID=5922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084A KR101739360B1 (ko) 2016-03-10 2016-03-10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3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608B1 (ko) 2006-05-24 2006-08-08 허승환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100723345B1 (ko) 2006-05-23 2007-05-30 허승환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US20120296288A1 (en) 2011-05-16 2012-11-22 Hsien-Tsung Wang Disposable intravenous flow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45B1 (ko) 2006-05-23 2007-05-30 허승환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100609608B1 (ko) 2006-05-24 2006-08-08 허승환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US20120296288A1 (en) 2011-05-16 2012-11-22 Hsien-Tsung Wang Disposable intravenous flow contro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00532B2 (en) Pressure activated IV set with drip chamber access
ES2210288T3 (es) Valvula de retencion medica sin tapa.
US3863664A (en) Vacuum-operated fluid bottles in serial flow system
US5147333A (en) Needleless injection port with automatic backcheck valve
US4681571A (en) Suction canister with disposable liner and check valve
US5423346A (en) Fluid container shut off valve
US3938540A (en) Vacuum-operated fluid bottle for tandem systems
US20100152680A1 (en) One-way valve, especially low pressure check valve for use in the medical technique
NO168386B (no) Koplingsanordning med ventil
US4262668A (en) Fixed volume infusion device
KR100609608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101742089B1 (ko) 수액세트용 일체형 수액라인 연결장치
US3965903A (en) Suction bottle assembly
KR101726233B1 (ko)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KR101742090B1 (ko) 에어 차단기능을 갖는 드립챔버
KR101739360B1 (ko)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KR200492869Y1 (ko) 에어 차단기능을 갖는 드립챔버
KR20170040062A (ko) 수액세트의 배액유니트
KR102637871B1 (ko) 의료용 주입 또는 수혈 장치의 드립 챔버를 위한 풋 밸브
RU15454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зопасного введения жидкости
KR101892153B1 (ko) 루어록 접속구조를 갖는 의료용 배액 유니트
CN204563142U (zh) 滴定管式精密过滤安全输液器
US10384841B2 (en) Liquid extraction,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of use
CA1148823A (en) One-way valve for parenteral apparatus
KR20190072878A (ko) 공기유입을 막는 드립챔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