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233B1 - 수납봉투의 걸이장치 - Google Patents

수납봉투의 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233B1
KR101739233B1 KR1020160107405A KR20160107405A KR101739233B1 KR 101739233 B1 KR101739233 B1 KR 101739233B1 KR 1020160107405 A KR1020160107405 A KR 1020160107405A KR 20160107405 A KR20160107405 A KR 20160107405A KR 101739233 B1 KR101739233 B1 KR 101739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torage bag
ring
fix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모
Original Assignee
정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모 filed Critical 정준모
Priority to KR102016010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084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tissues or tissu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65F1/0013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with means for fixing and mounting of the receptacle to wall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면, 가구의 표면 등과 같은 구조물에 비닐봉투 등과 같은 수납봉투를 개구가 개방되도록 하여 걸어 비치하도록 함으로써, 소품을 보관하는 수납공간 또는 쓰레기를 수용하는 쓰레기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됨은 물론, 특히, 수납봉투의 결합 및 해제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되고,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수납봉투를 걸어 비치하도록 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며 일부위에 걸고리가 형성된 부착수단과, 상기 부착수단에 걸림되며 상기 수납봉투의 개구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한 고정수단은, 상기 수납봉투의 개구를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봉투의 개구를 포함하는 외주면이 권취되어 상기 수납봉투의 개구를 포함하는 외주면에 삽입수용되는 '링(ring)' 형상의 걸이링과; 상기 걸이링과 근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걸이링에 권취된 개구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걸이링과의 사이에 상기 수납봉투의 개구가 끼움되어 고정되는 '링(ring)' 형상의 고정링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납봉투의 걸이장치{Hanger device for storing bags}
본 발명은, 비닐봉투 등과 같이 개구를 가지는 수납봉투를 걸어 비치하도록 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실내면, 가구의 표면 등과 같은 구조물에 비닐봉투 등과 같은 수납봉투를 개구가 개방되도록 하여 걸어 비치하도록 함으로써, 소품을 보관하는 수납공간 또는 쓰레기를 수용하는 쓰레기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됨은 물론, 특히, 수납봉투의 결합 및 해제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되고,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실내에는 운전자와 승객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구들이 설치되어 있지만,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주머니나 쓰레기통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 중 쓰레기가 발생하면 실내에 버린다거나 컵홀더 또는 콘솔박스(Console Box)에 방치해 놓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일부 몰상식한 운전자나 승객들은 차창을 열고 도로에 쓰레기를 무단으로 투기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근자에는, 일반 비닐봉투 등과 같은 수납봉투를 걸어 차량의 실내에 비치하여 각종 쓰레기를 수집하도록 된 다양한 구조의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1-0008660호(명칭: 봉투 걸이대/2001.03.28.)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수직 힌지핀으로 결합하여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한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 수평힌지핀으로 결합하여 상부로 회동 가능하게 하고, 평상시에는 양측부 내면이 서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끝단을 누르면 양측부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 폐단면을 갖도록 판스프링으로 내측걸이대와 외측걸이대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내.외측걸이대를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봉투의 입구를 상기 내.외측걸이대의 밀착되는 부분에 끼워 고정하도록 한 봉투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걸이대가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1-0002800호(명칭: 자동차용 절첩식 쓰레기봉투 걸이장치/2001.02.0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쓰레기 봉투를 걸 수 있도록 상하부가 개방되어 테두리부가 형성된 봉투걸이구와, 상기 봉투걸이구의 상부에 결합되며 쓰레기봉투를 고정하는 봉투고정구와, 상기 봉투고정구의 일측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봉투고정구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봉투걸이구와 힌지결합되어 절첩이 가능하게 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와 결합하여 차량의 크러쉬 패드나 도어의 내측면과 같은 차량의 내부에 결착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대로 구성된 걸이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46122호(명칭: 쓰레기 봉투 걸이장치/2014.04.1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쓰레기 봉투를 매달 수 있는 쓰레기봉투 걸이장치로, 상기 쓰레기 봉투가 관통되어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단부가 상단에 걸리는 관통 형상의 외부커버; 및 상기 쓰레기 봉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 커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쓰레기 봉투를 상기 외부 커버와 함께 고정하는 관통 형상의 내부 커버; 및 상기 외부 커버에 구비되는 걸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걸이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14263호(명칭: 일반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 수거구조가 형성된 차량도어/2016.02.0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일반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 수거구조가 형성된 차량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쓰레기 수거구조는 도어트림 본체; 상기 도어트림 본체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된 암레스트에 형성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풀핸들부; 상기 풀핸들부의 상기 관통공의 아래에 설치되는 쓰레기봉투; 및 상기 풀핸들부의 저면에서 상기 관통공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쓰레기봉투를 거치할 수 있는 봉투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투고정부는 맵포켓의 수납공간의 위쪽에 위치하며, 상기 봉투고정부에 상기 쓰레기봉투를 걸어서 장착하면 상기 쓰레기봉투의 하부가 상기 맵포켓의 상기 수납공간으로 인입되고, 상기 풀핸들부의 상기 관통공에 쓰레기를 투입하면, 쓰레기가 상기 풀핸들부의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후 상기 쓰레기봉투에 모여지도록 한 쓰레기 수거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1-0008660호 2,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1-0002800호 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46122호 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14263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들은, 수납봉투의 결합 및 해제를 수행하는 작업이 불편하여 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실내면, 가구의 표면 등과 같은 구조물에 비닐봉투 등과 같은 수납봉투를 개구가 개방되도록 하여 걸어 비치하도록 함으로써, 소품을 보관하는 수납공간 또는 쓰레기를 수용하는 쓰레기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됨은 물론, 특히, 수납봉투의 결합 및 해제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되고,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는,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수납봉투를 걸어 비치하도록 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며 일부위에 걸고리가 형성된 부착수단과, 상기 부착수단에 걸림되며 상기 수납봉투의 개구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한 고정수단은, 상기 수납봉투의 개구를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봉투의 개구를 포함하는 외주면이 권취되어 상기 수납봉투의 개구를 포함하는 외주면에 삽입수용되는 '링(ring)' 형상의 걸이링과; 상기 걸이링과 근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걸이링에 권취된 개구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걸이링과의 사이에 상기 수납봉투의 개구가 끼움되어 고정되는 '링(ring)' 형상의 고정링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걸이링과 상기 고정링은, 단일체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의 결합부에 묶음 수용되어 고정되고; 상기한 연결수단에는, 상기 걸고리에 걸림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는, 자동차의 실내면, 가구의 표면 등과 같은 구조물에서 원하는 부위에 부착수단을 통해 자유로이 탈부착이 되어 사용되며, 고정수단을 통해 수납봉투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어 비치됨에 따라, 수납봉투에 소품을 보관하거나, 쓰레기 등과 같은 폐기물을 수거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수납봉투의 고정 및 분리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구성하는 부착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구성하는 연결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2 내지 도 1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구성하는 연결수단의 또 다른 다양한 예들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1)는, 자동차의 실내에 특히 적용되어 비품의 수납용 또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휴지통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적용되며; 책상, 의자 등과 같은 가구의 표면에 부착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구조물(2)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1)는, 개구를 가지는 봉투를 사용하여 소품을 수납하거나 쓰레기를 수거하는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 공지된 비닐재질로 이루어진 비닐봉투가 적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차량의 실내를 구성하는 도어 또는 의자의 등받이 및 각종 패널 등과 같은 구조물(2)에 비닐봉투 등과 같은 수납봉투(3)를 개구가 개방되도록 하여 걸어 비치하도록 된 것으로, 수납봉투(3)의 개구를 통해 소품을 수납하거나 쓰레기를 수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1)는, 상기 구조물(2)에 고정되며 일부위에 걸고리(11)가 형성된 부착수단(10)과; 상기 부착수단(10)에 걸림되며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수단(20)에 상기 수납봉투(3)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물(2)에 양면테이프 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요소(4)를 통해 고정되는 상기 부착수단(10)에 상기 고정수단(20)이 고정되어,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에서 부착수단(10)은, 상기 구조물(2)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판(板: plate)' 형상의 고정판(12)과, 상기 고정판(12)의 전면에서 연장형성되며 개방구(13)를 가지는 걸고리(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판(12)을 통해 상기 구조물(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걸고리(11)에 상기 고정수단(20)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한 고정판(12)에는, 상기 걸고리(11)의 개방구(13)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링크(14)가 힌지(15)를 통해 축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개폐링크(14)를 통해 상기 걸고리(11)의 개방구(13)를 개폐하여 상기 고정수단(20)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걸고리(11)는, 상측으로 상기 개방구(13)가 구비된 요부를 가지며, 상기 개폐링크(14)는 단부가 상기 요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요부를 개폐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걸고리(11)의 종단에는, 상기 개폐링크(14)의 종단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개폐링크(14)는, 상기 고정판(12)에 힌지(15)를 통해 축결합하되; 상기 힌지(15)를 중심으로 상기 걸고리(11)의 개방구(13)를 개폐하는 부위의 중량보다, 상기 힌지(15)를 중심으로 상기 걸고리(11)의 개방구(13)를 개폐하는 부위와 대칭되는 부위의 중량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힌지(15)를 중심으로 상기 개폐링크(14)가 상기 요부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요부를 폐쇄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1)에서, 상기한 고정수단(20)은,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를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를 포함하는 외주면이 권취되어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를 포함하는 외주면에 삽입수용되는 '링(ring)' 형상의 걸이링(21)과; 상기 걸이링(21)과 근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걸이링(21)에 권취된 수납봉투(3) 개구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걸이링(21)과의 사이에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가 끼움되어 고정되는 '링(ring)' 형상의 고정링(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수단(20)의 걸이링(21)과 상기 고정링(22)의 사이에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로 끼움 결합하게 된다.
상기에서 걸이링(21)과 고정링(22)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합성수지 또는 자체 탄성을 가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에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1)는, 상기한 걸이링(21)과 상기 고정링(22)의 일부위(상단)를 묶음하여 결합하며 상기 걸고리(11)에 걸림고정되는 연결수단(30)을 더 가진다.
즉, 상기 연결수단(30)을 통해 상기 걸이링(21)과 상기 고정링(22)을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부착수단(10)에 상기 고정수단(20)을 연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수단(30)은, 상기 걸이링(21)과 고정링(22)을 묶음하여 고정하는 결합부(31)와, 상기 걸고리(11)에 걸림되는 걸림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부(31)와 상기 걸림부(32)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독립적인 개체로 각각 구성된 후, 리벳 등과 같은 결합요소(5)를 통해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32)에 대하여 상기 결합부(3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연결수단(3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가지는 '밴드' 형상의 몸체(33)에 상기 결합부(31)와 상기 걸림부(32)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부착수단(10)과 상기 고정수단(20)의 사이 간격을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로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걸림부(32)는, 상기 몸체(33)의 상단에 형성된 '도우넛' 형상의 링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31)는, 상기 몸체(33)의 단부를 절곡하여 내부에 상기 걸이링(21)과 고정링(22)의 일부위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몸체(33)의 단부를 절곡하여 내부에 상기 걸이링(21)과 고정링(22)의 일부위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 후, 절곡된 단부를 상기 몸체(33)에서 상기 걸림부(32)와 상기 결합부(31)의 사이의 부위에 고정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몸체(33)의 단부에는, 상기 몸체(33)의 일부위에 형성된 체결공(34)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하는 체결돌기(35)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34)과 상기 체결돌기(35)의 억지 끼움 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연결수단(30)에서 상기 몸체(33)의 단부와 상기 몸체(33)의 일부위를 결합하는 결합요소는, 도 12 내지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체결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및 너트의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1)는, 차량 등과 같은 구조물(2)에 상기 부착수단(10)의 고정판(12)을 접착테이프, 접착제 등을 통해 접착고정하거나, 볼트를 통해 체결하여 고정한 후, 상기 연결수단(30)에 고정된 상기 고정수단(20)에 수납봉투(3)를 고정하고, 상기 연결수단(30)을 상기 부착수단(10)의 걸고리(11)에 고정하여 사용된다.
상기에서 고정수단(20)에 수납봉투(3)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가 상기 고정링(22)과 상기 걸림링(21)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가 상기 걸림링(21)을 수용하도록 뒤집어 씌운 후, 상기 고정링(22)의 내부에 상기 개구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하여 관통시켜 배치하면,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로 걸림 고정되어 비치된다.
이때, 상기 걸림링(21)과 상기 고정링(22)들의 상단은 상기 연결수단(30)에 권취된 상태에서 수직상으로 직립하게 되고, 상기 수납봉투(3)의 자체하중 및 내부에 수납(수거)되는 물품의 하중에 의해 상기 수납봉투(3)의 하부가 하방으로 처지게 되면서,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를 자동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봉투(3)에 수납(수거)된 물건이 무단으로 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봉투(3)를 상기 고정수단(20)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처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링(21)과 상기 고정링(22)을 서로 분리하여 사이 간격을 형성한 후,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를 상기 걸림링(21)과 상기 고정링(22)에서 빼내어 분리하면 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1)에서, 상기한 연결수단(30)은, 길이를 가지며 상단에 상기 걸고리(11)가 걸림 고정되는 형성된 '도우넛' 형상의 링체로 이루어지는 걸림부(32)가 구비된 '밴드' 형상의 몸체(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33)의 하단에는, 상기 걸이링(21)과 고정링(22)이 걸림고정되는 걸이돌기(36)이 연장형성되는 것을 이루어진다.
즉, 상기 걸이돌기(36)을 통해, 수납봉투(3)의 개구가 체결된 상기 걸이링(21)과 고정링(22)이 걸림 고정되어 수납봉투(3)를 고정하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납봉투의 걸이장치(1)에서, 상기한 걸이링(21)의 상단에는, 길이를 가지며 상단에 상기 걸고리(11)가 걸림 고정되는 형성된 '도우넛' 형상의 링체(23)가 구비된 연장몸체(24)가 연장형성되며; 상기한 연장몸체(24)에는, 상기 고정링(22)의 일부위가 삽입수용되면서 걸림 고정되면서 걸림요홈(25)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걸이봉(21)이 상기 링체(23)를 통해 상기 부착수단(10)의 걸고리(11)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걸이링(21)에 상시 수납봉투(3)의 개구가 상기 걸림링(21)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가 상기 걸림링(21)을 수용하도록 뒤집어 씌워져 상기 걸이링(21)에 상기 수납봉퉁(3)이 개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링(22)의 내부가 상기 걸이링(21)을 관통하면서 상기 걸림요홈(25)에 고정되어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를 상기 걸이링(21)과의 사이에서 압박하여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수납봉투(3)를 고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걸이장치 2 : 구조물
3 : 수납봉투 4 : 체결요소
5 : 결합요소 10 : 부착수단
11 : 걸고리 12 : 고정판
13 : 개방구 14 : 개폐링크
15 : 힌지 20 : 고정수단
21 : 결이링 22 : 고정링
23 : 링체 24 : 연장몸체
25 : 걸림요홈 30 : 연결수단
31 : 결합부 32 : 걸림부
33 : 몸체 34 : 체결공
35 : 체결돌기 36 : 걸이돌기

Claims (3)

  1. 구조물(2)에 표면에 고정되며 일부위에 걸고리(11)가 형성된 부착수단(10)과; 상기 부착수단(10)에 걸림되며 수납봉투(3)의 개구를 고정하도록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를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를 포함하는 외주면이 권취되어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를 포함하는 외주면에 삽입수용되는 '링(ring)' 형상의 걸이링(21)과; 상기 걸이링(21)과 근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걸이링(21)에 권취된 개구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걸이링(21)과의 사이에 상기 수납봉투(3)의 개구가 끼움되어 고정되는 '링(ring)' 형상의 고정링(22);를 포함하는 고정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봉투의 걸이장치(1)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11)에 걸림되는 걸림부(32)와 상기 걸이링(21)과 상기 고정링(22)을 묶음 수용되어 고정하는 결합부(31)를 가지는 연결수단(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수단(10)은,
    상기 구조물(2)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판(板: plate)' 형상의 고정판(12)과, 상기 고정판(12)의 전면에서 연장형성되며 개방구(13)를 가지는 걸고리(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판(12)에는,
    상기 걸고리(11)의 개방구(13)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링크(14)가 힌지(15)를 통해 축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개폐링크(14)는,
    상기 고정판(12)에 상기 힌지(15)를 통해 축결합하되; 상기 힌지(15)를 중심으로 상기 걸고리(11)의 개방구(13)를 개폐하는 부위의 중량보다, 상기 힌지(15)를 중심으로 상기 걸고리(11)의 개방구(13)를 개폐하는 부위와 대칭되는 부위의 중량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30)은,
    길이를 가지는 '밴드' 형상의 몸체(33)에 상기 결합부(31)와 상기 걸림부(32)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31)는,
    상기 몸체(33)의 단부를 절곡하여 내부에 상기 걸이링(21)과 고정링(22)의 일부위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33)의 하단에는,
    상기 걸이링(21)과 고정링(22)이 걸림고정되는 걸이돌기(36)이 연장형성되는 것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봉투의 걸이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107405A 2016-08-24 2016-08-24 수납봉투의 걸이장치 KR101739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405A KR101739233B1 (ko) 2016-08-24 2016-08-24 수납봉투의 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405A KR101739233B1 (ko) 2016-08-24 2016-08-24 수납봉투의 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233B1 true KR101739233B1 (ko) 2017-05-24

Family

ID=5905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405A KR101739233B1 (ko) 2016-08-24 2016-08-24 수납봉투의 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2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192Y1 (ko) 2001-02-06 2001-07-19 조재구 자동차용 절첩식 쓰레기봉투 걸이장치
KR200238610Y1 (ko) * 2001-03-28 2001-10-10 김남현 봉투 걸이대
KR200300093Y1 (ko) * 2002-07-11 2003-01-14 윤상범 차량용 휴지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192Y1 (ko) 2001-02-06 2001-07-19 조재구 자동차용 절첩식 쓰레기봉투 걸이장치
KR200238610Y1 (ko) * 2001-03-28 2001-10-10 김남현 봉투 걸이대
KR200300093Y1 (ko) * 2002-07-11 2003-01-14 윤상범 차량용 휴지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3080A (en) Trash receptacle
US5364155A (en) Car cover
US7488024B1 (en) Cargo storage liner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EP0316335A1 (en) Storage container and fastener assembly for cars
CN212386411U (zh) 车辆货物区域盖总成
US5183227A (en) Self-closing bag holder
US20140132046A1 (en) Vehicle Arm Rest Accessory Device
US5957319A (en) Garbage container cover and liner protector
US2830748A (en) Litter receptacle for vehicles and the like
US20090071963A1 (en) Trash container
US20060226152A1 (en) Waste container for vehicles and the like
KR101739233B1 (ko) 수납봉투의 걸이장치
US20090266858A1 (en) Glove box door tethered utility hook
KR101697315B1 (ko) 일반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 수거구조가 형성된 차량 도어
AU735985B3 (en) Vehicle tissue box placement assembly
US20130257114A1 (en) Storage structure attached to car seat
KR101601784B1 (ko) 도어트림의 풀핸들부를 통한 쓰레기 수거 구조
US5897208A (en) Motor vehicle trash bag
JP2009045962A (ja) 箱体状収納具
JP2000062902A (ja) 屑入れ
JPH0644629U (ja) ゴミ袋ホルダー
AU4234999A (en) Collapsible receptacle
CN205708270U (zh) 一种车载垃圾袋
KR101697313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전용 쓰레기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 수거구조가 형성된 차량 도어
JP3109203U (ja) 自転車用荷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